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 이사회의 여성이사 비율 확대를 위한 제언

        ( Eunice K. Kim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法學論集 Vol.21 No.4

        우리나라 상장회사 기업이사회의 여성이사 비중은 다년간 OECD나 G20 회원국 중가장 낮다. 본 논문은 지난 30년간 미국에서 간접차별 법리의 미흡함에 대한 대안으로 활발하게 논의되어온 무의식적인 편견 (unconscious bias, 또는 implicit bias)의 개념을 여성이사의 비중을 늘리는 새로운 해법으로 제시한다. 무의식적인 편견 개념은 모든 사람들에게 사회적 약자에 대한 편견이 무의식에 잠재해 있으며 편견이나 고정관념으로부터 자유롭다고 공언 하는 사람들조차도 무의식적으로 또는 즉흥적으로 행동하는 경우에는 무의식적인 편견과 일관된 행동이나 결정을 내린다고 주장한다. 2차젠더편향 (second generation gender bias)은 무의식적인 편견 개념을 젠더에 적용하여 인적 넷트워크 형성 및 교류패턴, 오랜 관행 및 전통으로 인하여 여성이 은연중에 특정영역 또는 기회에서 배제되는 것을 의미하는 개념이다. 2차젠더편향은 고용차별 이외에도 불평등이 존재하는 여러 상황에 유연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무의식적인 편견을 약화시키거나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방안을 해법으로 제시해줄 수 있다. 특히 기업과의 관계가 고용관계가 아닌 위임관계에 있으며 기업 지배구조 관행 상 이사 후보 풀의 구축 과정이 불투명하고 후보 선발 시 평가 기준이 탄력적이며 주관적인 판단이 크게 반영되는 이사들에게는 2차젠더편향의 영향력으로 인하여 여성이 배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2차젠더편향을 약화시키고 궁극적으로 제거하는 방안으로 행동수정프로그램과 성비할당제 (gender quota)를 동시에 시행하는 것을 제안한다. For as long as we can remember, the percentage of female corporate directors at Korean listed corporations has been the lowest along all OECD member countries and the G20 nations. This Article proposes that the theory of unconscious (or implicit) bias, which was developed over the past 30 years in response to what some American legal scholars viewed as deficiencies in disparate impact approach to discrimination, be used to address the challenge of achieving gender balance on corporate board. The theory of unconscious bias posits the pervasiveness of unconscious bias against stigmatized groups such as racial minorities, women, disabled, and sexual minorities. Even individuals who avow that they are free of discriminatory biases against minority groups, are likely to behave in a manner that evidences their unconscious bias. Theory of unconscious bias as applied to gender relations in the context of social practices and patterns of interaction, formation of human networks that have the effect of excluding women from opportunities are referred to as second generation gender bias. Glass-ceiling, sexual harassment are common examples of second generation gender bias. Second generation gender bias is a useful tool for analyzing exclusion of women in various situations, enabling formuation of corrective and prevention measures above and beyond legal remedies. In recognition of the likelihood that women are excluded from corporate directorships as a result of second generation gender bias, this paper proposes recommends 2 measures to be undertaken concurrently in order to weaken and ultimately eliminate the impact of second generation gender bias: first a behavior modification program grounded in education and training, designed to raise awareness of implicit bias; secondly, imposition of mandatory gender quota to be implemented in several stages.

      • KCI등재

        성역할 및 성차별 태도 그리고 성별이 젠더혐오 주의편향에 미치는 영향

        신성영,최윤경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23 젠더와 문화 Vol.16 No.2

        This article examines the effects of gender roles, sexist attitudes, and gender on gender-based attentional bias using the emotional Stroop task.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comprised of 40 undergraduate students (23 females and 17 males) at the universities located in the Daegu and Gyeongbuk areas, who scored 21 or less on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They completed the Gender Role Attitudes Scale(SGRAS), the Korean Ambivalent Sexism Inventory (K-ASI), and the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PANAS), followed by an emotional Stroop task. The word stimuli used in the emotion Stroop task consisted of gender-based hate words, gender-neutral words, and fillers, from which two gender bias indexes were calculated. Speech of hate against women were perceived as more negative, arousing, understandable, and familiar than male-targeted hate expressions. The interaction between sexist attitudes and gender on the female-hating attentional bias index was not significant, but the interaction between gender role attitudes and gender was significant. No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on the male-hating attentional bias index. The article concludes by discussing its limitations and providing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선택편의효과로 본 한국 노동시장의 성별 임금격차 의미: 차별은 개선되고 있는가

        문지선,김난주 참여연대 2023 시민과세계 Vol.- No.43

        This study analyzed the gender wage gap in 2017-2022 by ‘the Oaxaca-Blinder wage decomposition using the Heckman selection model’, utilizing industry and occupational classifications of Korea’s Regional Employment Survey, which covers all 21 industries in the Korean Classification. The Korean wage labor market had a larger real wage gap for all six years, but there was a negative selection bias effect in which the wage gap was suppressed by married women in their 30s. In particular, there were differences in ‘length of service’ and ‘company size’ by gender, but even if men and women were under the same conditions, more favorable compensation was given to men, which might be the reason for the larger ‘gender-discriminatory wage gap’. However in 2020, when COVID-19 was severe, the gender wage gap narrowed and selection bias was the lowest. Although the wage labor market shrank overall, the gender wage gap was alleviated as the poorer female wage workers were pushed out, not as the result of the improvement in the labor market discrimination. Moreover, after COVID-19, the gender wage gap rapidly increased in 2021 and the proportion of the coefficient effect also exceeded 60%, strengthening the ‘gender wage gap and gender wage discrimination’ altogether. In 2022, the gender wage gap and the proportion of the coefficient effect decreased, but the selection bias was the largest ever, so it was strongly influenced by the entry of certain groups into wage workers such as ‘highly educated married female workers in their 30s’. In addition, given that ‘gender-discriminatory wage gap’ has been increasing recently in 2021 and 2022, gender discrimination in the Korean wage labor market has not been relieved. Considering the underestimation of the ‘gender-discriminatory wage gap’ as well as gender wage gap, enduring gender wage discrimination, and the selection bias effect that has lessened this gender inequality, it is necessary to reform the gender-discriminatory wage compensation, practices, and evaluation. Especially, Policy intervention to address the career interruption of married women in their 30s is urgently needed.

      • KCI등재

        인공지능 젠더편향에 대한 대학생 AI개발직군의 인식 -심층인터뷰를 바탕으로-

        김효은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4 철학·사상·문화 Vol.- No.45

        국내외에서 인공지능 편향으로 인한 이슈가 증가하는 추세다. 인공지능 편향이 영향을 미치는 대상집단은 대표적으로 젠더와 인종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 더 영향력이 큰 젠더편향에 대한 인식을 주제로 삼아 곧 사회에 나갈 20대, 특히 인공지능개발 경험이 있는 대학생 열명을 심층인터뷰 대상으로 하였다. 방법은 심층인터뷰 방식을 통해 인공지능의 젠더편향에 대한 인식과 기술 현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조사 성격의 서베이와 이를 보강하는 심층인터뷰를 단계별로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개발직군 대학생들은 남녀 구분 없이 개인차는 있지만 사회나 인공지능의 젠더편향에 대한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분야의 특성상 채용은 성별의 영향을 받지 않기에 개인의 젠더 관련 인식이 본인의 개발과는 독립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AI 개발 과정에서 젠더편향이 있을 경우, 한쪽 성별과 관련한 데이터를 더 추가하거나 가중치를 가감하는 방식으로 조정할 수 있다는 제시를 하였다. 인터뷰 참가자들은 최근 발전된 편향완화 기술 또한 적용가능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여 역량 보유상황을 알 수 있었다. AI편향완화를 위해서는 인공지능 젠더 편향을 완화하는 환경 구축과 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인식조사에 기반하여, 해당 내용을 구체화할 정책 제안들을 제시한다. The issue of AI bias is growing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e target groups affected by AI bias are typically gender and race. This study focused on the perception of gender bias, which is more influential in Korea,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en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20s who are about to enter the workforce, especially those with experience in A.I. development. Methodology: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gender bias in A.I. and the current state of technology through in-depth interviews. To this end, we conducted a preliminary survey and a supplementary in-depth interview in stages. The results showed that university students were aware of gender bias in society and AI. However, they perceived that their personal experience of gender-related discrimination was independent of their development. Due to the nature of the field, recruitment is not affected by gender, but we did not exclude the possibility that an individual’s background and experience may affect the development process of AI, even if unconsciously. It was suggested that gender bias, if present, could be adjusted for by adding or weighting more data related to one gender. Most of the interviewees agreed that recent advances in bias mitigation techniques can be applied by applying existing techniques, suggesting that natural environments and training are needed to mitigate gender bias in AI. Based on these perceptions, this paper presents policy suggestions to materialize them.

      • KCI등재

        인공지능의 목소리, 규제할 수 있을까 ―젠더 편향 해소를 위한 제안―

        김주현 한국법철학회 2023 법철학연구 Vol.26 No.3

        본 논문은 그동안 제시된 인공지능의 젠더 편향 해결 방안이 효과적인지, 그 방향성이 타당한지에 대한 물음을 탐구하고자 한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인공지능 기술인 디지털 어시스턴트는 기본적으로 여성으로 설정되었다. 글로벌 기술회사는 남성 소비자를 중심으로 디지털 어시스턴트의 목소리를 여성으로 설정하여 개발하고 보급하였다. 그런데 문제는 여성화된 디지털 어시스턴트가 기존의 젠더 불평등을 유지할 뿐 아니라 확산시킨다는 것이다. 디지털 어시스턴트의 목소리는 여성이 친절하고 유순하며 순종적이라는 젠더 고정관념을 강화하고, 성적 괴롭힘에 대한 잘못된 태도를 양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디지털 어시스턴트의 여성화는 기술회사가 압도적으로 남성 인력에 의해 구성되었기 때문인데, 다른 전문 분야와 비교할 때, 인공지능 기술 분야에서 젠더 격차는 심각한 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방면의 국제적, 국내적 노력이 있었다. 기본적으로 여성 음성으로 설정되는 관행을 없애고, 젠더 중립적인 디지털 어시스턴트 개발을 모색하는 방안을 제시하였고, 디지털 어시스턴트의 젠더 편향으로 강화되는 젠더 불평등을 개선하기 위해 젠더에 민감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알고리즘을 설계하거나 프로그래밍해야 한다는 제안을 하였다. 기술 분야의 젠더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여학생들의 이공계 진출을 지원하는 정책과 법제도 시행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방안으로 역사적으로 뿌리 깊게 지속된 젠더 불평등이 해결되기란 쉽지 않았다. 특히 인공지능의 젠더 편향을 해결하는 기존의 방안은 다소 한계에 부딪히고 있는데, 여성 목소리를 기본값으로 하지 않기 위해 남성 옵션을 추가했지만, 성별 이분법적 고정관념을 드러내거나 성 정체성의 다양성을 고려하지 못한 점이 있다. 남성 중심의 기술회사에서 젠더 중립적인 디지털 어시스턴트의 개발이 가능한지도 의문이며, 젠더에 민감한 데이터와 알고리즘도 이를 설계하거나 감사하는 주체가 중요한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한계를 지닌다. 기술 분야의 여성 참여 정책과 법제가 시행되고 있음에도 여전히 인공지능 기술 분야에서 여성의 과소 대표성이 심각한 것도 문제이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효과적인 인공지능의 젠더 편향 해소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젠더 권력의 사회적, 정치적 맥락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남성의 관점과 경험이 보편적인 남성 중심 사회에서는 인공지능 젠더 편향에 대한 문제의식이 부족할 수 있다. 인공지능 젠더 편향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인공지능 젠더 편향에 대한 교육과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인공지능의 젠더 편향을 해소하기 위한 구체적인 법적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젠더에 민감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알고리즘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젠더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법적 지원 기구가 필요하며, 이는 기술 분야의 적극적 평등실현조치를 통해 기술-젠더 융합 전문가의 양성을 바탕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effectiveness of proposed solutions addressing gender bias in AI and evaluates their appropriateness. Globa tech companies have developed and marketed a digital assistant with a female voice, targeting male consumers. However, the issue lies in feminized digital assistants not merely perpetuating existing gender inequalities but exacerbating them. These digital assistant voices reinforce gender stereotypes, portraying women as kind, docile, and submissive, while fostering false attitudes about sexual harassment. This inclination towards female digital assistants stems from the overwhelmingly male workforce in tech companies, highlighting a severe gender divide within AI technology compared to other professional fields. Numerous international and national initiatives have aimed to address this issue. Proposals have emerged to eliminate defaulting to female voices, explore gender-neutral digital assistants, and collect gender-sensitive data. Efforts have also focused on designing algorithms to mitigate gender inequalities reinforced by biases in digital assistants. In the education sector, policies and legislation bolster girls’ entry into science and technology, addressing gender imbalances within the tech field. However, these measures struggle to rectify deeply entrenched gender inequalities. Specifically, existing measures tackling gender bias in AI have limitations. Some introduce a male option to avoid defaulting to a female voice but fail to confront gender binary stereotypes or consider diverse gender identities. The creation of gender-neutral digital assistants within male-dominated tech companies raises questions. Additionally, discussions about the individuals responsible for designing or auditing gender-sensitive data and algorithms are absent, hampering their collection and programming. Despite policies and legislation aimed at enhancing women’s participation in technology, a significant under-representation of women persists within the field of AI technology. To effectively address gender bias in AI, it is required to devise solutions that consider the social and political contexts of gendered power. In a predominantly male-dominated society where male perspectives and experiences prevail, awareness of gender bias in AI might be lacking. Raising social consciousness about gender bias in AI necessitates educational initiatives and dedicated research. Specific legal support should also be provided to help address gender bias in AI. Developing gender-sensitive data collection methods and algorithmic designs requires a legal support institute focused on identifying and proposing solutions to gender-related issues. Such endeavors require training experts at the intersection of technology and gender through affirmative action.

      • KCI등재

        Korea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Gender-Biased and Gender-Neutral Terms

        ( Hyowon Song ) 현대영미어문학회 2023 현대영미어문학 Vol.41 No.1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Korean college students recognize the replacement of gender-biased terms with gender-neutral ones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This study argues that in the EFL situations like Korea, learners of English need to be informed about these social changes in the use of gender-related terms to avoid socially-sensitive language. This study used a survey to test the Korea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about gender-biased and gender-neutral terms. The results show that most participants have never been educated about the replacement of gender-biased terms, and although they seem to be more easily aware of gender-neutral terms than gender-biased ones, they use both gender-biased and gender-neutral terms interchangeably.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language educators should more emphatically inform language learners about gender-related issues in the language education environment.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 KCI등재

        Gender Differences in Risk Attitudes in Hypothetical and Real Financial Decisions: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황욱,이진권 한국자료분석학회 201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5 No.5

        This paper experimentally investigated whether a gender difference in risk attitudes existed for Korean students and whether a hypothetical bias, which may be defined as subjects' tendency to be less risk averse in a hypothetical decision-making situation than in a real decision-making situation, existed. Moreover, we investigated if there was a gender difference in the hypothetical bias. In the course, we checked the validity of a self-reported risk measure in terms of the existence of the gender difference. While there have been many experimental studies both on gender difference in risk attitudes and on hypothetical bias in risk attitudes done in U.S. and Europe, it may not be certain that the results from the studies are directly applicable to Korean since a cultural difference may affect it. In this aspect, this experimental study for Korean could contribute to investigate the gender difference and hypothetical bias of Korean. This study found that women tended to be more risk averse than men in a real decision-making situation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a hypothetical situation. This study also found strong evidence that a hypothetical bias existed for both men and women, that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in the size of the hypothetical bias and that hypothetical self-reported risk attitudes were not able to predict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real decision-making situation.

      • KCI등재

        젠더 법학 교육 - "성과 법률" 수업 사례 중심으로 -

        전해정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법학논총 Vol.31 No.3

        This paper deals a gender legal education which incorporates Freire’s critical pedagogy, feminist legal methods and anti-bias curriculum into the legal education. I introduce the class of <성과 법률> which means <sex/gender and law> in order to explain how to implement the feminist legal pedagogy with anti-gender bias curriculum. The class is one of the liberal arts, not of law majors. Every other semester, more than 130 students with various undergraduate backgrounds participate in this class. I planned the class in 2015 that included two term papers, group presentations, two special lectures, free and group discussion, writing a comment on lecture board, attendance grade, and essay question in mid-term exam. The participants had been burdened with many assignments to complain their evaluation before I decided to reform the class. First of all, the goal of the class was set up to raise consciousness of participants and to eliminate gender bias. Freire’s critical pedagogy gave me some idea, the contents of which are dialogue, coding-decoding, praxis and conscientization. I co-linked the critical pedagogy into feminist legal methods, that is, consciousness-raising, story-telling, asking the woman question, and feminist practical reasoning(contextual reasoning). The curriculum was made on the basis of anti-gender bias curriculum. The class flew in the whole semester according to the feminist legal methods with critical pedagogy. Participants has only one interview assignment. Instead, more free and group discussion was focused in class. They recognized their bias and reflected themselves and gender issues from the viewpoint of social system. The class received positive reviews which went up gradually year by year. It shows that gender legal education will advance an equal society. 미투운동의 여파로 페미니즘 교육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2015 학년도부터 2017학년도까지의 국민대학교 <성과 법률> 수업을 중심으로젠더 법학교육의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2015학년도 <성과 법률> 수업은 기존의 여타 수업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하였으나 학생들의평가는 좋지 않았다. 100여명이 넘는 2학점짜리 대형강의임에도 불구하고10개의 주제를 10명에서 11명의 수강생으로 구성된 조별 발표, 두 번의과제, 특강, 질의응답 게시판 운영과 수업 토론 등 짧은 시간동안 많은내용을 다루다 보니 학생들의 부담이 과중되고 수업의 방향성도 모호해졌다. 이에 기존의 수업계획을 전면 수정하고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하기로 하였다. 먼저 수업의 목표를 편견 제거와 의식향상에 두고 파울로 프레이리의 비판적 교육이론과 여성주의 법학방법론을 토대로 여성주의 법학교육을 지향하면서 반(反)-젠더편견 커리큘럼을 구성하였다. 인터뷰 과제 하나만을 남기고 조별 발표를 없앰으로써 학생들의 부담을 덜었다. 대신에 반응이 좋았던 자유토론 시간을 늘리고 시청각 자료와 밴드를 적극활용하였다. 인터뷰 과제와 토론은 비판 교육이론의 대화와 여성주의 법학방법론의 이야기 나누기를 응용한 것이며, 이러한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편견을 발견하고 비판적인 자아성찰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법학전공이 아닌 교양수업이고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수강을 하는 까닭에 편찬-해석, 여성주의 실천적 추론(맥락추론)은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남편살해 사건에서의 법논증을 소개하는 데 그쳤다. 한 학기 전체수업은 여성주의 법학방법론에 따라 이야기나누기-여성문제제기-맥락추론으로 진행되었다. 해를 거듭할수록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가 상향하였다. 교양수업으로서 2학점짜리 150명 내외의 대형강의는 여러 가지제약이 크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수업을 위해서는 소수 수강생의 최소한 3학점짜리 법학전공수업이 적합하다. 비록 미투 운동 이후 젠더 법학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법학교육의 현실은 그리 밝지 못하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젠더 법학교육을 통해 편견을 제거한 평등 사회 도래가 앞당겨질 것이라는 점이다.

      • KCI등재

        국내 종합일간지 대표 SNS 저널리스틱 일러스트레이션의 성평등 표현 분석

        박혜선 ( Park Hye Sun ),남호정 ( Nam Ho Jung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4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7 No.0

        국제 사회에서는 성평등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국내의 성평등 지수는 오히려 후퇴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국제적인 성평등 노력과 국내 젠더 이슈 현황을 조망하고, 미디어의 젠더 표현 분석의 필요성을 탐구하며, 향후 성평등한 사회로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는 젠더 표현의 바람직한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16개월동안 국내 4대 종합일간지의 대표 SNS에 업로드된 기사 속 240개의 저널리스틱 일러스트레이션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저널리스틱 일러스트레이션에서 여성 표현의 과소 재현 현상이 두드러졌다. 둘째, 보수 그룹과 진보 그룹 간 모든 항목에서 큰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언론사의 젠더데스크 운영 여부에 따른 차이로 보인다. 셋째, 진보그룹에서는 여성 표현에 대한 다양한 유형의 표현 방법이 나타났다. 저널리스틱 일러스트레이션은 사회적 가치와 윤리를 우선시하며 수용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성평등 관점에서 저널리스틱 일러스트레이션을 분석하여, 성별에 따른 편견과 고정관념을 배제하고 성별 간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의의를 가진다. 향후 저널리스틱 일러스트레이션 분야에서 보다 전문적이고 구체적인 성평등 가이드라인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While various efforts are being made to achieve gender equality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gender equality index in Korea has rather regresse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ternational efforts towards gender equality and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gender issues in Korea, explore the need for analyzing gender representation in the media, and explore desirable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gender representation that can contribute to the transition to a more gender-equal society. The study analyzed 240 journalistic illustrations uploaded to the representative SNS of four major daily newspapers in Korea over 16 months and deriv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the underrepresentation of women was prominent in the journalistic illustrations. Second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items between the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groups, which seem to be due to the operation of a gender desk in the media. Thirdly, the progressive group showed various types of expression methods for the representation of women. Journalistic illustrations aim to prioritize social values and ethics and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public. This study analyzed journalistic illustrations from a gender equality perspective, which is meaningful as an effort to exclude gender-based biases and stereotypes and to address gender inequalities.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more professional and specific gender equality guidelines in the field of journalistic illustrations.

      • KCI등재

        문학 교과서의 성별 편중성 분석: 젠더의 눈으로 문학 교과서 읽기

        우신영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gender tendency in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The target audience is 11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Although gender tendency can be analyzed at various levels of planning, writing, composition, form, content (description, illustration, activity, etc.) of textbooks,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composition of textbooks and textbooks (Sanctification) of the work contained in the analysis of the composition of the author. There are five major research problems. Sex biasedness revealed in the sex ratio of the textbooks of literature, gender stereotypes appearing in the textbooks of literary textbooks, gender bias attributed to the sex ratio of the writers in the literary textbooks, gender bias in the occupational and sanctioning genres of the writers, textbook writers gender This is the correlation between biasedness and gender bias of the writ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gender is an important consideration in composition of textbooks and composing works. In order to be able to describe literary textbooks in a more delicate manner as texts for constructing the emotional structure of a generation and a generation, efforts should be actively made to resolve gender stereotypes of the writers and sanctioned writers. There should also be a number of institutional and educational mechanisms to help criticize literary textbooks with the gender's eyes.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나타난 성별 편중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분석 대상은 11종의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이다. 문학 교과서를 둘러싼 성별 편중성은 교과서의 기획, 집필, 구성, 형식, 내용(서술, 삽화, 활동 등) 다양한 차원에서 분석될 수 있지만 본 연구는 가시적이고 양화 가능한 성별 편중성을 우선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교과서 집필진의 구성과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의 작가 구성을 주된 분석 자료로 삼았다. 연구 문제는 크게 다섯 가지로 다음과 같다. 문학 교과서 집필진 구성의 성비에서 드러나는 성별 편중성, 문학 교과서 집필진 별 집필 분량에서 나타나는 성별 편중성,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 작가들의 성비에서 드러나는 성별 편중성, 작품 작가들의 직업 및 제재 장르에서 나타나는 성별 편중성, 교과서 집필진 성별 편중성과 수록 작품 작가들의 성별 편중성의 상관관계 등이 그것이다. 분석 결과 교과서 집필진 구성 및 작품 제재 작가 구성에서 젠더가 중요한 고려사항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 시대, 한 세대의 감성구조를 건축하는 텍스트로서 문학 교과서가 보다 섬세한 방식으로 서술되기 위해서는 집필진 및 제재 작가의 성별 편중성을 해소하려는 노력이 적극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또한 젠더의 눈으로 문학 교과서를 비평하도록 돕는 여러 가지 제도적, 교육적 장치들이 마련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