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재미 한인 ‘차세대’ 논의의 문제점과 제언

        주동완 재외한인학회 2022 在外韓人硏究 Vol.59 No.-

        Before the 2000s, the term ‘second generation Koreans’ was used a lot in the Korean American community. Beyond the 2000s, the term ‘next generation’ has replaced ‘second generation Koreans’. “Next generation” usually means “next generation”. However, the age group to which the term refers is too broad. This article is a record of a scholar who has lived in New York, USA for nearly 40 years, through his participation in observation of the ‘next generation’. Taking some recent newspaper articles related to 'next generation' as an example, I would like to think about the problems of discussions about 'next generation'. And I would like to try my own suggestions to solve those problems. In order to point out the problems of the discussion of ‘next generation’ in the Korean American community, first of all, I would like to examine the emergence of ‘next generation’ in terms of demographics and who they are. In addition, I would like to examine some of the problems I want to point out in the discussion of ‘next generation’. As for the problems of the 'next generation', I would like to focus on their identity problem, which is the most important problem, and look at other problems together. The suggestions presented by the author in this article are only an attempt. Nevertheless, these attempts are considered valuable because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American community can be expected through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next generation’. 재미 한인사회에서 2000년대 이전에는 ‘한인 2세’라는 말이 많이 사용되었다. 2000년대를 넘어서면서 ‘차세대(next generation)’란 용어가 ‘한인 2세’를 대체해왔다. 보통 ‘차세대’는 ‘다음 세대’를 말한다. 그러나 그 용어가 지칭하는 연령 계층이 너무 광범위하고 애매모호하다. 이 글은 미국의 뉴욕 현지에서 40년 가까이 살아온 한 학자의 ‘차세대’에 대한 참여관찰을 통한 기록이다. ‘차세대’와 관련된 최근의 몇몇 신문기사를 사례로 하여그동안 ‘차세대’에 관한 논의들의 문제점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그 문제점들의 해결을 위해 필자 나름대로의 제언을 시도해보고자 한다. 재미 한인사회에서 ‘차세대’ 논의의 문제점을 지적하기 위해 먼저 인구학적인 면에서 ‘차세대’의 등장과 그들이 누구인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차세대’ 의 문제점들로는 가장 중요한 문제인 그들의 정체성 문제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그 밖의 여러 문제를 뭉뚱그려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이 글에서 제시되는 필자의 제언은 하나의 시도일 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시도가 가치 있다고 여겨지는 것은 ‘차세대’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재미한인사회의 미래와 발전을 기대해볼 수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선교적 교회 관점에서 ‘다음세대’를 위한 선교방안 연구

        이병옥 한국실천신학회 2024 신학과 실천 Vol.- No.88

        다음세대의 선교가 시급한 현실을 심각하게 받아들이면서, 연구자는 선교적 교회 관점에서 교회의 안과 밖에서의 다음세대를 위한 선교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이 연 구는 세대담론이 주는 긍정적인 측면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다음세대에 대한 다각 적인 이해를 통해서 교회 안팎의 다음세대를 위한 그리고 다음세대와 함께 하는 선교 방안을 모색했다. 이 연구에서는 ‘다음 세대’와 ‘다음세대’란 표현을 구분한다. 전자는 단순한 순서를 표현하는 것이라면, 후자는 특정한 구체적 세대를 말하는 것이다. 따라 서 연구자는 이 논문에서 지금 여기에 살고 있는 구체적인 세대를 강조하고자 ‘다음 세대’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또한 연구자는 선교적 교회 관점에서 교회 안과 밖을 의 도적으로 구분했다. 일반적으로 선교를 교회 밖에서 행하는 교회의 활동이나 프로그 램으로 규정하지만, 선교적 교회 관점에서는 선교를 교회의 본질과 정체성으로서 이 해하면서 선교가 교회 안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을 강조한다. 따라서 모든 교회는 하나 님의 선교에 참여하도록 사명을 받았지만, 교회마다 자신이 처한 상황에 따라 하나님 의 선교에 대한 이해가 다를 수 있고, 참여하는 방식도 다를 수 있다. 이 선교적 교회 의 관점에서 보자면, 교회의 다음세대의 선교는 교회 안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이 당연하다. 하지만 동시에 교회마다 처한 교회 내외의 상황이 다르기에 다음세대의 선교방 안이 다 다를 수밖에 없다. 이 연구는 다음세대가 교회학교 학생에 국한되지 않고, MZ세대, 미래세대, 청년세 대, 디지털 세대 등을 포함하는 만큼 그 연령대의 폭이 넓고 사회문화적으로 다양한 사람들이 이 세대 가운데 있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연구 자는 교회 안의 다음세대의 선교방안으로 ‘교육과 예배의 공간으로서 가정을 회복하 기,’ ‘다음세대가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정서적/물리적 공간을 만들기,’ ‘교회만의 고유성과 다양성을 만들기,’ ‘디지털 세대의 언어와 문화로 소통하기’를, 교회 밖의 다 음세대의 선교방안으로 ‘다음세대로 다음세대를 선교하게 하기,’ ‘디지털 세상에서 선 교하기,’ ‘협력 네트워크를 활용하기,’ ‘다음세대의 아픔에 공감하고 공명하기’ 등을 제 안했다. 결론적으로 선교적 교회 관점에서 볼 때, 다음세대의 선교는 각각의 교회가 다음세대에 대한 자신의 이해를 가지고서 다음세대를 위한 선교와 함께 다음세대와 함께 하는 선교로 나아가야 한다. Taking seriously the reality that mission for the next generation is urgent, the researcher sought to find missional approaches to the next generation both inside and outside the church from a perspective of the missional church. This study actively utilized the positive aspects of generational discourse through a multifaceted understanding of the next generation to develop missional plans for and with the next generation. In this study, the expressions ‘a next generation’ and ‘the next generation’ are used separately. The former expresses a simple sequence, while the latter refers to a special, specific generation. Therefore,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uses the expression ‘the next generation’ to emphasize the specific generation living here and now. Additionally, the researcher intentionally distinguished between inside and outside the church from a perspective of the missional church. Although missions are generally regarded as church activities or programs carried out outside the church, in light of the missional church, mission is understood as the essence and identity of the church since the triune God is the subject of mission and, as such, mission begins within the church. Therefore, every local church is to participate in God’s mission, but each of them may have a different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God’s mission in its own context. It is natural that the mission of the next generation of the church begins from within the church. However, at the same time, because the situations inside and outside the church are different for each church, missional plans for the next generation are bound to be different. This study found that the next generation is not limited to Sunday school students, but also include the MZ generation, future generation, youth generation, digital generation, etc., showing that the age range is wide and that there are socially and culturally diverse people among this generation. Based on this, the researcher suggested that missional plans for the next generation within the church were to ‘recover the home as a space for education and worship,’ ‘create an emotional/physical space where the next generation can actively participate,’ ‘create originality and diversity unique to the church,’ and ‘communicate through the language and culture of the digital generation,’ and missional plans for the next generation outside the church were to ‘enable the next generation to do missions for the next generation outside the church,’ ‘do missional activities in the digital world,’ ‘utilize cooperation networks,’ and ‘empathize with and resonate with the pain of the next generation.’ In conclusion, from a perspective of the missional church, the mission of the next generation requires each church to have its own understanding of the next generation and develop not only mission for the next generation but also mission with the next generation.

      • KCI우수등재

        차세대 지식경영시스템을 이용한 지식순환과정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이건창(Kun Chang Lee),서영욱(Young Wook Seo),황윤철(Yoon Chol Hwang) 한국경영학회 2010 經營學硏究 Vol.39 No.2

        Since its introduction as one of innovative strategies to improve corporate performance, KM (knowledge management) has worked very successfully in many kinds of industries and companies around the world. Especially, in the last decade, South Korean companies have adopted KMS very eagerly and applied it to eliminate many kinds of management inefficiencies and improve business performance. In recent couple of years, KMS evolved from a simple IS for helping workers reduce information search time to highly intelligent decision support system with which users can develop a new idea and come up with effective strategies to improve business performance dramatically. To add uniqueness to such advanced version of KMS, we call it as a next-generation KMS which differs from conventional KMSs in that the next-generation KMS is supposed to provide relevant decision support to workers and help them achieve significantly what they intend to do in their business activities. Recent web 2.0 technologies such as collective intelligence, wiki-style knowledge creation and sharing techniques, and participating knowledge activities provide a full support to the next-generation KMS. However, there exist very few studies to support the role of the next-generation KMS on improving corporate performance. To fulfill this research void, we apply a rigorous and empirical way by proposing a number of unexplored hypotheses. In this sense, this study proposes following research objectives.First, by performing a rigorous literature study, we induce that the next-generation KMS should fulfill its goal to provide a full support to the knowledge circulation process (KCP). Naturally, the first research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several hypotheses related to showing how each step of KCP is supported by the next-generation KMS. Herein, the KMS is assumed to consist of five steps such as knowledge creation, knowledge storage, knowledge sharing, knowledge utilization and knowledge learning. Second, this study intend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of the next-generation KMS on corporate performance. As one of rigorous experiments, we built a number of research hypotheses to prove how much the next-generation KMS could contribute to the success of target companies. For this purpose, two professional KM consultants were recommended to review feasibility of a target KMS of H company to see whether it possesses the next-generation KMS properties this study requires. Feasibility test was to analyze whether the target KMS has the next-generation functionalities as required by literature. Results were clear- the target KMS has a number of functionalities to provide relevant support to workers. Empirical test process was performed like this. First, questionnaire items were prepared by using relevant literature. Final questionnaire was pre-tested whether it suits our research purpose. Among total 1,678 questionnaires distributed, 1,024 responses were collected which was about 61 % response rate. Researcg hypotheses were formed as a path analysis model, so SmartPLS 2.0 software was used to analyze and test the research model. Reliability test as well as feasibility test results were valid. Hypotheses tests were striking. all the KCP-related hypotheses were significantly supported, which indicates that target KMS is a truly next- generation KMS. Through the empirical tests, we came to conclude that a positive influence of the KCP on corporate performance was proven, and among the five KCP processes, only two processes such as knowledge utilization knowledge learning turned out to significantly influence the corporate performance.

      • KCI등재후보

        오래된 미래적 관점에서 보는 차세대 복음화

        김선일 ( Sun Il Kim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2 복음과 선교 Vol.20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ouch on the issues to evangelize the next generation in Korea and offer an ancientfuture perspective as a corrective to the missionary attempts of the Korean church to the next generation. The task of passing on faith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s becoming central to the future of the Korean church. As statistics has shown, protestant population is becoming in decline for the last years. Also, it is seen that children and adolescents attending the church are in declineas well. It has not been the case that the churches in Korea do not show enough interest in educational ministry or not actively engage in the culture of the next generation. The Korean church has been known as the educationfocused church from its beginning. Out of consideration for this missionary task of the next generation, this paper calls to refocus the missional strategy from culturally sensitive nd entertainmentsaturated evangelism to the missional thinking faithful to the Christian tradition and community. Next, this paper evaluates the evangelistic attempts at reaching the next generation. There have been two types of evangelism for the next generation in large. One is the junior version of It follows from observations thus far that the missionary task for the next generation needs to borrow from the ancientfuture model of evangelism, which is centered on the building of the new family, conversion as resocialization, faith formation as participation with the communal experience, This fresh way of looking at evangelism will give us a new approach toward reaching the next generation with the absolute gospel of Christ.

      • KCI등재

        다음 세대 신앙교육을 통한 선교 방안

        민장배,이수환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68

        한국교회가 해외선교사 파송 두 번째 국가가 되었음에도 전략적 선교보다는 관계 중심, 장년 중심, 성과주의 등으로 많은 역기능(dysfunction)을 초래하고 있다. 물론 한국교회의 다음 세대는 감소하고 있지만 유치부 과정에서부터 고등학생과정까지 교 육기관을 설립하여 신앙교육을 하고 있다. 이는 매우 바람직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 한 교육과정을 지식전달이 아니라 신앙교육까지 관심을 가지고 접근하는 것 또한 하 나님께서 기뻐하시는 사역으로 여겨진다. 다만 교회 지도자들이 이러한 교육과정을 통해 다음 세대로 하여금 하나님 나라를 위해 헌신하도록 방향성이 더 분명해지기를 바란다. 예수님도 지상 사역 가운데 땅 끝까지 복음이 전파되기를 바라시며 신앙교육 을 실시하셨다. 초대교회도 핍박 가운데서 가르침과 전도하기를 쉬지 않고 실천하였 다. 바울 역시 지속적으로 신앙교육을 바탕으로 복음이 땅 끝까지 전해지도록 자신의 생명조차도 조금도 아끼지 않고 헌신하였다. 초기 한국교회도 선교사들이 다음 세대 를 바라보며 교회에서 실시한 교육과 함께 교육기관을 설립하여 신앙교육을 실시하여 복음이 땅 끝까지 전해지도록 사명을 감당했다. 이제라도 한국교회는 다음 세대 신앙교육을 통해 효과적으로 복음이 땅 끝까지 전 파되도록 선교에 대한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 복음은 변하지 않지만 복음을 전하 는 사명자와 그 복음을 받는 대상은 다른 문화 가운데 있기 때문에 다음 세대 신앙교 육을 통한 선교는 전략적이어야 한다. 선교는 교회의 특별한 활동이 아니라 본질적 기능이다. 시대에 따라 다양한 문화에 익숙해지고, 가치관이 변하지만 선교는 교회 존 재 목적이기에 변함없이 계속되어야 한다. 연구자는 한국교회가 선교적인 관점을 가지고 효과적인 신앙교육을 위해 다음과 같이 실천 방안을 제안했다. 첫째, 다음 세대 신앙교육이 선교로 열매를 맺기 위해서 는 교회 지도자들뿐 아니라 모든 구성원까지 신앙교육에 대한 패러다임이 변화되어야 한다. 둘째, 다음 세대를 신앙교육을 통해 선교 주체로 세우기 원한다면 이에 대한 로 드맵이 있어야 한다. 셋째, 교회는 다음 세대를 위해 신앙교육을 실시하는 교회나 교 육기관 지도자를 초청하여 다음 세대 선교대회를 진행해야 한다. 넷째, 개 교회나 교 단을 넘어 다음 세대 신앙교육을 통한 선교 사명이 있는 개인과 교회와 교육기관과 교단이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 Even if the Korean church sends the second largest number of missionaries to foreign countries in the world, it has created many malfunctions like relationship-centered, and adult-oriented works, and meritocracy rather than strategic propagation. While the number of next-generation members of the Korean church is decreasing, the church cultivates next-generation Christians by establishing educational institutions from kindergarten to high schools. It seems to be very desirable. It seems to be the work God is happy about to approach such a curriculum with religious education instead of knowledge teaching. What I only want is that church leaders set the direction of next generations to lead them to devote themselves to the Kingdom of God. Jesus Christ also performed religious education wanting the Gospel to spread to the end of the earth among the works in the earth. The early church, under oppression, practiced teaching and propagation ceaselessly. Saint Paul devoted himself to send the gospel to the end of the world through continuous religious education, risking his life. In the early Korean church, missionaries did their best to spread the gospel to the end of the world by establishing educational institutions along with education for next generations provided by church. Even now, the Korean church needs to change its paradigm for missionary works to make the gospel to spread to the end of the world through next-generation religious education. While the gospel does not change, the person who delivers it and the person who receives it are in different cultures. Thus, the missionary works through next-generation religious education should be strategic. Missionary works are not special activities, but an essential function of the church. Cultures change over time, so do values. But, missionary works are the goal of the existence of church. So, they should continue without change. To make the Korean church do effective religious education with the perspective of missionary works, the researcher suggested the followings. First, to make next-generation religious education result in missionary works, all the members as well as church leaders should try to change their paradigms on religious education. Second, if the church wants to grow next generations into missionary leaders through religious education, it needs to have the roadmap on it. Third, the church should hold the missionary rally for next generations by inviting leaders in the church or educational institutions performing religious education for next generations. Forth, beyond each church or religious society, individuals, churches,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religious societies which are interested in missionary works through next-generation religious education should form networks.

      • KCI등재

        Next-generation probiotics, parabiotics 및 postbiotics

        조광근,이승호,최인순,이상원,Cho, Kwang Keun,Lee, Seung Ho,Choi, In Soon,Lee, Sang Won 한국생명과학회 2021 생명과학회지 Vol.31 No.6

        사람의 장내 미생물은 숙주의 대사 조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장내 미생물 균총의 불균형은 비만, 대사 증후군과 밀접하게 병리학적, 생리학적 상호작용을 한다. A. muciniphila는 최근 인간의 대변에서 분리되었으며, 장내 미생물의 약 1-4%를 차지하는 우점균이다. A. muciniphila 유래 외막(external membran) 단백질 Amuc_1100과 세포외 소포(EVs)의 이용은 비만치료를 위한 새로운 전략이 될 수 있다. A. muciniphila는 비만과 같은 대사 장애치료를 위한 차세대 probiotics로 고려되고 있다. F. prausnitzii는 next-generation probiotic로서 건강한 성인의 경우 장내미생물 균총의 약 5%를 차지하며 성인 장 건강의 지표이다. F. prausnitzii는 butyrate-producing bacterium로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며, 면역 질환과 당뇨병 치료를 위한 next-generation probiotics로 기대된다. Postbiotics는 probiotics에 의해 분비되는 세포 상층액에 포함된 대사산물의 복잡한 혼합물이다. 반면, parabiotics는 probiotics를 불활성화 시킨 미생물 세포이다. Paraprobiotics와 postbiotics는 probiotics에 비해 명확한 화학구조(clear chemical structures)와 안전한 투여 용량(safety dose parameters), 장기간의 유통 기간(longer shelf life)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probiotics를 대체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장 생태계의 불균형을 정상적으로 복원하기 위해서 장내 공생 박테리아(commensal bacteria) 중 next-generation probiotics (NGPs)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자연스런 방법이다. 따라서 next-generation probiotics 를 대상으로 parabiotics와 postbiotics와 같은 새로운 식품이나 약품으로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Human intestinal microbiota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gulation of the host's metabolism. There is a close pathological and physiological interaction between dysbiosis of the intestinal microflora and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Akkermansia muciniphila, which was recently isolated from human feces, accounts for about 1-4% of the intestinal microbiota population. The use of A. muciniphila- derived external membrane protein Amuc_1100 and extracellular vesicles (EVs) could be a new strategy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A. muciniphila is considered a next-generation probiotic (NGP) for the treatment of metabolic disorders, such as obesity.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accounts for about 5% of the intestinal microbiota population in healthy adults and is an indicator of gut health. F. prausnitzii is a butyrate-producing bacterium, with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is considered an NGP for the treatment of immune diseases and diabetes. Postbiotics are complex mixtures of metabolites contained in the cell supernatant secreted by probiotics. Parabiotics are microbial cells in which probiotics are inactivated. Paraprobiotics and postbiotics have many advantages over probiotics, such as clear chemical structures, safe dose parameters, and a long shelf life. Thus, they have the potential to replace probiotics. The most natural strategy to restore the imbalance of the intestinal ecosystem normally is to use NGPs among commensal bacteria in the gu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new foods or drugs such as parabiotics and postbiotics using NGPs.

      • KCI등재

        차세대디지털도서관서비스에 대한 Y세대 이용자의 요구분석 연구

        노영희 한국정보관리학회 2014 정보관리학회지 Vol.31 No.3

        본 연구에서는 Y세대의 특징을 밝히고 Y세대가 요구하는 차세대디지털도서관서비스를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이들의 요구가 베이비붐세대와 어느 정도 차이를 보이는지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Y세대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디지털기기는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데스크탑 PC, 노트북 PC, 디지털 카메라 순으로 나타났으며, 사용비율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그 순위는 베이비붐세대와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다. 둘째, 이용하는 디지털서비스에 있어서 Y세대와 베이비붐세대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Y세대는 인터넷 포털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베이비붐세대는 이메일서비스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Y세대와 베이비붐세대가 차세대디지털도서관에 요구하는 서비스를 클라우드서비스, 무한창조공간, 빅데이터, 증강현실, 구글글래스, 상황인식기술, 시맨틱서비스, SNS서비스, 디지털교과서서비스, RFID 및 QRCode 서비스, 도서관공간구성, 최첨단디스플레이기술, 기타 획기적인 서비스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 Y세대가 가장 높은 요구도를 보인 서비스는 빅데이터서비스였고, 베이비붐세대는 디지털교과서서비스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Y generation, to derive the services of the next generation digital library, and to compare differences between the demands of the baby boom generation and the Y generation to some extent. As a result, first, it is shown that the digital device the Y generation uses the most, was a cell phone or smartphone, followed by desktop PC, notebook PC, and digital camera. Al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the Y generation’s use ratio of digital devices was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baby boomer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Y generation and baby boom generation in terms of using digital services. While the Y generation used internet portals the most, the baby boom generation used e-mail service the most. Third, we surveyed the services which the Y generation and baby boom generation require for the next generation digital libraries, by grouping as follows: the cloud service, infinite creative space (maker space), big data, augmented reality, Google Glass, context-aware technologies, semantic services, SNS service, digital textbook service, RFID and QRCode service, library space configuration, a state-of-the-art display technology, and other innovative services. While the most demanded service by the Y generation was big data service, the baby boom generation most demanded digital textbook service.

      • KCI등재

        다음세대와의 상호적 소통을 위한 교사 역량의 중요도-실행도 분석

        김효숙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6 기독교교육논총 Vol.46 No.-

        As well as so-called “Canaan Saints” phenomenon, church attrition of the young generation and one-sided communication issue have been deepening the sense of urgency about the faith education of the next generation. The next generation in the church is another generation grew up in a different culture. The Church, however, recognizes it to be so, only to remain passive in interactions to coordinate and embrace the difference. If churches stay there and only recognize that the next generation is different generation, it will solidify the exclusion in churches and gradually weaken the dynamics of Sunday Schools. This study seeks, therefore, to digging the teacher competencies required for mutual communication with the next generation. Interculturalism is a useful theoretical rationale to recognize the cultural uniqueness of the next generation who grew up in a different culture, and aim at educational communication. Based on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on Christian Interculturalism, church schools are redefined as “interrelational faith community” as well as “interactive learning community” and “intersubjective dialogue community” where generations from various cultural identities mature together. The competencies that are necessary for teachers to lead the new communities are presented as faith insight competencies to start from the relationship with God and expand to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7 competencies), learning design competencies to facilitate interactions (7 competencies) and communicative competencies to collaborate as equal individuals trying to recognize the differences and solve the conflicts (7 competencies). Based on these, teachers from 14 churches (N=928) were surveyed for their competencies and, through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matrix, competencies are suggested that are needed to be concentrated. Besides,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of the teachers' competency performance,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it is revealed that service practice is "reciprocal actions" rather than "providing actions." Lastly, churches are suggested to give strong support to the formal and/or informal department level activities that are the main source of competency development. 소위 ‘가나안 성도’ 현상을 비롯한 세대 이탈과 일방적 소통의 문제는 다음세대 신앙교육에 대한 위기의식을 심화시키고 있다. 교회 안의 다음세대는 다른 문화 속에서 자란 다른 세대다. 그러나 교회의 현실은 다음세대가 다른 문화 속에서 자라온 세대라는 것을 인식만 할 뿐, 차이를 조율하고 포용하기 위한 상호작용에는 소극적인 편이다. 다음세대는 다른 세대라는 ‘차이의 인정’에 머물 경우, 교회 내의 배제는 고착화되고, 교회학교의 역동성은 점점 약화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다음세대와의 상호적 소통에 필요한 교사 역량에 천착하고자 한다. 상호문화주의는 다른 문화 속에서 자란 다음세대의 문화적 고유성을 인정하고, 교육 주체 간의 상호적 소통을 지향하는데 유용한 논거가 된다. 따라서 기독교적 상호문화주의에 대한 학제적 탐색을 토대로 교회학교는 서로 다른 문화적 정체성을 가진 세대들이 함께 성숙해가는 ‘상호관계적 신앙공동체’요 ‘상호작용적 학습공동체’이자 ‘상호주관적 대화공동체’로 재정의하였다. 새로운 공동체를 이끌어 갈 교사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은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출발하여 타인과의 관계로 확장해가야 할 신앙에 대한 성찰력(7개 역량)과 완결된 내용의 전달이 아닌 상호작용을 촉발시키는 학습설계력(7개 역량), 차이를 인정하고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동등한 지위를 가진 채 협력할 줄 아는 의사소통력(7개 역량)으로 재개념화하였다. 이를 토대로 14개 교회에 속한 교사들(N=928명)을 대상으로 역량을 조사한 후 중요도-실행도 분석(IPA) 매트릭스를 통해 교사들이 집중 개발해야 할 역량이 무엇인지를 제시하였다. 또한 교사들의 역량 실행도와 봉사 만족도 및 참여도 간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봉사가 ‘시혜적 행위’라기보다는 ‘호혜적 행위’임을 입증하였다. 마지막으로 교회는 역량 개발의 주요 원천이 되고 있는 부서 단위의 형식적, 비형식적 모임을 적극적으로 후원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상품) 신시장 창출을 위한 차세대사용자 의식조사 연구

        이철호 ( Lee Cheol Ho ),정형기 ( Jung Hyeong Gi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6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46 No.-

        2000년대 사회 전반적으로 의료, 건강, 인포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확대될 것으로 보여지며, 향후 전자기기 디자인 융합기술, 인포테인먼트 및 게임디자인 융합기술, 산업 및 군사 디자인 융합기술 등에 적용된 사례개발 또한 급속도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스마트기기의 형태가 ‘소지’에서 ‘착용’형태로 확정되어가는 시점에서 등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기는 관련 산업분야별 신시장 창출과 미래 신성장 동력엔진의 먹거리, 차세대 일자리 창출의 필요성으로 당면하고 있는 국가적 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훌륭한 대안으로 인정받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신시장 창출을 위한 차세대사용자의 의식을 조사, 분석하여 향후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R&D기술과 디자인 융합연구 개발의 방향성 탐색의 단초 및 그 흐름을 제시하는데 그 배경과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 및 범위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관련 연구동향과 기대효과를 파악하고 예측하기 위하여 관련 선행연구 및 이론적 고찰을 행한다. 둘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미래의 주사용자 즉, 차세대 집단의 의식조사 분석을 통한 태도연구를 실시하여 미래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시장에 대한 선도적 개발 방향과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향후의 실증적 자료로 활용한다.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차세대 의식조사 연구는 SAS 9.3 Chi-square & Fisher``s Exact test 설문응답의 기술통계로서, 신뢰성과 타당성을 갖는 설문조사를 위해서 조사계획, 설문지, 표본추출, 본 조사, 자료입력, 자료 분석 등의전 과정에서 가장 적절한 통계적 방법인 크론바흐 기법 을 이용한 신뢰도의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셋째, 설문대상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차세대 주 사용자인 수도권 20대 대학생 80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면접 형태로 조사되었으며 설문항목은 정보 이해도, 관심도, 흥미욕구 정도, 구매욕구 정도, 구매용도, 구매요인, 구매부위, 비구매 요인, 구매 시 보완요인, 보완요인 해결 시 최종 구매의사 등이다. 연구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 이해도, 관심도, 흥미욕구 정도, 구매욕구 정도, 구매용도, 구매요인, 구매부위, 비구매 요인, 구매 시 보완요인, 보완요인 해결 시 최종 구매의사 등 문항에서는 남녀구분 없이 긍정적인 응답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각 문항 간 신뢰도 또한 높게 나타났다. 문항 간 상관관계 또한 독립적이지 않고 연관이 있음이 입증되었으며 또 주사용자인 차세대 집단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비구매시 가장 중요한요인은 가격과 디자인, 인터페이스, 기능 등 특히, 가격으로 확인되어 이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In the 2000s, flexible display is considered to expand in various areas of society, including medical service, health, and infotainment.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apply rapidly flexible display to digital device design convergence technology, infotainment and game design convergence technology, and industrial and military design convergence technology. In particular, flexible display devices appearing at the time when smart devices type changed from ``belonging`` to ``wearing`` are accepted to be the best alternative to solve national impending issues, such as the creation of a new market in each industrial area, the drive engine for the future new growth, and the creation of the next-generation jobs. From the perspective, the pur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and analyze the next-generation users`` perception in order to create the new market of flexible display, and to lay the foundation for finding the direction of the future flexible display R&D technology and design convergence R&D. The study method and scope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related work and theoretical research are performed to find the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trend of flexible display and to predict the expected effects. Secondly, by analyzing the perception of the next-generation users of flexible display devices and their attitudes, this study provides an empirical material necessary for setting the direction for the leading development of futuristic flexible display devices and establishing a system. More specifically, the survey on the next-generation users` perception of wearable devices is descriptive statistics of SAS 9.3 Chi-square & Fisher``s Exact Test Questionnaire. For reliable and valid questionnaire survey, Cronbach`s technique which is the most proper statistical method for all processes, including survey plan, questionnaire, sampling, main survey, data input, and data analysis, was applied. Based on tha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analyzed. Thirdly, the study subjects participating in the questionnaire survey were 80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20s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s, who are the main next-generation users of flexible display devices. They had person-to-person in-depth interview. The questionnaire items include information understanding, interest, a degree of interest desire, a degree of purchase desire, purchase purpose, purchase factor, purchase region, non-purchase factor, something to improve in non-purchase case, and purchase intention when improved. The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s: In the questions about information understanding, interest, a degree of interest desire, a degree of purchase desire, purchase purpose, purchase factor, purchase region, non-purchase factor, something to improve in non-purchase case, and purchase intention when improved, they answered positively regardless of gender, and their answe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liability of each question was high. The correlation between questions was not independent, but was found. The most important factors of non-purchase of the next-generation users were found to be price, design, and interfa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m.

      • KCI등재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사업 경제적 타당성 분석: 비용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정재호 ( Jung Jae Ho ),정영선 ( Jung Young Sun )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21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5 No.1

        북극은 지구 기후시스템을 모두 갖춘 기후변화 연구의 중심지이자, 미래자원의 보고 및 경제발전의 통로로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동시에 북극의 연구수요도 급증하고 있음에 따라 차세대 쇄빙연구선의 건조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차세대 쇄빙연구선의 건조에 대한 경제적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경제성 분석은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와 투자 적합성을 분석하는 핵심적 조사과정으로 비용-편익분석(Cost-Benefit Analysis)을 기본적인 방법론으로 채택하여 분석한다. 하지만 순수 R&D 사업과 기타 재정사업 등 비용-편익 분석이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사업의 경우, 비용-효과분석(Cost-Effectiveness Analysis)을 수행한다. 비용효과분석은 ‘고정효과접근법(Fixed effectiveness approach)’과 ‘고정비용접근법(Fixed budget approach)’으로 구분되며 동 연구에서는 동일 효과 대비 비용을 비교하는 고정효과접근법을 활용하였다. 경제성 분석을 위해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원안)’를 기준으로 3가지의 대안(대안 1. 쇄빙연구선 임차 / 대안 2. 외국 내빙연구선 및 쇄빙선 임차 / 대안 3. 쇄빙 화물선 건조, 아라온 개조 및 외국 쇄빙연구선 임차)을 설정하였다. 또한 원안 기준 대안의 효과를 동일하게 보정하기 위해 ‘연구 항해일 수 확대’와 ‘운항예비일 확보’를 활용하였다. 경제성 분석 결과, 총비용(현가)은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원안)가 3가지 대안 대비 약 111.7 ~ 2,699.5억 원 낮게 투입되어 경제적으로 타당성이 입증 되었다. 또한 동 연구는 대안의 실현 가능성과 운영상의 효율성을 고려할 때,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가 가장 합리적인 방안임을 주장한다. 본 연구는 현재 기획 중인 사업에 대한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시의적절한 연구이자, 비용-편익분석을 대체하여 비용-효과분석을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으로 기여한다. 다만 아직 추진이 확정되지 않은 사업임에 따라 일부 자료 및 분석과정을 비공개로 진행하였다. 차세대 쇄빙연구선의 건조 여부가 확정되지 않았지만, 경제성 측면에서의 타당성은 입증된 만큼 연구수요 등의 기술 및 정책적 타당성이 입증되어 사업 추진이 조속히 이루어 짐에 따라 극지해역 과학플랫폼 확보, 과학외교 기반 국가 위상 제고, 북극항로 개척 및 안전운항, 미래 에너지자원 정보획득의 효과를 창출하기를 기대한다. North Pole increases importance because of centr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that gear up climate system of earth, future resource and way of economic growth. Because North Pole increases importance, Research demand of North Pole is more increase and necessity of Next-generation IBRV(Ice Breaker Research Vessel) building is to come near. This study to identify economic cogency for Next-generation IBRV building through research demand of North Pole and takes best alternative through economic analysis to comparing Next-generation IBRV building block and others. Economic analysis of national R&D business is a core investigation process for economic ripple effect and investment satisfaction and Cost-Benefit Analysis is a standard process, but Cost-Effectiveness Analysis is suitable for pure R&D business and others. The analysis method is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such as Fixed effectiveness approach and Fixed budget approach, the latter approach is used in this study. For economic analysis, three alternative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construction of Next-generation IBRV" (Alternative 1. Leasing of foreign IBRV / Alternative 2. Leasing of foreign icebreakers and RV / Alternative 3. Leasing of icebreakers, Araon modification and foreign IBRV). In addition, ‘expanding the number of days of research navigation’ and ‘securing the days of operation’ were utilized to equally correct the effectiveness of the original reference alternative. Resulting analysis of total cost to fixed effect model of cost effect analysis is that alternative1 low 11~27 billion won comparing other alternatives. In addition, considering the feasibility of alternatives and operational efficiency, it is suggested that the construction of Next-generation IBRV is the most reasonable measure. This study is timely in that it analyzes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project currently being pursued, and theoretically contributes to the use of cost-effectiveness analysis as an alternative to cost-benefit analysis. However, since the project has not yet been finalized, some data and analysis processes have been carried out behind closed doors. Although the construction of the Next-generation IBRV has yet to be confirmed, it is hoped that the feasibility of research demand and other projects will be proved as soon as possible as the feasibility of the Next-generation IBRV has been proven. And it will create the effects such as securing a science platform in the polar sea, enhancing the national status based on science and diplomacy, pioneering and safe operation of the Arctic route, and obtaining information on future energy resour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