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베트남 사파(Sapa)지역 神殿의 神格 구성 고찰 : 덴항포(Den Hang Pho, SAPA)를 소재삼아

        이윤선(Lee Yoon Sun),LE THI NGOC CAM 한국역사민속학회 2010 역사민속학 Vol.34 No.-

        본고는 베트남 북부지역인 Sapa의 神殿 '덴항포Den Hang Pho'의 신격구성을 소재로, 베트남의 종교 관념을 살펴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우선 베트남의 신전 유형을 4가지로 구분하여 Chua, Den, Dinh, Mieu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이중에서 'Den'에 주목한 것은 이곳에 베트남의 역사와 관련된 영웅들이 신격으로 좌정되어 있기 때문이었다. 이를 통해 베트남의 전반적인 종교 신앙의 성격을 추정하는 사례로 삼을 수 있다는 판단이었다. 먼저 성모신격을 분석해보았다. 대개 3위 체계와 4위 체계의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여신으로 부터 출발하여 각각 하늘과 땅, 바다(강), 산(숲)을 관장하는 신격으로 확장되었음을 살펴보았다. 진흥 도장군은 베트남에서 최고의 권위를 갖는 역사인물로 주로 '덴'이라는 신전에 모셔졌다. 다양한 설화와 의례를 통해 출산과 관련된 신앙, 질병을 치료해주는 신앙으로 확대되어 나왔으며, 성모신앙과 대칭관계를 이루는 신격으로 좌정하게 되는 맥락을 살펴보았다. 현장 사례로 덴항포의 신격구성을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성모신앙 중의 산신聖母가 강조되는 사례를 확인하였다. 특히 성모신격과 대칭되는 개념으로 진흥도 장군이 신격화되고 있으며, 나아가 한 쌍의 뱀이 각 실마다 배치되어 강조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는 베트남 북부지역이 갖는 소수민족 중심의 토착성(지역성)과 베트남이라는 국가적 정체성, 그리고 준령의 계곡을 흐르는 풀기 의 생태적 조건이 강조되는 삼원체계의 종교 관념이 만들어낸 구성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런 융합지향의 종교 관념이 자연스럽게 지역과 국가 그리고 생태적 환경조건을 대응하게 하면서, 다신 신격의 베트남 신앙으로 확대되었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This study has its purpose on figuring it out to the religious notion in Vietnam with the material of the divinity construction of Den Hang Pho in Sapa where is the northern region of Vietnam. To make this, the study divides the type of Vietnamese temples into four parts; Chua, Den, Dinh, and Mieu. Among them, the study pays attention to 'Den' because Vietnamese historical heroes are seated as divinity. This reason makes a reasonable case to this study to figure out a typically and generally religious faith. First of all, the study analyzes immaculate divinity, which generally consists of three and four layered system. The study confirms that the immaculate divinity started from the goddess and then extended to the concept to dominate the sky, the ground, the sea(river), and the mountain(forest). General Trần Hung Đạo is the best historical hero in Vietnam and has been placed in temples called Den. The study exams the context that the divinity extended to the religious beliefs, for examples, the belief related in a childbirth by lots of narrations and ceremonies and the belief to treat a sickness, and also exams the context that the divinity placed in a divinity to make a symmetrical relation with immaculate faith. The study exams the divinity construction of Den Hang Pho as its authentic case. In this case, the study could verify a case emphasized by mountain Holy Mother among immaculate faiths. Especially, the study can confirm that General Trần Hung Đạo was apotheosized as a concept to be symmetrized with immaculate divinity, and futhermore, a couple of snakes was emphasized by their positioning to every room. Tri-system lays stress on the aboriginality(locality) centered on minority races in the northern Vietnam, the national identity of Vietnam, and the ecological condition of rivers flowing the valley of high and steep peak. The confirmed facts could be said to a construction what the religious notion of tri-system makes. The study makes a conclusion that this kind of conversion-oriented religious notion naturally corresponded with region, nation, and ecologically environmental condition, and extended to the Vietnamese faith with polytheistic divinity.

      • KCI등재

        베트남 사파(Sapa)지역 神殿의 神格 구성 고찰 -덴항포(Den Hang Pho, SAPA)를 소재삼아-

        이윤선,LE THI NGOC CAM 한국역사민속학회 2010 역사민속학 Vol.0 No.34

        This study has its purpose on figuring it out to the religious notion in Vietnam with the material of the divinity construction of Den Hang Pho in Sapa where is the northern region of Vietnam. To make this, the study divides the type of Vietnamese temples into four parts; Chua, Den, Dinh, and Mieu. Among them, the study pays attention to ‘Den’ because Vietnamese historical heroes are seated as divinity. This reason makes a reasonable case to this study to figure out a typically and generally religious faith. First of all, the study analyzes immaculate divinity, which generally consists of three and four layered system. The study confirms that the immaculate divinity started from the goddess and then extended to the concept to dominate the sky, the ground, the sea(river), and the mountain(forest). General Trần Hưng Đạo is the best historical hero in Vietnam and has been placed in temples called Den. The study exams the context that the divinity extended to the religious beliefs, for examples, the belief related in a childbirth by lots of narrations and ceremonies and the belief to treat a sickness, and also exams the context that the divinity placed in a divinity to make a symmetrical relation with immaculate faith. The study exams the divinity construction of Den Hang Pho as its authentic case. In this case, the study could verify a case emphasized by mountain Holy Mother among immaculate faiths. Especially, the study can confirm that General Trần Hưng Đạo was apotheosized as a concept to be symmetrized with immaculate divinity, and futhermore, a couple of snakes was emphasized by their positioning to every room. Tri-system lays stress on the aboriginality(locality) centered on minority races in the northern Vietnam, the national identity of Vietnam, and the ecological condition of rivers flowing the valley of high and steep peak. The confirmed facts could be said to a construction what the religious notion of tri-system makes. The study makes a conclusion that this kind of conversion-oriented religious notion naturally corresponded with region, nation, and ecologically environmental condition, and extended to the Vietnamese faith with polytheistic divinity. 본고는 베트남 북부지역인 Sapa의 神殿 ‘덴항포Den Hang Pho’의 신격구성을 소재로, 베트남의 종교 관념을 살펴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우선 베트남의 신전 유형을 4가지로 구분하여 Chua, Den, Dinh, Mieu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이중에서 ‘Den’에 주목한 것은 이곳에 베트남의 역사와 관련된 영웅들이 신격으로 좌정되어 있기 때문이었다. 이를 통해 베트남의 전반적인 종교 신앙의 성격을 추정하는 사례로 삼을 수 있다는 판단이었다. 먼저 성모신격을 분석해보았다. 대개 3위 체계와 4위 체계의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여신으로부터 출발하여 각각 하늘과 땅, 바다(강), 산(숲)을 관장하는 신격으로 확장되었음을 살펴보았다. 진흥도장군은 베트남에서 최고의 권위를 갖는 역사인물로 주로 ‘덴’이라는 신전에 모셔졌다. 다양한 설화와 의례를 통해 출산과 관련된 신앙, 질병을 치료해주는 신앙으로 확대되어 나왔으며, 성모신앙과 대칭관계를 이루는 신격으로 좌정하게 되는 맥락을 살펴보았다. 현장 사례로 덴항포의 신격구성을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성모신앙 중의 산신聖母가 강조되는 사례를 확인하였다. 특히 성모신격과 대칭되는 개념으로 진흥도 장군이 신격화되고 있으며, 나아가 한 쌍의 뱀이 각 실마다 배치되어 강조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는 베트남 북부지역이 갖는 소수민족 중심의 토착성(지역성)과 베트남이라는 국가적 정체성, 그리고 준령의 계곡을 흐르는 강줄기의 생태적 조건이 강조되는 삼원체계의 종교 관념이 만들어낸 구성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런 융합지향의 종교 관념이 자연스럽게 지역과 국가 그리고 생태적 환경조건을 대응하게 하면서, 다신 신격의 베트남 신앙으로 확대되었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 KCI등재

        한국무속의 신격 연구1 - 서울과 고성의 재수굿을 중심으로 -

        심상교 한국공연문화학회 2018 공연문화연구 Vol.0 No.36

        This paper studied the type and character of the Divinity in Korean shamanism. The study of the Divinity means the hierarchy of shamanism, the relationship between shamanism and divinity, and the comparison between shamanism and divinity. The study of the shamanistic divinity based on Kim Tae - Gon's collection of anthology by Shaman(1971). The Jaesugut was composed of the contents of the gods blessing human beings. The JaesuGut of Seoul vary from 10 to 18 depending on the author. The JaesuGut of Goseong consists of 8 Gut. The essence of the ritual gut is to pray for the peace of the individual by using the world which is not explained by reason and science. It is a reincarnation that reflects the world of experience that is stored in the memory of human being that both reason and science can not explain. And the desire to escape from fear was reflected in Jaesu Gut. Every Jaesu Gut in Seoul and Goseong has a main divinity. This main divinity is attached to the divinity in another Gut and becomes a subordination divinity. It also becomes a subordinate-subordination divinity to the another Gut. The gods of reincarnation are basically taken in the order of national security → local security → home security. 본고는 한국무속에 나타난 신격의 유형과 성격을 연구하는 과정의 하나로 서울과 강원도 고성의 재수굿에 나타난 신격에 대해 연구하였다. 신격에 대한 연구란 무속신이 각 굿에서 의미하는 바, 무속신의 위계, 무속신 상호간의 관계, 무속신의 각 지역 간 대비점 등에 대한 고찰을 의미한다. 본고의 무속 신격 연구는 채록된 무가를 근간으로 하였다. 서울의 재수굿은 논자에 따라 10거리에서 18거리까지 다양하지만 대체로 10거리 내외다. 본고에서는 김태곤이 채록한 12거리 무가를 근간으로 한다. 12거리는 부정거리, 가망거리, 말명거리, 상산거리, 별상거리, 대감거리, 제석거리, 호구거리, 군웅거리, 성주거리, 창부거리, 뒷전거리 등이다. 강원도 고성의 재수굿은 8거리로 부정굿, 서낭굿, 조상굿, 성주굿, 지신굿, 칠성굿, 말명굿, 거리풀이로 구성되었다. 말명거리는 독립굿이 아니라는 견해도 있지만 분석텍스트에 의거하여 본고에서는 독립된 거리로 본다. 그리고 상산·별상·신장·대감을 분리하기도 하고 묶어 대안주로 보기도 하지만 역시 김태곤무가집의 텍스트대로 분리하여 고찰한다. 재수굿의 핵심은 이성과 과학으로 설명되지 않는 세계를 이용해서 개인의 평안을 기원한 측면이 강하다. 인간의 기억에 저장된 경험의 세계를 이성과 과학이 모두 설명할 수 없는 측면이 반영된 것이고 인간 삶의 넓고 다양한 측면에 대해 해명하고자하는 탐구와 정리가 재수굿에 반영된 것으로 생각된다. 서울의 재수굿 각 굿에는 그 굿의 근간이 되는 주신이 있고 주신의 의미를 분명히 하려는 종신, 속신이 있다. 한 굿의 주신은 다른 굿에서 종신이나 속신이 되기도 한다. 각 신격들은 상하관계로 존재하지 않고 평등하게 존재하는 것이다. 재수기원의 신들은 기본적으로 나라안위→지역안위→가정안위 순으로 굿을 받게 된다. 국태민안→안과태평→부귀공명→재수소망의 순서가 되는 것이다.

      • KCI등재

        씻김굿 무구(巫具)의 기능과 극적 의례성

        송기태(Song Kitae) 한국무속학회 2007 한국무속학 Vol.0 No.15

        본 논문에서는 무구의 신성 획득과 발현 과정을 점검하고, 무구를 통한 굿의 극적 의례화에 주목하고 있다. 굿판에서 사용되는 무구 중에는 현장에서 제작되는 것도 있고,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있다. 현장에서 제작되는 것은 대부분 생활용품을 활용하거나 구입해 온 종이나 천을 이용해 의례에 적합하게 만드는데, 해당 굿판에서만 사용된다. 이에 비해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현장에서 구입하거나 제작하지 않고 본래의 형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여타의 굿판에서 지속적으로 활용된다. 이러한 양상은 무구가 일시적인 신성을 획득하는지, 아니면 지속적으로 신성을 유지하는지를 구분하는 기준이 된다.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무구는 무녀가 지참하고 다니는데, 이들 무구는 일정한 권위를 획득하고 있으면서 다차원의 존재를 교접시키는 데 사용된다. 그리고 일회성 무구는 본래의 형태에 일정한 변형을 가함으로써 일시적인 신성이 획득되고 굿이 끝난 후 소각된다. 무구의 구성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굿의 개별절차를 넘나들면서 중복 사용되는 무구와 개별 절차에만 사용되는 무구, 여러 절차에 걸쳐 사용되면서 다른 무구들과 결합되어 사용되는 무구가 있다. 지전은 여러 절차에 걸쳐 중복 사용되는데, 이것은 구체적인 신격을 상징하거나 신적 권위를 상징하지 않는, 축원을 위한 무구이기 때문에 의례 절차를 뛰어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리고 손대와 정쇠, 바라, 고깔 등은 개별 절차에 국한되어 사용되는 것이면서 직간접적으로 신격과 관련된다. 결과적으로 조상신과 가택신에 대한 의례에서는 신격과 관련된 무구가 사용되지 않는데, 이것은 마래에 이미 조상신과 가택신이 좌정해 있는 것과 관련되어 별도의 무구가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리고 중반부에서 넋은 다른 여타의 무구들이 결합되어 사용된다. 여기서 넋은 망자를 대상으로 하는 개별 절차마다 사용되는데, 각 절차를 거치면서 질적으로 변화된 신성으로 볼 수 있다. 씻김굿의 중반부는 극적 짜임새를 갖는다. 중반부의 굿거리가 단절, 풀이, 씻김, 닦음 등의 상징적 절차를 통해 망자의 인격 전환과 저승 이동을 보여주는데, 이러한 특징을 극적 의례성이라고 할 수 있다. 극적 의례성은 굿판의 맥락과 소통하면서 굿판의 흐름과 조응한다. 따라서 무구는 무당의 굿 진행과 수용자의 대응을 읽어낼 수 있는 표지라고 할 수 있다.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acquisition of divinity and manifestation of shamanic materials and to observe the theoretical formalization through the shamanic materials. Among the shamanic materials that are used at the Gut (trans.exorcism), some of them are made at the site and the others are used repeatedly. The ones made at the site are made appropriate for the ceremony using paper or fabric mostly using household goods or buying them and are used for the one particular Gut. In contrast, the ones used repeatedly are not bought or made at the site but used constantly in other sites of Gut maintaining the original form. This aspect is the standard for classifyingif the shamanic material acquires temporary divinity or it maintains the divinity constantly. The shamanic materials that are used repeatedly arecarried by the female shaman and they acquire uniformed authority and at the same time, are used for interconnecting existences of multiple dimensions. The temporary shamanic materials are incinerated after the Gut when the temporary divinity is acquiredthrough giving specific modifications to the original form. If we look at the phases of the shamanic materials that are fundamental to the construction of the Gut, it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phases. They are the shamanic materialsused repeatedly frequenting the individual process of the Gut and ones used incorporated to other shamanic materials through many processes. The paper money is used repeatedly in many processes and since this is just the shamanic material for invocation which does not represent the specific divinity or divine authority, it could be interpreted to be used regardless of the ceremonial procedures. Moreover, the shaman wand, spirits, small gong and peaked hatare used for individual procedures and at the same time directly and indirectly related to divinity. In conclusion, in the ceremony for divinity of ancestors and houses, the shamanic materials related to divinity are not used and this could be interpreted as lack of necessity of separateshamanic materials which the divinity of ancestors and houses are related to their original site. Also, in the middle part, ‘the spirit’ is used incorporated to other shamanic materials. The spirit, here, is used in individual procedures that are subjected to the dead which in each procedures hierophanized of the divinity that are transformed in quality. The middle part of the Sitgimgut (trans. shaman ritual for cleaning dead person's soul) has a dramatic structure. The materials of the Gut in the middle part show the personality transformation and transfer to the Hades through the symbolic procedures of disconnection, clarification, cleansing, and polish. And this characteristic is the theoretical formalization. The theoretical formalization corresponds to the flow of the Gut communicating with the context of the Gut. Therefore, the shamanic materials are the marks that could read the process of the Gut and the reaction of the recipient.

      • KCI등재

        그리스도의 한 인격에 구현된 신성과 인성의 관계 : 조나단 에드워즈의 기독론을 중심으로

        김성태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20 ACTS 신학저널 Vol.44 No.-

        This study discusses the relation between divinity and humanity embodied in one person of Christ focusing on Jonathan Edwards’s Christology. The incarnation God has become a man is a very special event. It can no longer be fully explained from an ontological point of view. That is the reason why we need to have a relational approach on the incarnation. First, Edwards presents the ontological distinction between divinity and humanity in one person of Christ. Christ’ divinity was not changed and Christ’ humanity was not compromised in the incarnation. It means Christ is both perfect God and perfect man. The ontological distinction guards against Docetism and Adoptionism that exclude the other nature. Second, Edwards presents the relational union between divinity and humanity in one person of Christ. The hypostatic union supports the relational union without fusion and destruction of divinity and humanity. It means Christ is God-man. The relational union guards against Nestorianism that separates humanity from divinity. Third, Edwards presents the asymmetrical dependency between divinity and humanity in one person of Christ. Christ’ divinity has absolute freedom. But Christ’ humanity being impersonal has relative freedom. The asymmetrical dependency guards against Eutychianism that compounds divinity and humanity. 본 연구는 조나단 에드워즈의 기독론을 중심으로 그리스도의 한 인격에 구현된 신성과 인성의 관계를 논증한다. 성육신은 하나님이 사람이 된 사건이며, 존재의 범주에서 충분히 해명할 수 없는 특별한 사건이다. 에드워즈의 기독론은 존재와 관계의 범주를 구별하여, 신성과 인성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제시한다. 첫째, 그리스도의 한 인격에 구현된 신성과 인성의 존재론적 구별이다. 성육신 사건에서 그리스도의 신성은 불변하며, 그리스도의 인성은 온전히 보존된다. 즉, 그리스도는 완전한 하나님이며 동시에 완전한 사람이다. 이것은 신성과 인성의 일치를 주장하면서 한쪽을 배제하는 가현설이나 양자론을 대항한다. 둘째, 그리스도의 한 인격에 구현된 신성과 인성의 관계론적 연합이다. 위격적 연합은 신성과 인성의 존재론적 구별을 훼손하지 않는 방식의 관계론적 연합을 가능하게 한다. 즉, 그리스도는 신인(God-man) 이다. 이것은 신성과 인성을 분리하는 네스토리우스주의를 대항한다. 셋째, 그리스도의 한 인격에 구현된 신성과 인성의 비대칭적 의존성이다. 신성은하나님의 방식으로 절대적 자유를 가지며, 비위격인 인성은 피조물의 방식으로 상대적 자유를 가진다. 이것은 신성과 인성의 존재론적 구별과 관계론적 연합을 흐릿하게 하여 물리적으로 융합시키는 유티케스주의를 대항한다.

      • KCI등재

        증산 강일순의 신명(神明)사상

        김탁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0 대순사상논총 Vol.35 No.-

        Jeungsan, Kang Il-Sun (hereafter, Jeungsan)’s perspective on divine beings can be characterized by the philosophical notion of divinity, which recognizes a variety of divine entities. Jeungsan insisted that all things embrace divine entities. Furthermore, he claimed that the backgrounds of all incidents were influenced by these gods. Jeungsan thought that the universe consists of the heavenly realm, the earthly realm and the underground realm. He insisted that there were many gods in each realm. And Jeungsan defined his times as the era of divine beings, which meant that the age was a time for divine beings to actively interact with one another and take the lead in world affairs. Divine beings were briskly involved in human affairs and could either reciprocate gratitude or attain revenge. They were also divine beings that could change the acts and perception of humans as well as judge human acts. However, Jeungsan predicted that by the time the paradisiacal land of immortals was established in the Later World, divine beings would instead run errands for humans. In addition, he forecast that divine beings would be entities likely to harbor grievances just like humans, yet they would ultimately become perfected beings in the Later World. Jeungsan further suggested a multitude of various concepts such as the mutual relationship wherein the realm of divine beings and the realm of humanity interrelate with each other, the mutual responses and functions between them, mutual itineration, co-existence, and the homogeneity of divine beings and humans, which described how both have the same innate characteristics. Jeungsan proposed the concept that ‘Divinity is an existential state experienced after one’s death.” In this regard, he is the one who formulated a new perspective of divinity. Moreover, Jeunsan stressed the immortality of humans (continuity or eternality) and the co-existence of divine beings and humans. He emphasized that divinity is intrinsically immanent and the realm of divine beings has a hierarchical system that maintains order and is akin to that of the human realm. Jeungsan recognized a revolutionary change and perspective based on humanity by suggesting a unique view of humanity. In other words, he was a religious figure who introduced an ingenious view of divinity and dramatically transformed this pattern of reasoning. In conclusion, Jeungsan re-interpreted traditional views of divinity in Korea and systemized them into a new concept of divinity in an ingenious way. 증산 강일순의 신관은 다양한 신적 존재를 인정하는 신명사상으로 정리할 수 있다. 증산은 만물에 신적 존재가 깃들어있다고 주장했다. 나아가 증산은 온갖 현상이 신(神)이라고 주장하며, 모든 사건의 배후에는 신이 작용하고 있다고 강조하였다. 그는 우주가 천상계(天上界), 지상계(地上界), 지하계(地下界)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기 많은 신들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증산은 자신이 살던 시기를 신명시대라고 정의했는데, 이는 신명들이 활발하게 활동하는 시대라는 뜻이며, 신명들이 이 세상의 역사를 주도적으로 이끌어가는 시간대라는 의미다. 신명은 인간사에 적극 개입하며, 인간에게 보은(報恩)과 앙갚음을 하는 존재이며, 인간의 행동과 인식을 변화시키는 신격(神格)이며, 인간의 행위를 심판하는 존재다. 그런데 증산은 이상향인 후천선경(後天仙境)이 지상에 세워질 때가 되면 신명이 오히려 인간의 심부름을 하게 될 것이라고 예언했다. 나아가 증산은 선천에서는 신명도 인간과 마찬가지로 원한을 지닐 수 있는 존재였는데, 후천이 되면 신명도 궁극적으로 완성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리고 증산은 신명계와 인간계가 서로 밀접한 관계에 있다는 신인상관론, 신명과 인간은 상호작용하고 상호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에 있다는 신인감응론, 신명계와 인간계는 상호 순환하는 관계에 있다는 신인순환론, 신명은 인간은 함께 어울려 존재한다는 신인공존론, 신명과 인간은 본디부터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성이 같다는 신인동질론을 주장했다. 증산은 “신(神)은 인간의 사후존재양식이다.”라고 주장하여 신관(神觀)을 새롭게 규정한 인물이다. 나아가 증산은 인간의 영혼불멸 혹은 존재의 영속성에 대한 믿음을 강조했으며, 인간과 신명의 공존(共存)을 주장했다. 그리고 증산은 만물에는 신성(神性)이 본질적으로 내재한다고 강조했으며, 신명계는 인간계와 마찬가지로 일정한 위계에 따른 질서가 유지된다고 주장했다. 또한 증산은 신명 중심에서 인간 중심의 신관으로 혁명적 변화와 새로운 인식을 강조하였다. 결국 증산은 새롭고 독창적인 신관을 제시하여 신명과 인간에 대한 사유방식의 대전환을 시도한 종교적 인물이다. 결론적으로 증산은 한국 전통적인 신관을 독창적으로 재해석하여 신명사상으로 체계화시킨 종교적 인물이다.

      • KCI등재

        Ontological Violence: “Ambiguous Undulations” between “Sunday Morning” and Sunny Day’s Morning

        장정우 한국영어영문학회 2010 영어 영문학 Vol.56 No.3

        In his early poems, Wallace Stevens shows us different gestures, compared with his later poems, when he acquires reality by faculty of imagination. The former is made of ontological violence while the latter is revealed by bareness of less sensuality. However, they are the identical gestures, though from different angles, to accomplish things as they are rather than the ideas of things. In “Sunday Morning,” ontological violence occurs in such epistemological couples as thought and thing, mind and world, and imagination and reality. Especially, in order to recuperate his poetic reality, Stevens undermines the traditional hierarchy between heavenly divinity and earthly divinity. In the poem, Christianity faces a critical challenge and then it is disempowered by the earthly divinity. Additionally, by disadvantaging religion, he wants to raise his poetic issue of the faculty of imagination to acquire reality. Stevens’ concept of imagination is less subjective and more transcendental than Kantian one. After the ontological violence, Christian divinity and mythic gods leave ontological boundary for earthly divinity in an ambiguous way. In other words, between “Sunday” and “sunny day,” the ontological conflicts haunt us throughout the poem as if the violence would happen between imagination and reality. For Stevens, both Christian divinity and mythic gods are mere obstacles to real divinity; both play a mere role of imagination before reality is revealed. Whatever reality is, imagination is always ready to draw an ontological line of reality in an ambiguous way,regardless of how long it lasts. In general, most ontological violence requires such physical remnants of conflicts as borderline, deaths, and pains which still prevail in the poem. Those ontological remnants remain to be found on earth. The sky is an abstract borderline between heaven and earth because in a sense, it belongs to both earthly landscape and heavenly sphere. Without any ontological borderline or threshold, there is no recognition of the divinity because the vitality of divinity is inflamed in continuous transgression of the other. After the final ontological conflict between heaven and earth,there remains only ambiguous borderline near the earth beside the friendlier sky.

      • KCI등재후보

        기획주제: 현대 기독교철학 :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해설」 45~52문 분석 -편재론 논박을 중심으로-

        이현승 ( Hyun Seung Lee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3 기독교철학 Vol.16 No.-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은 올바른 신앙의 가치를 회복하고 평신도들의 교리 학습과 온전하고 바른 신앙의 실천을 위해 만들어진 교육서이다. 총129문으로 이루어진 요리문답에서 주목할 것은 그 이면에 자리하는 바른 신앙에 대한 투쟁의 목소리들이다. 특히 편재론자들과의 논쟁을 다루는 45∼52문항의 내용은 성경해석, 교부이해, 변증, 신학과 철학의 관계성에 대한 이해와 비판 및 수용, 기독론 등이 총체적으로 맞물려 일어난 종합적인 논쟁의 성격을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study that the Ubiquitarian`s attempt to refute the Reformed church``s understanding of Jesus Christ``s human nature ignores the unchangeable decree of God which he has revealed in the scripture. In the Heidelberg catechism, Question 46, 47 and 48 appropriately show us the Ubiquitarian`s counter-argument on humanity``s interacting with divinity. The Ubiquitarians is the sect of the lutheran. They insist that there is a "perfect conjunction" between the human and divine natures in Christ. Their misunderstanding on the conjunction have made fatal errors in appreciating the person of the Jesus Christ and divinity and humanity in their relation to each other. First, the Ubiquitarians rejected that Jesus Christ``s divinity and humanity maintain their distinct identities. According to this concept of identity, each nature has its own works and roles. But in the question 46, they insist following statement. ``He`` who is always in heaven did not ascend there and ``the son of man`` was in heaven. Therefore he did not ascend there. It tells us that the Ubiquitarians mingle divinity and humanity including its distinct works and distort the meaning of ascending. This ascending belongs to not his divinity but human nature work. Obviously his divine nature is everywhere. When Jesus Christ was on earth, his divine nature did not leave heaven, so when he is now in heaven, his divinity does not, for this reason, depart from us. Jesus Christ ascended into heaven visibly, bodily by his own power. Second, the Ubiquitarians overthrow the concept of heaven as the third heaven what Paul calls. They argued that Jesus Christ ascended to the heaven beyond which there is no place. Beyond heaven there is no natural place but there is a metaphysical, supernatural, or heavenly place. But we are not able to understand from the knowledge which we now have. The Ubiquitarians denied this heaven notwithstanding that The Bible tells us through several phrases. They reply ; therefore Christ was translated from a place into that which is no place, base upon this the following objection : That which is not in any place is everywhere. Christ is not in any place, because he ascended above and beyond the visible heaven, beyond which there is no place. Therefore he is everywhere. If this were true the heaven into which Christ ascended would be everywhere. It is not in any place and yet it is not everywhere. Third, the Ubiquitarians understand the two natures to unite in the assuming aspect. The two natures, say they, which meet in the person of Christ, are joined by an inseparable union. These two natures are joined together and the properties of each still remain distinct. The divinity can``t take humanity as necessary. The humanity is not subordinate to the divinity. Each retains its own peculiar properties, which distinguish it from the other. The Ubiquitarians combine, mingle and confuse the two natures by the existing state of things and need. The dangerous of this way is as in the following. It breaks God``s plan to work through the son. Before the world began God legislate the way of working between the natures. Denying the existing the heaven which is called the third heaven, they depreciated Jesus Christ``s ascending and belittle several prophecies in the Old Testament. This disregarded humanity fell so low as to become the instrument of the Father. The Ubiquitarians weakened the humanity in attempting to emphasize the local presence of the body of christ. To make matters worse, this intending gave rise to serious challenge for the plan of God and his authority.

      • KCI등재

        K. 라너의 신성(Divinity)의 존재론적 현상방식에 대한 고찰

        나원준 한국조직신학회 2018 한국조직신학논총 Vol.53 No.-

        K. Rahner’s argues that the divine nature of human beings is transcendent, therefore any human being is an anonymous christian. In this article, Rahner has examined the phenomenon of divine phenomena claimed by Rahner. The transcendence of divinity tells humans that human beings have become human beings to cultivate and transcend their uniqueness. Because of this transcendence, human transcendence is beyond historical circumstances. It is not left as a separate part of life and is involved in historical circumcision. Historically, it's called the ‘transcendental Experi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xes refers to the status of a human being in a way that can relate to God. Because God is a part of the ‘Self-sufficiency’ that God gave to humans, God is a human nature. Based on the divine nature, you can't fully understand the God’s, but you can’t fully understand God. There’s a relationship that can be found and figured out. It has a relationship that can’t be separated from human beings. Transcendental existence, it’s a human existence. Beyond death, it means that you’re already connected to God, and if you don’t have a connection with God, the divine nature of a transcendent nature should not be sustainable. The persistence of divinity is meaningful and persistent, and it is divine. It appears as a metaphor for God who wants to maintain relationships with humans and interact with humans. And as a persistence, divine identity is God. It is self-transmitting and self-sufficient. 라너는 인간 누구에게나 신성이 초월적으로 내재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므로 어떤 인간이든지 이미 ‘익명의 그리스도인’이라는것이다. 본 글에서는 라너가 주장하는 신성의 현상적 방식에 대해 고찰하였는데 그 현상적 방식은 초월성과 관계성, 그리고 내재성이다. 신성의 초월성은 인간에게 내재된 신성으로 말미암아 인간이 자신의 유한함을 지양하고 초월을 지향하는 인간이 되었음을 말한다. 이러한 초월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인간의 초월성은 역사적 정황을넘어선 인간 삶의 분리된 부분으로 남아 있지 않고 역사적 정황에 개입되어 있다. 라너는 이를 역사적으로 구성된 ‘초월적 하나님 경험’ 이라고 불렀다. 신성의 관계성은 그 신성으로 말미암아 인간이 하나님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상태를 뜻한다. 왜냐하면 신성은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주신 ‘자기양여’의 한 방편이기 때문이다. 신은 인간의 본성(신성)에근거하여 초월적으로 관계하신다. 즉, 인간이 신을 완전히 이해할 수는 없으나 신을 찾고 알아갈 수 있는 신성이 선험적으로 내재되어 있고 이 신성을 통하여 신은 인간과 분리될 수 없는 관계를 맺고 있다. 라너가 인간을 초월론적 존재라고 할 때, 그 인간존재는 유한성과 죽음을 넘어 이미 하나님과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하나님과의 연결이 끊어지지 않으려면 초월론적 본성으로서의 신성은 지속적이지 않으면 안 된다. 신성의 지속성은 지속적일 때 의미가 있고 지속적 이어야만이 신성이 된다. 지속성으로서의 신성은 인간과의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그 인간과 교제하기 원하시는 하나님의 은총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지속성으로서의 신성은 하나님의 자기전달이며 자기계시이다.

      • KCI등재

        고전기 아티카 예술에서의 신성의 시각화 : 신과 신상, 인간의 이미지

        김혜진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2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11 No.-

        고대 그리스 신화와 미술에서 신상에 관한 연구는 고전미술의 역사와 그 맥을 같이 했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오래된 주제이다. 전통적으로 그리스 다신 에 대한 도상(학)적 접근이 이러한 주제에 있어서 연구의 주를 이루었던 것에 비해서, 최근에 이 주제가 문헌학과 고고학, 인류학 등과 같이 고대 그리스 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학문적 접근을 통해 재조명되고 있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자료를 통해 그리스의 다신 이 어떻게 시각적으로 재현되었고 그 결과물인 신상이 숭배자들에게 어떻게 인식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그리스인의 사고에서 신상이 탄생하게 된 배경과 신의 형상을 시각화하는 원리와 방식, 신상의 종류를 고고학과 문헌증거를 통해 살펴보고, 고전기 아티카의 미술에 재현된 신상의 이미지를 대상으로 신상에 대한 그리스인들의 태도를 추론해 보고 성소와 신전에 봉헌 물로 기능하던 봉헌부조에 재현된 신과 신상, 숭배자의 도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끝으로 이러한 고찰을 통해 미술에 반영된 고대그리스인들의 종교관을 유추해 보고 그리스종교에서 설정된 신과 신상, 그리고 인간(숭배자)의 관계에 대해서도 통찰해 보고자 한다. In ancient Greek religion, the principle of anthropomorphism characterized the Greek gods, assimilating them into mortals in bodies and personalities through the means of epithets and personification. The worshippers practiced rituals, made sacrifices and votive offerings to the gods to pray and offer thanks for their goodwill. The religious interactions between the divine and the worshippers were materialized by the visualization of the divine. It mattered to the Greeks that they “could see” the divine, and the latters were depicted in a number of visual forms, in which they were believed to exist. These were aniconic (e.g., symbols), semi-iconic (e.g., herms), and theriomorphic (e.g., Pan) forms as well as anthropomorphic statues called agalmata. The statues were usually located in sanctuaries or temples, and functioned as cult images or votive offerings. In the classical period, the religious notion that the cult statues were regards as sacred-as the divine themselves-is verified by the iconographical phenomena in some Attic vase-paintings. In them one finds that the image of the Parthenon created by Phidias in 438 BCE substituted the figure of Athena and “living” Artemis was represented as a statue. The visual ambiguity (or fusion) in the representations of the gods and their statues is witnessed frequently in the Attic votive reliefs that depicted worshippers practicing rituals in front of gods in their sanctuary or temple. The architectural frames of the votive reliefs referred to the place of cult activities, and the figures of gods referred to the cult statues. However, the gods in the Attic votive reliefs seemed more like living statues than those in marble, as they gazed at the worshippers' rituals and reacted to their activities. Furthermore, the gestures of the worshippers alluded to the interaction with the gods. The repertories of the Attic votive reliefs attest to the religious notion that the Greeks in the temples or sanctuaries saw not just the statues of gods in stone but faced the divine and prepared to react to them. In ancient Greek religion and art, the unseen gods are brought into being by visualizing divinity and displaying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immortals and mortals. Through the medium of statues, in particular, the Greeks embodied the existence of the polytheoi materially and the worshippers maintained the devices with which to communicate with gods individually. The Greek notion of visualizing the divine reveals an aspect of the human-oriented thought in the classical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