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공연문화 연구동향의 의미연결망 분석

        황동열 ( Dong-ryul Hwang ),권예지 ( Yae-ji Kwon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8 공연문화연구 Vol.0 No.37

        본 연구는 공연문화분야의 학문적 정체성과 특성을 파악하고 변화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연구동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공연분야 연구의 대표적 학회지인 한국공연문화학회에서 발행하는 <공연문화연구>에 수록된 455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공연문화분야의 연구동향과 추세를 분석하였다. 세부연구과제로는 2000년부터 2017년까지 학회지에 수록된 논문명을 대상으로 <고전희곡연구>에서 <공연문화연구>로 제호변경 전후의 연구수요 변화현상을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2005년부터 2017년까지<공연문화연구>의 논문명, 주제어, 초록을 대상으로 <공연문화연구>의 시기별 연구동향을 파악하여 공연문화분야의 변화현상을 파악하고 미래예측을 통한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used semantic network analysis to understand the academic identity and characteristics of the society of korean performance art and culture and to grasp the trend of the research.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korean performance art and culture related papers based on 455 whole articles in the 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n Performance Art and Culture by the Korean Performance Art and Culture Association from 2000 to 2017. Through this research, the trends of The Society of Korean Performance Art and Culture in the period of time were identified, and the phenomenon of the performance culture field and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1950년대 〈춘향전〉 중국공연의 자료적 고찰

        장정룡 ( Jung Ryong Jang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4 공연문화연구 Vol.0 No.29

        춘향전은 조선후기에 발생한 가장 한국적인 판소리계소설로 영화, 연극, 드라마 등 다양한 장르로 시도되고 있다. 춘향전의 최초 중국공연은 한국전쟁 속에서 그 싹이 터서바로 이어서 공연되었다. 북한공연 화극(話劇)춘향전의 중국개편활동이 시작된 것은1950년대 초부터이다. 월극단원들은 한국전쟁에 참전한 중공인민해방군과 북한인민군을대상으로 공연을 하였다. 1953년 4월부터 8개월 동안 한국전쟁에 참전한 중공군을 대상으로 선무활동(宣撫活動)을 하였다. 1953년 7월 26일 북한 개성에서 춘향전을 본 상해화동월극단 제2단원들은 상해로 돌아와 월극으로 춘향전을 개편하여 공연하였다. 번역, 개작, 복색, 미술 등 어려움을 극복하고 1954년 8월 2일 월극춘향전이 공연되었으며 9월 25일부터 11월 6일까지 상해대회에서 1등상을 차지하고, 북경, 소주 등지에서도 공연하였다. 월극춘향전의 공연을 필두로 1955년에 경극(京劇)춘향전, 1956년에 평극(評劇)춘향전이 중국에서 공연되었다. 또한 1954년 북한 국립민족예술극단 방화(訪華)공연단이 춘향전을 북경에서 공연했다. 이후 1959년 북한영화 춘향전을 번역판이 중국에서 상영되었으며 1961년 상해월극단은 다시 북한을 방문하여 월극춘향전을 공연하였다. 이와 같이 춘향전은 1950년대부터 북경을 비롯하여 상해, 운남, 소주, 요령 등지에서 월극, 경극, 황매희, 조극 등으로 중국에서 다시 태어났다. 특히 광동성의 에 근거를 두고 있는춘향전 창곡집 표지에 1938年 3月 이라고 쓰였는데 그 공연여부는 알 수 없다. 이러한 중국의 춘향전 공연을 통한 문화교류활동은 전통극의 전파에도 기여하였다. 춘향전 중국공연의 각종 자료를 살필 때, 1950년대 비극적인 한국전란 중에 그 예술적 싹이 터서 바로공연활동이 진행되었다. 따라서 중국에서 펼쳐진 춘향전 공연활동과 국제화과정이 갖는의미는 특별한 현상이었다고 볼 수 있다. Chunhyangjeon, the story of Chunhyang based on the most Korean style pansori Chunhyangga writt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has been performed in various genres such as films, plays, dramas, and so on. The performance of Chunhyangjeon in China had been started while the Korean War was happening. The performance of Chunhyangjeon as a drama and opera in North Korea has been started in the early 1950s. The members of Yueh opera, a form of Chinese opera, presented for the Military of the People``s Liberation Army of China and the North Korean Army participating in the Korean War. They have done the pacification activities to the Army of China for eight months from the April of 1953. The second members of Shanghai Huadong Yueh Opera performed Chunhyangjeon changed into yue opera style after returning to Shanghai from Gaesung, North Korea where they watched a Chunhyangjeon in the 26th of July, 1953. Overcoming difficulties about translating, remaking, the color and style of a uniform, fine arts, the yue opera Chunhyangjeon was performed in August 2, 1954 and the opera members could get the Grand Prix in the contest of Shanghai the 25th of September to the sixth of November. The opera was also performed in Beijing, Suzhou and other places. Starting with the performance of the yue opera Chunhyangjeon, the ping opera Chunhyangjeon performed in China in 1956. Banghwa Group Performances of North Korean National Ethnic Theatrical Troupe performed Chunhyangjeon in Beijing in 1954. Since then, the translated North Korean film Chunhyangjeon was shown in China in 1959 and Shanghai Huadong Yueh Opera visited to North Korea and performed Yueh Opera Chunhyangjeon in 1961. Similarly, Chunhyangjeon has been reborn since 1950s in the areas of Shanhai, Yunnan, Suzhou, Liaoning as well as Beijing as Yueh Opera, Peking opera, Huangmei Opera, Chaozhou opera. Little of the performances were known even though the "March of 1938" had been written on the song book cover of Chaozhou opera Chunhyangjeon based on the Southern drama in Guangdong Province, China. Such cultural exchange activities in China through the performances of Chunhyangjeon contributed greatly to the spread of the traditional drama. The performances of Chunhyangjeon in China were staged while the tragic Korean War was happening in 1950s. Therefore, such performances might show the unique phenomenon with the process of internationalizing Chunhyangjeon in China.

      • KCI등재

        일반논문 : 조선후기 관서지방의 공연 시공간과 향유에 관한 연구

        송혜진 ( Hye Jin Song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1 공연문화연구 Vol.0 No.22

        본고는 조선후기 관서지방 공연문화의 시공간과 향유에 관한 연구이다. 관서(關西) 지방은 중국 대륙과 인접한 접경지대로 군사적 요충지이자 대외무역과 상업의 발달로 재화가 풍부한 문화의 중심지였다. 조선후기에는 중국과 조선을 오가던 수많은 사신과 역관, 상인들이 이 지역을 경유하였고, 1~2년 간격으로 관찰사가 교체되었으며, 지역 인재 선발을 위한 도과(道科)과 빈번하게 시행되면서 환영과 전송 의례, 위로, 향연에 따른 공연활동이 매우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이와 같은 양상은 여러 문헌자료와 읍지(邑誌), 그림 자료로 전하며, 문학, 음악, 무용, 민속학 분야의 연구를 통해서도 확인되고 있다. 그런데 <관서악부>를 비롯하여 평양, 성천의 자연과 풍류를 노래한 가사문학작품, 연행록 등을 문학작품을 세밀하게 읽다보면, 기존의 연구에서 주목해 온 공연의 종목과 악기편성, 음악기구, 음악인 등 뿐 만 아니라 공연활동의 주체와 시공간, 향유방식에 대한 유용한 정보들이 매우 풍부하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이를 통해 공연이 ``어디서``, ``어떻게`` 이루어졌으며, 언제, 얼마나 긴 시간 동안 지속되었고, 공연의 규모는 어느 정도였는지, 관객과 공연주체가 어떻게 소통하였는지를 알아볼 수 있다. 음악과 춤에 관한 단적인 정보 외에 ``공연``, ``사람``, ``시간``, ``공간``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는 지금까지 미진했던 ``전통공연예술 양식`` 연구의 기반이 되리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서악부> 108편, 한글 가사 작품 8편, 한문연행록 9종에 표현된 공연관련 정보를 ``주요어`` 에 주목하여 분석한 결과 조선후기 공연문화의 시공간과 향유 양상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었다. 공연의 시기와 시간, 전체 소요시간에 대해서는 별도의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는 않았다. 사신연의 경우, 국가나 개인의 상례(喪禮), 기일(忌日) 등의 ``금지사유``가 없는 한, 더위나 추위를 무릅쓰고라도 진행되었다. 그 외에 계절을 선택하여 ``놀음``을 벌일 경우, 계절적으로는 ``삼사월 좋은 때``, ``춘풍`` 불고 ``일기 화창``한 날과 ``가을 물결`` 아름다운 ``추강(秋江)``의 계절이 선호되었다. 공연 시간 대는 ``아침밥을 먹고 나서``, ``포시(오후 4시경)``, ``석반을 물리치고~``, ``야심(夜深)``, 의 예에서 처럼 매우 가변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는 밤에 열리는 야연(夜宴)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공연의 지속시간은 ``잠깐보고``부터 ``전날 오전부터 다음날 낮까지`` 차이가 컸다. 공연시간대와 전체 소요시간은 사신일행의 일정에 영향을 받았다. 공연 공간은 자연, 누정이나 관아의 건축 공간, 선유놀음의 선상 공간, 영송(迎送)의 행차음악이 연주된 연도(沿道)로 구분해볼 수 있었다. 평양의 연광정, 부벽루, 성천의 백상루, 선천의 의검정, 천연정, 의주의 통군정 등의 건축공간과 강상에 배를 띄운 선유놀음의 크고 작은 선상공간은 관서지방 공연문화의 중심이었다. 공연 공간에는 공연주체와 좌상(座上)객의 필요에 따른 주물상, 다담상, 찬을 갖춘 상, 병풍, 의자, 향로 등이 구비되었으며, 야연에서는 청사초롱, 홍촉대, 횃불이 갖춰졌다. 약산동대 등, 자연 공간에서의 공연도 선호되었다. 공연 향유와 관련하여 공연주체와 관객, 공연내용, 향유자의 소감과 비평 등을 살폈다. 공연주체는 기생과 무동, 악공, 전악, 취타군, 무동, 가아(歌兒) 등 수많은 명칭이 사용되었다. 특히 공연에서 춤과 노래, 연주를 담당했던 기생에 대해서는 기생의 수, 연령, 역량, 이미지 등을 알 수 있는 아주 많은 이칭(異稱)이 조사되었다. 공연에서 향유자는 유객(遊客), 좌상(座上)으로 불렸고, 특정 작품에서는 ``풍류 태수``, ``학탄 신선`` 등의 표현도 사용되었다. 향유자들이 즐긴 공연은 정재류의 춤과 관서지방의 민속무, 이에 따른 삼현육각 편성의 음악, 12가사, 한문 낭송조, 잡가, 민요, 광대소리 등의 노래, 거문고, 가야금, 양금, 피리, 해금, 퉁소, 옥저 등의 기악 독주, 혹은 병주. 행차에 따른 연주 등이었다. 세부곡목에 주목해보면 조선후기 관서지방에서는 궁중 예술과의 교섭이 매우 활발하였고, 다른 지역에서 볼 수 없었던 <홍문연>, <항장무>, <선유락> 등의 레퍼토리를 탄생시켰는가 하면 고유의 민속가무도 함께 향유하였음을 알 수 있다. 공연의 규모는 ``대연``, ``크게 벌이다``, ``수삼 동기``, ``성천기 7명``, ``60기생``, ``기생 2~3명``, ``삼자비`` 등으로 표현되거나 독주, 독창, 독무인 경우 이름으로 표기하였다. 역시 공연 계기와 장소에 따라 공연의 규모가 매우 유동적이었음을 알려준다. 공연자의 연령은 10대 초반부터 늙은 기생까지 다양하게 소개되었는데, 특히 어린 기생들의 가무에 대한 관심도가 높았다. 공연은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지만, 반대로 ``잡악(雜樂)``, ``졸렬``, ``웃음거리``로 분류되어 외면당한 예도 있다. 그런가 하면 여러 지역에서 유사한 공연종목을 관람한 뒤, 이를 ``비교(比較)`` 평가한 예가 있는데, 이는 관서지방 공연문화 향유양상을 알려주는 중요한 지표라고 생각된다. 공연은 주로 사신맞이. 사신연, 순행에 따른 연회 등 공적인 성격을 띤 것이 많았고, 그밖에 사적인 향유 차원에서 이루어진 예도 적지 않게 조사되었다. 관서지역의 사신맞이는 대동강의 관선을 이용한 도강(渡江)의례가 특징적이다. 이는 관찰사, 부사, 감사 등의 관리의 이임과 부임뿐만 아니라 정례적으로 중국에 오가던 사신일행의 행차가 끊이지 않았으므로 이와 관련된 공연문화의 지속성이 탄탄하게 확보될 수 있었다. 이와같이 ``주요어 추출``을 중심으로 조선후기 관서지방의 공연 시·공간과 향유양상에 관해 살핀 본 연구는 향후 관서지방의 재정과 경제, 생활문화의 측면과 관련지어 ``관서지방 특유의 공연문화``를 밝히는 연구로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지금까지의 연구가 미진한 전통공연예술의 시공간과 공연양식에 관한 연구의 외연을 넓히는데 풍부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This paper studies the time-space and appreciation of the performance culture of Gwanseo region, which is considered to have formed a characteristic culture in late Joseon period. For this purpose, 4 gasa written in hangeul (Korean alphabet), as well as 4 yeonhaeng gasa, 108 articles of Gwanseoakbu were examined. Plus, among the 9 types of yeonhaengrok (Documents of Performance cultur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those parts which describe the performance traits have been analyzed. Then, ``main list of terminology`` has been deduced based on the categorization according to the following points:1) subjects of performance and appreciation 2) time and period of performance 3) space of performance 4) contents of performance 5) background and motive for performance and 6) method of performance. Through this process, various ``nouns`` and ``predicate verbs`` in relation to performance culture emerged, which were systemized according to types of performance elements and categories. Major terminology includes predicate verbs and symbolic verbs such as ``nokuihongsang,`` ``baekdaehongjang,`` ``jeolsaekgeumga,`` ``cheonga,`` ``hwaryu,`` ``gamuja,`` and ``tongsoja,`` as well as the terms already known such as gisaeng, iwon, yangbang, akgong, and jeonak, which refer to musicians and dancers. Subjects of performance were divided into performers and listeners, categorized into concert, music, and dance, according to performance form. In the case for music, it was divided into instrumental or vocal, solo or accompanied (byeongju, self-accompaniment). In the case for vocal music, noteworthy was the inclusion of profesional artist`s singing (called gwangdae or uchang). The record of 23 names of popular artists from Gwanseo region, with mention of special talents for each person, reflects the degree of activeness and artistic level of the province. Depending on the appreciating patrons, the audience were indicated as the terms including ``yugaek (party guest),`` jwasang,`` ``on jwaseok,`` and ``sonnim (guests).`` It seems that appraisal for a certain performance was very much affected by the tastes, views, and disposition of the appreciating patrons. Therefore it is interesting to observe different comparative reviews of concerts of different regions given by literary figures, offering various criticism on identical performance. In terms of performance space, it has been divided into natural or architectural space, doing justice to special performance sites such as a famous pavilion or an on-the-boat performance. Specific terms related to the scale and brightness of stage, as well as stage props and cast, based on descriptions of performance space were found. The performance space, including famous pavilions; Yeongwangjeong, Bubyeokru, Baeksangru, Wolparu, and Uigeomjeong, which are all well-known tourist sites of Gwanseo province, have been often visited by viceroys. governors, and envoys during a tour or trip. This, and the fact that full-scale performances were regularly held here, and that more than 15 different kinds of boats which were used for boat concert are mentioned, all confirm the general popularity of boat concerts at the time. Performance time, categorized by season or time of day (am/pm/night) and analyzed in terms of time of occurrence and duration, there were no special limitation as to when to have a performance. Most morning concerts were held as part of official duties for the envoys, after their meeting session, whereas evening concerts were more lengthy in duration, with a greater number of people in the audience. In the case of boat concert, samples include day-time concert and performances that began during the day and which lasted till later in the evening. Major terminology related to performance time and season includes descriptions of time of day (morning, evening, night) and mention of sunset, twilight, moonlight, stars, candles, and lamps. Such terms which reflect the flow of time contributed in making a concert more lively. Terminology for the contents of performance was mostly words like ``instrumental,`` ``pungak,`` or ``pungnyu.`` Besides, contextual expressions gave hints as to whether there were dance, singing, ensemble, solo, and duets. Words for dance and singing used in Gwanseo province were almost identical to those used for gasa and jeongjae in the capital, Hanyang. However, many sentences reveal that performances of ``hangjangmu`` of hongmunyeon, sword dance, and baettaragi were on a top-quality level. Moreover, chants in hanmun Chinese character and folk songs, which are characteristic for this region, show unique features of local musical performance. It is judged that understanding the purpose and background of a performance is important in grasping the foundation and continuity of local culture. Concerts were usually either related to official protocol for ``greeting,`` ``sending-off,`` ``reports,`` and ``patrols`` or for private enjoyment. The rituals for Gwanseo province characteristically features river crossing ceremony on the Daedong river, which has been closely documented by many. What is more, the Gwanseo region featured continued coming and goings of Pyeongan envoys and local officers, as well as ambassadors to and fro China, which required an organized and full-scale performance of music and dance. The method of performance varied from a large-scale, official ones, for which female entertainers and a great banquet in addition to musicians were required, to private gatherings that are more intimate. A performance may take the form of ``taking turns`` or ``a competition,`` reflecting the dynamic nature of the musical culture at the time. This study, which is deduction of terminology in relation to the time-space and appreciation culture of musical performances of Gwanseo region in late Joseon period, should be expanded in the future into research on ``the performance culture unique to Gwanseo region,`` in relation to the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aspects of the province, as well as everyday lifestyle. Furthermore, it could proceed to a more intensive research by a comparative study with related literary documents and pictorial data, which could serve as th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use of space and stage, as well as the performance format characteristic to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 KCI등재

        우리나라 다목적 공연장의 탄생배경에 관한 소고

        김경아 한국공연문화학회 2020 공연문화연구 Vol.0 No.41

        The current state of performance halls in South Korea is closely related to the performance art and culture of the nation as the culture of putting on and enjoying a performance is deeply rooted in public culture and arts halls representing each area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Today, public culture and arts halls have multiple management purposes, and the subjects of their management are in the public domain including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or investment and donation foundations in overwhelming cases. Public culture and arts halls thus have close correlations with the institutional aspect of cultural policies as the objects of culture and art policies at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level. The full-blown era of public culture and arts halls opened up in the 1980s〜1990s, during which multi-purpose performance halls of a similar structure became universal around the nation. Public culture and arts halls of the uniform shape were distributed around the nation with no premise of genre characteristics or local environments for arts, and this was attributed to the cultural policies of the military regime. The Park Chung-hee regime proclaimed Yusin that was beyond the Constitution and enacted the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September, 1972), which was the first culture and arts act in the nation. Based on the act, a five-year plan for the promotion of culture and arts(1973) was made and led to the construction of cultural facilities. “Public culture and arts” halls or “culture” halls were built to serve multiple purposes around the nation because the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which is called the starting point of the nation's legal system for culture and arts, defined “culture and arts” as “matters regarding literature, art, music, entertainment, and publications.” The definition became a ground for the current “multi-purpose” concept. The organization of Ministry of Culture and Public Information set up a culture and administration system to state its supervision of “culture and arts” and distinguish popular culture from the promotion of arts. During the period, former President Park exhibited his perception of “culture=arts=culture and arts” in his speeches. Arts belonged to the category of culture, but it was considered as “culture and arts.” There was no department devoted to arts policies when the act was enacted with a broad scope of culture accepted. This ambiguity worked as a mechanism to mobilize arts in ideological utilizations as a policy. Against this backdrop, the Sejong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a multi-purpose performance hall, was established in 1978 based on the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under the supervision of Ministry of Culture and Public Information. There were, however, conflicts of value over the issue of accepting the popular music among the “culture and arts = multiple purposes” of the system, “culture ≠ arts” of the cultural organization that pushed forward its establishment, and “culture and arts = arts” perceived by the powerful class. The new military regime seized power after Coup d'état of December 12, 1979 and failed at its culture policy of bringing the resistance force within the system. It tried to differentiate itself from the Park regime by converting the perception into “expansion of opportunities for the people to enjoy culture” to gain people's supports both from the side of resistance and that of support. For the Chun Doo-hwan regime, differentiating itself from the previous regime was to secure legitimacy. Expansion of opportunities to enjoy culture was pushed forward at the level of national distribution. This approach thus failed to settle down as a long-term policy of arts development, and the military regime tried to secure its legitimacy through the symbolism of hardware. During the period, the institutional ground for public culture and arts halls was based on the definition of “cultu... 이 연구는 군사정권의 권력 전개양상에서 드러나는 문화정책이념이 ‘다목적 공연장’의 개념형성으로 발현되는 과정을 살펴보는데 있다. 한국의 공연장 현황은 우리나라 공연문화와 깊은 관계가 있다. 각 지방자치단체마다 그 지역을 대표하는 문화예술회관(문예회관)을 중심으로 한국의 공연문화와 향유문화가 깊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 문예회관들은 다목적홀로 운영되고 있으며 운영주체는 절대다수 정부와 지방정부 또는 출자출연기관의 재단법인 등 공공영역에서 운영한다. 따라서 정부와 지방정부의 문화예술정책의 대상이며 제도적 측면과 긴밀한 상관관계를 가지게 된다. 박정희 정권은 초헌법적인 유신을 공포하고 우리나라 문화예술법의 시초라고 할 수 있는 「문화예술진흥법」(1972.9)을 제정한다. 이법을 근거로 「문예중흥5개년계획」(1973)을 수립하고 문화시설들을 짓기 시작했다. 전국의 ‘문화예술’회관, 또는 ‘문화’회관이 다목적홀로 지어진 데에는 문화예술진흥법의 “문화예술”에 대한 정의를 “문학, 미술, 음악, 연예 및 출판에 관한 사항”으로 명시함으로써 지금의 ‘다목적’개념의 근거가 된다. 한편, 문화공보부의 조직직제는 “문화와 예술”을 관장함을 명시하고 대중문화와 예술진흥을 구분 짓는 문화행정체계를 갖춘다. 그러나 이시기 대통령의 연설에 나타난 박정희의 화법은 ‘문화예술=예술’로 인식하고 있다. 예술은 문화에 포함되는 개념이지만 문화예술=예술로 인식함으로써 정치적 시국이나 시행부서에 따라 그 해석을 달리하였고, 이러한 모호성은 예술이 이데올로기적 활용에 정책적으로 동원되는 기제가 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문화예술진흥법에 근거하고 문화공보부의 관장 하에 1978년 다목적 공연장인 세종문화회관이 개관한다. 그러나 제도상의 문화예술=다목적과 설립을 추진했던 정부조직의 문화≠예술, 권력이 인식했던 문화예술=예술은 대중음악의 대관문제를 두고 가치충돌로 표출된다. 1979년 12·12사태로 정권을 장악한 신군부는 민족문화를 앞세운 국풍81을 통해 저항세력을 체제 안으로 끌어들이고자 했다. 정권의 의도는 실패하였고, 저항과 지지의 양축에서 국민적 지지를 확보하는 방안으로 국민의 문화향유 기회확대 정책에 방점을 둔다. 이는 앞 정권의 문화예술에 관한 인식의 전환이며 박정희 정권과의 차별화를 추구한 것이다. 전두환 정권에 있어 앞 정권과의 차별성은 곧 정권의 정당성 확보를 의미하는 것이었고 향유기회의 확대는 문화영역의 분배 차원에서 추진되었다. 따라서 장기적인 안목의 예술발전으로 자리매김 되지 못했고 하드웨어의 상징성으로 정권의 정당성 확보를 실현하려고 하였다. 오늘날 다목적 공연장의 개념은 유신체제하에 만들어진 법체계의“문화예술”의 정의에 기인한 것이며 이를 근거하여 공공 공연장의 운영목적으로 ‘다목적’의 개념이 탄생한다. 군사정권을 이은 전두환 정권은 프로시니엄 구조의 다목적 공연장을 정권의 정당성 확보의 수단으로 표출하였고, 전국적으로 재생산 되어 오늘날 한국의 공연문화에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 KCI등재

        일반논문 : 동시대 공연에 나타나는 "관객 참여"방식 연구 - 런던 펀치드렁크(Punchdrunk)극단의 <Sleep No More>를 중심으로

        전윤경 ( Yunkyung Jeon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6 공연문화연구 Vol.0 No.32

        21세기 동시대공연의 화두는 단연 ‘관객의 참여’이다. 런던은 2000년대부터 관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립극장에서부터 먼저나서서 공연을 라이브로 상영하는 획기적인 방식으로 새로운 관객 찾기를 시도하고 있다. 또 극장의 경계를 넘어서 ‘버추얼 시대’에 맞는 극장으로의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이런 국립극장의 변화는 다른 극장과 공연에 영향을 주게 되고 이에 따라 다양한 장르에 관심 있는 적극적인 ‘관객찾기’에 열중하고 있다. 이런 노력은 관객이 직접 이동하며 창의적으로 내러티브를 구성해 가는 ‘관객참여’형 공연의 등장을 만들어 낸다. 즉, 기존 공연의 관습적인 관람방식에서 탈피하여 일상의 모든 공간을 무대로 사용하는 환경연극(environmental theatre)이나 전통적인 무대에서 벗어나 그 공간의 ‘장소성’을 기반으로 하는 장소특정적 공연(site-specitic performance) 등 다양한 시도가 나타나고 있다. 그에 따라 많은 실험적인 극단들이 나타났는데 본 연구에서는 그 중에서도 기존 공연의 관습적인 관람방식에서 탈피하면서 동시에 기존 공연의 관객성을 유지하며 ‘새로운 관객참여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는 펀치드렁크(Punchdrunk)극단에 주목한다. 이들의 시작은 런던의 무용학교 졸업생들이 방학기간 동안 운영되지 않는 학교를 무대로 공연한 작은 실험극에서부터이다. 그런데 초기 3명의 관람객이 7년 만에 런던의 ‘주류극단’이 되고 10년 만에 미국에 진출, 6년 동안현재 뉴욕에서 장기 공연을 하며 엄청난 인기를 누리고 있다. 지금까지도 전석매진을 기록하고 있는 놀라운 성과를 기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펀치드렁크 극단이 이처럼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를 관객이 경험을 만들어가는 수행주체로 전환시킴으로써 공연의 극적요소를 극대화했기 때문이라고 본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펀치드렁크 극단의 극적요소의 특성이 어떻게 관객을 참여시키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현재 이 극단을 대표하고 있으며 가장 큰 인기를 끌고 있는 <Sleep No More>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또 구체적인 분석을 위해 관객을 총 3단계‘narrative visitor’, ‘걸어 다니는 관객’, ‘가면을 쓴 관객’으로 구분하고 그들이 펀치드렁크극단의 공연환경에 적응해 나가는 변화에 대해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첫 번째 단계인 ‘narrative visitor’에서는 Louis Marin의 디즈니테마파크의 3단계 진입론을 적용하여 분석했고 두 번째 단계인 ‘걸어 다니는 관객’에서는 질 들뢰즈의 노마디즘을 적용하여 분석했다. 그리고 세 번째 단계인 ‘가면을 쓴 관객’에서는 관음자됨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The keyword of contemporary art in 21st is audience participation. London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udience participation since 2000. The National Theater of London is trying a new method, which is live performance to search new audiences. Also, they are trying to cross the boundaries between ‘stage’ and ‘spectator’. This leads the other theaters to search new audiences and try new genre of performance. Therefore, they establish a new form of performance, which is that audience actively moves and find a new story in a theater. For example, “environmental theater” is the one. This theater escapes from the traditional stage, but it is based on “site-specific performance.” Lots of new forms of theater have emerged. In this study, I focused on one of these new forms of theater, which is “Punchdrunk.” “Punchdrunk” was founded by few students graduated from London University’s Laban Center in 1999. They started at an empty stage in small school with only three audiences. 7 years after, it became one of major theaters in London. 10 years after, it showed their performances in the United state. Since then, their performances in New York have never been stopped. More strikingly, for last decades, this theater has been always full. In this study, I reasoned that the key of “Punchdrunk” success is audience participation. Therefore, I investigated the features of Punchdrunk theater and how they engage their audience in this performance. In this study, I focused on one of their performances, <Sleep No More>. Also, I categorized the audiences in three different ways: narrative visitor, walking visitor, and engaging visitor with mask. Three-part transition of Disney Theme Park from Louis Marin was applied to study “narrative visitor.” For “walking visitor”, Normadism from Gilles Deleuze was applied. For “engaging visitor with mask”, Voyeurism was applied.

      • KCI등재

        보로부두르 주악도와 한국의 불교 악가무

        윤소희 한국공연문화학회 2019 공연문화연구 Vol.0 No.39

        I have researched in the field the religious and performance culture of Indonesia through the musical iconography of Borobudur. There are many kinds of musical instruments which belong to India or Indonesia, performers being either court or folk musicians. Contemporary south-east Asian Indonesia has a broad religious heritage. Most of the population is Muslim, but the culture and customs are rooted in Indian Ramayana. I discovered, for example, the same percussion instruments played on a person’s knees. I also came across similar string instruments with long and elliptical resonance casks on the iconography of the Incense Burner and Byam temple stone pagoda of Beakje dynasty in Korea and in Borobudur in Indonesia. The two musical instruments can not be found in other countries, such as Silla, Koguryŏ, China or the silk road area, but only Indonesia or India. This suggests that Beakje Buddhism is from the southern regions rather than China. I also discovered the same dancing motion with the court performers on the iconography of Borobudur, and the same musical instrument and performance in the Gamelan in today’s Indonesian performance. Despite a disjuncture between the people and their past, the Shailendra Buddhism is alive in people’s life and culture in the present day. So we can discover some familiarities between Indonesia’s Gamelan and the percussional performance in Korean Buddhist rituals. 8~9세기 무렵 인도네시아는 세계3대 불교 유적에 드는 보로부두르 대탑을 건설하였지만 오늘날 인도네시아에서 불교신자를 만날 수가 없고, 인구 대부분이 무슬림이다. 그리하여 본고에서는 이슬람적 사회․문화 풍토 속에 불교적 산물인 보로부두르의 공연 예술이 어떻게 연결되고 있는지를 현지조사를 통하여 조명해 보았다. 불교왕국이었던 샤일렌드라왕조는 사라졌지만 그들의 문화는 이어지는 힌두왕조와 융합적 관계를 유지하며 존속하였다. 16~17세기 인도네시아에 이슬람이 유입될 당시 합리적 온건주의인 수니파 독경사(讀經師)들은 기존의 신행을 문화로 포용하였다. 그 결과 오늘날까지도 인도네시아 사람들은 아랍풍 이름 보다 “쉬리, 라마, 시타, 아르주나”와 같은 인도풍 이름과 함께 라마야나 주인공들이 행하는 인도문화적 덕목을 추구하고 있다. 오늘날 인도네시아의 불교 인구는 1%에도 미치지 못하지만 보로부두르에 새겨진 주악도는 인도네시아의 공연 문화 곳곳에서 발견되었다. 보로부두르 부조에 보이는 궁중악사의 춤사위와 똑 같은 동작으로 춤 추는 악인들이 있었고, 각종의 공연예술에서도 부로부두르의 주악도를 연상시키는 모습들이 발견되었다. 그런가하면 한국의 사찰에서 발견되는 긴나라나 가루다, 간다르바 등, 힌두 신화속 뮤즈들이 같으면서도 다른 모습으로 존재하고 있었다. 인도네시아의 가믈란은 종교의식 및 궁중․마을 행사에서 시작되어 현재는 그림자극, 인형극, 타악 앙상블 등 여러 장르로 분파되었다. 이는 대부분의 전통 공연이 무속을 비롯한 기타 종교의식에서 출발하여 공연예술화 되는 것과 궤를 같이한다. 한국 사찰에서의 법기 타주와 이에 수반되는 의례 악가무는 조선시대 억불을 맞아 걸립패와 유랑악사들의 탁발의 도구가 되었고, 오늘날 풍물놀이, 사물놀이 및 기타 공연예술의 자양분이 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인도네시아의 타악합주 가믈란과 한국불교의 법구 타주는 다양한 예술장르를 파생 시키는 문화 예술의 원류로써 중요한 키워드이다.

      • KCI등재

        창자와의 관계에서 본 판소리 고수의 공연학

        송미경 ( Mi Kyoung Song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1 공연문화연구 Vol.0 No.23

        본 논문에서는 문헌 기록과 구술 자료를 바탕으로 판소리 고수의 출신 배경 및 사회적 위치를 살피는 한편, 창자-고수 간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공연 준비-본 공연-공연 이후``의 공연 전과정에 나타나는 고수의 공연학적 면모를 고찰하여 보았다. 과거에는 줄광대 출신의 고수가 적지 않았다. 고수의 사회적 위치나 판에서의 대우는 물론 줄광대보다 나았지만 판소리 창자에 비해서는 열악하였다. 그러나 1910년대 이후 판소리 공연 공간의 이전과 새로운 매체의 유입으로 관중 및 일반 대중들은 고수에 대해 특별한 의식을 가지게 되었고, 이들의 지위는 크게 향상되었다. 고법도 이 시기 이후 관중들의 기대에 부응하여 정립된 측면이 크다 공연의 전과정에 요구되는 고수의 역할과 기능은 다음과 같다. 우선 준비과정에서는 다양한 수준의 많은 창자들을 상대하는 훈련이 고수의 실력, 즉 소리에 대한 대응력을 쌓는 데 필수적이다. 공연 직전의 리허설은 개인연습과 공동연습으로 나뉘는데, 후자는 창자-고수 간의 공연 경력, 고수 개인의 실력에 따라 조정된다. 다음, 공연과정에서는 고수의 보비위와 추임새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고수는 장단 한배에 대한 빠르기 개념 및 소리의 리듬형에 따른 액센트의 표현을 창자와 공유하면서, 창자가 에너지를 어떻게 쓰고 있는지 미리 읽어내 이를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또 창자의 내드름을 간파하여 북 장단으로 대응하는 능력을 지녀야 한다. 공연을 성격별로 세분화하여 보면, 완창발표회에서는 창자-고수 간의 호흡과 함께 공연했던 경험이 중요하며, 판소리 경연대회에서는 고수가 창자에게 안정감을 주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고수대회(고법대회)에서는 장단의 운용, 북을 치는 자세, 강약 조절, 추임새를 통한 창자와의 조화 등이 고수의 능력을 평가하는 주요한 기준이 된다. 축하 공연과 같은 개인적인 소규모 공연, 현대적으로 새롭게 각색한 공연에서 창자는 공연비가 저렴하면서 원곡의 변형이나 애드립(ad-lib)에도 당황하지 않고 이에 긍정적으로 대응하여 주는 고수를 선호하며, 강의에 수반되는 공연의 고수에게는 미리 약속되거나 논의되지 않은 상황에 대처하는 순발력을 원한다. 추임새는 소리판에서 고수와 청중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표현 방식이지만, 그 세부적인 맥락이나 성음에는 차이가 있다. 마지막으로 공연 이후 과정에는 창자-고수 간의 상호 평가 혹은 연행자에 대한 청중의 평가가 해당되는데, 현재 판소리 공연계에서는 이러한 문화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으므로 방안 마련이 요청된다. This paper inquires closely into the background of pansori gosu(drummer) and his social position based on documents and oral materials and the performance features of gosu in the entire process of pansori performance, ``preparation``, ``performance`` and ``aftermath``,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ja(singer)-gosu. In the past, some gosus were ex-tightrope performers. Their social position and working conditions were better than that of the ex-tightrope performers but were worse than that of the pansori singer. After 1910`s, people formed some special sense about the gosu due to the change of the space for pansori performances and the technological advances on the media, and gosu`s conditions improved. The theory of pansori drum gradually began to be established well. The function and the role of gosu in the whole process of pansori performance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To begin with, the training with various and a lot of singers is required in the ``preparation``. Rehearsals are divided into individual practices and joint practices, and the latter can be controlled by the level of the capacity of gosu and the degree of the experience between chanja-gosu. Next, bobiwi(flattering drumming) and chuimsae(encouraging remarks) are important in tbe ``process``. The gosu has to share the speed of one jangdan(rhythmic patterns) and the accent of the sori and adjust his enery. Besides, he has to acknowledge the naedeureum(beginning sign) and reply with changja`s singing. In formal performances, working in harmony with changja and gosu and their joint experiences are necessary for the gosu; in pansori contests, giving chanja a stability; in contests for gosu, drumming skill, position, chuimsae; in small performances and new adaptation of pansori, cheap fees and positive response of the transformational play or ad-lib; in lecturer concerts, reacting quickly to rapidly changing situations. Chuimsae is way which gosus and audiences express their feeling together, however, its context and sound are different. Finally, ``aftermath`` is a process the pair of chamgja and gosu mutually evaluates about performance or audiences estimate that.

      • KCI등재

        국악의 세계화 -2000년대 해외공연사례를 중심으로-

        김희선 ( Hee Sun Kim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3 공연문화연구 Vol.0 No.27

        1960년대부터 본격 시작된 한국음악공연의 해외진출은 주로 해외 거주 한인위문, 민간외교, 수교 등 국가교류 차원의 공연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2000년대 들어서는 다양한 주체들의 요청과 열망이 맞물리면서 “국악의 세계화” “국악한류”등을 슬로건으로 기존과는 다른 다변화된 해외진출이 진행되고 있다. 이논문은 우선 국악 해외공연의 그간의 궤적을 성찰적으로 돌아보고 국악세계화의다양한 배경을 논의한 후 2000년대 이후 진행된 국악의 세계화 과정과 경험을살피고 과제와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이 논문은 2000년대 이후 국악의 해외공연사례를 성격에 따라 유통 중심 지역공략, 견본시 통한 월드뮤직계 진출모색, 공략 대상 중심전략으로 분류하여 뉴욕 산조페스티벌, 파리의 세계문화의 집 상상축제, 월드뮤직 견본시 통한해외마켓 진출모색, 이자람과 판소리의 해외진출의 사례들을 살펴보았는데 이러한 사례들은 이전에 비해 체계화되고 구체적인 목적을 가지고 세련된 방식과 기획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일련의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한편 구호로서의 “국악의 세계화”는 국가주의의 새로운 변형물로 여전히 경계하고 극복하여야 할 대상으로, 국악을 국가주의적 세계화의 도구나 민족주의의 견고한 과시, 글로벌 시대 각축하는 문화생산물이 아닌 인류전체를 위한 보편적, 성찰적, 동시대적 예술물의 생산과 글로벌 시대에 예술과 문화의 다양성을 확장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국악의 세계화의 목표를 전환하고 이를 위해 노력할 시점이라 보여진다. The international exposure of Korean music has been pursued since the 1960s, mostly through one-time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programs, events for overseas Koreans, educational university concerts, and both governmental and non-governmental diplomacy. Since 2000, one has begun to witness more varied and systematic international exposure, in conjunction with slogans such as “Globalization of Gugak” and “Gugak Hallyu,” which are the result of the multi-layered aspirations and needs of various subjectivities. This paper examines trajectories of the international exposure of gugak, to discuss its various socio-cultural and political backgrounds and tendencies, with examples of overseas performanc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since 2000. Three strategies.distribution-centered location; market-driven; and artist and genre promotion.are examined, together with venues like the New York Sanjo Festival, the Festival de l`Imaginaire, and La Maison des Cultures du Monde, as well as pansori and pansori artist Yi Jaram. These cases reflect the ways in which Korean performing arts are receiving more strategic support, with specific goal-oriented planning, than in prior periods. The slogan, “Globalization of Gugak,” was created as a direct response to the demands of globalization during the 1990s, a national rhetoric in South Korea, and the public`s desire for global advancement. Thus, the slogan is a transformation of nationalism under the rubric of globalization, and its re-examination is due. Instead of regarding gugak as global cultural production, a nationalistic global tool, or a rigid display of strong nationalism, it should be understood as a universal, insightful, and contemporary performing art which solidifies and expands global cultural diversity. The goals of the “Globalization of Gugak” should be adjusted in this globalized world.

      • KCI등재

        공연예술관람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하지원 한국공연문화학회 2023 공연문화연구 Vol.- No.46

        As the era of importance of work-life balance spreads, the need for leisure activities is emerging. As leisure time increases, people's awareness level for leisure life is increasing.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find out which factors among the determinants of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of the audience when watching the performing arts, and the factors of consumption of the performance. The following implications of viewing the performing arts were derived. First, it is necessary to collect the opinions of empirical audiences on the various determinants of works, prices, distribution, and promotion of performing arts viewing. Second, it is urgently necessary to secure an audience for viewing the performing arts. Third, there is a need for performing arts viewing events that utiliz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region of the residential area. Furthermore, through this study, we inte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culture and arts industry as basic data for attracting cultural and artistic audiences and securing financial resources. 일과 생활의 균형을 중요시하는 시대가 확산됨에 따라 여가활동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2021 국민여가활동조사에 따르면 국민들의 하루 평균 여가시간은 전년 대비 증가하였으며, 전체 86%가 여가활동에 대한 문항에서 ‘여가활동이 삶의 필수적인 요건’이라고 평가했다. 이처럼 여가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여가생활을 위한 국민의 의식수준이 높아지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공연예술 관람 시 관람객들의 문화예술활동 결정요인 중 어떠한 요인을 고려하며 공연을 소비하는지에 대한 요소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공연예술 관람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관람여부, 특성, 관람결정 요인, 만족도 및 재관람의도에 대해 파악하고, 관람특성에 따른 관람결정 요인, 만족도 및 재관람의도에 대한 영향관계를 규명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이에 다음과 같은 공연예술관람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공연예술관람의 작품, 가격, 유통, 촉진에 대한 다양한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적인 관객들의 의견을 수렴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공연예술관람의 관객층 확보가 절실히 필요하다. 셋째, 거주지역의 인근 주변환경 및 지역을 활용한 공연예술관람 행사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공연예술관람 소비자인 관람객의 소비 결정요인에 대한 과정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공연예술관람의 방향성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더 나아가 본 연구를 통해 문화예술의 관람객 유치 및 재원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로 국가문화예술산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기획논문 : 한국 무당굿의 학제적 통섭적 연구 -서울진오기굿을 중심으로 ; 무당굿의 공연학적 특성: 서울 진진오기굿의 경우 -"밀양손씨" 진진오기굿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익두 ( Ik Doo Kim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1 공연문화연구 Vol.0 No.22

        본 연구는 무당굿의 공연학적 특성을 구체적으로 구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두 가지 무당굿 양식인 남부 세습무 무당굿과 중북부 강신무 무당굿을 비교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대표적인 남부 세습무 무당굿인 ``진도 씻김굿``과 중북부 강신무 무당굿인 ``서울 진오기굿``의 공연민족지를 작성하여, 이 두 가지를 비교·대조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게 되었다. 첫째, 두 공연 양식은 같은 무당굿이면서도 공연학적으로는 서로 매우 다른 공연 양식임이 드러난다. 둘째, 공연요소 상의 특징으로는, 진도씻김굿이 ``청각중심의 공연미학``을 추구하는 경향을 보이는 데 비해, 서울 진진오기굿은 ``시각중심의 공연미학``을 지향하는 경향이 강하다. 셋째, 공연 양식상의 특징으로는, 진도씻김굿이 ``서사적 공연 양식``인 반면에, 서울 진진오기굿은 ``연극적 공연 양식``이다. 이 점은 같은 무당굿이라고 하더라도 양식적인 측면에서 혹은 공연학적인 측면에서는 그것들이 얼마나 서로 다를 수 있는 것인가를 잘 보여주는 측면이다. 넷째, 공연 중에 일어나는 변환/변신의 측면에서는, 특히 서울 진오기굿이 ``일시적 변환``과 ``지속적 변환``을 적절히 융합하는 매우 조화로운 공연 양식임이 드러난다. 다섯째, ``사회극-무대극``의 관계상의 특징으로는, 서울 진오기굿이 ``사회극(social drama)``과 ``무대극(stage drama)``의 조화로운 융합 관계를 성취하고 있다는 점이 드러난다. 여섯째, 공연의 본질적 특성으로는, 진도 씻김굿이 ``삶과 죽음을 서사적으로 통합``하는 공연 양식이라면, 서울 진오기굿은 ``삶과 죽음을 현전적으로 통합``하는 공연 양식이라는 점에 가장 근본적인 특징이 드러난다. Performers of ``Seoul Jinjinokigut`` point to aesthetics of performance centered on sense of sight, not sense of hearing. ``Seoul Jinjinokigut`` is a kind of theatrical mode of performance, not narrative mode of performance. Performers of ``Seoul Jinjinokigut`` succeed in making of relationships of harmonious fusion between ``social drama`` and ``stage drama`` through performing of Jinjinokigut. ``Seoul Jinjinokigut`` is a kind of mode of performance that fuses life and death, not narratively but theatr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