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Family Background and Cognitive ability -Focusing on Social Capital,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Variables at Home-

        Yu Wenya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21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7 No.10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family background and cognitive ability through the analysis of Chinese Education Panel Survey (CEPS) data.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a total of 19,487 students in the first(10,279 students) and third grades(9,208 students) of Chinese middle schools, but 18990 people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rough frequency analysis. Among them, 18,691 data was actually used when the analysis model was turned around, due to the Missing value. For the analysis, SPSS 24.0 and AMOS 24.0 programs were used, and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s for each variable were analyzed through SPSS24.0. Mean and standard deviation, kurtosis and skewness were confirm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Next,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pplied through AMOS24.0. In analyzing CEPS data, the study uses not only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language, mathematics, and English, but also their cognitive ability test scores. In addition, except for family background, the study considers variables at home such as social capital, personal variables such as self-efficacy levels, and school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result showed that first, family background had a distinct relationship with social capital, self-efficacy level, and cognitive ability. Among them, it was observed that one’s family background had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cognitive ability, while 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Second, it was observed that a family’s social capital exerts a significant impact on self-efficacy level and peer relationship skills, but it was observed not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one’s cognitive abilities. Third, it was observed that one’s self-efficacy level significantly impac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cognitive abilities. Thus, the higher one’s self-efficacy level, the higher the academic achievement. Finally, it was observed that peer relations d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one’s cognitive ability. It promotes fairness of education and society in China by breaking down the phenomenon of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caused by the family background, and provide intervention policies to narrow the gap between acquired educational resources and opportunities for students with different family backgrounds.

      • KCI등재

        가족배경이 청소년의 교육성취에 미치는 영향 : 가족구조와 가족소득, 빈곤의 영향을 중심으로

        구인회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03 사회복지연구 Vol.22 No.-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1998-2001 자료를 이용하여 성장기에 경험한 가족구조와 저소득, 빈곤 등의 가족배경이 청소년의 교육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가족구조와 가족소득, 빈곤의 영향을 각각 분석한 결과 각 변수는 청소년의 학력연수와 대학입학확률, 진학고교유형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 19세의 학력연수와 대학진학확률의 경우 이혼·별거 가족의 청소년과 한부모가족을 장기적으로 경험한 청소년, 빈곤가족의 청소년은 특히 낮은 수준의 성취도를 보였다. 가족구조가 19세의 교육성취에 미치는 영향은 소득수준이나 빈곤을 통제한 후에도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과 빈곤의 영향력 또한 가족구조가 모형에 포함된 후에도 큰 차이가 없없다. 반면에 16세의 진학고교유형에 대해서는 가족구조와 가족소득을 같이 모형에 포함하는 경우 가족구조의 영향은 일관되지 않고 빈곤의 영향 또한 사라진다. 가족구조와 빈곤의 상대적 영향력을 두 변수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 대학진학모형에서 비교한 결과 가족구조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발견은 한부모가족과 빈곤가족에 대한 사회적 지원 대책이 청소년 교육성취 수준을 향상하는 데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ssesses the effect on adolescents’ later educational development of family backgrounds including family structure, family income and poverty. Data come from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1998-2001 administered by the Korean Labor Institute. The KLIPS is a longitudinal survey which has annually interviewed members of 5000 households residing in urban areas of Korea, beginning in 1998. The KLIPS includes information on educational attainment and older, and family characteristics such as parental education, family income, family structure. Results show that family structure, family income and poverty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number of schooling years by age 19, whether adolescents entered college by age 19, and the types of highschool (vocational or not) entered by age 16. Adolescents whose parents divorced or separated, who lived with single parents more than 6 years, or who lived in poor families obtained particularly low levels of educational attainment in terms of the number of schooling years and the probability of college entrance by age 19. The effect of family structure on educational attainment by age 19 persists after family income or poverty is controlled for. The size of income’s or poverty’s effect remains similar after family structure variables are included in the models. On the other hand, family structure does not have a consistent effect on the types of highschool entered by age 16 in the models where family income is controlled for. The effect of poverty has disappeared in the models where family structure is included. Family structure has a larger effect than poverty in the models of college entrance where coefficients of the two variabl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societal support for single-parent families and poor families contributes to improving educational attainment of adolescents growing up in those families.

      • KCI등재

        조선 현종대 문과급제자의관직 경로와 배경

        나영훈 조선시대사학회 2020 朝鮮時代史學報 Vol.- No.94

        This study analyzed Bungwan(分館) and the route of government office of the Passers of the Munkwa-Examination(文科及第者), focusing on during the Reign of King Hyunjong in Joseon Dynasty. Based on th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oute of government service and the promotion pattern was identified, and the cause of the difference was identified. The background of the Bungwan was then divided into the test results, test types, age and hometown, and background of the family. In Chapter 1, the Passers of the Munkwa-Examination was divided into different Bungwan and analyzed the official positions in which they were appointed. the Passers of the Munkwa-Examination has taken a strictly separate route to government posts since graduating from Bungwan. There were also differences in awarding key posts and promotions depending on Bungwan. Joseon had already discriminated against their promotion through the Bungwan system from the beginning of the official position called the Passers of the Munkwa-Examination. Chapter 2 looked at the background of the Bungwan. First of all, the first section identified the grades, types of tests, age and residence of successful applicants, which can be called a personal element of the Bungwan. Through this, it was understood that the personal factors assigned to good Bungwan should generally be moderately good in the test rankings, should be passed at irregular times, and should be young talents living in Seoul. The second verse examined the family background of the person concerned. And it can be seen that the family background has had a more important impact than other factors in Bungwan. A good family background ensured a good Bungwan. Of course, personal virtues, marital relationships, and the assessment of the time would have affected good Bungwan admissions, although they were not reviewed in the text. But the important thing is that Bungwan that have an absolute impact on future government service routes should not forget that the family background was the most important. This proves that the Passers of the Munkwa-Examination was not a capacity-oriented system for selecting government officials, but rather a system that relied on family and blood. 본 연구는 조선 현종대를 중심으로 문과급제자의 分館과 이들의 관직 경로를 분석하였다. 이는 그간 도당록과 예문관 등 청요직에 집중하거나 분관과 상관없이 문과급제자 전체를 대상으로 분석했던 선행 연구과 달리, 문과 급제 이후 분관을 중심으로 변화하였던 관직 경로를 분석한 것이다. 이를 토대로 분관에 따른 관직 경로와 승진 양상의 차이를 확인하고 그러한 차이가 발생하게 된 원인을 확인하였다. 여기에는 급제 성적과 시험 종류, 연령과 출신지역, 그리고 가문적 배경으로 나누어 검토함으로써 분관에 미친 복합적인 배경에 대해 검토하였다. 1장에서는 현종대 문과급제자를 분관별로 구분하고 이들이 참하관, 참상관, 당상관을 거치며 제수받는 관직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문과급제자는 분관된 이후부터 철저하게 분화된 관직 경로를 걷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분관에 따라 핵심요직에 수여되는가의 여부나 승진에서도 차이가 생겼음을 확인하였다. 조선은 문과급제라는 관직의 시작 지점에서부터 이미 분관이란 제도를 통해, 급제자의 관로를 철저히 차별하고 있었던 것이다. 2장에서는 분관의 배경을 살폈다. 우선, 1절에서는 분관의 개인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는 급제자의 성적, 응시 시험의 종류, 급제자의 연령과 거주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좋은 분관에 배정되는 개인적 요소는 대체로 시험 순위가 적당히 좋아야하며 비정기시에 급제해야하고 서울에 거주하는 젊은 인재여야 했음을 파악하였다. 2절에서는 해당 인물의 가문적인 배경을 살폈다. 이를 통해 분관에 있어서 가문적인 배경은 다른 요인들보다 중요한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좋은 가문적 배경이 좋은 분관을 담보했던 것이다. 이는 문과급제가 능력 위주의 관원 선발 제도라기보다, 가문과 혈통에 의지하고 있는 제도였음을 반증한다. 다만 문과급제와 분관, 그 이후의 관로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다양한 배경이 영향을 미쳤다. 예컨대 개인적인 덕망이나 혼인관계, 당대 사람들의 평가, 또한 분관의 선발 제도, 당대의 정치적인 지향 등 다양한 요소가 분관이나 관로에 영향을 미쳤던 것은 분명하다. 현종대는 남인과 서인이 공존하는 시기였고 그러한 정치적 배경에서 분관이 결정된 경우도 많았다. 또한 이후 관로에서도 숙종 초년의 정국 변동에 따라 승진이나 관직 수여에 지대한 영향을 받았던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한 총체적 분석은 추후 해명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 학교적응에 대한 가족요인의 영향 : 가족배경요인과 가족관계요인의 상대적 영향력

        강유진,문재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5 한국청소년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있어서 가족관련요인의 효과에 초점을 둔 것이다. 학교적응을 학교생활태도, 성적, 학교만족도 등 세 가지 하위영역으로 나누어 각각의 하위영역에 미치는 가족관련요인들의 효과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서울시 중․고등학교 남녀 271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학교적응의 각 하위 영역별로 가족관련요인의 효과는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 학교적응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가족배경요인보다 가족관계요인의 효과가 더욱 컸으며, 이 중에서도 부모관심이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가족배경요인으로서 경제상태의 영향은 성적에서 가장 두드러졌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자녀에 대한 부모관심을 촉진할 수 있는 부모가이드라인의 제시와 더불어, 계층간 교육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사회적 관심과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if family-related factors influence school adjustments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data came from 271 students living in Seoul. We found that the degree to which the students successfully adjust themselves to their schools differed depending on school adjustment factors. We also found differential effects of family-related variables on their school adjustment behaviors. Of all the family-related variables the most important factor was family relationship, especially how much parents were interested in their children. A family background factor had the greatest influences on their school achievements and sometimes mediated the effects of family relationship factors on their school adjustm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we should provide the information necessary to encourage parental involvements and to reduce education gaps among students with different socioeconomic statuses.

      • KCI등재

        가정배경, 가정 및 학교 내 사회자본, 교육포부 간 구조적 관계

        김향신,심재휘,김경근 한국교육사회학회 2018 교육사회학연구 Vol.28 No.2

        Drawing on 3rd wave data from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KELS)2013, we investigat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background, social capital in the family and at school, and educational aspirations among junior high school student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Our SEM results indicated that parental education and household income were robust predictors of students’ educational aspirations. In addition, the higher the level of parental education or household income, the stronger the parent-child relationships proved to be. It was also found that the parent-child relationships exerted a strong influence on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nd peer relationships as well as on educational aspirations. While family background had little to do with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peer relationships were not free from the influence of family background. Specifically, household incom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eer relationships,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which were strongly influenced by parental education and household income, had a strong effect on peer relationships. On the other h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educational aspirations, but peer relationships had little to do with educational aspir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recommended that educators utilize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which are relatively free from the effect of parental education and household income, to close the gap in educational aspirations between the classes.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3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중학생의 가정배경, 가정 및 학교 내 사회자본, 교육포부 간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가정배경을 구성하는 핵심 요인인 부모 교육수준과 가구소득은 교육포부에 강력한 직접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부모 교육수준이나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부모-자녀 관계도 원만했는데, 부모-자녀 관계는 교사-학생 관계 및 교우 관계는 물론 교육포부에 강력한 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가정배경은 교사-학생 관계에는 의미 있는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반면 교우 관계는 가정배경의 영향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가구소득이 교우 관계에 유의미한 정적 효과를 행사했고, 부모 교육수준과 가구소득의 영향을 크게 받는 부모-자녀 관계도 교우 관계에 매우 강력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한편 교사-학생 관계는 교육포부에 의미 있는 영향을 끼치지만, 교우 관계는 교육포부와 연관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계층 간 교육포부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부모 교육수준이나 가구소득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교사-학생 관계를 적절히 활용할 것을 제안했다.

      • KCI우수등재

        가족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대학원 진학 확률의 성별 격차

        김창환 한국사회학회 2022 韓國社會學 Vol.56 No.1

        As a result of the college expansion, the degree to which family backgrounds affect college education has diminished, and the size of college-educated women has grown. At the same time, the vertical stratification in higher education has accelerated, while the importance of graduate education in socioeconomic attainment has increased. Despite these changes, studies on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SES background and the likelihood of graduate education and its gender difference are rare. Utilizing the 2010-2018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SES background factors such as parent income, wealth, education, and occupation and the likelihood of graduate education. Contrary to the “Great Equalizer” hypothesis, family background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chances of graduate education after controlling for an extensive set of covariates, including college names and detailed fields of study. Women are less likely to advance to a graduate program than men. Moreover, the gender gap is wide among the group from lower SES families while the gap is negligible among those from the upper SES familie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대학교육의 팽창은 고등교육의 수직적, 수평적 계층화를 초래하여 대학원의 역할을 변화시킨다. 대학교육의 팽창으로 대학진학에 끼치는 가족 배경의 영향력이 줄어들고 여성의 대학진학률이 높아졌다. 하지만 가족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대학원 진학 확률에 영향을 끼치는지, 양자의 관계에서 성별 격차는 없는지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본 연구는 2010~2018년 대졸자직업경로이동조사를 이용하여 구체적인 출신 대학, 세부 학부 전공, 출신 고교의 유형 및 인구학적, 기술적 변수를 통제한 후 부모의 소득, 자산, 직업, 교육 4가지 차원의 사회경제적 계층이 대학 졸업 직후의 대학원 진학 확률에 끼치는 영향과 그 정도의 성별 격차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구체적인 대학과 세부 전공을 통제한 후에도 가족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대학원 진학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 부모의 소득과 학력 수준이 대학원 진학에 끼치는 상관의 정도가 성별로 상이하여 가족배경의 중요성은 남성보다 여성이 컸다. 상위계층에서는 대학원 진학의 성별 격차가 없었지만, 하위계층에서는 남성의 확률이 여성보다 높았다. 이러한 발견은 한 편으로는 ‘위대한 평등의 촉진자로서의 대학’ 가설의 한계를 노정하고, 다른 한 편으로는 성별 계층화의 새로운 차원을 드러낸다.

      • KCI등재

        사회경제적 배경이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윤현선 한국청소년학회 2006 청소년학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배경이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사회적 자본이론과 가족매개모델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두 이론의 비교를 통해서 한국사회에서 사회경제적 배경이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보다 잘 설명하는 모형을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패널조사 1차년도(2003년) 원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경제적 배경이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데 가족내 사회적 자본과 부정적 가족관계는 중요한 매개변인으로 확인되었고, 특히 사회적 자본모형이 한국사회에서 사회경제적 배경이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와 기제를 보다 적절히 설명하는 모형으로 밝혀졌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통해 빈곤청소년의 학업성취 향상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전략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socioeconomic background affect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is study tested the equivalence of the social capital theory and the family mediation model. For it, this study uses the 2003 Korea Youth Panel Survey data. Also, through comparison of two theories, it identified the better model that explains how socioeconomic background influences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e social capital model and the family mediation model showed the good fitness i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amily-based social capital and negative family relationships are critical mediators of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background on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Social capital theory is more appropriate for identifying the process of socioeconomic background influencing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 The finding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fforts to enhance the social welfare policy support for the improvement of poor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suggests that concretely intervention strategies for poor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need to be improved.

      • KCI등재

        가족배경과 초ㆍ중기 청소년의 학교적응

        이여봉(Yeobong Lee) 한국가족학회 2014 가족과 문화 Vol.26 No.3

        본 연구는 가족배경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초래하는 불평등에 주목하되, 성별 및 발달단계에 따른 유사성과 차이점을 관찰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 아동ㆍ청소년 패널 조사> 1, 2차 자료 중 2011년 시점에서 초등학교 5학년생 및 중학교 2학년생들과 그들의 양육자에 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t-검증과 분산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있어서 양육방식 만으로 설명될 수 없는 차이가 실재하고 그 상당 부분이 가족배경으로 인해 빚어짐을 확인하였다. 다만 학교적응의 네 차원 중 학업태도와 교우관계 수준 및 교사와의 관계가 다양한 가족배경에 의해 좌우되는 반면, 규범 준수성은 가족배경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운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배경이란 청소년의 자질이나 선택에 의한 것이 아니고 또한 개별 가족이 원한다고 해도 쉽사리 변화시키기 힘든 특성들이므로, 가족배경으로 인한 차이를 해소시키는 것은 사회적 책임이다. 따라서 가족의 경제적 지위와 지역적 차이 그리고 가족 구성에 따른 불평등과 소외에 관심을 두고, 그로 인한 학교적응 격차를 감소시키기 위해 다각적이고 지속적인 사회ㆍ정책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of the family backgrounds with the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s. It also examines the similaritie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girls and boys, and between the early adolescents(5th graders) and the mid-stage adolescents(8th grader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is the Korean Panel Data of Child and Youth - Wave 1 & Wave 2, colle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study utilizes t-test, ANOVA, correlation, an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echnique. The school adjustment is measured in 4 dimensions - the level of class attitude, the relationship with peers,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the school rule observance. It is observed that there is inequality i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s influenced by the family backgrounds. Among the four dimensions of school adjustments, the rule observance is relatively free from the family backgrounds while the other three a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various family background variables. The family background is not what adolescents can choose but what is randomly given to them, and it is hardly changeable even if individual families want to. Therefore, the result of the analysis signifies the existence of inequality in the life chance of adolescents, which should be reduced by the extensive and intensive efforts in societal level.

      • KCI등재

        미혼모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원가족 수용 차이와 지역사적 배경

        김희주(Kim, HeeJoo),성정현(Sung, JungHyun) 역사문화학회 2018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1 No.2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미혼모에 대한 원가족의 수용의 차이와 미혼모에 대한 인식의 역사적 배경을 알아보고 미혼모와 원가족 간 관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발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미혼모와 원가족 관련 문헌을 고찰하고, 양국 미혼모 11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미혼모가 되는 과정과 원가족의 수용 정도, 국가의 지원방식에서 양국 간 차이가 나타났다. 한국미혼모들은 출산과 양육 결정 과정에서 가족들로부터 출산과 양육에 대한 비난과 반대에 부딪치며 심리․사회적 고립과 관계의 단절을 경험하였다. 반면, 일본 미혼모들은 출산과 양육 과정에서 부모님 등 가족의 도움이 가장 중요한 지지체계로 작용하고 있었다. 한국과 일본 모두 미혼모에 대한 지원이 제한적이거나 차별적이어서 미혼모들의 탈빈곤이 어려운 공통점이 있었다. 특히 일본은 미혼모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한국보다 개방적이기는 하나 제도적 지원에서는 공식적인 결혼 여부를 기준으로 차별적인 지원을 하는 이중적인 경향이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가족과 개인의 다양화와 규범, 그리고 현실 간 괴리에 대한 재인식의 필요성을 포함하여, 적극적 인식개선 노력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of Korean and Japanese unmarried mothers’ experiences about family-of-origin acceptance and sought ways of improving social awareness. Authors conducte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Korean and Japanese unwed mother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experiences of becoming unmarried mothers, acceptance of family-of-origin and national policies supporting unmarried mothers between Korea and Japan. Korean unmarried mothers encounter strong objection from family-of-origin in terms of their childbirth and nurture and suffer psychosocial distress and relational disconnection while Japanese unmarried mothers receive support from their parents and family members.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countries come from different traditional family values of Japanese ‘ie’ system emphasizing family continuity and prosperity and Patriarchal bloodline tradition in Korea. However, both Korean and Japanese governments provide limited and discriminative social services for unmarried mother, so they can hardly escape from poverty. In particular, Japanese government provides discriminative policies and services based on the marital status although social awareness toward unmarried mothers in Japan are more positive than Korea. Based on the findings, the authors suggest that promotion of social awareness to embrace individual and family diversity and narrow the gap between norms and reality should be carried out.

      • 자기주도 학습에 대한 학생 가정배경의 영향력 분석

        안우환(An Wo Hwan)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2010 韓國敎育論壇 Vol.9 No.3

        이 연구는 자기주도적인 학습자가 요구되는 현대 사회에서 자기주도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가정배경의 영향력 정도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자기주도 학습에 대한 학생 가정배경의 전체적인 영향력은 57.2%로 드러났고, 학생 가정배경의 모든 변수들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의 학력이나 가구주 직업, 종교유무 등의 변수를 제외한 나머지 변수들은 유의도 0.1%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주는 변수로 나타났다. 정상가족 학생의 경우 6점정도 그 반대의 경우보다 자기주도 학습에 더 높은 점수를 받을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의 학력이나 가족구조는 일관되게 학생의 자기주도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 밝혀졌다. 향후 가족해체 즉, 이혼가족 및 사별가족 자녀의 자기주도 학습과 학업성취와의 영향 관계에 대하여 보다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연구가 요망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effects of students' family background on self-directed learning. Personal and professional success is seen to depend increasingly on continued learning and development throughout one's lifetime. The develop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has become one of the primary aims of adult education in the last few decades. self-directed learners are proactive and take the initiative in learning rather than passively waiting to be taught as reactive learners. Their learning is more meaningful and purposeful, with greater motivation resulting in longer retention. They are more responsible in their own lives, having benefited from the self-disciplining process of their learning. All individuals are capable of self-directed learning but the degree of development varies due to their individual differences. It is important that both educators and learners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nd nature of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for its further development. Families are a primary source of self-directed learning for young people, especially in relation to their education. Scales items consist of that self-rating scale of self-directed learning(Williamson & Naskar, 2007) and student background. Using 6 elementary schools, fifth and sixth student were sampled. The final subjects were 785. The result of the full sample showed that all variable influenced self-directed learning. The influence of family background of the student self-directed learning was 57.2%. Family background variables that most gives an effect to student self-directed learning are birth rank. The family background attributes exert a significant influence on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