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정분석보고서의 미흡성과 공시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성과 개선 노력

        정선문 한국회계학회 2021 회계저널 Vol.30 No.2

        1998년부터 지방재정법에 근거하여 매년 지방자치단체들의 재정현황을 분석·평가한지방재정분석 보고서가 공시되고 있다. 각 자치단체의 재정건전성과 효율성 측면에서 운영성과를 측정하고 유사 단체와의 상대평가를 통해 미흡한 성과를 지적하여 공시한다. 그런데 제도 시행의 긴 역사에도 불구하고 지방재정평가제도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성과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실증분석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재정평가제도가 차년도 재정운영성과를 유의하게 변화시키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의의가 있다. 재정분석보고서의 독특한 특징인 미흡지표의 공시에 주목하여 보고서 상에 미흡지표로 지적받은 이후 차년도에 해당 성과가 유의하게 개선되는지 검증하였다. 2015-2017년의 기간 동안 221개 기초자치단체의 미흡지표로 공시된 성과지표들을 수기로 수집하여 미흡지표 지적과 차기 성과변화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재정건전성과 효율성 분야의 주요 9개 성과지표에 대하여 일관된 개선효과가 발견되었다. 이는 재정평가제도가 형식적으로 운영된다는 우려와 달리 미흡지표 공시라는 부정적 피드백을 통해 재정성과를 실질적으로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결과이다. 차후 2년 간의 장기 성과에 대해서도 미흡지표 지적이후에 유의한 개선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우수지표로 선정된 후에는 일부 성과지표에 있어서 차년도 성과가 하락하는 현상은 미흡지표 개선 노력이 다른 성과에 대한 노력과 대체관계에 있음을 시사한다. 추가분석 결과, 실제로 동종단체에 비해 미흡한 성과보다는 미흡지표로 공시된 성과에서만 일관된 개선효과가 나타나, 재정성과정보를 이용하는 외부 정보이용자들의 감시 역할이 중요함을 암시한다. 마지막으로, 미흡지표 공시가 대손충당금을 활용한 성과조정을 야기하지는 않는다는 결과는 재정분석보고서가 지방자치단체의 실질적인 행정개선을 유도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Since Fiscal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was introduced to Korean local governments in 1998, every local government goes through evaluation of their fiscal sustainability and efficiency. Annual Performance Reports disclose achievement level based on pre-established performance indicators, and point out poor-performing and high-performing indicators of each municipality. Despite the 20-year history of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we have scant empirical evidence whether the system enhances the fiscal accountability of local governments. Henc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erformance-enhancing effect of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by exploiting the disclosure of poor-performing and high-performing indicators in Annual Performance Reports. Using a sample of 221 municipal governments during 2015-2017, I find that municipal governments significantly improve the fiscal performance after they were pointed out a poor-performance in Annual Performance Reports in the previous year. Performance-enhancing effects hold for 9 performance indicators of fiscal sustainability and efficiency, supporting the efficacy of Fiscal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However, I also find that several performance measures deteriorate after municipal governments received good reviews in the previous year. Combined,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Fiscal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significantly improves fiscal performance of municipal governments by pointing out and disclosing poor-performance. At the same time, efforts to improve poor-performing measures divert away municipalities’ efforts on high-performing measures. I further find that performance improvement effect persists for two years, supporting fundamental change of fiscal performance. Additional analyses suggest that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improves the performance through the “disclosure” channel, rather than internal needs of performance improvement. I also find no evidence that municipal governments engage in performance management using bad debt allowances.

      • KCI등재

        Municipal Fiscal Performance: Mayors’ Gender and Organizational Human Resources

        Claudia N. Avellaneda,Ricardo A. Bello-Gomez,Ricardo Correa Gomes 서울대학교행정대학원 2022 The Korean Journal of Policy Studies Vol.37 No.3

        Local governments strive to improve fiscal performance to effectively implement policy agendas and reduce dependence on central governments. Explaining fiscal performance has relied on intergovernmental relations and politically driven strategies and has given less attention to organizational human capital attributes. Mayors and municipal personnel with different attributes interact differently, thus affecting their contributions to fiscal performance. This study assesses the fiscal performance effects of mayors’ gender and municipal personnel attributes and their interactions. We assess fiscal performance as fiscal capacity, autonomy, and solvency. Using 2003-2015 data from 822 Brazilian municipalities, we find results contingent on the assessed fiscal performance dimension. Female mayor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fiscal capacity and autonomy but not with solvency. Personnel availability and salary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fiscal capacity and autonomy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lvency. Under a female mayor, the fiscal performance contribution of available personnel increases, while average salary’s fiscal performance contribution declines.

      • KCI등재

        지방정부 재정분권화가 재정집행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서희(李徐姬) 한국지방자치학회 2020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32 No.3

        이 연구는 지방정부로의 재정분권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재정분권화 정도가 재정집행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제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지방재정성과 측정이 상대적 효율성에 치중한 것을 넘어서서 재정집행 효율성(결과 · 회계적 측면을 강조한)이라는 새로운 성과지표를 적용하고자 하였다. 재정분권의 측정 또한, 세입 · 세출분권과 이전재원을 고려하여 과대추정을 보정한 Vo의 재정분권지수를 통해 다각도로 측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을 위해 2012~2018년을 시간적 범위로 설정하고, 기초자치단체 226개 자료를 수집하여 패널GLS(panel generalized least squares) 모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지방정부를 대상으로 볼 때, 재정분권이 높을수록, 세입분권이 높을수록 재정집행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재정분권도 평균을 기준으로 고 · 저의 그룹으로 구분해보면, 자체재원 및 재정자립도가 높은 지방정부일수록 오히려 재정집행성과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체재원 비중이나 재정자립도가 재정분권 정도와 밀접한 관련 있는 변수임에도 불구하고, 재정분권 고집단에서 이러한 현상은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는데, 이는 재정집행 효율성 지표인 순세계 잉여금의 특성에 기인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마지막으로 세입분권과 세출분권 중에서는 세입분권이 재정집행성과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의의는 지방정부 재정분권의 확대가 실제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는 하나의 실증적 연구라는 것이다. 또한 재정집행 효율성이라는 새로운 지표를 통해 다양한 성과를 측정해보는 시도적 연구이고, 저조한 세입분권을 확대해야 한다는 정책적 함의를 포함한다. By actively discussing of fiscal decentralization from central to local,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how seeking impact on local fiscal decentralization to performance of budget execution. Beyond the tendency of overemphasized the relative efficiency about measurement of performance of budget execution, I attempted to apply a new performance measuring indicator(emphasizing the side of outcome or accounting). Further, the fiscal decentralization was tried to measure applying Vo’s index, which corrected the overestimation and was considered the fiscal decentralization in expenditure, in revenue and transfer. In attempting to analyze the impacts, I collected 2012-2018 data from 226 local governments(municipal, country and district) and analyzed using panel GLS(panel generalized least squares).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higher the fiscal decentralization, the higher the fiscal decentralization in revenue have positive impact on performance of budget execution. However, the higher ratio of independent revenue and the higher financial independence rate have a negative effect. This phenomenon is a typical trend in the high fiscal decentralization group, it means that the net surplus budget-an indicator of budget execution efficiency- is likely to raise possibility of a different interpretation. Lastly, among the fiscal decentralization in revenue and in expenditure, it was found that the fiscal decentralization in revenue improves performan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confirms empirically the possibility of positive impacts on the expansion of local fiscal decentralization.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various performance through a new indicator of budget execution efficiency, it included policy implications that we should discuss expansion of low fiscal decentralization in revenue.

      • KCI등재

        우리나라 성과주의 예산제도의 재정성과정보 활용에 대한 실증연구 -재정성과목표관리제도 성과정보 활용의 효과성 분석을 중심으로-

        오영민 ( Youngmin Oh ) 한국정책학회 2016 韓國政策學會報 Vol.25 No.1

        참여정부시절 도입되었던 우리나라 재정성과목표관리제도가 시행된 지 10년이 경과하였다. 재정성과목표관리제도 하에서 정부 각 부처는 재정사업의 성과목표와 지표를 설정한 성과계획서를 작성하고 달성된 성과와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성과보고서를 통해 국회에 보고해야 한다. 재정성과목표관리제도는 재정사업의 성과를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정부 조직과 공무원들의 성과마인드 향상과 결과 지향적 행정에 기여하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런 긍정적인 평가에도 불구하고 재정성과목표관리제도에서 생산되는 성과정보가 예산심사나 실제 사업의 개선을 위한 유용한 정보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있다. 본 연구는 성과보고서에서 생산된 재정성과정보가 예산 및 사업개선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분석결과는 재정성과목표관리제도에서 생성되는 성과정보가 정부와 국회의 예산심사과정과 부처의 사업의 성과개선을 위해서 거의 활용되고 있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Ten years have passed since the fiscal performance goal system was adopted in Korea Under the system, government agencies should create the annual performance plan including performance indicators and targets. They also submit the performance of financial programs to the National Assembly through the annual performance report. The fiscal performance goal system has contributed to establishing result-oriented management by effectively managing financial program performance. Despite such positive effects, there has been the criticisms that the fiscal performance information produced by the system is not used actively. This study conducts an empirical study analyzing whether the fiscal performance information is used to allocate the budget and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financial programs. The results show that the performance information is little used for budget allocation and program improvement.

      • KCI등재

        재정능력 및 절감 노력이 지역축제의 재정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서형,엄태호 한국정부회계학회 2018 정부회계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지방정부의 재정능력과 지역축제 운영에서의 재정절감 노력 및 그 외의 지역축제 특성들이 지역축제의 재정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기존에 연구되었던 지역축제 성과 연구들에서는 예산확보, 축제 집행과정에서의 효율성, 기초자치단체 리더십, 축제의 프로그램 가치, 이미지, 주제, 조직체계, 지역특성화, 주민참여, 축제 전문성 등이 영향요인으로 연구되어 축제의 특성을 포함한 그외의 다양한 측면들이 분석되었다. 하지만 지역축제의 성과 요인 연구를 지방정부의 재정적 환경인 재정능력과 축제운영 과정에서의 재정절감 노력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축제 특성뿐만 아니라 지방정부의 재정능력 및 절감 노력이 재정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2013년부터 2015년까지의 광역 5억, 기초 3억 원 규모 이상인 지역축제를 대상으로 분석한다. 이를 위해 지방정부의 재정능력으로 재정자립도, 실제 지방정부에서 사용되는 지역축제 재정절감 노력도 및 그 외의 지역축제 특성을 독립변수로 하고, 총원가 대비 수익을 종속변수로 하여 패널 회귀분석과 Newey-West 추정 모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재정능력이 높을수록 지역축제의 재정적 성과는 낮아졌고, 축제운영에서의 재정절감 노력이 높을수록 지역축제의 재정적 성과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the local government’s fiscal capacity, fiscal reduction effort in the operation of the local festival and other characteristics of local festivals on the fiscal performance of the local festival. Preexisting literatures dealing with the performance of local festivals shed light on the factors including secure of budget, efficiency in the process of execution, leadership of municipalities, value of programs, image, theme, organizational system, regional characterization, citizen participation, professionalism of festivals and so on. Those factors influence the fiscal performance of the local festival and indicate the features of the festivals and various aspects. However, there are few researches that focus on the local government’s fiscal capacity and the fiscal reduction effort in the operation of local festival.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local festivals held from 2013 to 2015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local government’s fiscal capacity and fiscal reduction effort on the fiscal performance. The independent variables consist of the financial independence rate as a fiscal capacity and the degree of the fiscal reduction effort. On the other hand,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total cost price compared to the revenue. The analysis was implemented by applying the Panel Regression Model and Newey-West Model to find out the impact of the factors on the local festival’s fiscal performance. To sum up the results, the higher the local government’s fiscal capacity is, the lower the local festival’s fiscal performance becomes. Additionally, the higher the fiscal reduction effort is, the higher the local festival’s fiscal performance becomes.

      • KCI등재

        국가재정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林翼相,河連燮 한국의정연구회 2016 의정논총 Vol.11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OECD 18개국을 대상으로 재정성과의 영향요인으로서 예산투명성 및 정치제도, 선거제도 및 예산제도 등의 제도요소가 국가재정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하여 합리적 정책대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예산투명성 및 제도요소 중에서 대통령제 정치제도, 비례대표 및 혼합형 선거제도, Top-down 예산제도, GDP 성장률이 국가재정성과 증가(GDP대비 국가채무 감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이원집정부제 정치제도와 정당제도, 의회 예산수정권한 등은 국가재정성과 감소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특정 국가의 재정성과는 예산투명성과 제도 요소의 결합조건에 따라서 그 증감 및 결과에 영향을 미치므로 정책목표에 부합할 수 있는 제도요소 및 정책수단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국가재정성과의 영향요인으로서 예산투명성과 정치 및 예산제도 등 다양한 영향요인들을 선정하여 재정성과의 영향요인을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한편으로 재정성과의 측정변수의 다양화와 독립변수들 간의 결합조건에 의한 영향요인 분석 등과 같이 보다 풍부한 재정성과 영향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리라 본다. This study analyses the impact of budget transparency and institutional factors on fiscal performance as factors about OECD 18 member countries including Korea. It also presents a reasonable policy alternative for elevating the fiscal performance such as exploring and designing of institutional factor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on fiscal performance using the Panel regression analysis, the budget transparency, Presidential system, proportional representation and mixed electoral system, top-down budget system and GDP growth rate influenced the increasing of fiscal performances having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hile the semi-presidential system, political party system and parliamentary amendment powers to the budget proposal, legislative budget research office are related to decreasing the fiscal performance. Since the increasing or decreasing of fiscal performance at certain country would be dependent on it’s selecting of institutional way among the budget transparency and institutional factors. It shows that the rational selection of the institutional factors is really important. This study suggests policies for increasing the Korea’s fiscal performanc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First, it is necessary for the continuous effort to improve budget transparency for increasing the fiscal performance. Second, Congress leaders have to ensure the legislative budget research office’s independent and self-regulating activities in congressional budget process for fulfilling their duty of analytical functions on base of long-term and macroscopic viewpoint. It is a significant research for influential factors of fiscal performance through selecting variety of combination factors. However, for the precise and reliable analysis, it needs to be supplementation of the measuring method to investigate the budget transparency index independently and the government expenditure as measuring variables on the analysis model for diversifying the measuring variables.

      • KCI등재

        Fiscal Decentralization and Local Government Performance: Decentralized Taxation and Expenditure in Korean Local Governments

        이현국,서동욱 서울대학교행정대학원 2022 Journal of Policy Studies Vol.37 No.1

        Recent administrations in Korea have greatl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decentralization and autonomous local governments. However, numerous efforts on decentralization have not been accompanied by adequate level of fiscal decentralization. Some critiques have long claimed that local governments are not equipped with enough financial independence or autonomy to deliver preferred services. Some others have challenged this claim, accusing local governments on potential waste of financial resources and local administration capacities, with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public service performance. This research analyzes fiscal decentralization in terms of taxation and expenditure. It empirically investigates whether decentralized taxation and decentralized expenditure affect public service performance in Korean local governments. Based on an assortment of data on local government finance and public service performance, the analysis shows that decentralized taxation and decentralized expenditure have positive effects on a local government performance when either one of them was included in the model. In contrast, in the research model that included both variables, the effect of decentralized taxation on the government performa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while, the positive effect of decentralized expenditu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show that decentralized expenditure does not necessarily hinder local government performance, contrary to many concerns. It is advised that administrations in Korea emphasize decentralized expenditure more than decentralized taxation. Decentralized expenditure does not hinder local government performance, and thus the government should continue to promote it to resolve imbalances across local governments.

      • KCI등재

        재정분권과 경제사회의 공공서비스 성과: OECD 국가 간 실증분석

        황진영 ( Jinyoung Hwang ),이선호 ( Sun-ho Lee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18 국가정책연구 Vol.32 No.3

        본 연구는 32개 OECD 국가의 자료를 이용해 다양한 경제사회의 상대적인 공공서비스 상대적 성과를 검토하고, 재정분권이 이상의 공공서비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국가별 재정분권의 정도는 지출과 수입 측면에 기초한 재정분권(즉 “일반정부의 지출대비 지방정부의 지출 비율”과 “일반정부의 수입 대비 지방정부의 수입 비율”)으로 나타낸다. 또한 국가별 경제사회의 공공서비스 성과는 교육부문, 보건부문, 소득재분배(불평등) 및 사회안정(범죄예방)을 반영하는 4가지 변수의 0∼10 사이의 지표로 나타낸 상대적 성과를 사용한다. 실증분석 결과, 재정분권은 대체로 교육부문과 소득재분배 부문의 상대적 성과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관측된다. 그러나 재정분권이 보건부문의 성과나 사회안정의 성과에 미치는 양의영향의 통계적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재정분권은 지방정부의 책무성이 강하게 요구되거나 지방정부 간의 경쟁이 강화되는 부문에 대한 공공서비스의 성과를 개선하는 데에 유용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ve performances of socio-economic public services using data on 32 OECD countries and empirically analyzes the impacts of fiscal decentralization on public service performances. The degree of fiscal decentralization in each country is represented by the decentralization in terms of expenditure and income (i.e., “the ratio of sub-national government expenditures to general (total) government expenditures” and “the ratio of sub-national government revenues to general (total) government revenues”). In addition, the performances of public services in each country are measured in the relative performances of the four variables on a scale of 1-10, reflecting the education sector, health sector, income redistribution (inequality) and social stability (crime prevention).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fiscal decentralization generally improves the relative performances of education sector and income redistribution. However, the positive impacts of fiscal decentralization on the performances of health sector and social stability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conventional significance level. Therefore, fiscal decentralization may be useful in improving the performances of public services only in sectors where the accountability of local governments is strongly required or where competition among local governments is intensified.

      • KCI등재후보

        거버넌스와 재정성과

        류덕현 국회예산정책처 2015 예산정책연구 Vol.4 No.1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ance and fiscal performance such as government fiscal deficit and debt to GDP ratio. Since the path of the effect of governance on fiscal performance is known to be related with budget process, it is essential to know how the differences of governance account for the difference of fiscal performance. Using world governance indicator (WGI) by world bank, we found that a good governanc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fiscal performance for OECD countries. 거버넌스가 재정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예산과정(예산의 편성, 집행, 그리고 결산 및 성과평가)과 필연적으로 관련되는데, 거버넌스의 차이가 이를 어느 정도 설명하는 지를 파악하는 것은 제도 및 정책 개선에 필수적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거버넌스가 재정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포괄적으로 살펴보고 재정운용의 측면에서 좋은 거버넌스를 취하고 있는 국가와 그렇지 못한 국가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이 재정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국제비교와 문제의식의 명료화를 위해 국가별 자료를 비교적 쉽게 얻을 수 있는 분야인 총계 재정변수인 재정수지적자비율 및 국가채무비율과 거버넌스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 KCI등재

        자치단체 자체조달수익이 재정운영 결과에 미친 영향: 16개 광역시⋅도를 중심으로

        주윤창,임충혁,정창훈,윤선주 한국비교정부학회 2017 한국비교정부학보 Vol.21 No.3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local revenue on financial performance in 16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by employing panel dataset produced under accrual-basis account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an increase of local tax and non-tax revenue leads to an increase of financial performance. When non-tax revenue is divided between current and temporary, current non-tax revenue is not associated with financial performance. However, an increase of temporary non-tax revenue leads to an increase of financial performance. It appears that cities and provinces tend to sell their assets during the period of fiscal distress in order to lessen fiscal austerity. For example, the city of Incheon sold its assets to private sector when it was faced with fiscal distress in 2012. This study is one of few one using accrual-basis accounting dataset. Compared to cash-basis accounting, accrual basis accounting better measures financial performance. And this study proves such trend. Since the adoption of accrual basis accounting is just less than 10 years in the local government, further empirical studies based on accrual-basis accounting is expected to yield more promising results helping understanding local fiscal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