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도상(図像)문화를 통해 본 동물조합의 방법과 의미 - 언어유희ㆍ미타테(見立て)ㆍ복합을 중심으로 -

        금영진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5 비교일본학 Vol.34 No.-

        본 논문에서는 일본의 도상문화 속에 보이는 동물조합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동아시아의 도상문화에 보이는 동물 조합은, 중국의 고전, 고사에 의한 것, 또는 중국의 길상도 영향을 받은 패턴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일본 도상문화에 보이는 동물 조합을 보면, 그러한 패턴에 해당하지 않는 것들이 결코 적지 않다. 본고에서는 에도 하나시본 삽화를 비롯하여, 나마즈에(鯰絵), 미타테에(見立て絵)등에 보이는 동물조합들을 중심으로 그 동물조합의 방식을 분석해 보았으며, 그 결과, 동물끼리 연결되는 연상의 이음매 역할을 하는 연결고리가 언어유희, 미타테(見立て), 복합 등에 의해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언어유희의 경우, 동물의 명칭발음을 어떻게 읽을 것인지에 따라 동물조합이 결정되는 유형은 그림에서 화의(画意)를 읽어내려는 중국 길상도(吉祥図)의 전형적인 방식이지만, 여기에서 한 발 더 나아간 새로운 방식이 일본의 동물조합 도상에서 확인되었다. 또한, 원래 도상 속의 인간이나 동물이 미타테에 의해 다른 동물로 바뀌거나, 서로 다른 도상 속에서 따로 존재하던 동물들이 도상의 복합으로 인해 합쳐지는 바람에 조합을 이루는 등의 변용이 자유롭게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인간과 동물, 때로는 식물을 넘나드는 이 같은 변용양상은 미타테와 복합 같은 방식을 통해 특히 발달하였던 것이다. 언어유희와 미타테(見立て), 그리고 복합이라는 방법상의 3가지 특징을 이해하지 않으면 일본도상문화에서는 왜 그런 조합이 나타나는지 좀처럼 이해하기 어렵다. 그리고 그러한 동물조합의 방법은 속담, 수수께끼, 방송광고 등, 오늘날의 일본문화에서도 여전히 계승되어 오고 있는 것이다. In this paper, I tried to examine the method about assortment of animals in the iconography culture of Japan. Assortment of animals found in East Asian iconography culture, due to the classic literature of China, or those affected by the auspicious views of China are common. However, If you look at the animal's assortment found in Japanese culture iconography, maybe you can see that there are many cases which are not apply to it. Therefore, in this paper I tried to find the feathers of method which of Japanese iconography. As a result, I can say that there are three cases. First, some assortment of animals were Composed by word play. Second, the associative linking of some animals were founded by Mitate. Third, there is a complexion method that mix two assortment of animals each other. For example, human beings and human beings, or a combination of humans and animals, are changed by the iconography's complexion.

      • KCI등재

        近松の浄瑠璃における見立ての方法

        한경자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17 日本硏究 Vol.0 No.7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mitate technique in Chikamatsu Monzaemon’s Joruri. Mitate, a characteristic expression used in Japanese literature, refers to likening one thing to another, and it was in use as early as in the Waka period. While mitate expressions could be found even in the Edo period in Kanazōshi and Haikai, they were merely a means of expressing metaphor. After the mid-to-late Edo period, mitate began to include visual elements and mystery elements. While there has been considerable research on the mitate expressions that appear in the mid-to-late Edo period literature of Gesaku, Kabuki, and Ukiyoe, there has not been sufficient review of the literature of the early Edo period, especially of the play Joruri. Therefore, in this paper, we categorize the mitate technique in Chikamatsu’s Joruri into ① the mitate of the opening act, ②mitate in a <world> setting, and ③ mitate used in direction, and reviewed them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ressions used. In Japanese literature, which has a strong tendency to create new works based on preceding works, mitate was a technique that created polysemantic interest. Only through a multi-layered analysis of the text from the perspective of mitate can we finally understand the intention of the author in the work. 본고는 지카마쓰 몬자에몬의 조루리에서 미타테의 기법을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본문학의 특징적인 표현기법인 미타테는 어떤 것을 다른 것으로 비유하는 것을 말하며 이르게는 와카에서도 사용되었다. 에도시대가 되어서도 미타테의 표현은 가나조시와 하이카이에서 볼 수 있으나 비유 형용의 표현수단에 지나지 않았고 에도시대 중후기 이후가 되자 시각적 요소와 수수께끼적인 요소를 가미하게 되었다. 에도시대 중후기의 문학인 게사쿠와 가부키, 우키요에에 나타난 미타테에 대해서는 연구가 축적되어 있으나 에도시대 전기의 문학, 특히 희곡인 조루리에 대해서는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지카마쓰의 조루리의 미타테의 기법을 ①제 1단 서막의 미타테 ②<세계>설정에서의 미타테 ③연출에 사용된 미타네로 분류, 검토하여 그 표현방법의 특징을 밝히고자 했다. 선행작품을 바탕으로 새로운 작품을 만드는 경향이 강한 일본문학에서 [미타테]는 다의적인 재미를 만들어내는 기법이었다. 미타테라는 관점에서 텍스트를 중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비로서 작품 내의 작가의 의도를 파악할 수가 있다.

      • KCI등재

        『신센만요슈(新撰万葉集)』에 있어서 한시・와카의 수사 ― 마쿠라코토바(枕詞)・조코토바(序詞)・가케코토바(掛詞)・미타테(見立て)를 중심으로 ―

        박일호 한국일본학회 2018 日本學報 Vol.0 No.114

        I considered the process of transferring Makurakotoba, Jokotoba, Kakekotoba, Mitate, which are the most used rhetorics in Waka of Shinsenmanyoshu, and how they were perceived and transformed. In the process of moving to Chinese poetry, Makurakotoba was replaced by ‘direct expression’, losing its intrinsic direction that ‘the meaning is reminiscent and the theme is revealed’. Therefor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re is a limit to ‘generation of a new language by concatenation’ called ‘Makurakotoba+catch phrase’ in Chinese poetry. Whether in the form of generic or causal relationships, Jokotoba moves to the Chinese poetry, which is in the form of a relationship with the general Jokotoba causality, and can maintain its structure and meaning, and the description of the matter strengthens the degree of image. In Kakekotoba of Chinese poetry, two contexts contained in one vocabulary are dismantled in the context of direct expression, and the meaning of the middle layer transmitted by sound is explained Mitate is an intelligent rhetoric which actively used in the Heian era waka and is understood as a special technique, because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aesthetic of the time. However, Mitate was able to confirm that it is an investigation that does not lose its intrinsic characteristics and poetic intent in the process of moving to Chinese poetry, unlike other rhetoric. 『신센만요슈(新撰万葉集)』의 와카에서 대표적으로 활용된 수사인 마쿠라코토바(枕詞)・조코토바(序詞)・가케코토바(掛詞)・미타테(見立て)가 한시로 옮겨지는 과정에서 어떻게 인식되고 변화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마쿠라코토바는 한시로 옮겨지는 과정에서 ‘읊어지면서 의미가 연상되고 주제가 드러난다고 하는 내재적 지시성’을 잃고 ‘직접적 표현’으로 대체되었는데, 한시에서는 마쿠라코토바와 피수식어가 동질의 이미지로 연접하면서 ‘마쿠라코토바+피수식어’라는 새로운 언어를 만들어낸다고 하는 이른바 ‘연접에 의한 새로운 언어의 생성’에 한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조코토바는 직유 형태의 일반적인 조코토바든 인과 관계의 형태로 된 조코토바든 한시로 옮기며 그 구조와 의미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그 물상 서술은 심상의 정도를 강화하고 있다. 한편 조코토바가 배제된 번역을 통해 ‘물상과 심상의 대응 구조’로 주제를 선명하게 제시하는 조코토바의 수사적 기능과 시학적 위상이 보다 명확하게 드러난다. 가케코토바는 동음이의어가 풍부한 일본어의 언어적 특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수사이어서 한시로 옮기는 과정에서 시세계의 일부나 기능을 잃기도 한다. 즉 한시에서는 하나의 어휘에 담겨진 두 개의 맥락이 직접적인 표현의 문맥으로 해체되면서, 은폐적 구조가 무너지거나 소리로 전해지는 중층의 의미가 구의 전개 속에서 평면적으로 설명되어지는 경우가 많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신센만요슈』에는 와카 부흥기의 가풍을 반영하듯 가케코토바와 더불어 미타테도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는데, 미타테는 일종의 비유 표현으로서 하나의 사물에 빗대어 또 다른 사물을 표현하는 수사이다. 그 사물과 사물의 대응은 비논리적일 수 있으나, 이지적 이해를 통해 공감된다. 이러한 미타테가 헤이안시대 와카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된 이지적 수사이며 당시의 미의식과 깊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특별한 기법으로서 이해되지만, 미타테는 다른 수사와는 달리 한시로 옮기는 과정에서도 그 본질적 특성과 시적 의도를 잃지 않는 수사임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와비차(侘茶)에서의 고려다완 수용 고찰

        조용란(Yonglan Cho) 한국차학회 2018 한국차학회지 Vol.24 No.2

        This article examines how Goryeo-chawan, which were daily utensils for Koreans, were rediscovered as special tea bowls in the Japanese tea ceremony, and how they were re-born as tea utensils with new vitality. Goryeo-chawan are the Korean made ceramics which were used in the Japanese tea ceremony and they can be roughly classified into two types: “Mitate-chawan” which were used as tea bowls for everyday utensils and “Ordered Tea bowls” which were produced in Korea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Japanese tea ceremony. At the end of the 16th century, Goryeo-chawan selected by Wabi-cha in the Senrikyu period was “Mitate-chawan”, and it was found that Goryeo-chawan was actually used mainly in Chakaiki, Nanboroku and Yamanouesojiki. In the Nanboroku, ‘Ido-chawan’ ‘Mishima-chawan’ and ‘Hakeme-chawan’ were used, and it was found that ‘Tsutsu-chawan’ was used not only in winter, but also in summertime. Yamanouesojiki mentioned only Ido-chawan, saying that Karamono, famous Chinese tea bowls, declined and Koryo-chawan appeared as new tea bowls. Also, it was thought that Ido-chawan were not everyday utensils, but utensils especially made for ancestral rituals. Wabi-cha is not uniform, but rather, it is unique due to its emphasis on individuality, and it pursues simple and elegant tea ceremony; thus Goryeo-chawan is well suited in this respect. In the early days, Goryeo-chawan used in Japanese tea ceremony did not have a strong individuality, but comprised simple and natural shapes with a variety of expressions. In addition, they did not mean to surpass masterpieces, but valued the harmony and balance with other tea utensils rather than the superiority of one master bowl.

      • KCI등재

        에도시대 가이초(開帳)의 미세모노(見世物)와 게사쿠(戯作)

        최경국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0 No.1

        에도시대에 불교행사인 가이초(開帳)는 일종의 전람회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조각품으로서의 불상과, 절에 전래하는 유서 깊은 회화나 유명인의 유물 등을한 번 보려고 하는 시정의 많은 사람들이 가이초가 열리는 날 개최장소로 몰려왔다. 이러한 가이초의 인기에 편승하여 1777(安永6)년에 시작된 가이초를 패러디한 미세모노(見世物) 「돈다레이호(とんだ霊宝)」가 새로운 표현방식을 제시하여 오랜 시간동안 대중들의 지지를 받았다. 돈다레이호는 미세모노로서 막부말기까지 행해지고 문학작품 속에서도 그 방식을 사용한 작품군을 만들어냈다. 또한 우키요에(浮世絵)에서도 다수 찾아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에도시대에 활발하게 행하여진 사원의 보물을 전시하는 가이초(開 帳)을 패러디한 돈다레이호와 그에 촉발되어 나온 서적으로 당시 서민의 놀이로서의 패러디 놀이(見立て遊び)의 현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Kaicho(開帳) is an event that is open to believers for a certain period of Buddhism that usually can not be worshiped in the temple. It was spread throughout the country during the Edo period. Kaicho was an important part of the lives of ordinary people living in Edo. A large group of people are gathered in Kaicho, which is performed in the city, and the planners who want to earn money for them come together and open various businesses. There is a teahouse around the opening of Kaicho, a play like archery on an empty spot, and a Misemono(the Shows, 見世物) that show on a tent. This phenomenon did not end in Misemono, but it was also drawn on Gesaku and Ukiyoe. Among the Edo Gesaku, many of these expressions of Mitate are seen in Kibyoshi. One of Misemono “Tondarareiho(とんだ霊宝)” is a parody of Kaicho which began in 1777. That was performed on the popularity of this Kaicho. Tondareiho is a combination of dried fish to make Buddhist statues. Tondareiho is a Show that was performed until the end of the Tokugawa Bakufu, and created works of art that used the method in literary work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henomenon of parody play as a play of the common people at the time, which is a book that was triggered by Tondareiho and the parody of Kaicho.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was the starting point in questioning the period of the Tondareiho, which is described in Asakura Mussei's “Research of Misemono” published in 1928. I thoroughly investigated the data to confirm this. Next, Odokekaicho(おどけ 開帳), which started in April 1785, was seen as a Tondareiho in Edo. It can be assumed that what was called Odokereiho in Kamigata was called Tondarareiho in Edo.

      • KCI등재

        와카(和歌)의 한국어역에 있어서 중의법의 번역

        박일호 한국일본학회 2018 日本學報 Vol.0 No.116

        와카는 형식 규모면에서 매우 작은 시이기 때문에 언어를 최대한 절제하려고 하며, 그 절제로 축소되는 외형은 중의법을 통해 의미는 확장되고 입체화된다. 그렇기 때문에 와카는 리듬, 어휘뿐만 아니라 이러한 기법, 특히 중의법의 기능과 의도에 주목하여 섬세하게 옮겨지지 않는다면, 그 번역의 결과물은 원작의 노래에서 멀어질 수밖에 없다. ‘미타테(見立て)’는 활용되는 어휘 자체가 한국어에 없다면 그 번역은 어렵게 되겠지만, 대응하는 어휘가 존재하는 한, ‘미타테’의 번역은 비교적 용이하다. 그러나 물상과 물상 사이의 새로운 관계를 발견하고 그 발견의 기쁨과 감동의 공유를 의도하는 ‘미타테’의 기능이 분명하게 작동되도록 번역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아울러 문화와 언어 환경의 차이에 의해 그 ‘관계의 발견’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는 한계에 대한 극복의 방법도 연구해야 할 것이다. ‘모노노나(物名)’는 감춤을 특성으로 하고 있어서 감추어짐과 드러남의 낙차를 즐기며, 그 낙차의 기발함에 놀라기도 하고 감탄하기도 한다. 그런데 그러한 숨겨짐과 드러남은 그 해당 언어의 음으로만 표현이 가능하다. 대응하는 어휘의 음이 서로 다른 언어로는 ‘모노노나’ 노래 원작에 감추어진 소리와 의미를 완전히 옮겨 놓을 수 없기 때문에, 번역에 있어서 ‘모모노나’ 노래는 소리로 전해지는 시세계를 ‘드러나는 언어의 형태’로밖에 표현할 수 없는 숙명을 안고 있는 장르가 되어 버린다. ‘혼카도리(本歌取り)’의 번역은 수용자가 일본어를 구사하고 선행 작품의 세계와 의미를 이해하고 있다면, 방법적으로 성공할 수 있다. 하지만 수용자가 일본어 사용자가 아니면서 선행 작품에 대한 지식이 없을 경우에는 ‘혼카도리’ 에 의해 시간의 경계가 무너지며 새롭게 탄생되는 세계는 전해지지 않으며, 이 기법은 아무런 시학적 의의를 가지지 못한다. 혼카도리’는 단지 표현의 전환의 문제가 아니라 작자와 수용자 사이에 존재하는 ‘시학적 약속’을 옮기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기법은 다른 문화권의 언어로 번역될 때에 주석을 붙이지 않으면 이해될 수 없는데, 시에 주석을 붙이는 행위는 곧 ‘해석’이기 때문에 여기에 기법 번역의 숙명적 한계가 드러난다. If a detailed translation of Waka does not retain the rhythm and main words, focusing on the function and intention of the word may have many possible meanings. The resulting translation is untruthful to the original waka. In the case of ‘Mitate’, if the words that are used are not found in Korean language, the translation can be difficult, whereas it can be easy as long as alternative words exist. However, the function of Mitate, which is intended to find new relations of external objects and to share the delight of the discovery, should be translated to be clearly effective in the poem. ‘Mononona’ has a characteristic that is defined as concealment and makes us enjoy the difference in elevation between revealing and concealing. Thus, we cannot help feeling amazed at the brilliance of the difference. Incidentally, the highly concealing and revealing can be expressed with only the sound of the language, because the corresponding sound of a word in another language cannot completely convey the sound and meaning hidden in the original waka‘Mononona’. If he or she is a Korean user and has no knowledge of the previous work, ‘Honkadori’ will never have poetic significance. It is because Honkadori performs the poetic promise between the writer and the receiver rather than changing the linguistic expression. Therefore, this skill cannot be easily understood without annotating poems when it is translated into another language.

      • KCI등재

        Exploring Buddha's Parinirvāṇa Symbols: The Lion's Pose and Sal Trees

        유지원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3 佛敎學報 Vol.- No.103

        This study draws the specificity based on regional and cultural context and universality of contemporary parinirvāṇa paintings depicting the Buddha's death. In particular, this study found that the motif shared between the Death of Buddha produced in Tibet in the late 18th century, and Vegetable Nirvāṇa produced by Itō Jakuchū (伊藤若冲, 1716-1800), are described in the mahāparinirvāṇa texts, and how these motifs are reproduced in a new cultural context beyond the scope of religious art. Based on the texts, the posture of Buddha, “lying on his right side with his head facing north under a pair of sal trees,” is compared to a lion, the king of beasts, and connected to ‘mindfulness’ and ‘clearly knowing.’ In addition, notably, a sal tree is compared to a king or it symbolizes the power of healing owing to its size and usefulness in classical Indian literature and art. The description of the pair of sal trees in the Mahāparinibbānasuttanta provides evidence to infer the time of the Buddha's entry into parinirvāṇa. Furthermore, the Mahāparinirvāṇamahāsūtra describes that even insentient beings, including sal trees, mourn the death of the Buddha.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ymbols of the two motifs, the lion's pose and sal trees, are essential for generating associations with the ‘classical image of the Buddha’ as a protagonist juxtaposed with the ‘Mitate-e’of fruits and vegetables mourning death.

      • KCI등재

        『신센만요슈(新撰万葉集)』에 있어서 계절 표현의 방법- 『만요슈(万葉集)』의 계승과 선구적 양식화 -

        박일호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3 비교일본학 Vol.58 No.-

        『고킨와카슈』 이후의 가집 편찬의 규범적 형식이 된 사계절 분류는 바로 『신센만요슈』에 의해 정제된 형식으로 시도되고 그 양식적 기초를 갖추게 되었다. 사계의 시간적・미적 경계를 의식하며 이에 근거하여 와카 분류와 배치를 명확히 하는 ‘문예적 계절 분류 방법’의 선구적 양식화는 『신센만요슈』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신센만요슈』는 『만요슈』 이래의 전통적 계절어와 서경 표현을 이어받으면서, 이를 하나의 유형으로서 고정화하는 길을 열어 헤이안시대의 와카의 유형적 가어와 이지적 표현의 방법에 대한 선험적 길잡이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전통적인 수사법인 마쿠라코토바의 시학적 종언이면서 동시에 변화의 시발점이 된 가집이 『신센만요슈』이며, 언어의 중층성에 근거하는 가케코토바는 『신센만요슈』에서는 이미 중심적 수사법으로서의 위상을 정립하고 있다. 물상과 심상 사이의 새로운 관계성을 발견하게 하며 그 이미지의 선명성을 강화하고 공감의 깊이를 더하는 미타테 또한 『신센만요슈』에 서는 가케코토바와 함께 중추적 수사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중층적 수사법과 의인화를 통해 구상성과 실재성을 넘어서는 관념적 음영을 만들어 내는 관념화의 방향은 헤이안 시대 와카의 방법적 중심이 되는데, 그 선구적 위상을 가지는 가집이 『신센만요슈』라고 할 수 있다. Seasonal classification has been a standardized form in compiling a collection of poems since Kokinwakashu. Also, its refined style contributes to building the base of stylization, which is attempted by Sinsen Manyoshu. In other words, the leading stylization in the literary seasonal classification methods is made by Sinsen Manyoshu. It helps to clarify the classification and arrangement of Waka, based on time and aesthetic boundary of four seasons. Furthermore, Sinsen Manyoshu has inherited traditional seasonal and scenery expressions in describing the poems since Manyoshu and it has also served as a leading guide to how the similar lyrics and intelligent expressions were made in Heian period. Sinsen Manyoshu is the origin of the change as well as the poetic closure of traditional rhetoric, Makurakotoba and also Kakekotoba, based on the semantic duplicity of language, is standing as a central rhetoric in Sinsen Manyoshu. Mitate makes us find the new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nd mental imagery in the poem, going further to enhance the vivid imagery and deepen the empathic understanding. Thus, It is also being used as a crucial rhetoric along with Kakekotoba in Sinsen Manyoshu. For such a reason, the direction of ideation, which became a methodical center of Waka during Heian period, creates ideological shadowy image beyond concreteness and reality through the reduplicated rhetoric and personification. Therefore, Waka has played a leading role in a collection of poems. This is what we call Sinsen Manyoshu.

      • KCI등재

        이미지 변용을 통한 「주신구라(忠臣蔵)」 표현 양상 - 일곱 번째 에피소드를 중심으로 -

        김지영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8 비교일본학 Vol.43 No.-

        모두가 알고 있는 화제를 대상을 형태와 내용의 유사성을 이용한 원전의 재구성도 우키요에를 구성하는 하나의 양식으로 등장하였다. 이 변형 과정에서 발생하는 차이와 공통점을 풀어내는 일종의 놀이로 향유되었다. 원전에서 연동된 이미지는 이야기 전달과 이해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며 이와 같은 그림 읽기 행위를 통해 원전에 대한 해석과 이해를 시도한 것이다. 하나의 화제는 문예 속에서 다양한 방식으로의 연결을 시도하면서 공통의 읽을거리로 재생되고 향수되어 왔다. The reorganization of the original literary works through the similarity of the form and the contents of the topic which everyone knows became one of the forms constituting ukiyoe. It was a sort of play that solved the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that occurred in this transformation process. The images linked to the original literary work act effectively in storytelling and understanding, and attempt to interpret and understand the original literary work through such an image-reading act.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in literature, a topic has been reproduced and perfected as a common reading while attempting to link in various ways.

      • KCI등재

        스즈키 하루노부의 ‘미인화’에 대한 일고찰

        이미림(Ryee, Mi Lim) 동아시아일본학회 2016 일본문화연구 Vol.0 No.59

        하루노부의 미인화를 제작하는 요소 중 하나는 와카(和歌), 요코쿠(謠曲)등 일본의 고전문학이나 중국의 전통적인 화제를 에도시대 당세풍(當世風)으로 패러디하여 그린 미타테에(見立繪)를 다수 제작하였다. 말하자면 기지(機智)를 발휘하여 주제를 조작한 미인화이다. 하루노부의 미타테에는 오쿠무라 마사노부(奥村政信) 등 선배화가의 영향에 의한 것도 있지만, 그러나 하루노부의 작품은 우아한 분위기와 섬세한 묘사 그리고 정교하고 치밀한 조작으로 한층 세련미를 더하였다. 그 외에도 주제를 한정하지 않은 미타테에는 감상자에게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는 점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게다가 하루노부의 미타테에의 특징은 기존의 전통적인 주제를 비속한 현실 풍속의 내용으로 변환, 말하자면 아(雅)와 속(俗)의 전환의 의외성과 중층적 이미지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The significance of Harunobu"s Beautiful Female Figure may be analyzed in the context of his production of numerous parody works using the contemporary style of the Edo period, which was influenced by Japanese classical authors, such as Waka and Youkyoku, as well as traditional Chinese subjects of art. In particular, this work of art was a satirical piece with a fabricated subject. Although Harunobu learned from the paintings of Masanobu, who had worked in the mid-Edo period, his parody works have more artistic flair in term of his use of elegant atmospheres, his detailed depictions, and the manipulation of compact spaces. Moreover, his non-specific concentration on artistic works of parody reveals his openness to numerous possibilities, and his work may be separated in an outstanding class by itself. The unique features of Harunobu"s works of parody are their unexpected character and his depiction of multi-layered images. Sacred and elegant subjects are often transformed into something more secular and real. Later on, his work greatly influenced many Ukiyo-e arti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