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합 청주시 초등학교의 교가(校歌) 분석 연구

        승윤희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23 음악교수법연구 Vol.24 No.1

        교가는 학교를 상징하고 대표하는 학교의 노래이다. 지역별 교가 연구는 그 지역 학교 교가에 관련된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14년에 도농통합시로 출범한 통합 청주시의 초등학교 교가를 분석하여 이 지역 초등학교 교가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바람직한 교가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2022년 9월 기준 통합 청주시 소재 초등학교 교가를 전수 분석한 결과, ① 작사자는 김천호, 작곡자는 박병두와 이상덕이 가장 많은 교가를 작사, 작곡하였고 ② 음악적 특징 분석에서는 4/4박자 교가가 90개교(95.7%), C4-D5 음역의 교가가 28개교(29.8%), 다장조 교가가 49개교(52.1%), 제창 교가가 90개교(95.7%), 세도막 형식 교가가 42개교(44.7%), 후렴 있는 유절 형식의 교가가 47개교(50.0%), 빠르기말이나 지시어 없는 교가가 57개교(60.6%)로 가장 많았으며, ③ 가사의 내용 분석으로는 덕(德)에 관련된 단어가 가장 많았고(25.8%), ④ 일부 교가의 음악적 불일치와 다수 교가의 악보 오류가 발견되었으며, ⑤ 가사는 초등학생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이나 적절하지 않은 단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역별 선행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가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재조명하였다.

      • KCI등재

        스펙트럼이론(Spectrum Theory)을 적용한 음악교수?학습 스펙트럼의 내용 개발

        승윤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8 교과교육학연구 Vol.12 No.1

        심리학 기반을 가지며 교육에 적용되어온 다양한 교수?학습이론들은 그동안 어떠한 현상에 대 조되는 이론이거나 반대 개념의 아이디어로 제시되어 왔다. 이러한 과정에서 새로운 교수?학습방 법들이 연구, 발전되어 교육현장에서 활용되다가 또 다른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에 의해 사라지는 경우가 많았음을 알 수 있다. M. Mosston은 새로운 교수?학습 관점과 기존의 교수?학습 관점을 하나의 비대비 시스템(non-versus system) 안으로 수용하여 이들을 병합하고 연결시키는 통일된 틀로써 스펙트럼이론을 제시하였다. 스펙트럼이론은 어떠한 교육적 아이디어도 배제하지 않고 모 든 교육적 아이디어를 수용?존중하며 완전한 교사 중심의 교수 스타일에서부터 완전한 학습자 중 심의 교수 스타일에 이르기까지 11가지 교수 스타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비대비 접근방식의 스펙트럼 아이디어를 음악교육에 적용하여 음악교과 성격에 맞는 10가지 교수 스타일 의 음악교수?학습 스펙트럼 내용을 개발하였다. 각각의 교수 스타일은 교수 행위의 3가지 필수 요소인 교사, 학습자, 교과내용이 어떠한 관계로 조직되는지를 나타내며 중점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음악학습의 내용과 방법을 기술한다. 교수 스타일에 대한 논리적이고 연속적인 지식체계를 추 구하는 스펙트럼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음악교수?학습 스펙트럼은 교사 개인의 선호나 신념에 따 라 집중되는 몇몇의 교수 스타일을 지양하고 음악교수?학습 방법 연구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 한다. Muska Mosston(1925-1994), who was a physical educator, introduced the Spectrum of teaching styles in 1966. His theory about teaching, which identifies a unifying framework that delineates alternative teaching/learning styles, has been referenced many times in physical education teaching-method textbooks since its introduction. Mosston recognized that ideas or principles in pedagogy are generally presented in opposition to the status quo, such as individualization vs. socialization, cognitive vs. affective movement, direct vs. indirect instruction, and the humanists vs. behaviorists. Based on this type of approach, which we call a 'versus' approach, educators are asked to abandon existing theories as new theories are introduced. Mosston's identification of the limitations of the versus approach led him to study a unifying framework, one that would include and link all ideas into a system. Such a non-versus system honors the full range of educational ideas, thus rejecting none. The Spectrum based on a non-versus approach provides a universal theory about teaching. This idea can be applied to the field of music education because it offers a logical and comprehensive body of knowledge about teaching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Spectrum of teaching styles to music education as a new paradigm for a non-versus approach, to propose content of a music teaching/learning spectrum for improvement of music teaching/learning, and to develop the proposition specifically as a music teaching/learning model in a unifying framework. In this paper, the 11 teaching styles that Mosston suggested in the Spectrum have been modified to 10 teaching styles for a music teaching/learning spectrum. Each teaching style is developed in a relationship with the three essential elements of any teaching behavior(teacher, learner and content) with a diagram showing the teacher/learner relationship, decision mak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learning.

      • 러시아 국민주의 음악의 사회사적 배경

        승윤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7 원우론집 Vol.15 No.1

        Nationalism had emerged as one of the musical mainstream during the early part of the nineteenth century in Europe. Political as well as social awakening of national consciousness as a people and a driving desire for national independence had been expressed in music, which stressed on nationalistic characters. Nineteenth century musical nationalism made its appearance in countries whose musical tradition much depended upon foreign influence. The dawn of nationalism in music started breaking its early light in Russia, where it was fully blossomed and had spread all over Europe. Russia could not escape from the musical influence of Italy, France and Germany until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However, the awakekning of the national consciousness which was ignited by the invasion of Napoleon had eventually led to the development of nationalism in music. Glinka is generally known as the father of Russian nationalism in music, whose influence can be traced to Dargomizhsky and The Five. These nationalistic composers employed Russian folk elements in their operas and symphonic poems in order to express something which was exclusively Russian and nothing else. Such an effor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they had elevated Russian music to the stage of which Russian people could be proud. The Russian nationalistic music came into being during the turmoil after the war and could bring remarkable achievements. The direct motivation of development of Russian nationalistic music could well be the unfailing love of Russian people for their country even in the midst of national tribulations and the fact that The Five as well as Glinka was not theoretically oriented-only up until early 1860's when the Russian nationalism found its solid ground - so that they cared less about musical restrictions in expressing their nationalistic elements freely through their music. Also their friendship with nationalistic writers had helped them with growing nationalism in their music.

      • KCI등재

        교육과정 총론과 각론(음악과 교육과정)의 바람직한 연계성 모색

        승윤희,권덕원,최은식 미래음악교육학회 2022 미래음악교육연구 Vol.7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how the general guidelin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were reflected in the music curriculums, and to suggest a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l guidelin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music curriculum.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relation of the national general guidelines to the music curriculum are the formal connection and the content connection. The formal connection was found in the 6th~2007 revised music curriculums. Second, the application types of each of the 10 core subjects of the common curriculum for the competencie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ere (1) embracing the competencies of the guidelines with little adjustments, (2) selecting the subject-related among the competencies of the guidelines, (3) blending the genuine subject related competencies with the competencies of the guidelines, and (4) presenting the genuine subject competencies. Third,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a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the 2022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s and the music curriculum were presented as follows: (1) The importance of arts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in he general guidelines. (2) Independent representation of music subject should be included in the time allocation criteria of the general guidelines. (3) Authentic subject related interpretation and adaptation of the competencies of the general guidelines should be presented in the music curriculum. (4) Presentation of comprehensive contents and categories for efficient operation of local curriculum is necessary. (5) Comprehensive reconsid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hould be done. 본 연구는 1954년에 국가 교육과정 총론이 최초로 제정, 공포된 이후 현재 시행되고 있는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국가 교육과정 총론이 각론인 음악과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영되어있는지를 고찰함으로써 교육과정 총론과 음악과 교육과정의 바람직한 관계를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하여 첫째, 제1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총론과 각론의 주요 내용을 중심으로 연계성을 고찰하였으며, 둘째,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의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총론의 역량을 공통교육과정의 10개 교과 각론의 성격에서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를 고찰하여 유형화하였다. 그리고 셋째, 지난 시기의 교육과정 총론과 음악과 각론의 연계성과, 현행 교육과정 총론의 성격 반영 유형에 근거하여 앞으로 개정공포될 2022 교육과정 총론과 음악과 교육과정의 관계 정립을 위한 제언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교육과정 총론과 음악과 교육과정은 형식적인 연계성과 내용적인 연계성으로 구분될수 있으며, 형식적인 연계성은 제6차~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에, 내용적인 연계성은 2009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분명하게 나타났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역량에 대한 공통교육과정 10개 교과의 각론 적용 유형은 각각 총론 구조 수용형, 총론 중 선택형, 교과 역량 혼합형, 및 독립 교과 역량형으로 나타났는데, 이 가운데 총론 역량과 교과 역량을 혼합한 유형인 ‘교과 역량 혼합’ 유형이 가장 일반적이었다. 지난 시기와 현행 교육과정의 총론과 음악과 각론의 관계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총론과음악과 교육과정에 대한 관계의 설정은 첫째, 총론에 예술교육의 중요성 포함, 둘째, 총론의시간 배당 기준에 음악 교과 시간의 독립적 제시, 셋째, 총론 역량의 교과 중심 재해석, 넷째, 학교 교육과정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포괄적 내용 체계와 범주의 제시, 다섯째, 고교학점제시행에 대한 전면적 재검토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음악과의 좋은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승윤희,정진원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6 음악교육공학 Vol.- No.28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features of good instruction that equally apply to music studies by consider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tandards and conditions of good instruction,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music education by analyzing the cogni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arding good music instruction, had done through FGI. An investigation of teachers’ opinions was done under the three categories of the ‘meaning', ‘factors' and ‘methods for diffusion' of ‘good music instruction'. Participating teachers responded that 1) good instruction in music is ‘one that students enjoy', one that is based on a systematic ‘study plan', ‘one that stimulates musical sensibility' etc. For 2) the factors of good instruction, the teachers replied that along with the factors that show up in general good instruction, ‘facto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department' are necessary. In the case of 3) methods for spreading good instruction, the response came from three aspects: teachers, students and the environment. In particular, from the teachers' aspect, it was mentioned that music education specialty must be secured and to make this a reality, it was said that a teacher-based class community should be vitalized and that opportunities of sharing good instruction examples amongst one another should be expanded. However, whenever there is a discussion according to a category, issues such as ‘study plan', ‘study means', ‘interaction', ‘teacher professionalism' etc. have been brought up repetitively and connectedly. This research has meaning in that it expands the discussion of 'good instruction in music' within a logical framework and in that it provides an organized direction and a new perspective to viewing music instru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좋은 수업의 일반적인 특징, 기준 및 조건 등을 고찰함으로써 음악과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좋은 수업의 특성을 탐색하고, 집단심층 면담(FGI)을 통해 ‘좋은 음악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음악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인식조사는 ‘좋은 음악 수업’의 ‘의미’, ‘요인’, ‘확산을 위한 방안’이라는 세 가지 범주에서 실시되었다. 참여교사들은 1) 좋은 음악 수업이란 ‘학생이 재미있어 하는 수업’, 체계적인 ‘수업 설계’에 기반한 수업, ‘음악적 감성을 자극하는 수업’ 등으로 응답하였고, 2) 좋은 음악 수업의 요인들로는 일반적인 좋은 수업에서 나타나는 요인과 함께 ‘음악과 특성에 따른 요인’이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응답하였다. 3) 좋은 음악 수업의 확산을 위한 방안으로는 교사, 학생, 환경 측면에서 응답하였는데, 특히 교사 측면에서는 음악수업 전문성이 확보되어야 할 것을 언급하였으며 이를 위해서는 교사중심 수업공동체의 활성화와 좋은 음악 수업의 사례를 공유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범주별 논의마다 ‘수업설계’, ‘수업방법’, ‘수업성찰’, ‘상호작용’, ‘교사 전문성’ 등 다수의 요인들은 ‘음악과 특성’과 함께 반복적이고 연계적으로 언급되었다. 본 연구는 논리적인 틀에서 ‘좋은 음악 수업’에 대한 논의를 확장하고, 음악 수업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과 정리된 방향성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 KCI등재

        음악 개념 학습의 이해와 오개념 방지를 위한 음악 지도

        승윤희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7 음악교육공학 Vol.- No.33

        Despite the fact that music classes deal with ‘concept’ in a significant manner, not all learners are able to build the right music concept. As much as teaching a new music concept in school music education is important, an awareness of anticipating musical misconceptions and providing guidelines to prevent such circumstances is also important for the lear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usic instruction in order to prevent misconceptions that learners can obtain while learning music. Thus, chapter two - ‘understanding music concept learning’ - describes musical elements and music concepts, music concept learning according to Korea’s music curriculum transition, and the physical, mathematical, psychological contents regarding music concepts. Chapter three - ‘instructing music for misconception prevention’ - examines linguistic explanations or the meaning of music activities that may invoke musical misconceptions, anticipates misconceptions that learners have, and puts in an effort to prevent such errors by focusing on rhythm, melody, harmony, dynamics, and tempo. Since musical misconceptions held by learners can become barriers in further musical development, not only is there the need for concern toward misconception prevention, but also toward guidance methods that can help revise learners’ misconception. 음악 수업에서 개념을 중요하게 다루더라도 모든 학습자들이 올바른 음악 개념을 가지게 되는 것은 아니다. 학교 음악교육에 있어 새로운 음악 개념을 가르치는 수업도 중요하지만 학습자들의 음악적 오개념을 예상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지도도 중요하다는 인식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 개념 지도 시 학습자들이 가지게 될 수 있는 오개념을 방지하기 위한 음악 지도 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음악 개념 학습의 이해’에서는 음악의 구성 요소와 음악 개념, 우리나라 음악과 교육과정의 변천에 따른 음악 개념 학습, 음악 개념과 관련된 물리적·수학적·심리적 측면의 내용을 기술하였으며, ‘오개념 방지를 위한 음악 지도’에서는 음악적 오개념을 유발할 수 있는 언어적인 설명이나 음악 활동의 의미를 살펴보아 리듬, 가락, 화음(화성), 셈여림, 빠르기를 중심으로 학습자들의 오개념을 예상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개념별 음악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학습자들이 가지고 있는 음악적 오개념은 이후의 음악적 성장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오개념 방지뿐만 아니라 수정 지도 방법에도 관심이 필요해 보인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3-6학년 음악과 교사용 지도서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음악 교수ㆍ학습 스펙트럼에 기초하여-

        승윤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08 敎員敎育 Vol.24 No.4

        A school curriculum should clearly present the goals and the content of education. Textbooks are one of the best organized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a teacher's manual should be a model for directed teaching/learning methods so that teachers can effectively teach the contents of a curriculum. Therefore, the role of the teacher's manual is important in all school subjects, and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methods presented in the teacher's manual should be required as a basis for adequate explanation, concrete activities, proper selective activities, and references. Such a methodology maximiz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chool subject and attains the goals of education. To develop a specific subject education, it is essential to analyze and study the school curriculum, textbooks, and teacher's manuals. Although these studies can be performed using a variety of methods, research regarding problems and suggestions helps to develop and improve the curriculum, the textbooks, and the teacher's manuals, regardless of the method u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presented in teacher's manuals for music textbooks in grades 3 to 6. Analysis of problems presented in the teacher's manuals was performed, and suggestions are provided for improvement of the manuals, and for eventual development of music teaching/learning methods. This analysis of teacher's manuals for music textbooks was performed using the music teaching/learning spectrum, which is based on M. Mosston's Spectrum showing a continuity of teaching styles for teaching/learning methods as a unifying model. Results from a content analysis of teacher's manuals based on the music teaching/learning spectrum indicated the following problems: 1) The contents of teacher's manuals are concentrated on only 1 to 2 teaching styles, 2) The contents of teacher's manuals are concentrated on teacher-oriented teaching styles, 3) The written intention contained within the teacher's manuals are not sufficiently communicated, and 4) The music activities are insufficient for consideration of individual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and for teaching styles to develop creativity in students.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the problems are 1) To change from a subject music-oriented learning to various other music learning modes, 2) To provide various examples for the flow of a class, 3) To provide various examples of selective teaching styles, 4) To require systemic studies for discovery learning types, and 5) To provide appropriate linguistic expressions for teacher's manuals. 교과교육에 있어 교사용 지도서의 역할은 중요하다. 음악교육에 있어서도 교사용 지도서의 역할은 매우 중요한데, 특히 초등학교 음악과 교사용 지도서는 현장의 교사들이 일차적으로 활용하게 되는 교수․학습 자료로 그 영향력은 매우 크다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M. Mosston의 스펙트럼 아이디어를 적용하여 음악 교수ㆍ학습 방법의 통합적 모델로 개발된 음악 교수학습 스펙트럼에 기초하여 초등학교 3-6학년 음악과 교사용 지도서의 교수ㆍ학습 방법이 분석되었다. 음악 교수ㆍ학습 스펙트럼은 완전한 교사 중심의 스타일에서부터 완전한 학습자 중심의 스타일에 이르기까지 그 사이에는 하나의 스펙트럼처럼 10가지 교수 스타일이 연속성을 이루고 있다. 음악 교수ㆍ학습 스펙트럼에 기초하여 지도서 내용을 분석한 결과, 문제점으로는 1) 지도서의 수업 예시가 1-2가지의 교수 스타일에 집중된 것, 2) 지도서의 수업 예시가 교사 중심의 교수 스타일에 집중된 것, 3) 지도서 집필의 의도가 충분히 전달되지 못한 것, 4) 개인차가 고려된 수준별, 흥미별 음악 활동이나 창의성 계발을 위한 발견형 음악 수업이 부족한 것 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의 개선 방안으로는 1) 제재곡 중심의 음악수업에서 다양한 음악수업으로의 변화, 2) 다양한 수업의 흐름 예시, 3) 교수 스타일의 선택적 예시, 4) 발견학습 수업에 관한 체계적 연구, 5) 언어적ㆍ활동적 서술의 상세화가 제안되었다.

      • KCI등재

        통합교육 실태 및 특수/통합학급 교사들의 의견 조사 -광주광역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승윤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1 敎員敎育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inclusive education, and special/general education teacher opinions in elementary schools in Gwangju.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42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13 general education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for the inclusive classroom, inclu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5% of special classroom teachers in 40 schools are general education teachers who do not have a teaching certificate for special education. 2) 60% of the 40 schools surveyed are supported by assistant teachers with or without assistants, 32.5% are supported by assistants only and 7.5% are supported by neither teachers nor assistants. 3) 100% of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general education teachers) use general curriculum/text books, and 54.6%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report that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is needed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inclusive classroom. The findings regarding special/general education teacher opinions are as follows: 1)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the opinions of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The perception gap between these two teacher groups should be narrowed. 2) The education requirement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enforced for elimination of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3) 30%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suggested that the curriculum of undergraduate schools should be expanded and increased for improvement of special education classes and teaching practices. 4) Many teachers think that music, art and physical education classes are easy targets for inclusion; however, the inclusive teaching program and class designs for these classes were not actually studi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these classes should be studied.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초등학교 통합교육의 실태 및 특수학급과 통합학급 교사들의 의견을 조사하여 이를 근거로 통합교육의 진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태 조사 결과, 1) 연구에 참여한 40개 학교의 5%는 특수교육 자격이 없는 일반교사가 특수학급을 맡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2) 보조 교사와 보조 인력의 지원을 모두 받는 학교와 보조 교사의 지원만을 받는 학교는 각각 12개(30%), 보조 인력의 지원만을 받고 있는 학교는 13개(32.5%), 지원이 전혀 없는 학교가 3개(7.5%)인 것으로 조사되었고 3) 통합학급의 교재는 일반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사용하며 통합학급 교재의 개발에 대해서는 54.6%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특수/통합학급 교사들의 의견 조사 결과, 1) 통합학급 운영의 가장 큰 단점을 통합학급 교사의 무관심이나 장애학생이 방치되는 것이라고 37.5%의 특수교사들이 응답한 반면, 장애학생의 수업 방해로 일반학생이 피해를 보는 것이라고 36.4%의 일반교사들이 응답하는 등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인식의 차이를 좁히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2) 장애에 대한 편견이나 차별이 교육을 통해 개선될 수 있도록 건강한 인간관계 교육이 실시되어야 하고, 3) 응답자의 30%에 해당하는 특수교사들이 학부 교육과정에 특수/통합 교육의 시수 및 실습이 확대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는 등 교육적 통합을 위한 전문성이 요구되며, 4) 통합교육이 수월하다고 인식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통합교육에 대한 연구와 수업 설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예술, 체육교과의 전문적인 교수·학습 방법이 연구되어야 할 것 등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후보

        지식표상이론과 음악지식의 표상

        승윤희 한국음악교육학회 2004 음악교육연구 Vol.27 No.-

        인간의 인지작용을 이야기할 때 언어는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그러나 모든 정보가 언어와 같은 상징매체로 기억에 저장되는지에 관한 주제는 인지심리학에서 지속적인 논쟁점이 되어왔다. 본 연구는 음악지식이 어떻게 표상되는지를 지식표상이론들에 따라 설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인지심리학에서 연구되어온 표상에 대한 다양한 이론들(상징표상, 유추표상, 연결표상, 비 표상이론)을 고찰하고, 지식의 개념과 유형을 살펴보아 음악지식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하였다. 음악지식은 다면체적인 지식이며 음악정보는 어느 하나의 방식이 아닌 다양한 방식으로 표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