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승차인원정보를 제공하는 버스정보시스템

        황훈규,이장세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12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the bus information system that provides bus passenger number. Recently, we use a bus conveniently through introduction of bus information system offering location-based information. However, we need additional information for decision making in order to use a bus comfortably. To do this, first, we analyzed the needs of providing passenger number; second, we adopted GPS and RFID type’s transportation card to get location and passenger number. Finally, we implemented the system displaying that information by three types, and tested it. Our proposed system has advantages to use a bus comfortably and to manage a bus efficiently by providing bus passenger number which is the important element for decision making as well as location based information provided by existing bus information systems. 본 논문은 버스 승차인원정보를 제공하는 버스정보시스템의 구현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버스정보시스템의 도입을 통하여 버스 이용자에게 다양한 위치위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쾌적한 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버스 선택을 위한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의 제공이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승차인원 정보 제공의 필요성을 분석하고 GPS와 RFID 방식의 교통카드를 활용하여 위치 및 승차 인원 정보를 수집, 가공하였으며 다양한 정보표시 시스템을 통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은 기존의 버스정보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버스위치기반 관련 정보와 더불어 버스 이용객의 의사결정을 위한 주요한 요소인 승차인원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쾌적한 버스이용과 효율적인 버스 관리의 장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국내선 항공수요 변화에 따른 공항 여객터미널의 적정규모에 관한 연구

        박정근(Park Chung-Keun),박철민(Park Chul-Min) 대한건축학회 2010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6 No.1

        The size of airport facilities is set up by applying data of passengers' demands and frequency of aircrafts' services which are basic data by aerial demands. However, the prediction of aerial demands can have a great deal of errors according to changes of society and transportations even if the setting of the scale was reasonable at that time of planning it. Therefore, the size of airport facilities cause fundamental problems of the plan by having more excessive size than real demands when it is operated in reality. Therefore, the study carried out analysis on a reasonable size of passenger terminal by investigating/analyzing change factors of aerial demands in domestic air service. The study calculated an excess/lack of area in passenger terminals of each airport quantitatively by an objective standard. Therefore, the study will become basic data to establish an efficient plan so that district airport passenger terminals may cope positively with changes of aerial demands.

      • KCI등재

        준공영제 시내버스 정책 시행에 따른 무료환승요금제 정책효과 분석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성우용(Seong, Woo yong),박희정(Park, Hee jung)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21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69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free transfer fare system in Busan. Based on the operation data from 2009 to 2020, we compared and analyzed before and after the free transfer fare system implemented in July 2015. The evaluation indicators were analyzed based on the number of card use cases, the total transport revenue, and the public transport transport share. In terms of total imports, 1934.071 × 1 million won (1,934,071,000 won)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policy was introduced. However, it appears that the number of card transf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ransportation income. Therefore, the number of card transfers is 0.003 × 1 million (3,000), which has a positive effect (income decreases as the number of transfers increases). There is no clear divergence before and after the policy point, but transport revenue has been on the decline since the policy implementation. In terms of the number of card use cases, the number of passengers significantly decreased by 0.36527 × 1 million (365,270) after the policy was introduced. However, the number of card transfer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number of card use cases. The number of transfers due to the free transfer rate system was 3.713527 × 1 million (3,713,527), which had a positive effect. Although the number of transfers has increased, the effect of the graph due to the decrease in the total number of passengers does not appear and is showing a downward trend. It also appears to be due to the decrease in the total number of users. In terms of the share of public transportation, when free transfers were introduced in July 2015, The transport share has already decreased by 0.00706%, Although a free transfer fare system was implemented, the share of public transportation has not been increased. The policy effect of the free transfer fare system for city buses had a slight positive effect on the total income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ity bus users. It had no effect on the overall income, increase in users, and the share of public transport.

      • KCI등재

        토지이용 특성을 고려한 서울시 지하철 출입구 개선방안 연구

        장재민,이상근,이준 한국도시철도학회 2022 한국도시철도학회논문집 Vol.10 No.2

        The subway entrance is a major facility necessary for citizens to board the subway.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subway entrances are uniformly applied without reflecting urban characteristics, and thus subway accessibility cannot be efficiently linked.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ing factors affecting the number of subway entrances and width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 and used the transfer station, the number of subway users, and the waiting room area as in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variable number of passengers had an effect in all districts, and in the residential district, the waiting room variable, business facilities had an effect the transfer station variable, and in the multiple district, the waiting room and transfer station variable. The subway entrance is a facility installed in the past, and it may be difficult to meet the demand behind the development of the station area. It is necessary to improve subway entrances and exits based on stations with increased number of passengers compared to the past or stations with fewer exits and fewer widths. 지하철의 출입구는 이용객이 지하철을 이용하는 전 과정에서 가장 처음과 마지막 부분에 반드시 탑승하는데 반드시 거쳐야 하는 주요한 시설물이다. 하지만 도시특성이 반영되지 않은 획일화된 규모와 형태의 출입구는 접근 효율성에 불편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수로 환승역사, 지하철 이용객수, 대합실 면적을 사용하여, 역사 인근의 지하철 출입구 개수 및 폭원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용객수 변수는 모든 지구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거주지구는 대합실 변수, 업무시설은 환승역사 변수, 복합지구는 대합실 및 환승역사 변수 모두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철 출입구는 과거에 설치된 시설물로 역세권 개발로 인한 배후수요를 감당하기 어려울 수 있다. 과거 대비 이용객수가 증가한 역사 및 출구수 및 폭원이 적은 역사는 지하철 출입구의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감차합의서의 불이행을 이유로 한 직권감차통보처분의 법적 성질 - 대법원 2016. 11. 24. 선고 2016두45028 판결 -

        오준근 ( Oh Jungen ) 법조협회 2017 최신판례분석 Vol.66 No.2

        이 판결은 현대 민주국가 행정의 새로운 현상 중의 하나인 “권력적·일방적 행정 작용을 비권력적·합의적 행정작용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법적 문제점을 단적으로 드러내는 사례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택시의 수가 급증한 반면 인구가 감소하여 택시운송업 전체가 위기에 처해있다고 판단한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택시운송사업자들과 만나서 택시의 수를 줄여서 상생의 구도를 형성하기로 합의하였으나 일부 사업자가 합의를 이행하지 아니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직권으로 감차처분을 한 것은 행정청이 택시운송사업자를 동반자로 보고, 서로 교섭을 통하여 경쟁을 완화하고자 노력한 것이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감차합의와 합의의 불이행에 따른 직권감차처분을 놓고 원심판결과 대법원판결은 서로 전혀 상반된 입장을 드러내고 있다. 원심과 대법원이 서로 다른 의견을 내는 데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대한민국의 「행정절차법」에는 독일과는 달리 공법상 계약에 관한 일반적 근거 규정이 마련되어 있지 아니하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사법상 계약과 구분되는 공법상 계약을 인정할 것인가, 공권력적인 처분을 공법상 계약으로 대체할 수 있는가 여부 등에 관하여 법이론이 정립되어 있지 않다. 특히 공법상 당사자소송이 활성화되어 있지 아니하여 이 사례와 같이 행정처분과 공법상 계약의 경계선에 위치하고 있는 사건을 효율적으로 다툴 행정소송제도도 확립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은 상황을 고려하고 이들 쟁점을 다룰 수밖에 없다는 점이 이 사건에 대한 법원의 판결을 엇갈리게 만들고 있다. 감차합의서가 Y시장과 택시사업자 상호간에 체결된 합의임은 분명하다. 그러나 이를 대등당사자간의 계약이라 판단하는 것은 의문이다. 대법원이 다각적으로 분석한 바와 같이 택시사업은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에 근거한 면허사업이고 택시사업면허는 수익적 행정행위에 해당한다. 행정청은 법률에 근거한 다양한 규제수단을 보유하고 있어서 현행 법률의 구조상 행정청과 택시사업자는 결코 대등한 당사자가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자유민주적 법치국가원리를 국가의 기본질서로 택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법현실상 행정청과 국민간의 권리의무관계를 형성하고자 할 경우 법률 유보의 원칙 및 법률우위의 원칙이 적용되어야 한다. 이 점은 계약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행정의 경우에 있어서도 예외일 수 없다. 독일「연방행정절차법」과 같이 공법상 계약에 관한 일반 규정을 「행정절차법」에 도입하고, 이에 관한 쟁송수단을 「행정소송법」에 구체화하는 입법작업이 이루어진 경우에 한하여 행정청과 국민간에 행정행위를 대체하는 계약의 체결 및 이를 둘러싼 분쟁의 해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와 같은 점에서 감차합의서를 공법상 계약으로 보아 행정소송을 통한 분쟁해결 가능성을 부인할 것이 아니라 이를 “부관부 행정행위”를 함에 있어 부가한 “협약형식의 부관”으로 파악하고, 현행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의 규정을 준수하였는가, 부관의 위법성은 없는가를 구체적으로 분석하도록 한대법원의 파기환송 판결은 비록 아쉽지만 부득이한 것이었다고 생각된다. This case represents the legal problems of the resent Korean administrative practices which occurs in the course of the changing the authoritative one side administrative act to the consultative contractive one. The Mayor of Iksan County summoned the local passenger transport business chief executive officers and agreed with them about the reducing the number of the taxis in order to better the situation of the taxi business in their county. But a part of the taxi CEOs did not put into practice the planned reducing the number of their taxis and the Mayor ordered them to keep the agreement. The Agency regarded the local CEOs as the partners of the local administration and met and agreed with them about the plan of the strengthening the business situation. The Korean Supreme Court and the High Court showed quiet different viewpoint about the administrative order of the reducing the number of motor vehicles ; the Korean Supreme Court judges decided that this order was one of the administrative disposition with the additional clause in the form of an agreement, but the High Court judges saw that order as an enforcement of an agreement clause. This paper found the reason of the inconsistency of the judicial decisions in the problems of the current Korean legislative situation: There is no general regulation of the administrative contract in the Korean Administrative Procedures Act and the legal theory about this phenomena is not arranged. The process of the law suit about the dispute concerning the administrative contract is not activated in the Korean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The agreement of the reducing the number of the motor vehicles between the Iksan Mayer and the local business CEOs could not be regarded as a contract between the equal business partners. The passenger transport business is under the regulation of the Passenger Transport Service Act. Any person who intends to engage in passenger transport business shall prepare a business plan and obtain a license from the local agency. Therefore the agency and the license holder cannot be a equal partner of a agreement about the numbers of their motor vehicles. The decision of the Korean Supreme Court, which regarded the motor vehicle reducing order as a administrative disposition with the additional clause in the form of an agreement, was to be accepted as a unescapable judgement.

      • KCI우수등재

        감차합의서의 불이행을 이유로 한 직권감차통보처분의 법적 성질 - 대법원 2016. 11. 24. 선고 2016두45028 판결 -

        오준근 ( Oh Jungen ) 법조협회 2017 法曹 Vol.66 No.2

        이 판결은 현대 민주국가 행정의 새로운 현상 중의 하나인 “권력적·일방적 행정작용을 비권력적·합의적 행정작용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법적 문제점을 단적으로 드러내는 사례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택시의 수가 급증한 반면인구가 감소하여 택시운송업 전체가 위기에 처해있다고 판단한 지방자치단체의장이 택시운송사업자들과 만나서 택시의 수를 줄여서 상생의 구도를 형성하기로 합의하였으나 일부 사업자가 합의를 이행하지 아니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직권으로 감차처분을 한 것은 행정청이 택시운송사업자를 동반자로 보고, 서로 교섭을 통하여 경쟁을 완화하고자 노력한 것이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감차합의와 합의의 불이행에 따른 직권감차처분을 놓고 원심판결과 대법원판결은 서로 전혀 상반된 입장을 드러내고 있다. 원심과 대법원이 서로 다른 의견을 내는 데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대한민국의 「행정절차법」에는 독일과는 달리 공법상 계약에 관한 일반적 근거 규정이 마련되어 있지 아니하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사법상 계약과 구분되는 공법상 계약을 인정할 것인가, 공권력적인처분을 공법상 계약으로 대체할 수 있는가 여부 등에 관하여 법이론이 정립되어있지 않다. 특히 공법상 당사자소송이 활성화되어 있지 아니하여 이 사례와 같이 행정처분과 공법상 계약의 경계선에 위치하고 있는 사건을 효율적으로 다툴 행정소송제도도 확립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은 상황을 고려하고 이들 쟁점을 다룰 수밖에 없다는 점이 이 사건에 대한 법원의 판결을 엇갈리게 만들고 있다. 감차합의서가 Y시장과 택시사업자 상호간에 체결된 합의임은 분명하다. 그러나 이를 대등당사자간의 계약이라 판단하는 것은 의문이다. 대법원이 다각적으로 분석한 바와 같이 택시사업은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에 근거한 면허사업이고 택시사업면허는 수익적 행정행위에 해당한다. 행정청은 법률에 근거한 다양한 규제수단을 보유하고 있어서 현행 법률의 구조상 행정청과 택시사업자는 결코 대등한 당사자가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자유민주적 법치국가원리를 국가의 기본질서로 택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법현실상 행정청과 국민간의 권리의무관계를 형성하고자 할 경우 법률유보의 원칙 및 법률우위의 원칙이 적용되어야 한다. 이 점은 계약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행정의 경우에 있어서도 예외일 수 없다. 독일「연방행정절차법」과 같이 공법상계약에 관한 일반 규정을 「행정절차법」에 도입하고, 이에 관한 쟁송수단을 「행정소송법」에 구체화하는 입법작업이 이루어진 경우에 한하여 행정청과 국민간에 행정행위를 대체하는 계약의 체결 및 이를 둘러싼 분쟁의 해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와 같은 점에서 감차합의서를 공법상 계약으로 보아 행정소송을 통한 분쟁해결 가능성을 부인할 것이 아니라 이를 “부관부 행정행위”를 함에 있어 부가한 “협약형식의 부관”으로 파악하고, 현행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의 규정을 준수하였는가, 부관의 위법성은 없는가를 구체적으로 분석하도록 한대법원의 파기환송 판결은 비록 아쉽지만 부득이한 것이었다고 생각된다. This case represents the legal problems of the resent Korean administrative practices which occurs in the course of the changing the authoritative one side administrative act to the consultative contractive one. The Mayor of Iksan County summoned the local passenger transport business chief executive officers and agreed with them about the reducing the number of the taxis in order to better the situation of the taxi business in their county. But a part of the taxi CEOs did not put into practice the planned reducing the number of their taxis and the Mayor ordered them to keep the agreement. The Agency regarded the local CEOs as the partners of the local administration and met and agreed with them about the plan of the strengthening the business situation. The Korean Supreme Court and the High Court showed quiet different viewpoint about the administrative order of the reducing the number of motor vehicles ; the Korean Supreme Court judges decided that this order was one of the administrative disposition with the additional clause in the form of an agreement, but the High Court judges saw that order as an enforcement of an agreement clause. This paper found the reason of the inconsistency of the judicial decisions in the problems of the current Korean legislative situation: There is no general regulation of the administrative contract in the Korean Administrative Procedures Act and the legal theory about this phenomena is not arranged. The process of the law suit about the dispute concerning the administrative contract is not activated in the Korean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The agreement of the reducing the number of the motor vehicles between the Iksan Mayer and the local business CEOs could not be regarded as a contract between the equal business partners. The passenger transport business is under the regulation of the Passenger Transport Service Act. Any person who intends to engage in passenger transport business shall prepare a business plan and obtain a license from the local agency. Therefore the agency and the license holder cannot be a equal partner of a agreement about the numbers of their motor vehicles. The decision of the Korean Supreme Court, which regarded the motor vehicle reducing order as a administrative disposition with the additional clause in the form of an agreement, was to be accepted as a unescapable judgement.

      • Atomization and Environments 2 : Characterization Analysis of Particulate Matter Emitted from Diesel Passenger Cars

        ( Sungwoon Jung ),( Jounghwa Kim ),( Sangwoo Jeon ),( Jaehyun Lim ),( Sangil Kwon ),( Jeongsoo Kim ),( Gwinam Bae ),( Heekyung Hong ),( Meehye Lee ) 한국액체미립화학회 2015 한국액체미립화학회 학술강연회 논문집 Vol.2015 No.-

        Characterization of the particulate matter from three different diesel passenger cars in this study under the vehicle driving cycles and regulatory cycle were analyzed. The vehicles were measured in various vehicle speeds with the aim to verify the particulate number and mass with respect to the road traffic conditions. The total particle number emissions (PNEs) at the lower vehicle speeds increased gradually from the highway to the Seoul metropol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ak size-segregated bin shifts to the larger particles as diluted exhaust gas is cooled. As the average vehicle speed decreases, the size-segregated peak of particle number concentration (PNC) shifts to smaller particles. The PM composition was mostly composed of both soluble organic fraction (SOF) and soot. The effect of the dilution temperature on the total PNC under the New European Driving Cycle (NEDC)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dilution ratio. In addition, the nucleation particles (DP: ≤ 13nm) were confirmed to be more sensitive to the dilution temperature rather than other particle size ranges. Comparison with particle composition between vehicle speed cycles and regulatory cycle, sulfate was slightly increased at regulatory cycle, while other components were relatively similar. During cold start, effect of cold environment was an increase in semivolatile nucleation particles, but not solid particles. Research into particle formation dependent on dilution process from diesel passenger cars under the NEDC is important because of verifying impact on vehicular traffic and secondary aerosol formation in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improve air quality and human health in Seoul.

      • KCI등재

        버스 승하차시간 추정 모형 개발

        성명언,최기주,신강원,정우현,이규진 대한교통학회 2014 대한교통학회지 Vol.32 No.2

        The total boarding and alighting time models have been developed by applying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with three variables; numbers of boarding or alighting passengers, non-sitting passengers, and the step-height fromthe ground. Such variables have influenced to the total boarding time model with the most influential in thenumbers of boarding or alighting passengers and the least in the step-height. On the total alighting time model,the numbers of alighting passengers are the most strongest while the step-heights the least. The total boarding andalighting time models can be used in practices for the prediction of current and future bus stops' capacities inTOD-based towns. 현재 KHCM이 출판될 당시와 현재의 대중교통 환경이 달라져 승하차시간 산정방법이 달라질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승하차시간에 영향을 주는 승하차수, 입석자수, 상면지상고를 변수로 총승하차시간값을도출하는 모형을 다중회귀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승차시간의 경우는 승하차수, 입석자수, 상면지상고 순으로 영향력의 차이가 있었으며, 총하차시간의 경우는 하차자수, 상면지상고 순으로 분석되었고, 두 개의 모형에서의독립변수들은 모두 종속변수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을 통해 예측된 순수 승하차시간은 기존의 버스정류장은 물론 TOD를 고려한 신도시 등의 신설 버스정류장 용량 산정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서울지하철 일부 역사 내 부유 곰팡이 농도 및 환경요인

        황성호,안재경,박재범,Hwang, Sung Ho,Ahn, Jae Kyoung,Park, Jae Bum 한국환경보건학회 2014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40 No.2

        Objectives: We measured the concentrations of culturable airborne fungi (CAF) in enclosed environments at 16 underground subway stations of the Seoul Metro in 2013, and investigated the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the number of passengers, and distance from the platform. Methods: The cultured fungi were identified by the lactophenol cotton blue (LPCB) staining method and were classified by observing the form, shape, and color of colony. A nonparametric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if the differences in the concentrations of CAF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concentrations of CAF at the stations were the highest in station p ($367CFU/m^3$) with arange between 3 and $437CFU/m^3$.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AF concentration and the distance from platform (r = 0.544, p < 0.01). Geotrichum spp. and Penicillium spp. were the predominant species. Conclusion: It is recommended that special attention be given during rush hour, which is in the morning (08:00-10:00) and in the early evening (18:00-19:00) to improve the indoor air quality of the subway st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