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순사상의 영성인본주의 비교연구

        김용환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3 대순사상논총 Vol.44 No.-

        본 연구는 비교종교학 방법과 대순사상에 관한 문헌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대순사상의 영성인본주의를 규명한 글이다. 비교종교 분석은 역사현장에서 드러난 종교의 다양함을 연구대상으로 하기에 종교본질이라는 선험적 틀을 전제하지 않는다. 그렇다고 사회과학처럼 심리현상이나 사회현상으로 분해하고 환원시키지도 아니한다. 오늘날 종교다원주의 출현으로 종교 간의 유사성에 집중하는 풍토가 기정사실화 되었다. 아울러 현대영성으로 많은 영성운동들이 특정종교 제약을 받지 않고 혼합주의 성격을 드러내고 있음도 뚜렷한 변화양상이다. 세속적 인본주의에서도 도구화를 극복하고 본래적 초월성을 회복할 때가 도래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는 대순사상의 후천개벽과 관련하여 현대문명의 병폐와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는 인식지평으로 다가온다. 실제적으로 문명파괴의 악행주범은 도구화되거나 변질된 이성의 영역이다. 이에 이성너머 영성회통의 가능성에 대한 탐구가 절실하게 요청되고 있다. 종교는 인류의 지성결정체로서 인간완성과 구원에 목적을 둔다. 그런데 선천의 절대자 인식이 종교 간의 갈등을 증폭시키고 각각의 색다른 경험을 통해 그 지역에 부합한 사상을 형성하게 됨으로 정신사적 균열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선천시기에는 종교마다 대립하고 투쟁하였지만 종교다원주의 시대에 진입하면서 영성회통의 필요성이 절실해졌다. 이에 비교종교학 방법과 문헌해석학 방법을 병행하여 대순사상의 영성인본주의 비전을 탐색함으로써 영성구현이 인간존엄과 공공행복의 계기임을 밝히고자 한다. 또한 인간적인 삶으로 영성을 모색하고 참 인간으로 사는 길에서 상호 인간존중이 이루어지는 영성인본주의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논의하려는 영성인본주의는 수도양생 신선사상과 도통진경 대순사상의 영성회통, 사인여천 동학사상과 인간존엄 대순사상의 영성회통, 그리고 발고여락 미륵사상과 해원상생 대순사상의 영성회통을 상호 대비함으로써 우주신인론의 영성전망을 상관연동으로 밝히고자 한다. This comparative study combines the methodologies of comparative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to examine Daesoon Thought. Comparative religious analysis in the social sciences, does not presuppose an a priori framework of the essence of religion because it targets various aspects of religion which are revealed within a historical field. However, it does not decompose and return to psychological or social phenomena like social sciences. In addition, with the emergence of religious pluralism, the climate of focusing on similarities between religions has already been accomplished to some degree. Furthermore, it is worth noting that many spiritual movements in modern spirituality reveal mixed or amorphous characteristics without being restricted by specific religious membership. It is time to overcome instrumentation and restore the transcendence of its original appearance even in secular humanist reasoning. It can be said that this reveals the perception that the ills and crises of modern civilization should be overcome in connection with the opening of the acquired world of Daesoon Thought. It could further be said that the main culprit of evil behavior is instrumental reason or degenerated reason rather than spirituality. Religion is the intellectual crystalline body of humankind and aims at human perfection and salvation. However, extremists in previous times amplified conflicts between religions and formed ideas suitable for their specific regions through different experiences. This generated mental rifts that proved greatly influential. At the time of initial inception, each religion confronted and fought other ideologies, but when the era of religious pluralism began, the necessity for inter-spiritual communication became urgent. It could be said that happiness is the realization of human spirituality by exploring the vision of humanism. In that case, the combined methodologies of comparative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reveal that the spirituality of Daesoon Thought would enable a humanism based on human dignity. This would be a path for seeking spirituality through human life and living as a true human being. Spiritual humanism as discussed through this study aims to share the problems of modern civilization and provide a critical view of modern civilization that shows the roots of prevailing thought are stuck in a Cartesian dualistic view of humanity and the world. The type of spiritual humanism to examined here focuses on a cosmotheandric vision by considering the spiritual return to Daoism via Daesoon Thought. This would treat human beings like heaven in alignment with Donghak ideology and honor the human dignity proposed by Daesoon Thought. It would also deliver sentient beings from suffering and to bliss in accordance with the aims of faith in Maitreya Buddha, and it would implement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in fulfillment of Daesoon Thought.

      • KCI등재후보

        대순사상의 요순관

        이은희,이경원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8 대순사상논총 Vol.31 No.-

        These days, the world finds itself in a time when 21st century human and societal practices can benefit from alternative viable models; as such models are desperately needed. Daesoon Jinrihoe seeks to show one model inspired by the historical kings, Yao and Shun. In Daesoon Jinrihoe, King Yao and King Shun (堯舜 yo sun) are recollected and projected into modern times. This paper is a study that examines what aspects of Daesoon Thought go into understanding Kings Yao and Shun and what insights their example can provide for modern people today. In Daesoon Thought, the ‘Dao of Kings Yao and Shun’ has appeared again because the ‘Era of the Great Opening (開闢時代 gaebyeok shidae)’ has arrived, and this era is characterized by ‘Seeking Out the Beginning and Returning to the Original Root (原始返本 wonshi banbon).’ This is not simply a return to ancient times. The seeds that fall on the ground grow up to overcome winds and rains, bring forth new fruits in the autumn, and their fruits contain the original seeds. The seeds are simultaneously the original seeds, but not the seeds themselves. Rather, they are complete bodies condensed and infused with abundant experience gained after multitudinous trials. In Daesoon Thought, Kings Yao and Shun are analyzed from the following four perspectives: first, as an ideal human image that combines the qualities of Sages and Heroes (聖雄 seong oong), second, as the historical background behind the truth of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解冤相生),’ third, as an ancient model of the ideal world, and fourth, as Daesoon Jinrihoe’s ‘Mind Dharma (心法)’ and also as the classical basis for the ‘Cultivation of Dao (修道).’ However, the meaning of Kings Yao and Shun in Daesoon Thought is not limited to traditional philosophical thought but also contains certain crucial differences. In Daesoon Thought, the qualities of sages and heroes are combined in a way that does not compromise or penalize, but in accordance with the rule of law and beyond, the ideal world is understood as a world in which there are no natural disasters and everyone enjoys beauty and splendor. Mind Dharma means the spiritual cultivation of the ‘Dao of Mutual Beneficence’ as presented by Sangje (上帝 the Supreme God) through sincerity, respectfulness, and faithfulness (誠敬信 seong, gyeong, shin). In addition, through the core truth of Daesoon Thought,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the resolution of the grudges associated with Kings Yao and Shun will likewise eliminate the root-grudge plaguing humanity and divine beings. In this paper, I intend to deepen my understanding of Daesoon Thought through a study on our theology’s understanding of Kings Yao and Shun, and I also wish to redefine the value of Daesoon Thought through the symbolization and reinterpretation of ancient historical figures. 지금 세계는 표본으로 삼을 수 있는 21세기 인간상, 사회상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대순진리회는 역사적 요순을 통해 그 전형(典型)을 보여주고 있다. 대순진리회에서는 이러한 요순을 다시 불러내어 현대에 맞게 되살려내고자 한다. 본 논문은 대순사상이 요순을 어떤 측면에서 이해하는지를 분석하여 요순이 오늘날의 현대인에게 어떤 시사점을 줄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대순사상에서는 개벽(開闢)시대를 당하여 ‘원시반본(原始返本)’이 되므로 ‘요순의 도가 다시 나타난다’고 한다. 이것은 단순히 고대(古代)로의 회귀(回歸)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씨앗이 땅에 떨어져 비바람을 이기며 성장하여 가을에 새로운 열매를 맺는데, 그 열매에는 본래의 씨앗이 들어있다는 것이다. 이때의 씨앗은 본래의 씨앗이지만 씨앗 그 자체만이 아니라 모진 시련 후에 거둔 풍성한 경험이 응축된 완전체를 말한다. 대순사상에 나타난 요순은 다음의 네 가지 관점에서 분석된다. 첫째는 성(聖)과 웅(雄)을 겸비한 이상적 인간상, 둘째는 이상세계의 고대적 전형, 셋째는 대순진리회 ‘심법(心法) 수도(修道)’의 고전적 근거, 넷째는 ‘해원상생(解冤相生)’ 진리의 역사적 배경이라는 측면에서 이해된다. 그러나 대순사상에 나타난 요순의 의미는 전통사상에 머물지 않고 일정한 차이점도 지니고 있다. 대순사상에서 성ㆍ웅이 겸비된 상태는 위무(威武)와 형벌을 쓰지 않고 조화로써 법리에 맞게 다스리는 모습이며, 그 이상세계는 천지도수가 조정되어 천재지변이 없고 모든 사람이 선하고 지혜로우며 영화를 영원히 누리는 세상이다. 심법을 말하되 그 심법은 상제에 의해 직접 제시된 ‘상생의 도’를 성ㆍ경ㆍ신(誠敬信)으로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요순과 관련된 원한은 대순사상의 핵심진리인 해원상생을 통해 근본적인 원한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요순관에 대한 연구를 통해 대순사상의 이해를 심화하고, 고전적 인물에 대한 상징과 재해석을 통하여 대순사상의 가치를 새롭게 규명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대순사상의 참동학 위상정립을 위한 미래관 연구

        김용환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7 대순사상논총 Vol.29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future prospects for establishing the True Donghak phase of Daesoon Thought. The True Donghak refers to ‘the future prospect of having a true life, true thinking, and true living’ in which enjoying the world in a state of good fortune became a true reality after the death of Suwun, according to faith in Gucheon Sangje. The correlation between “Attending to the Lord of Heaven” in Donghak, and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in Daesoon shows the prospect of achieving the Daesoonist transformation into energy to gain true life and re-creation. The correlation between “Nourishing the Lord of Heaven” in Donghak and “Attending to Study and Attending to Law” in Daesoon show the transformation of Daesoon-reason into true thinking and renewing. The correlation between “Humanity is Divine” in Donghak and “The Salvation of Humanity is the Will of Heaven” in Daesoon show transformation into the practice of Daesoon for the true living and renewing. This investigation utilizes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generation theory of life-philosophy to examine revelations regarding the conversation between Spirit and Mind. This is the future prospect for the establishing the True Donghak phase of Daesoon thought. It consists of a threefold connection among life, thinking, and living. The “public-centered spirituality of Daesoon Truth” which connects and mediates among people appears in three aspects. Firstly, it is thought to be the vision of the true life through the ‘renewal of active, energetic power’ bestowed by Gucheon Sangje. Secondly, it is thought to be the vision of true thinking through the “renewal via freedom from delusion”. Thirdly, it is thought to be the vision of true living through the “renewal of true mind”. To bring about the creation of true Donghak, Gucheon Sangje incarnated to the Korean peninsula instead of Suwun and the salvation of the world salvation now centers on Korea with regards to the threefold connection future prospect. Gucheon Sangje’s revelation addresses and solves the postscript problem of Chosun and further establishes a Utopia. Suwun established Donghak but failed later on due to his lankiness. At last the true Donghak has been opened for the future by Gucheon Sangje and Jeongsan’s fifty years of religious accomplishments. In the long run, it has been developed further by Woodang’s Daesoon Jinrihoe. 본 연구는 대순사상의 참동학 위상정립을 위한 미래관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참동학은 ‘수운의 사후 구천상제를 믿음으로 말미암아 참생명ㆍ참생각ㆍ참생활의 미래상을 구현하여 세상복록과 선경복락을 함께 누리는 새 동학’을 말한다. 역사적으로 동학의 시천주와 대순의 천지공사는 상관연동으로 참생명 밝힘의 대순기화 전망을 나타냈고, 동학의 양천주와 대순의 시학시법은 상관연동으로 참생각 밝힘의 대순이화 전망을 드러냈으며, 동학의 인내천과 대순의 천운구인은 상관연동으로 참생활 밝힘의 대순실화 전망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는 동학사상과 대순사상 관련문헌을 분석하는 문헌조사 방법과 영성(Spirit)과 마음(Mind)의 상통에서 드러난 대순사상 참동학의 미래전망을 모색하고자 생명철학 생성론 방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대순사상 참동학의 미래전망은 생명(生命)ㆍ생각(生覺)ㆍ생활(生活)의 삼차연동으로 이루어진다. 사람사이를 이어주고 매개하는 ‘대순진리의 공공(公共)하는 영성(靈性)’은 세 양상으로 드러난다. 먼저 구천상제 믿음의 ‘활명개신(活命開新)’에 의한 ‘참생명 밝힘’의 대순기화 전망, 구천상제ㆍ개체생명의 상관연동성을 깨닫는 ‘무심개신(無心開新)’에 의한 ‘참생각 밝힘’의 대순이화 전망, 일상생활 변화의 ‘지성개신(至誠開新)’에 의한 참생활 밝힘의 대순실화 전망으로 집약된다. 참동학은 수운을 대신한 구천상제의 인신강세와 구천상제 강세지에 해당하는 남조선 중심 세계구원이 공공차원으로 작동하여 새 밝힘을 이룬다. 대순기화는 천지공사로서 ‘영혼의 영토화’를 기화차원에서 치유하고, 대순이화는 시학시법으로 ‘영혼의 식민지화’를 이화차원에서 치유하며, 대순실화는 천운구인으로 ‘영혼의 사물화’를 실화차원에서 치유하기에, ‘대순진리의 공공하는 영성’은 삼차원 상관연동으로 미래전망을 밝힌다. 결국 삼차원 상관연동의 영성치유를 통해 참동학은 자타(自他) 사이의 원한ㆍ원망ㆍ원증을 공공으로 치유하며 상생사회로 발전시킨다. 참동학은 대순종통의 계승자, 정산(鼎山)ㆍ우당(牛堂)에 의해 계승되어 삼차연동을 구현했다. 한민족과 인류미래를 향한 위대한 세계시민성 선언은 ‘만국활계남조선’ 선언으로 나타났으며, 개체생명과 구천상제, 우주생명과 상관연동으로 생명ㆍ생각ㆍ생활의 유기체를 이루어 미래전망을 밝힌다. 생명과학 인식론에서는 생명을 ‘물(物=대상ㆍ객체ㆍ실체)’로 관찰ㆍ분석ㆍ조작(操作)’한다면, 생명철학 생성론에서는 생명을 ‘사(事=주체적으로 자각ㆍ각성ㆍ체인하는 사건ㆍ사태ㆍ동태)’로 체득한다. 이 글에서는 생명철학 생성론 관점에서 대순사상의 참동학을 규명함으로써 개체생명과 구천상제의 우주생명이 함께ㆍ더불어ㆍ서로서로를 열어 삼차연동으로 개신(開新)하는 미래전망의 새 밝힘을 다루고자 한다. 대순사상의 참동학은 ‘공공하는 영성’을 생명지(生命知)ㆍ체험지(體驗知)ㆍ실천지(實踐知)의 삼차연동으로 작동시킴으로 고품격의 영성을 구현할 뿐만 아니라 영성작용의 충실도를 높여 보다 넓고 보다 깊게 미래지향의 전망으로 거듭나게 한다.

      • KCI등재

        대순사상에서의 도(道) 개념과 사상적 특징에 관한 연구

        이지영,이경원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9 대순사상논총 Vol.33 No.-

        ‘도(道)’는 동아시아 종교 사상의 관점에서 ‘궁극적 실재’를 나타내는 주요한 용어이다. 대순사상이 지향점으로 삼고 있는 도통진경에 이르기 위해서는 도(道)에 대한 개념의 이해가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전경(典經)』에는 금문(金文)에 처음 등장하는 ‘길’로서의 도에서부터 음양(陰陽)의 도, 인도(人道), 천도(天道) 등 각기 다양한 도의 개념이 나타나고 있다. 이를 상도(常道), 천도(天道), 신도(神道), 인도(人道), 상생(相生)의 도 다섯 가지 ‘도’로 분류하였다. 우주만물의 생성과 성장, 소멸하는 모든 자연현상은 천지자연의 이치이다. 따라서 대순사상에서의 상도는 자연계와 신계뿐만 아니라 인간계에도 적용되는 영원불변의 진리이자 천지의 운행 법칙으로 인간의 행위에도 궁극적인 준칙이 된다. 천도(天道)는 천을 주재하고 통제 관장한다는 관점에서 구천상제의 ‘대순진리’이자 세상을 구제하는 ‘제세대도’라고 본다. 신도는 모사재천 성사재인에 의해 ‘신의 법칙과 뜻에 따라 인간이 일을 완성해야 하는 도’ 즉 ‘상제의 천명에 의해 신과 인간이 인의예지를 지향점으로 함께 신인합일을 이루는 도’라고 할 수 있다. 세상이 우환과 위기에 빠졌을 때 요청되는 성인의 도를 『전경』에서는 요순의 도로 상징하고 있다. 진멸해 가는 세상에서 천하를 구하고 창생을 구제하는 대순사상의 성인의 도는 ‘제생 의세(濟生醫世)’라 한다. 제생의세는 구천상제의 천명인 제세대도를 따르는 인간의 도리라 할 수 있으며 대순사상의 인도(人道)의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상생의 도는 ‘상도를 다시 세우고 제생의세의 인도를 펼치는 도’이며 남을 잘되게 해야 내가 사는 후천의 윤리로 상극적 세상을 바로 잡는 진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종합하면 천계와 지계, 신계와 인간계 모든 곳에 치우침 없이 적용되고 작동되는 구천상제의 제세대도로서 대순진리라고 할 수 있다. 대순사상의 도는 그것이 등장한 시대적 배경과 사상적 특징을 담고 있다. 중국 고전에서 말하는 도와 동아시아의 사상을 대표하는 유ㆍ불ㆍ도에서 전개하는 도의 전통적 개념을 수용하면서도 특별히 신앙대상으로서의 상제의 의지를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수성을 보인다. 대순사상은 도 개념을 규정하는 과정에서 한국 근대의 민족종교사상이 지닌 보편성과 특수성의 양 갈래를 조화하고 발전시키면서 전개되어 나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Dao’ is an important research subject as it is the main term for ‘ultimate reality’ in East Asian religious thought.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Dao’ is essential to reach the state of ‘Perfected Unification with Dao,’ the ultimate aspiration in Daesoon Thought. The meaning of ‘Dao’ can vary such as ‘Dao’ meaning ‘way’, which was first introduced in Jinwen. There is also the ‘Dao’ of yin and yang, and Dao used to mean human obligation, or Dao meaning the way of Heaven. These can also b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Constant Dao, Heavenly Dao, Divine Dao, Human Dao, and the Dao of Sangsaeng. Every natural phenomenon of birth, growth, and death in the universe operates under the patterns of Heaven and Earth. Therefore, Constant Dao in Daesoon Thought is the ultimate pattern underlying human action and the operations of Heaven and Earth. These apply not only to the natural and the divine world but also to the human world. It can be said that ‘Rather than natural law or moral symbol of the world, ‘Heavenly Dao’ means the great Dao that saves the world through the Daesoon Truth of Sangje, Supreme God of the Ninth Heaven. Divine Dao can be said to be ‘the Dao by which man must complete his work according to the law and the will of God,’ that is, ‘the Dao by which God and man are united together by Sangje’s heavenly order and teaching, which aims for humanity, righteousness, propriety, and wisdom.’ When the world is in a state of calamity and crisis, the request for the saint’s Dao can symbolized by the kings, Yao and Shun, in The Canonical Scripture (Jeon-gyeong). The saint’s Dao saves the dying world and people’s lives and is called ‘saving lives by curing the world (濟生醫世)’. It can be regarded as a characteristic of Human Dao in Daesoon Thought, which is the human obligation to follow Sangje’s order, the great Dao to save the world. The Dao of Sangsaeng is the true dharma that rectifies the world full of mutual conflict through the ethics of the Later World, which is to promote the betterment of others and to practice the human Dao that saves the world and rebuilds the Constant Dao. Thus, The concept of Dao in Daesoon Thought is Daesoon Truth which applies to and operates throughout all realms of Heaven, Earth, Humanity, and the Divine world. Dao in Daesoon Thought was influenced by the historical background in which it emerged and this can be seen in its ideological features. It embraces the traditional concept of Dao, which refers to the Chinese classics and represents the main schools of thought in East Asia: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And it is unique in that it implies the will of Sangje as a religious object, a supreme being. It can be seen that Daesoon Thought has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defining the concept of Dao by harmonizing both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modern Korean religious thought.

      • KCI등재

        대순사상의 여성 해원에 대한 연구 : 20세기초 여성 문인 최송설당을 중심으로

        임보연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2 대순사상논총 Vol.42 No.-

        This study is a novel attempt at a fusion of female-authored Chinese poetry and Daesoon Thought. Notably, this has style of fusion has never been attempted in classical literature studies or in studies on Daesoon Thought. This study will also clarify the the key concept of grievance-resolution (解冤 haewon) in Daesoon Jinrihoe through comparison with classical works. Choi Song-seoldang’s poetry that was composed in the early 20th century, contemporaneous the emergence of Daesoon Thought, is analyzed here via the concepts of ‘tranquility (平 pyeong)’ and ‘harmony (和 hwa)’ under the framework of grievance-resolution for women. An effort is made to find a point of progression towards familial harmony (家和 gahwa) and Mutual Beneficence (相生 sangsaeng). Resentment (恨 han) from the perspective of a woman was expressed in her works such as Wang So-gun’s Resentment (昭君怨 sogunwon), Self-Report (自述 Jasul), and An Original Rhyme of Song Seol-dang (松雪堂原韻 Song Seol-dang Won-un). Works such as Wishes on the First Day of New Year (元朝祝 wonjochuk) and A Spontaneous Poem (偶吟 Ueum) expressed the contents of wishing for familial peace. In the process of trying to resolve the grievances (冤 won) of her family, Song Seol-dang faced limitations, and felt resentment (恨 han) for her inability to become a man. She strived her whole life to embody ‘tranquility’ and ‘harmony’ as both are crucial components of achieving familial harmony. This thesis has an important significance in terms of academic expansion via the convergence of literature and ideas. In terms of Daesoon Thought, it is meaningful to examine concepts and literature within a context of fusion because this goes beyond research that focuses only on theory or ideology. It is also meaningful to confirm aspects of Daesoon Thought through the life and culture of the still traditional early modern era and to reveal how it still has the present-day significance that transcends time. 이 연구는 그동안 고전문학에서도 시도되지 않았던 여성 한시와 대순사상의 융합 연구이자, 대순사상 분야에서도 시도되지 않았던 여성 한시와 대순사상의 융합 연구이다. 대순진리회에서 중요한 해원 사상을 고전 작품을 통해 밝혀보고자 하는 시도였다. 대순사상의 출현과도 시대적 맥락을 같이 하는 20세기 초의 최송설당(崔松雪堂)의 한시 작품을, 여성 해원이라는 틀 위에서 ‘평(平)’과 ‘화(和)’의 개념으로 분석하여, 가화(家和)와 상생(相生)으로 나아가는 지점을 찾고자 했다. <왕소군의 원망(昭君怨)>, <자술(自述)>, <송설당원운(松雪堂原韻)> 등과 같은 작품에서 여자로서의 한(恨)이 표현되었다. <정월 초하루(元朝祝)>, <우음(偶吟)> 등과 같은 작품에서는 가족의 평안을 바라는 내용을 표현하고 있었다. 송설당은 가정의 ‘원(寃)’을 풀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남자가 되지 못한 ‘한(恨)’을 느끼며 한계에 부딪히기도 하였지만, 가화(家和)를 이루기 위해 ‘평(平)’과 ‘화(和)’를 중요하게 여기며 평생을 노력해온 것으로 보인다. 이 논문은 문학과 사상의 융합이라는 학문적 확장의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순사상의 측면에서도 사상 자체에만 몰두한 연구에서 나아가 사상과 문학을 융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전통시대의 삶과 문화 속에서도 대순사상의 면모를 확인할 수 있고, 이것이 고전에서 현대에 이르는 여전히 현재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밝힐 수 있는 의의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대순사상의 불도관 연구

        김귀만,이경원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7 대순사상논총 Vol.29 No.-

        한국은 삼국시대 이래로 ‘삼교(三敎)’의 영향아래 놓여있었다. 그러나 근대에 접어들면서 ‘삼교’라는 표현과 함께 ‘삼도(三道)’라는 술어가 한국의 신종교를 중심으로 퍼져나갔다. 특히 대순사상에서는 ‘유불선’과 함께 ‘관왕(冠旺)’이라고 하는 종교적 경지에 대한 언급이 있어 주목된다. 이 연구는 ‘삼교’와 ‘삼도’를 구분하고 그 차이점에 착안하여, 대순사상에 나타난 ‘관왕’이라는 경지를 이해하며, ‘삼도관왕’의 관점에서 종교로서의 불교와 종교적 원리로서의 불도를 밝혀보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먼저 동양전통에서 ‘도’와 ‘교’ 그리고 서양전통의 ‘종교(Religion)’ 개념을 확인하고, 근대 시기 한국의 종교가를 중심으로 퍼진 ‘삼도’라는 술어가 동양과 서양의 종교를 포괄적 원리로 말하기 위한 관점으로서의 ‘삼도론(三道論)’임을 규명하고자 한다. Ⅲ장에서는 『전경』 전반에 걸쳐 언급되는 내용에서 불도 혹은 불교문화적인 의의를 불보살 신앙과 불교교리, 승려 그리고 사찰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Ⅳ장에서는 대순사상의 불도관 특징을 불지형체(佛之形體)로서의 불도, 불지양생(佛之養生)으로서의 불도 그리고 불도 종장(宗長)으로서의 진묵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상에서 볼 때 대순사상의 불도관 연구는 대순사상의 정체성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관점을 제기하고 있다. 즉 대순사상의 위상은 불도나 불교와 무관한 것이 아니라 불도가 지닌 ‘형체’ 혹은 ‘양생’의 특징을 하나의 축으로 한 관왕의 경지를 지향하고 있으며, 오늘날의 종교현상으로 존재하고 있는 다양한 모습의 불교를 불도의 원리 하에서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시각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Currently, the whole world is being swept away by spiritual movements.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s, Korea has been under the influence of “The Three Teachings”. But during the modern times, the word “The Three Daos” began to be widely used alongside the expression “The Three Teachings” within various circles of New Korean Religions. Regarding this, Daesoon Thought is particularly noteworthy due to its description of the religious realm spoken of a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nd the figurehead of that realm, the “Gwan-wang (Crowned King)”.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should be a distinction not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Teachings” and “The Three Daos”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atus of the “Gwan-wang” in Daesoon Thought and to facilitate the study Buddhism as both a religion and a religious principle within the context of “The Gwan-wang of the Three Daos”. Chapter Ⅱ, details the conceptions of “Dao” and “Teaching” in the Eastern tradition and “Religion” in the Western tradition. This chapter includes a discussion of how the word “The Three Daos” could be approached as a “Theory of the Three Daos” that explains the religions of the East and the West through comprehensive principles. Chapter Ⅲ goes through descriptions in the Jeon-gyeong of Buddhistic faiths, doctrines, monks, and temples to discover the meaning of the Dao of Buddhism and Buddhist culture as contained in the Jeon-gyeong. In chapter Ⅳ, the Buddhistic characteristics of Daesoon Thought is clarified in three ways: the Dao of Buddhism as the “substance of form”, oneness as “growth and nurturing”, and “Jinmuk” as the leader of the Dao of Buddhism. From this discussion, it is shown that research on the Dao of Buddhism in Daesoon Thought is a crucial avenue for understanding the identity of Daesoon Thought. In other words, the status of Daesoon Thought is not irrelevant to the Dao of Buddhism or to Buddhism proper, but Daesoon Thought should instead be understood as pursuing the state of Gwan-wang (Crowned King), which has the Dao of Buddhism as an axis characterized as “the substance of form” or as “growth and nurturing”. Also, it provides a comprehensive view by which the various aspects of Buddhism as a modern day religious phenomenon of can be understood under the principle of the Dao of Buddhism.

      • KCI등재후보

        대순사상의 구원론 연구

        박인규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8 대순사상논총 Vol.30 No.-

        구원론은 종교가 제시하는 치유, 해방, 구원 등의 교리체계로 인간의 실존적 고통을 보상하고 해결하고자 하는 신념체계이다. 본 연구는 한국 신종교 중 하나인 대순진리회의 구원론을 살펴보아 그 교리체계를 이해하며 그 특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순사상의 구원론의 증산의 천지공사론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천지공사론은 지고신인 증산께서 인간의 몸으로 화현하여 세계와 창생을 구하기 위한 종교적 작업을 하였다는 교리체계이다. 또 대순사상의 구원론은 증산-정산-우당으로 계승되는 종통론과 연결되어 있다. 증산의 구원의 작업은 정산에 이르러 수행법으로 체계화 되고 우당에 이르러 구현된다. 곧 대순진리회의 신도들은 증산의 유지와 정산께서 세우신 진법 그리고 우당의 인도하심에 따라 수행할 때 도통에 이를 수 있다고 신앙한다. 이러한 대순사상의 구원론은 기존의 종교전통과는 다른 독특한 차별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 인격적 지고신에 의한 구원을 제시한다는 특성을 보인다. 둘째, 증산께서 우주 법칙을 변화시켜 세계와 창생이 구원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셨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원한을 푸는 해원의 원리를 통해 세계와 창생을 구원한다는 논리이다. In religious studies, soteriology is a belief system that aims to compensate and solve the existential suffering of human beings through a doctrinal system of healing, liberation, and salvation as advocated by various relig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oteriology of Dasesoon Jinrihoe, a Korean new religion, and to understand its characteristics. The soteriology of Daesoon Jinrihoe is closely related to the theory of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is a doctrinal system in which the Supreme God, Jeungsan, was incarnated into a human body to rescue the world and creation and to achieve this, he had performed various religious works. In addition, the soteriology of Daesoon Jinrihoe is linked to the theory of orthodox lineage spanning Jeungsan to Jeongsan and lastly to Udang. The work of salvation performed by Jeungsan is settled by Jeongsan who systematized it into methods of practice. This soteriology has distinctive differences separating it from traditional religious traditions. First, it shows the characteristic of offering salvation through a supreme, personal God. Second, Jeungsan is seen as having changed the cosmic law and provided the basis for the world and creation to be saved. Finally, it proposes a theory that saving the world and creation is to be achieved through the principle of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 KCI등재

        朱熹、李彦迪、大巡思想的太极论研究

        까오씽아이(高星爱)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0 대순사상논총 Vol.34 No.-

        Reacting to Lu Jiu-yuan’s teachings on “Wuji-Taiji,” Zhu-Xi explicitly outlined his own viewpoints on the concept of “Taiji.” Furthermore, he established a system of cosmological ontology based on them. Zhu-xi’s main viewpoints and arguments on “Taiji”were fully understood and accepted by Lee Eon-jeok, who inherited and developed them even further. Lee Eon-jeok argued with Cho Han-bo, a thinker who contended against Lu Jiu-yuan (Son Sook-don) on the interpretation of “Wuji er Taiji”by deftly quoting Zhu-xi’s point of view from Zhu-xi's standpoint. In modern times, Daesoon Thought has borrowed the concept of “Wuji” and “Taiji,” and interpreted the original body of the “Dao” as “Wuji”to reveal a stationarity of the “Dao.” This is interpreted as the specific creation of all things and the process of change, wherein Taiji represents the revealed activity of the “Dao.” This development can be seen as an attempt by Daesoon Thought to clear away all suffering and enmity and open up a Later World of love and justice through an omnipotent Supreme God (Sangje) in times of desperate crisis of internal and external troubles. 주희는 육구연과의 “무극태극”논변을 통하여 “태극”개념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명확하게 정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우주본체론 체계를 확립하였다. 주희의 "태극"에 관한 주요 관점과 주장은 이언적에 의하여 완벽하게 이해되고 받아들여졌을 뿐만 아니라 한 걸음 더 나아가 계승되고 발전되었다. 이언적은 주희의 입장에서 주희의 관점을 교묘하게 인용하여 육구연(손숙돈)과 대척점에 있는 조한보와 “무극이태극”에 관한 해석을 둘러싸고 논쟁을 벌였다. 근대에는 대순사상이 무극과 태극 개념을 빌려, 무극으로써 도의 본체를 해석하여 도의 정해진[定] 측면을 가리켜 본체론적 함의를 나타내었고, 태극으로써 만물의 구체적인 생성과 변화의 과정을 해석하여 도의 움직이는[動] 측면을 가리켜 기능론적 함의를 나타내었다. 이는 당시 내유외환의 절박한 위기 상황에서 대순사상이 전능적인 존재--상제 개념으로써 모든 고통과 원한을 해소하고 사랑과 정의로 넘쳐흐르는 후천세계를 개척하고자 시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