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계성서공회연합회 그리스어』 신약전서 5판의 본문 변화들에 대한 연구

        장동수(Dong-Soo Chang) 대한성서공회 2016 성경원문연구 Vol.- No.3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extual changes in the Catholic Letters of the United Bible Societies’ The Greek New Testament, 5<SUP>th</SUP> Edition (UBS 5<SUP>th</SUP>). There are 33 readings in the text of the UBS 5<SUP>th</SUP> edition as well as the Nestle-Aland 28<SUP>th</SUP> (NA 28<SUP>th</SUP>) edition which differ (sometimes significantly) from those of the UBS 4th/NA 27<SUP>th</SUP> editions of 1993. This is because the Editio Critica Maior (ECM) representing a new level of scientific research (CBGM, Coherence-Based Genealogical Method) on the text and offering a text newly established on this basis is already available, and the text of the Catholic Letters was taken from the ECM, and apparatus was reconstructed on the basis of this text. But we are not in a position to completely understand why particular readings have been chosen without additional material supporting the textual decisions made in the ECM (and especially a textual commentary). Sometimes this can be discerned by new evidence or other discussions; some general tendencies can be discerned b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CM and the NA 27<SUP>th</SUP>/ 26<SUP>th</SUP> editions or the UBS 4<SUP>th</SUP>/3<SUP>rd</SUP> editions. In this regard, this paper provides a short introduction to the CBGM, a critical overview of those 33 textual changes, and some detailed analysis on several passages that merit closer attention. An analysis of some of these variants is done in order to see how and why several new readings have been adopted in this new edition. This paper provides three results from the analysis, and critical evaluation on them. First, it is not easy to discern any general tendency among these variants because sometimes the new readings follow early witnesses like Sinaiticus or only Vaticanus (Jud 5) or even only early versions (without any Greek manuscripts) in 2 Peter 3:10 while at other points, they follow the later Majority (Byzantine from this edition) text or even only some later Minuscules like P (025) in 1 Peter 4:16. Second, new readings of the UBS 5<SUP>th</SUP> edition at several passages like 1 Peter 4:16; 2 Peter 2:18; 1 John 5:10 and 5:18 can surely be better, and in some cases like James 2:3; 1 Peter 1:6; and 2 Peter 2:6, old readings of the UBS 4th edition may be better. This not only signifies both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CBGM but also reflects the result which is not from the editors’ reasoned eclecticism but from the application of the CBGM. Third, since the CBGM emboldens editors of the ECM to go against the bulk of the manuscript evidence at significant moments, textual choices of the ECM/UBS 5<SUP>th</SUP> edition can only be understood in light of the CBGM. Therefore, detailed textual commentary on textual decisions as well as further intensive studies on the relevance of this method should follow.

      • KCI등재후보

        근대 척독집 연구 : 김우균의 『척독완편(尺牘完編)』을 중심으로

        홍인숙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0 한국문화연구 Vol.19 No.-

        본 연구는 한문 편지쓰기의 교본인 척독집이 근대시기에 대량 출판, 유통된 상황에 주목하고 이 자료군의 성격을 해명하고자 하는 시론적 성격으로 쓰였다. 이를 위해 근대 척독집의 자료군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가장 자주 언급되는 대표적인 근대 척독집인 『척독완편』을 중심으로 지은이와 서지사항, 책의 체제와 특징을 밝히고자 했다. 근대 척독집은 1900년대에 출판되기 시작하여 1920~30년대까지 활발하게 소비되었다. 그중 김우균(金雨均)의 『척독완편(尺牘完編)』은 190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신문 광고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고 판본의 다양성 면이나 현존하는 책수 면에서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하는 책이다. 이 책은 1899년 출판된 이후 1905년, 1908년, 1912년, 1920년 등 여러 해에 걸쳐 새롭게 편찬되었으며, 『척독완편(尺牘完編)』, 『신찬척독완편(新撰尺牘完編)』, 『증보척독완편(增補尺牘完編)』, 『증보자전척독완편(增補字典尺牘完編)』의 네 가지 판본이 존재한다. 『척독완편』의 서지적 사항에 대해서는 최초의 『척독완편』이 출간된 것은 1899년경이지만 이 판본은 전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밝혔다. 또한 현재 남아있는 『척독완편』은 서발문, 권책수, 목차, 부록 등을 고려할 때, 『척독완편』 계열, 『신찬』 계열, 『증보자전』계열의 세 개로 나눌 수 있다고 정리하였다. 『척독완편』의 체제상 특징으로는 ‘주제별분류’를 중시하였으며, 후기 판본으로 갈수록 보수적 성격이 강화되는 특징을 드러낸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척독완편』의 의의는 첫째, 조선후기 간찰교본과의 연관성을 직접 드러내고 있다는 점, 둘째, 여러 번의 개수를 통해 한문 글쓰기의 대중화에 기여하고자 했다는 점, 셋째, 이후 근대 척독집 유행을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고 보았다. This thesis intends to explain the popularity of textbooks for writing Chinese letters in the modern period. The books aim is to help people write Chinese letters. The study starts to explain why they were published and consumed on a massive scale in this period. In order to explain the textbooks’ popularity, the study introduces their reference materials and reveals their authors, bibliographies, and unique characteristics. The textbooks for writing Chinese letters were first published in the 1900s and then vigorously consumed into the 1930s. ‘Chukdokwanpyun(尺牘完編)’, written by Kim, Woo Kyun(金雨均), was one of the textbooks found most in newspaper advertisements. It holds a dominant position among other textbooks due to its diversity and number of editions that have been handed down to the present. Since its first publication, ‘Chukdokwanpyun’ was revised several times in 1905, 1908, 1912, and 1920. Its four editions are ‘Chukdokwanpyun’, ‘Chukdokwanpyun of New Edition(新撰尺牘完編)’, ‘Chukdokwanpyun of New Edition Enlarged(增補尺牘完編)’, ‘Chukdokwanpyun of New Edition Enlarged Dictionary(增補字典尺牘完編)’. The first edition of ‘Chukdokwanpyun’ was published around 1899, but has not been found. Other editions handed down to the present a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Chukdokwanpyun of New Edition’, ‘Chukdokwanpyun of New Edition Enlarged’, ‘Chukdokwanpyun of New Edition Enlarged Dictionary’.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Chukdokwanpyun’ are its classification according to subject matter and its tendency toward conservatism, which becomes stronger through the several publications of its new editions. There are three important points to explain the significance of ‘Chukdokwanpyun’. First, it had direct relevance to the textbooks for writing Chinese in the late Chosun Dynasty. Second, it contributed to the popularization of writing in Chinese thorough several revisions and supplementations. Lastly, since its first publication, it became a catalyst for the huge popularity of textbooks for writing Chinese letters.

      • KCI등재

        ≪신편교정서상기(新編校正西廂記)≫의 판화적 특징(特徵)과 도문관계 재분석

        崔善喜 ( Choi Sunhee ) 중국어문연구회 2022 中國語文論叢 Vol.- No.108

        The New Revised Edition of Xixiangji (新編校正西廂記), the illustrated edition of the first book was discovered in four fragmented pages (殘葉), which made it difficult to determine the exact content and publication information. Regarding the time of publication, scholars agreed that it was during the years of Chenghua (1457-1464) when Shuochang Cihuaben (說唱詞話集) was published and earlier than the Hongzhiben (弘治本). However, scholars’ opinions were divided several opinions on the publication venue. Examination of both the textual and the illustration areas revealed that The New Revised Edition of Xixiangji is the one with the most original form close to editions published during the Yuan period among all the existing editions. In terms of the style of the illustrations, it preserves the style of Yuan-era engravings, which makes the edition one of the most precious copies closest to the original form of Xixiangji. Regarding the time and venue of publication, the style of the illustrations in The New Revised Edition of Xixiangji is diachronically linked with Quanxiang Pinghua Wuzhong (全相平話五種) Jianan print (建安版画) of the Yuan Dynasty, Shuochang Cihuaben in the early Ming Dynasty, and the Jianan edition (建安本) of Xixiangji of the mid-Ming period. Thus, it cannot be ruled out that it may have been published in Jianan Yeongsun publisher. The text-image relations of The New Revised Edition of Xixiangji are ‘parallel’ placement relationship and ‘imitation and response’ content relationship.

      • KCI등재

        『행복에의 흰손들』의 판본 분화 양상과 의미

        김영애(Kim Young-ae) 국어문학회 2016 국어문학 Vol.62 No.-

        본고는 이태준 『행복에의 흰손들』의 판본 분화 양상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43년 남창서관에서 출간된 단행본은 『세동무』이다. ‘삼인우달’이라는 표제의 작품은 존재하지 않는다. 둘째, 표제 ‘세동무’로 출간된 판본은 두 편이다. 하나는 1943년 남창서관본이고 다른 하나는 1946년 범문사본이다. 셋째, 1949년 광문서림본 외에 같은 해 평범사에서 ‘신혼일기’를 표제로 한 판본이 존재한다. 넷째, 평범사본을 제외한 나머지 세 판본은 모두 같은 판형이다. 1988년 서음출판사에서 나온 『이태준문학전집』 11권 수록 『행복에의 흰손들』은 『조광』 연재본을 저본으로 했다. 같은 해 깊은샘에서 나온 『이태준전집』 4권 수록 『신혼일기』의 저본은 1949년 광문서림본 『신혼일기』이다. 태학사 『한국단편소설대계』 25권 수록 『행복에의 흰손들』(1988.11.20)은 『조광』 원문 영인본이며, 같은 곳에서 나온 『한국장편소설대계』 19권 수록 『신혼일기-일명 세동무』(1988.11.20.)는 1949 광문서림본을 저본으로 삼았다. 본고는 1943년 남창서관본의 실체를 확인하고, 그 표제가 ‘삼인우달’이라 본 기존 논의나 연보가 틀렸음을 밝혔다. 또한 이후에 출간된 단행본들이 이 판본을 저본으로 삼았음을 밝혔다. 1946년 범문사본 『세동무』와 1949년 광문서림본 『신혼일기-일명 세동무』는 모두 1943년 남창서관본을 토대로 만들어졌다. 그리고 남창서관본에서 저자 표기가 등장하지 않은 점을 확인하고 이 단행본의 정체를 해적판으로 규정했다. 1949년 평범사본 『신혼일기』는 같은 해 출간된 광문서림본 『신혼일기-일명 세동무』를 도용한 판본이라 판단했다. 1988년 『행복에의 흰손들』은 네 차례 전집과 영인본에 수록되었다. 이중 서음출판사본은 최초 연재본을 일부 고쳐 수록했다는 점에서 원본에 가깝고, 깊은샘본은 최종 개작본을 수록했다는 점에서 가장 완성된 텍스트에 가깝다. 또 태학사에서 나온 두 영인본의 경우 동일 작품이 다른 표제로 영인된 것은, 『조광』 연재본과 1949년 광문서림본이 각각 다른 작품으로 오인된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저작권 문제와 판본 분화 사이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조광』 연재 이후 출간된 단행본 가운데 1943년 남창서관본은 유일하게 저자의 이름 대신 출판사 사주의 이름을 저작자로 표기했다. 최초 단행본인 1943년 남창서관본이 출간된 이래 그 후속 간행물들은 모두 이 판본을 저본으로 삼았다. 남창서관으로 양도된 판권은 이후 범문사, 광문서림 등으로 이전되었을 것이다. 저자가 아니라 출판업자 간에 이루어진 저작권 양도를 통해 『행복에의 흰손들』은 수차례 새로운 판본으로 재탄생했다. This study has a purpose, which is to analyze aspects on the different versions of “The white hands for happiness” by Lee Tae-jun. “The white hands for happiness” had been published serially in the magazine Jogwang from 1942-1943. Following its initial publication, this work was retitled as “The three friends” and published in 1943 by the publisher of Namchang. This edition was the first separate volume of “The white hands for happiness”. Until now, many researchers have pointed out on the first separate volume of “The white hands for happiness” as “The Saminwoodal(三人友達)”. But there is no work with that title. There is no name of writer Lee Tae-jun in the edition of Namchang, so this may possibly be a pirate edition. In 1946, “The three friends” was republished at the publisher of Bummun with two volumes. This version inherited the edition of Namchang, but these two editions were comprised of different details. In 1949, “The white hands for happiness” was republished again by two different publishers. One is titled “The diary of new marriage” and was published by a publisher of Gwangmun. This edition appeared identical to the edition of Bummun, but it was published as a separate volume. As the edition of Bummun was originated from Namchang, the editions from Gwangmun and Namchang appear the same. Actually, the editions of Namchang and Gwangmun have identical forms. The other is titled by “The diary of new marriage” and published by the publisher of Pyeugbum. This edition is different from the Gwangmun in detail, but the title is the same. Possibly the edition of Pyeugbum is a pirate edition of the Gwangmun version. Last, there are some errors in the two complete works of Lee Tae-jun. Also two photographic editions mistook the edition of Jogwang for the Gwangmun and misconceived two editions as the same. They did not know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these editions. They must be corrected and supplemented certainly for further research on Lee Tae-jun and his literature to be more accurate in its accounts.

      • KCI등재

        Die 28. Auflage des Nestle-Aland: Eine Einführung (Stuttgart: Deutsche Bibelgesellschaft, 2013) - 트로비쉬(Trobisch)의 네스틀레 알란트 28판 사용 안내서 소개

        민경식(서평자) 대한성서공회 2016 성경원문연구 Vol.- No.38

        This paper reviews David Trobisch’s book entitled Die 28. Auflage des Nestle-Aland: Eine Einführung (Stuttgart: Deutsche Bibelgesellschaft, 2013). This volume is also published in English under the title A User’s Guied to the Nestle-Aland 28 Greek New Testament (Atlanta: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2013) in the same year. This book is structured in three parts according to the level of knowledge. The first part is for beginners who have never been familiar with previous editions of Nestle-Aland Greek New Testament. This book will guide them to the world of Nestle-Aland Greek New Testament and give them some critical ideas about issues in New Testament textual criticism. The second part is for (graduate) students who have some knowledge and special interest in biblical literature. Through exercises, it helps readers check their knowledge, and leads them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28th edition of Nestle-Aland Greek New Testament. Finally, it helps them to apply the information of the edition to biblical studies. The third part is for experts in the academic field, namely biblical teachers, professors, and preachers. It gives not only an overview of changes in the 28th edition of Nestle-Aland Greek New Testament but also an overview of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is edition. Readers who have interest in biblical literature and want to read the New Testament in Greek, and who have to interpret the Greek New Testament professionally will find this book useful.

      • KCI등재

        <서평> Die 28. Auflage des Nestle-Aland: Eine Einführung (Stuttgart: Deutsche Bibelgesellschaft, 2013)

        민경식 (재)대한성서공회 성경원문연구소 2016 성경원문연구 Vol.- No.38

        This paper reviews David Trobisch’s book entitled Die 28. Auflage des Nestle-Aland: Eine Einführung (Stuttgart: Deutsche Bibelgesellschaft, 2013). This volume is also published in English under the title A User’s Guied to the Nestle-Aland 28 Greek New Testament (Atlanta: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2013) in the same year. This book is structured in three parts according to the level of knowledge. The first part is for beginners who have never been familiar with previous editions of Nestle-Aland Greek New Testament. This book will guide them to the world of Nestle-Aland Greek New Testament and give them some critical ideas about issues in New Testament textual criticism. The second part is for (graduate) students who have some knowledge and special interest in biblical literature. Through exercises, it helps readers check their knowledge, and leads them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28th edition of Nestle-Aland Greek New Testament. Finally, it helps them to apply the information of the edition to biblical studies. The third part is for experts in the academic field, namely biblical teachers, professors, and preachers. It gives not only an overview of changes in the 28th edition of Nestle-Aland Greek New Testament but also an overview of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is edition. Readers who have interest in biblical literature and want to read the New Testament in Greek, and who have to interpret the Greek New Testament professionally will find this book useful.

      • KCI등재후보

        그림책의 글 서사 완결성에 관한 고찰 - 『백두산 이야기』의 세 판본을 중심으로

        이정호 ( Lee Jeongho ) 단국대학교 한국문화기술연구소 2022 한국문화기술 Vol.33 No.-

        이 연구는 한국의 첫 창작 그림책으로 평가받는 류재수의 『백두산 이야기』가 두 차례 판갈이를 하면서 글 서사가 어떻게 변하는지 설명하고, 그러한 변화의 배경이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글과 그림의 조화로운 결합으로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는 그림책에서 글 서사의 완결성이 제대로 구현되었는지 서술하고자 한다. 『백두산 이야기』의 초판은 1988년 ‘통나무’에서 발행되었다. 그 후 2009년 ‘보림’에서 개정신판이 발행되고, 초판이 발행된 지 30년이 지난 2018년에 30주년 기념 한정판이 발행되었다. 초판, 개정신판, 30주년 기념 한정판을 거치면서 그림 서사는 변화하지 않지만, 글 서사에 큰 변화가 일어난다. 등장인물의 이름과 역할이 바뀌고, 서사의 흐름이 확연하게 달라지며, 노랫말이 삭제되고, 글의 자리가 바뀐다. 또 문장 수정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일반적으로 개정판을 펴낼 때 하는 오탈자 수정을 넘어서 문장을 전면적으로 고친 부분이 적지 않다. 개정이라기보다 개작에 가까운 수정이다. 『백두산 이야기』에서 글 서사만 떼어 내어 하나의 신화로 구성하면, 그림이 없어도 서사 구조가 완성된다. 글을 떼어 내고 그림만 있으면, 등장인물과 사건을 특정할 수 없어 서사 구조를 이해하기 어려워진다. 그런 의미로 개정판을 낼 때 글 서사가 수정된 이유를 밝히는 것이 좋았을 것이다. 그런데 작가 류재수는 단순히 10여 년의 시간 경과에 따른 자연스러운 생각의 변화가 글 수정의 이유라고 밝힌다. 그림책은 글과 그림이라는 두 개의 의사소통 방식으로 조화를 이루어내는 독특한 예술 형식이다.(마리아 니콜라예바 & 캐롤 스콧) 그런데 『백두산 이야기』에 대한 긍정적 평가가 그림에 한정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출간된 지 34년이 지난 지금까지 글 서사의 완결성에 대한 평가와 논의가 없다는 점은 아쉽다. 한국 그림책 역사에서 『백두산 이야기』가 갖는 위상을 고려할 때 『백두산 이야기』 글 서사의 완결성을 분석하는 것은 한국 창작 그림책의 미래를 위한 의미 있는 과정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how the narrative of writing changes while Ryu Jaesoo’s The Story of Baekdu Mountain, which is regarded as Korea’s first creative picture book, is changed twice, and to examine the background of such change. Therefore, I would like to describe whether the completeness of the narrative of writing is properly realized in the picture book that creates a new meaning through harmonious combination of writing and painting. Then, in 2009, a new edition was issued in Borim, and a limited edition of the 30th anniversary was issued in 2018, 30 years after the first edition was issued. Through the first edition, the revised new edition, and the 30th anniversary limited edition, the picture narrative does not change, but a big change occurs in the narrative of the article. The characters’ names and roles change, the narrative flows change, the lyrics are deleted, and the place of the writing changes. In general, there are a few parts that have completely correct the sentence beyond the correction of the misleadings when publishing the revised edition. It is a revision that is more like an amendment than a re-creation. Picture books are unique art forms that harmonize with two communication methods of writing and painting.(Maria Nikolajeva & Carol Scott) But the positive assessment of The Story of Baekdu Mountai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picture. It is regrettable that there is no evaluation and discussion on the completeness of the narrative until 34 years after it was published. Considering the status of The Story of Baekdu Mountain in history of Korean picture books, analyzing the completeness of the narrative of The Story of Baekdu Mountain will be a meaningful process for the future of history of korean creative picture books.

      • KCI등재

        현대 신약 비평본들(NA28, UBS5, SBLGNT, RGNT3, NTOG)에 대한 비교 연구: 야고보서를 중심으로

        김주한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7 성경과신학 Vol.84 No.-

        In the situation that the critical edition of Nestle-Aland has an important position in Korean scholarship of New Testament(NT), this article tries to give some answers to questions that are caused by the emergence of various critical editions of NT. For this I will survey each general information and edition-form, and explain the features and utility of each edition through the comparison of texts of the Letter of James. The outcomes of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in terms of the feature of reconstructed texts, NA28, UBS5 and RGNT3 provide eclectic texts, NTGO a diplomatic one and SBLGNT a quasi-diplomatic one. Thus, for textual study and exegetical work, NA28, UBS5 and RGNT3 are recommended, and NTOG and SBLGNT may be optionally selected. Secondly, in terms of editing method, NA28, UBS5, RGNT3 and NTOG adopted general methods of textual criticism, but SBLGNT reconstructed its text through the comparison of previously published editions of Greek NT. Thus, for the study on original sources of reconstruction, NA28, UBS5, RGNT3 and NTOG are unescapable, but SBLGNT is suitable for the study on critical edition(s). Thirdly, in terms of the text-type(s), NA28, UBS5, SBLGNT and RGNT3 are based on the Alexandrian text-type, but NTOG on the Byzantine one. In addition, UBS5 and RGNT3 depend on NA27/28, but SBLGNT and NTOG are independent from the viewpoint of reciprocal dependence of texts. Thus, for the research of specific text-type, NA27/28 and NTOG are recommendable. Fourthly, in terms of critical apparatus, those of NA28, UBS5 and SBLGNT are more professional, but RGNT3 and NTOG provide simplified ones. Thus, for the serious textual study of Greek New Testament, NA28, UBS5 and SBLGNT are useful. Finally, in terms of the agreements and differences among their texts, the text of the Letter of James of NA28(= UBS5) disagree with SBLGNT in 18 verses, with RGNT3 in 6 ones, but with NTOG in 75 ones, among total 108 verses. Thus, we can know that texts of other editions except NTOG highly agree one another. Considering all above-mentioned the research on New Testament will more effectively proceed. 본 논문은 국내에서 네스틀레-알란트 비평본이 주요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다양한 비평본들의 등장으로 야기될 수 있는 의문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선별된 5개의 비평본들에 대한 개론과 편집 형식 소개와 더불어, 야고보서의 예를 통해 비평본들 상호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서 각 비평본들의 특징들과 그에 따른 유용성을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다음의 결 과를 도출했다: 첫째, 재구성된 본문의 특징과 관련하여, NA28, UBS5, RGNT3 은 절충본문에 속하고, NTOG는 대체적으로 외교본문1을 에 속하며, SBLGNT은 유사 외교본문2으로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사본학적 이해나 주 석학을 위해서는 NA28, UBS5, RGNT3을 선택하되, NTOG와 SBLGNT는 필요 에 따라 사용하면 된다. 둘째, 편집방법과 관련하여, NA28, UBS5, RGNT3, NTOG는 사본들을 분석 및 평가하여 본문을 결정하는 일반적인 원문 복원학 방법을 따라 편집되었다. 그러나 SBLGNT는 비평본들을 대조해서 본문을 결정한 방식으로 편집되었다. 따라서 사본 연구를 위해서는 NA28, UBS5, RGNT3, NTOG를, 비평본 연구를 위해서는 SBLGNT을 사용하면 된다. 셋째, 본문 유 형과 관련하여, NA28, UBS5, SBLGNT, RGNT3는 알렉산드리아계 본문 유형 을, NTOG는 비잔틴계 본문 유형을 따른다. 한편, 상호 의존 관계를 보자면, UBS5와 RGNT3은 NA27/28의 본문에 의지하며, SBLGNT와 NTOG는 독립적이 다. 따라서 특정 본문 유형을 위해서는 NA27/28와 NTOG를 참조하면 된다. 넷 째, 비평 각주와 관련하여, NA28, UBS5, SBLGNT는 비중 있는 비평 각주를 포함하고 있고, RGNT3과 NTOG는 단지 본문과 NA/UBS판과의 차이만을 제 시하는 간단한 비평 각주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문들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 를 위해서는 NA28, UBS5, SBLGNT을 사용하는 것이 유용하다. 마지막으로 본문들의 상호 관계에 있어서, NA28(=UBS5)의 야고보서 총 108구절 중 SBLGNT는 18구절, RGNT3는 6구절이 차이나는 반면, NTOG는 75구절이 차 이가 나는 것을 통해 볼 때, NA28(=UBS5)와 다른 본문 계열을 사용한 NTOG 를제외하고비평본들간의차이가크지않은것으로판단할할수있다. 위 의 사항들을 고려해 각각의 비평본들을 사용한다면 신약 성경 연구를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창작과 편집: 이문구의 편집자 시절을 중심으로

        야나가와 요스케 상허학회 2017 상허학보 Vol.49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role of Editor Lee Mun-gu in the 1970s. Lee Mon-gu was well known as an Author and many preceding studies have focused on only his novels. But according to his biographical sketch, he was also an editor of Literary magazines and Publisher as well as writing novels. At the beginning of his work at Wolgan-Munhak, his role was collecting writer’s manuscripts and working small jobs. But after becoming an Editor, his role changed to finding new writers and deceased writer’s manuscripts. Above all, his work on Han Yong-un’s manuscripts begun a new exploration of his thought and work. In his time at Hanguk-Munhak, he was an editor from the first issue. His function was not only finding disputed issues like a debate about descpriptive methods of literary history but also doing practice through an editing. His work also created a culture across the borders of publishers through his human network. Finally, this paper reaches the conclusion that Lee Mun-gu was active in both Creation and Editing. 이 글은 소설가 이문구의 편집자 시절을 중심으로 그의 편집자로서의 역할을 논의한다. 이문구는 <월간문학>으로부터 시작하여 네 번에 걸쳐 문예지 창간에 참여한 한국문학사상 드문 경력을 가진 문인이다. 그가 편집자를 담당하게 된 이유로 대학 시절의 스승이자 <월간문학>과 <한국문학>의 주간을 맡은 김동리의 존재를 들 수 있다. <월간문학> 시절의 경우 그는 업무직원으로 원고수집과 대외업무를 담당하다가 1970년경 편집자를 맡게 되면서 새로운 문인과 작고 문인의 유고의 ‘발굴’ 작업을 하였다. <한국문학> 시절의 경우 그는 창간 당시부터 편집자를 담당하면서 르포르타주나 문학사 서술에 관한 논쟁, 옥중 문인의 수기 등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편집방향을 택한다. 이문구는 문예지 편집자로서 ‘편집’을 통하여 ‘실천’을 시도한 문인이었다. 이때 중요한 것은 이문구의 편집자로서의 역할이 개별적인 잡지 차원을 넘어 출판사가 모인 청진동을 중심으로 형성된 문화와 관련된 점이다. 이문구는 창작과 편집을 동시에 수행하면서 주변 문인들에 관한 인물평을 남기며 그가 근무하는 사무실은 문인들의 ‘사랑방’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청진동과 이문구를 중심으로 인적 네트워크가 형성되었음을 의미하며 그것이 <창작과비평>과 <문학과지성>의 대립구조만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특색을 지닌다. 이문구의 편집자로서의 위상은 원고 수준을 높이는 개발 편집자가 아니라 기획을 원고로 발전시키는 기획 편집자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문구의 역할은 개별 출판사의 차원에 멈추지 않았으며 그를 중심으로 구성된 인적 네트워크는 ‘청진동 시대’로 불리는 하나의 문화를 형성하였고 편집을 통한 실천을 가능케 하였다.

      • KCI등재

        자료『신생활』을 읽는 여러 갈래의 길 -국립중앙도서관 및 국회도서관 디지털 자료와 영인본 비교-

        정한나 우리어문학회 2023 우리어문연구 Vol.75 No.-

        이 글은 1920년대 초 발간된 『신생활』의 생산 및 유통과정과 법적 지위를 검토하고, 이러한 생산 조건이 각기 다른 판본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살핀다. 비교 대상이 되는 자료는 국립중앙도서관과 국회도서관의 디지털 자료, 현대사(1993) 및 도서출판 청운(2006)의 영인본이다. 『신생활』제1~9호는 미국인 선교사 백아덕을 발행인으로 내세움으로써 출판규칙의 적용을 받는 잡지로 출간되었다. 출판규칙은 ‘제본’ 검열을 의무화했지만 『신생활』은 현실적 여건을 고려하여 교정쇄 단계에서 검열을 거쳤다. 이 때문에 현존하는 『신생활』 자료는 검열본과 유통본으로 분리된다. 국립중앙도서관은 검열본을 제공하고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제공 자료는 검열 주체의 흔적이 생생하게 남아 있다는 점, 검열로 삭제되기 이전의 텍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그러나 서지정보가 불충분하거나 부정확하며 검열 주체의 흔적이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는 점은 보완될 필요가 있다. 국회도서관은 시중 유통본을 제공하고 있다. 국회도서관 제공 자료는 『신생활』이 당대에 향유된 방식을 재구하는 데 가장 유용한 텍스트이지만 검열에 의한 텍스트 훼손이 크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잡지 한 호 전체 열람이 가능하여 잡지의 편집 체제를 살피기에 적합하며, 자료 열람 및 저장 방식이 직관적이고 편리하다는 점을 장점으로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자료를 바탕으로 제작된 현대사와 도서출판 청운의 영인본은 원본 잡지의 물질성과 유기성에 근접한 형태의 자료이지만 제작 과정 중의 제본 착오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신생활』자료를 교차 검토하고 각각의 특징을 분석하는 작업은 『신생활』의 생산과 유통 과정을 추적하고 『신생활』의 담론을 다각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며, 『신생활』을 하나의 사례로서 검토함으로써 1920년대 초 매체 환경에 접근하는 길이 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