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憲法制定의 正當性에 관한 硏究

        이승우(Lee, Seung-Woo) 한국헌법학회 2009 憲法學硏究 Vol.15 No.1

        헌법제정의 정당성에 관한 연구는 시예스에 의하여 주장되기 시작하여 슈미트에 의하여 완성된 것처럼 소개되고 있다. 그리고 그들의 논의가 전부인 것처럼 지금도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헌법제정의 정당성의 문제는 과거의 문제가 아니라 오늘의 문제이어야 한다. 현재의 정당성이론을 토대로 과거와 현재의 헌법제정의 정당성을 평가해야 한다는 것이다. 20세기에는 전통적 정당성과 합리적 정당성이라는 대립관계를 통하여 정당성이론이 전개되었다. 예를 들면 전통적 정당성과 합리적 정당성의 문제가 그것이다. 그러나 21세기에 들어서는 정당성이론이 합치된 방향으로 설명된다. 통합된 국가기능을 토대로 국가통치와 관련된 모든 정당성이론이 3가지 방향으로 통합되어 정리되고 있다. 민주적 정당성, 절차적 정당성, 목적적 정당성이 그것이다. 결국 이 연구의 목적은 헌법제정의 과정에서 적용되어야 할 3가지 정당성원리의 구체적 내용을 제시하는데 있다. 왜냐하면 헌법제정의 정당성이 이 3가지 정당성원리에 의하여 평가되어야 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또한 우리 헌정사를 연구함에 있어서 그것을 기준틀로 삼아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Most of the Korean Professors think that the principle on the legitimacy of the establishment of constitution is introduced by A. V. Sieyes and accomplished by K. Schmitt. And those two scholar's opinions are all on the issue of the legitimacy of the establishment of constitution. But the legitimacy of the establishment of constitution should be the problem of today, not of the past. The legitimacy of the establishment of constitution has to be estimated by the recent principle of legitimacy. Until the 20th century, human history developed the principles of legitimation through the friction of two opposing values, for example, the friction between the traditional legitimacy and rational legitimacy. However, we notice that these opposing principles of legitimacy were amalgamated in the 21th century. And we may amplify this principle into the following three subcategories: democratic legitimacy, procedural legitimacy, and objective legitimacy.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concrete contents of these three principles of legitimacy in the course of the establishment of constitution. Since the legitimacy of the establishment of constitution should be evaluated by these three principles of legitimacy. Also, when we study Korean Constitutional History, it is important to apply these three principles of legitimacy.

      • KCI우수등재

        기업의 정당성과 지속가능성 커뮤니케이션 : 지속가능성 정보공시의 결정요인에 관한 비교분석

        윤태일(Tae-Il Yoon),변혜영(Hae-Young Byun) 한국언론학회 2020 한국언론학보 Vol.64 No.6

        When business activities are considered desirable, proper, or appropriate within some social system of norms and values, corporations can maintain legitimacy. Given that companies can survive and become competitive after gaining legitimacy, coping with corporate legitimacy is the foundation for crisis management and reputation management. In this context, corporate sustainability communication (CSC) has emerged as an important area of strategic communication. CSC is a form of social responsibility management that contributes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a society and involves actively communicating the information to the public. One effective CSC channel is the sustainability report, an annual publication that discloses information about how much a company has practiced sustainability management. Among many theories that explain the determinants affecting the disclosure of sustainability information, the legitimacy theory argues that the greater the visibility of a company, the greater the legitimacy pressure that a company should fulfill its social responsibilities, and that companies more actively disclose information on sustainability management to cope with this legitimacy pressure. As the business environment becomes global, stakeholders expectations for corporate legitimacy vary from country to country, and accordingly, the factors affecting sustainable information disclosure may also differ. Although understanding which legitimacy pressures affect sustainability information disclosure is more important in the global environment,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this. To fill this research gap, this paper examines which determinants drive Korean companies to disclose their sustainability information to cope with legitimacy pressures, and how they are similar and different in some respects compared to global companies. Specifically, we measure the level of information disclosure contained in sustainability reports of Korean and global companies, and then combine it with the corporate financial data by using GRI (Global Reporting Initiative) sustainability disclosure database and business data platform. The results indicate that Korean and global companies differ in the determinants of sustainability disclosure in relation to the legitimacy pressure. The more Korean companies are exposed to the media, the greater the legitimacy pressure, leading to a higher level of sustainability disclosure. On the other hand, global companies from environmentally sensitive industries face strong legitimacy pressure, which leads to a higher level of sustainability disclosure.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legitimacy pressure of Korean companies resulting from media exposure is exogenous and conditional, whereas the legitimacy pressure of global companies due to environmental sensitivity is inherent and inevitabl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paper are discussed. Theoretically, This paper presents a new research agenda for Korean communications research in analyzing group-level corporate behavior based on objective data platform and attempting a cross-national analysis.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this paper stresses the need for policy intervention that effectively leverages legitimacy pressure for Korean companies to secure global competitiveness.

      • KCI우수등재

        行政과 司法의 民主的 正當性 確保를 위한 公法的 課題

        정남철 법조협회 2018 法曹 Vol.67 No.1

        헌법재판소에 의한 대통령 탄핵결정은 대한민국 헌정사의 초유의 사건이다. 이러한 상황에 이르게 된 배경과 원인은 대통령 측근에 의한 비리, 청와대 비서설 조직의 전횡, 그리고 비정상적인 국가권력의 행사 등에 의한 국정농단에서 찾을 수 있다. 촛불집회는 비폭력 평화집회로 진행되어 대한민국의 성숙한 민주주의를 보여주었고, 국민주권주의의 중요성을 각인하게 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회를 중심으로 개헌논의가 한창 진행 중이다. 통치구조는 개헌논의의 중심적 화두이지만, 국가권력의 집중과 독점을 개선할 수 있는 제도적 개선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보다 중요한 것은 국가권력의 민주적 정당성을 어떻게 확보하느냐에 있다. 국가권력의 남용과 부패는 이러한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하지 못한 것에서 연유하고 있다. 독일에서는 오래 전부터 법치국가원리를 중심으로 공법이론이 발전하여 왔으나, 근래에는 민주적 정통화론이 새로이 주목을 받고 있다. 오랫동안 제도적・기능적 민주적 정통화, 조직적・인적 민주적 정통화 및 사항적・내용적 민주적 정통화를 내용으로 전통적인 이론이 큰 영향을 준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근래에는 새로운 민주적 정통화론이 부상하고 있다. 여기에서 주목되는 점은 수용, 참여 및 공개 등을 비롯한 절차적 정통화가 강조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현대행정국가에서는 다원화된 행정의 민주적 정통화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근래에 국가의 공적 과제를 사인에게 위임・위탁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서도 민주적 정통화를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하며, 이와 관련하여 기능적 자치행정이 강조되고 있다. 독일에서는 법관의 선발과 관련하여 민주적 정통화의 문제가 다루어지고 있다. 주요선진국에 비해 우리나라의 법관선발은 민주적 정당성 확보의 관점에서 의회의 참여가 다소 부족하다. 특히 헌법재판소는 헌법수호기관이자 다원적 이해관계를 반영해야 하는 정치적 사법기관이기도 하다. 그러한 점에서 헌법재판소의 재판관 임명절차는 민주적 정당성을 충분히 확보하여야 한다. 국회의 논의과정을 통해 충분히 검증된 헌법전문가를 발탁할 수 있도록 제도개선을 해야 한다. 개헌논의에서 지방분권이 강조되고 있지만, 규범의 체계나 구조에 비추어 파생적 법원의 하나인 조례의 위상을 법률과 동등하게 구성하는 것은 민주적 정통화론에 비추어도 타당하지 않다. 오히려 지방자치제도의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수용, 참여 및 공개 등 참여민주주의를 강화해야 한다. 향후 신고리 원전 5,6호기의 중단 및 탈원전 논의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론화위원회의 숙의과정도 이러한 민주적 정통화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국가의 에너지정책과 관련된 중요사안이 국회에서 충분히 논의되지 못하는 것은 유감이다. 공론화위원회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국민의 생명과 안전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대규모공공사업에 대한 절차적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관계 규정을 정비해야 한다. The decision by the Constitutional Court to impose a presidential impeachment is an incident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background and causes of this situation are related to the corruption by the president's aides, the power abuse of the Blue House secretariat, and the exercise of unusual government power. The candlelight rally showed the mature democracy of the Republic of Korea by proceeding to the nonviolent peace rally, and it became an important opportunity to imprint the importance of democratic sovereignty. In this situation, discussions on the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are in full swing. Although the power structure is the central issue of the discussion of constitutional amendments, all agree that the institutional measures should be taken to improve the concentration and monopoly of the state power. More important, however, is how to secure the democratic legitimacy of state power. Abuse and corruption of state power come from the failure to secure such democratic legitimacy. In Germany, the theory of public law has been developed around the principle of the rule of law for a long time, but in recent years democratic legitimacy orthodoxy has been newly illuminated. The traditional democratic legitimacy theory, which consists of institutional and functional democratic legitimacy, organizational and personal democratic legitimacy, and substantial democratic legitimacy relating to the matter of contents,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Today, however, a new democratic legitimacy orthodoxy is emerging. What is noteworthy here is the emphasis on procedural legitimacy including acceptance, participation and disclosure. In modern administrative countries the democratic legitimacy of pluralistic administration is important.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an increasing number of cases in which national tasks are entrusted to private organization or civilians. Some suitable measures should be taken to secure democratic legitimacy. In this regard, functional autonomous administration is emphasized. In Germany, the issue of democratic legitimacy is addressed in connection with the selection of judges. In comparison with major developed countries, the selection of judges in Korea is somewhat lacking in the participation of the parliament in terms of securing democratic legitimacy. In particular, the Constitutional Court is a constitutional guardian and a political judicial body that has to reflect pluralistic interests. In this respect, the process of appointing the judge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should secure sufficient democratic legitimacy. Although the decentralization is emphasized in the discussion of constitutional amendment, it is not proper to construct the ordinance, which is the derivative source of law, equal to the statute in the light of the system and structure of norms, especially in view of democratic legitimacy orthodoxy. Rather, it should strengthen participatory democracy such as acceptance, participation and disclosure to secure the democratic legitimacy of the local autonomy system. As can be seen from the discussion of the discontinuation of Shin-Kori Nuclear Power Plant No. 5 and 6 and the discussion of nuclear power plants, the process of deliberation by the Committee aimed at gathering public opinion should also b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democratic legitimacy orthodoxy. It is regrettable that the important issues related to the country's energy policy are not fully discussed in the National Assembly. The relevant provisions should be laid out in order to establish the legal basis of the Committee and ensure procedural justification for large-scale public projects closely related to the lives and safety of the people.

      • KCI등재

        민주적 헌법체계하에서의 합법성과 정당성 문제

        김욱(Kim Wook) 한국헌법학회 2014 憲法學硏究 Vol.20 No.4

        우리는 민주적 헌법체계하에서 법을 실현해가는 각 단계마다 법적 정당성에 대한 판단을 해야만 한다. 그 판단은 사법부의 전유물이 아니며, 입법과정, 행정적 정책판단, 그리고 개인의 준법 차원에서도 반드시 요구되는 전제 조건이다. 오래전부터 우리 헌법재판소는 적법절차가 형식적 절차뿐만 아니라 내용적 정당성도 획득해야 한다고 지속적으로 판시하고 있다. 하지만 도처에 논리적 모순이 산재해 있다. 헌법재판소가 정당성에 대해 판단하는 것은 사회적 이상을 최대한으로 강요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헌법적 가치를 최소한으로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헌법재판소는 정당성에 대한 판단을 결코 회피해서는 안 된다. 또한 우리도 법을 준수하는 과정에서 정당성에 대해 생각하는 것을 주저해서는 안 된다. 우리는 모두 '정당한=합법적인' 국가권력의 행사를 기대한다. 정당성이라는 민주적 헌법정신을 형해화해서는 안 된다. 어떤 경우에도 중한 정당성 위배는 중한 위법성이고, 경한 정당성 위배는 경한 위법성일 뿐이다. 그러므로 '경하게 부당하므로 경하게 위법한 국가권력이 존재한다'고 말할 수 있을 뿐, '부당하지만 합법적인 국가권력을 용인해야 한다'고 주장할 수는 없다. '정당성 없는 합법성'은 위법이다. 그리고 '합법성 없는 정당성'은 무의미하다. 결국 합법성과 정당성은 별개의 의미를 갖고 있지만 서로에게 그 의미를 의지할 수밖에 없는 하나의 모순적 개념이다. 필자는 이런 관점이 총체적인 차원에서 헌법을 민주적으로 실현하는 길로 안내할 것이라고 확신한다. Under the democratic Constitution it is necessary to judge legal legitimacy at every stage in legal realization. It is not the exclusive property of the judiciary but rather the prerequisite for legislation process, administrative policy judgement and law-abiding individuals as well. The Constitutional Court understandably has decided that due process of law means not only procedural due precess but also substantive due process in the past. In everywhere, however, there are enormous logical inconsistencies. The judgement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n legitimacy is to guarantee constitutional values at a minimum rather than force into maximizing social ideals. The Constitutional Court, therefore, should not avoid judging the legitimacy. Also, we should not afraid to think about having legitimacy to comply with the law. State power is expected to do legally with legitimacy. We should not formalize the legitimacy as constitutional values. In any case, a major infraction of legitimacy is a major illegality and a minor violation of legitimacy is just a minor illegality.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only the minor illegal state power with minor violation of legitimacy. We should not approve unjustified but legal state power. 'Legality without legitimacy' is illegal. Equally, 'legitimacy without legality' is meaningless. Consequently, legality and legitimacy have a distinct meaning, but those can be described as a concept which should only rely on each other. I argue that this point of view will lead us to realize the democratic Constitution.

      • KCI등재

        Getting Democratic Legitimacy for the Korea-U.S. Free Trade Agreement

        Jinyul Ju(주진열) 한국국제경제법학회 2009 국제경제법연구 Vol.7 No.1

        한미FTA의 비준동의를 위해서는 행정부 조약 체결ㆍ비준 차원에서의 헌법적 정당성, 경제적 정당성, 민주적 정당성 등이 요구된다. 현재 한미FTA는 헌법적 정당성, 경제적 정당성 등은 충족시키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나, 민주적 정당성 확보는 미흡한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한미 FTA가 민주적 정당성을 충분히 갖고 있기 때문에, 한미 FTA는 비준동의를 얻을 수 있다고 믿어왔다. 그러나 한미FTA는 한국경제의 파멸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고 있는 한미FTA 반대 NGOs가 이끈 전국적 규모의 격렬한 한미FTA 반대 시위 및 야당의 비준동의 반대에서 알 수 있듯이, 경제적 정당성만으로 아무런 사회적 갈등 없이 한미FTA의 비준동의를 얻기란 쉽지 않다. 사실 한미FTA 반대론자들의 논거에 허점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한미FTA 반대운동이 대중으로부터 상당한 지지를 얻으며 전국규모로 빨리 확산된 이유는 바로 정부가 주로 경제적 정당성에만 초점을 둔 나머지 민주적 정당성 확보에는 소홀했기 때문이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한미FTA의 민주적 정당성 확보를 위해서는, 한미FTA 반대론자들의 반미 감정, 반 자유무역 감정 등을 합리적 의사소통을 통해 체계적으로 해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정부는 설사 한미FTA 반대론자들의 주장에 비합리적인 부분이 있더라도, 이를 단순히 무시해서는 안 되고, 한미 FTA가 궁극적으로 공익에 봉사할 것이라는 점을 대화를 통해 충분히 설득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한미FTA 반대운동의 주된 동력인 반미 감정 및 반 자유무역 감정은 대화와 설득만으로는 쉽게 해소될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사회적 갈등을 최소화하면서 한미FTA 비준동의를 위해서는, 정부는 반대론자들과의 대화와 설득을 통하든 프로파간다(propaganda)플 이용하든 민주적 정당성을 보다 더 확보할 필요가 있다. The congressional ratification of a free trade agreement (FTA) without serious social conflict needs constitutional legitimacy, economic legitimacy, and democratic legitimacy. With regard to Korea-U.S. Free Trade Agreement (KORUS), it seems that it already has constitutional and economic legitimacies, but not enough democratic legitimacy. It seems that the Korean government believe that KORUS has no problem for the congressional ratification because it has strong economic legitimacy. However, nationwide and furious anti-KORUS movement requires the government to re-think the value democratic legitimacy for KORUS. Even though NGOs' arguments against KORUS are fragile, they could get wide support from the public. In my view, it is because the government did not pay much attention to get democratic legitimacy, and just ignoring NGOs' protests. The government should learn its traditional authoritative attitude may stir up furious anti-government movement which would cause tremen- dous social cost. For the congressional ratification of KORUS without serious social conflict, the government needs to get more democratic legitimacy through either talking and persuasion with the oppo- nents or much more deliberate propaganda.

      • KCI등재

        일선 경찰관의 민주적 법집행의지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자기정당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승현 한국공안행정학회 2023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32 No.3

        여러 연구를 통해 민주적 경찰활동에 대한 경찰의 자기정당성의 영향력이 규명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22년부터 경찰의 관점에서 정당성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는 아직 국내에서는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 않은 자기정당성 개념을 소개하고, 자기정당성을 매개변수로 하는 단일모형에서 준거변수 그리고 예측변수와의 선형관계가 하나의 구조로 예측될 수 있는지 평가하기 위해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예측변수 중 시민과의 관계만이 민주적 법집행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공정성과 상사와의 관계의 영향력은 확인되지 않았다. 매개변수 중에는 자기평가 정당성만이 민주적 법집행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부정당성의 영향력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시민과의 관계가 민주적 법집행의지에 미치는 영향력을 자기평가 정당성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론적으로는 외부정당성이 시민과의 관계와 더욱 밀접한 관계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자기평가 정당성을 통한 간접효과가 도출된 결과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를 통해 보완될 여지가 존재한다. 경찰의 자기정당성을 연구함으로써 경찰의 정당성을 측정하고 해석하는 과정에서의 편향과 왜곡을 줄일 수 있다. 경찰정당성이 의사결정의 규범적 측면에 집중함으로써 형사사법전략의 주요한 지위를 차지했듯이, 자기정당성을 통해 경찰 정당성을 시민과 기관의 관점에서 평가하고 비교함으로써 법집행기관의 규범적 측면에 집중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Numerous studies have identified the impact of police self-legitimacy on support for democratic policing. In Korea, a study exploring legitimacy has been underway from the law enforcement's perspective since 2022. This study introduced the concept of police self-legitimacy, which employ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o evaluate whether a linear relationship could be predicted in a single model, with self-legitimacy as a mediator,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only the relationship with citizens significantly affected the support for democratic policing.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the relationship with superiors, however, was not exist. Among the mediator, it was evident that only self-assesed legitimacy influenced the support for democratic policing, whereas the effect of external legitimacy was not exist. Additionally, the study found that self-assessed legitimacy mediated the influence of citizen relationships on the commitment to support democratic law enforcement. Theoretically, it was anticipated that external legitimacy would exhibit a stronger connection with citizens. So, further exploration should be needed to understand the outcomes via indirect effects mediated by self-assessed legitimacy. This study offers the opportunity to shift the focus towards the normative aspects of law enforcement. By contrasting other viewpoints of both citizens and police police legitimacy, police legitimacy can be comprehended more systematically.

      • KCI등재

        중국 공산당의 정당성 분석 -공리 실현 정당성과 제도화의 정당성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서은빈 ( Eun-bin Seo ),소영화 ( Young-hwa So ) 한중사회과학학회 2023 한중사회과학연구 Vol.21 No.3

        중국 공산당의 정당성은 정치 발전론의 입장을 중심으로 그 당위적 취약성에 대해 주로 논의되어왔으나 이러한 분석은 중국 공산당의 정당성이 어떤 내용을 가지는지, 어떤 취약성을 가지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답을 제시하지 않는다. 본고는 정당성 개념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중국 공산당 정당성의 내용을 공리의 실현으로 제시하고 공리 실현에 실패할 경우, 중국 공산당의 정당성이 훼손됨으로써 위기를 맞닥뜨릴 것이라 주장한다. 마르크스-레닌주의에 따라 중국 공산당은 인민을 바른 방향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자임하며 모든 중국 인민의 이익을 위한 방향을 주도적으로 결정해왔다. 모든 중국 인민의 이익 실현이라는 정당성을 획득한 중국 공산당은 정당성 보전을 위해 공공 대변능력, 공리 대변 능력을 강조하며 실질적으로 공리를 실현하는 모습을 보인다. 공공 대변 능력은 중국 공산당이 대표하는 계층의 확대, 반부패 운동을 통해 강조되며 공리대변 능력은 지도자 선발 기준으로 현능주의 제시, 지도 사상의 당장 및 헌법 삽입을 통해 드러난다. 중국 공산당의 공리 실현에서는 막대한 자율성을 바탕으로 당 주도의 평가와 목표 설정이 이루어진다. 한편, 안정적 공리 실현의 기반을 만들기 위한 제도화가 이루어지기도 하나, 이는 중국 공산당 정당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가지는 것은 아니며 공리 실현이라는 핵심 목적을 위해 제도화 혹은 탈제도화가 이루어진다고 보아야 한다. 중국 공산당의 정당성 위기와 그 극복 사례로는 공리 실현의 실패가 명백하게 드러난 문화대혁명과 천안문 사태를 제시할 수 있다. 두 사례는 경제 발전이라는 공리 실현을 통해 극복되었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한편, 전자의 경우, 덩샤오핑 중심의 중국 공산당 지도부가 이전 지도부와 새로운 지도부를 분리함으로써 통치 주체의 차별화를 이루어내며 정당성 보전에 성공했다. 후자의 경우, 사건 자체를 반체제적인 것으로 규정하여, 내부의 오류가 아닌 외부의 오류로 사건을 해석하고 공리 실현 실패에 대한 논의를 피해 가는 모습을 보였다. The legitimacy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has been mainly discussed based on the theory of political development, but this analysis does not provide a clear answer to what CCP’s legitimacy is and what vulnerability it ha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ncept of legitimacy, this paper presents the content of CCP’s legitimacy as the fulfillment of the public interests, and argues that if it fails to fulfill it, it will face a crisis by undermining the legitimacy. According to Marxism-Leninism, CCP has dominated the determination of the direction for the benefit of all Chinese people, taking the role of guiding the people in the right direction. CCP, which has gained the legitimacy of fulfilling the interests of all Chinese people, emphasizes public representation and public interests representation to preserve its legitimacy and actually fulfills public interests. Public representation ability is emphasized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class represented by CCP and the anti-corruption movement, and utilitarian representation ability is revealed through presenting meritocracy and inserting leadership ideas into the Constitution. In the fulfillment of CCP’s public interests, party-led evaluation and goal setting are made by its enormous autonomy. On the other hand, institutionalization is also made to create a foundation for the fulfillment of a stable public interests, but it does not have a decisive impact on the legitimacy of CCP, and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institutionalization or deinstitutionalization is made for the core purpose of fulfilling public interests. The Cultural Revolution and the Tienanmen Incident, in which the failure to realize the public interests was clearly revealed, can be presented as the examples of the legitimacy crisis and its overcoming. The two cases are common in that they have been overcome through the realization of the economic development. However, in the former case, Deng Xiaoping-leadership succeeded in preserving legitimacy by differentiating the governing agents. In the latter case, the case itself was defined as antiestablishment movement, interpreting the case as an external error rather than an internal error and avoiding discussion of the failure to realize the public interests.

      • KCI등재

        CSV와 CSR간의 진정성과 정당성 지각 비교

        유문주(Yoo, Moon Ju),허희영(Hurr, Heeyoung),이성근(Yi, Seong Keu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6 문화산업연구 Vol.16 No.4

        CSV는 처음부터 기업의 가치를 염두에 두고 시작된 만큼 재무적 성과에 상관없이 CSV에 대해 소비자들은 기업의 CSV 활동의 진정성과 정당성을 지각해야만 기업과 기업이 생산하는 제품에 대해 우호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소비자들이 기업이 창출하는 두 개의 가치적 결과, 즉, 사회적 가치와 기업적 가치간의 관계를 의심하지 않고(진정성의 지각), 나아가 정당하다고 생각한다면 CSV의 활동은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게 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성 지각과 정당성 지각은 그러한 태도적 요소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수들이다. 이 연구는 CSV가 CSR를 대체할 수 있다는 선행연구자들의 제안에 근거하여, CSR의 효과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수 중 진정성과 정당성에서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를 CSR과 비교를 통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CSV는 CSR에 비해 진정성 지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당성 측면에서는 실용적 정당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연구의 전략적 의미를 도출해보면 CSV는 CSR에 비해 기업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진정성 지각과 정당성 지각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CSV가 CSR에 비해 기업의 사회활동에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정당성의 다른 측면인 도덕적(윤리적) 정당성 측면에서는 CSV가 CSR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나 CSV에 대한 본격적인 평가는 CSV활동이 보다 보편화되는 시기에는 다른 결과를 보일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Recently, the concept of creating shared value(CSR) has been treated as a important tool to analyze the level of being societalized. Compared to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CSV is much more suitable to basic spirit of the capitalismfromthe point of view which it seeks the value of the company and the value of the society simultaneously. For that reason, the concept creator Porter and Kramer(2011) started their paper with tha phrase “Capitalist systemus under siege...”.When companies seek tomaximize their revenue and profit, the society will givemuch pressure to the company. So, seeking the company value and society value simultaneously will be exit to the pressure and will gain high appraisal from the society. The advantage of the CSV lies in the clarity of the reason of the business activity. The disadvantage of CSR is obscurity of their activity which means donation or sharing of the profit from the point of the capitalist. The companies have various stakeholders such as shareholders, investors, and so forth. Sometimes CSR activities can not satisfy the needs of stakeholders. However, CSV can satisfy most of the stakeholders such as shareholders, investors, government, community and so forth. In spite of themuch advantages of CSV, people doubts themotive of CSV like CSR. Really can CSV acquire the goal of society and the goal of the company simultaneously as expected? So the perception of authenticity and legitimacy is very important. when people perceive high level of authenticity and legitimacy, CSV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ompany evaluation. Otherwise, the effect of CSVwill end shortly. Based on those ideas, I analysed the perception of authenticity and legitimacy from the comparative point of view with CSR.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subjects perceived higher levels of authenticity and pragmatic legitimacy in CSV, compared to CSR. But they perceived higher levels of moral legitimacy in CSR than CSV as expected. And like pre-studies, capability of the company did a moderating role in the perception of authenticity. Fromthis study, I can draw a clear conclusion that CSV is better social activity than CSR fromauthenticity and pragmatic legitimacy. Also I can infer fromthe research conclusion that CSV ismore effective in building affirmative attitude toward the company.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lies in the familiarity of CSV concept. I operated the concept of CSV with article of newspaper. I wonder that subjects are familiar with the company’s social activities and they have enough ability to evaluate them.When CSV concept get to be discussed much more sufficiently to the people, what will happen to the study? CSV는 처음부터 기업의 가치를 염두에 두고 시작된 만큼 재무적 성과에 상관없이 CSV에 대해 소비자들은 기업의 CSV 활동의 진정성과 정당성을 지각해야만 기업과 기업이 생산하는 제품에 대해 우호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소비자들이 기업이 창출하는 두 개의 가치적 결과, 즉, 사회적 가치와 기업적 가치간의 관계를 의심하지 않고(진정성의 지각), 나아가 정당하다고 생각한다면 CSV의 활동은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게 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성 지각과 정당성 지각은 그러한 태도적 요소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수들이다. 이 연구는 CSV가 CSR를 대체할 수 있다는 선행연구자들의 제안에 근거하여, CSR의 효과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수 중 진정성과 정당성에서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를 CSR과 비교를 통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CSV는 CSR에 비해 진정성 지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당성 측면에서는 실용적 정당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연구의 전략적 의미를 도출해보면 CSV는 CSR에 비해 기업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진정성 지각과 정당성 지각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CSV가 CSR에 비해 기업의 사회활동에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정당성의 다른 측면인 도덕적(윤리적) 정당성 측면에서는 CSV가 CSR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나 CSV에 대한 본격적인 평가는 CSV활동이 보다 보편화되는 시기에는 다른 결과를 보일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Recently, the concept of creating shared value(CSR) has been treated as a important tool to analyze the level of being societalized. Compared to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CSV is much more suitable to basic spirit of the capitalismfromthe point of view which it seeks the value of the company and the value of the society simultaneously. For that reason, the concept creator Porter and Kramer(2011) started their paper with tha phrase “Capitalist systemus under siege...”.When companies seek tomaximize their revenue and profit, the society will givemuch pressure to the company. So, seeking the company value and society value simultaneously will be exit to the pressure and will gain high appraisal from the society. The advantage of the CSV lies in the clarity of the reason of the business activity. The disadvantage of CSR is obscurity of their activity which means donation or sharing of the profit from the point of the capitalist. The companies have various stakeholders such as shareholders, investors, and so forth. Sometimes CSR activities can not satisfy the needs of stakeholders. However, CSV can satisfy most of the stakeholders such as shareholders, investors, government, community and so forth. In spite of themuch advantages of CSV, people doubts themotive of CSV like CSR. Really can CSV acquire the goal of society and the goal of the company simultaneously as expected? So the perception of authenticity and legitimacy is very important. when people perceive high level of authenticity and legitimacy, CSV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ompany evaluation. Otherwise, the effect of CSVwill end shortly. Based on those ideas, I analysed the perception of authenticity and legitimacy from the comparative point of view with CSR.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subjects perceived higher levels of authenticity and pragmatic legitimacy in CSV, compared to CSR. But they perceived higher levels of moral legitimacy in CSR than CSV as expected. And like pre-studies, capability of the company did a moderating role in the perception of authenticity. Fromthis study, I can draw a clear conclusion that CSV is better social activity than CSR fromauthenticity and pragmatic legitimacy. Also I can infer fromthe research conclusion that CSV ismore effective in building affirmative attitude toward the company.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lies in the familiarity of CSV concept. I operated the concept of CSV with article of newspaper. I wonder that subjects are familiar with the company’s social activities and they have enough ability to evaluate them.When CSV concept get to be discussed much more sufficiently to the people, what will happen to the study?

      • KCI등재

        이익과 안정복의 東國正統論 재검토

        김경태 고려사학회 2018 한국사학보 Vol.- No.70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various things changed in the historical narratives. It is said that the comprehension on the national narrative, especially on the ancient time period, had been reinforced since 17th century. New approaches were presented, which comprehend Korean history through the genealogy from Tan’gun(檀君), Kija(箕子), Wi Man(衛滿) to the Three Han States(三韓). The ‘legitimacy theory’ became significant basis in the historical narrative. This paper is an attempt to compare the two important works among diverse versions of legitimacy theory: ‘the three Han legitimacy theory’ asserted by Yi Ik and Dongsa Gangmok written by An Jeongbok. The latter being influenced by the former, comparison of the two would help to understand the progress of legitimacy theory. Yi Ik discovered the legitimacy of Mahan(馬韓) from periodical, genealogical, and historical dimension. An Jeongbok, availing the legitimacy theory, glorified Tan’gun and highlighted Mahan. Tan’gun and Mahan were recreated: Tan’gun as a moral monarch who had no choice but to accept the Chinese culture due to periodical and geographical reasons and Mahan as a state which passed the genealogy of Kija down to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r and held the dignity of the legitimate state for long time. Legitimacy needed its opponent: the conducts of Wiman were defined as the first usurpation in the Korean history. The authors differentiated the legitimate succession from the usurpation of the throne, thereby establishing a basis of discerning where legitimacy was. While Yi Ik tried to explain his era through ‘the three Han legitimacy theory’, An Jeongbok attempted to describe Korean history based on the legitimacy theory in his work Dongsa Gangmok. The historians in the Late Joseon period were subject to both sino-centric worldview and historic understanding of Korea as a legitimacy. Yet it is hard to find their intention to replace the Chinese history. Nor did they deviate sharply from the sino-centric world view. Until recently, it was the center of academic attention to find the juncture at which Korean historical works broke bounds of sino-centric view. Yet the historians of late Joseon period did not attempt to escape from the real world where they lived: their object of ‘escaping’ from the sino-centric world view was to justify what they understood the world. In the progress of view of history, there existed a series of phases including chauvinism and nation-centrism. It is hard to find the such case among the historians of late Joseon period. We should remember the fact that the end of nation-centrism was not positive at all. Keeping it in mind, we need to ruminate orientation and attainment of the view of history in the late Joseon period. 조선후기의 역사 서술에서 고대사에 대한 인식은 17세기~18세기 이후 강해진 것으로 평가된다. 단군-기자-위만과 삼한으로 이어지는 역사에 대한 새로운 계보화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 정통론은 역사서술의 중요한 기준이 되었다. 본 글에서는 조선후기 동국 정통론의 시작점 중 하나인 李瀷의 「三韓正統論」과 安鼎福의 『東史綱目』을 분석하여 정통론의 추이를 살펴보았다. 이익은 「三韓正統論」에서 마한의 시기적 정통성, 계보의 정통성, 역사적 정통성을 발견했다. 『東史綱目』에서 안정복은 정통론을 기준으로 삼아 단군을 앞세우고 마한을 부각했다. 단군은 시기적으로도 지리적으로도 중국의 문화를 전수받을 수밖에 없는 위치에 있었던 도덕군주로, 마한은 기자의 계통을 남쪽으로 이어 주고, 장기간 정통국가로서의 위엄을 지녔던 국가로 재탄생했다. 정통을 만들기 위해서는 그에 대비되는 존재도 발견해야만 했다. 위만의 행위는 우리나라 최초의 찬탈로 규정되었다. 선행 연구에서는 조선후기 역사서가 언제 화이관을 탈피하는지, 그들이 입각한 정통론이 어느 정도의 자주성을 가지는지에 시선을 집중하였다. 그러나 이익과 안정복은 중국 중심의 중화주의적 세계관과 동국정통론적 역사인식을 모두 지니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중국의 문화적 전통과 전수를 중요시하면서도, 중국사에 대한 일정한 주체의식과 청에 대한 위기의식을 함께 볼 수 있다. 하지만 동국 중심의 세계관 속에서 자국사를 서술한다거나, 중국사를 대체하겠다는 의도는 보이지 않았다. 「三韓正統論」과 『東史綱目』은 당대의 국제 정세 속에서 조선의 정체성을 정통론이라는 이념으로 정당화하고, 정통론을 기준으로 삼아 자국사를 서술하려는 의도에서 만들어진 역사서였다.

      • KCI우수등재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야누스 효과

        이수정(Soo Jung Lee),윤정구(Jeong Koo Yoon) 한국경영학회 2011 經營學硏究 Vol.40 No.4

        Most research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has primarily taken the perspectives of investors or customers, who are the external stakeholders of the company. The research focus is the effects of CSR activities on the company`s financial performance and customers` perceived brand image or their intention to buy. The neglected perspective, that of employees, however, is critical to understand how CSR affects company performance. The success of the company is critically mediated by employees who interpret the activity of corporate CSR and mobilize commitments and work motivation based on their interpretation. Despite the importance of employees in corporate CSR, there are few studies that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CSR through the lens of the employees. Furthermore, previous researchers who explored the effects of CSR taking the employees` perspectives have not recognized the difference between external stakeholders and employees. Since employees as internal stakeholder can have relatively more access to information about the company intention for CSR than can external stakeholders, they derive different values and goals by interpreting this information and respond differently from investors or custom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employees` perceptions of CSR legitimacy influence on thei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and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CWB). We conceptualizes legitimacy as two components: external legitimacy and internal legitimacy. When employees attribute the motive of CSR to firm`s competitive advantage, they will interpret the firm`s CSR as a window-dressing corporate behavior, which is explained by external legitimacy. In contrast, employees will interpret the firm`s CSR to be based on the firm`s authentic behavior when they attribute the motive of CSR to attain firms` mission or vision,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concept of internal legitimacy. It is predicted that employees will engage in more OCB and less CWB when they perceive that CSR reflects internal legitimacy. On the other hand, it is hypothesized that employees will exhibit more CWB and less OCB when they perceive that CSR reflects external legitimacy. In addition, it is proposed that employees` cynicism about CSR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employees` perceptions of CSR legitimacy and their OCB and CWB. We tested the hypotheses with the sample of 399 employees from 38 companies that represent the population of Dow Jones Sustainability Indexes(DJSI) Korea 2009 survey. The results of LISREL analysis confirmed that all the predictions of this study were supported. The internal legitimacy increas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decreases the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through dampening the perceptions of cynicism on CSR. In contrast, the external legitimacy decreas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increases the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by intensifying the perceptions of cynicism on CSR. We indicated the effects reflected the janus effects, because legitimacy play two distinct roles on corporate CSR. We highlight that CSR enhances OCB and reduce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when employees perceive the authentic motive with internal legitimacy. However, it shows a ugly face when employees conceive it as reflecting purely instrumental motives with external legitim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