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선미인보감(朝鮮美人寶鑑)』의 문화사적 가치

        최식 ( Choi Sik ) 한국예술종합학교 세계민족무용연구소 2006 민족무용 Vol.10 No.-

        본고는 1918년에 발행된 『조선미인보감』의 문화사적 가치를 살펴보았다. 『조선미인보감』은 1910년대 각 권번과 조합의 예기 관련 정보뿐만 아니라, 문화의 교섭양상을 살필 수 있어 매우 값진 문화사적 가치를 내포하고 있다. 그 내용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상층 문화와 하층 문화의 교류이다. 경술국치 이후 악장과 정재로 대변되는 상층 문화는 쇠락의 길로 접어들고, 잡가·리곡·검무·승무 등 하층 문화는 그 나름 명맥을 유지한다. 당시 예기는 상층과 하층의 문화를 두루 섭렵하여 나름의 기예를 지니고 있었던 바, 그 문화적 교류의 중심축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둘째, 과거 문화와 현재 문화의 접목이다. 정재·가야금·현금·양금 등이 과거 문화에 해당한다면, 서양무도·내지무(일본춤)·쌍□질 가곡·장삼무등은 당시 새롭게 소개되고 유행하던 문화이다. 때문에 과거 문화의 바탕 위에 새로운 문화를 접목시키려는 시도가 이 무렵에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셋째, 자국 문화와 외래 문화의 만남이다. 일본 문화는 경술국치 이후 일본인의 국내 이주가 본격화되면서 급속하게 유입되었다. 그러므로 일본의 대표적인 현악기인 삼미선을 연주하고 이소부시(磯節)·나니와부시(浪花節·難破節)·돈돈부시(どんどん節) 등 일본의 유행가를 부르는 것이 당시 예기의 한 가지 기예로 자리매김할 정도였다. 이는 자국 문화와 외래 문화의 만남을 시사하는 것으로, 당시 외래 문화의 수용양상을 짐작하게 한다. 이상과 같이 』조선미인보감『은 1910년대 각 권번과 조합의 예기를 중심으로 서술하면서, 아울러 상층 문화와 하층 문화의 교류, 과거 문화와 현재 문화의 접목, 자국 문화와 외래 문화의 만남 등 문화사적 가치를 지닌다고 하겠다. 이러한 연구가 』조선미인보감『에 대한 기존 인식을 바꾸어 그 가치에 부합하는 정당한 평가를 도출하는데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I have researched cultural history value of 'Joseon beauty thesaurus' which published in 1918. 'Joseon beauty thesaurus' involves vary valuable history values not only 1910's each Keounbun's gisaeng and association but also data which can research approaching aspect. The contents can be divided by three. At first, there is the interchange between upper class and lower class. After 1910, the culture of upper class which spoke for Ackjang(樂章), Jungjae(呈才) and Chinese writing and the lower class of general public such as Jabga(雜歌), Laegok(俚曲), Sijo(時調), sword dance, and Buddhist dance maintained the existence. At that time, Eogi(藝妓) ranged over upper class and lower class culture, so it could perform the main role of the cultural interchange. Secondary, there is a cultural meeting between past and present. While Jungjae(呈才), Gayagum(伽倻琴), Hungum(玄琴) and Yanggum(洋琴) belong to existence culure which is transmitted from the past, the West dancing, Japanese dancing, aria, and Jangsammu are newly informed and prevailed culture. Therefore it is the striking situation to meet new culture based on existence culture. At last, there is a cultural meeting between own country and foreign country. After 1910, Japanese culture rapidly flowed in Korea because of increased immigration Samof Japanese people, so to play Japanese representative string instrument shamisen and to sing the Japanese latest song like Isobusi(磯節)·Naniwabusi(浪花節·難破節)·Dondonbusi(どんどん節) were so popular at that time. It means the meeting between own country and foreign country, so we can guess the accepting situation of foreign culture at these times. Likewise 'Joseon beauty thesaurus' mainly describes 1990's each Keounbun's gisaeng and association and it also shows the approaching aspect of culture such as interchanging of upper culture and lower culture, meeting of past culture and present culture and meeting of own country's culture and foreign country's culture. It means the cultural value of 'Joseon beauty thesaurus' and it also suggests the right appreciation and understanding of today's 'Joseon beauty thesaurus'. I expect this study can help to change the existence understanding of 'Joseon beauty thesaurus' and then derive the correspondence value of it.

      • KCI등재

        한국미용문화의 교류에 관한 연구 II

        오강수(Gang Su Oh),김성남(Sung Nam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lve into the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nation from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to the Joseon era in an attempt to find out the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beauty culture, the characteristics of its interchange and what stepped up the exchange. The exchange process was investigated in three stages: spreading, selecting and reinterpreting, and five different elements were selected as the factors of the interchange. In terms of spreading, whether the beauty culture circulated forcibly or not was examined. As for selecting, whether it was received in a functional or dysfunctional manner was considered. In regard to reinterpreting, whether it was fused or assimilated with new regions in a proper way as a product of exchanged beauty culture was checked. A content case study was conducted by analyzing hair styles in ancient tomb murals, ancient books, relics, genre painting, photos and additional relevant data. As a result, there was nonforced spread of beauty culture triggered by political elements in Goguryeo, which was followed by its functional assimilation. In Baekje, nonforced, functional assimilation took place due to artistic factors. In terms of exchange between Baekje and Japan, nonforced, functional fusion occurred because of religious environments. In Shilla, there was nonforced and functional assimilation caused by political elements. In the age of Nambukguk, nonforced and functional assimilation happened due to political elements. When Gache was exported from Bambukguk to the Tang Dynasty of China, that spread in a direct manner due to its artistic merits, which led to its functional fusion with the native beauty culture. In Bohai, there was nonforced direct spread of beauty culture due to ethnic relationship with Goguryeo, and then functional fusion took place. As to interchange between Bohai and the Tang Dynasty, nonforced and functional fusion occurred due to political circumstances. Concerning exchange between Goryeo and the Song Dynasty, nonforced and functional assimilation happened because of political environments. As for interchange between Goryeo and the Won Dynasty, there was assimilation marked by forced and dysfunctional reception that was rooted in political circumstances.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hair style of Goryeo was also fused with that of the Won Dynasty, as it was received in a nonforced and functional manner, thanks to its artistic merits. In the Joseon Age, nonforced and functional fusion took place due to ethnic elements. Specifically, Gache was assimilated in a nonforced and functional way due to its artistic strength.

      • KCI등재

        민간영역 국제문화교류의 양상에 대한 고찰 : 한국 민간문화단체와 일본 우타고에운동의 문화교류를 중심으로

        강현정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1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0 No.5

        이 연구는 한국 민간문화단체와 일본 우타고에운동의 문화교류에서 발생된 ‘쌍방향의 문화교환’과 ‘다자간의 문화횡단’을 주목하여 민간영역의 국제문화교류에서 나타나는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민간영역의 국제문화교류에서 보여지는 교류방식은 과거 국가 간에서 이루어졌던일방향의 국제문화교류와 차이가 있으며 그에 따라 변화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첫째, 쌍방향의 문화교환은 동등한 위치를 가진 주체로 가능해지는데 이 주체들은 문화행위를 주고받으면서 문화교환이 나타나고 문화행위뿐만이 아니라 보다 적극적으로행위에 담긴 내적 의미의 교환까지도 주고받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 더 나아가 한국민간문화단체와 일본 우타고에운동의 지속적인 쌍방향의 문화교환은 다자간의 문화횡단으로의 발전을 보여준다. 둘째, 다자간의 문화횡단은 다층적으로 이루어진 다양한집단이 문화교류를 통해서 서로 얽혀지면서 발생하게 된다. 한국 민간문화단체와 일본우타고에운동에서 보여지는 다자간의 문화횡단은 상호 간 소통하면서 새로운 공존의문화를 만들어 낸다. 이렇게 서로에 의한 공존의 문화가 만들어지면서 집단 간 영향을주고 실질적인 문화행위의 변화까지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 민간문화단체와 일본 우타고에운동에서 보여주듯이 민간영역의 국제문화교류는 문화교환에 대한 경험이 축적되고 반복되어 문화횡단의 양상으로 변화됨으로써 문화교환을 경험하는 사이에 문화횡단으로 이행된다. 이렇게 민간영역 한일문화교류에서 쌍방향의 문화교환에서 다자간의 문화횡단으로 연결되는 과정은 상호소통적인 관계가 단순히 문화교류뿐만 아니라 삶의 문화적 소통으로 확장됨으로써 이루어진다.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aspects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in the private sector by 'interactive cultural interchange' and 'multilateral transculturation', that appears in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n private cultural organizations and the Utagoe movement in Japan. The current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in the private sector differs from the one-way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between countries in various aspects in the past. First, in the interactive cultural interchange, subjects in an equal position not only interchange cultural actions, but also actively interchange the inner meaning of the actions. Furthermore, in the case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a Korean private cultural organization and the Utagoe movement in Japan, it shows that the continuous interactive cultural interchange develops into a multilateral transculturation. Second, various multilayered groups are intertwined through cultural exchanges, resulting in multilateral transculturation. The Korean cultural organization and the Utagoe movement in Japan created a new culture of coexistence as mutual communication occurred due to transculturation. This culture of coexistence by each other can be created and influenced between groups, resulting in substantial group changes. As shown by the Korean private cultural organization and the Utagoe movement in Japan,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in the private sector does not appear as a separation of interactive cultural interchange and multilateral transculturation. Interactive cultural interchanges can occur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as they change into multilateral transculturation, and interchanges and crossings are mixed and intermediate.

      • KCI등재

        고군산의 최치원 문화원형 연구

        김성환(Kim Seong-Hwan) 인문콘텐츠학회 2009 인문콘텐츠 Vol.0 No.14

        이 글은 고군산-새만금 일대에 분포하는 최치원 문화유산을 소개하고 그 의미를 규명하며, 이를 새만금의 문화적 인프라와 콘텐츠 구축에 활용하자는 제안을 담고 있다. 최치원 문화유산은 물질적 잔존물인 유적과 비물질적 전승인 설화 등을 포괄한다. 최치원 문화유산은 전국적으로 분포하지만, 호남에서는 특히 새만금 권역인 고군산과 옥구 일대에 많이 남아있다. 최치원이 올라 노닐었다는 자천대를 비롯해 최치원을 제향하는 여러 서원과 향교가 있다. 특히 자천대는 조선 초기의 15세기 이전에 건립되어 전국적으로 유명세를 떨쳤으며, 최치원과 관련해 흥미로운 스토리를 담고 있다. 이런 문화유산들은 최치원의 고군산 출생설을 배경으로 한다. 최치원의 고군산 출생설은 조선시대의 여러 문헌에 이미 보이며 오랫동안 지역문화를 구성하는 핵심 소재로 전승되었다. 고군산의 섬과 연안 곳곳에 최치원의 탄생설화와 관련된 지명과 경관이 분포한다. 본문에서 그 내용과 의미를 살피고, ‘최치원’이 고군산 해양문화의 중요한 상징이었음을 밝힌다. 고군산의 최치원문화는 서해안시대 및 새만금개발과 연동되는 문화콘텐츠의 중요한 원천이 될 수 있으므로, 이에 기반을 둔 다양한 문화적 프로그램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In this writing, I intend to introduce the cultural legacy of Choe Chi Won existing across Gogunsan and Saemangum area and focus on the meanings and potential usage for developing cultural infrastructure and contents in Saemangum. Choe Chi Won’s cultural legacy includes both physical monuments and immaterial inheritance such as legends. Even though Choe Chi Won’s cultural legacy has influenced the whole country, most of them in Ho Nam Province can be found in Gogunsan and Ok-Gu, which belongs to the current Saemangum territory: Some examples are ‘Jachendae’, the place Choe Chi Won used to visit and take pleasure in and ‘Seo-Won’sand ‘Hyang-Gyo’s which are memorial sites for Choe Chi Won. Especially Jachendae, built earlier than 15th Century - early era of Choson, was very famous all over the country and a lot of interesting stories about Choe Chi Won have originated in this place. These cultural heritages are based on a belief that Gogunsan is Choe Chi Won’s birthplace. We can discover proven records backing this theory from the old documents of the ChoSon Period, which have been transmitted and conserved as important materials for identifying the regional culture. For instance, place names and sceneries of some islands of Gogunsan relate to the legends of Choe Chi Won’s birth. This article will discuss this subject and the meanings in depth in the following pages and explain that 'Choe Chi Won' is a significant symbol of Gogunsan’s marine culture. The Gogunsan culture of Choe Chi Won possesses enough potential and value to be utilized and developed as key cultural contents in alliance with opening and development of Saemangum and West Sea Era.

      • KCI등재후보

        新石器時代 南部地方 文物交流 樣相- 生業을 中心으로 -

        최종혁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08 石堂論叢 Vol.0 No.40

        Since the Neolithic period, two regions (southern parts of Korea and northern parts of Kyusu, Japan) that lies between the Straits of Korea has experienced a frequent interchange due to the similarities in natural environment, geographical condition and occupational environment, including diverse cultural exchanges. As result, each region experienced inflows of one another's culture and has left behind plenty of archeological specimens for the various studies. However, the study towards to the matter of occupation is not sufficient; even with the belief that it takes the most part of the prehistoric age's cultural exchange systems. In accordance with the group's purposes and beliefs, in general, it is true that the prehistoric times' occupation including the adaptiveness towards the same environmental conditions show different aspects.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focused on the two region's occupation types based on it's alterations of interchange system. As result, the main occupational activities of two regions were different for the time periods, and it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interchange aspects. In other words, by the time of middle era, both regions experienced a great change in the types of occupation. Deep-sea fishery, as an example of occupation type, we can define the changes in the main body of interchange activities based on its positiveness and passiveness activities. During the early and pre-period where the deep-sea fisheries were actively practiced in the southern coastal regions, there are relics of southern coastal regions in the northwestern regions of Kyusu. For the middle period where the deep-sea fisheries were actively practiced by the regions of northwestern Kyusu, there are relics from the regions of northwestern Kyusu in the southern coastal regions. The cultural properties that were exchangeable objects also showed differences by the time periods. For the early and pre-period, the main objects were based on the occupational tools such as earthenwares and building stones. For the latter of middle period, the accessories such as bracelets made out shellfish and streamers were the main objects of interchange. Accordingly, we could note that there were alterations in the two regions' interchange structures in accordance to the changes in occupation types, and it also influenced the interchangeable objects and systems, at the different time periods. 대한해협을 사이에 둔 두 지역(우리나라 남해안지역과 일본 北部九州지역)은 자연환경ㆍ지리적 조건과 생업환경의 유사성으로 선사시대부터 많은 문물 이동을 비롯한 교류가 빈번하게 행해졌던 곳이다. 그 결과 양 지역은 서로의 문화가 유입되어 많은 고고학적인 자료로 남아있어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선사시대 문물교류의 시스템 중,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생각되는 생업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편이다. 선사시대 생업은 같은 환경조건에서도 환경 적응력을 비롯해 집단의 목적ㆍ이념 등에 의해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두 지역의 생업유형을 중심으로 교류 시스템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두 지역에서는 주된 생업활동이 시기에 따라 달라 교류양상에 있어서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두 지역 모두 중기를 중심으로 생업유형에 큰 변화를 보이고 있으며 생업형태 중, 외양성 어업의 적극성과 소극성에 따라 교류활동의 주체가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남해안 지역에서 외양성 어업이 주로 행해진 조기〜전기에는 西北九州 지역에 남해안 지역의 유물이, 중기 이후에는 西北九州 지역에서 활발한 외양성 어업이 행해져 남해안 지역에 西北九州 지역의 유물이 많이 나타난다. 그리고 각 시기의 교류 대상인 문물도 변화를 보여, 조기ㆍ전기에는 토기와 석재 등의 생업도구, 중기이후는 조개팔찌ㆍ垂飾 등 장식품이 주 대상이 된다. 따라서 두 지역의 교류활동 형태는 생업유형의 변화에 따라 교류 시스템도 시기적인 변화와 교류품의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17~19세기 한일 문화교류의 흐름과 의미

        하우봉 ( Ha Woo-bo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7 大東文化硏究 Vol.98 No.-

        17세기에서 19세기는 조선후기와 일본의 에도(江戶)시대에 해당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 양국은 활발한 문화교류를 진행하였고, 그 통로는 일본에 파견한 조선정부의 사절단, 즉 통신사였다. 조선후기의 통신사는 일본과의 선린관계를 상징하는 외교사절로서 모두 12차례 행해졌다. 통신사행은 470여 명에 달하는 대규모의 사절단으로 서울을 출발해서 돌아오기까지 대개 10개월 정도 걸리는 거대한 외교행사였다. 조선후기 통신사행은 조선과 일본의 지식인들이 접촉할 수 있는 공식적이면서도 유일한 통로였다. 당시 일본인은 동래의 倭館까지밖에 올 수 없었고, 조선의 問慰行은 역관을 중심으로 하여 대마도에 가는 사행이었다. 조선인이 당시 일본의 수도인에도까지 왕래하며 일본의 지식인들을 광범위하게 만나 교류하는 일은 통신사행원만 가능했다. 따라서 조선후기 양국 교류의 거의 전부가 통신사행을 통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조선에서 일본에 관한 정보를 입수하는 것 또한 통신사행을 통해서였다. 본 논문에서는 조선후기 한국과 일본의 문화교류의 전개양상을 조망하려는 목적하에 기초적인 작업으로서 통신사를 통한 문화교류 연구의 기본 자료인 일본사행록과 필담창화집, 그리고 고찰의 결과 문화교류의 실상에 관해 살펴보았다. 고찰의 결과 본론에서 밝힌 사실을 대체로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현재 전하는 일본사행록은 모두 43종에 달하며, 필담창화집은 180여 종에 달한다. 그 자료들은 대부분 번역되었으며, 2017년 가을에 유네스코 세계기록문화유산으로 등재될 전망이다. 둘째, 통신사행을 통한 문화교류의 내용에 관해 詩文唱和, 畵事問答, 醫事問答 등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셋째, 통신사행을 통해 조선으로 전래된 일본문물에 관해 정리하였다. 그 가운데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은 일본서적인데, 검토 결과 모두 33권에 달하였다. 사상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것은 일본 古學의 조선 전래, 조사 결과이다. 일본 고학파 유학자의 저술은 조사 결과 13종에 달하는 사실을 밝혔는데, 일부의 실학자들이 논평을 남겼다. 통신사행을 통한 문화교류는 쇄국체제 하의 일본 사회에 의미 있는 영향을 끼쳤다고 평가된다. 동시에 통신사행은 일본의 문물이 사행원들을 통해 전해져 조선의 지식인들이 일본사회를 재인식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19세기 초반 통신사행이 폐지된 이후 양국관계는 소원해지고 정보의 불통에 따른 오해와 상호인식의 갭이 커지며 결국 분쟁과 전쟁으로 가는 역사가 전개되었다. 이로 보아 통신사행이 지니는 의의와 역할이 얼마나 중요하였는가를 알 수 있다. 통신사와 부경사를 통한 문화와 학술교류 및 정보교환은 근세 동아시아의 문화교류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교류를 통해 당시 동아시아지식인들이 공유하였던 `同文의 세계`라는 인식은 오늘날 추구하고자 하는 동아시아 문화공동체의 선행모델로서 연구할 가치가 있는 주제이다. The 17th and 19th centuries correspond to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Japanese Edo period. During this period, the two countries actively exchanged cultural inter-changes, and its path was the mission of the Korean government dispatched to Japan. The Tongshinsa(通信使)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diplomatic envoy symbolizing the good relationship with Japan, and it was conducted 12 times. It was a massive diplomatic event that took about 10 months from departure from Seoul with a large-scale mission of about 470 people. The Tongshinsa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the only official and only way for Chosun and Japanese intellectuals to contact. At that time, the Japanese could only come to the Waegwan(倭館) of Dongrae(東萊). It was only possible for the carrier to be able to meet and exchange Japanese intellectuals extensively,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almost all of the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late Joseon period were conducted through Tongshinsa. Getting information about Japan from Joseon was also through Tongshinsa. In this thesis, we examined in detail the basic data of cultural exchanges research through Tongshinsa, such as Japanese travel books and anthology of conversation and interchange of poetry. Currently, there are 43 species in Japanese travel books, and more than 180 kinds of writings of conversation and interchange of poetry. Most of the materials have been translated and are expected to be list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in the fall of 2017. Next, I discussed about contents of cultural exchange through Tongshinsa, such as the interchange of poetry, exchanges between painters, and exchanges between doctors. After that, we summarized the Japanese monuments that were brought to Korea through Tongshinsa. Cultural exchanges through Tongshinsa are considered to have had a meaningful impact on Japanese society under the control system. At the same time, Tongshinsa was con-ducted through the circles of Japanese culture and provided the opportunity for the intellectuals of Joseon to re-recognize Japanese society. After the abolition of Tongshinsa in the early 19th century, bilateral relations became deserted, misunderstandings due to information disruption and gap of mutual recognition increased, eventually leading to conflict and war. This shows how important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Tongshinsa are. Cultural and academic exchanges and information exchange through Tonshinsa have a very important significance in the cultural exchanges of modern East Asia. The perception of `the world of the same culture` shared by the intellectuals of East Asia at the time is a subject worth studying as a precedent model for the East Asian cultural community to pursue today.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문화적응 현황 및 학습자 요구 분석

        최은숙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7 한국언어문화학 Vol.14 No.1

        본고의 목적은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문화적응 현황과 문화적응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학습자 현황 및 요구 분석을 위해 한국문화적응척도와 설문조사를 활용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문화교육프로그램 설계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문화적응 현황을 분석하기 위한 작업으로 부산 지역에 위치한 D대학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문화적응척도’를 측정하였다. 각 하위 요인 간의 문화적응의 현황을 살펴보면, ‘한국 생활문화 이해 및 친숙도’ >‘한국인과의 사회적 교류 및 대인관계’ > ‘한국 대중문화 이해 및 친숙도’ > ‘한국어에 대한 친숙도’ > ‘한국어의 사회적인 활용’의 순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으로의 유학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요인으로 보통 한류를 비롯한 한국 대중문화를 주목한다. 이를 감안하다면 ‘한국 대중문화 이해 및 친숙도’가 가장 높은 적응력을 보일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본 척도의 측정 결과 외국인 유학생들은 한국의 일상생활 문화와 한국인과의 사회적 교류 및 대인관계에 대해 긍정적 적응의 양상을 보였다. 한편 현재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의 경험 및 요구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면담 및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내용은 한국문화적응프로그램의 경험 및 만족도에 관한 부분과 학습자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프로그램의 선호도에 관한 내용이었다. 한국문화적응프로그램과 관련하여 ‘한국사람 및 다른 사람과의 교류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한 긍정적 답변의 비중이 높았다. 문화적응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들의 관심이 사람들과의 교류에 있다는 점은 주목해야 할 사항이다. 그리고 한국문화적응을 위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설문 결과, ‘한국인과의 사회 교류 및 대인관계 프로그램’ 과 ‘한국의 일상(전통)문화 이해 및 체험 프로그램’ 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문화교육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본고의 논의를 통해 학습자인 외국인 유학생의 현황과 요구를 고려한 구체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관한 다양한 사례가 이어지길 바란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urrent condition of how foreign students adapt to Korean culture and learners’ demand for a cultural adaptation program. Korean cultural adaptation criteria and a survey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present situation and demand and a cultural educational program design was proposed. To analyze how foreign students adapt to Korean culture, “Criteria of Korean cultural adaptation for foreign students” was employed on foreign students of B university located in Busan. Examination of the current cultural adaptation situation between each subordinate element indicated the following sequence: “Understanding and familiarity with Korean customs” >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 with Koreans” > “Understanding and familiarity with Korean pop culture” > “Familiarity with the Korean language” > “Social utilization of the Korean language.” The survey on programs considered most necessary for Korean cultural adaptability revealed increasing demand for “Program on social interchange and personal relationship with Koreans” and “Program on understanding and experiencing traditional Korean cultur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paper proposed various Korean cultural and educational programs. This paper discusses a variety of concrete program development features to ensure adaptability continues, reflect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demand of foreign students who are the learners.

      • KCI등재

        신석기시대(新石器時代) 남부지방(南部地方) 문물교류(文物交流) 양상(樣相) : 생업(生業)을 중심(中心)으로

        최종혁 ( Jong Hyuk Choi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08 石堂論叢 Vol.0 No.40

        대한해협을 사이에 둔 두 지역(우리나라 남해안지역과 일본 北部九州지역)은 자연환경·지리적 조건과 생업환경의 유사성으로 선사시대부터 많은 문물 이동을 비롯한 교류가 빈번하게 행해졌던 곳이다. 그 결과 양 지역은 서로의 문화가 유입되어 많은 고고학적인 자료로 남아있어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선사시대 문물교류의 시스템 중,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생각되는 생업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편이다. 선사시대 생업은 같은 환경조건에서도 환경 적응력을 비롯해 집단의 목적·이념 등에 의해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두 지역의 생업유형을 중심으로 교류 시스템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두 지역에서는 주된 생업활동이 시기에 따라 달라 교류양상에 있어서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두 지역 모두 중기를 중심으로 생업유형에 큰 변화를 보이고 있으며 생업형태 중, 외양성 어업의 적극성과 소극성에 따라 교류활동의 주체가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남해안 지역에서 외양성 어업이 주로 행해진 조기~전기에는 西北九州 지역에 남해안 지역의 유물이, 중기 이후에는 西北九州 지역에서 활발한 외양성 어업이 행해져 남해안 지역에 西北九州 지역의 유물이 많이 나타난다. 그리고 각 시기의 교류 대상인 문물도 변화를 보여, 조기·전기에는 토기와 석재 등의 생업도구, 중기이후는 조개팔찌·垂飾 등 장식품이 주 대상이 된다. 따라서 두 지역의 교류활동 형태는 생업유형의 변화에 따라 교류 시스템도 시기적인 변화와 교류품의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Since the Neolithic period, two regions (southern parts of Korea and northern parts of Kyusu, Japan) that lies between the Straits of Korea has experienced a frequent interchange due to the similarities in natural environment, geographical condition and occupational environment, including diverse cultural exchanges. As result, each region experienced inflows of one another`s culture and has left behind plenty of archeological specimens for the various studies. However, the study towards to the matter of occupation is not sufficient; even with the belief that it takes the most part of the prehistoric age`s cultural exchange systems. In accordance with the group`s purposes and beliefs, in general, it is true that the prehistoric times` occupation including the adaptiveness towards the same environmental conditions show different aspects.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focused on the two region`s occupation types based on it`s alterations of interchange system. As result, the main occupational activities of two regions were different for the time periods, and it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interchange aspects. In other words, by the time of middle era, both regions experienced a great change in the types of occupation. Deep-sea fishery, as an example of occupation type, we can define the changes in the main body of interchange activities based on its positiveness and passiveness activities. During the early and pre-period where the deep-sea fisheries were actively practiced in the southern coastal regions, there are relics of southern coastal regions in the northwestern regions of Kyusu. For the middle period where the deep-sea fisheries were actively practiced by the regions of northwestern Kyusu, there are relics from the regions of northwestern Kyusu in the southern coastal regions. The cultural properties that were exchangeable objects also showed differences by the time periods. For the early and pre-period, the main objects were based on the occupational tools such as earthenwares and building stones. For the latter of middle period, the accessories such as bracelets made out shellfish and streamers were the main objects of interchange. Accordingly, we could note that there were alterations in the two regions` interchange structures in accordance to the changes in occupation types, and it also influenced the interchangeable objects and systems, at the different time periods.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문화 교류현황과 소프트파워

        장금 ( Zhang Qin ),안외순 ( Woe Soon Ahn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2 동방학 Vol.24 No.-

        이 논문은 ‘한류(韓流)’와 ‘한풍(漢風)’으로 명칭되는 한국과 중국의 대중문화 혹은 현대문화의 상호 교류 현황과 그 소프트파워적 성격을 고찰하였다. 오늘날 아시아를 넘어 유럽대륙까지 강타한 한류의 시작은 사실 중국에서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중국의 한풍 역시 그 어느 곳보다 한국의 수요가 가장 강하다. 하지만 양국의 한류와 한풍의 내용은 각기 다르다. 한류가 드라마 및 K-pop 등 대중문화의 전파라면 한풍은 중국어의 파급과 관광문화가 그 골자이다. 국경을 넘는 한국 대중문화의 대외적 확장, 엄청난 경제적 파급력, 한국의 국위 상승력으로 집약되는 한류 소프트파워는 중국내 한류의 그것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한편 중국어와 관광으로 대표되는 한국내 한풍(漢風)의 소프트파워는 한류와 같은 직접적인 문화전파력 차원은 아직 이르지 못하고 있다. 단중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동기가 경제적인 측면이라는 점은 일면은 문화적 수요보다 더 강한 잠재력을 갖는다. 다른 일면 언어학습은 문화의 기층요소라는 점에서 궁극적으로는 문화적 전파력도 무관하지는 않다. 마지막으로 유적지 혹은 명승지 관광을 통한 중국문화 각인과 수용은 한국인들에게 특히 과거 중국역사 문화를 통한 동질적 문화의식을 공유토록하는 측면이 있다. 이 점에서 양자 모두 강력한 소프트파워라고 하겠다. Here we find out Chinese winds and Korean winds consciousness by doing research on each soft power of culture`s method and culture communication and the developments of communication. Korean winds is the strongest cultural soft power of Korea, Korean winds does not only spread to China, Vietnam, Thailand and other Asian countries, but also spreads to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Especially in China, Korean winds has the biggest impact, for instance, Korean TV drama and movie is very popular in China. First, the most typical character is the combination between Korean winds and a lot of products. Second, in other countries, Korean winds promotes Korean culture well, it means that Korean winds does not only promote the output of Korea cultural product, but also improves the international image of Korea. Third, Korean winds promotes the spread of Korean popular culture. In Korea, the most typical character of Chinese winds is that enthusiasm for Chinese. In Korea, because of the influence of the Chinese winds, a lot of Korea universities opened Chinese language subject. Second, the combination of Chinese winds and cultural product could help Korean to understand Chinese culture. Third, the wind of Chinese language does not only spread Chinese popular culture but also improve the international image of China. According to the researching, because of difference areas that Chinese and Korean people interest in, so it is also different in the impact on the condition and character of culture exchanges. The result of this researching is a good reference for the foreign development strategy of culture exchange between China and Korea.

      • KCI등재

        〈꽃보다 남자〉를 통해 본 동아시아 대중문화의 허와 실

        金貞恩(Jung-Eun Kim) 중국어문논역학회 2020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47

        최근 몇 년간 한국과 중국, 한국과 일본 사이의 정치 · 역사적 이슈, ‘코로나 19(COVID 19)’라는 팬데믹(pandemic) 상황은 인터넷이라는 가상의 공간에서 한중일 각국 대중들의 갈등을 야기했다. 특히 ‘코로나 19’가 중국에서 시작되어 초기 일본과 한국을 중심으로 유행하면서 이를 둘러싸고 각국이 정치 · 외교적으로 충돌했을 뿐만 아니라, 각국의 대중들과 네티즌들 또한 상호 비방과 비하, 혐오의 표현을 숨기지 않았다. 이러한 반응의 이면을 들여다보면 한중일의 정치, 역사, 경제 등의 갈등에서 비롯된 서로 간의 적대감뿐만 아니라, 각국의 대중문화 교류의 역사 속에서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된 여러 잠재된 담론들이 표면적으로 부상하였음을 잘 알 수 있다. 이러한 담론들은 ‘동아시아’와 ‘동아시아 정체성’에 관한 담론이 얼마나 이상화된 담론인지 잘 보여주며 ‘동아시아 대중문화’라는 ‘문화적 상상’의 ‘허’와 ‘실’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오랜 시간 한중일 대중문화의 초국적 교류와 소통을 보여 주었던 대표적 콘텐츠인 <꽃보다 남자>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각국에서 리메이크된 드라마 <꽃보다 남자>의 서사구조 분석을 통한 문화적 공감과 차이를 고찰한 몇몇의 연구들만 있을 뿐, 수용자인 대중들을 중심으로 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따라서 본고는 초국적 대중문화 콘텐츠의 대표적 사례인 <꽃보다 남자>의 한중일에서의 교류에 관해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대중들의 욕망과 그 이면에 잠재된 담론을 고찰한다. The pandemic from COVID19 and recent years of political and historic issues between Korea and other eastern asian nations such as China and Japan has caused conflicts between the public of each nation. Particularly, since COVID19 started from China and spread out Japan and Korea at the early stage, each country had to confront political and diplomatic challenges, and in the process public condemnation and hatred were well presented. When we take a close look into the phenomenon, it can be found that not only in-depth hostility from political, historic, and economic disputes among Korea, China and Japan, but also a bounty of arguments in history of pop culture interchange just came out of the surface. These arguments shows how idealistic it is to discuss ‘East Asia’ and ‘Identity of East Asis’ and requires our attention in the point of revealing ‘fiction’ and ‘reality’ of ‘cultural imagination’ so called ‘East Asian pop culture.’ Previous researches on Boys Over flowers, the icon of interchange and communication of pop culture between Korea-Chine-Japan for a long time, aimed to inspect the cultural sympathy and difference through the narrative analysis of various versions in each nation while the study on public side was not satisfied.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study cultural interchange through Boys Over flowers, focusing on the public desires and potential discourses between the li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