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opulation Invariance Properties of Social and Economic Networks

        ( Young Sub Chun ),( Sung Hoon Hong ),( Bong Chan Koh ) 한국국제경제학회 2013 한국국제경제학회 학술대회발표 논문집 Vol.2013 No.4

        In the traditional framework of network formation models, a set of agents is assumed to be xed.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in- vestigates how a network changes upon the arrival of a new agent. More precisely, for the given set of agents, suppose that a pairwise stable network is initially constructed. When a new agent enters the network, the initial network may not be pairwise stable. A new net- work will be constructed through an improving path from the initial network. Eventually, for the new set of agents, a pairwise stable net- work or networks in a closed cycle will be obtained. Comparing the new networks with the initial network, we propose four di®erent pop- ulation invariance properties of a network: link invariance, distance invariance, connectedness invariance, and network invariance. First, we show that pairwise stability is incompatible with link invariance under mild assumptions on allocation rules. However, if we consider specic models, positive results can be obtained. For instance, in the symmetric connections model, pairwise stability implies connectedness invariance.

      • KCI등재

        육상선수들의 수준별 탈진 동일성 검증

        한시완 ( Si Wan Han ),김방출 ( Bang Chool Kim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1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2 No.1

        운동선수는 최상의 운동수행을 위한 과다훈련 상황에서 신체적 및 정신적으로 자신의 에너지를 다 소모해버리는 상태를 의미하는 탈진을 경험하게 된다. 탈진이 수행에 있어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탈진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Raedeke과 Smith(2001)는 운동 상황에서 발생하는 선수들의 탈진 요인들을 측정하는 운동선수 탈진 질문지(Athlete Burnout Questionnaire: ABQ)를 개발하였다. ABQ는 3가지 하위요인들(정서적/신체적 소모, 성취감의 저하, 스포츠 참여에 대한 평가절하)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는 ABQ의 하위요인들이 수준(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에 따라 동일한 구조적 타당도를 보이는가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ABQ 하위요인들을 사용하여 수준 집단으로 구성된 운동선수들(437명)의 탈진을 측정하고, 다집단 분석(multi-group analysis) 통하여 집단 간의 동일성을 검증했다. 다집단 분석 결과, 수준 집단에서 ABQ의 구조 동일성(형태동일성, 측정동일성, 절편동일성, 요인분산동일성)이 검증되었다. 이 결과는 ABQ를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운동선수들에게도 모두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을 제시해 주고 있다. 잠재평균 분석 결과, ABQ 하위요인 중 성취감의 저하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중학생, 대학생보다 고등학생이 높은 수준이었고, 효과크기는 중간수준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ABQ 동일성 검증의 통계적 의미와 운동 상황에서의 탈진 측면에서 논의되었다. Athletes are often experiencing burnout from excessive daily practices. It has been recognized that athletes` burnout exerts negative influence on their performance. This understanding attracted significant amount of attentions from scholars, which resulted in diverse studies on burnout. Raedeke and Smith (2001) developed Athlete Burnout Questionnaire (ABQ) to measure the level of burnout among athletes. ABQ is composed of three sub-constructs of emotional and physical exhaustion, reduced sense of accomplishment, Devaluation of sport participation. The current study examined whether the three sub-constructs of ABQ had construct invariance among three different levels of middle school, highschool, and college students. To accomplish the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437 athletes. A multi-group analysis was employed to examine the invariance among the three groups of data.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cale was invariant among the thee groups in terms of configural invariance, measurement invariance, scalar invariance, and factor variance invariance. This indicates that the scale can be applied to the three groups expecting that the respondents in the three group should react to the items equally for the three sub-constructs of emotional and physical exhaustion, reduced sense of accomplishment, Devaluation of sport participation. The results of the latent means analyses indicated that the mean scores of reduced sense of accomplishmen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 difference. The mean score from high schoo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middle school and college students. The effect size, which was measured with Cohen`s d was medium. A further discussions on the use of ABQ and its invariance among the three groups is presented.

      • KCI등재

        영과잉 자료의 측정동일성 검증: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과 2-부분 요인분석 모형의 적용과 비교

        김미림 한국교육평가학회 2023 교육평가연구 Vol.36 No.3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GCFA) is a common tool for testing factorial invariance within structural eqaution modeling (SEM) framework; however, a two-part factor model might be more appropriate for zero-inflated measures due to the severe non-normality of the data. Nevertheless, testing the factorial invariance of zero-inflated variables using the two-part factor model is uncommon. To fill that gap in the literature, the current study demonstrated the use of two-part factor model for testing factorial invariance of highly zero-inflated measures and compared the result to the MGCFA’s. The two models led to different factorial invariance results on the zero-inflated measures. The two-part factor model supported full scalar invariance of the continuous-part model whereas the MGCFA concluded only partial metric invariance. Thus, applying a different factor model brought different conclusions about factorial invariance when the measures were zero-inflated.

      • KCI등재

        단축형 군 생활적응척도의 타당화 및 측정불변성 검증

        김정은 ( Jungeun Kim ),박병선 ( Byungsun Park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5

        본 연구는 병사들의 군 생활적응 척도에 대한 타당화 및 측정불변성을 검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해군, 해병대, 육군, 공군의 병사 546명의 자료에 대해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과 집단 간 측정불변성 검증을 위해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 생활적응 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요인구조가 자료와 잘 부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측정불변성검증에서 해군-해병대 집단의 경우 절편불변성, 해군-육군, 해군-공군, 해병대-공군, 육군-공군 집단의 경우는 요인부하량불변성, 해병대-육군 집단에서는 형태불변성까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해군, 해병대, 육군과 공군의 4집단에 대한 측정불변성은 요인부하량불변성 모형까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Short-form Military Life Adjustment Scale and th test it is measurement invariance. For this, 546 soldiers of Navy, Marine Corps, Army, and Air Force were analyzed using 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 multiple-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below. First, the Short-form Military Life Adjustment Scale was fit well to the data. Second, its factor model showed that the measurement invariance to ‘intercept invariance’ sustained between Navy and Marine Corps. And its factor model showed that the measurement invariance to ‘factor loading invariance’ sustained between two groups Navy-Army, Navy-Air Force, Marine Corps-Air Force, and Army-Air Force. Third, the measurement invariance to ‘factor loading invariance’ sustained among four groups Navy, Marine Corps, Army, and Air Force. The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for future studies.

      • KCI우수등재

        다지표 잠재성장모형에서 요인동일성과 요인척도 설정의 문제: 모형 적합도와 모수 추정값에 미치는 영향

        박송이,장승민 한국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7 No.1

        The multiple-indicator latent growth model (MI-LGM) is a second-order confirmatory factor model that analyzes latent trajectories of a factor measured by multiple indicators over time. Although MI-LGM can test the factorial invariance of indicators and estimate trajectories of a latent variable controlling measurement error, model fit and parameter estimates of the model may vary depending on factor scaling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factor scaling methods, given a specified level of factorial invariance, change the meaning of the factor mean and thus affects the model fit and parameter estimates of MI-LGM. The authors first explored how factorial invariance and factor scaling affect the definition of factor means and the model fit in longitudinal factor analysis models. Next, they showed that constraining the sum of the indicator’ intercepts to zero creates a clear definition of the factor mean and the constraint provides consistent results and interpretation of the means of growth factors in the MI-LGM even under the weak factorial invariance. An analysis of actual panel data then illustrated such characteristics of the MI-LGM. Finally, the authors discussed the importance of factorial invariance and factor scaling in the analysis of mean and covariance structure models and that of using the strong factorial invariance when modeling the MI-LGM. 다지표 잠재성장모형(LGM)은 여러 관측변수에 의해 측정되는 요인의 시간에 따른 변화 궤적을 2차 요인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모형이다. 다지표 LGM은 여러 가지 장점에도 불구하고 요인척도법에 따라 모형 적합도와 모수 추정값이 달라지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다지표 LGM에서 요인동일성의 수준과 요인척도의 설정 방식에 따라 요인 평균의 의미가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규명하고, 요인척도의 설정이 다지표 LGM의 모형 적합도와 모수 추정값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먼저 종단 요인분석 모형에서 요인동일성 제약과 요인척도법에 따라 요인 평균이 어떻게 정의되는지와 모형 적합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논의하였다. 또한 절편의 합을 0으로 제약하는 설정이 요인 평균을 어떻게 정의하는지 밝히고, 이러한 제약이 약한 요인동일성을 가정한 다지표 LGM의 성장 요인 평균에 대해 일관적인 분석 결과와 해석을 제공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패널 자료를 이용한 실제 자료의 분석을 통해 이와 같은 다지표 LGM의 특징을 예시하였다. 끝으로 평균공분산구조 모형의분석에서 요인동일성과 요인척도 설정의 중요성과 다지표 LGM에서 강한 요인동일성 모형을사용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다집단 확인요인분석: 모수 편파와 가변성 참조변인

        ( Brian F. French ),( Holmes Finch ) 순천향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29 No.-

        다집단 확인요인분석이 측정 불변성, 특히 요인 불변성 검사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다집단 확인요인분석에서는 어떤 모수를 제약하여 그 모수가 참조변인으로서 집단간 불변성을 가정하고 있다. 이러한 불변성에 대한 가정이 위반되면 집단간 실제 다른 모수를 발견하는 것이 어려워지는데, 그 이유는 가변성 참조변인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편파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상황에서 모수 편파의 정도를 조사하는 경험적 연구가 거의 없다. 이 연구의 목적은 가변성 변인이 존재할 때 세 가지의 확인 절차 방법에 의한 모수의 편파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모든 세 가지의 방법에서 편파가 발생하였으며, 편파는 특히 요인 부하량과 요인간의 상관관계에서 현저하게 나타났다.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CFA) is waxing as a method for examining measurement invariance and specifically, factor invariance. MCFA requires certain parameters to be constrained and assumes invariant across groups to act as referent variables. When this invariance assumption is violated, location of the parameters that actually differ across groups becomes difficult. This is, in part, due to the biased estimates resulting from the non-invariant referent. However, there is a dearth of empirical evaluation of the extent to which parameters are biased under this condition. This study examined parameter bias with three identification procedures in the presence of a non-invariant referent. Results suggest that bias is present across all methods, particularly in the parameters for the factor loadings and inter-factor correlations.

      • KCI등재

        Population Invariance of Equating by Repeater Status

        HeeKyoung Kim(김희경),Seonghoon Kim(김성훈) 한국교육평가학회 2010 교육평가연구 Vol.23 No.3

        이 연구에서는 미국의과대학입학시험 자료를 이용하여 초검자와 재검자 사이에 동등화의 집단불변성 원칙이 지켜지는지를 검증하였다. 동등화 방법으로는 3모수 문항반응이론에 근거한 진점수 동등화와 동백분위 동등화 방법이 이용되었고, 무선집단 자료 설계가 적용되었다. 동등화 차이를 수치로 나타내기 위하여 RMSD(Root Mean Squared Difference)와 SEED(Standard Error of Equating Difference)를 계산하였는데, 두 가지 지수에 의하면 미국대학입학시험 자료에서 초검자와 재검자 사이에 동등화 결과가 다르다는 결론이 얻어졌다. 본 연구의 주요한 기여는 집단불변성 원칙을 검증하기 위하여 동등화 오차를 고려한 SEED지수를 계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기존에 자주 쓰이던 RMSD지수와 비교하여 SEED지수의 활용성을 입증한 것이다. RMSD지수는 표본 크기에 영향을 많이 받는 제한점 때문에, 경우에 따라 SEED지수와는 다른 결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집단불변성 검증을 위해 RMSD 한 가지 지수만을 계산하는 것보다는 동등화의 무선적 오차를 고려할 수 있는 SEED지수를 계산하여 두 가지 지수를 모두 확인한 후 종합적인 결론을 내리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population invariance of equating for nonrepeaters and repeaters using Medical College Admission Test (MCAT) data. Three‐parameter logistic (3-PL) item response theory (IRT) true score and traditional equipercentile equating methods were used under the random groups equating design. Equating was found to be dependent on repeater status. This study introduced an approach for applying standard errors of equating (SEE) to assess population invariance. The results from this approach were compared to results from a previously suggested approach that does not incorporate SEE. The results from these approaches led to somewhat different conclusions about population invariance for repeaters and nonrepeaters. This study illustrates the importance of incorporation of SEE in assessing population invariance of equating.

      • KCI등재

        Validation of Yoon'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strument

        신현숙,박창기,김효진 한국간호과학회 2015 Asian Nursing Research Vol.9 No.4

        Purpose: The lack of reliable and valid evaluation tools targeting Korean nurs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CT) abilities has been reported as one of the barriers to instructing and evaluating students in undergraduate programs. Yoon'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YCTD) instrument was developed for Korean nursing students, but few studies have assessed its validity.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the YCTD. Specifically, the YCTD was assessed to identify its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measurement invariance. Methods: This was a validation study in which a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prenursing and postnursing practicum) survey was used to validate the YCTD using 345 nursing students at three universities in Seoul, Korea. The participants' CT abilities were assessed using the YCTD before and after completing an established pediatric nursing practicum. The validity of the YCTD was estimated and then group invariance test using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measurement compatibility of multigroups. Results: A test of the seven-factor model showed that the YCTD demonstrated good construct validity.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indings for the measurement invariance suggested that this model structure demonstrated strong invariance between groups (i.e., configural, factor loading, and intercept combined) but weak invariance within a group (i.e., configural and factor loading combined). Conclusions: In general, traditional methods for assessing instrument validity have been less than thorough. In this study,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measurement data allowed validation of the YCTD.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YCTD can be used for evaluating Korean nursing students' CT abilities.

      • KCI등재

        사례수 차이가 검사동등화의 집단불변성 원칙 검증에 미치는 영향

        김희경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2 No.2

        Population invariance studies usually use error statistics such as REMSD to assess the magnitude of equating differences. However, previous research indicated that the use of error statistics for comparing equating functions between subgroups which differ considerably in sample size tended to produce small values of statistics and led to misinterpretation of whether the equating was population invariant.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error statistics are sensitive to different sample sizes of subgroups. Also, alternative weighting schemes are implemented in computing error statistics to identify the weighting scheme that is the least sensitive to subgroup size. This study found that error statistics could increase or decrease solely due to different sample size. The weighting scheme that assigns the subgroup weights proportional to sample sizes of the subgroups produced the smallest changes in error statistics as the subgroup sizes varied. 집단불변성(population invariance)이란 검사동등화에 있어 필수 불가결한 원칙이다. 이 원칙에 따르면 동등화 결과는 어떤 집단을 사용하는지에 상관없이 항상 유일해야한다. 성별, 인종, 능력, 그밖에 여러 가지 중요한 특성에 따라 구분된 집단들이 검사동등화의 집단불변성 원칙을 충족하는지 검증하는 많은 선행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이러한 집단불변성 원칙 관련 연구에서 집단 간 동등화 차이를 수치로 나타내기 위해 REMSD(Root Expected Mean Square Difference)가 빈번히 계산 되었다. 하지만 비교하려는 집단들 간 사례수가 크게 차이나는 경우 REMSD값은 작아지는 경향이 있고 따라서 집단불변성 원칙의 평가가 실제와 다르게 판단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따라서 REMSD와 같은 오차 통계치를 판단 기준으로 사용하여 집단불변성 원칙을 평가하고자 할 때 사례수의 변화에 따라 얼마나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지 검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집단의 사례수가 REMSD 계산에 실제로 얼마나 민감한 영향을 끼치는가를 분석하였다. 또한 REMSD 계산 과 정에서 각 집단에 부과되는 가중치(weight)를 결정할 때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가중치를 부여하여 사례수에 보다 덜 민감한 REMSD값을 구할 수 있는지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집단 간 사례수 차이에 따라 오차 통계치(RMSD)의 값이 원래보다 커지거나 작아지기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비교하려는 집단 간 크기가 서로 비슷하지 않고 불균형한 경우 REMSD값을 사용하여 집단 불변성 원칙을 평가하고자 하는 것에 대해 유의해야 할 것이며, 사례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 판단 기준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페트리네트의 T-invariance를 이용한 시스템의 고장진단

        정석권(SEOK-KWON JEONG),정영미(YOUNG-MI JUNG),유삼상(SAM-SANG YOU) 한국해양공학회 2001 韓國海洋工學會誌 Vol.15 No.4

        This paper describes a fault diagnosis method by a T-invariance of Petri Net (PN). First, a complicated fault system with some failure is modeled into a PN graphic expressions. Next, the PN model is analyzed by using the backward chaining of T-invariance to find out causes of the faults. In this step, an inter-node search technique which is suggested in this paper is applied for reducing searching area in the fault system. Also, a novel idea to compose incidence matrices which have different dimension each other in PN model is proposed. As the new knowledges which is discovered newly about faults can be added easily to conventional systems, the diagnosis system will be very flexible. Finally, the proposed method is applied to the automobile fault diagnosis system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