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원선교를 위한 지역교회 네트워크 전략모형 개발

        김재중(Jae-Joong Kim),성백(Baek Sung)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07 기독교교육정보 Vol.18 No.-

        In existing study, several local churches cooperated with a college chaplain for the college mission but this study tries to use a network strategy which establishes a brotherhood relationship between one local church and one department of college for the college mission. Through this study of a network between a college and a local church, I would like to find out effective strategy for college miss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it is good strategy to network local churches for the college missions. But, when a local church and a college do network, it is important to build a network in small unit in order to make sure target recipient. Second, college mission can not be achieved independently but it should be done an overall and synthetic dimension. It means that local churches, colleges, and mission organizations which have various characters should be connected in network and mission strategy should be done in various ways within the network. Third, it is important not only to build simple network with a local church but also to need various supports to work continuously. Fourth, it is not the goal to build a network with local churches but local churches should go within cooperating system. Fifth, it is necessary to do diverse efforts about mission in cultural age. Future study should focus on a network strategy between local churches and colleges and try to examine various ways of cooperation between local churches and colleges for the campus mission.

      • KCI등재

        지역자활센터 협력 네트워크 구조에 대한 탐색적 분석: 서울, 부산, 경상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김준현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09 行政論叢 Vol.47 No.1

        This study aims to offer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self-sufficiency program agencie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self-sufficiency program by analyzing the effect of networks. To attain this purpose, the collaborative network structures of 56 local self-sufficiency centers in Seoul, Busan, and Northern Kyongsang Province are identified and compared with the ideal network structures presented by Kilduff and Tsai. The networks are divided along two dimensions. One dimension concerns the network actors and the other concerns the objects exchanged within the networks. As a result the networks a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center only information network', 'center only resource network', 'center-local government information network', and 'center-local government resource network'. Each network is analyzed by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including sociograms and matrix calcul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center only information network' has the features of a goal-directed network. The second result of the analysis is that the 'center-local government information network' not only trends towards a goal-directed network but also towards a serendipitous network. However the resource exchange networks, whatever the network actors were, had the features of a serendipitous network. After analyzing the results, this study argues that the central agencies that could coordinate cooperation among the local self-sufficiency centers. In addition, the central government institutions which could control the local governments and local self-sufficiency centers were also essential. Finally, it is recommended that the high-level local governments and the higher local self-sufficiency centers had better have the role of network hub for both the performance of the self-sufficiency program agency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self-sufficiency program.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근로연계복지 프로그램인 자활사업을 대상으로 Kilduff와 Tsai의 네트워크 유형론에 따라 서울과 부산, 경상북도 지역에서 자활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56개 지역자활센터들이 지역별로 구축한 협력 네트워크의 구조를 살피고, 나아가 네트워크 효과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에 기반 하여 자활성과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함께 제시해 보고자 마련되었다. 3개 지역의 자활 네트워크는 참여기관의 범위와 주요한 협력활동의 내용 및 대상에 따라 나뉘었고, 각 협력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은 소시오그램과 행렬분석을 활용한 사회 네트워크 분석방법에 따라 검토되었다. 분석 결과 지역자활센터들로만 구성된 정보교환 네트워크의 경우 목표 지향적 네트워크로서의 구조적 특징을 가장 강하게 보여주고 있었으며, 지방자치단체까지 포함한 정보교환 네트워크의 경우에는 우연적 네트워크로서의 구조적 특징이 추가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자원교환 네트워크의 경우에는 전반적으로 우연적 네트워크로서의 구조적 특징이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몇몇 지역자활센터와 지방자치단체가 중심적인 위치와 역할을 부분적으로 담당하고 있지만, 네트워크 전체의 중심으로서의 역할보다는 하위 네트워크의 중심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하여 자활센터들 간 협력활동을 전체적으로 조정하고 관리하는 중심기관과 지방자치단체들의 자활센터들과의 협력활동을 전체적으로 조정하는 중심기관의 존재가 필요하다는 견해를 제시하였으며, 아울러 이러한 역할을 담당할 기관으로 광역자활센터와 광역자치단체의 활성화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지역경제개발 네트워크가 지역경제개발 입지인센티브에 미치는 영향

        하현상(河顯相) 한국정책과학학회 2012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6 No.3

        이 연구는 미국 지방정부의 입지인센티브 제공에 대한 지역경제개발 네트워크의 영향을 분석함으로서 한국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경제개발을 위한 입지인센티브 제공은 네트워크에 기반한 정치적 협상에 의해서 결정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지역경제개발 네트워크가 입지인센티브 제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그러나 기존연구는 경제개발을 위한 입지인센티브 제공에 대한 네트워크의 영향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네 가지 유형의 지역경제개발 네트워크 (공공조직, 민간개발조직, 공공-민간개발조직, 지역주민조직 네트워크)가 지방정부의 다양한 입지인센티브 제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는 민간개발조직 네트워크와 공공-민간개발조직 네트워크가 지방정부의 다양한 유형의 입지인센티브를 제공하도록 촉진시키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공공-민간개발조직 네트워크가 민간개발조직 네트워크보다 입지인센티브 제공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늘날 한국 지방자치단체들도 선호시설과 혐오시설 입지를 둘러싼 활발한 네트워크 활동을 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때 이 연구의 결과는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정책결정자들은 효율적 지역경제개발을 위해서 민간개발조직이나 공공-민간개발조직 네트워크와 같은 영향력 있는 조직들의 네트워크 활동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보다 체계적으로 면밀히 관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local economic development networks on location incentive offer of American local governments. Location incentive offer closely ties to political bargaining based on local economic development networks. However, previous studies are likely to overlook the influence of networks on location incentive offer for local economic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explored how local economic development networks impact several kinds of location incentive offers: public organizational, private development organizational, public-private development organizational, neighborhood organizational networks. The findings suggest that private development organizational networks and public-private development organizational networks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 location incentive offers. Especially, public-private development organizational networks have stronger influence on location incentive offers than private development organizational networks. This results provide critical implication in that policy decision makers of Korean local governments need to systematically manage influential networks such as private development organizational and public-private development organizational networks.

      • KCI등재

        지방정당을 통한 여성의 정치참여 활성화와 향후과제: 일본의 지역정당 ‘동경생활자 네트워크’ 를 중심으로

        하세헌,윤이화 한국국제정치학회 2012 國際政治論叢 Vol.52 No.2

        It is uncertain how much the present local politics has promoted democracy since the resumption of the municipal systems in Korea. Measures should be taken to realize dynamic democracy in local level politics in order to anticipate improved future democracy as a whole. At this point, this article suggests that activating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in the local level politics can be an answer to the question. Especially a Japanese local party, Seikatsusha Network, shows an example of the virtuous circle that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promotes the local politics. In Japan, women are actively engaging in local politics owing to a stable regional political system, while in Korea women are rarely involved in local politics as well as political and civic movements are concentrated in the capital city. The Japanese local party is quite suggestive of Korea despite political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wo countries. Therefore, this article emphasis on the needs of activating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in the local level politics and its future challenges. 지방자치가 부활된 이후 지방정치의 현실을 보면 지방자치의 부활을 민주주의의 진전으로 볼 수 있을지 의문스러운 상황에까지 이르렀다. 그래서 한국사회에서 ‘지역의 민주주의를 어떻게 실현할 수 있을 것인가?’ 라는 물음에 대한 답을 찾지 않으면, 한국 민주주의의 전망은 매우 어두울지도 모른다. 따라서 본 연구주제의 시작은 이렇게 침체된 지방의 정치를 살리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한국에서의 지방정당 특히, 지방정당을 통한 여성의 정치참여 활성화에 대한 고민에서부터 출발한다. 그리고 비록 일본과 정치문화는 다르지만, 이미 지방정치와 지방정당이 정착․안정되어 이로 인해 여성의 정치참여가 활발한 일본의 사례를 참고하고자 한다. 이것을 한국에서도 한국적인 상황에 맞게끔 재구성한다면 지방정치에서 여성의 정치참여가 저조하고 중앙에 집중된 정치 및 시민운동, 파행을 거듭하고 있는 한국의 정치에 대해서도 시사하는 바가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래서 지방정당과 여성의 정치참여에 대한 구체적이고 정책적인 방안보다는 지방정당을 통한 여성의 정치참여 활성화의 필요성과 향후과제에 대하여 짚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지방의회와 지역사회의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 방안

        박기묵 ( Ki Muck Park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4 地方行政硏究 Vol.28 No.4

        이 연구는 지방 정치에 대한 지역 주민의 관심이 없어지는 상황에서 지방의회가 주민의 참여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지방의회와 지역사회의 협력적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 협력적 네트워크는 Provan & Kenis(2008)가 제시한 네트워크 유형 중 NAO 유형으로 구축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어 본 연구에서는 NAO유형의 네트워크 구축 방안을 논의하였다. Provan & Kenis(2008)가 제시한 NAO유형의 상황요인변수인 신뢰, 참여조직의 수, 목표 공유, 네트워크 역량의 필요성 등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 연구는 이러한 상황요인변수들을 경상북도의회와 지역사회 사이의 관계성과 관련된 논의를 통해 둘 사이의 협력적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경상북도의회의 각 상임 위원회와 그 상임위원회 업무와 관련된 지역사회단체들 간 네트워크 관리 조직(NAO)들을 개발하고 그 조직들을 총괄하여 관리하는 총괄 네트워크 관리 조직인 NAO센터를 구축하는 방식으로 협력적 네트워크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 네트워크를 지속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presents the way for establishing the cooperative network between a local assembly and communities to revitalize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 for local autonomy. The cooperative network belongs to the NAO pattern that Provan & Kenis(2008) developed. In order to establish the cooperative network of the NAO pattern, this paper reviewed the confidence, the participation number, the share of the end, the network capacity which are situation factor variables. The local assembly of Kyoungsangbukdo was illustrated to establish the network. This paper presents the way for establish the network by reviewing situation factor variables between the local assembly of Kyoungsangbukdo and local communities. The network is shaped as the NAOs related to 6 standing committees which controled by the NAO center.

      • KCI등재

        사회적 경제 네트워크를 통한 로컬푸드 운동의 활성화 방안

        네모토 마사쯔구(Nemoto Masatsugu) 한국지방정부학회 2014 지방정부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로컬푸드 운동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사회적 경제 네트워크라는 관점을 도입하고, 구체적 사례로 충청북도 청주ㆍ청원지역과 일본 이바라키 지역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시사점을 획득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사례 분석 틀로서 행정ㆍ기업과의 관계, 전문가ㆍ일반시민과의 관계라는 두 가지 행위자 관계유형을 구분하였고 각각 비공식 영역의 가시화, 관계의 대등성, 새로운 공공영역의 창출이라는 분석기준을 설정하였다. 사례분석결과, 일본에서는 광역자치단체가 로컬푸드 운동의 인증제도, 기념일, 식생활 교육 등에 일정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비영리 민간단체 등과의 협력은 초기 단계에 있다. 한편 한국에서는 오히려 사회적 기업, 협동조합, 시민단체 등이 구성하고 있는 사회적 경제 네트워크가 지역과제를 가사화시키면서 로컬푸드 운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므로 향후 지자체가 지원정책을 정비함에 있어 사회적 경제 네트워크와 대등한 관계가 구성되면 로컬푸드 운동에 의한 보다 효과적인 새로운 공공영역과 지역 공감대가 형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This study analyzed improvement strategy for local food movement through a social economy network. For this purpose, two cases of Korea and Japan were compared. There are three types of criteria for this analysis: first, visualization of invisible social value, second, equal partnership; third, creativity of new public. The result pointed that local government take roles of visualization of invisible social value through a certificate system, anniversary events and food education programs for local food movement in Japan. An equal partnership between government and non profit organizations which perform for community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restoration with local food movement are improving toward new public society. On the other hand, local food movement in Korea are based on social economy network includes social enterprises, cooperatives and other third sectors. Thus it is important for the Korean situation to develop an equal partnership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social economy network for building local food system.

      • KCI등재

        로컬푸드와 지역운동 네트워크의 발전

        이해진(LEE Hae-Jin),이원식(LEE Won-Sik),김흥주(KIM Heung-Ju) 지역사회학회 2012 지역사회학 Vol.13 No.2

        이 연구는 로컬푸드 연구의 지평을 넓히기 위하여, 로컬푸드 운동이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고 대안적 지역발전을 추진하는 지역운동으로서의 가치와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로컬푸드를 매개로 지역운동을 재조직화하고 로컬푸드 거버넌스와 사회적 경제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대안적 지역운동을 전개하고 있는 원주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원주 로컬푸드 운동은 원주 지역운동의 특성인 생명농업과 협동조합운동의 역사와 경험으로부터 배태된 것이다. 이러한 로컬푸드 운동의 배태성은 2000년대 이후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젊은 지역운동 리더들의 전략 및 리더십과 결합되면서, 지역운동 네트워크의 조직화로 이어졌다. 이러한 원주의 지역운동 네트워크는 로컬푸드 운동을 통해 협동조합 지역사회, 로컬푸드 거버넌스, 사회적 경제의 지역화라는 새로운 형태의 지역운동으로 발전하고 있었다. 원주 사례는 로컬푸드 운동이 새로운 지역운동의 확산을 가능하게 하는 매개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여 주었다. 로컬푸드 운동의 확장을 통해 지역자립경제, 지역복지, 지역거버넌스, 내생적 지역발전을 구축하는 토대를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한 것이다. 반면에 원주의 로컬푸드 운동 네트워크는 조직, 운동엘리트, 조합원의 범위를 넘어 지역주민의 참여와 지역사회의 발전에 기여하는 데까지 확장되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었다. 또한 지자체와 로컬푸드 거버넌스를 구축하는 과정에서도 과잉 제도화의 문제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었다. In order to extend the horizon of local-food researches, the study aims to show that local food movements has been working as local-based movements which pursued solutions to problems in local communities and promoted an alternative local development strategy as their core values and rationales. To accomplish this aim, the study analyses the case of Wonju city in which local movements are reorganized around local-food issues and governance structures and social economic networks are beginning to build leading to an alternative local movement. Wonju’s local food movement is embedded within the historical experiences of life-agriculture and cooperatives movement which are decades-long heritages of the local movements in Wonju. The embeddedness of local movement, combined with the strategies and leadership of those young activists of local movements who have been struggling to solve local problems, leads to organization of local movements networks. These networks of local movements in Wonju are developing into a new form of local movement combined with cooperatives communities, local food governances, and localization of social economies through local food movements. The Wonju case has confirmed that local food movements can be a medium by which diffusion of a new form of local movement is to be activated. That is to say, the Wonju case has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that an autarky of local economy, local welfare, local governance and endogenous local development can all be built on the same foundation, the expansion of local food movements. However, the case study has also revealed that the local food movements networks in Wonju have to go beyond current boundaries of organization, elite leaders, and rank-and-file members towards attracting residents participation and deriving local communities development. In addition, it has also been shown that the local food movements networks need to overcome the problem of over-institutionalization in the processes of developing local food governance structures with local governments.

      • KCI등재

        네트워크 관점에서 지방정부 재난대응과정 분석: 미국의 허리케인과 한국의 태풍 대응사례를 중심으로

        류상일 한국행정학회 2007 韓國行政學報 Vol.41 No.4

        The present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of why damage caused by similar natural disasters is different between America and Korea. The study looked to differences between the disaster response system in America and in Korea. Attention is paid to the consequent differences in network components and the types of policy network. This study focused on why American local governments and Korean local governments are different in forming networks to respond to disasters. This study forms a desirable networking method for Korean local governments in effective disaster response. In the case studies that compared Korea with America it was found desirable to improve disaster response networks toward bi-directional open networks with high reciprocity and expansion. It was desirable to enhance bi-directional reciprocity among disaster response organizations and to open doors to other disaster response organizations. It was concluded that it is desirable for Korean local governments to establish a bi‐directional open network with high reciprocity and expansion. Based on state analysis, empirical analysis, and case study, the paper identified problems in the Korean local governmental disaster response network. First, the local government disaster response system was dualized and disaster response organizations were self‐interested. Second, there was no integrated field command system. Third, there was no information network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s; cooperation among areas for disaster response was weak. Lastly, the directors of local governments and residents lacked the consciousness of disaster response. 비슷한 조건의 자연재난에 대해 왜 한국과 미국의 재난피해가 다르게 되는가라는 연구문제에서 시작되어 이러한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한국과 미국의 재난대응 네트워크 구성요소와 네트워크 유형의 차이에서 찾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즉 왜 한국 지방자치단체와 미국 지방정부는 재난대응에 있어 네트워크 형성이 다른가에 주목하여 본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으로 재난에 대응하기 위한 재난대응 방안 모색의 일환으로 네트워크 관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재난대응과정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사례분석결과 재난대응 네트워크에 있어 호혜성과 확장성이 높은 양방향・개방형 네트워크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재난대응 조직간 활발한 상호 양방향 호혜성 향상과 함께 재난대응 조직 외부 기관을 개방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따라서 향후 한국 지방자치단체도 호혜성과 확장성이 높은 양방향・개방형 네트워크로 발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사례분석을 토대로 하여 한국 지방자치단체의 재난대응 네트워크의 문제점을 제시해보면, 지자체 재난대응체계의 이원화, 재난대응 기관들의 부처이기주의, 통합적인 현장 지휘체계 미흡, 정보와 인적자원 교류의 부족,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재난대응 네트워크 형성의 부재 등을 들 수 있다.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통합의 로컬 거버넌스:여수시와 청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嚴泰錫 한국의정연구회 2010 의정논총 Vol.5 No.2

        로컬 거버넌스는 “지방자치단체와 관련된 제반 정책의 형성 및 결정 그리고 집행 과정에서 중앙정부, 지방정부, 지역주민 및 시민단체, 기업 등과 같은 다양한 차원의 이해당사자들이 참여하여 상호 신뢰를 토대로 지역발전을 추진해 가는 역동적인 네트워크 체제”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로컬 거버넌스는 네트워크 참여자들이 어떻게 서로 간에 자율적인 협력체제를 구성하고 이를 운영하는가가 성공의 관건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거버넌스 능력이 문제인데 거버넌스 능력의 결정요인으로서, 네트워크 참여자들의 내적 역량, 제도적인 중재장치, 참여자들 사이의 상호신뢰관계, 리더십, 그리고 유인체계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로컬 거버넌스적 관점에서 3여 통합과 청주·청원통합 시도를 분석한 결과 어떠한 지역정책이라도 지역주민간의 의사와 이익뿐만 아니라 이를 주도하는 세력들이 첨예하게 대립되면 성사되기 어려우며, 거버넌스적 기제 또한 작동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로컬 거버넌스의 성패는 주요 행위자들의 역량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역사회의 위임된 대표자인 단체장과 지방의원, 시민사회의 의식적 대변인이라고 할 수 있는 지역시민단체 등이 제대로 의사를 대표하고 상호 신뢰를 토대로 네트워크에 참여할 때 로컬 거버넌스는 제 기능을 할 수 있다. Local governance can be defined as a dynamic network system to facilitate local development based on mutual trust between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local NGO and firms when formulating, determining, and implementing a set of policies pertaining to local governments. The success of local governance depends on how to organize and implement cooperative systems between participants of the network. This is the capability of governance which can be determined by internal competency of network participants, institutional arbitration mechanism, mutual trust between them, leadership and incentives. An analysis of two cases to consolidate local governments in a perspective of local governance shows any local policy is difficult to implement if there are conflicts in interests and opinion between participants including local communities, official authorities and the local governance mechanism is also not working. Capabilities of major participants play essential roles in the success of local governance. Local governance can perform its anticipated roles when NGO and the designated representatives such as presidents of local governments and members of local councils represent the opinions of their parties without any bias and participate network based on mutual trust.

      •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활용한 청소년 성장지원 정책 추진체계 구축 방안 연구Ⅲ

        황세영,이경상,송민경,조윤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는 지역사회 청소년 성장지원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지역 중심 청소년 성장지원 정책 추진체계구축을 위한 정책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3개년사업으로 수행되는 과제의 3차년도 사업으로 올해 연구에서는 시범사업의 운영 성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청소년 성장지원 네트워크의 확산방안과 지역 중심 청소년 성장지원 거버넌스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시범사업(부천여성청소년재단, 곡성군청소년상담복지센터, 유성구청소년수련관) 분석 결과, 네트워크 참여자들은 본 시범사업을 통해 구축된 청소년 성장지원 네트워크가 협력적 거버넌스의 관점에서 긍정적인 성과를 가져왔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본 네트워크 사업 종료 후에도 계속해서 현재의 네트워크에 참여의향이 있다는 응답이 90.4%로 매우 높게 나타나, 지역별 네트워크의 계속적인 성장과 발전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지역별로 차이는 있으나 네트워크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한 지자체의 책무와 네트워크운영에 대한 지원요구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난 것은 네트워크 운영의 안정성과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 행정기관의 역할 및 제도적 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성장지원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정책추진전략을 1) 마을에서 국가에 이르는 청소년 성장지원 생태계 구축, 2) 지역 내 청소년 의제 주류화를 통한 성장지원 효과성 확보, 3) 지역 모델의 발굴과 확산지원을 통한 점진적 제도화로 제안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과제 및 정책추진로드맵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formulate a policy support system for youth growth by utilizing local community networks. This year’s study, which was the last of a three-year study, focused specifically on conducting a comprehensive impact analysis on the outcomes of the pilot projects and proposing ways in which youth growth support networks can be extended across the country and locally-based youth growth support governance can be established. The analysis of the pilot projects, which were implemented in Bucheon, Gokseong, and Yuseong, indicated that, over three years, the youth growth network had a positive impact on establishing collaborative governance in these communities. Further, 90.4% of the network participants responded positively in terms of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network even after the pilot project ended, indicating the sustainability and potential for these local networks to grow. Despite some differences among the three regions, the results also showed a high demand for accountability from the local government and support for operating local networks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network activities. This suggests the need to establish the role of administrative institutions and policy measures to guarantee the sustaina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se networks. In conclusion, the study proposed policy strategies to activate networks for youth support and a roadmap to implement the policy in terms of 1) establishing an ecological system for youth support from the local to the state level, 2) ensuring the effectiveness of youth support by mainstreaming youth agendas within communities, and 3) pursuing a gradual institutionalization by supporting the activation and expansion of local mod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