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회예산정책처의 설립이 국회 예산심의에 미친 영향에 관한 실증적 분석: 국회 일반회계 예산안 수정비율을 중심으로

        정종선 국회예산정책처 2017 예산정책연구 Vol.6 No.1

        본 논문은 국회예산정책처의 설립이 국회 예산심의의 실질화라는 기대효과를 발휘하고 있는지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국회의 예산심의가 어느 정도 실질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측정하기 위한 변수로는 행정부가 제출한 예산안이 국회에서 수정되는 비율을 사용하기로 하고, 국회예산정책처 설립이 국회의 예산안 수정비율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모형의 추정결과를 살펴보면, 국회예산정책처 설립 여부는 종속변수가 일반회계 감액비율과 총수정비율인 경우 유의수준 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계수는 정(+)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에 따라 국회예산정책처 설립 이후 감액비율과 총수정비율이 높게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을 채택할 수 있었다. 즉 본 연구의 추정결과 국회예산정책처 설립 이후 감액비율과 총수정비율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됨으로써 국회의 일반회계 예산안 수정비율을 기준으로 국회 예산심의의 실질화를 판단해볼 때 국회예산정책처의 설립은 국회 예산심의의 실질화라는 기대효과를 발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is study is revising whether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Assembly Budget Office (NABO) brings the expected effect that is actualiza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budget deliberation. Ratio of amendment of the budget plan by the National Assembly submitted by the Administration Office was used as the variable to measure whether the budget delibera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is actually realized to certain extent and was to positively analyze what kind of influence the establishment of the NABO gave to the amendment ratio of the budget plan by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Assembly. When looking into the assumption result of the model, the whether the NABO was established was assum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significance level of 5 percent and in case of subordination variable to be the general accounting total amendment ratio and general accounting reduction rate, the coefficient had a positive (+) value, and by this the hypothesis of the reduction ratio to increase and total amendment ratio to be high after the establishment of NABO could be selected. In short, as the assumption result of the study, it was analyzed that the reduction ratio was to increase and total amendment ratio to be high after the establishment of NABO, when judging the actualiza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budget deliberation based on the amendment ratio on the budget plan of the National Assembly, it is seen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NABO has expected effect of actualization of National Assembly budget deliberation.

      • 성과예산제도와 국회예산정책처의 역할

        공동성 국회예산정책처 2012 예산정책연구 Vol.1 No.1

        In the field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public policy, a dilemma is that the executive branch is expected to achieve efficiency, which may directly conflict with the legislative values associated with democracy. Recently, the OECD has looked into increasing the legislature’s involvement in the budgetary process and reported that the partnership between the legislative and the executive could be an excellent institutional solution particularly in presidential systems. In this regard, the potential values of an independent research unit located in the legislature, such as the U.S. Congressional Budget Office (CBO), are at issue. This article discusses the role of the National Assembly Budget Office (NABO) of Korea, in comparison with the U.S. CBO, focusing on the partnership building in the process of performance budgeting. First, it discusses the prerequisites of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a mission-driven independent research unit: leardership, research credibility and competitive manpower. Second, it discusses what NABO should do in improving the government-wide performance management and budgeting system, including the Korea-Program Assessment Rating Tool, particularly focusing on strategic planning, performance data verification and causality analysis. 행정부와 의회의 정책과정에서의 갈등은 대통령제에서 예측된 것이기는 하나 현대 정치․행정이 현명하게 대처할 문제점이기도 하다. 최근 OECD 국가들이 예산결정과정에서 의회의 적극적인 참여를 강조하는 것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의회 산하 독립적인 조사기구(Research Unit)의 적극적인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본 논문은 성과예산제도의 도입 및 진화과정에서 한국 행정부와 국회의 갈등 및 느슨한 파트너십이 왜 발생하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상호보완적으로 승화시키기 위한 국회 및 국회예산정책처의 역할을 비교제도론적 차원에서 논의한 시론(時論)적 논문이다. 성과예산제도와 관련하여 향후 국회예산정책처가 어떤 기능을 강화하여야 할 것인가는 크게 견제적 기능과 보완적 기능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국회예산정책처가 이러한 기능들을 전문적 연구기관으로서 수행할 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독립성이다. 견제적 기능의 기초가 되는 독립성은 처장의 강력한 리더십, 신뢰할 수 있는 연구결과의 산출 그리고 연구원의 전문성 확보 및 직업안정성 보장에 의해 확립되고 유지될 수 있다. 보완적 기능과 관련하여, 계획단계부터 옳은 방향성을 가지고 사업을 집행할 수 있도록 기관성과계획서를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는 행정부와 국회의 파트너십에 의해 가능하다. 또한 사업의 집행․평가단계에서 성과정보를 확인하는 것과 성과결정요인을 분석하는 것도 국회예산정책처의 중요한 보완적 기능이라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국회예산정책처가 이러한 기능들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때, 한국의 성과예산제도는 행정부와 국회에게 공히 유용한 예산제도가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국가재정법」과 지속가능 건전재정을 위한 국회의 예산심사제도 개선

        이인실 국회예산정책처 2016 예산정책연구 Vol.5 No.2

        In this paper we review the public reform in the decade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Finance Act, adopting the New Public Management system from the viewpoint of the micro and macro budgeting. In the face of increased risk of financial sustainability, the National Assembly, as a Financial Control Authority, should improve the budget review system in order to receive the support and trust of the public. This will be a sequential way to set up a aggregate committee to determine the macro budget, to decide on the total amount of finance in each standing committee, to allocate the micro budget at each standing committee, and to adjust it at the committee on budget and accounts. Strengthening the post-control budget review system, establishing a tradition of deliberation with distance from political issues, and establishing a responsive position on the executive budget should be reinforced. The Special Committee on Budget and Accounts need to be converted into the standing budget committee, so that thorough budget review and final settlement review should be carried out. Considering that the financial burden on future generations by current generations is heightened and the generational equity problem becomes seriou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PAYGO system of balancing of revenue and expenditure at the National Assembly level. The legislative powers and institutional basis of the National Assembly were strengthened by the system improvement efforts to activate the functions of the National Assembly budget and settlement deliberation. In the framework of the National Public Act, the more desirable budget review system should be sought and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the strengthened financial control of the National Assembly. 신공공관리적 관점의 「국가재정법」이 시행된 지 10년이 되는 시점에서 동법 제정의 취지와 거시예산과 미시예산 차원에서 재정개혁성과를 점검하였다. 재정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위험도가 높아진 상황에서 재정통제권을 가진 국회는 행정부의 재정개혁에 걸맞게 국민의 지지와 신뢰를 받는 방향으로 예산심사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이는 거시예산을 결정하는 재정총량위원회를 신설하고 동위원회에서 재정총량을 분야별로 결정한 후 각 상임위원회에서 미시예산을 심의하고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이를 조정하는 순차적 방식이 되어야 할 것이다. 사후 통제 시스템을 강화하고 정치적 사안과 거리를 두면서 심의에 임하는 전통을 확립하고 행정부 편성 예산안에 대한 대응적 포지션을 정립하려는 노력이 배가되어야 한다. 국회예산결산특별위원회를 상임위원회인 예산결산위원회로 전환하여 정밀한 예산 심사와 결산 심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현세대에 의한 미래세대로의 재정 부담이 가중되고 세대 간 형평성 문제가 심각해지는 점을 고려할 때 국회차원의 세입세출균형원칙을 도입해야 한다. 국회의 예산․결산 심의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 개선 노력으로 종전에 비해 국회의 예산․결산 관련 권한과 제도적 기반이 강화되었다. 「국가재정법」의 틀 속에서 국회는 강화된 재정통제권한에 상응하여 보다 바람직한 역할을 모색하고 실행에 옮겨야 한다.

      • KCI등재

        예산안 자동부의제도가 국회 예산안 심의에 미치는 영향

        이정은 국회예산정책처 2024 예산정책연구 Vol.13 No.1

        The automatic budget bill reporting system has been applied since the 2015 fiscal year budget under the “National Assembly Advancement Act” This system aims to minimize non-normative state related to the statutory budget processing deadline by reducing political transaction costs due to uncertainty and opportunism in the budget process. The system appears to have some desired effects such as advancing the timing of budget processing, but it causes changes in political transaction costs in the budget process, affecting the National Assembly’s budget deliberations in various aspect, including changes in the role proportions among parliamentary bodies (plenary sessions, committees, subcommittees) as well as the dynamics between the legislative and the executive. In particular, some point out that the system restricts the National Assembly’s budget deliberation authority and reduces the National Assembly’s bargaining power and influence over the executive branch. However, statistically, since the introduction of this system,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various indicators such as the rate of budget increase, decrease, and modification, suggesting that, technically, the National Assembly’s budget deliberation authority does not seem to be more constrained than before. However,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introduction of such a system more precisely show that changes in amount-based indicators such as budget increase rates, budget reduction rates, and budget modification rates did not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but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proportion of increased programs related to the number of programs. This seems to be due to the fact that the function of the Special Committee on Budget and Accounts was relatively weakened, and the political function focused on distribution was strengthened rather than policy function in budget deliberation, and that transaction costs such as negotiation costs and information costs related to budget deliberation increase while the transaction costs due to uncertainty decrease. 예산안 자동부의제도는 예산과정의 불확실성과 기회주의로 인한 정치적 거래비용의 감소를 통하여 예산안의 법정처리시한과 관련된 비규범상태를 최소화하려는 제도 개선으로서 이른바 ‘국회선진화법’에 의해 2015회계연도 예산안부터 적용되었다. 동 제도는 예산안의 처리시기를 앞당기는 등 소기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이나 제도 시행과정에서 정치적 거래비용에 영향을 주어 국회 내 회의체(본회의, 위원회, 소위원회) 간 역할비중의 변화는 물론 입법부와 행정부 간 역학관계 등 다양한 측면에서 국회 예산안 심의에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일각에서는 동 제도가 국회의 예산안 심의권을 제약하고 행정부에 대한 국회의 협상력과 영향력을 저하시킨다는 지적을 하고 있다. 그러나 제도 도입 이후 국회의 예산 증액율, 감액율, 수정율 등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기술통계 상으로는 국회의 예산안 심의권이 이전보다 제약되었다고 확언하기 어렵다. 그런데 이러한 제도 도입의 영향을 보다 엄밀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예산의 증액율, 감액율, 수정율 등 금액기준 지표의 변화는 통계적 유의성을 가지지 못한 반면, 사업의 수와 관련된 증액사업의 비율에 있어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도 도입의 영향으로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의 기능이 상대적으로 약화되고 본회의의 역할비중이 늘어나면서 예산안 심의에 있어 정책적 기능보다는 분배 중심의 정치적 기능이 강화되었으며, 불확실성으로 인한 거래비용은 감소한 대신 협상비용과 정보비용 등의 거래비용이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총액배분자율편성제도 도입 이후 부처자율성 제고에 대한 실증적 분석

        최종하,양다승 국회예산정책처 2015 예산정책연구 Vol.4 No.2

        This paper has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the officials of government departments in charge of government budget affairs for the fiscal year of 2013 in order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changes of autonomy for budget planning of government departments and its influencing factors after the introduction of Top-down Budgeting System. When summarizing the analysis results, it is as follows. First, in the budgeting process, a microscopic and centralized financial control of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was still in place, and even after the department adjusting the business priorities, changes are frequently made during the process of budgeting by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Second, despite the decline of the influence of populism of politicians on the budget planning and the revival practices of businesses being omitted during the budget review process of the National Assembly, an expedient budget requirement practice by the National Assembly continues as the lobbying practices related to the budget by the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has moved to the government budget planning from the budget review phase. As such, a microscopic and centralized financial control of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and the practice on the expedient budget requirement of the National Assembly was estimated to impede the autonomy of the departments and such degree was largely contributed by the influence of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Third, despite the effort made by the front-line departments, such effort cannot lead to the improvement of autonomy of the departments since the performance information and the budget items have not been systematically linked. Fourth, based on the additional analysis results on the changes in the influence of each department, the influence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has grown larger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Top-down budgeting system but the influence of the corresponding department has actually decreased. 이 논문은 2013회계연도 정부예산안 편성업무를 담당하였던 34곳의 부․처․청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총액배분자율편성제도의 도입 이후 부처의 예산편성 자율성 변화와 이의 영향요인을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산사정과정에서 기획재정부의 미시적이고 집권적인 재정통제가 여전하며, 부처가 사업우선순위를 조정한 이후에도 기획재정부의 예산사정과정에서 빈번히 변경되고 있다. 둘째, 국회 예산심의과정에서 누락된 사업의 부활관행과 정치권의 포퓰리즘이 예산편성에 미치는 영향이 줄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국회의원들의 지역구 예산확보 행태가 예산심의 단계에서 정부예산안 편성단계로 이동하면서 국회의 영향력이 계속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기획재정부의 미시적이고 집권적인 재정통제방식과 국회의원의 지역구 예산확보 행태는 부처의 자율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그 정도는 기획재정부의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셋째, 일선 부처가 성과제고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성과정보와 예산항목이 체계적으로 연계되지 않아 그러한 노력이 부처의 자율성 제고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넷째, 각 기관의 영향력 변화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결과 총액배분자율편성제도의 도입 이후 기획재정부와 국회의 영향력이 커진 반면 해당사업 부서의 영향력은 오히려 감소하였다.

      • KCI등재

        상임위원회 예비심사 미의결이 국회 예산심의에 미치는 영향: 제21대 전반기 상임위원회를 중심으로

        손희정,김상헌 국회예산정책처 2023 예산정책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상임위원회의 예비심사가 국회 예산안 및 기금안 심사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예비심사는 예산심의의 심사자료로 활용될 뿐 법적인 구속력이 없으며 국회의원 또한 예산심의보다는 국정감사에 치중함에 따라, 상임위원회의 예비심사는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되었다. 본 연구는 국회 예산심의 과정에서 상임위원회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상임위원회의 예비심사 미의결에 주목하였다. 동일한 상임위원회를 기반으로 예비심사의 의결 여부에 따라 국회 심의결과가 달라지는지 분석하고자 제21대 전반기 국회를 분석시기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예비심사를 미의결한 상임위원회에 속한 예산안 및 기금안은 의결된 경우에 비해 증액될 확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상임위원회의 예산심의 행태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상임위원회의 영향력을 규명한 의의가 있다. The lack of legally binding and the prioritization of parliamentary inspection have created a perception that preliminary examination conducted by standing committees is of little significance.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preliminary examination of standing committees on the National Assembly’s budget decisions,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unpassed preliminary budget examinations. Our results show that the budget and funding bills with the unpassed preliminary budget examinations are less likely to be increased compared to the passed preliminary budget examinations. This suggests that standing committees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budget review process of the National Assembly.

      • 예산의 책임성 강화를 위한 재정거버넌스 제도 고찰: 국회 기능강화의 관점에서

        박형준,김춘순 국회예산정책처 2013 예산정책연구 Vol.2 No.1

        재정거버넌스 혹은 예산거버넌스는 의회와 행정부, 시민사회가 함께 재정운용을 통치하는 양식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하지만 현대국가에서 특히 우리나라에서도 행정부 주도의 예산과 재정운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1980년대 재정위기 이후 계속적인 세계 각국의 재정위기 상황 속에서 재정의 책임성 강화를 요구하게 되고, 이에 의회의 역할 강화를 위한 재정거버넌스 재설계 문제가 이슈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예산과정에서 적절한 예산통제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현실 문제를 거래비용관점에서 고찰하고, 예산과정에서 책임성 강화를 위한 국회의 기능강화 방안을 고찰해보았다. 결과적으로 책임성 있는 재정통제와 의회중심의 효율적 재정거버넌스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재정권한적인 측면에서 예산법률주의의 채택과 감사원의 국회이관, 거시예산 결정과정의 강화를 위한 사전예산심의제도의 강화, 예결위의 상임위로의 전환 등 국회의 제도가 재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예산과정의 운영상에서도 예산의 생애주기 관리기능의 강화와 심의의결기관의 연장, 기획재정부 및 행정부와의 정보공유 시스템 구축, 결산심사 종료시기의 명확한 규정과 심사기간 연장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iscal Governance or Governance for Budget is defined as system which are operated by National Assembly,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as collaborators. But it is mainly worked by government centric system in Korea as well as modern industrial countries. After 1980s fiscal crisis, there are many demand of strengthening fiscal accountability by National Assembly. Therefore many scholars argued that it is necessary for National Assembly role and function to redesign of budget institutions. This research focus on the principal agent theory and transction cost theory to redesign of fiscal and budget institution. For overcoming principal-agent problem and decreasing agency cost, we need institutional change such as budget legal principle, fiscal rule, macro-budget, and re-directing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from president to National Assembly, budget and accountability committee to standing committee, and management system of life-cycle budget process.

      • KCI등재

        국회 의결예산의 수정 양상과 변동 추이:제19대 국회를 중심으로

        김춘순 국회예산정책처 2019 예산정책연구 Vol.8 No.1

        An analysis of the budget processes over the four fiscal years of the 19th National Assembly showed an overall improvement for the 18th National Assembly in terms of micro budgeting. The data showed that average annual modification rate for the 2013-2016 budget plan was 2.34% and the net modification rate was –0.23%. The total amount of spending was reduced by an average of 825 billion won per year from the government's bill. According to accounting, the increase rate of the budget is 1.9 times that of the fund, and the reduction rate of the fund is 1.8 times the budget. The annual average of the modified projects was 1,070, which is 13% of the capital city government projects. The annual average number of modified projects was 1,070, which is 13% of the total of government's bill. The budget increase was led by welfare and SOC sectors for four years. In terms of the ongoing financial burden, the increase in welfare, which is a statutory expenditure and has a downward rigidity, is more noteworthy. Welfare policies, such as a child care program, have also seen a trend that policy direction changes in the procedure of the delibera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The budget deliberation process of the SOC expansion project, which has a high proportion of regional projects, such as road construction, shows the universal tendency of the parliamentary budget proce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ecutive and legislative branches in the presidential syst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is paper proposes strengthening the macro - budgetary review, checking the spending requirement accompanied by the welfare court expenditure adjustment, and to pre-check the burden on the local governments in relation to the government subsidy program.. 의회 재정권의 집약체인 예산과정을 분석한 결과, 제19대 국회 4회계연도에 걸친 미시적 예산 논의(micro-budgeting)는 전반적으로 제18대 국회에 비해 향상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2013~2016년 예산안에 대한 연평균 총수정률은 2.34%, 순수정률은 마이너스 0.23%로 나타났다. 총지출 규모는 정부안보다 연평균 8,250억원 정도 순감 되었다. 회계별로는 예산의 증액 수정률이 기금의 1.9배이고, 기금의 감액 수정률은 예산의 1.8배로 대비된다. 연평균 수정 사업 수도 정부안의 13%에 이르는 1,070여개로 나타났다. 예산 증액은 4개년 공히 복지와 SOC 분야에서 주도되었다. 지속적인 재정부담 측면에서는 법정지출이며 하방 경직성을 띠는 복지 증액이 보다 주목되며, 보육 등은 국회 심의를 거치면서 정책 방향성이 주도되는 경향도 나타났다. 2010년대 한국사회를 특징짓는 시대정신으로서 복지에 대한 고심과 반영이다. 도로 등 지역사업 비중이 높은 SOC 확충은 의회 예산과정의 보편적 경향성과 더불어, 대통령제 국가의 행정부·입법부 간 관계도 보여준다. 연구결과, 본고는 의회 재정권한의 효율적 행사를 위하여, 거시적 예산심의(macro-budgeting) 강화, 복지 법정지출 조정에 수반되는 지출소요점검, 국고보조사업에 따른 지방자치단체 대응부담 사전 점검을 제언한다.

      • KCI등재

        대한민국 근대 예산의 출발: 재정헌법과 최초의 예산

        옥동석 국회예산정책처 2024 예산정책연구 Vol.13 No.1

        This study summarizes the discussion on the budget provisions of the Korean Constitution from 1945 to 1948, and the process of the executive’s budget planning and National Assembly approval immediately after the enactment of the Constitution. I would like to shed light on the efforts to comply with the Constitution even under difficult circumstances. With no experiences in modern budget management, we can understand at the time how big a gap there was between the normative goals of the budget provisions of the Constitution and the practical reality. Through the discussion of this study, we can understand the beginnings of Korea’s modern budget and realize how important it is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experiences of developed countries and draw lessons from them. The characteristics of Korea’s budget constitution, which has been maintained continuously since the constitution in 1948 until the current constitution, are the principles of ‘prohibition of National Assembly’s budget increases’ and ‘non-legalism of the budget’ The coexistence of these two features are not found in any other country in the world, and this study will examine the background behind their adoption. Additionally, the National Assembly went through considerable twists and turns in trying to comply with the budget provisions of the Constitution from January to April 1949. This experience eloquently demonstrates that the core of modern budget is that the National Assembly, which represents the people, must approve a budget that pursues the ‘welfare of the entire people’ Modern fiscal management is expressed in the motto “No taxation without representation” in the West, but in Korea, it should be “No budget without representation” March 31, 1949, when three budget bills were approved by the National Assembly at once and the budget for the next year was submitted, should be remembered as the day when Korea stood at the starting line of modern budget system. 본 연구는 1945년부터 1948년까지 한국의 제헌헌법과 재정조항에 대한 논의의 과정, 그리고 헌법 제정 직후 행정부의 예산편성과 국회의 승인과정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면서 열악한 상황 속에서도 헌법을 준수하기 위한 노력들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조명하고자 한다. 근대적 재정운용 경험이 전무한 상태에서 헌법 재정조항의 규범적 목표와 실무적 현실 사이에 얼마나 큰 괴리가 있었는지 당시 상황을 통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논의를 통해 우리는 한국의 근대 재정 출발을 이해할 수 있는데, 선진국의 역사적 경험을 이해하고 이들로부터 제도적 교훈을 도출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새삼 깨달을 수 있다. 1948년 제헌헌법 이후 현행 헌법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온 한국 재정헌법의 특징은 ‘의회의 증액 및 신비목설치 금지’와 ‘예산 비법률주의’라는 원칙이다. 이들 두 원칙의 공존은 전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발견되지 않는 특징인데, 본 연구는 이들이 채택된 배경을 살펴볼 것이다. 또한 한국 국회는 1949년 1월부터 4개월간 헌법의 예산규정을 준수하고자 상당한 우여곡절을 겪었다. 이러한 경험은 국민을 대표하는 국회가 ‘국민 전체의 복리’를 추구하는 예산을 승인해야 한다는 사실이 근대적 재정의 핵심임을 웅변하는 것이다. 근대적 재정운용이 미국 등 서구에서는 “대표없이 과세없다(No taxation without representation)”는 표어로 표현되지만, 한국에서는 “대표없이 예산없다”가 되어야 할 것이다. 세 개의 예산안이 한꺼번에 국회의 승인을 받고 다음 연도 예산안이 제출되었던 1949년 3월 31일은 한국이 근대적 재정운용의 출발선에 선 날로 길이길이 기억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예산회계와 재무회계간의 조정에 대한 연구: 서울시의 결산조정사항을 중심으로

        남혜정 국회예산정책처 2020 예산정책연구 Vol.9 No.3

        In Korea, local governments introduced accrual-based accounting system in 2007 and provides financial statements based on accrual-based accounting. It has been criticized that information from cash-basis budgets does not provide relevant information in estimating program performance. This paper examines the reconciliation information, which is differences between cash-basis accounting and accrual-basis accounting and reviews Australian local government’s budget financial statements based on accrual accounting. Using reconciliation information in financial statements of the Seoul, we find that about 20% of expenditure is reconciliated and the portion of ‘other without cash-outflow items’ increases over time. It implies that the gap between budget and financial accounting comes from unidentified items. This paper suggests that increased confirmity between expenditures in budget accounting and costs in financial accounting and identification of huge reconciliated items are necessary for efficient and transparent local finance. 우리나라는 발생주의에 근거한 결산회계정보가 생산ㆍ제공되고 있으나, 예산회계와 재무회계간에 차이로 인하여 발생주의의 장점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현금에 기반한 예산편성과 집행은 사업성과에 대한 성과중심의 재정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서울시의 사례를 중심으로)에서 작성하고 있는 결산서내에 예산회계와 재무회계간의 차이인 조정(reconciliation)정보를 이용하여 예산회계와 재무회계간의 주요 차이가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발생주의 예산제도를 도입한 호주의 뉴샤우스웨일즈의 예산추정보고서를 검토하여 발생주의 예산재무제표가 제공하는 정보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서울시의 경우, 세출조정사항이 세출의 약 20%를 차지하고 있으며, 조정사항 중에 ‘기타 자금유출이 없는 비용’ 항목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세출예산내의 지출항목이 결산서의 비용항목과 일관되지 않았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의 사업별 평가와 재정투명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예산회계의 지출항목과 재무회계의 비용항목간의 어느 정도 일관성을 높이고, 조정항목에 대한 검토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