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 성평등교육의 현실과 효과 : 젠더 규범의 재-생산, ‘위험한’ 성평등교육

        엄혜진,신그리나 한국여성연구소 2019 페미니즘 연구 Vol.19 No.1

        Since last year, the Cheongwadae petition for mandatory feminism education and ‘School MeToo’ movement have recalled again that school is gendered space, asking detailed assessment and analysis on gender equality education that have been performed in schools. The researches on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schools have been developed considerably. However, few researches have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gender equality education has deep relations with the social perceptions on gender equality, and the meaning of it is constructed dynamically through connections with gender relations, which is changing in the context of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In this essay, we tried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which is being shaped in the complex interactions of the system, contents, and practices of the education itself, and to diagnose the meanings and effects of it. The main research method we have used is focus group interview with the teachers and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directly or not, in the gender equality education. Through this, we analyzed the fact that the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school is performing education that, based on formal management system, minimizes the sexual differences simply or maximizes them essentially, and in this process reproduces the existing gender norms. We also showed that the education, while accepting the stereotype on gender role is a kind of discrimination, has produced the new dual norms that strongly maintain the gender norms about sexual values and attitudes, thus has treated the gender equality as already achieved, or has understood it, wrongly and narrowly, as a respect for interpersonal differences. In this situation, the education-related subjects are forced to understand the gender equality education as both an ‘optional’ and ‘dangerous’ one. As a starting point for the development of the policies for gender equality education, education authorities must actively engage in making desirable philosophy of education and social consensus on gender equality, and provide the basis for performing gender equality education safely and stably. 지난해부터 일어난 페미니즘교육 의무화 청원과 ‘스쿨미투’ 운동은 학교가 젠더화된 공간임을 상기시키면서, 그동안 학교에서 수행되어 온 성평등교육에 대한 면밀한 평가와 분석을 요구하고 있다. 학교 성평등교육에 관한 연구는 그동안 상당히 진척돼 왔다. 그러나 성평등교육이 성평등(gender equality)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깊은 관련을 맺으며, 정치, 경제, 문화적 맥락 속에서 변화하는 젠더 관계와 결속하여 그 의미가 동태적으로 구성된다는 점에 주목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논문은 교육의 체계, 내용, 실천의 복합적 상호작용 속에서 형성되고 있는 성평등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 의미와 효과를 진단했다. 주된 연구방법으로는 성평등교육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한 교사와 학생에 대한 초점집단 인터뷰를 사용했다. 이를 통해 학교 성평등교육은 형식적 관리체계에 기반하여 성적 차이를 생물학적으로 본질화하거나, 비가시화하는 등 모순된 내용과 실천으로 구성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기존 젠더 규범이 재생산되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또한 성역할(gender role) 고정관념이 차별이라는 인식은 수용하면서도, 성적(sexual) 가치와 태도를 둘러싼 젠더 규범은 강고하게 유지하는 새로운 이중 규범을 생산함으로써, 성평등을 이미 달성된 것으로 바라보거나, 개인 간 차이에 대한 단순한 존중으로 협소하게 이해하는데 기여하고 있다는 점도 밝혔다. 이와 같은 여건에서 교육 주체들이 성평등교육을 “옵션”교육이자 ‘위험한’ 교육으로 인식하는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성평등교육 정책의 진전은 교육 당국이 성평등에 대한 바람직한 교육철학과 사회적 합의를 마련하는데 능동적으로 개입하고, 성평등교육이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는 데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 인공지능 시대의 젠더규범에 대한 시론3)

        이승현 한국인터넷윤리학회 2018 The Digital Ethics(디지털 윤리) Vol.2 No.1

        When artificial intelligence as social robot is utilized in the human social community of reality, human being may experience artificial intelligence as one entity. As it interacts with human beings in social communities, it becomes necessary to make normative judgment on these phenomena. Determina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s can result in the reproduction of social discrimination and mainstream norms due to the belief in mass data and bias in algorithm design. The same is true of gender norms. While the phenomenon of giving gender and traditional gender roles to artificial intelligence can be said to be in response to economic and social demand, however, such motivation is the result of the operation of mainstream gender norms. The gender of artificial intelligence reflects stereotypes about gender dichotomy as well as gender stereotypes in contemporary gender roles. This can work in a way that reinforces the existing gender norms in that it reflects and reproduces the social norms of gender roles, gender expressions, and sexual characteristics of ‘women’ and ‘men’. Since artificial intelligence reflects social phenomena as it is, it does not justify reflecting discriminatory stereotypes or problematic gender norms. In this respec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utilize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way to reflect gender diversity rather than strengthening existing gender norms, under the assumption that human judgment influences algorithm design. It is also said that the need for constant intervention is also required. Just as human 'moral imagination' is required to realize fairness and the value of public interest in the algorithm, it is a point where gender imagination that exclude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and does not exclude minorities by mainstream gender norm is required.

      • KCI등재

        성소수자의 복식을 통한 젠더 정체성 표현

        김규연 ( Kim Kyu Yeon ),하지수 ( Ha Jisoo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0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0 No.4

        현대 패션은 개성과 정체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자발적인 동시에 사회문화적인 규범으로부터 영향받으며 특히 복식과 젠더에 관한 논의는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부분적 문화기술지를 활용하여 성소수자의 일상적 상황에서의 복식 활용 특성에 주목하였다. 일상적 상황에서 복식을 활용할 때 젠더화된 복식의 규범과 문화 내적인 규범이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고 규범이 작용하는 양상을 확인하며 이에 내재한 의미를 구체적으로 도출하고 한국의 사회문화적 영향에 따른 특수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성소수자는 젠더화된 복식 규범에 대응하는 태도를 형성하며 이를 바탕으로 복식을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소수자의 젠더화된 복식 규범에 대한 태도는 순응, 개성과 타협, 비순응, 이탈로 구분되었으며, 대응 태도에 따라서도 복식 스타일 표현 양상을 개성 추구형, 신체 관리형, 관습적 젠더 모방형, 중립적 젠더 이미지 추구형으로 나뉘었다. 비교적 공통적으로, 성소수자는 사회적 인식의 흐름을 바탕으로 복식을 통해 집단적 정체성을 반영하는 동시에 개인의 젠더를 표현한다. 일상적 상황에서 다양한 젠더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복식을 활용하며, 성소수자의 복식을 통한 젠더 수행은 젠더화된 복식의 규범 가운데 틈을 만들고 확장하며 새로운 규범의 등장 가능성을 암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는 한국 성소수자의 일상적인 복식 스타일 활용 방식을 고찰함으로 젠더와 섹슈얼리티를 표현하는 패션의 가능성을 확장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성소수자가 복식을 활용하면서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고민에 접근함으로써 다양한 젠더와 섹슈얼리티를 표현할 수 있는 패션 제품의 기획과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성소수자 범주와 세대 내에서 보여지는 세분된 특징을 밝히지 못하였으며 ‘벽장’에 속한 참여자를 다수 포함하지 못하였다는 데에 한계가 있다. While fashion is a major medium of expressing individuality and identity, it also has been influenced by the socio-cultural norm. This might be the reason that the discussions about fashion and gender have been made steadily. In this study, we purposed to pay atten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 of clothing of gender minorities in everyday situations, from the viewpoint of focused ethnography. Hypothesizing that gendered clothing norms and cultural norms will affect the use of clothing in everyday situations, we focused on identifying the aspects of how the norm works in gender minorities’ everyday lives and revealing its specificity of Korea’s social-cultural influence. According to the study, gender minorities express their clothing based on the attitude toward gendered clothing norms, which has been developed over time. The attitude of gender minorities toward gender-based clothing norms was divided into compliance, individuality and compromise, non-compliance and deviation. At the same time the costume expression patterns were divided into individuality-oriented, physical-management, customary gender-imitating, and neutral gender-image-seeking types depending on the response attitude. Relatively in common, the candidates clothed based on the social awareness reflect their collective identity through clothing and express individual's gender at the same time. By using clothes to perform gender in everyday situations, candidates’ gender performativity through clothing creates cracks among gendered clothing norm and extend it, implying the possibility of the emergence of new norm. This result implicates that the study has expanded the potential of fashion to express sexuality and gender, by inspecting costume styles of various Korean gender minoritie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when planning and developing fashion products that can express various gender and sexuality by approaching the concerns experienced when using clothes in daily life. But there still to be identified more detailed properties of each gender minority category and the segmental characteristics. Also, the study couldn’t include many participants from the ‘closet’, so the results can’t be generalized for all the gender minorities.

      • KCI등재

        혼인 상태별 한국사회의 다차원적 젠더 이데올로기 지형

        문지선 한국가족학회 2021 가족과 문화 Vol.33 No.4

        Using latent class analysis on the respondents by the marital status to the five gender role norms: ‘women’s family care norms’, ‘women’s childcare norms’, ‘women’s housewife identity norms’, ‘male-breadwinner norms’, and ‘dual earner norms’, this article shows the gender ideology of Korean society is composed of ‘pro-work familialism’, ‘egalitarianism’, and ‘traditionalism’ for both married and unmarried people. Although ‘pro-work familialism’ exists centered on wome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within ‘egalitarianism’ a new gender ideology called ‘flexible egalitarianism’ can emerge by men who accepts the ‘male-breadwinner norms’. This suggests that the diversification of egalitarianism is not due to women’s parenting role and work-family conflict, but rather from the attitude of accepting men’s traditional role. As such, the multidimensionality of gender ideology in Korean society is due to the diversification of egalitarianism like 'flexible egalitarianism’, in addition to ‘pro-work familialism’. In the case of married people, high-educated, high-income households tends to be supportive of egalitarianism, and low-educated, low-income households tends to traditionalists. And regular workers show more egalitarianism in comparison to the unemployed. In addition, female-breadwinner households and dual earner households and so on, where women’s relative income is higher than that of husbands, are more likely to be gender equal couples than male-breadwinner households. Therefore, the more women are regular workers and the weaker their economic dependence on their husbands, the more likely couples are to pursue egalitarianism, so for the gender equality it is important to provide women with jobs, such as regular position that can be possible stable employment and income enough to lead the household economy. In the case of the unmarried, as you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are particularly oriented toward egalitarianism, it is required to help them by systematizing the feminist education to strengthen their gender egalitarian tendencies without being swayed by adaptation and compromise. 이 연구는 한국사회의 젠더 이데올로기의 다차원성을 종합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한국복지패널의 다섯 가지 젠더 규범을 반영한 성역할 태도 문항들을 모두 이용하여 잠재집단분석을했다. 한국사회의 젠더 이데올로기 지형은 기혼자의 경우 ‘일지향적 가족주의, 전통주의, 성평등주의’, 미혼자는 ‘성평등주의, 일지향적 가족주의, 전통주의’ 순으로 강하여, 미혼자가 상대적으로 더 성평등주의적 가치를 지향했다. 성별로도 보면, 기혼여성은 기혼남성보다 남성생계부양자 규범을 제외한 젠더 규범들의 수용률이 높았지만, 미혼여성이 미혼남성보다 더 젠더규범에 순응적인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결혼 여부와 상관없이 ‘일지향적 가족주의’는 여성이강했고, ‘성평등주의’는 남성생계부양자 규범에 순응하는 남성에 의해 내부에서 ‘유연한 성평등주의’가 출현할 가능성이 있을 정도로 불안정했다. 이는 성평등주의의 분화가 여성의 육아역할과 일ㆍ가정 갈등 외에도, 남성의 생계부양 역할을 유지하려는 전통적 태도와 관련된 것임을 의미한다. 이렇듯 한국사회에서 젠더 이데올로기의 다차원성은 ‘여성 주도의 일지향적가족주의와 남성 주도의 유연한 성평등주의’라는 성평등주의의 분화에서 비롯됐다. 젠더 이데올로기 유형별 특성을 보면, 기혼자의 경우 고학력 고소득 가구의 기혼자가 성평등주의를, 저학력 저소득 가구의 기혼자는 전통주의를 지향했고, 정규직도 비취업자보다 더성평등적인 성향을 보였다. 또 남편 대비 여성의 상대소득이 높은 여성생계부양자 가구와 맞벌이 가구 등이 남성생계부양자 가구보다 더 성평등적인 부부일 확률이 높았다. 따라서 여성이 정규직이고 남편에 대한 경제적 의존성이 약할수록 부부가 함께 성평등주의를 지향할 가능성이 커서, 성평등한 사회로의 이행을 위해서라도 여성에게 정규직같이 고용이 안정되고가계경제를 이끌 정도의 소득이 보장된 일자리를 보급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미혼자를 중심으로 20~30대 청년층이 성평등주의를 지향한 만큼, 청년층의 페미니즘 교육을 체계화하여 이들이 자율성과 합리적 선택으로 포장된 적응과 타협에 흔들리지 않고 본연의 성평등주의 성향이 강화되게끔 돕는 대책이 요구된다.

      • KCI등재

        젠더사칭에 의한 간음의 형사법적 함의

        김종구(Kim, Jong Goo)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圓光法學 Vol.37 No.4

        미국, 영국, 이스라엘 등 외국에서는 젠더사칭(gender impersonation)에 의한 간음 또는 친밀한 성적 접촉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실제 형사처벌의 대상이 되고 있다. 미국의 경우 기망에 강간으로 처벌되거나, 이스라엘의 경우 행위의 본질(nature of act)이나 행위자의 아이덴티티(actor’s identity)의 기망에 의한 강간으로 처벌된다. 우리의 경우 일반성인 상대 위계에 의한 간음은 비범죄화 되어 피해자가 일반성인인 경우 젠더사칭에 의한 간음은 형사처벌 대상이 아니다. 그러나, 미성년자나 심신장애자에 대한 젠더사칭에 의한 간음은 인공성기의 삽입도 간음에 포함된다면, 형법과 아청법상 위계에 의한 간음으로 처벌될 수 있다. 문제는 일반성인 상대 젠더사칭에 의한 간음을 범죄화 할 것인지 여부이다. 여기에서는 무엇을 기준으로 범죄화와 비범죄화를 결정할 것인지가 관건이다. 행위자의 죄책(culpability)과 피해자에 대한 성적 자율성(sexual autonomy)의 침해, 해악(harm)의 발생 여부가 일응의 기준이 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젠더사칭에 의한 간음은 원하는 사람과 원하는 방식의 성관계를 자유로운 의사에 따라 결정할 수 있는 개인의 성적 자기결정권(right to sexual self-determination)을 침해한다는 점에서 범죄화의 필요성이 있다. 젠더사칭에 의해 피해자로부터 얻은 동의(consent)는 유효한 동의가 아니라는 점에서 성관계에 대한 유효한 동의가 있다고 보기도 어렵다. 한편, 젠더사칭에 의한 간음의 범죄화는 젠더를 둘러싼 여러 가지 논쟁적인 쟁점과도 연관성을 갖고 있다. 젠더사칭에 의한 간음을 형사처벌하는 경우 동성애를 부정하고 이성애를 규범에 합치하는 것으로 보는 전통적인 젠더규범(gender norm)을 강제하는 결과가 된다는 비판도 있다. 따라서, 젠더사칭에 의한 간음의 범죄화 문제는 피해자의 성적 자율성의 보호의 관점에 더하여 새로운 변화하는 젠더규범의 존중이라는 관점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젠더사칭의 사례의 특수한 문제의 하나는 간음이 남자의 성기와 여자의 성기의 결합이라고 할 때, 젠더사칭 사례에서는 인공성기(prosthetic penis)에 의한 삽입이 일어난다는 점에서 간음으로 보기 어렵다는 점이다. 따라서 위계에 의한 간음죄가 성립하기 어렵다. 또한 폭행・협박이 아니라 위계를 수단으로 하는 점에서 유사강간(quasi rape)으로 보기도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사례를 규율하기 위하여 젠더사칭 같은 위계를 수단으로 성기가 아닌 사람의 신체의 일부나 기타 물건을 삽입하는 행위를 처벌하는 조항의 입법도 검토해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형법상 일반성인 상대 위계에 의한 간음은 비범죄화 되어 있으므로, 일반성인 상대의 위계에 의한 간음의 처벌도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In foreign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and Israel, rape or intimate sexual contact by impersonation of gender is occurring in a variety of ways, and is subject to actual criminal punishment.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it is punished as rape by deception, or in the case of Israel, it is punished as rape by deception of the nature of the act or the identity of the perpetrator under the criminal law. Under the Korean Criminal Code, there is a question as to whether or not to criminalize sexual assault based on gender impersonation. The key here is to decide on what basis to determine criminalization and decriminalization. Whether or not the sexual autonomy of the victim is violated will be the standard of the decision. From this point of view, there is a need to criminalize adultery by impersonating gender in that it infringes on an individual’s right to sexual self-determination and the person’s free will to have sex with the person he or she wants. Some critics have criticized that if criminal punishment for sexual intercourse based on gender impersonation is the result of denial of homosexuality and forcing traditional gender norms that view heterosexuality as conforming to the norm. Therefore, in the criminalization of sexual intercourse by gender impersonation, the viewpoint of respecting the new and changing gender norms should also be considered. One of the specific problems with the case of gender impersonation is that rape is the combination of a male and female genitals. In the case of gender impersonation, it is difficult to see it as rape in that the insertion by the artificial genital organs occur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rape by fraud. Also, it is difficult to see it as a quasi rape in that deception is different from force or coercion. Therefore, in order to regulate such cases, legislation is needed to punish such act of inserting parts of a person s body or other objects other than the genitals by fraud.

      • KCI등재

        여성의 가사노동에 대한 태도 및 사회적 규범에 대한 여성의 인식이 가사노동시간의 성불평등에 영향을 미치는가?: 합리적 행위이론을 통한 매개효과 분석

        이승주 ( Lee Seungju ),이소민 ( Lee Somin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가족복지학 Vol.58 No.-

        본 연구는 합리적 행위이론을 활용하여, 사회적 규범을 통해 형성된 여성 자신의 성역할에 대한 인지적 태도가 가사노동에 있어 성불평등적 행동으로 발현되는데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여성가족패널(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y) 5차 자료를 활용하여 기혼여성 중 18세 이상 59세 이하 4,435명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사노동을 바라보는 여성자신의 태도와 사회적 요구에 의한 주관적 규범을 독립변수로 하여 가사노동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동시에 이들 변수들 간의 관계에서 합리적 행위이론에서 주장하는 가사노동 전담에 대한 행동의지가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s: SEM)을 통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여성 스스로의 가사노동에 대한 태도는 가사노동시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동시에 가사노동 전담에 대한 행동의도를 통해 간접적으로 가사노동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고, 주관적 규범은 가사노동시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진 않으나 가사 노동전담에 대한 행동의도를 통해 간접적으로 가사노동시간에 영향을 주는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해 성별 간 평등한 가정생활을 보장해주기 위해 마련된 일련의 제도를 인지하고 있음에도 가정 내의 성역할 분화가 여전히 나타나는 것은 단순히 제도 운용상의 문제만이 아닌 오랜 가부장적인 문화에 기반한 여성 스스로의 성역할 인식도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사회구성원들로부터 진정한 성평등 행동변화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남성이 상대의 성(gender)에 대한 가치를 존중해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여성 스스로 자신의 성(gender)을 바라보는 고착화된 인식의 전환을 시도하는 등 다각적 차원에서의 통합적 변화를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whether the women’s cognitive attitude toward gender role, which is formed through social norms, enforces the gender division of housework. In this study, 4,435 married women aged 18-59 years from the 5th wave dataset of Korean Longu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y Data were selected for analysi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we examine the direct effect of "attitude toward behavior" and "subjective norm" on the domestic working hours and whether those two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attitude toward behavior" and "subjective norm," influence the mediator variable “Behavior Intention” which in turn affect the dependent variable. The study reveals that “attitude toward the gender division of housework"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domestic working hours as well as an indirect effect operating through "behavior intention." And”subjective norm “has onl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the domestic working hours, operating through "behavior intention." Despite the fact that many women are now aware that various work-life balance policies are avaliable to mitigate the gender inequality of domestic works, it is proven that the gender division of housework becomes worse. The reason behind this is not only because there exist some problems in implementing the institutions themselves, but also because women’s deeply internalized self-perception of gender role based on the traditional patriarchal culture somehow exacerbates the gender division of housework. Hence, in order to instill a progressive change in gender division of housework, it is important for women to try to change the way they perceive the stereotypical gender roles as well as for men to treat women equally.

      • SSCISCOPUSKCI등재

        Gender Norms, Housework, and Class : A Study of Korean Time Use Survey

        Yoon, Ja Young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2010 Asian Journal of Women's Studies(AJWS) Vol.16 No.3

        This study asks whether and how gender norms explain the time spent on housework in dual-earner households. In doing so, I explore the ways in which gender norms affect housework in specific class contexts. Using the 2004 Korean Time Use Survey (Korea Statistics Office, 2004), I focus on and define gender norms in the following way: individuals hold egalitarian attitudes if they are opposed to the traditional sexual division of labor.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 egalitarian attitudes of husbands, rather than wives, particularly those who lived with egalitarian wive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ir own contribution to housework and food-related activities. Provision of child care, however, was barely affected by a woman’s economic resources or gender norms, while the effects of the wife’s class and economic resources also have an impact, along with gender norms.

      • KCI등재후보

        남성의 양성평등행동에 대한 합리적 행위이론 및 계획된 행동이론의 적용:도덕적 책무의 역할 탐색

        김명소,김금미,한영석 한국여성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9 No.1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1) examine the effect of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in explaining gender equality intention as well as gender equality behavior, i.e., test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2) investigate the role of moral obligation in the prediction of gender equality behavior, and (3) propose and test the research model which includes the moral obligation variable into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 nationwide sample of 727 Korean male adul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Both Reliability analysis and principal axis factor analysis showed that most factors were unidimensional with moderate to high reliability. The results from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the gender equality intention was explained 35.2% by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and 45.9% by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while gender equality behavior was explained 37.3% and 39.6% respectively by each theory. When the moral obligation was added into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variance was increased into 55.4% for gender equality intention and 40.8% for gender equality behavior. Furthermore, the moral obligation was more important predictor than the subjective norm. The results from the LISREL supported the research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with reasonable goodness of fit.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the future directions of this area were discussed.

      • KCI등재

        성별의 언어적 구조

        권영수(Young Su Kwon) 언어과학회 2011 언어과학연구 Vol.59 No.-

        Recent studies became interested in the view that gender can be categorized as a social and cultural construction which influences on the linguistic behavior along with other factors such as age, socio-economic status, ethnicity, and situational communication contents. The linguistic construction of gender is regarded as an individual behavior of active interaction, that is, ``doing gender``. ``Doing gender`` in the linguistic gender research is limited to the area mainly on the gender-oriented typical communication behavior. It is hypothesized that there exist gender-oriented stereotypes of the male or female communication behavior. Even the same communication behavior can be perceived differently whether it is produced by man or woman. The gender construction is considered as a bilateral process taking place not only in the language production but also in its reception. This study aims to support the hypothesis through investigating the findings of various studies on recognizing gender stereotypes. Under these assumptions, however, it remains unclear what theoretical background is based on the cognition framework, and how the cognition process undergoe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KCI등재

        한국사회에서 성윤리와 젠더규범의 갈등과 조화 - 성폭력, 비동의간음죄, 성전환, 낙태를 중심으로 -

        김학태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24 외법논집 Vol.48 No.1

        한국사회에서 성폭력범죄는 전통적으로 도덕이라는 규범 속에 은폐되어 있는 가부장적 논리와 자유의 배타적 수혜자로서의 남성상을 반영한 규범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새로운 밀레니엄 시대에 들어서면서 양성평등에 기초한 합리적인 성윤리로 변화되었고 이에 따른 젠더규범의 변화는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최근 소위 ‘권력형’ 성폭력 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 대안으로 비동의간음죄의 신설이 요청된다. 비동의간음죄는 성적 자기결정권의 실질적인 보장을 위한 획기적인 패러다임의 전환이라 할 수 있다. 그동안 수많은 성폭행사례가 처벌되지 않는 부당한 경우가 많았지만, 비동의간음죄의 입법화는 이러한법의 공백상태를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13년에 처음 외부성기 성형수술없이 성전환자의 성별변경을 인정한 법원 판결에서, 성전환을 위한 의료적 조치가 반드시 외부성기 성형수술을 동반하지 않는다는 점과 전환된 성의 외부성기 형성여부가 사회적 그리고 법적 성별을 판단하는 필수 요소가 아니라는 점이 인정되었다. 신체적 고통과 경제적 부담을 감내해야만 하는 외부성기 성형수술은 인간의 존엄과 가치 그리고 행복추구권을 침해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대법원은 2023년 판결에서 강제추행죄의 ‘폭행 또는 협박’은 상대방의 항거를 곤란하게 할 정도로강력할 것이 요구되지 아니하고, 상대방의 신체에 대하여 불법한 유형력을 행사하거나 일반적으로 보아 상대방으로 하여금 공포심을 일으킬 수 있는 정도의 해악을 고지하는 것이라고 판시하였다. 대법원의 입장변화는 성폭력범죄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재판 실무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해석 기준을 제시한 것으로, 자유롭고 평등한 개인의 성적 자기결정권 보호에 부합된다. 헌법재판소의 2019년 낙태죄 헌법불합치 결정이후 4년이 지났고, 입법유예기간 만료 후 3년이 되어도 관련법개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낙태죄 개정은 헌재결정의 취지에 따라 임신 14주까지는조건 없이 낙태가 허용되고, 이후 24주까지는 사회경제적 사유 등의 경우에만 임신중지를 허용하며, 24주 이후에는 원칙적으로 허용할 수 없도록 규정되어야 하며, 절차적 요건으로 의사와 상담을 받고24시간의 숙려 기간을 거치도록 하고, 또한 임신중지시술에 대한 의사의 진료 거부권을 명시하고, 미성년자의 경우 법정대리인의 동의를 규정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It can be said that the criminal types of criminal law represented by rape and forced harassment are norms that reflect the patriarchal logic concealed in the norms of morality and masculinity as an exclusive beneficiary of freedom. However, as the new millennium era entered, it changed to rational sexual ethics based on gender equality, and the changes in gender norms developed in various ways. Recently, a new crime of adultery is requested as a practical alternative to solving the so-called ‘power-type’ sexual violence problem. The crime of adultery can be said to be a breakthrough paradigm shift for the practical guarantee of the right to sexual self-determination. In the meantime, there have been many cases of sexual assault that have not been punished, but legislation into the crime of non-consensual adultery is expected to resolve the void of this law. In a court ruling in 2013 that first recognized gender changes in transgender people without external plastic surgery, it was recognized that medical measures for gender conversion do not necessarily accompany external surgical surgery and that the formation of external sexes of converted sex is not an essential factor in determining social and legal gender. Surgery, which must endure physical pain and financial burden, is evaluated as violating human dignity, values, and the right to pursue happiness. In 2023,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assault or intimidation’ of forced harassment is not required to be strong enough to make it difficult for the other party to protest, but to exercise illegal tangible force on the other party’s body or, in general, notify the other party of harm that can cause fear.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Supreme Court presents new interpretation standards according to changes in social perception and trial practice of sexual violence crimes, consistent with the protection of the right to sexual self-determination of free and equal individuals. 4 years have passed since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to be inconsistent with the constitution for abortion in 2019, and even 3 years after the legislative deferral period expires, no amendments have been made to the relevant law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abortion should be allowed without conditions until the 14th week of pregnancy, suspension of pregnancy should be allowed until the 24th week, and in principle, not allowed after the 24th week. As a procedural requirement, consult a doctor and go through a 24-hour meditation period, and specify the doctor’s right to refuse treatment for discontinuation of pregnancy, and in the case of minors, the consent of the legal representative should be stipul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