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합리적 도덕 판단을 위한 초등 도덕과 통합 수업 모형

        송영민 한국유교학회 2019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78

        The Teacher's Guidebook for moral education presents 'basic unit system and composition', 'basic course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major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to help implement of the moral curriculum into the instructions. Here, 'basic unit system and composition' is the general level based on the textbook organization, and 'basic course of teaching and learning' is the general level based on the elements of morality. The major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is a steps in the logical orders to reach a specific teaching purpose based on the main educational theory accepted in moral education. When an integrated model is presented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among them, rather than listed separately, it can be used as a guide for teachers. As a valid guide, the integrated model should present the instructional steps with specific teaching objectives and the main activities available at each stages. This is to assist in the selection of the main activities required for the composition and implementation considering the instructional purpose with reference to the integrated model. This paper focuses the suggestion of an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specifically on the teaching of rational moral judgment. To this end, the instructional models and background theory directly related to rational moral judgment are examined. Representative models that directly intend rational moral judgment in major instructional models include value analysis instruction model and value conflict resolution instruction model.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theories related to these models, the 'basic course of teaching and learning', ' basic unit system and composition', and 'major teaching and learning model' can be an integrated model. The proposal mainly reflects that the value analysis instruction model focuses on value judgment and the value conflict resolution instruction model focuses on resolving differences. Based on this, the proposed integrated model consists of the steps of 'presenting moral problems-analyzing moral problems-presenting moral judgments-examining moral judgments-revising moral judgments-seeking ways to implement moral decisions'. In addition, the instructions proposes discussion class in the form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illustrates the main educational and learning activities that can be used at each step for discussion. 도덕과 교사용 지도서에서는 도덕과 교육과정의 수업 구현을 돕기 위해 ‘도덕과 기본형 단원 체제ㆍ구성’, ‘도덕과 교수ㆍ학습의 기본적 과정’, ‘도덕과 주요 교수ㆍ학습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도덕과 기본형 단원 체제ㆍ구성’은 교과서 편제에, ‘도덕과 교수ㆍ학습의 기본적 과정’은 도덕성 요소에 근거한 일반적인 수업 단계이다. 그리고 ‘도덕과 주요 교수ㆍ학습 모형’은 도덕과에서 수용하고 있는 주요 교육이론에 근거하여, 특정 교수목적에 도달하기 위한 교수전략을 논리적 순서로 전개한 단계이다. 이들이 별개로 나열되기 보다는 그 관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통합적 모형이 제시될 때, 그것은 교사의 수업구성을 위한 유효한 안내로 활용될 수 있다. 유효한 안내로써 통합 모형은 특정 수업목적이 부각된 수업 단계와 각 단계에서 활용 가능한 주요 활동들을 제시해야 한다. 이는 통합 수업 모형을 참조하여 수업목적을 고려한 구성 및 그 실행에 필요한 교수ㆍ학습 활동의 선택을 돕기 위해서이다. 본고는 특히 합리적 도덕 판단을 목적으로 하는 수업에 초점을 두고 통합 수업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합리적 도덕 판단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수업 모형 및 그 배경이론을 살펴본다. 도덕과 주요 수업 모형에서 합리적 도덕 판단을 직접적으로 의도하는 대표적 모형에는 가치분석 수업 모형과 가치갈등해결 수업 모형이 있다. 이들 모형과 관련된 교육이론을 바탕으로 합리적 도덕 판단이라는 목적이 부각되도록 ‘도덕과 교수ㆍ학습의 기본적 과정’, ‘도덕과 기본형 단원 체제ㆍ구성’, ‘도덕과 주요 교수ㆍ학습 모형’을 통합한 모형을 구성한다. 그 구성에서 가치분석 수업 모형은 가치 판단에, 가치갈등해결 수업 모형은 가치 판단의 차이를 해소에 초점이 둔다는 측면을 반영한다. 이를 바탕으로 제안한 통합 모형은 ‘도덕적 문제의 제시-도덕적 문제의 분석-도덕적 판단의 제시-도덕적 판단의 검토-도덕적 판단의 수정-도덕적 결정의 실행 방안 모색’이라는 단계로 제안된다. 그리고 수업의 형태로 토의수업을 제안하며, 토의수업을 위해 각 단계에서 활용 가능한 주요 교수ㆍ학습 활동도 함께 예시한다.

      • KCI등재

        언어기반진단도구를 활용한 모형중심 교수방법의 효과 탐색

        김혜원 ( Hye Won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9 No.2

        학습을 시작하기 전이나 학습의 과정 중에 전문가의 문제해결과정이나 결과에 대한 정신모형을 제시하는 모형중심 교수방법은 비전문가인 학습자의 문제해결과정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학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설계를 위한 방법을 습득하고 이에 대한 정신모형을 개발하는데 있어 모형중심 교수방법(Model-Centered Instruction: MCI)과 협동학습의 효과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수행을 위하여 교직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126명의 대학생들이 7주 동안의 실험에 참여하였다. 학생들은 두 개의 독립변인(모형중심/비모형중심 교수방법과 협동/개별학습)에 대해 네 집단으로 나뉘어져 수업을 받고 두 번의 학습지도안을 작성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자신들이 학습한 교수설계에 대한 내용에 대해 정신모형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질문에 응답하였다. 모형중심 교수방법의 집단에게는 전문가의 학습지도안 모형이 주어졌으며, 이에 근거하여 교수자로부터 코칭과 스캐폴딩이 주어졌다. 협동학습을 하는 집단에게는 짝과 함께 학습지도안을 작성하고 같은 클래스 동료들에게 자신의 학습지도안을 발표하고 질의 응답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학습지도안은 18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학습지도안 평가 루브릭에 의해 점수화되었다. 정신모형의 개발 정도는 전문가의 정신모형과 유사함의 정도로 평가되었는데 이를 위하여 언어기반 진단도구인 T-MITOCAR 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는 모형중심 교수방법이 비 모형중심 교수방법에 비해 교수설계 과제수행(학습지도안의 작성)에 있어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협동학습이 개별학습에 비해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문가의 모형으로부터 어느 정도 학습을 성취한 후 학습자 스스로 문제해결을 실시하는 탐색의 단계로서 두 번째 학습지도안을 작성하였을 때는 개별학습 집단 중 특히 모형중심 교수방법을 사용한 집단의 점수가 다른 집단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문가와의 비교를 통한 교수설계의 정신모형 개발 정도는 집단간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비전문가인 학습자들에게 전문가의 모형과의 비교를 통한 모형중심 교수방법의 필요성과 학습자들이 자신의 정신모형을 다른 동료집단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명료화하고 성찰할 수 있는 기회의 필요성을 선행연구와 관련 지어 논의 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model-centered instruction (MCI) in both individual and collaborative contexts. The study focuses on learning effectiveness in developing mental model of instructional design, and acquiring instructional design skill by making lesson plans when an expert model is presented and a cognitive apprenticeship model is applied within a collaborative context. This study included a total of 126 undergraduate students. Three times during the learning activities, all participants were asked to make two lesson plans(lesson plan A and B) on social studies topic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treatment condition, students in the MCI group were given an expert lesson plan to use while they complete their task-making a lesson plan. Then, the students in the MCI group had instruction developed according to the modeling, coaching, and scaffolding. During this process, the students were asked at each stage of the instruction to compare their mental models for making a lesson plan to an expert model for that same lesson plan task. To assess the quality and improvement of the mental model of instructional design, the learners` mental model about instructional design was compared with the expert model.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expert`s model and the students` model were calculated by the T-MITOCAR program which is a language-based diagnosis tool.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use of model-centered instruction with an expert model was effective in improving learners` instructional design skills.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support for the basic theoretical assumptions that novice learners need a chance to modify their mental models by comparing them with expert models as well as collaborative learning with their peers for effective learning.

      • KCI등재후보

        유아과학교육에 적합한 MBTL(Model Based Teaching & Learning) 수업절차 모형 개발 연구

        박호철 미래유아교육학회 2004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1 No.4

        본 연구는 유아교수학습의 질 향상을 위한 방법의 하나로 유아의 모델링에 기초한 MBTL(Model Based Teaching and Learning) 수업절차모형을 제안하고 유아교육현장에서 실제로 활용할 수 있도록 모형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연구자는 사전의 실험연구를 통하여 유아들의 내적인 멘탈모델(mental model)과 표상(representation), 모델과의 관계를 확인하였고, 유치원 교수-학습의 장면에 적합한 모델링의 방법을 선택하여 절차화된 수업모형으로 구성하였다.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모델링 중심의 학습방법은 유아들의 과학적 과정기능의 향상에 기여하였으며 탐구학습모형보다도 더 유아에게 적합한 과학교육을 위한 수업절차모형임이 확인 되었다. 교수-학습과정의 체계성을 확보하는 문제가 유아교육현장에서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는 현실을 감안한다면 유아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실제적인 방법론으로써의 수업절차모형의 개발과 활용은 실제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과학수업을 중심으로 절차화된 수업모형을 개발하였지만 추후 학습자의 모델링을 기반으로 다양한 학습영역에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수업절차모형으로의 발전과 현장에서의 실제적인 활용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at MBTL(model-based teaching and learning) Instruction model which based on children's cognitive modell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for young children. To complete this purpose researcher developed effective skills and procedures to modelling of childerens and confirmed the relationship of children's mental model, model and representation through the using a results of experiment and reviews of previous studies. MBTL model for science was superior than two other instruction models(Inquiry and Direct instruction model) on inproving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s. The main issu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How to achieve systematic procedure of teaching- learning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eaching. Application of systematic Instructional model will be one of the most powerful answer of that question. It is the researcher's hope that studies on research, development and adoption of general Model Based Teaching and Learning Instruction model for young children would be follow and it would be most effective method for guarantying the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Kindergarten classes.

      • KCI등재

        모형 기반 체육 수업에 관한 연구 동향과 과제: 2004년-2018년 연구를 중심으로

        장경환,이기대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9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모형 기반 체육 수업에 관한 최근 15년간의 국내의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 시사점을 탐색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04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출판된 관련 논문 80편에 대하여 내용 분석을 실시하여 가장 많은 빈도수로 발표된 다섯 가지 수업 모형(스포츠교육 모형, 협동학습 모형, 하나로 수업 모형, 이해중심게임수업 모형, 책임감 모형)에 대한 각각의 동향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체육 수업 모형 연구 시사점을 세 가지로 도출하였다. 첫째, 인성교육 사례로서 체육 수업 모형 적용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가 보다 실천적인 수준에서 필요하다. 둘째, 모형 기반 체육 수업은 교사의 모형 활용 지식을 필 요로 하며, 이와 같은 실천적 지식에 관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셋째, 각 지역과 학교, 학생의 문화 적, 교육적 맥락을 고려한 수정, 변형 모형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모형 기반 체육 수업 에 관한 후속 연구 및 현장 적합성 제고를 위해 교육과정과 체육수업모형의 논리적 연결 노력, 학습자의 입 장 고려와 목소리 반영,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의 수업 모형에 관한 교육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rend and issues of research on model-based instruction in physical education. Th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80 related researches which were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KCI) from 2004 to 2018. As a result, five instruction models are analyzed and three implications were followed.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necessity of a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models for the practice of character education. Second, model-based instruction in physical education would enable teachers to enhance their professionalism and practical knowledge in model-based instruction need to be studied. Third, efforts were need to develop a modified models taking into account the cultural and educational context of each region and school, student, and the research needed to be carried out in a way that began a specific model. Thus, further research on model-based instruction in physical education and suggestions were made to enhance suitability on school contexts. This study suggested the logical connection effort between curriculum and model-based instruction in physical education, consideration of learner's voice, and instruction of model-based instruction in teacher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음악과의 기악학습을 위한 수업모형 탐색

        정진원,승윤희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6 음악교육공학 Vol.- No.29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수업모형(models of instruction)을 이해하고, 음악과 수업모형 중에서 기악학습을 위한 수업모형을 탐색하는 데 있다. 수업모형에 관한 연구는 수업의 구조 및 실제와 관련하여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동안 음악과의 수업모형 관련 연구는 그 중요성에 비추어 볼 때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음악과의 수업모형은 음악 교수 학습의 목적과 과정에 대한 기본적인 철학을 반영하여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 의미에서의 수업모형뿐만 아니라 음악과에 특화된 수업모형을 동시에 필요로 한다. 또한 음악과의 수업은 크게 가창, 기악, 감상, 창작 활동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악기를 다루는 기악 학습은 학생들로 하여금 악기의 특성을 이해하게 하고, 악기의 기본 주법을 익히게 하며, 반복 연습을 통해 기초 기능을 습득하게 하고, 다양한 형태의 악곡을 연주하게 하는 활동들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기악학습의 내용에 비추어 볼 때, 모든 교과에서 활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수업모형이나 가창, 감상, 창작수업 모형과는 차별화된 기악수업 모형의 필요성이 제기 된다. 이에 본 연구는 기악학습의 심동적 발전단계와 학습 원리에 기반을 둔 기악수업 설계모형의 탐색 및 구체적인 단계별 적용 지침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d the general meaning of models of instruction and to seek for a method specifically for instrumental learning apart from models of instruction within the music department. Studies on models of instruction carry an important meaning regarding the structure and reality of a class. So far, compared to the significance that studies on models of instruction in the music department hold, the reality is that not a great deal of research is being conducted. Since models of instruction for music class should reflect the basic philosophy of the purpose and process of music teaching methods, there is a need for a specialized model of instruction targeting the music department, apart from the general meaning of models of instruction. Additionally, instructions for music class can be categorized into singing, instruments, listening, composing etc. Among these, instrumental learning allows students to understand the feature of the instrument, familiarize themselves to the instrument’s playing style, acquire fundamental skills through repeated practice and play various types of tunes.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f instrumental learning, there is a need for a differentiated model of instruction learning a musical instrument and singing, listening and composing, apart from the general model that can be used in all departments. Hence this study has displayed the investigation of design model of instrumental learning and the detailed stage application of guidance based on the psychomotor stage of development and study principle of instrumental learning.

      • KCI등재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피드백 기반 실험수업 모형의 적용 효과

        양희선,김현섭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17 현장과학교육 Vol.11 No.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test the effect of experimental instruction model based on collaborative feedback by interaction among the students and guided feedback by teacher in science class. First of all, we have developed teaching and learning procedure based on the detailed feedback strategy by each step of the experimental instruction model for the instructional application. The experimental instruction model was applied to the instruction for 7 experimental topic of digestion, circulation, respiration, and excretion unit, which is science subject matter of middle school. For the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the model, control group was instructed using the traditional experiment method using experiment introduction and experimental report, while experimental group was instructed using the experimental instruction model based on feedback process. The evaluation of the model application effect was analyzed through pretest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ce inquiry ability prior to the instruction and postest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ce inquiry ability, and interview after the instru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ce inquiry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improved much more than these of control group. Especially, the model showed much more influence of academic achievement in the middle level student, while the model improved much more science inquiry ability in the high level students. The analysis of interview revealed that the middle level students improved their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the knowledge sharing process with the high level students and modification process by collaborative feedback to understand the learning content better. The high level students improved their science inquiry ability because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nd they were interested in experiment design and data analysis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experimental instruction model means to be required the control of feedback process by learner level to much more improvement of al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inquiry ability. 본 연구는 학생 상호간의 협동적 피드백과 교사의 안내된 피드백을 기반으로 개발된 실험수업 모형이 과학 수업에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수업 적용을 위하여 실험수업 모형의 각 단계별로 구체적인 피드백 활동 내용을 모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학교 과학교과의 소화, 순환, 호흡, 배설 단원의 실험주제를 7차시로 나누어 교수․학습 과정을 개발하였다. 실험수업 모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통제집단은 실험안내서와 결과보고서를 활용한 전통적인 실험방법으로 수업을 진행하였고, 실험집단은 피드백 기반 실험수업 모형을 적용하여 수업을 실시하였다. 모형의 효과 검증은 수업 전 사전 학업성취도 및 과학탐구능력 검사와 수업 후 사후 학업성취도 및 과학탐구능력 검사, 인식 조사를 위한 면담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학업성취도와 과학탐구능력이 더 크게 향상되었다. 특히, 학업성취도는 중수준의 학생들에서 그 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 과학탐구능력은 상수준의 학생들에서 그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면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 중수준의 학생들에서 학업성취도가 크게 향상된 것은 피드백 기반 실험수업 모형 수업을 통하여 상수준의 학생들과 지식을 공유하고 피드백에 의한 수정과정을 통하여 학습내용을 좀 더 잘 이해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상수준의 학생들에서 과학탐구능력이 크게 향상된 것은 이들이 선행지식을 바탕으로 실험 과정에 흥미를 갖고 주도적으로 참여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피드백 기반 실험수업 모형이 모든 수준의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탐구능력을 좀 더 크게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습자 수준별로 적절한 피드백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KCI우수등재

        도서관협력수업의 통합모형 제안에 관한 연구

        이병기 한국문헌정보학회 2023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7 No.4

        Library collaboration instruction (LCI) is a process in which a classroom teacher and librarian collaborate to co-planning, co-implementation, co-assessment instruction. LCI is being studied and modeled in various dimensions such as the level of collaboration, information activities, and time scheduling. However, there is no integrated model that comprehensively covers teacher and librarian collabo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chematic integration model for LCI by comparing and analyzing various models in five dimensions (level of collaboration, information activities, collaborative approach, time scheduling, and technological integration). The main results of the integration model for LCI reflec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level of collaboration, TLC integration model reflected such as library-based teacher-led instruction, cross-curricular integrated curriculum. Second, in terms of information activities, LCI integration model reflected social and science subjects inquiry activities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use process. Third, in terms of collaborative approach, LCI integration model is divided into such as lead-observation instruction and parallel station instruction. Fourth, in terms of time management, LCI integration model took into account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and scheduling methods. Fifth, in terms of technology integration, LCI integration model reflected the PICRAT model, modified from the perspective of library collaboration instruction.

      • KCI등재후보

        탐구수업의 오솔길에서

        한광웅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0 사회과교육연구 Vol.17 No.1

        This Research is explored the meaning for 'inquiry' of inquiry instruction interconnected the level of reconstruction of instruction model. This Research make use of narrative as the writing method that represent teacher' voice. Representation of his voice is not representation in one's true light but result of continuous play of the knowing. Teacher represent the meaning by narrative that understand his instruction experience. Teacher reconstruct instruction newly fix into inquiry instruction model. Its novelty is liken to walk a way into a regular track when reconstructed inquiry instruction. Its novelty change old-fashion at this time. Its 'inquiry' must not shut up old-fashioned inquiry instruction. 'inquiry' is a walk in the path pass over regular road. The path is not seen to big road and roam about winding maze at the moment enter. This 'inquiry' stop a regular track of inquiry instruction and show its novelty like a flash. 'inquiry' of inquiry instruction is not kept simple application or change instruction model. This is confined a regular track of instruction model however make up newly. Instruction experience pass over the matrix-meaning space, rethinking about the meaning of 'inquiry' of inquiry instruction. 본 연구는 교사의 수업이야기 연구방법으로 수업모형 재구성의 수준과 맞물려 탐구수업의 ‘탐구’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의 목소리를 재현하기 위한 글쓰기 방식으로 이야기를 활용하였다. 교사의 목소리의 재현은 ‘있는 그대로’의 재현이 아니라, 끊임없는 앎의 놀이의 산물이다. 교사는 교사의 수업경험을 이해하여 그 의미를 수업이야기의 형태로 재현한다. 교사는 탐구수업모형에 맞추어 새롭게 수업을 재구성한다. 탐구수업을 재구성했을 때 새로움은 수업모형의 일정한 궤도를 따라 정해진 길을 걸어가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 이럴 때, 탐구수업의 새로움은 전혀 새롭지 않은, 진부함으로 바뀐다. 탐구수업의 ‘탐구’는 탐구수업의 진부함에 갇혀서는 안 된다. ‘탐구’는 정해진 길을 벗어나 뻗어나간 오솔길에서 산책이다. 오솔길은 큰 길에 비해 잘 보이지 않기도 하고 들어서면 꾸불꾸불해 미로에서 방황하기도 한다. 이런 ‘탐구’는 탐구수업의 정해진 궤도를 정지시켜, ‘탐구’의 새로움을 마치 섬광처럼 보여준다. 탐구수업의 ‘탐구’는 수업모형의 단순한 적용이나 변화에 있지 않았다. 이는 아무리 새롭게 치장하더라도 수업모형의 일정한 궤도에 갇히게 된다. 이런 격자화된 수업의 의미 공간에서 벗어나는 수업경험은 탐구수업의 ‘탐구’의 의미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게 한다.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모형기반 무용수업의 가능성과 과제: 체육교수모형 개념틀을 활용한 무용교수모형 분석과 시사점 탐색

        최의창(EuiChangChoi),권선영(SunYoungKwon),박성혜(SungHaePark) 한국체육학회 2015 한국체육학회지 Vol.54 No.6

        무용이 독립된 교과로서 인정받기 위해서 갖추어야 하는 중요한 요소는 체계적 지도이다. 교수자의 개인적 경험이나 스타일에만 의존하지 않고, 검증된 절차에 따라 무용수업의 목표를 성취하는 객관적인 지도과정에 대한 신뢰가 확인되어야 한다. 체육교과는 지난 20년간 “모형기반수업”(model-based instruction)의 개념으로 체계적 지도에 대한 높은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모형기반수업이란 목표, 내용, 방법, 평가 등의 측면에서 일관된 체계를 갖춘 교수모형에 근거해서 수업을 지도하는 접근이다. 본 연구는 무용에서도 모형기반수업의 아이디어가 적용될 수 있음을 주장하고 그러한 시도를 위한 초보적 탐색을 도모하였다. 체육분야에서 제안된 모형기반 체육수업의 개념과 특징을 분석한 후, 무용분야의 대표적인 세 가지 교수모형들(미드웨이 모형, 코너스톤 모형, 무용교수-학습 모형)을 검토하였으며, 각 무용교수모형들이 갖는 장점을 확인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온전한 모형으로 인정받기에는 철학적ㆍ이론적 근거, 교수학습과정의 특징, 교수기법적 차원 등에서 완성도가 다소 미흡함을 파악하였다. 또한, 모형기반 무용수업의 논의를 발전시키고 보다 체계적인 현장실천을 위한 한 가지 대안으로서 하나로수업 모형을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무용의 교육적 기반을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하여 모형기반 무용수업의 아이디어에 필요한 연구 및 실천적 노력들을 제안하였다. A systematic teaching method is a key element in order to be recognized dance as an official independent curriculum. This has to be established within reliability of the objective process in teaching, depending on a secured procedure not a teacher's personal experiences and styles. For the last 20 years, physical education has ensured high confidence in systematic teaching method by adopting the concept of "model-based instruction". Model-based practice in physical education has been advocated as a consistent teaching models in terms of connecting goals, content, teaching methods, and assessment. In this rega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possibilities and tasks of model-based approach to dance education through exploring implication of model-based practice in physical education.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models. Second, three main dance instruction methods (Midway, Cornerstone, and Dance teaching-learning models) were examined. Although each method offers useful ways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in dance classes, there are certain limitations of philosophical and theoretical basis, teaching and learning features, and implementation needs. In this sense, this study suggested Hanaro Teaching Model which provides crucial idea for model-based approach to dance education. Lastly, further research and efforts for an effective application of model-based dance educa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음악을 접목한 STEM (M⋅STEM) 수업모형 개발

        황윤한,김고은,노원준,이지원,이호준,추국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1 교육연구 Vol.8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TEM instructional model incorporating music (M·STEM) so that students can enjoy and willingly studying STEM subjects that are hard, difficult, and uninteresting. This study collected the data from their M·STEM classes for a year and a half. Three STEAM learning criteria suggested in the teacher's guide develop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guided the data analysis. These criteria are situational presentation, creative design, and emotional experience. The most efficient M⋅STEM class characteristics were extracted from the data and organized according to the STEM lesson flow for the M⋅STEM instruction model. The M⋅STEM instructional model reflected the time for applying in the lesson and the instruction situation. This study suggests four M⋅STEM instructional models: 1) Analyzing the lyrics model (ALM), 2) Changing the lyrics model (CLM), 3) Writing the lyrics model (WLM), and 4) Producing a music video model (PMVM). A class with little experience in music activities can use the ALM for introducing a unit. Upon a lesson or a unit arrangement period, the students familiar with the M⋅STEM model can use the CLM. The WLM has two sub-model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type: lesson arrangement (LA-WLM) and unit arrangement (UA-WLM). At the end of a lesson and students with experience on the CLM can use the LA-WLM. At the end of a unit and with students with experience in LA-WLM can use UL-WLM. The last M⋅STEM model is the PMVM. Teachers use this model at the time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and the students with experience on project learning to make the product. The M⋅STEM instructional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has been secured the validity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ve taught STEM subjects.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에겐 어렵고 힘들며 재미없는 STEM 교과들을 즐겁고 신나게 공부할 수 있도록 STEM 수업에 음악을 접목한 수업, 즉 M⋅STEM 수업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자들이 M⋅STEM 수업을 하면서 수집한 음악 활동 자료들을 수업에 적용한 시기, 적용 대상, 그리고 교사용지도서가 제시한 세 가지 STEAM 학습 준거, 즉 상황제시, 창의적 설계, 감성적 체험에 따라 분석하였다. STEM 수업의 흐름에 따라 가장 효율적인 M⋅STEM 수업의 모습을 체계화 시켰다. M⋅STEM 수업 모형은 수업의 적용 시기와 적용 대상에 따라 ⅰ) 가사분석 모형(단원 도입 시기; 음악 활동 경험이 적은 학급), ⅱ) 개사중심 모형(차시 및 단원 정리 시기; M⋅STEM 모형에 익숙해진 학급), ⅲ) 작사중심 모형(차시정리 유형(각 차시 마무리 시기; 개사 중심 모형을 경험한 학급)과 단원정리 유형(마지막 차시/단원 마무리 시기; 차시 정리/작사중심 모형을 완료한 학급)), ⅳ) 뮤직 비디오 제작모형(창의적 체험활동 시기; 활동 산출물 제작 프로젝트 학습을 진행하는 학급)으로 구분하였다. 연구자들이 개발한 M⋅STEM 수업 모형은 현장의 교사들의 평가를 통해 문항신뢰도와 모형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