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장애여성과 비장애여성의 가정폭력 실태 비교분석

        서해정,김숙향 한국장애인개발원 2019 장애인복지연구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actual situations of each type of domestic violence against disabled women and non-disabled women. To this end, this study used the 2017 fact-finding data on domestic violence against disabled women researched by the Korean Disabled Women Federation, and the 2016 fact-finding data on domestic violence nationwide research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damage rate of domestic violence against total disabled women based on 2017 was 57.4%, namely about 6 out of 10 disabled women experienced domestic violence. This showed five times higher than 12.1% of domestic violence damage rate from the spouses for one year in comparison with domestic violence researched nationwide in 2016. In comparison of disabled women with non-disabled women by domestic violence type, sexual violence was the most serious (15.4 times higher), followed by economic violence (14.4 times higher), physical violence (10.7 times higher), emotional violence (4.6 times higher), and control (1.6 times higher). Therefore disabled women felt quite higher level of fear and threat from domestic violence than non-disabled women; however they just showed passive responses including no response, when actual domestic violence occurred. Among the disabled women, those in their 30s to 40s and those with minor disability of intellectual disability by disability typ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all domestic violence types.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measures to root out domestic violence against disabled women.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장애여성과 비장애여성의 가정폭력 유형별 실태를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위해 2017년 한국여성장애인연합에서 조사한 여성장애인가정폭력실태조사 자료와 2016년 여성가족부에서 수행한 전국 가정폭력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2017년 기준 여성장애인 가정폭력 피해율은 57.4%로 10명 중 약 6명은 가정폭력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2016년 전 국민 대상 가정폭력 피해 조사결과와 비교해 보면, 지난 1년간 배우자로부터 경험한 가정폭력 피해율 12.1%보다 약 5배 정도 높은 비율을 보였다. 장애여성과 비장애여성의 가정폭력 유형별로 그 실태를 비교했을 때 성적 폭력이 비장애여성보다 15.4배 높아 가장 심각하였고, 그 다음, 경제적 폭력은 14.4배, 신체적 폭력은 10.7배, 정서적 폭력은 4.6배, 통제는 1.6배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로 인해 장애여성들은 비장애여성보다 상당한 수준의 가정폭력에 대한 공포심과 위협을 느끼고 있었으나 실제 가정폭력이 발생했을 때 아무런 대응을 못하는 등 소극적인 대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여성 중 30~40대, 지적장애가 있는 장애여성들은 모든 가정폭력 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근거로 장애여성의 가정폭력을 근절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여성장애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저해요인에 관한 설문지 개발

        이지현 ( Ji-hyun Lee ),김지태 ( Ji-tae Kim ),홍상민 ( Sang-min Hong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6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4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여성장애인들에게 적합한 여가스포츠 활동 저해요인의 설문지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538명의 여성지체장애인으로 크게 3단계로 나누어져 진행되었다. 우선 여가활동 저해요인에 관한 구성개념을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을 통해 탐색한 후 여성장애인 93명에게 개방형 질문지와 인터뷰를 바탕으로 여가스포츠 활동 저해요인에 대한 32개의 예비설문 문항을 작성하였다. 이후 작성된 예비설문지의 요인 탐색을 위한 예비조사는 장애인복지관에 다니는 여성장애인 101명을 대상으로 평균, 표준편차, 첨도, 왜도를 이용한 문항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마지막으로 설문지의 타당화 작업을 위하여 여성장애인 344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과 문항 간 구조관계를 검증, 개발된 설문지가 집단 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동일성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을 통해 예비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토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1문항의 본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도출된 21문항들은 이론적 근거 하에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과정과 과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신뢰도와 타당도가 위배되지 않은 설문지로 개발되었다. 중년층, 장년층의 그룹과 중증장애, 경증장애 그룹으로 구분하여 동일성검증을 실시한 결과, 각각의 두 집단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개발된 설문지가 어느 집단에서도 동일성검증이 확보되었음을 알 수 있게 해준 결과였다. 이와 같이 여성장애인의 여가활동 저해요인에 관한 설문지 개발을 통해 여성장애인의 여가활동을 심층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questionnaire to objectively measure the factors impeding leisure sport activity of women with disability. Research subjects were a total of 538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for survey of 3 stages. Specifically, in the 1st stage, constructs concerning factors impeding the first leisure activity were explored, and then open-end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were distributed to 93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were drawn up 32 preliminary questionnaire items. In the 2nd stage, the average of the question items, standard deviation, kurtosis, skewnes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sis were carried out on 101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the last 3rd stage of survey, validation of preliminary questionnaire, which used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identity verification, was carried out on 344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Validity and reliability of preliminary questionnaire were examined by the above research methods, and the final questionnaire of 21 items was developed. Also, to confirm whether the finally developed questionnaire could be equally applied to different groups, identity verification was carried out for the groups of the middle and high-aged and the groups of severe disabilities and mild disabilities. The result of identity verification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f each set of groups, which confirmed that the developed questionnaire passed identity verification for any group. This study would serve as a momentum for in-depth research on leisure activity of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 KCI등재

        여성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 장애의 심각성, 우울, 자존감, 자기효능감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종단적 효과

        김영미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3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6 No.4

        연구목적 이 연구는 장애 특이적 변인으로서 장애수용과 장애의 심각성, 그리고 심리 내적 변인으로서 우울, 자존감, 자기효능감이 여성 지체장애인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종단적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이 연구의 대상은 지체장애가 있는 571명의 여성이었고,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장애인 고용패널 2차웨이브 6차연도, 7차연도까지 수집된 자료에서 추출되었다. 이 연구는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장애 특이적변인과 심리 내적 변인의 장래 삶의 만족에 대한 종단적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6차 시점의 삶의 만족이 7차 시점의 삶의 만족에 대한 자기회귀 효과는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6차 시점의 삶의 만족의 7차 시점의 삶의 만족에 대한 효과를 통제한 뒤에 통제변인으로서 연령대, 혼인상태, 경제활동상태, 주관적 경제적 지위, 학력, 신체적 건강은 7차 시점의 삶의 만족을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하였다. 셋째, 6차 시점의 삶의 만족과 통제변인의 7차 시점의 삶의 만족에 대한 효과를 통제한 뒤에 장애의 심각성과 장애수용은 7차 시점의 삶의 만족을 유의하게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넷째, 6차 시점의 삶의 만족, 통제변인, 장애 특이적 변인의 7차 시점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효과를 통제한 뒤에 우울과 자존감은 7차 시점의 삶의만족을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하였으나, 자기효능감은 7차 시점의 삶의 만족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결론 이 연구의 결과들은 선행 시점의 삶의 만족과 자기효능감이 후행 시점의 삶의 만족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제안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effects of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severity of disability as disability-specific variables, depression, self-esteem, and self-efficacy as psychological internal variables on life satisfaction in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Metho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571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e data of this study came from the 6th to 7th time points in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2nd Wave.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effects of disability-specific variables and psychological internal variables on life satisfaction in the future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the auto-regressive effect of the 6th time point’s life satisfaction on the 7th time point was positively significant. Second, age group, marital status, economic activity status, subjective economic status, level of education, and physical health as control variables did not significantly predict in the 7th time point’s life satisfaction after controlling the effect of the 6th time point’s life satisfaction. Third, the severity of disability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did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predict the 7th time point’s life satisfaction after controlling the effects of the 6th life satisfaction and control variables. Fourth, depression and self-esteem did not significantly predict the 7th time point’s life satisfaction, but self-efficacy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predicted the 7th time point’s life satisfaction after controlling the effects of the 6th time point’s life satisfaction, control variables, and disability-specific variabl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previous time point’s lif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play a significant role in predicting the following time point’s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지체장애여성들의 취업 결정 요인

        이준상 한국직업재활학회 2015 職業再活硏究 Vol.25 No.2

        This study aims at seeking alternatives to assist in employment activities of women with disabilities by understanding factors which have effects on entry into the labor market and job retention of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who are bringing up their children.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49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who are rearing their children, and it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found that only 28.7% of survey subjects were engaged in employment activities, which indicates that the employment rate of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is low. Secondly, the more positive the level of recognition of disabilities the subjects was, the less the level of help was, which is needed when they were moving, the higher they self-esteem was, and the more the level of their husbands' cooperation and help from others around them was, the higher the percentage of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employed was. Thirdly, as employment decision factors of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who were rearing children, the average monthly income of households, status of husbands' disabilities, disability rating, disability reasons, self-esteem, and assistance from others around the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the study founds. Based on these findings, some suggestions were provided to assist in employment activities of women with disabilities. 이 연구는 장애여성 중에서도 지체장애를 가지고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기혼장애여성들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취업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러한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지체장애여성 34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28.7%만이 취업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체장애여성들의 취업률이 낮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조사대상자들이 장애에 대한 지각정도가 긍정적일수록, 이동시 필요한 도움정도가 적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남편의 협력과 주위의 도움정도가 많을수록 취업을 한 장애여성의 비율이 높았다. 셋째,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지체장애여성의 취업결정요인으로 가족 월평균 수입, 남편 장애 유무, 장애등급, 장애원인, 자아존중감, 주위의 도움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장애여성들의 취업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여성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실태 및 활성화 방안

        김미혜,김권일 한국융합과학회 2019 한국융합과학회지 Vol.8 No.4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 특성 및 체육활동 참여 여건을 파악하고, 여성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6, 2017, 2018년 장애인 생활체육 실태조사 결과보고서를 검토하고 해당 문항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첫째, 지난 3년간 남성장애인 대비 여성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율은 약간 낮은 수준이었다. 둘째, 여성장애인은 친구/지인의 권유보다는 자발적 의사로 체육활동에 참여를 결정하였다. 셋째, 여성장애인의 주변 공공체육시설의 인지율은 50%에 불과하였다. 넷째, 여성장애인이 주로하는 운동은 걷기, 가벼운 달리기, 수영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 : 첫째, TV 외의 인터넷으로 스포츠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여성장애인은 주로 혼자서 운동한다는 점에서 클럽형, 교실형의 참여를 장려해야 한다. 셋째, 수영, 수중걷기, 아쿠아로빅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넷째, 2인의 지도자가 한팀으로 운영하는 1수업 2교사 제도를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여성지도자를 포함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시도장애인체육회와 협력하여 위원회 내 여성위원 할당제를 정책에 포함할 필요가 있다. Pu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on in sports and physical activity among women with disabilities and to suggest how to vitalize their participation in sports for all. Methods : A review of National Survey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2016, 2017 and 2018 reports of the National Sport Participation Surve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Results : First, the participation rates of women with disabilities in sports for all were slightly lower over the past three years than those of men with disabilities. Second, the women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sports and physical activity voluntarily. Third, only 50 percent of the women with disabilities knew there were sports facilities nearby, and they preferred to work out in their homes. Fourth, women with disabilities were mostly walking, jogging and swimming. Conclusion : First, it should promote accessing sports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utilizing multi-media sources, not solely via TV. Second, female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encouraged to participate in clubs and classes; our data indicates most of them currently exercise alone. Third, swimming, water jogging and aerobics, and other aquatic programs should be provided. Fourth, it is necessary to test-run a first-class, two-teacher, coed system. Leaders should work as a team, and include females whenever possible. Fifth, the local government should operate a women's committee quota system.

      • KCI등재

        여성 지체장애인의 우울, 자존감, 장애수용, 대인관계능력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종단적 효과

        김영미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1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4 No.4

        연구목적: 이 연구는 여성 지체장애인 589명의 우울, 자존감, 장애수용, 대인관계능력과 인구 및 사회경제적 변인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종단적 효과를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장애인고용패널 2차웨이브 4차와 5차년도 사이에 수집된 자료를 사용하여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독립변인들이 장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종단적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선행하는 삶의 만족이 장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자기회기효과를 통제한 뒤 연령, 경제활동상태, 신체적 건강, 혼인상태는 장래 삶의 만족을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하였으나, 주관적 경제적 지위, 학력은 장래 삶의 만족을 정적 방향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인구 및 사회경제적 변인과 삶의 만족이 장래 삶의 만족에 미치는 효과를 통제한 뒤 우울, 자존감, 대인관계능력은 장래 삶의 만족을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하였으나, 장애수용은 삶의 만족을 정적 방향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결론: 연구자는 여성 지체장애인의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학력, 장애수용의 향상을 통하여 삶의 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개입방법들과 교육적 정책을 제안하였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effects of depression, self-esteem, acceptance of dis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variable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589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Method: Data used in this study came from the fourth to fifth year in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Second Wave(PSED).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eff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on life satisfaction in the future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age, economic activity status, physical health, and marital status did not significantly predict life satisfaction in the future, but subjective economic status and level of education significantly predicted life satisfaction in the future after controlling the effect of previous life satisfaction on life satisfaction in the future. Second, depression,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did not significantly predict life satisfaction in the future. But acceptance of disability significantly predicted life satisfaction in the future, after controlling the effects of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variables on life satisfaction in the future. Conclusion: The researcher discussed intervention alternatives or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olicy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by increasing subjective economic status, level of education,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in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 KCI등재

        여성 지체장애인의 직업유지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이형열,신용석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23 GRI 연구논총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mpiricall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duration of job retention in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concerning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disabilities, health characteristic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mployment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nd explore ways to intervene with their occupational rehabilitation based on that to lengthen their job retention. To address the goal, this researcher used raw data from the 2nd wave of the 2021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and adopted 197 sheets directly related to this study for analysis. The data were process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tests, crossover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verified by tha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ed up as follows. First, regarding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period of job retention gets longer when they are older, have no spouse, or have a higher socioeconomic status. Second, concerning disability and health characteristics, the period of job retention is longer in those who do not work out ordinarily(unusual results). Third, about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period of job retention gets longer when they are more satisfied with their everyday life. Fourth, in terms of employment environment characteristics, the period of job retention gets longer when they get a higher average monthly income(wage and benefits) and are more satisfied with their job; however, oddly, the period of job retention gets longer when the company is small-sized (in terms of the number of worker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and implications above, this author suggests a plan to intervene with their occupational rehabilitation in order to lengthen job retention in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본 연구는 여성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개인적 특성, 장애 및 건강 특성, 심리적 특성, 고용환경 특성 변수가 직업유지기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며, 이를 바탕으로 여성 지체장애인의 직업유지 활성화를 위한 직업재활적개입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1년에 조사된 장애인고용패널 2차 웨이브의 원자료(raw data)를활용하였으며, 본 연구와 직접적 관련이 있는 197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신뢰도분석(reliability test), 집단간 차이는 t-검정(t-test)과 ANOVA, 피어슨 상관관계분석(Pearson 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통하여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결과로는, 첫째, 개인적 특성 변인에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배우자가 없는 경우, 사회경제적지위가 높을수록 직업유지기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 및 건강 특성 변인에서는 평소 운동을 하지 않을수록직업유지기간이 긴 것으로(특이한 결과)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특성 변인에서는 일상생활만족도가 높을수록 직업유지기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용환경 특성 변인에서는 월평균 소득(임금 및 복리후생)과 직장만족도가 높을수록직업유지기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으나, 특이하게도 기업규모(근로자 수)가 작을수록 직업유지기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와 함의를 근거로 하여, 여성 지체장애인의 직업유지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직업재활적 측면에서의개입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이혼을 경험한 여성지체장애인의 생애사 연구

        양정빈(Jung-Bin Yang),박미정(Mi-Jung Park)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5 여성연구 Vol.89 No.-

        In this study, the authors analyzed interview data of 7 physically disabled women based on a life history perspective to suggest practical interventions for increasing social awareness of disabled women. Data analysis used the analytic framework of Mandelbaum(1983) to describe dimensions, turnings, and adaptations in the post divorce experience of the participants. After the analysis, central themes in each domain emerged as follows : children, religion, social welfare service system, support group and education'in dimensions,'deprivation and resignation, hanging in there, self acceptance and search for my identity'in turnings, and 'showing the rejected body, solidarity of community, improvement of reality through my own body and pace' in adaptations, respectively. Based on the study results, several implications for disabled women were discussed: speculation of a new understanding on to marriage and divorce of physically disabled women, assignment of professional workforce mediating their conflicts in the process of marriage and divorce, activation of self-help groups in the community, build-up of comprehensive social service system, and bill proposal supporting for women with disabilities.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과 권리신장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이혼을 경험한 여성지체장애인 7인의 생애사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만델바움(Mandelbaum, 1983) 이 제시한 삶의 영역(dimensions), 삶의 전환점(turnings), 적응(adaptation)을 분석틀로 하였다. 연구 결과, 삶의 영역은 '자식, 종교, 사회복지서비스 체계, 자조모임과 공부', 삶의 전환점은 '박탈과 체념, 버티고 견디기, 자아수용과 자아 찾기', 적응은 '실존체로서의 몸 드러내기, 나눔과 연대의 공동체, 몸의 속도로 현실개선하기'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의거해, 여성지체장애인의 결혼과 이혼에 대한 재인식의 공론화, 장애인가족의 결혼과 이혼을 중재하는 기관에 전문인력 배치, 지역사회 자조모임의 활성화, 사회복지서비스 통합시스템 구축, 그리고 여성장애인 지원 법률안의 발의 등과 같은 정책 및 실천적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이혼을 경험한 여성지체장애인의 생애사 연구

        양정빈,박미정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5 여성연구 Vol. No.

        In this study, the authors analyzed interview data of 7 physically disabled women based on a life history perspective to suggest practical interventions for increasing social awareness of disabled women. Data analysis used the analytic framework of Mandelbaum(1983) to describe dimensions, turnings, and adaptations in the post divorce experience of the participants. After the analysis, central themes in each domain emerged as follows : children, religion, social welfare service system, support group and education in dimensions, deprivation and resignation, hanging in there, self acceptance and search for my identity in turnings, and showing the rejected body, solidarity of community, improvement of reality through my own body and pace in adaptations, respectively. Based on the study results, several implications for disabled women were discussed: speculation of a new understanding on to marriage and divorce of physically disabled women, assignment of professional workforce mediating their conflicts in the process of marriage and divorce, activation of self-help groups in the community, build-up of comprehensive social service system, and bill proposal supporting for women with disabilities.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과 권리신장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이혼을 경험한 여성지체장애인 7인의생애사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만델바움(Mandelbaum, 1983) 이 제시한 삶의영역(dimensions), 삶의 전환점(turnings), 적응(adaptation)을 분석틀로 하였다. 연구 결과, 삶의 영역은 자식, 종교, 사회복지서비스 체계, 자조모임과 공부 , 삶의 전환점은 박탈과 체념, 버티고 견디기, 자아수용과 자아 찾기 , 적응은 실존체로서의 몸 드러내기, 나눔과 연대의 공동체, 몸의 속도로 현실개선하기 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의거해, 여성지체장애인의 결혼과 이혼에 대한재인식의 공론화, 장애인가족의 결혼과 이혼을 중재하는 기관에 전문인력 배치, 지역사회 자조모임의 활성화, 사회복지서비스 통합시스템 구축, 그리고 여성장애인 지원 법률안의 발의 등과 같은 정책 및 실천적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결혼한 여성지체장애인의 삶의 경험에 대한 생애사적 고찰

        양정빈 ( Jung Bin Yang ),김소진 ( So Jin Kim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1 한국가족복지학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한 여성지체장애인들의 삶을 고찰함으로써 그들이 생애 과정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욕구들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실천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D 광역시 소재 여성장애인 관련 협회의 도움을 통해 결혼, 임신, 출산 및 양육을 경험한 5명의 지체장애여성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2010년 10월부터 2011년 1월까지 심층면접을 통해 질적 자료를 수집한 후, 생애사 접근으로 분석하였다. 생애사적 접근은 여성지체장애인들의 생애과정에서 체험된 억압적 경험들을 이끌어 냄으로써 장애를 가진 여성 당사자들의 문제를 본질적으로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에 연구자들은 연구 참여자들의 각 생애사를 분석한 뒤 전체 사례들을 재검토하여 4개의 주제로 통합할 수 있었다. 도출된 4개의 주제를 제시해 보면 ``장애에 대한 편견에 스며듦``, ``관계맺음을 통한 벽 허물기``, ``자녀에 대한 양가감정``, ``여성으로써의 삶에 대한 아쉬움`` 등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여성지체장애인들이 자신의 장애를 수용하도록 돕는 인식개선의 노력, 사회적 관계의 활성화, 자녀양육과 관련된 서비스의 확대 실시, 그리고 올바른 양육기술을 교육하고 자녀와의 상호작용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등과 같은 사회복지 실천적 지침들을 제언하였다.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of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to suggest appropriate social work interventions that can fulfill their unsolved needs. Five physically impaired women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from October in 2010 to January in 2011. All the participants had experiences of marriage, pregnancy, delivery and child rearing. Personal narratives collected were analyzed through constant comparative methods based on a biographical perspective. A biographical approach can help us understand their needs more intrinsically by making physically disabled women externalize their oppressed experiences in life. As a result of analysis, four major themes were extracted as the followings: ``permeated prejudice of disability``, ``tearing down a wall through creating relationships``, ``ambivalence toward children``, ``feeling a sense of frustration in life as a women``.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social work implications were discussed such as enhancement of awareness of disability by helping physically impaired women accept their disabilities, activation of social relationships, expansion of social services in the rearing of children, education of parenting skills,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for improving the interaction between disabled women and their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