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교사의 교직윤리 인식과 실천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정덕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tend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thical awareness, ethical practice and job satisfaction, an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of those three factor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a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ethical awareness and practi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by 439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eoul and validated by mean,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1.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eachers' ethical awareness was high, practice was relatively low, and ethical practic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awareness. Second, there were static correlation among ethical awareness and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ethical practice, and ethical awareness and practice of the teachers. Third, job satisfaction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ethical awareness and practi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o consider the importance of job satisfaction and that various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job satisfaction in order to enhance teachers' ethical awareness and practice.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직윤리 인식과 실천, 직무만족도의 경향성 및 세 변인 간 상관관계, 그리고 교직윤리 인식과 실천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 교사 439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21.0을 사용하여 평균 및 t검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교직윤리 인식은 높고 직무만족도는 낮은 편으로 나타났고, 교직윤리 실천은 인식보다 유의미하게 낮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교직윤리 인식과 직무만족도, 직무만족도와 교직윤리 실천, 교직윤리 인식과 실천 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보육교사의 교직윤리 인식과 실천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는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교직윤리 인식과 실천의 증진을 위해서는 직무만족도를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며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강구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윤리의식이 아동학대 인식에 미치는 영향

        박소윤 ( Park So-yun ),서현아 ( Seo Hyun-ah ),강현미 ( Kang Hyun-mi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7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윤리의식이 아동학대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여 장차 유아교육현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예비유아교사의 아동학대 인식과 교직윤리의식 함양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예비유아교사의 아동학대 인식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대상은 부산소재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학생 180명이었다. 분석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윤리의식과 아동학대 인식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직윤리의식이 높은 예비유아교사가 아동학대 인식의 하위변인인 정서학대, 신체학대, 성학대, 방임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윤리의식 하위변인은 아동학대 인식을 19%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유아교사를 양성하는 기관이나 관련 대학에서 교직윤리의식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을 강화하여 궁극적으로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 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child abuse and ethics in teaching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hat can enhanc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child abuse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ethical awareness and child abuse awareness. This study surveyed 180 students part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at a university in Busan.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eaching ethical awareness and child abuse awareness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ve a high ethical consciousness for teaching ethics highly perceived emotional abuse, physical abuse, sexual abuse and neglect as sub-factors of child abuse awareness. Third,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s the ethical awareness for infants, family, colleagues and society became higher, the perception of child abuse became hig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education to raise awareness of teaching ethics at institutions and related universities that trai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ultimately raise the awareness of child abuse.

      • KCI등재

        언어재활사의 신종감염병 인식과 윤리적 고려사항에 대한 탐색

        박현린,손은남,권미지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A Study of Awareness of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andEthical Considerations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Hyunrin Park, Eunnam Sohn, & Miji Kwon Abstract: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of the language rehabilitation by identifying awareness of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and the level of ethical consideration related to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for the SLPs of the field experienced corona 19. This study was distributed to the SLPs of the field and 167 copies were recovered. The survey was 32 ques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level of awareness of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was 3.82±.55 or more. Second, the average of ethical recognition was 3.87±.54, or more. It was the highest in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ethical guidelines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between therapists and the right to guarantee the right to receive information. Third,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and ethical perceptions of new infectious diseas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 in the types of work institutions, working areas, and education. Fourth,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the higher the ethical aware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status of the awareness and ethical considerations of SLPs’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Through these results, we considered the instructions for SLPs related to infectious diseases an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development for them. Key Words: Speech-Language Pathologists, Coronavirus, Awareness of Emerging Infecious Diseases, Ethical Consideration, Ethical Awareness 언어재활사의 신종감염병 인식과 윤리적 고려사항에 대한 탐색박 현 린**ㆍ손 은 남***ㆍ권 미 지****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코로나19를 경험한 현장의 언어재활사를 대상으로 신종감염병에 대한 인식과 신종감염병과 관련된 윤리적 고려사항에 대한 인식 수준을 파악하여 언어재활사의 신종감염병 대응 지침 매뉴얼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언어재활사를 대상으로 32문항 설문을 배부하여 회수된 167부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내용: 첫째, 신종감염병에 대한 인식 수준은 평균 3.82±.55로 중간 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윤리 인식에 대한 평균은 3.87±.54로 중간 이상으로 나타났다. ‘치료사들 간의 감염병 예방을 위한 윤리적 지침 개발의 필요성’과 ‘정보를 제공받을 권리 보장’문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종감염병에 대한 인식의 차이 및 윤리인식의 차이가 근무 기관 유형, 근무 지역, 학력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넷째, 신종감염병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윤리인식이 높은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현재 언어재활사들의 신종감염병에 대한 인식 실태를 살펴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추후 언어재활사를 위한 감염병 관련 지침과 교육 개발에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에 대해 고찰하였다. 핵심어: 언어재활사, 코로나바이러스, 신종감염병 인식, 윤리적 고려사항, 윤리적 인식 □ 접수일: 2022년 7월 7일, 수정일: 2022년 7월 26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본 연구는 2022년 광주대학교 대학연구비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 주저자, 광주대학교 언어치료학과 부교수(First Author, Professor, Gwangju Univ., Email: hyunrin@gwangju.ac.kr)*** 공동저자, 광주대학교 언어치료학과 부교수(Co-auhor, Professor, Gwangju Univ., Email: sen1397@gwangju.ac.kr)**** 교신저자, 광주대학교 언어치료학과 조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Gwangju Univ., Email: mjkwon@gwangju.ac.kr)

      • KCI등재

        영유아교사가 지각한 조직문화가 교직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인권감수성의 조절효과

        홍선아 ( Seon Ah Hong ),정정희 ( Chung Hee Chu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가 지각한 조직 문화, 인권감수성 및 교직윤리의식 간의 관련성 및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고 조직문화와 교직윤리의식의 관계에서 인권감수성의 조절효과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구와 경북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ㆍ보육기관에 근무 중인 영유아교사 281명을 대상으로 조직문화, 인권감수성, 교직윤리의식을 측정하기 위한 평정척도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의 조직문화와 인권감수성 및 교직윤리의식 간에 유의미한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교직윤리의식에 조직문화와 인권감수성의 순서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교사가 지각한 조직문화와 교직윤리의식 간의 관계에 있어서 부분적인 인권감수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직윤리의식을 강화하기 위한 영유아교사들의 인권감수성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영유아교사들의 건설적인 조직풍토를 조성하는 데 이바지하도록 기대되어 진다. The aim of study was to investigate general trend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organizational culture,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teaching profession ethical awareness, and to elucidate how organizational culture and human rights sensitivity affect teachers’ teaching profession ethical awareness. A rating scale was used to evaluate early childhood teachers’ organizational culture,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teaching profession ethical awareness of 281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nurseries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Daegu City and Kyungpook Are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organizational culture,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teaching profession ethical awareness showed a meaningfully positive correlation. Second,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teaching profession ethical awareness contribute to enhance teachers’ teaching profession ethical awareness in that order. Third,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organizational culture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teaching profession ethical awareness through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establishing child care environments which increase teachers’ sense of teaching profession ethical awareness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creating an organizational culture of constructive teachers.

      • KCI등재

        The effect of industrial training on ethical awareness of final year students in a Malaysian public university

        Maisarah Mohamed Saat,Rosman Md. Yusoff,Siti Aisyah Panatik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Vol.15 No.1

        Studies (for example, Dellaportas in Making a difference with a discrete course on accounting ethics. J Bus Ethics 65(4):391–404, 2006; Saat in An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a moral education program on the ethical development of Malaysian future accountants, 2010) on final year accounting students show that industrial training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ethical development in a way that students improved in their ethical judgement after attending a 6-month training. Thus, this research aim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industrial training in the development of ethical awareness among final year students from a Malaysian public university. These students were from multiple academic backgrounds—engineering, science and social science. A pre and post study was adopted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A set of survey was distributed to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y have attended industrial training. In assessing students’ ethical awareness, 15 business-related and workplace ethical situations were given and students had to rate their acceptance on these situations from not acceptable (1) to most acceptable (7). From the findings, it can be observed that although the level of ethical awareness among students is fairly good, industrial training has minimal impact in improving or developing students’ ethical awareness. The impact is such because students who undergone industrial training may have observed certain behaviour that they thought are acceptable in a workplace; this may have changed the way students perceived their acceptance on the situations.

      • KCI등재

        안경사 윤리강령의 인식도 및 실행만족도에 관한 연구

        예기훈,이민제 대한시과학회 2023 대한시과학회지 Vol.25 No.4

        Purpose : This study sought to find ways to improve awareness and ethics of opticians' code of ethics. Methods : A survey was conducted on 102 Korean optician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 satisfaction of the optician's code of ethics, as well as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ge, education level, work experience, and workplace. Results : This study found no gender-based differences in opticians’ awareness and satisfaction with the code of ethics. However, age and educa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these factors, with higher levels observed among opticians in their 20s and 30s, particularly those in the early stages of their careers. Furthermore, a positive correlation was noted between education level and both awareness and satisfaction. The study revealed that opticians with volunteer experience exhibited higher awareness and satisfaction with the code of ethics than those without. This suggests that volunteering, which fosters professional identity and social responsibility, influences opticians’ ethical awareness. Additionally, groups with a strong interest in foreign languages and self-development demonstrated higher ethical awareness and satisfaction. Conclusion : This study underscores the need for enhanced ethical awareness among opticians. It advocates for the development of methods, case studies, and guidelines to address ethical issues not covered by the existing code, thereby revitalizing ethical practices in the profession. In addition, it is judged that active promotion and education on the code of ethics and professional ethics are necessary for the continuing education of opticians. 목적: 본 연구는 안경사의 윤리강령에 관한 인식과 윤리성을 향상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안경사 1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안경사 윤리강령의 인식도 및 실행만족도 그리고 성별, 나이, 교육수준, 근무경력, 근무지에 따른 차이를 조사하였다. 결과: 안경사의 윤리강령에 대한 인식도 및 실행만족도는 성별과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연령 및 학력에대한 인식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특히, 20~30대 나이에서 윤리강령의 인식도 및 실행만족도가 높게나타났으며, 근무경력 중 초년 차의 안경사에서도 같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력의 수준이 높을수록 인식도및 실행만족도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봉사를 1회 이상이라도 경험한 군에서 그렇지 않은 군보다 윤리강령의 인식도 및 실행만족도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봉사를 통해 안경사 직업에 대한 정체성 확립과 사회적 책임감 증가는 안경사의 윤리의식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외국어에 관한 관심이 높은 자기계발을 더 많이 하는 군에서 안경사의 윤리강령에 대한 인식도 및 실행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 안경사의 윤리강령 의식의 개선이 필요하며, 윤리강령의 활성화 및 안경사의 업무 지침에활용할 수 있는 방법 및 사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윤리강령으로는 포괄할 수 없는 다양한 윤리적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를 제시할 수 있는 안경사 가이드라인의 개발 및 사례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판단된다. 그리고 보수교육에서 윤리강령 및 직업윤리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 및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윤리교육의 효과성이 교육만족도와 윤리실천의식에 미치는 영향: A사 사례를 중심으로

        정석호,정유진,윤방섭,이주헌 한국경영교육학회 2010 경영교육연구 Vol.62 No.-

        오늘날 국내외적으로 윤리가 기업과 사회의 경쟁력의 원천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국내 기업들은 윤리를 단순히 기업홍보를 위한 마케팅적 시각에서 접근하거나, 윤리강령이나 제도를 만드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며 전 사원이 공감하고 실천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윤리교육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3년 이내에 윤리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A사 직원들을 대상으로 윤리교육의 필요성인식, 교육체계와 내용이해가 윤리교육만족도와 윤리실천의식 제고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현행 윤리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앞으로 효과적인 교육이 되기 위해 추진해야 할 윤리교육의 내용과 방법도 설문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를 통해 밝혀진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윤리경영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공감대 형성을 위해 윤리교육을 체계적으로 정립해 나갈 필요성이 있다. 둘째,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교육체계를 재정립해 나가야 할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천편일률적인 내용의 양적교육에서 탈피하여 조직대상별, 직급(계층)별로 차별화되고 전문화된 양질의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윤리교육의 만족도가 기업 내에서 윤리실천의식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윤리교육의 필요성 인식, 교육체계와 내용이해 등 윤리교육 전반에 관한 심도 있는 연구와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정책적 제도수립을 강조하였다. Business ethics has been one of the key ingredients for global success. For further economic developments, we should develop well-prepared business ethics education programs. However, existing ethics researches in Korea can not meet the current demands of industries. In this paper, we explore the effect of ethics education on the overall education satisfaction and ethical awareness of employees. A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to the employees of a private company who had been educated at least once for the past 3 years. The major findings of our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systematic ethics education is crucial for ethical decision making and awareness among employees. Second, teaching contents should closely reflect current industry practices and company policies. Third, systematic and effective ethics education to employees helps companies themselves to promote ethical activities. We expect that this research is conducive to the practical education of business ethics and the promotion of ethics awareness among employees, which can subsequently lead to ethical business activitie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인권감수성과 아동권리인식의 관계에서 윤리적 민감성의 매개효과

        조희정(Cho hee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5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인권감수성이 아동권리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인권감수성과 아동권리인식 간의 관계에서 윤리적 민감성의 매개역할을 입증하는 것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J대학교 유아교육과 3학년 74명을 대상으로 2018년 9월 첫째 주 아동복지 과목의 개강 첫날에 인권감수성, 윤리적 민감성, 아동권리인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인권감수성, 윤리적 민감성, 아동권리인식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분석하였다. 또한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서 단계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윤리적 민감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권감수성과 윤리적 민감성은 예비유아교사의 아동권리인식 전체를 40% 정도 설명하며, 예비유아교사의 인권감수성과 아동권리인식 간의 관계에서 윤리적 민감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윤리적 민감성은 예비유아교사의 인권감수성과 아동권리인식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인권감수성이 아동권리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윤리적 민감성은 아동권리인식을 높일 수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s sensitivity to the children rights awareness and to find out the mediating role of ethical sensi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child rights aware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74 students who have taken introduction to child welfare course in Child Education department from J Universit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ubject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ethical sensitivity, and children rights awarenes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ights sensitivity, ethical sensitivity, and children rights awarenes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ve influence,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Sobel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thical sensitivity. As a result of the research, human rights susceptibility and ethical sensitivity explain about 40% of all pre-service teachers of children rights awareness.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ethical sensi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human rights and children rights, ethical sensitivity is partly mediated by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human rights and child rights, In the process, ethical sensitivity was found to be a factor in raising children rights awareness.

      • KCI등재

        예술치료사와 예술치료전문가의 연구윤리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최세민,오승주 (사)한국예술치료학회 2019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and needs of arts therapists and arts therapy professionals for research ethics. This study includes 109 people who were 103 arts therapists and 6 arts therapy professionals. The arts therapists majored in arts therapy at graduate school and have working as therapists.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arts therapis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consideration of background variables including academic credential, research exper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experience and experience of publishing an article. And the arts therapy professionals were asked to give their opinions on the necessity of research ethics and which themes should be dealt with in research ethics for arts therapist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arts therapists weren't well aware of research ethics in general. Next,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among them in research ethics awareness according to the themes of research ethics areas and their own background variables was analyzed. As a resul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erms of confidentiality, plagiarism, redundant publication and the code of ethics for therapist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data management, author qualifications, conflicts of interests, data manipulation, the method of citation and the publication of finding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Finally, the awareness and needs of the arts therapy professionals were as follows: First, the arts therapy professionals were highly cognizant of the need for research ethics education. Second, as for the major areas of research ethics for arts therapists, they commented that research methodology including how to write a paper should be included as one of the major areas. Third, as to an educational institution of research ethics for arts therapists, they commented that a college or graduate school which was to education arts therapists would be most appropriate. Fourth, concerning the reason why research ethics was important for arts therapists, their opinion was that those whom arts therapists research were socially disadvantaged, and that it focused on humans. Fifth, regarding how to make research ethics take root among arts therapists, they stressed that not only the role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but those of related academic societies were of importance. 본 연구는 예술치료사와 예술치료전문가의 연구윤리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대상은 대학에서 예술치료를 전공하였거나 대학원과정에서 예술치료를 전공하고 치료사로 활동하고 있는 예술치료사 103 명과 예술치료 전문가 6명 등 전체 109명으로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예술치료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다음 학력, 연구경험, 연구윤리 수강경험, 학술논문 출판경험 등 배경변인에 따라 분석하였다. 또한 예술치료 전문가를 대상으로는 전문가가 인식한 연구윤리의 필요성과 예술치료사의 연구윤리에서 다루어야 할 주제 등과 관련된 요구 를 알아보았다. 이와 같은 절차와 방법을 통하여 나타난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예술치료사의 연구윤리 인식은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연구윤리 영역별 주제 및 치료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인식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첫째, 비밀보장, 표절, 중복게재 및 치료사 윤리강령 등은 배경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데이터 처리방법, 저자 자격기준, 이해충돌, 데이터 조작, 인용방법, 연구결과 발표 등은 배경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끝으로 예술치료 전문가들의 인식 및 요구는 첫째, 예술치료사의 연구윤 리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높은 인식을 하고 있다. 둘째, 예술치료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윤리의 주요 영역에는 논문작성방법을 포함한 연구방법론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셋째. 예술치료사를 대상 연구윤리 교육기관으로는 예술치료사 양성대학(원)이 가장 적합하다는 견해를 나타냈다. 넷째, 예술치료사들에게 연구윤리가 중요한 이유에 대하여는 예술치료사의 연구대상이 사회적 약자이고 또한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이기 때문이라 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예술치료사의 연구윤리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예술치료사를 양성하는 교육기관뿐 아니라 관련 학술단체의 역할도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 하였다.

      • KCI등재

        보건의료계열 종사자와 대학생의 생명윤리의식과 인공지능기술에 대한 인식

        김진동(Kim JinD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2

        의료 및 건강 분야는 어느 영역보다 윤리적 판단이 중요한 분야이고, 보건의료 종사자들은 생명윤리의식과 인공지능기술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에 직면했다. 본연구에서는 2018년 5월부터 10월까지 보건의료계열 종사자와 대학생을 대상으로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인공지능기술 인식을 비교 분석하고,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보건 의료인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이 인공지능기술의 도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보건의료계열 종사자와 대학생은 현재 의료분야의 인공지능 적용 가능성, 인공지능이 미칠 긍정적 영향의 가능성, 인공지능에 대한 선제대응의 필요성을 모두 높게 인지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보건의료계열 종사자와 대학생의 생명윤리의 식과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 간의 상관성에서는 다소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인공지능의 긍정적 영향, 단순 업무의 대체가 가장 높은 유의적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생명윤리의식과 인공지능의 부정적 영향 문항에서 가장 높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볼 때 보건의료분야의 종사자나 대학 생은 인공지능기술이 향후 우리 사회에 미칠 영향이 매우 클 것으로 판단하지만 생명윤리적 입장에서 바라보면, 인공지능기술의 도입에 많은 의문과 우려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 기술의 도입과 함께 임상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인 갈등에 대응하여 올바른 윤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는 의사 결정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것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과 전담 기구 구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e field of medical treatment and health is regarded as the most significant one when it comes to the ethical judgement. Therefore, healthcare workers are required to thoroughly contemplate awareness on biomedical ethics and the technology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2018 starting May to October,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ts influence on the introdu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by comparing and analyzing awareness on biomedical ethics among healthcare workers and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ealthcare and identifying correlation between their biomedical ethics and awareness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result of this survey indicates that both groups highly perceive the applicable possibi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to the current medical field, the plausibly positive influ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pre-corresponded necessity. On the other hand, the relatively different result is deduced in correlationship between awareness on biomedical ethics and awarenes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mong healthcare workers and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ealthcare. There s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in an area such as the affirmative influence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ts replacement of simple work and there 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in an area such as biomedical awareness and its negative influence on artificial intelligence. In other words, healthcare workers and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ealthcare approve the crucial influ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on our future society but disapprove its introduction based on many doubts and concerns of biomedical ethics. As a result, this thesis suggests that there should be further study on ways to cultivate abilities to make right and moral decisions when facing ethical conflicts caused by the introdu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for healthcare workers and to develop systematic infrastructures of education and institutions exclusively for th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