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場)과 장(場)이론에 대한 ≪장자≫에서의 분석과 확장

        김덕삼 ( Kim¸ Dugsam )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21 中國學論叢 Vol.- No.73

        Field and Field theory are mentioned in various fields of study. However, it was only microscopic in each area. Of course, there has been no comprehensive review of the Field and Field theory, or research solely on it. Therefore, Field and Field theory, it is difficult to provide ways to improve analysis of the problems. Thus, this paper discusses three main aspects and tries to address some of the problems in the Field and Field Theory. ‘2. Field and Field Theory’, the previously discussed discourse was considered in two separate ways. One is the use of the term Field and Field Theory as it is. The other is when the term Field and Field theory is not used, but is meaningfully the same. This considered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presented in existing studies and discussions. ‘3. Analysis in ≪Zhuang zi≫’, the problem shown in the previous study was mainly analyzed with ≪Zhuang zi≫. It mainly focused on the field of stance, the overlap of the field, and the relativity of the subject and the field. Of course more discussion is possible. However, when considering the intersection of ≪Zhuang zi≫ and Field Theory, it was judged to be the most important part. ‘4. Extension in ≪Zhuang zi≫’, Based on the previous work, the expansion of the Field and Field Theory was focused on ≪Zhuang zi≫. This was discussed in three main aspects. First is the presentation of a larger ‘Field’ concept for coexistence, second, the expansion of the Field concept associated with Place, and third, the recognition of limitations. I think it’s time to start with this research and bring together and link the Field and Field Theory and derive its benefits. Furthermore, developing from existing discussions focused only on the subject or structure, It is necessary to find a balance of thinking by keeping in mind the relationship and change between the subject and the field.

      • KCI등재

        민요를 보는 시각과 쟁점

        김혜정 한국민요학회 2014 한국민요학 Vol.42 No.-

        Folksong theory can be discussed at different levels. Fundamentally, the perspective and attitude of researchers to approach folksongs are based on certain theory. This paper organized and reflectively examined folksong theories that have been the foundation of folksong research. Perspectives on folksongs are field theory, structuralism, transmissionism, and application theory, with inter-disciplinary research as another main research perspective.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irstly, field theory focuses on the transmission field and performance field itself while structuralism thoroughly studies the object and reveal the structure. Structuralism recognizes folksongs as a fixed entity and approaches it, driving a contrast with the field theory. However, when field theory perspective is connected with structuralism and used to study various aspects of folksongs, it will help reveal the universal structure of folksongs, which are very flexibile. That is why structuralism is complementary to field theory. Secondly, in terms of transmissionism, there have been two competing arguments, namely, the archetype and constructivism. The archetype contends that there is the object of tradition and legitimacy, and one must strive to protect and transmit it while constructivism argues that culture is undergoes changes constantly and can be changed. However, there are armchair arguments. Any researcher who has been on the field will understand the pros and cons of the both positions. Folksongs are understood as a living culture and they do not possess a fixed archetype and they are formed with grammar which contain the national identity. It's because that's the virtue that can obtained on the field. Thirdly, application theory is discussed in three parts:educational application, industrial application, and national movement application. Under today's circumstances, researchers are rarely allowed to focus only on folksongs. There must be a debate on what to transmit and what to preserve. There is a need for transmissionism and application theory that fit today's reality. Fourthly, inter-disciplinary research is the revelation of will to look at comprehensive and various aspects of folksongs. Theory is theory. Theory can operate positively and negatively depending on how it is used and applied. Therefore, it is first to understand the existence and identity of folksongs. Then, we can think about how folksongs can survive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s and cultural flow. Lastly, these positions should be examined against the existing theories to help establish new theories. 민요 이론이란 다양한 층위에서 논의 가능하지만 근본적으로는 민요를 어떻게 바라보고 접근하며, 연구하는 지의 시각과 자세도 일정한 이론에 바탕을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민요연구의 바탕으로 작용되어 왔던 민요 이론들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정리해 보고 반성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민요를 보는 시각으로 현장론과 구조주의, 전승론과 활용론을 들 수 있고, 이외에 주요한 연구 관점으로 간학문적(間學問的) 연구를 살펴볼 수 있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론은 전승 현장과 연행 현장 자체를 주목하는 것이며, 구조주의는 대상을 면밀하게 분석하여 그 구조를 드러내는 작업을 말한다. 구조주의는 민요를 고정된 대상으로 인식하고 접근한다는 점에서 현장론과 상반되는 측면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현장론적 시각을 구조주의에 접목하여 민요의 다양한 각편을 대상으로 연구하면 유동성이 강한 민요의 보편적 구조를 드러낼 수 있다는 점에서 현장론과 상보적인 방법론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전승론에 있어서는 원형주의와 구성주의라는 두 가지 상반된 입장에 대한 논쟁이 있어 왔다. 원형주의는 전통성과 정통성이 있는, ‘원형’이라고 부를 만한 대상이 있다고 상정하고 이를 지켜서 전승해야 한다고 보는 입장이며, 구성주의는 문화란 그때그때 구성되는 것이므로, 항상 변화되고 있고, 변화될 수 있다고 보는 입장이다. 그러나 이는 책상 위의 토론일 뿐이다. 실제로 민요의 현장을 돌아다니면서 민요를 연구해온 학자들이라면 이 두 가지의 장점과 단점, 또는 적용 가능치를 알고 있을 것이다. 민요는 살아있는 문화이므로 하나의 원형만을 갖고 있지 않다는 점도 알고 있을 것이며, 민족적 정체성을 담은 어법으로 구성되는 대상이라는 점도 파악되어 있을 것이다. 그것이 현장에서 얻을 수 있는 미덕이기 때문이다. 셋째, 활용론은 크게 세 가지 정도의 논의가 있어 왔다. 교육적 활용, 산업적 활용, 민요운동론적 활용이 그것이다. 연구자가 민요 자체만 연구할 수 없는 것이 작금의 현실이다. 무엇을 전승하고 살려 나가야 할 것인지에 대한 논쟁이 필요하다. 그래서 보다 시대성에 맞는 전승론과 활용론을 세워 나가야 할 것이다. 넷째, 간학문적 접근의 연구는 민요의 종합적이고 다양한 측면을 살펴보고자 하는 의지의 발현이다. 자신이 속한 학문을 제대로 해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민요라는 대상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기 위해서 다른 접근 방식과 새로운 시각을 접목해 보는 시도도 많아져야 한다고 본다. 이론은 이론일 뿐이다. 이론은 어떻게 적용되고 활용되는지에 따라 긍정적으로, 또는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민요의 실체와 존재 특성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먼저이고, 시대적 상황과 문화적 큰 흐름에서 민요가 어떻게 살아남아야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들을 하는 것이 다음이며, 이러한 입장들이 기존의 이론과 어떻게 일치하고 위배되는지를 따져 새로운 이론을 세워 나가야 하는 것이 종국에 우리가 해야 할 일이다.

      • KCI등재

        미술의 권력장 및 공간의 위상구축에 있어서 장소변용에 관한 연구 -피에르 부르디외의 장이론을 중심으로-

        진여울 ( Yeowool Jin ),최익서 ( Ikseo Choi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6

        (연구배경 및 목적) 예술은 일견 보아 삶에 필수적인 요소로 파악되지 않기도 하지만, 인간의 보편적 습성이자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의식들을 잘 살펴보면 예술적인 것들로 점철되어 있다. 예술은 이렇듯 인간이 원망(願望)·보전하는 것들과 큰 관련을 가지면서 삶을 더욱 충만하게 만드는 데 기여한다. 그럼에도 예술은 여전히 일부가 즐기는 문화로만 존재한다. 본 연구는 그러한 예술 향유에 있어서의 불균등함을 가시적이지는 않으나 여전히 공고히 유지되는 계급의 문제와 그를 지탱해주는 제도들의 문제로도 파악한다. 따라서 예술의 생산과 소비가 이루어지는 미술장이라는 공간에서 장소들의 변용은 엄밀하게는 계급투쟁에 의한 결과로도 볼 수 있다. 따라서 미술의 생산과 소비가 교차하는 공간과 실천들의 고찰을 통해 미술이 균등하게 향유될 수 있는 미술장의 성찰을 촉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미술과 사회의 유기적인 이해를 위한 연구의 보충적 이론으로 예술 사회학자 피에르 부르디외의 장이론을 주로 차용하였다. 부르디외의 장이론은 이분적인 분리의 사고를 경계해가며 구조와 행위, 즉 이론과 실천의 가교 이론을 제공함으로써 양쪽 시각 모두를 유동적인 관계로서 함께 이해해 볼 수 있다. 또한 부르디외의 이론은 ‘상징자본’이라는 물질적인 자본 이외의 상징적인 자본의 존재를 인정함으로써 경제사회의 이해를 확장시키고 미술계과 같은 문화적 성격이 짙은 소우주적 사회 공간 역시 과학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는데 유용하다. (결과) 장이론은 기본적 원칙으로 각 ‘문화생산장’의 자율성을 인정하지만, 사회적 공간에서의 계급과 각 문화생산장 내 참여자들의 인정 심급에 상동성이 존재하고 이에 의해 사회 안의 힘의 장소인 권력장이 장에 압력을 행사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장에는 타율성 역시 존재할 수밖에 없음을 지적한다. 이에 사회공간과 문화생산장의 상동성이라는 이론적 기초 위에서 근대 이후 급격한 미술의 장소의 변용과정을 타율성과 자율성의 측면에서 현상학적으로 기술하고 분석했다. 이는 미술장을 사회·역사와 함께 읽는 시도로 공시적·통시적 시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하며, 미술장의 한계를 보다 명료하게 한다. (결론)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공간과 미술장의 장역학을 과학적으로 밝혀냄으로써 미술장의 자율성을 위협하는 여러 존재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거듭되는 상징투쟁에도 사회공간과 미술장 내 계급을 공고히 하는 기제로 보전되어왔다. 이에 진정한 모든 자율성의 획득과 전략들을 살펴봄으로써 그것이 미술장의 해방과 관객의 해방을 가져다주는 언어들을 제공했기를 희구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Art contributes to making life more fulfilling through a connection to things that humans desire and want to preserve. Yet, despite its role in encouraging life, from forms of appropriation to jouissance, art still exists as a culture that only some enjoy. This study identified the inequality of art jouissance as a class issue, which is a problem with the institutions supporting this inequality. Thus, the transformation of places in the field of art, where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art take place, can be considered a result of class struggle. Therefore, the researcher encourages a reflection on the field of art where art can be enjoyed uniformly through a consideration of the space and practices where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art intersect. (Method) The researcher mainly focused on Pierre Bourdieu and his concept of “field” as a reinforcing theory of research for an organic understanding of art and society. Bourdieu’s theory of “field” guards against the idea of a dichotomous separation. This provides a cross-linked theory of structure and action, or theory and practice, where both perspectives can be understood as fluid relationships. Bourdieu’s theory also expands the understanding of economic society by acknowledging the existence of a “symbolic capital.” In addition, the theory laid the foundation for the scientific understanding of the microcosmic social spaces with a rich cultural character, such as the art world. (Results) The field theory recognizes the autonomy of each field of cultural production. However, homology exists in the ranks of the social space and in the accreditation levels of participants in each field of cultural production. It is pointed out that heteronomy also exists in the field because the field of power, that is, the place of power in society, is a structure that can exert pressure on the field. Therefore, on the theoretical foundation called homology of the social space and the field of cultural production,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places of fine art after modern times wa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heteronomy and autonomy. This study wa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field of art in society and history. At the same time, the understanding of the field of art as a synchronic-diachronic perspective led to the scientific discovery of the limitations of the field of art. (Conclusions)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d multiple threats to the autonomy of the field. These threats have been preserved as a mechanism to solidify class in the social space and the field of art despite the repeated symbolic struggle. It is the hope of the researcher that looking at all of the real autonomy and strategies has provided languages that bring about the liberation of the field of art and of the audience.

      • KCI등재

        역사교육 ‘현장’의 의미와 2022 개정 역사 교육과정에서의 역할 ‒한국사 영역을 중심으로‒

        신소연 역사교육연구회 2023 역사교육 Vol.165 No.-

        The 2022 revised History Curriculum was developed mainly by the field teachers. What does the “field” mean in this context? Historically in the past, the field was associated with a historical discourse that contradicted theory. Field teachers criticized that the theory of history education was not helpful in the field. It was a composition of a content system that did not reflect the enforced nature of the national curriculum system, and a nationalistic narrative. But now, the field teachers have become the professional theoretical researchers. Field teachers have reached the stage of establishing the curriculum policies by creating the field history education theories. Field and theory can no longer be confrontational, and field appears to have replaced the theory. In what form was the field theory applied to the 2022 revised history curriculum? Now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it will be helpful to the field. Upon analyzing the draft and final notice of the 2022 revised History Curriculum, there are several key findings. First, it is difficult to say that problems such as the development methods, characteristics, and the nationalistic narratives that criticized the existing national curriculum have been improved. Second, there was no connection between the content system of pre-modern history and modern history when organized by school level to realize affiliation, Third, the narrative structure of pre-modern history, which was criticized for being markedly a nationalistic narrative, was not improved. Although the content system was revised in the final version, the main characteristic was that the emphasis o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aimed at fostering democratic citizens was maintained. As a result, the 2022 revised History Curriculum, to which the field theory is applied, only has the characteristics of strengthened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What is the ultimate cause of emphasizing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his is because it is suitable as a material to meet the educational goal of fostering democratic citizens. However, there were no serious concerns and discussions on what sort of content knowledge is important i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he new revised history curriculum has become the outcome that reflects the values pursued by those who advocate the application of field theory. The important aspect of the history curriculum is selecting the historical knowledge that has a strong academic power. Has there been a discussion on what sort of knowledge is considered historically and conceptually important from numerous history curriculums that have been revised so far? Now that the field history education theory has become a reality as a curriculum policy, the question remains whether the new theory will help the field.

      • KCI등재

        1+0 차원 양자장이론으로 본 양자역학의 섭동론

        이원식 한국물리학회 2009 새물리 Vol.58 No.6

        As a toy model for understanding quantum field theory, we approached time-independent perturbation theory of quantum mechanics as 1+0-dimensional quantum field theory. This idea can be extended to the usual quantum field theory in a natural way. As an example of this, we compare the quantum an harmonic x4 theory to Φ4 quantum field theory. 본 논문에서는 양자역학의 시간에 무관한 섭동론을 1+0 차원 양자장론적 섭동론으로 다루었다. 이러한 양자역학의 섭동론은 자연스럽게 양자장론으로 확장이 되는데, 그 응용의 예로서 x4 항이 있는 양자역학적 비조화진동자의 섭동이론을 Feynmann 도형으로 설명하였고, 이를 사용하여 Φ4 양자장이론의 섭동론적인 전개를 설명하였다.

      • KCI등재

        Covariant Open Bosonic String Field Theory on Multiple D-Branes in the Proper-Time Gauge

        이태진 한국물리학회 2017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71 No.12

        We construct a covariant open bosonic string field theory on multiple D-branes, which reduces to a non-Abelian group Yang-Mills gauge theory in the zero-slope limit. Making use of the first quantized open bosonic string in the proper time gauge, we convert the string amplitudes given by the Polyakov path integrals on string world sheets into those of the second quantized theory. The world sheet diagrams generated by the constructed open string field theory are planar in contrast to those of the Witten’s cubic string field theory. However, the constructed string field theory is yet equivalent to the Witten’s cubic string field theory. Having obtained planar diagrams, we may adopt the light-cone string field theory technique to calculate the multi-string scattering amplitudes with an arbitrary number of external strings. We examine in detail the three-string vertex diagram and the effective four-string vertex diagrams generated perturbatively by the three-string vertex at tree level. In the zero-slope limit, the string scattering amplitudes are identified precisely as those of non-Abelian Yang-Mills gauge theory if the external states are chosen to be massless vector particles.

      • KCI등재

        중국 도가(道家)에서의 장(場)이론의 확장과 적용

        김덕삼 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 2020 중국지식네트워크 Vol.16 No.-

        In this paper, the expansion and application of field theory was studied around Taoism in China, represented by Lao-tzu and Chuang-tzu. Taoism has distinct features that distinguish it from Confucianism, and there is a difference in field at its base. Previously mentioned in the field of sociology, and in Western philosophy, referred to as structuralism. Field theory can go beyond the limits of structuralism and see the subject and field together, and even cover the overlapping of the field. It also contributed to the idea of Chuang-tzu. This was dealt with in the extension of Chapter 2 field theory. Various factors were also assumed in the composition of the field. The correlation centered on Dao or the expansion of the field theory can be thought of as it gathers and dissolves around Qi[氣]. The elements that make up the field vary. Based on natural and cultural influences, this paper mentioned natural and geographical influences in the former case in the south, and the latter in a public office [史官], a hermit [隱者], and Taoist ideology. Rather than trying to reveal a new theory or basis for Taoism formation, the factors that make a field based on existing research and the role and problem of field in it were considered in this study. And these considerations were discussed separately from the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to the problems to think about. In other words, the factors and actions that make up the fiel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influence of the fiel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lace and space from the field's point of view, the lessons of the field, the problems here today, etc. The formation of the fields of Taoism and Confucianism and the exploration of the fields now are constantly required. So Lao-tzu and Chuang-tzu, and now my philosophy is to acknowledge the difference in field and practice philosophy in each field. 본고에서는 노자(老子)와 장자(莊子)로 대표되는 중국 도가(道家)를 중심으로 장이론의 확장과 적용을 연구하였다. 어떤 면에서 본고의 핵심은 도가사상의 탐구에 있는 것이 아니라, 장(場)이론의 확장과 적용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도가에는 유가와 구별되는 특징이 있고, 그 기저에는 장의 차이가 있다. 장은 사회학 분야에서도 거론되고, 서양 철학에서도 구조주의로 언급되었다. 본고에서 제시하는 장이론은 구조주의의 한계를 넘어 주체와 장을 함께 보고, 장의 중첩까지 포괄할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을 ‘장이론의 확장’에서 주로 다루었다. 장의 구성에서도 다양한 요인을 상정하고, 도(道)를 중심으로 한 상관성, 기(氣)를 중심으로 한 이합집산(離合集散)의 관계로 장이론의 확장을 탐구하였다. 장을 구성하는 요소는 다양하다. 본고에서는 자연 지리적 영향과 문화적 영향을 기초로, 전자의 경우에는 남방의 자연 지리적 영향, 후자는 사관(史官), 은자(隱者), 신선사상 등을 거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가 형성에 대한 새로운 이론이나 근거를 밝히려는 것보다, 기존의 연구를 기초로 장을 이루는 요인과 그 속에서 장의 역할과 문제를 고찰하려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고찰은 ‘한계와 가능성’에서 생각할 문제로 구분하여 논의하였다. 즉, 장을 구성하는 요인과 작용, 주체와 장의 영향 관계, 장의 관점에서 본 장소와 공간의 차이, 장의 교훈, 오늘 여기의 문제 등이다. 도가와 유가의 장, 도가 형성 시기와 지금의 장이 다르다. 그러므로 끝없는 장의 탐구가 요청되는 것이다. 그래서 노자와 장자, 그리고 지금 나의 철학함은 서로의 장이 다름을 인정하고, 각자의 장에서 각자의 철학함을 실천하는 것에 모아진다고 말할 수 있다.

      • KCI등재

        인문학적 장이론과 신유물론의 비교

        김덕삼,장영창 동아시아고대학회 2023 동아시아고대학 Vol.- No.72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다양한 시도 중에, 인문학적 장이론과 신유물론이 대두 되었다. 신유물론은 유물론적 사유를 넘어서기 위해 발생하였고, 인문학적 장이론 은 노장철학적 사유를 기초로 물리학과 심리학의 장이론을 넘어서 제시되었다. 신 유물론이 “인간 중심의 이분법”에서 벗어나려고 한 것처럼, 인문학적 장이론도 기 존의 “물리학적, 사회과학적 관점에서 조망한 미시적 시각”의 장이론과 차별을 둔 다. 신유물론이 물질과 인간의 관계에서 물질의 역능성에 역점을 두었다면, 인문학 적 장이론은 물질과 인간을 포함하여, 주체와 장의 변화에 역점을 두었다. 신유물 론은 인간 중심주의에 탈피하여, 사물, 자연, 문화, 과학기술 등 비인간 요소가 중 요시되는 물질적 전환을 시도하였다. 그리하여 ‘관계적 물질성, 일원론적 존재론, 비인간 행위성’의 새로운 이론을 추구하였다. 인문학적 장이론은 기존 장이론의 한 계를 고려하여 ‘영향, 관계, 중첩’의 의미를 강조하였다. 본고에서는 인문학적 장이 론과 신유물론의 공통점으로 ‘관계성, 공생, 중첩’에 집중하였다. 이는 지금 이 시대 의 문제를 극복할 대안으로 가치가 크다. 특히 공동체의 존립을 위해서 인문학적 장이론과 신유물론의 ‘관계성’과 ‘중첩’의 이론적 근거가 요청된다. 이를 토대로 인 문학적 장이론과 신유물론의 효용성을 확장하는 연구가 지속될 것이라 기대한다. Amid various attempts to solve the problems of modern society, humanistic field theory and new materialism have emerged. New materialism arose to overcome materialistic thinking, and humanistic field theory was presented differently from the field theories of physics and psychology, based on Lao-Zhang’s philosophical thinking. Just as new materialism attempts to break away from “human-centered dichotomy,” humanistic field theory also differentiates itself from the existing “microscopic perspective from a physical and social science viewpoint.” While new materialism emphasized the functionality of material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s and humans, humanistic field theory emphasized changes in subjects and fields, including in materials and humans. New materialism broke away from anthropocentrism and attempted a material transformation that placed importance on non-human elements, such as objects, nature, culture, and science and technology. Thus, a new theory of ‘relational materiality, monistic ontology, and non-human agency’ was pursued. Humanistic field theory emphasized the meaning of ‘influence, relationship, and overlap’ in consideration of the limitations of existing field theory. In this paper, the meaning of ‘relationship, symbiosis, and overlap’ was extracted as the commonality between humanistic field theory and new materialism. This is valuable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is era. In particular,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relationship and overlap between humanistic field theory and new materialism is required for the survival of the community. Based on this, we expect that research that advances the utility of humanistic field theory and new materialism will expand.

      • KCI등재

        장(場) 개념의 사용과 확장 탐구

        김덕삼,이경자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22 동방문화와 사상 Vol.12 No.-

        This The field concept mentioned in academics exists with a wide range of meanings in various fields. In this paper, the study focused on the use and expansion of the field concept. To this end, the use of the concept of 'field' was first analyzed. The field concept, which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discourse on the field, was divided into symbolic use and deceptive use, and examined in physics, morphology, Chinese thought, structuralism, and sociology. Subsequently, the common meaning of the field concept shown in this use was analyzed. In other words, the common meaning was identified as a field that refers to one area, a field that implies perception of a relationship, and a field that has a multi-layered tendency. Subsequently, the value and necessity that the field concept should be studied and utilized were examined. At presen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grasp the effects and changes related to the field, but in the future, more accurate results will be derived, so continuous research on the field is needed. In addition, the field concept has a value that makes you think beyond the limits of the field, and furthermore, it can be the basis for community thinking, so the value and necessity of research on the field concept are great. And based on the above research, the expansion of the field concept was considered. This is an extension as a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field and an extension as an overlap of the field. Through this paper, we review discourses on fields mentioned in various fields and think that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oretical establishment of fields is a meaningful beginning for field theory research.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field' was expressed in various meanings, and the word 'field' was used in various ways. More verification and analysis will be requested in the future, and systematic analysis and the use of creative field theory will be requested, but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are given in terms of organizing fields and considering future directions. 학문에서 언급되는 장(場) 개념은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은 뜻을 가진다. 그중 본 연구는 장 개념의 사용과 확장에 대해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Ⅱ장 개념의 사용과 의미’에서는 ‘장’ 개념의 사용을 분석하였다. 장에 대한 담론이 형성될 수 있는 중요한 영향을 미친 장 개념을 기표적 사용과 기의적 사용으로 구분하여 물리학, 형태심리학, 중국 사상, 구조주의, 사회학 등에서 살펴보았다. 나아가 이러한 사용에 나타난 장 개념의 공통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즉, 하나의 영역을 말하는 장, 관계에 대한 인식을 내포하는 장, 다층적 성향을 갖고 있는 장으로 그 공통된 의미를 파악하였다. ‘Ⅲ장 개념의 가치와 확장’에서는 먼저 장 개념이 연구되고 활용되어야 할 가치와 필요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현재로서는 장과 관련된 영향과 변화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지만, 향후 보다 정확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장에 대한 지속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또한 장 개념은 장의 한계를 넘어 생각하게 하는 가치를 갖고 있으며, 나아가 공동체적 사고의 기초가 될 수 있기에 장 개념에 대한 연구의 가치와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이상의 연구를 토대로 장 개념의 확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는 주체와 장의 관계로서의 확장, 장의 중첩으로서의 확장이다. 장 개념은 다양하게 사용되지만, 장 개념 자체에 대한 통합적 접근의 연구와 정리는 전무한 편이다. 향후 체계적인 연구와 창의적인 장이론의 확장이 진행될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장 연구의 방향과 가능성을 가늠한다는 측면에서 일정 정도 기여할 것이라 기대한다.

      • Interaction fields based on incompatibility tensor in field theory of plasticity-Part II: Application-

        Hasebe, Tadashi Techno-Press 2009 Interaction and multiscale mechanics Vol.2 No.1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interaction fields for multiple scales based on field theory is applied to one-dimensional problem mimicking dislocation substructure sensitive intra-granular inhomogeneity evolution under fatigue of Cu-added steels. Three distinct scale levels corresponding respectively to the orders of (A)dislocation substructures, (B)grain size and (C)grain aggregates are set-up based on FE-RKPM (reproducing kernel particle method) based interpolated strain distribution to obtain the incompatibility term in the interaction field. Comparisons between analytical conditions with and without the interaction, and that among different cell size in the scale A are simulated. The effect of interaction field on the B-scale field evolution is extensively examined. Finer and larger fluctuation is demonstrated to be obtained by taking account of the field interactions. Finer cell size exhibits larger field fluctuation whereas the coarse cell size yields negligible interaction eff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