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문화 역량으로서 미디어 리터러시 개발

        김효숙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3 기독교교육논총 Vol.36 No.-

        The Internet and digital media have brought efficiency and culturalabundance to human lives, but there are growing concerns about theirnegative influences as well. In this situation, if Christian education doesnot provide proper intervention to those who are “mediated by media,”it will count as an irresponsibility on the part of Christian education inthe face of the larger culture and threatening factors within it. Therefore,in this study, media education based on empowerment perspectives isconsidered as a proactive alternative to cope with the negative effects oftechnopoly. In addition, the media literacy resulting from media educationis reconceptualized as “digital cultural competence” and quantitativelyanalyzed. The objectives of media education are to maintain critical reflection onthe ecological changes that media may cause in an interactiveparticipatory learning environment (i.e., in the case of Facebook), and todevelop the cultural competence (e.g., critical interpretation, creativeconstruction, reciprocal negotiation, co-evolutionary collaboration, socialnetwork awareness, technical network awareness) to independently enjoymedia culture at the present time. The participants were students(n=61) in an “Educational Technology” class at Seminary P in semestertwo of the 2012 school year; their media education was tested with acomparison of pre-and post-results for media literacy and discussion efficacy and for the effects of classes using Facebook.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average of the five factors, as well asthe discussion efficacy, increased significantly. Further, classes usingFacebook were shown to be influential not as a result of any effects ofthe functions of Facebook but instead due to the intervention contentand methods implemented by the instructor. In a situation where thereis not yet an adequate consensus on the learning process, the functionsof Facebook actually resulted in learning demotivation. These results canhardly be generalized or understood as indicating some cause-and-effectrelationship because of the research design and measurement tool used. However, the meaningful redefinition of media literacy suggested by thestudy according to recent developments in media and the practicalexamples of media education provided can remind us of the fact thatrecognition of cultural changes is a duty of Christian education. 인터넷과 디지털 미디어는 인류의 삶을 효율적이고 풍요롭게 만들어 주었으나,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우려 또한 증폭시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독교교육이 미디어에 매개된 사람들을 위해 적절한 교육적 개입을 하지 않는 것은 문화에 대한 책임 방기요 위협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권한위임 관점에 기초한 미디어교육을 기술지배문화의 폐해를 극복할 수 있는 적극적 대안으로 기술하였다. 또한 미디어교육의 결과인 미디어 리티러시를 디지털 문화 역량으로 재개념화 한 후 계량화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미디어교육의 목표는 페이스북이라는 상호참여적 학습 환경에서 미디어에 의한 생태학적 변화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며, 미디어 문화를 주체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문화 역량(비판적 해석력, 창조적 구성력, 호혜적 교섭력, 공진화적 협력, 사회적 네트워크 인식력, 기술적 네트워크 인식력)을 개발하는 것이다. 대상은 P신학대학교의 2012년 2학기 <교육공학>을 수강하는 학생들(61명)이며, 미디어교육의 효과는 미디어 리터러시와 토론 효능감의사전-사후 결과 비교, 페이스북을 활용한 수업의 효과로 검증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미디어 리터러시를 구성하는 5개 요인의 평균이 매우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토론 효능감의 평균도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페이스북을 활용한 수업의 효과는 페이스북의 기능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교수자의 개입 내용 및 방식에따라 효과적일 수 있으며, 참여하는 과정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오히려 페이스북의 기능이 학습동기를 저하시킨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설계 및 측정도구의 한계로 인과적으로 해석하거나 일반화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미디어의 발달에 따라 미디어 리터러시를 재정의하고 미디어교육의 실천적 사례를 제시하므로,문화의 변화에 대한 인식이 기독교교육의 사명임을 환기시킨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정서불안정 모의 부적절 양육태도 개선과 아동불안 감소를 위한 모녀미술치료 효과

        김효숙,최외선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07 예술심리치료연구 Vol.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모녀미술치료가 모의 양육태도 변화와 아동의 불안 감소에 미치는 영향과 미술치료과정에 따른 모녀관계의 변화에 대해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초등학교 5학년인 샛별이(가명)와 모를 대상으로 2006년 4월13일부터 7월21일까지 주1회-2회 4시간 총23회기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아동에게는 학교생활화, 동그라미 중심 가족화(PSCD), 불안검사를 사전․사후․추후에 실시하여 가족에 대한 지각과 불안수준의 변화 상태를 분석하였으며, 모에게는 양육태도 검사, 동적 가족화를 사전․사후․추후에 실시하여 모의 양육태도와 심리상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녀미술치료가 모의 양육태도 변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녀미술치료는 아동의 불안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녀미술치료는 모녀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모의 양육태도 변화와 아동의 불안감소를 위한 모녀 미술치료 는 모의 양육행동개선에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으며, 불안아동의 심리치료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f and how an art therapy program for the dyad of mother and daughter can be helpful to change the mother's attitude of raising the child, so as to reduce the daughter's anxiety caused by the mother. Study subjects are Setbyulyee (a fictitious name), an elementary school child in the fifth grade, and her mother, both of whom received total 23 sessions of art therapy from April 13 to July 21, 2006, with one session-two session a week and each meeting lasting 4 hours. Research tools used for the child are PSCD, and pre-, post- and following-tests for Anxiety scale in order to analyze the child's perceptions as to her school life and family as well as changes of the child's anxiety level; on the other hand, the mother was given a scale of parenting attitude together with pre-, post- and following-tests for KFD to check the mother's attitude and psychological condition regarding the child's educa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and discussion of it are as follows. First, art therapy for mother-daughter dyad proves to be effective for parenting attitude changes, in the sense that the therapy has improved the mother's level of kind-feeling and acceptance on her parenting attitude while it has reduced her attitude or behavior of disapproval and punishment. This indicates that the mother realized during the art therapy her parenting attitude ineffective, and changed her attitude to become more lenient and acceptive. Second, the mother-daughter dyadic art therapy helps to reduce the child's anxiety to the extent that during the therapy the child could hold of her anxiety and become relaxed and stable to express her repressed feelings, which itself reduces the level of the child anxiety. Third, art therapy of mother-daughter dyad gives the dyad a change in their relationship in a way that the mother found her parenting attitude not working, then changed and improved on it; and in the meantime, the daughter reciprocated the mother's change with her own positive behavioral changes to end up with recovery of their good mother-daughter relationship. Accordingly, this study would claim that an art therapy program for mother-daughter dyad can be very effective to improve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and as a consequence to alleviate the child's anxiety, and might be useful for psychotherapy on children with anxiety.

      • KCI등재

        일본고전문학에 나타난 발해(渤海)의 형상 - 일본문헌에 남겨진 발해인의 한시(漢詩)와 모노가타리(物語)를 중심으로 -

        김효숙 동아시아고대학회 2014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4

        한반도 북부과 만주에서 약 200여 년에 걸쳐 큰 위력을 떨쳤던 고대국가 발해(渤海)는 현재 그 정체성 을 놓고 한국과 중국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데 이 발해가 일본과 활발한 교류를 하 며 발해에서 일본으로는 34회, 일본에서 발해로는 16회에 걸쳐 사신단을 파견하였고, 그 흔적이 현재 일본의 역사서와 한시문집 그리고 일본장편소설에 남아 있다는 것에 대해서는 아직 많은 연구가 진행 되지는 않았다. 일본의 한시문집에는 발해에서 일본으로 파견된 사신들이 지은 한시들이 다수 남아 있다. 그리고 그들 의 한시는 당시 그들을 맞이한 일본의 문인으로부터 아낌없는 찬사를 받았다. 특히 발해인들을 맞이한 일본문인은 발해인들이 아름다운 한시를 끊임없이 전해준다고 한시에 써서 남겼는데, 이는 발해와 일 본의 교류가 일본문학에 미친 영향력을 그대로 언급한 것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매우 높다. 또한 일본 장편소설에는 발해인이 많이 등장한다. 그들은 주인공의 이름을 짓고 주인공의 미래를 예언 하며 그리고 주인공과 한시를 주고받음으로써 주인공이 얼마나 탁월한 인물임을 입증하는 역할을 한 다. 이는 발해인들이 일본에 뛰어난 한시를 남기고 간 역사적 사실을 배경으로 한 것인데, 발해인들의 방문이 그들을 직접 맞이한 문인들 뿐만이 아니라 후세에까지 얼마나 큰 지적 자극제였는지를 가늠할 수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Bohai is an ancient country which had dominant forces in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Manchuria region for about 200 years. From the perspective of Bohai history, regarding Bohai as a part of Korean history or Chinese history is the biggest issue. However, it is not widely known that Bohai and Japan had envoys sent to each other. Bohai sent envoys to Japan 34 times and Japan to Bohai 16 times. Also envoys of Bohai had written many Han poems in Japan. Those poems currently remain Japanese historical books and the collection of Han poems and these facts not widely known either.And in Japanese ancient novels, there are many characters from Bohai. In those novels, Bohai people exchange Han poems with protagonists or give names to them. This means that Bohai people are described as figures with authorities. This paper is going to analyse actual Han poems written by Bohai people and how those poems are regarded by Japanese. Also this paper is going to discuss how Bohai people were described in the ancient novels. Furthermore, by evaluating the above mentioned topics, this paper is going to find out what Bohai meant to Japanese and how Bohai had influenced Japanese literature.

      • KCI등재

        국어 낭독체 발화의 운율경계 예측

        김효숙,김정원,김선주,김선철,김삼진,권철홍,Kim Hyo Sook,Kim Chung Won,Kim Sun Ju,Kim Seoncheol,Kim Sam Jin,Kwon Chul Hong 대한음성학회 2002 말소리 Vol.43 No.-

        This study aims to model Korean prosodic phrasing using CART(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 method. Our data are limited to Korean read speech. We used 400 sentences made up of editorials, essays, novels and news scripts. Professional radio actress read 400sentences for about two hours. We used K-ToBI transcription system. For technical reason, original break indices 1,2 are merged into AP. Differ from original K-ToBI, we have three break index Zero, AP and IP. Linguistic information selected for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number of syllables in ‘Eojeol’, the location of ‘Eojeol’ in sentence and part-of-speech(POS) of adjacent ‘Eojeol’s. We trained CART tree using above information as variables. Average accuracy of predicting NonIP(Zero and AP) and IP was 90.4% in training data and 88.5% in test data. Average prediction accuracy of Zero and AP was 79.7% in training data and 78.7% in test data.

      • KCI등재

        다음세대와의 상호적 소통을 위한 교사 역량의 중요도-실행도 분석

        김효숙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6 기독교교육논총 Vol.46 No.-

        As well as so-called “Canaan Saints” phenomenon, church attrition of the young generation and one-sided communication issue have been deepening the sense of urgency about the faith education of the next generation. The next generation in the church is another generation grew up in a different culture. The Church, however, recognizes it to be so, only to remain passive in interactions to coordinate and embrace the difference. If churches stay there and only recognize that the next generation is different generation, it will solidify the exclusion in churches and gradually weaken the dynamics of Sunday Schools. This study seeks, therefore, to digging the teacher competencies required for mutual communication with the next generation. Interculturalism is a useful theoretical rationale to recognize the cultural uniqueness of the next generation who grew up in a different culture, and aim at educational communication. Based on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on Christian Interculturalism, church schools are redefined as “interrelational faith community” as well as “interactive learning community” and “intersubjective dialogue community” where generations from various cultural identities mature together. The competencies that are necessary for teachers to lead the new communities are presented as faith insight competencies to start from the relationship with God and expand to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7 competencies), learning design competencies to facilitate interactions (7 competencies) and communicative competencies to collaborate as equal individuals trying to recognize the differences and solve the conflicts (7 competencies). Based on these, teachers from 14 churches (N=928) were surveyed for their competencies and, through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matrix, competencies are suggested that are needed to be concentrated. Besides,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of the teachers' competency performance,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it is revealed that service practice is "reciprocal actions" rather than "providing actions." Lastly, churches are suggested to give strong support to the formal and/or informal department level activities that are the main source of competency development. 소위 ‘가나안 성도’ 현상을 비롯한 세대 이탈과 일방적 소통의 문제는 다음세대 신앙교육에 대한 위기의식을 심화시키고 있다. 교회 안의 다음세대는 다른 문화 속에서 자란 다른 세대다. 그러나 교회의 현실은 다음세대가 다른 문화 속에서 자라온 세대라는 것을 인식만 할 뿐, 차이를 조율하고 포용하기 위한 상호작용에는 소극적인 편이다. 다음세대는 다른 세대라는 ‘차이의 인정’에 머물 경우, 교회 내의 배제는 고착화되고, 교회학교의 역동성은 점점 약화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다음세대와의 상호적 소통에 필요한 교사 역량에 천착하고자 한다. 상호문화주의는 다른 문화 속에서 자란 다음세대의 문화적 고유성을 인정하고, 교육 주체 간의 상호적 소통을 지향하는데 유용한 논거가 된다. 따라서 기독교적 상호문화주의에 대한 학제적 탐색을 토대로 교회학교는 서로 다른 문화적 정체성을 가진 세대들이 함께 성숙해가는 ‘상호관계적 신앙공동체’요 ‘상호작용적 학습공동체’이자 ‘상호주관적 대화공동체’로 재정의하였다. 새로운 공동체를 이끌어 갈 교사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은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출발하여 타인과의 관계로 확장해가야 할 신앙에 대한 성찰력(7개 역량)과 완결된 내용의 전달이 아닌 상호작용을 촉발시키는 학습설계력(7개 역량), 차이를 인정하고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동등한 지위를 가진 채 협력할 줄 아는 의사소통력(7개 역량)으로 재개념화하였다. 이를 토대로 14개 교회에 속한 교사들(N=928명)을 대상으로 역량을 조사한 후 중요도-실행도 분석(IPA) 매트릭스를 통해 교사들이 집중 개발해야 할 역량이 무엇인지를 제시하였다. 또한 교사들의 역량 실행도와 봉사 만족도 및 참여도 간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봉사가 ‘시혜적 행위’라기보다는 ‘호혜적 행위’임을 입증하였다. 마지막으로 교회는 역량 개발의 주요 원천이 되고 있는 부서 단위의 형식적, 비형식적 모임을 적극적으로 후원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Design of a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Media Ecology

        김효숙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1 장신논단 Vol.0 No.42

        The history of mankind has coevolved with communication media and technologies. The influence of the communication revolution on education is manifested in paradigms of Education 1.0 to Education 2.0 and, ignited by the smart revolution, to Education 3.0. In Christian education, communication media has been reflected microscopically and macroscopically. However, there have not been too many studies that have investigated the digital environment as a systemic learning environment. From this resp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ommunication media as an environment and then to demonstrate how to design a learning environment for enhancing its ecological effectiveness in the digital era. The literature review on media ecology led us to understand the media as an environment. Ellul’s theological perspectives in media ecology provided basis to extract design principles of a learning environment. An alternative model can be designed according to the 6Is and can be characterized as a complex learning ecosystem. The delimitation and limitation of the study are mainly focus on the learning environment in higher education. Nevertheless, this study provides meaningful clues to design an integrated and communicative Christian education through the interdisciplinary study in the digital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