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학 경제학 — 사용가치에서 교환가치로의 전이

        양병현 한국영어영문학회 2009 영어 영문학 Vol.55 No.5

        The two fields, economics of art and literature, tend to be put together as part of cultural economic studies; yet the former has been widely popular as compared to the latter. Economics of art has been known as part of social science which studies art economically. Similarly, economics of literature is likely to be an interdisciplinary study of literature and economics. Literature is suggested usually to reflect the economic base of a society as a form of its superstructure in view of classical Marxism; so, it is interesting to see social, economic activities, such as individual values and social institutions, income, price and opportunity cost, in a particular way of analyzing economic ideas in literature. Capital seems to have an innate property of self-expansion in literature; this property thus features actual economic life since in capitalism money is the universal value between persons and literary works. Specifically, the field of economics of literature starts with such ideas: economics of literature is part of cultural economics; and economics of literature deals with the economic value of literature. Putting interdisciplinary fields of literature and economics together,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conomic value of literature in which Karl Marx talked about commodities with exchange value, use value, and fetishism. The exchange value is commercial worth, the actual exchange value of a publication; yet, the use value is innate worth, the aesthetic use value of literature. With commodity fetishism, profit seems not as the outcome of a social relation, but of a work — “reification” as the would-be Marxists suggest. As a commodity, the literary work appears to be able to animate life and power in reality. As a result, this paper asserts that social, economical activities in literature as we may apply to the study of economics of literature increase its economic value, implying commercial and innate worth, as the capital in the marketplace. The two fields, economics of art and literature, tend to be put together as part of cultural economic studies; yet the former has been widely popular as compared to the latter. Economics of art has been known as part of social science which studies art economically. Similarly, economics of literature is likely to be an interdisciplinary study of literature and economics. Literature is suggested usually to reflect the economic base of a society as a form of its superstructure in view of classical Marxism; so, it is interesting to see social, economic activities, such as individual values and social institutions, income, price and opportunity cost, in a particular way of analyzing economic ideas in literature. Capital seems to have an innate property of self-expansion in literature; this property thus features actual economic life since in capitalism money is the universal value between persons and literary works. Specifically, the field of economics of literature starts with such ideas: economics of literature is part of cultural economics; and economics of literature deals with the economic value of literature. Putting interdisciplinary fields of literature and economics together,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conomic value of literature in which Karl Marx talked about commodities with exchange value, use value, and fetishism. The exchange value is commercial worth, the actual exchange value of a publication; yet, the use value is innate worth, the aesthetic use value of literature. With commodity fetishism, profit seems not as the outcome of a social relation, but of a work — “reification” as the would-be Marxists suggest. As a commodity, the literary work appears to be able to animate life and power in reality. As a result, this paper asserts that social, economical activities in literature as we may apply to the study of economics of literature increase its economic value, implying commercial and innate worth, as the capital in the marketplace.

      • KCI등재후보

        문화예술분야의 경제적 가치측정 연구 경향 분석

        김세훈(Kim, Sehu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5 문화산업연구 Vol.15 No.3

        그동안 문화예술분야의 효과와 관련한 연구는 주로 개인의 정서나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교육적, 정서적 차원에서 다루어져왔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문화예술분야의 경제적 차원에 대한 사회적, 정책적 관심이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문화예술분야의 경제적 가치를 측정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적지 않게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분야의 경제적 가치를 측정하는 연구경향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측정에 사용된 방법이 어떠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1990년대 중반 전후하여 나타나기 시작한 문화예술분야의 경제적 가치 측정에 대한 연구가 시기별로 어떠한 특징을 나타내며, 이러한 경제적 가치 측정을 위한 노력들이 어떠한 함의를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이 연구에서 관심을 가진 부분은 기본의 문화예술분야 경제적 가치 측정 관련 연구가 문화예술분야의 비경제적 가치. 혹은 본원적 가치에 대해 어떻게 접근하고 있으며, 경제적 가치 측정이 이러한 본원적 가치 부분을 적절히 반영하고 있는지와 관련된 것이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그동안의 연구들은 크게 세 가지 유형, 곧, 경제적 효과 측정에 대한 방법론 모색과 관련한 연구 유형, 문화예술행사나 시설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측정하는 연구 유형, 문화예술의 경제적 효과측정에 대한 이론적 관심과 연결된 연구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연구들의 특징 또한 세 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는데, 첫째는 1995년 지방자치제가 전면 시작되고 난 후 자치단체장들의 대규모 지역문화행사 개최와 관련하여 그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한 ‘정치적 관심’에 기반 하여 추동되었다는 점과 둘째, 이론적, 방법론적 연구들이 선행된 것이 아니라 경제적 가치를 측정하는 연구들이 먼저 이루어졌다는 점 셋째, 문화예술의 경제적 가치 측정은 문화예술이 가지고 있는 본원적 가치에 대한 계량적 측정이 아니라, 문화예술과 관련된 행사나 시설을 ‘산업’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그 가치를 여타 행사나 시설과 동일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있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이런 점에서 이 연구는 문화예술분야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측정이 보다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문화예술의 고유가치와 효용가치에 대한 분석이 심도 깊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이렇게 될 때 문화예술의 가치가 경제적인 측면에서 보다 적절하게 드러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se research trends of economic value of culture and arts. For a long time, influences of culture and arts are mainly explored in the area of education and psychology. Often, it is underlined that culture and arts can have an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s" learning and emotional stability. Thesedays, however, the intere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arts and its economic impact has been rapidly increased. The study analyses the change of research trends which explore the culture and arts" economic value. The research trend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First type focuses on exploring methodology which is adequate to the analysis of culture and arts" economic value. Second type is related to the real analysis on the specific culture and arts festivals and venues. Last one has interest in the theoretical approach to the culture and arts area. In the background of the researches" emergence, there is a political motive. After the introduction of local self-governing system in 1995, local governments increased a various type of local and regional festivals and tried to seek rationale for public funding into the area. The research trends also show that the analysis of economic value was conducted without sufficient theoretical consideration. In the analysis,methodological approacheswhich are adequate to the culture and arts area are not seriously considered. As a result, it suggests that in order to analyse economic value, proper research methodology should be explored before applying the existing tools to culture and arts area, which are used to the other areas, and intrinsic value and non-use value of culture and arts area should be significantly taken into account in the exploration. 그동안 문화예술분야의 효과와 관련한 연구는 주로 개인의 정서나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교육적, 정서적 차원에서 다루어져왔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문화예술분야의 경제적 차원에 대한 사회적, 정책적 관심이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문화예술분야의 경제적 가치를 측정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적지 않게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분야의 경제적 가치를 측정하는 연구경향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측정에 사용된 방법이 어떠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1990년대 중반 전후하여 나타나기 시작한 문화예술분야의 경제적 가치 측정에 대한 연구가 시기별로 어떠한 특징을 나타내며, 이러한 경제적 가치 측정을 위한 노력들이 어떠한 함의를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이 연구에서 관심을 가진 부분은 기본의 문화예술분야 경제적 가치 측정 관련 연구가 문화예술분야의 비경제적 가치. 혹은 본원적 가치에 대해 어떻게 접근하고 있으며, 경제적 가치 측정이 이러한 본원적 가치 부분을 적절히 반영하고 있는지와 관련된 것이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그동안의 연구들은 크게 세 가지 유형, 곧, 경제적 효과 측정에 대한 방법론 모색과 관련한 연구 유형, 문화예술행사나 시설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측정하는 연구 유형, 문화예술의 경제적 효과측정에 대한 이론적 관심과 연결된 연구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연구들의 특징 또한 세 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는데, 첫째는 1995년 지방자치제가 전면 시작되고 난 후 자치단체장들의 대규모 지역문화행사 개최와 관련하여 그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한 ‘정치적 관심’에 기반 하여 추동되었다는 점과 둘째, 이론적, 방법론적 연구들이 선행된 것이 아니라 경제적 가치를 측정하는 연구들이 먼저 이루어졌다는 점 셋째, 문화예술의 경제적 가치 측정은 문화예술이 가지고 있는 본원적 가치에 대한 계량적 측정이 아니라, 문화예술과 관련된 행사나 시설을 ‘산업’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그 가치를 여타 행사나 시설과 동일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있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이런 점에서 이 연구는 문화예술분야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측정이 보다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문화예술의 고유가치와 효용가치에 대한 분석이 심도 깊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이렇게 될 때 문화예술의 가치가 경제적인 측면에서 보다 적절하게 드러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se research trends of economic value of culture and arts. For a long time, influences of culture and arts are mainly explored in the area of education and psychology. Often, it is underlined that culture and arts can have an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s" learning and emotional stability. Thesedays, however, the intere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arts and its economic impact has been rapidly increased. The study analyses the change of research trends which explore the culture and arts" economic value. The research trend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First type focuses on exploring methodology which is adequate to the analysis of culture and arts" economic value. Second type is related to the real analysis on the specific culture and arts festivals and venues. Last one has interest in the theoretical approach to the culture and arts area. In the background of the researches" emergence, there is a political motive. After the introduction of local self-governing system in 1995, local governments increased a various type of local and regional festivals and tried to seek rationale for public funding into the area. The research trends also show that the analysis of economic value was conducted without sufficient theoretical consideration. In the analysis,methodological approacheswhich are adequate to the culture and arts area are not seriously considered. As a result, it suggests that in order to analyse economic value, proper research methodology should be explored before applying the existing tools to culture and arts area, which are used to the other areas, and intrinsic value and non-use value of culture and arts area should be significantly taken into account in the exploration.

      • 환경·경제 통합분석을 위한 환경가치 종합연구 : 통합분석 시스템 구축

        안소은,이홍림,박윤선,오치옥,이재혁,권영한,김현노,최새미 한국환경연구원 2021 사업보고서 Vol.2021 No.-

        Ⅰ. 서 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 환경정책 및 개발사업 타당성 평가를 위한 절차는 일반적으로 분석범위 설정, 환경영향 정량화, 환경서비스 가치추정(화폐화), 종합분석의 순서로 진행됨 ○ 분석범위 설정: 환경영향의 확인 및 목록화, 영향의 시간적·공간적 영향범위 검토 등 ○ 환경영향 정량화: 영향의 물리적 크기 또는 정도 측정 ○ 가치추정: 정량화된 환경영향의 측정척도를 고려한 적절한 방법론 선택 및 화폐화 ○ 종합분석: 결과 및 불확실성 요인 검토, 정량적 정성적 정보를 반영한 종합평가 □ 환경가치를 고려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하여, 한국환경연구원(KEI)은 환경서비스의 ‘화폐화 가치’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도록 2011년 환경가치종합정보 시스템(EVIS 1.0)을 오픈함 □ 본 연구는 환경가치 DB를 업데이트하고, 환경가치 정보를 경로분석에 근거한 물리적 환경영향 사례분석 결과와 연계하여 EVIS(1.0)을 환경·경제 통합분석을 지원하는 플랫폼으로 확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2. 단계별·부문별·연차별 연구내용 및 범위 □ 본 연구는 방대한 연구범위를 고려하여 3단계 사업으로 기획됨 ○ 1단계(2016~2018년): 환경영향 정량화와 환경서비스의 단위가치 연계를 위한 시스템 기반 구축 - 부문별 통합분석 사례연구를 진행하여, 경로분석과 가치추정의 연계 가능성 제고 ○ 2단계(2019~2021년): 환경·경제 통합분석 사례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시스템의 설계도를 제시하는 한편 일부 서비스에 대한 통합분석 지원 툴킷 구축 ○ 3단계(2022~2024년): 통합분석 시스템을 고도화하는 한편 국가 평가제도, 예를 들면 전략환경평가, 규제영향분석, 예비타당성조사를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정책 활용도 제고 □ 총괄, 생태계 평가 및 가치추정, 건강영향 평가 및 가치추정, 국민환경의식조사 4개 부문으로 구분하여 연구 진행 ○ 총괄: 부문별 사례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통합분석 시스템 설계와 환경가치 DB 개선 (2018년 EVIS 2.0 오픈 후 연구성과를 지속적으로 반영) ○ 생태계 부문: 탄소흡수·저장, 물(담수) 공급, 오염물질 정화, 생태계 서식처질을 대상으로 통합분석 사례연구 진행 ○ 건강 부문: 대기오염, 화학물질(수은/납) 건강영향을 대상으로 통합분석 사례연구 진행 ○ 국민환경의식조사: 국민환경의식 관련 설문 수행(매년) 및 분석 결과 제시 3. 2021년도 연구내용 및 보고서 구성 □ 과제 종료시점이 2023년에서 2022년으로 수정됨에 따라 올해(2021년)부터 ‘시스템 고도화 및 정책 활용도 제고’에 초점을 맞춰 연구 진행 ○ 2016~2020년에 수행한 생태계 및 건강 부문 연구 결과를 종합검토하고 정책평가를 지원하는 통합분석 툴킷 개선에 반영 - 총괄: 환경가치 선행연구 DB 외 EVIS(2.0)의 통합분석 툴킷 서비스 강화 - 생태계 부문: 기 구축된 탄소흡수·저장 툴킷에 시간적·공간적 분석단위 다양화 및 입력 파라미터 업데이트, 물(담수) 공급 통합분석 툴킷 추가 예정 - 건강 부문: PM<sub>2.5</sub> 조기사망 피해비용 산정 툴킷을 정비할 예정이며, 화학물질(수은, 납)로 인한 건강영향 통합분석 툴킷 구축 및 서비스 제공 □ 방대한 연구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연구내용을 기준으로 3권의 보고서로 구분하여 발간함 ○ 1권: 환경가치 DB 업데이트 및 대푯값 도출, 통합분석 툴킷 구축 관련 내용 제시 ○ 2권: 현재 EVIS 내 통합분석 툴킷의 근거가 되는 부문별 통합분석 사례연구 내용 제시 ○ 별책부록(3권): 국민환경의식조사 설문지 및 주요 결과 제시 Ⅱ. 환경가치종합정보시스템(EVIS) 1. 환경가치종합정보시스템(EVIS) 구축 연혁 □ 환경가치종합정보시스템(EVIS)은 환경가치에 대한 기초정보와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통합분석 평가도구 제공을 목적으로 한국환경연구원(KEI)이 개발하여 운영 중인 온라인 시스템임 ○ EVIS(1.0):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2009~2011년)’ 연구의 결과물로, 국내 환경가치 선행연구 정보를 요약 제공하는 DB를 구축하여 제공(2011년 서비스 시작) ○ EVIS(2.0): 본 연구의 성과를 바탕으로, 단순히 환경서비스의 화폐화 가치 정보 제공 기능을 넘어서 정책·사업 평가 시 환경편익·비용을 반영하여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도록 역할 확장(2018년에 개편) - 매년 환경가치 DB 업데이트 진행 - 2019년부터 생태계 및 건강 부문 통합분석 사례의 툴킷화 진행 2. 환경가치종합정보시스템(EVIS) 구성요소 □ EVIS(2.0)은 크게 환경 단위가치 DB, 통합분석 지원 툴킷의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됨 ○ 환경 단위가치 DB - 국내 선행연구에 제시된 환경서비스 단위가치(비용)와 그 관련 정보를 체계적으로 요약 정리하여 제공 - EVIS(1.0)에서 제공하던 자료를 환경경제 통합분석 틀과 단위가치 DB의 구조적인 호환성이 충족되도록 EVIS(2.0)으로 개편함으로써, EVIS의 환경 단위가치 DB가 의사결정을 위한 환경경제 통합분석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도록 구성 ○ 환경·경제 통합분석 툴킷 - 사용자가 환경가치 평가를 원하는 부문을 선택하고 필요정보를 입력하면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환경경제 통합분석 도구 - 부문별 통합분석 툴킷에 내장된 기본값으로는 2016년부터 본 과제에서 진행한 생태계 및 건강 주요 부문의 환경영향 정량화, 가치평가(화폐화)와 같은 통합분석 사례연구 결과가 활용됨 - 2021년 말 현재 생태계 유형별 탄소흡수·저장량 평가, 오염물질별·오염원별 PM<sub>2.5</sub> 조기사망 피해비용 산정, 수은으로 인한 태아 IQ 저하 피해비용 산정을 위한 툴킷 구축이 완료됨 Ⅲ. 환경경제 통합분석 지원을 위한 단위가치 DB 1. 생태계·생태계서비스 유형별 단위가치 □ 환경 단위가치 DB 생태계 부문 수록연구 현황 ○ 생태계 부문은 산림, 담수, 해안/연안, 습지, 경작지, 도시생태계, 해양, 초지, 기타의 9가지 중분류로 구분됨 - DB에서 제공하는 생태계 부문은 선행연구 315개, 가치추정치 1,438개임 ㆍ 생태계 유형별로는 산림(452개), 담수(367개), 해안/연안(228개), 습지(190개) 순으로 많은 가치추정치 정보가 수록됨 ㆍ 생태계서비스별로는 휴양·레저·경관미, 보전가치에 관련 정보가 다수 포함됨 2. 건강영향 유형별 단위가치 □ 환경 단위가치 DB 건강 부문 수록연구 현황 ○ 건강 부문은 대기, 실내공기, 물, 토양, 소음·진동, 악취, 기후변화, 기타의 8가지 중분류로 구분됨 - 건강 부문의 선행연구는 총 72편이며, 이로부터 도출된 가치추정치는 363개임 ㆍ 대부분 대기(air) 관련 연구이고, 물이나 소음·진동 관련 연구도 비교적 높은 비중을 차지함 3. 환경가치 선행연구 메타정보 □ 본 연구에서는 환경 단위가치 DB에 수록된 정보를 활용하여 부문별 주요 단위가치 값을 제시하고자 함 ○ 다수의 가치추정치 값을 합산·비교해야 하고, 단위와 기준연도를 통일하는 추가 작업이 필요함 - 유형이나 평가하는 세부 환경서비스에 따라 다양한 추정 방식, 단위가 사용되고 있어 통일된 단위로 값을 도출하기 어려움 - 현재까지 환경 단위가치 DB 보유자료 중 비중이 높은 생태계 및 건강 부문의 일부 항목에 대해서 대푯값을 도출하고자 함 □ 생태계 부문 선행연구 메타정보 ○ 생태계 부문에서 단위가치는 시장이 존재하는 경우(가격기반)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공급기반, 수요기반)로 구분됨 - 시장이 존재할 경우 시장가격을 단위가치로 활용 가능함 ㆍ 대표적으로 탄소배출권 시장의 탄소 가격, 갯벌에서 제공하는 수산물 생산가치 등이 있음 - 시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소비자에게 서비스를 공급받기 위한 지불의사액을 직접 질문하거나(진술선호법), 여러 가지 상황에서 개인의 선택을 바탕으로 선호체계를 파악하는(현시선호법) 수요기반 접근법을 활용할 수 있음 - 수요기반 접근법이 어려울 경우 생태계서비스와 유사한 기능 공급을 위해 필요한 공급비용을 활용할 수 있음 ㆍ 하·폐수 처리장의 수질정화를 위한 단위비용 등 ○ 측정단위를 통일하여 비교 가능한 형태로 표준화해야 함 - 생태계 부문의 표준화된 단위가치는 원/방문·인, 원/연/ha, 원/연/가구, 원/가구의 4개 유형으로 제시함 ○ 비교적 단위가치 자료가 많이 축적된 생태계서비스인 ‘수질정화, ’휴양·레저·경관미‘, ’보전가치‘에 대한 대표 단위가치를 생태계 유형별로 정리함 - 생태계 부문의 표준화된 단위가치는 원/방문·인, 원/연/ha, 원/연/가구, 원/가구 4개 유형으로 제시함 □ 건강 부문 선행연구 메타정보 ○ 건강 부문의 단위가치 또한 앞서 생태계 부문에서의 표준화 방식과 동일하게 진행하였고, 입원 및 외래 환자의 질병 비용에 대한 단위가치로 원/발병(입원), 원/발병(외래) 형태가 추가됨 ○ 건강 부문에서 선행연구는 대기, 소음 부문에 집중되어 있어 두 가지 분류에 대해서만 대푯값 산정을 진행함 - 오염물질(오존, 먼지, 미세먼지 등), 추정기법에 따라 가치추정치에도 큰 차이가 나타남 Ⅳ. 환경경제 통합분석 툴킷 구축 1. 통합분석 개념과 절차 □ 환경·경제 통합분석은 인간 활동-환경질 변화-수용체(생태계, 인간 건강 등)의 영향경로를 추적하여 이를 물리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인간 활동과 직접적으로 연계시킨다는 점에서 영향경로분석법(IPA)에 기반을 둠 □ 본 연구에서는 통합분석 절차를 ① 분석범위 설정, ② 환경영향 정량화, ③ 가치추정(화폐화)로 일반화하고, 주요 부문의 평가사례를 기반으로 환경경제 통합분석 툴킷을 구축함 ○ 부문별 연구가 개별적인 사례로 활용되는 것이 아니라 의사결정을 돕는 하나의 시스템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통합분석 개념과 평가절차를 체계화하였음 2. 생태계서비스: 탄소흡수·저장 통합분석 툴킷 □ 생태계 탄소흡수·저장 통합분석 툴킷은 2019년부터 EVIS에서 서비스를 제공하였으며, 사용자가 평가를 원하는 세부 생태계서비스(탄소흡수, 탄소저장)를 선택하고 환경 영향 정량화에 사용되는 계수와 가치평가에 사용되는 단위가치를 적용하면 가치평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됨 □ 2021년도에는 생태계 탄소흡수·저장 통합분석 툴킷의 탄소 부문 단위가치 입력 프로세스를 대폭 개편함(가격자료 선택 시 탄소시장 및 거래시점 선택 가능). 또한 시계열에 따라 우리나라 생태계가 제공하는 탄소흡수·저장서비스 변화를 살펴볼 수 있도록 시간적 분석범위를 확장하였음(2019년 토지피복도 추가 적용) □ 생태계 탄소흡수·저장 통합분석 툴킷을 이용하면 우리나라 지역별 누적탄소저장량, 연간탄소흡수량을 살펴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를 경제적 가치로 환산한 가치평가 결과도 살펴볼 수 있음 ○ 평가하고자 하는 생태계서비스 및 생태계 유형과 평가를 원하는 기준 시점 및 공간을 선택한 다음, 이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관련 모델링계수(탄소흡수계수 혹은 탄소저장계수)와 단위가치를 선택(혹은 직접 입력)하면 환경영향 정량화 결과(탄소흡수 및 저장량)와 그 경제적 가치를 확인할 수 있음 3. 생태계서비스: 물(담수) 공급 통합분석 툴킷 □ 생태계 물(담수) 공급 통합분석 툴킷은 생태계가 제공하는 물 공급량과 가치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도구이며, 2022년부터 환경가치종합정보시스템(EVIS) 내에서 평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관련 작업 진행 중 ○ 본 연구의 2017년 사례연구인 ‘권역별 수량 모델링’과 ‘권역별 수량공급 가치추정’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툴킷 구축 ○ 사용자가 평가를 원하는 세부 생태계서비스(생활/공업/농업용수 공급, 생태계 잔존량)를 선택하고 환경영향 정량화에 사용되는 계수와 가치평가에 사용되는 단위가치를 입력하면 평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구성 4. 건강영향: 대기오염 통합분석 툴킷 □ 대기오염 건강영향 통합분석 툴킷은 2020년부터 EVIS에서 서비스를 제공하였으며, 주요 대기오염물질(NOx, SO<sub>2</sub>, PM<sub>2.5</sub>, NH<sub>3</sub>, VOC) 배출로 인한 초미세먼지(PM<sub>2.5</sub>) 발생이 조기사망에 미치는 영향과 그 피해비용 평가를 지원하는 툴킷임 ○ PM<sub>2.5</sub>을 유발하는 다양한 대기오염물질별 피해를 구분하여 평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염원 유형별(점오염원, 선오염원, 면오염원) 피해비용을 구분하여 평가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음 □ 평가대상인 대기오염물질에 대해 해당 오염물질의 영향경로인 배출-확산-오염물질 농도-건강영향-경제적 피해 단계에 따른 입력자료를 선택할 수 있도록 툴킷 구성 ○ 평가대상 오염물질 및 오염원 유형, 분석지역을 선택한 후, 오염물질이 전환 및 확산되어 초미세먼지 농도를 결정하는 전환율 값과 건강영향 평가를 위한 농도-반응계수를 입력하고 마지막으로 사망위험감소가치(VSL)와 같은 단위가치를 입력 ○ 최종 결과인 ‘대기오염물질 배출에 따른 연간 피해비용’ 결과 외에도, 중간 결과인 ‘대기오염물질 배출에 따른 연간 조기사망자 수’에 대한 세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음 5. 건강영향: 화학물질 통합분석 툴킷 □ 화학물질 등 환경 유해인자가 매체를 통해 수용체 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이로 인해 사회에 미치는 전체 피해비용 추정치를 제공하고자 함 □ 이번 연도(2021년)에서는 화학물질 중 수은을 대상으로 통합분석 툴킷을 구축하였고, 분석절차는 다른 통합분석 툴킷과 마찬가지로 분석범위 설정, 환경영향 정량화, 피해비용 추정(화폐화) 순의 단계를 따름 □ 수은 건강영향 통합분석 툴킷 ○ 수은으로 인한 건강영향 종결점은 IQ 저하, 경미한 지적 장애(MMR),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조기사망이 있음 ○ 종결점에 따라 적용할 파라미터가 다르고, 종결점별 피해액을 도출하더라도 해당 피해액의 총합이 수은이라는 화학물질의 전체 피해비용을 의미하지 않음 ○ 수은-IQ 저하 - 수은이 IQ 저하에 미치는 건강영향 경로는 크게 산모 수은 노출→산모 혈중 수은 농도 증가→태아 IQ 저하→IQ 하락으로 인한 소득 피해→전체 피해액 산정으로 나타남 ㆍ 통합분석 툴킷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 파라미터의 기본값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기본값을 활용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음 ㆍ 수은-IQ 저하에서 사용자가 선택/입력할 수 있는 파라미터는 가임기 여성 모발 중 수은 농도, 용량반응함수 기울기 파라미터, 신생아 인구 수, IQ 단위당 가치임 ○ 수은-경미한 지적 장애(MMR) - 수은이 경미한 지적 장애를 유발하는 건강영향 경로는 산모 수은 노출→산모 혈중수은 농도 증가→태아 MMR 발생→건강 피해비용(DALYs)→전체 피해액 산정으로 나타남 ㆍ 수은-경미한 지적 장애에서 사용자가 선택/입력할 수 있는 파라미터는 가임기 여성 모발 중 수은 농도, 장애가중치 파라미터, 성별 신생아 수, 해당 손실에 대한 단위가치임 ㆍ 장애 가중치의 경우 WHO(2008)의 수은 피해비용 산정 시트값을 기본값으로 활용하였고, MMR의 장애보정손실연수(DALYs)는 연간사망위험감소가치(VOLY)로 환산된 값을 제시함 ○ 수은-심혈관계 조기사망 - 수은이 심혈관계 조기사망에 미치는 건강영향 경로는 수은 노출→심혈관계 조기사망→건강 피해비용(VSL 적용)→전체 피해액 산정으로 나타남 ㆍ 수은-심혈관계 조기사망에서 사용자가 선택/입력할 수 있는 파라미터는 40~59세 수은 노출에 대한 상대위험도(RR), 40~59세 성인 남성 인구 수, 40~59세 성인 남성 심혈관계 사망자 수, 사망위험감소가치(VSL)임 Ⅴ. 요약 및 향후 계획 □ 2022~2023년은 본 연구의 3단계 사업기간에 해당하며, 환경경제 통합분석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정책 활용도를 제고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할 예정임 ○ 기존 연구내용을 업데이트하고, 이를 실질적으로 정책·사업평가에 활용할 수 있도록 EVIS(2.0)을 고도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3단계 사업에서는 주요 평가제도인 전략환경평가, 규제영향분석, 예비타당성조사 제도를 검토하고, EVIS의 환경편익/비용 정보나 통합분석 툴킷을 제도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예정임 Ⅰ. Introduction 1. Background and purpose of research □ The feasibility evaluation of environmental policies and development projects is generally conducted in the following order: setting the scope of analysis, quantification of environmental impact, valuation (monetization) of environmental services, and conducting an integrated assessment. ○ Setting the scope of analysis: Identifying and cataloging environmental impacts, reviewing temporal and spatial ranges of impacts, etc. ○ Quantification of environmental impact: Measuring the physical scale or degree of impact ○ Valuation: Selecting an appropriate methodology and monetizing, taking into account the quantified/measured scale of environmental impact ○ Integrated assessment: Reviewing results and uncertainty factors, and carrying out comprehensive evaluation reflec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formation □ To support rational decision-making in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values, the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EI) launched the Environmental Valuation Information System (EVIS 1.0) in 2011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the ‘monetized value’ of environmental servic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pdate the environmental value database and expand EVIS(1.0) to a platform that supports integrated environmental and economic analysis, by linking environmental value information with the case analyses of physical environmental impacts based on pathway analysis. 2. Research contents and scope by stage, sector, and year □ This study was planned as a three-stage project, considering the vast scope of research. ○ Stage 1 (2016-2018): Establishing a foundational system for quantifying the environmental impact and linking unit values of environmental services - Conducting case studies of integrated assessment by sector to enhance the possibility of linking pathway analysis and valuation ○ Stage 2 (2019-2021): Presenting the system blueprint of the system based on the case studies of integrated environmental and economic analysis, and building an integrated analysis support toolkit for some services ○ Stage 3 (2022-2024): Upgrading the integrated analysis system, on one hand, and Improving its efficiency in policy making by seeking ways to support the national assessment system such as strategic environment evaluation, regulatory impact analysis, and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four categories: overview, ecosystem evaluation and valuation, health impact evaluation and valuation, and survey on public attitudes towards the environment. ○ Overview: Designing an integrated analysis system and improving the environmental value DB based on the results of case studies by sector (Continuously reflecting research results since the opening of EVIS 2.0 in 2018) ○ Ecosystem sector: Conducting case studies of integrated analysis on carbon absorption and storage, water (freshwater) supply, pollutant purification, and ecosystem habitat quality ○ Health sector: Conducting case studies of integrated analysis on health effects of air pollution and chemicals (mercury/lead) ○ Public attitudes towards the environment: Conducting a survey (every year) on national environmental awareness, and presenting the analyzed results 3. 2021 research content and the structure of the report □ As the completion date of the project has been advanced from 2023 to 2022, research has been conducted focusing on ‘system advancement and enhancing utilization in policy making’ from this year (2021). ○ Conducted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research results in the ecosystem and health sectors conducted in 2016-2020, and reflected the outcomes in improving the integrated analysis toolkit that supports policy evaluation - Overview: Reinforcement of the integrated analysis toolkit service of EVIS (2.0), in addition to the DB of preceding research on environmental value - Ecosystem sector: Diversifying temporal and spatial analysis units and updating input parameters for the established carbon absorption and storage toolkit; a water (freshwater) supply integrated analysis toolkit will be added. - Health sector: The damage cost calculation toolkit of premature death by PM<sub>2.5</sub> will be overhauled, and an integrated analysis toolkit for health effects of chemicals (mercury, lead) will be established and serviced. □ The report is published in three volumes based on the contents to enhance the readability. ○ Volume 1: Presenting content related to the DB update and deriving representative values, and the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analysis toolkit ○ Volume 2: Presenting case studies by sector that provide the basis for the integrated analysis toolkit in the current EVIS ○ Supplementary volume (Volume 3): Presenting the survey results of the public attitudes towards the environment Ⅱ. Environmental Valuation Information System (EVIS) 1. History of the Environmental Valuation Information System (EVIS) □ The Environmental Valuation Information System (EVIS) is an online system developed and operated by the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EI) in order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environmental values and to support decision-making through an integrated analysis and evaluation tool. ○ EVIS (1.0): As a result of the research on ‘Construction of Environmental Valuation On-line Database and Analysis of Empirical Valuation Studies I ‘(2009~2011), a DB that summarizes information on preceding research of environmental value in Korea was established (service started in 2011). ○ EVIS (2.0):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ole of the System was expanded so that it could support decision-making by reflecting environmental benefits and costs in policy and business evaluation, beyond the simple provision of information on the monetary value of environmental services (reorganized in 2018). - From 2019, the cases of integrated analyses in the ecosystem and health sectors have been incorporated into a toolkit. - The environmental value DB is updated annually 2. Components of the Environmental Valuation Information System (EVIS) □ EVIS (2.0) is largely composed of two elements: an environmental unit value DB and an integrated analysis support toolkit. ○ Environment unit value DB - Provides a systematic summary of the unit value (cost) of environmental services and related information presented in preceding domestic studies - By reorganizing the data provided in EVIS (1.0) so that it can satisfy the compatibility of the integrated environmental and economic analysis of EVIS (2.0), EVIS’ environmental unit value DB is structured to efficiently support decision-making. ○ Integrated Environmental and Economic Analysis Toolkit - An integrated environmental and economic analysis tool that allows users to obtain results by selecting a sector and inputting necessary information for environmental value evaluation - The results of integrated analysis case studies, that were conducted since 2016 within the project’s framework, were used as the default value built into the toolkit for each sector; such as quantification of environmental impacts and valuation (monetization) of major sectors of ecosystem and health. - As of the end of 2021, the toolkits are completed for; evaluating carbon absorption and storage by ecosystem type, estimating the damage cost of premature death by PM<sub>2.5</sub>, and estimating the cost of damage to intelligence of babies, a baby’s IQ due to mercury. Ⅲ. Unit Value DB to Support Integrated Environmental and Economic Analysis 1. Unit value by type of ecosystem and ecosystem service □ Status of Environment Unit Value DB for Ecosystem sector ○ The ecosystem sector is divided into nine major categories: forest, freshwater, coast/coastal (zone), wetland, arable land, urban ecosystem, ocean, grassland, and others. - The DB provides 315 preceding studies and 1,438 value estimates for the ecosystem sector. ㆍ By ecosystem type, ‘forests’ (452) had the highest number of value estimations, followed by freshwater (367), coast/coastal (zone) (228), and wetlands (190). ㆍ By ecosystem service, a large amount of estimations are presented relating to recreation, leisure, scenic beauty, and conservation value. 2. Unit value by type of health impact □ Status of environment unit value DB for health sector ○ The health sector is divided into eight major categories: air, indoor air, water, soil, noise and vibration, odor, climate change, and others. - The DB contains a total of 72 preceding studies in the health sector, and 363 value estimates were derived from them. ㆍ Most studies are related to air, and studies related to water and noise/vibration account for a relatively high proportion. 3. Meta-information of preceding research on environmental value □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main unit values for each sector, using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environmental unit value DB. ○ It requires a process of summing up and comparing multiple value estimates, and additional work to unify the units and the base year. - It is difficult to derive a value in a unified unit because various estimation methods and units are used depending on the type or specific environmental service that is to be evaluated. - This study aims to derive representative values for some items in the ecosystem and health sectors, which have a high proportion of data in the environmental unit value DB. □ Meta-information of preceding research in the ecosystem sector ○ In the ecosystem sector, unit value is divided into cases where a market exists (price-based) and where it does not exist (supply-based, demandbased). - If a market exists, the market price can be used as a unit value. ㆍ Typically, there are carbon prices in the carbon credit market and the production value of marine products from tidal flats. - When a market does not exist, a demand-based approach can be utilized such as directly asking consumers about the amount they are willing to pay to receive a service (stated preference method), or identifying a preference system based on individual choices in various situations (revealed preference method). - If a demand-based approach is difficult to apply, the cost of supply required to supply functions similar to ecosystem services can be utilized. ㆍ Unit cost for water purification in sewage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s, etc. ○ Units of measurement should be unified and standardized in a comparable form. - The standardized unit value of the ecosystem is presented in four types: KRW/visitor (person), KRW/year/ha, KRW/year/household, and KRW/ household. ○ The representative unit values for “water purification”, “recreation/leisure /landscape beauty”, and “conservation value”, which are ecosystem services with relatively large amounts of unit value data, are organized by type of ecosystem. - The standardized unit value of the ecosystem is presented in four types: KRW/visitor (person), KRW/year/ha, KRW/year/household, and KRW/household. □ Meta-information of preceding research in the health sector ○ The standardization of the unit value in the health sector was also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ecosystem sector, with the addition of KRW/onset (of disease, hospitalization) and KRW/onset (of disease, outpatient) as unit values for hospitalization and outpatient disease costs. ○ In the health sector, prior research is focused on the air and noise, so representative values are calculated for those two categories. - Depending on the pollutants (ozone, dust, fine dust, etc) and estimation techniques, a significant difference exists in the value estimation. IV. Establishment of Integrated Environmental and Economic Analysis Toolkit 1. Concept and procedure of integrated analysis □ Integrated environmental and economic analysis is based on the Impact Pathway Approach (IPA), which tracks the path of impact of human activity-changes in environmental quality-receptor (ecosystem, human health, etc) and directly links it to human activity. □ In this study, the procedure of integrated analysis was generalized to ① setting the scope of analysis, ② quantifying environmental impact, and ③ valuation (monetization), and an integrated environmental and economic analysis toolkit was established based on evaluation cases in major sectors. ○ The concept and procedure of integrated analysis have been systematized so that individual research studies and studies by sector can constitute a system that helps decision-making, rather than being utilized for individual cases. 2. Ecosystem service: integrated analysis toolkit for carbon absorption /storage □ The integrated analysis toolkit for ecosystem carbon absorption/storage has been provided by EVIS since 2019, which was designed to allow users to validate valuation results by selecting the service to evaluate (carbon absorption, carbon storage) and applying the coefficient for quantification of environmental impact as well as the unit value used for valuation. □ In 2021, the unit value input process of the carbon sector in the integrated analysis toolkit for carbon absorption/storage in the ecosystem has been significantly reorganized (the carbon market and transaction time can be selected when selecting price data). In addition, the scope of temporal analysis has been expanded to examine changes in the carbon absorption/ storage service provided by the ecosystems in Korea according to the time series (additional application of land cover map in 2019). □ Using the integrated analysis toolkit for ecosystem carbon absorption/ storage, one may examine not only the accumulated carbon storage and annual carbon absorption by region in Korea, but also the value evaluation results that are converted into economic values. ○ A user may select a type of ecosystem service and ecosystem, as well as the reference time and space to evaluate, then select (or directly input) the relevant modeling coefficient (carbon absorption coefficient or carbon storage coefficient) and unit value to quantitatively evaluate it. Then, it is possible to check the results of quantified environmental impact (carbon absorption and storage) and its economic value. 3. Ecosystem service: integrated water (freshwater) supply analysis toolkit □ Integrated water (freshwater) supply analysis toolkit is a tool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water supply and value provided by the ecosystem. Related work is underway to provide evaluation services within the Environmental Value Information System (EVIS) from 2022. ○ The toolkit 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2017 case studies on ‘water quantity modeling by region’ and ‘value estimation of water quantity supply by region.’ ○ Evaluation results can be derived when a user selects a specific ecosystem service (living/industrial/agricultural water supply, ecosystem residual amount) that the user wants to evaluate, the coefficients used for quantifying the environmental impact, and the unit values used for value evaluation. 4. Health impact: integrated air pollution analysis toolkit □ The integrated air pollution analysis toolkit has been provided by EVIS since 2020, which supports the evaluation of the impact of ultrafine dust (PM<sub>2.5</sub>) due to the emission of major air pollutants (NOx, SO<sub>2</sub>, PM<sub>2.5</sub>, NH<sub>3</sub>, VOC) on premature death and its cost of damage. ○ It evaluates not only damage by various air pollutants causing PM<sub>2.5</sub>, but also damage costs by type of pollution source (point source, line source, surface source). □ For air pollutants subject to evaluation, input data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stages of emission-diffusion-concentration-health effects-economic damage, along with the impact paths of the pollutants. ○ After selecting the pollutant, its source type, and analysis area to be evaluated, a user may enter the conversion rate value that determines the concentration of ultrafine dust due to the conversion and diffusion of pollutants, the concentration-response coefficient for health impact evaluation, and finally the unit value such as Value of Statistical Life (VSL). ○ In addition to the final result of ‘annual cost of damage due to air pollutant emissions,’ an intermediate and detailed result of ‘annual premature death due to air pollutant emission’ can be validated. 5. Health effects: integrated chemical analysis toolkit □ This toolkit aims to provide an estimate of the total cost of damage caused by environmental hazardous factors such as chemicals that affect the health of receptors through media. □ This year (2021), an integrated analysis toolkit for mercury was established among many chemical substances. The analysis procedure, like other integrated analysis toolkits, follows the steps of setting the scope of analysis, quantifying environmental impact, and valuation (monetization). □ Integrated analysis toolkit for impact of mercury on health ○ The end points of health effects of mercury exposure include the decline in IQ, Mild Mental Retardation (MMR), and premature death from cardiovascular diseases. ○ Different parameters are applied depending on the end point, and even if the amount of damage for each end point is estimated, the total amount of damage does not mean the total damage cost of mercury. ○ Mercury-decline in IQ - The pathway of the impact of mercury on the decline in IQ largely follows the process of maternal exposure to mercury → increase in maternal blood mercury concentration → decrease in the baby’s IQ → income damage due to lower IQ → total damage calculation. ㆍ The integrated analysis toolkit suggests default values for parameters based on prior research, so a user can either use the default values or directly insert input values. ㆍ In the case of mercury-decline in IQ, the parameters are the mercury concentration in the hair of women of childbearing age, the doseresponse function slope parameter, the number of newborn children, and the value per IQ unit. ○ Mercury - Mild Mental Retardation (MMR) - The health effect pathway by which mercury causes mild mental retardation follows the process of maternal exposure to mercury → increase in maternal blood mercury concentration → baby’s MMR development → health damage costs (Disability Adjusted Life Years, DALYs) → total damage calculation. ㆍ In the case of Mercury-MMR, the parameters that the user can select/ enter are the mercury concentration in the hair of women of childbearing age, the disability weight parameter, the number of newborns by gender, and the unit value for the loss. ㆍ For disability weights, the value of WHO mercury sheet (2008) was used as a default value, and the Disability-Adjusted Life Years (DALYs) of MMR are converted into Value of Life Year (VOLY). ○ Mercury - premature death from cardiovascular diseases - The health effect pathway of mercury on premature death from cardiovascular diseases follows the process of mercury exposure → premature death due to cardiovascular diseases → health damage cost (VSL applied) → total damage calculation. ㆍ The parameters that the user can select/enter for mercury-to-cardiovascular mortality are the relative risk (RR) for mercury exposure between 40-59 years of age, the number of adult males aged 40-59 years, and the number of adult males who died of cardiovascular diseases between 40 and 59 years old, and the Value of Statistical Life (VSL). Ⅴ. Summary and Future Plans □ 2022-2023 corresponds to the third phase of this project, and the research will be conducted with a focus on upgrading the integrated environmental and economic analysis system and enhancing utilization in policy making. ○ The purpose of EVIS (2.0) is to update the content of the existing research and to use it in practical policy and project evaluation. □ In the third phase of the project, we plan to review the main evaluation systems including the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regulatory impact analysis, and the systems for a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and to present ways to apply the environmental benefit/cost information of EVIS or the integrated analysis toolkit to the systems.

      • KCI등재

        경제적 불확실성 상황에서 기업의 연구개발투자는 기업가치를 향상시키는가?

        홍희정 ( Hee-jung Hong ) 한국회계학회 2024 회계저널 Vol.33 No.1

        최근 국내·외적으로 예기치 못한 경제적 불확실성 상황은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을 위협하고 있다. 이에 기업의 전략적인 경영의사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경제적 불확실성 지수에 대한 문헌의 확장 및 검증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 불확실성의 대표적 측정치인 Baker et al.(2016)의 EPU index와 최근 이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개발 및 보완된 Cho and Kim(2023)의 New EPU index를 동시에 활용하여 경제적 불확실성이 연구개발투자에 미치는 영향 및 경제적 불확실성과 연구개발투자의 복합적인 관계가 기업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두 지표를 활용한 대부분의 분석결과에서 질적으로 유사한 형태를 보여주었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적 불확실성 수준이 높을수록 기업은 연구개발투자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제적 불확실성 수준이 높을수록 기업의 가치는 하락하고, 연구개발투자는 기업가치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제적 불확실성과 연구개발투자가 기업가치에 상반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경제적 불확실성 수준이 높고/낮은 경우와 연구개발투자의 상호작용항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경제적 불확실성 수준이 높은(낮은) 경우는 낮은(높은) 경우에 비해 기업이 연구개발투자를 할수록 기업가치에 각각 유의한 양(+)과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편적으로 경제적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일반적으로 연구개발투자를 감소시키지만 역설적으로 기업이 연구개발투자를 증가시킨다면 기업가치를 높일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추가분석에서 선도기업과 비(非)선도 기업을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선도기업과 달리 비(非)선도기업의 경우 경제적 불확실성 상황에서 연구개발투자를 증가시킬수록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살펴보면 경제적 불확실성 수준이 높은 경우 시장의 경쟁강도가 낮아지므로 비(非)선도기업의 연구개발투자 증가는 선점우위/경쟁우위를 차지할 수 있는 전략적인 의사결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더불어 특정 산업(하이테크산업, 제약·바이오산업) 및 다양한 대용치(자산화/비용화된 연구개발비, 연구개발집약도, 연구개발비증감율, KEPU), Fixed-effects model, Heckman’s two-stage 등을 활용한 분석을 통해 연구의 강건성이 확보되어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무리가 없는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다음과 같다. 기업이 경제적 불확실성 상황에서 전략적으로 연구개발에 투자한다면 다른 기업에 비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기업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다는 새로운 증거를 제공한다. 또한 기업과 투자자에게 경제적 불확실성 수준에 따른 연구개발투자전략 및 가치투자에 대한 유용성을 제공하고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였으며, 경제정책 당국자에게는 전략적인 연구개발투자에 대한 정책수립의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act of economic policy uncertainty on R&D investment and how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and R&D investment affects firm valu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level of economic policy uncertainty, firms decrease R&D investment. Second, as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ncreases, firm value decreases, and as R&D investment increases, firm value increases. This means that economic policy uncertainty and R&D investment have opposite effects on firm value. Third, as a result of an investigation using interaction variables between variables classified as high/low economic policy uncertainty and R&D investment, R&D investment has a positive(negative) effect on firm value whe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s high(low). This means that, in general, R&D investment decreases whe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s high, but paradoxically, the firm value rises when R&D investment increases strategically in a situation where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s high. Therefore, the investment effect of R&D has a differential effect on firm value according to the high/low level of economic policy uncertainty.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provides new evidence that firms can secure competitiveness compared to other firms and increase the firm value if they strategically invest in R&D, even under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t also provides companies and investors with the usefulness of R&D strategies and value investments according to the level of economic policy uncertainty.

      • KCI등재

        문화예술 활동의 가치 생산성에 대한 인문학적 근거

        홍병선(Hong, Byung-Sun)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6 철학탐구 Vol.43 No.-

        이 글의 목적은 문화예술 활동이 갖는 본질적 가치에 대한 해명과 아울러 경제적 가치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일련의 문화예술 활동이 경제적 가치 창출과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문화예술의 가치 생산성에 대한 인문학적 근거를 제시하는데 있다. 경제적 가치로서의 재화는 그 자체로 생존과 결부된 형태로 그 가치가 측정된다는 점에서 고유 가치와는 차별성을 지닌다. 경제적 가치의 축적에 의해 지배되는 시스템에서 재화의 많고 적음에 따라 상호 분열이 발생하게 되고, 결국 극단적인 상황에 의해 지배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그런 점에서 고유 가치를 인식하고 사회적 합의에 의거하여 경제소비자가 고유 가치를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적극 계발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이 요구된다. 따라서 고유 가치를 향유하면서 유효가치가 창출되는 올바른 사회시스템의 확립은 필수적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고유가치의 생산과 향유를 위한 일련의 경제활동을 전제로 한 창조적 문화예술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문화예술 활동에 따른 고유 가치의 확보는 본질적으로 개개인의 자발성을 기초로 해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자율적인 창조 활동임에 분명하다. 하지만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문화예술 활동에 있어 제약이 뒤따르는 경우 또한 얼마든지 있을 수 있다. 이른바 고유 가치를 지니는 창작활동이 경제 활동과 무관할 수 없다는 점에서 시장 원리에 지배를 받기도 한다는 사실이다. 그래서 문화예술 활동이 때로는 시장 원리에 따른 교환과 소비를 거쳐 예술에 대한 향유로 이어지게 된다. 물론 이러한 사실이 예술 창조활동 자체에 따른 고유가치가 제한되거나 훼손된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문화예술 관련 콘텐츠가 그 자체로 고유한 가치를 지니지만, 사회 전체의 맥락에서는 문화의 창조, 전달, 교류 등을 통한 경제적 가치가 문화예술 활동에 또 다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intended to clarify the intrinsic value of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For this reason, here insists that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through the elucid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trinsic value and the economic value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for what effects the creation of economic value, and more of the culture and arts in presenting the literary basis of value productivity. We know that it is essentially carried out by each person of spontaneity to the original to ensure the intrinsic value of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In that regard, it is clear that what it is autonomous creative activity. However, there are constraints in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from the socio-economic aspects at any cost. For creative activities with the so-called intrinsic value can not be independent of the economic activity, they are dominated in the market principle. So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sometimes through the consumption and exchange based on market principles, will be leading to the enjoyment of art. In order to follow market principles, it is not possible to conclude that the intrinsic value associated with artistic creation activity that is damaged or limited. This is because the economic value such as through the creation and transmission and exchange of culture in the whole context of society gives again impact on the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Because the goods as economic value evaluates the value in the form associated with survival in itself, the intrinsic value has its differentiation. So that it is in the system dominated by the accumulation of economic value is divided depending on whether we owns the goods (large or small), and is generated by extreme circumstances eventually in any case. To get out of this situation, we recognize the intrinsic value based on a social consensus and the principal economy of a system capable of actively to enlighten our ability and to enjoy the intrinsic value construction is required. Therefore, while enjoying the intrinsic value, the establishment of appropriate social system is essential to have the effective value. These systems asserted here assume economic activity for the creation and the enjoyment of intrinsic value.

      • KCI등재

        절도죄의 보호법익 -한국과 일본의 논의 중심으로-

        배미란 ( Mi Lan Bae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法學硏究 Vol.21 No.2

        본 논문에서는 절도죄에 있어서 행위객체로서의 재물·과 보호법익에 관해 종래의 학설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있다. 또한 이에 관한 일본의 논의사항도 참고하고 있다. 지금까지 재물의 재산적 가치는 행위객체로서의 재물을 판단함에 있어서 논의되어 온 문제이다. 이에 대하여 한국과 일본의 통설은 재물의 재산적 가치 유무를 경제적 가치와 주관적 가치, 그리고 소극적 가치라는 세 가지의 기준을 가지고 판단하며, 그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가치라도 인정되는 재물에 대해서는 재산적 가치를 인정한다. 따라서 경제적 가치를 가지는 재물은 당연 히 절도죄 내지 재물죄의 행위객체로서의 재물에 해당하고, 만약 경제적 가치를 가지지 않는 재 물이라고 하더라도 소유자에게 있어 주관적 가치가 인정되거나. 타인에 의하여 악용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행위객체로서의 재물로 인정된다. 결국 통설은 재산범죄에 있어서 재물이 경제적 가치 내지 금전적 교환가치를 지녀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이를 부인하고 있는 것이다. 생각하건대 경제적 가치를 가지지 않는 재물이 절도죄의 행위객체가 있다는 점은 일단 타당 하다고 여겨진다. 다시 말해서 재물은 점유의 이전 가능성과 타인성만 갖추고 있어도 절도죄의 행위객체로 인정될 수 있다. 그러나 경제적 가치를 가지지 않는 재물이 절도죄를 봉하여 보호되어야 하는지에 관해서는 의문이 있다. 따라서 재물의 경제적 가치 내지 교환가치는 절도죄의 보호법익의 판단 단계에서 검토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절도죄의 보호법익에 관한 종래의 한국과 일본의 논의를 살펴보면, 먼저 한국의 경우에는 소유권설, 점유권설, 소유권 및 점유권설로 나뉘어져 주장되어 왔다. 한편 일본의 경우에는 본권설, 점유설, 중간설로 나뉘어 주장되어 왔다. 양국의 학설과 형법 체계를 비교해 볼 때 절도죄의 보호법익에 대한 논의는 소유권설이 가장 타당하다. 그러나 문제는 절도죄의 보호법익을 소유권 이라고 할 때에도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들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지금까지 소유 또는 점유라고 하는 관념적 지위를 중심으로 전개되어온 절도죄의 보호법익에 관한 논의를 조금 다른 방. 향어서 검토해 보는 것은 어떨까 생각한다. 생각하건대 재물 그 자체가 가지는 본성이나 영득범죄로서의 절도죄의 특성, 영득죄와 손괴죄의 명확한 구별. 나아가 형법의 최후수단성 내지 보충성에 비추어 보아 절도죄의 보호 법익은 소유권에 기한 재물의 경제적 가치 내지 교환 가치라고 판단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In this paper, I examine property as an object of the action of larceny and legal interests to be protected. In particular, I examine legal interests to be protected based on existing theories. In addition, I consider the matters discussed in Japan in terms of such legal interests to be protected by laws regarding larceny. Firstly, property value has been discussed for consideration of the property as one as an object of action. In this regard, a theory which has been commonly accepted in both Korea and Japan is that the existence of property is determined based on three criteria of economic value, subjective value and passive value and, if one of those values is recognized, the property value can be recognized. Accordingly, the property having economic value evidently belongs to property as an object of action of larceny. In the instances where a property does not have economic value but either it is deemed to have subjective value to the owner or there is concern about abuse of the property by others, the property can be considered as property as an object of action of the larceny. In consequence, the existing theory commonly recognized denies the opinion that the property subject to larceny must have economic value or monetary exchange value. I think it is basically reasonable that a property not having economic value may become a property as an object of the action of larceny. In other words, a property can be recognized as an object of the action of larceny once it`s possession is transferable and otherness. However, it is not certain that a property not having economic value should be protected through punishment for larceny. Therefore, I think that the economic value or exchange value of property has to be examined at the stage of considering legal interest to be protected by the law of larceny. Existing discussions in Korea and Japan with respect to legal interest to be protected by the law of larceny are: firstly, in Korea, there have been ownership right theory, possession right theory and theory of ownership right and possession right. On the other hands, in Japan, there have been legal right theory, possession theory and theory in between those theories. In comparison of those theories and criminal law systems in both countries, the ownership right theory is the most reasonable. However, what is the matter is there remains still some problems which cannot be resolved even we consider the legal interest to be protected by the law of larceny is the ownership right. In order to resolve those problems, it is proper for us to consider that the legal interest to be protected by the law of larceny is the economic value of property based on the ownership right. Until now, the legal interest to be protected by the law of larceny has been discussed only based on the determination whether such legal interest is ownership right or possession right on the premise that a larceny is a sort of crime regarding ownership right and the punishment for larceny crime is intended to protect a conceptual status of control over a property. However, in light of the nature of the property or the characteristics of larceny crime as a crime of taking of possession, it should be deemed that the economic value of property based on ownership right is the legal interest to be protected by the law of larceny.

      • KCI등재

        중소기업 슈퍼컴퓨팅 서비스의 경제적 가치 분석

        김재성(Jaesung Kim),이상민(Sang Min Lee),김명일(Myungil Kim),장진규(Jin Gyu Jang) 대한산업공학회 2010 산업공학 Vol.23 No.4

        The SMB supercomputing service provides a supercomputing infrastructure for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 (SMB)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product development activity. In this study, the economic value of SMB supercomputing service is presented. The economic value of service is comprised of a direct and an indirect economic value. A direct economic value was estimated based on the result of user survey on service effectiveness. The input-output analysis method was adopted to estimate an indirect economic value induced from a direct economic value. The future economic value based on the result of user demand survey is also presented. As a result, the annual and future economic value of service were estimated about 55,215 million won and 323,928 million won, respectively.

      • KCI등재

        북한의 경제개혁 논쟁: 가치법칙의 재해석 -중국과의 비교-

        김일한 통일연구원 2012 統一 政策 硏究 Vol.21 No.1

        This article is focu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Law of Value’ which is the basic principle for the socialist states’ economic reform. Following the Economic Reform Measures in July 1, North Korea utilized a wide range of the ‘Law of Value.’After the economic crisis in the mid 1990s, the ‘Law of Value’ debate maintained strained relation between social ownership of means of production as the original reform of the socialist economy and by using the economic management system, such as price,benefit and economic efficiency, in North Korea. Otherwise, after China's reform and opening in 1978, the government reinterpreted the law of value and used this principle for the economic reform. In particular, China’s socialist commodity economy induced economic development as the flexible reinterpretation of the law of value and ownership. However, North Korea maintained the social ownership of means of production. It is the main value of the reinterpretation of the law of value. The range of interpretation of the law of value will be the touchstone of economic reform in North Korea. 사회주의 경제체제에서 ‘가치법칙’은 개혁·개방또는 체제전환으로 이행하는 이론적 근거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사회주의 국가의 ‘가치법칙’ 연구는 해당 국가 체제의 미래를 예측하는데 중요한근거를 제공할 수 있는 영역이다. 논문은 사회주의 경제개혁의 이론적 근거인 ‘가치법칙’이 북한에서 어떻게 해석되고 활용되는가를 논의한다. 북한은 2002년 7·1조치 이후 가치법칙의 활용 폭을 확대했다. 가격, 실리, 리윤 등 생산력강화를 위한 경제적 공간(수단)을 활용하는 경제관리 방법의 개선조치 취해졌다. 가격조정, 시장개설,번수입지표 등 개선된 경제관리 방법은 그러나 생산수단의 사회적 소유와 계획경제, 즉 사회주의 경제제도의 끊임없는 견제를 받아왔다. 그 긴장상태의 중심에 가치법칙이 자리하고 있다. 반면, 중국은 1978년 개혁·개방이후 가치법칙의전면적 활용 결정을 사회주의 계획경제의 개혁을위한 이론적 근거로 삼았다. 특히 중국의 사회주의상품경제는 가치법칙의 유연한 해석에 따라 소유권을 폭넓게 활용함으로써 경제발전을 유도했다. 그러나 북한은 사회주의 경제제도의 핵심 가치인 생산수단의 사회적 소유 즉, 소유권을 고수하는경제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가치법칙’의 해석 범위는 북한 경제개혁의 시금석이 될 것이다. 더불어 김정은 체제의 등장에 따라 북한은 국가적·사회적 전환기에 접어들었고, 북한 경제정책의 변화양상이 어느때 보다 강하게 드러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의 양상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수단으로 ‘가치법칙’은 중요한 연구대상이다.

      • KCI등재후보

        A Study on the Value-Added Accounting and Management in China

        Zhou Yun-lan(주은란),Han Kil-seok(한길석) 한국국제회계학회 2007 국제회계연구 Vol.0 No.17

        시장경제상황 아래서의 기업은 이익의 실체이며 기업의 목표와 동기는 이익과 가장 큰 경제적 효익을 추구하는 것이다. 가치 창출은 자본의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부가가치회계와 관리는 기업의 최대의 가치와 경제적 효익을 추구하기 위한 서비스이다. 이것은 미시적 회계와 거시적 회계를 연결하는 다리이며, 기업의 부가가치 전략과 예산설정에 영항을 준다. 이 논문은 중국이 부가가치회계와 관리를 적용하기 위하여 연구되어야 할 부가가치 시트, 현재의 부가가치 회계, 관리를 분석하고, 한국 및 서구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부가가치회계부분에서 도입해야할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Under the market economic condition. enterprise is a profit entity, whose goal and motivate is pursuing profit and the biggest economic benefit. In a degree, is pursuing the maximum value-added. While value-added is the natural characteristic of capital. Value-added accounting and management services for enterprise pursuing the maximum value, value-added and economic benefit. It is a bridge of linking macro-accounting with micro-accounting. It is benefit for combing accounting with management; making up for the shortcomings of present accounting and enterprise management system. At the same time. it can affect enterprise’s value-added strategy, plan and budget deeply. This paper argues that china should learn and imitate korea and western country’s value added sheet and execute the first kind of value-added accounting and management presently. On the other hand, in some of the listed company with good operating and management system, introduce the economic value-added accounting and management gradually, pursuing profit and the biggest economic benefit.

      • KCI등재

        영양적 가치에 따른 한우용 배합사료의경제적 사료 가치 분석

        이중희 ( Joong Hee Lee ),서자겸 ( Ja Kyeom Seo ),박종수 ( Jong Soo Park ),서성원 ( Seong Won Seo ) 한국축산경영학회 2015 농업경영정책연구 Vol.42 No.1

        For the maximum profit, one of the most important decisions to make by the Hanwoo producers is to choose compound feeds for their Hanwoo among a number of commercial products in the market. It is, however, a difficult task due to lack of information and a tool for assessing the value of these compound feed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and compare the economic value of commercial compound feeds for Hanwoo based on their nutritional value. A total of 20 different products (four stages of Hanwoo × five major feed mill companies in Korea) were obtained at the same time and analyzed for their nutrients content. The economic value of each compound feed was caluculated on the basis of the unit costs of nutrients estimated by different methods. We found large variations in the nutrients content between the compound feeds for different stages as well as between those from different companies. Among the stages, the largest variation was observed in the products for finishers between the companies. The economic values of the compound feeds based on the costs of nutrients varied by the stage and by the company; however, the extent of variation in the economic values was less than that in the suggested retail prices of the products. There were also large variations in the ratios of the economic value based on nutritional value to the suggested retail price among the products by both the stage and the company. These results impli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nutrient constraints and feed ingredients used for formulating rations among the companies; therefore, the Hanwoo producers need to consider these differences before making a decision of purchasing compound feeds. The methodology presented in this study should be useful for evaluating the economic value of compound feeds for Hanwoo based on their nutritional value and provide the Hanwoo producers with a decision making tool for choosing compound fee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