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소비자의 재무관리 태도와 행동에 관한 연구

        손지연(Jiyeon Son) 한국FP학회 2017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소비자의 재무관리 태도와 행동의 대체적인 경향을 소득계층과 세대에 따라 나누어 살펴보는 것이다. 소득계층은 OECD의 중위소득 기준 소득계층 구분 방식에 따라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에서 발표된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50% 이하를 저소득계층, 50~150% 분위를 중간소득계층, 150% 이상을 고소득계층으로 구분하였으며, 세대는 전쟁세대(~1954년 생),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 생), X세대(1964-1978년 생), 그리고 에코 세대(1979-1994)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재무관리 태도 척도와 행동 척도는 한국소비자원이 2014년 실시한 “한국의 소비자역량지표” 조사 내의 8문항과 9문항으로 각각 구성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 SPSS 23.0을 이용하였으며, Cronbach"s alpha, 요인분석, 평균, 일원․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Varimax 회전 방법을 이용하여 아이겐 값이 1.0 이상인 요인만을 추출한 결과, 재무관리 태도는 2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요인1은 현재지향 재무관리 태도, 요인2는 미래지향 재무관리 태도로 명명하였다. 주요한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지향 재무관리 태도의 경우, 에코 세대에서 가장 낮게 나타나며, 소득계층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미래지향 재무관리 태도의 경우, X세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며, 고소득층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건전한 재무관리 행동은 X세대와 베이비부머 세대에서 높게 나타나고, 전쟁세대와 에코세대에서 낮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ttitudes and behaviors of Korean consumers in terms of personal financial management. Using the Consumer Empowerment Index sponsored by the Korea Consumer Agency, we compared the value orientation and the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of Korean consumers across income classes and generations.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SPSS 23.0 program was used: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PCA), one-way ANOVA, and two-way ANOVA were conduct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principle factor analysis using the Varimax rotation method, two types of financial attitudes were revealed. The first one was named a “present-oriented financial attitude,” and the second one was named a “future-oriented financial attitude.” To be specific, the eco-generation (those born between 1979-1994 in Korea) had the lowest mean score in terms of the present-oriented financial attitude. On the other hand, the X-generation (those born between 1964-1978 in Korea) had the highest mean score in terms of the future-oriented financial attitude. In terms of the income class, the highest-income class had the highest mean score for the future-oriented financial attitude. However, the results of two-way ANOVA showed that no interaction effect was supported for the financial attitudes by the income classes and the generations. Instead, only the main effect of the generations was significant. Second, sound financial behaviors were exhibited for the X generation and the babyboomers, compared with the eco-generation and the war-generation. If the vulnerability in performing financial management is not a feature of a generation but a kind of problem that every generation experiences in a particular life cycle, the eco-generation’s vulnerability will be cured as they age. Otherwise, the eco-generation’s vulnerability should be regarded as their unique characteristic. All in 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who is vulnerable and who is less vulnerable with respect to financial attitudes and behaviors. Differences in financial attitudes and financial behaviors across income classes and generations were investiga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onsumers’ personal financial management.

      • KCI등재

        청소년의 금융사회화가 재무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 금융 지식, 돈에 대한 태도 및 위험수용성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조선영,최현자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23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9 No.3

        금융시장의 발달과 다양한 거래 수단의 등장, 디지털 환경으로의 전환 등으로 인해 청소년의 금융시장 참여가 활발해졌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 또래집단, 학교, 미디어를 통한 금융사회화가 청소년의 재무관리역량과 바람직한 재무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에 「2023년 청소년 금융이해력 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여 청소년의 금융사회화 수준과 대행요인별 금융사회화 정도를 파악하고 청소년의 금융사회화가 재무관리역량과 재무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재무관리역량의 경우 자료의 한계로 지식과 태도 중심으로 살펴보았는데 금융지식은 25개의 객관식 문항으로 측정하였고 태도는 돈에 대한 태도와 위험수용성향을 대리변수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청소년의 금융사회화 수준은 5점 만점에 2.79점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대행요인별로 보면 부모를 통한 금융사회화(3.08점) 점수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또래집단(2.81점)이었다. 학교와 미디어를 통한 금융사회화는 각 2.65점과 2.60점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청소년의 금융시장 참여가 증가하고 있지만, 금융사회화는 활발하게 일어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청소년의 금융사회화는 재무관리역량과 재무관리행동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으나 청소년의 금융 태도나 지식 등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금융사회화 대행요인들은 다르게 나타났다. 부모와 또래집단은 돈에 대한 태도와 정적(+) 관계, 학교와 미디어는 부적(-) 관계를 보였다. 한편, 금융 지식에는 학교를 통한 금융사회화와 학교 유형이, 위험수용성향에는 부모와 미디어를 통한 금융사회화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사회화는 재무관리행동에 직접 영향을 주고 있었는데 금융사회화 대행요인들은 모두 재무관리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어, 금융사회화가 바람직한 재무관리행동에 직접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With the development of the financial market and the transition to a digital environment, adolescents have become more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financial mark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financial socialization and socialization agents(family, peer groups, media, school) on adolescents' financial knowledge, money attitude, and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Using the 2023 Korean National Financial Literacy Test Survey for Adolescents, we examine the level of financial socialization among adolescents and the extent of financial socialization according to different agents. This paper also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financial socialization on adolescents' financial capability and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Due to data limitations, this study primarily focus on financial capability, examining both knowledge and attitudes. Financial knowledge is measured through 25 multiple-choice items, and financial attitudes are represented by variables related to money attitude and risk tolerance. It is found that the level of financial socialization among Korean adolescents is 2.79 out of 5, which is lower than the midpoint. Financial socialization through parents(3.08 points) is the highest among the financial socialization agents, followed by peer groups(2.81 points). Socialization through school and media scored 2.65 and 2.60 points, respectively, indicating relatively lower levels. Despite the growing involvement of adolescents in the financial market, financial socialization is not as active as expected. Notably, each financial socialization agents have different impacts on adolescents' financial knowledge, money attitude, and risk tolerance. Parents and peer groups show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money attitude, while school and media socialization show a negative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financial knowledge is affected by school-based financial socialization and the type of school, while risk tolerance is influenced by parents and media-based financial socialization. Financial socialization exerts a more direct impact on financial conduct than its mediating effect through financial knowledge and attitudes. All financial socialization agents positively affect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confirming that financial socialization is a direct factor influencing desirable financial behavior.

      • KCI등재

        금융상품정보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정보전달방식의 효과성 검증

        김종흠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22 No.3

        Consumers have many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and making decisions about financial goods. This is why consumer’s misunderstanding often occurs in the process of purchasing financial good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finding effective message construct in manual of financial goods to enhance financial consumers' understanding of financial goods. As major components of the goods description, the title type and description type were establish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identified how variation of the title type and description type affects interest in financial goodss and its attitude. In addition, it was investigated how the financial knowledge of consumers affected the interest in financial goods and attitude toward financial goods interacting with the presentation of goods manual. According to study results, the picture title showed a higher interest and a more positive attitude in financial goods than text title. The interaction effect of title type and financial knowledge appeared significantly. Consumer with low financial knowledge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when the picture title was presented rather than text title. Similarly, the interaction effect of description type and financial knowledge appeared significantly. the detail description was more effective in condition of low financial knowledge on interest and attitude toward financial goods while the abstract description was more effective in condition of high financial knowledge. This study has implications that picture title increase consumer’s liking for financial goods and description type of financial goods should be considered with consumer’s financial knowledge. 금융상품을 이해하고 의사결정하는 과정에서 소비자는 많은 어려움을 경험한다. 금융상품거래과정에서 소비자 피해가 자주 발생하는 이유이다. 본 연구에서는 금융소비자의 금융상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상품설명서의 효과적인 메시지 구성방식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상품설명서의 주요 구성요인으로서 제목부여방식과 설명제시방식을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였고 제목과 설명방식의 차이에 따라서 금융상품에 대한 관심과 금융상품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아울러 소비자의 금융지식이 상품설명서의 제시방식과 상호작용하여 금융상품에 대한 관심과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그림제목이 문자제목보다 금융상품에 대한 관심이 더 높고 금융상품태도가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목부여방식과 금융지식의 상호작용효과는 금융지식이 낮은 소비자의 경우, 문자제목보다는 그림제목을 제시하였을 때 금융상품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금융상품에 대한 설명제시방식과 금융지식의 금융상품관심도와 금융상품태도에 미치는 상호작용효과가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금융지식이 낮을수록 구체설명방식이 효과적인 반면에 금융지식이 높을수록 핵심설명방식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려운 금융상품을 소비자에게 설명할 때, 문자와 함께 그림을 제시하는 것이 소비자의 금융상품에 대한 호감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점과 소비자의 금융지식수준에 맞게 설명방식을 달리하는 것이 소비자의 금융상품에 대한 관심과 태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우리나라 대학생의 금융 태도 분석

        장경호 ( Kyungho Jang ) 한국경제교육학회 2021 경제교육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생의 사회ㆍ경제적 특성이 금융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국에 걸쳐 대학생의 금융 태도를 측정하기 위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금융 태도의 주성분을 추출한 후 회귀 분석을 통해 사회ㆍ경제적 특성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우선, 개인 및 가족 특성으로 성별로는 남성보다 여성이, 지역별로는 비수도권보다 수도권이,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금융 태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학업 특성으로 대학교에서의 학업 성취도와 주관적 금융 지식 수준이 높을수록 금융태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경제적 특성으로 처분 가능 생활비가 많을수록 금융 태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넷째, 금융 행위 특성으로 금융 미디어 접촉 빈도가 높을수록, 금융 관련 대화가 많을수록 금융 태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금융 교육이 금융 태도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금융 태도 결정 요인으로서 금융 미디어 접촉 빈도는 미디어의 교육적 역할이, 금융 관련 대화 횟수는 가정의 교육적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고, 그 결과로서의 주관적 금융 지식 수준은 다양한 채널을 통한 금융 교육의 중요성을 재확인해주고 있다. 그러나 고등학교에서의 경제 과목 선택 여부, 대학교에서의 경제 과목 수강 여부가 금융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은 고등학교와 대학교에서의 경제 교육을 재편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factors on financial attitude using principal components and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nationwide survey. First, women, metropolitan regions and higher-income households showed higher financial attitude scores than men, non-metropolitan regions and lower-income households, respectively. Second, the higher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subjective financial knowledge level were in university, the higher their financial attitude scores were. Third, the higher students’ disposable costs of living were, the higher their financial attitude scores were. Fourth, students with more frequent contact with financial media and conversations related to finance showed higher financial attitude scor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financial edu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formation of financial attitudes. As a determinant of financial attitudes,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financial media indicates that the educational role of the media is important. The number of financial conversations also indicates that the educational role of the family is important. The subjective level of financial knowledge reaffirms the importance of financial education through various channels. However, the fact that whether or not students took economic courses in high school or university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economic attitudes suggests the need to reorganize financial education in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 KCI등재

        청소년의 금융이해력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 및 특성 탐색

        박상은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20 중등교육연구 Vol.6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adolescents according to the financial literacy(Knowledge, Behavior and Attitude)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A shortened version of International Network on Financial Education financial survey for adults was used and the participants were 707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knowledge and attitude scores were low, whereas behavior score was high. It was similar to the results of an OECD INFE’s survey on adults. Second, there were three latent profiles: low financial literacy group, high financial literacy group and high behavior group with low knowledge and attitude. This finding suggests the need of individualized and group-specific financial education for adolescents. Third, the low financial literacy group showed the lowest level of financial fraud awareness. However, financial fraud awareness between the other two groups were similar to each other. This suggests that for positive effects on financial education the focus should be on the financial behavior and attitudes.

      • How to Measure the Financial Literacy

        Kim, Sungsook(김성숙) 계명대학교 산학연구소 2014 經營經濟 Vol.47 No.2

        연구목적 - 본 연구는 학생 및 성인을 위한 금융이해력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금융이해력의 주요 개념과 중요성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자료는 금융교육 및 재무설계, 금융법 분야 전문가들 25명을 대상으로 구조적 설문문항 및 비구조화된 질문목록을 바탕으로 면대면 또는 전화, 이메일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2012년 8월 10일부터 9월 5일까지 대학교수 15명, 국책연구기관 10명, 금융위, 금감원, 한국은행 등 담당 공무원 5인을 대상으로부터 조사결과를 얻었다. 주요 결과 - 분석 결과, 금융이해력 측정도구는 금융지식, 금융행위, 금융태도의 세 측면에서 측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학생은 초, 중, 고, 대학생을 구분하고 성인은 18세 이상 79세 이하를 대상으로 하되 고령자, 장애인 등을 특별히 고려하여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문가 응답자들의 중요도 체크를 토대로 금융지식 영역에서는 학생대상과 성인대상 각각 11개 아이템이 선정되었다. 금융행위 영역에서는 학생대상 성인대상 각각 7개 아이템, 금융태도 영역에서는 학생대상 성인대상 각각 5개 아이템이 선정되었다. 시사점 - 본 연구 결과는 금융소비자피해 예방 및 개인 재무 설계의 합리화를 위해 필수적인 금융이해력 진단을 위한 금융이해력 측정도구의 핵심 키워드와 아이템을 제공하였다. 우리나라 금융교육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이므로 과거 선진국 중심의 금융이해력 측정도구의 한계를 극복하는데 기여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금융지식이외에도 주택거래 및 세금지식, 소비지출행태, 신용카드사용 태도 등 기존에 측정되지 않았던 실용적인 아이템이 금융이해력에 포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find what are the important key words and items to become the financially literate consumer, therefore, to develop the measurement of financial literacy according to diverse age groups. Design/Methodology - Data were collected by expert interview from 25 experts in the areas of finance, that is, 15 professors of majors in finance, 10 researchers in financial market, and 5 financial officer in the government. The questions were 1) the direction of measuring the financial literacy from elementary students to the elderly, 2) what were the most important key words and items for financially literate consumers. Findings - The financial literacy must be estimated according to all age groups and in each 3 dimensions that is, financial knowledge, financial behavior, financial attitude. The most important key words and items were selected in each elementary, middle, high, and college students, adults, the elderly, and the vulnerable. Implications - The results of study contribute to improve the measurement of financial literacy in consideration of Korean financial market. Also, many key words and items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practically in estimating the financial literacy in every age groups.

      • KCI등재

        수도권 거주 성인의 금융 이해력

        한진수(Hahn, JInsoo)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17 기전문화연구 Vol.3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financial knowledge, behavior, and attitudes of Korean adults in the capital area and to compare it with that of adults in other areas by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financial literacy survey conducted in 2014. The average score of financial literacy of Korean adults was 67.8 out of 100 points. Financial knowledge score was the highest, while financial behavior and attitude scores were relatively low. The financial literacy level of adult residents in the capital area was the second highest at 68.2 points, following that of residents in the Jeolla-do area. The level of residents in the capital area was the second highest in financial knowledge and behavior categories, but the lowest in financial attitude category, implying that individual’s rich knowledge does not contribute to desirable attitudes. Residents in the capital area were less knowledgeable about compound interest, the effects of rapid inflation, preparedness for emergency expenditure, and personal credit rating. On the other hand, their scores were highest for the survey items such as diversified investment, financial fraud, and household budget. Finally, their preference for credit cards was higher than that of residents in other areas. 이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금융 이해력 조사 결과를 통해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의 금융 지식, 금융 행위, 금융 태도의 수준과 현황을 파악하고 다른 지역의 결과와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 성인의 금융 이해력 평균 점수는 100점 만점에 67.8점이었으며, 영역별로 구분하면 금융 지식 점수가 가장 높았고 금융 행위와 금융 태도 점수는 상대 적으로 저조했다. 수도권 거주 성인의 금융 이해력 점수는 68.2점으로 전라권 거주 성인에 이어 두 번째였으며 경상권, 충청권 거주 성인보다는 높았다. 하위 영역별로 구분해서 비교하면, 수도권 거주 성인이 금융 지식과 금융 행위에서는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이었지만 금융 태도 영역에서는 가장 낮았다. 개인의 풍부한 지식이 바람직한 태도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뜻이다. 항목별로 세분할 때, 수도권 거주 성인은 복리 이자, 물가 상승의 영향, 비상 지출에 대한 대비 같은 항목에서 기타 권역 거주 성인에 비해 이해력이 부족하 였으며, 개인 신용 등급에 대한 지식도 결여되어 있었다. 반면에 분산 투자, 금융사기, 가계 예산 보유의 경우에는 수도권 거주 성인의 점수가 가장 높았 으며, 신용카드 선호도 역시 제일 높았다.

      • KCI등재

        재무적 자기효능감이 돈에 대한 태도 및 연금저축 가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필수(Lee, Phil Soo),이용기(Lee, Yong-Ki),유동근(Yoo, Dongkuen),김승섭(Kim, Seung Sub) 한국상품학회 2015 商品學硏究 Vol.33 No.4

        본 연구는 재무적 자기효능감이 돈에 대한 태도 및 연금저축의 가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금융소비자의 소비자 행동을 파악하고, 금융상품 전략에 활용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론적 검토를 통하여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2013년 9월~ 2013년 12월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20세부터 60세 이하의 563명의 일반 금융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 상관관계분석이 실시되었으며, 연구가설의 검정을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SEM)이 이용되었다. 분석 및 연구 결과를 보면 재무적 자기효능감은 돈에 대한 태도 중 파워-명성 차원, 불신 차원, 근심 차원 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며, 가입의도에도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돈에 대한 태도 중 파워-명성 및 유지-시간 차원이 연금가입의도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무마케터들은 금융고객과 접촉하는 고객접점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원들이 고객에게 성취경험, 대리경험, 언어적 설득 등을 통하여 자기효능감을 높여야 하며, 이로 인하여 돈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켜, 연금저축 가입의도를 높이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재무적 마케팅전략은 돈에 대한 태도를 근거로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financial self-efficacy is to analyze the effect on the attitude and pension savings for the money. Also, it is to use the financial strategy by understanding of the consumer behavior of financial consumer. We have set the research hypothesis and research model by theoretical study. Questionnaire, intended for Seoul and general financial consumer ofmore than 20 years old 60 years old or less of 563 peoplewho are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as carried out during the period of September to December 2013. Using the SPSS18.0 and AMOS18.0,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alysis of validity,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In addi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as used for the test of the study hypothesis. Fromthe results of research, financial self-efficacy has significant effects on the attitude towards money among the power-reputation dimension, distrust dimension, and worry dimension, etc. Also, significant effect was found on the registration. And power-reputation and retention-time of money in the attitude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intention to be a pensioner. Practical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finance, marketing personnel, staff to provide the service in customer contact in contact with financial customers, achieved in customer experience, agency experience, it must increase the self-efficacy such as through verbal persuasion. As a result, positively changes the attitude towards money, we must increase the intention of registration of pension savings. Secondly, financial marketing strategy is performed based on the attitude towardsmoney.

      • KCI등재

        금융이해력 결정요인에 기초한 성인 금융교육의 방향

        윤희정(Youn, Hee-jung),김홍배(Kim, Hong-b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8

        본 연구는 부산지역 성인들의 금융이해력 수준을 측정한 결과를 근거로 금융이해력 수준을 결정하는 인구사회학적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효과적인 성인 금융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금융이해력 구성요소 간의 상관분석 결과, 금융지식과 금융행위, 그리고 금융지식과 금융태도 간에는 상관관계가 없거나 약하였다. 이는 금융지식 교육에 금융행위와 금융태도를 개선할 수 있는 내용이 강화되어야 할 뿐 아니라, 금융행위와 태도를 동시에 개선할 수 있는 통합적 교육과정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금융이해력의 구성요소 중 금융행위는 가장 낮은 평균치(4.15)와 가장 높은 표준편차값(1.85)을 보였다. 이는 금융교육에서 금융행위를 개선할 수 있는 교육내용이 강화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이해력 편차를 줄이기 위해 금융행위 취약자 중심의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금융행위에서는 미혼자, 저학력자, 사전 금융교육 경험이 없는 성인일수록, 금융태도에서는 여성이 금융이해력 수준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피해 경험자는 여전히 역량 개선이 없어 금융행위와 금융이해력 종합수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금융교육의 사각지대에 있는 금융피해 경험자, 저학력자, 미혼자, 교육 무경험자, 그리고 비합리적인 금융태도를 가진 여성을 대상으로 한 맞춤식 교육이 교육 효과를 높일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to improve Adult Financial Education based on the determinants of financial literacy. We have used the data from a related survey had conducted in Pusan city. The main findings from the data analysis and our suggestions for Adult Financial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financial knowledge had little or no correlation to financial behavior. We claim that the curriculum of financial education should make sure to improve financial attitude and behavior and to link to financial knowledge. Second, financial behavior was the weakest aspect of financial literacy, and its deviation was the largest. This implies we need to reinforce financial behavior in financial education and cut the learners’ self-overconfidence. Lastly, marriage, high education, prior financial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financial behavior and men were stronger in financial attitude than women. Thus, we firmly suggest that Adult Financial Education should first target people who are weak in financial behavior and attitude.

      • KCI등재후보

        대학생 금융교육이 금융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현복,최아름 한국금융소비자학회 2022 금융소비자연구 Vol.12 No.1

        This study targeted a total of 172 students who took financial-related subjects (investment theory, insurance and society) as majors and liberal arts during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of 2020 at a university. Factors influencing the improvement of financial transaction service quality before and after financial education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improvement of pre-and post-financial service quality awareness and statistical analysis were significant after financial education, which had an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ervice quality awareness due to the effect of education. In the group with high financial understanding, service quality awareness was high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inancial education for undergraduate students is important in that it reduces individual risk and affects individual financial design through efficient financial decision-making in the future in the recent rapid environmental changes.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it was revealed that financial education can affect financial transaction service quality awareness and financial attitude. It suggests the importance of financial education for undergraduate students who are about to live in society in the future and is expected to affect the improvement of service quality from the consumer perspective of each financial sector. 본 연구는 한 개 대학의 2020년 1, 2학기 동안 금융관련 과목(투자론, 보험과 사회)을 전공 및 교양으로 수강한 학생 총 172명을 대상으로 교육전후 금융거래 서비스품질 향상의 영향요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금융교육 이후 사전과 사후 금융서비스품질 인식의 향상과 통계분석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교육의 효과로 인한 서비스품질 인식 향상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금융이해력이 높은 그룹에서 서비스품질 인식이 높았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대학생의 금융교육은 최근 급변하는 환경변화에서 향후 효율적인 금융의사결정을 통하여 개인의 리스크를 줄이고, 개인의 재무설계에 영향을 준다는 측면에서 중요하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금융교육이 금융거래 서비스품질인식 향상과 금융태도에 영향을 줄 수 있음에 따라, 사회생활을 앞두고 있는 대학생들에게 금융교육의 중요성을 시사하며, 금융권역별 소비자관점의 서비스품질 향상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