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강신념모델에 기초한 20대 여성의 건강 행동 실천에 대한 식생활 지침과전통 식생활의 건강신념 수준 비교 분석: 식습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형주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24 산업혁신연구 Vol.40 No.1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델에 기초한 20대 여성의 건강 행동 실천에 대한 식생활 지침과 전통 식생활의 건강신념 수준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식습관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에 거주하는 20대 여성 2명을 선정하여 심층 면접 사전조사를 실시한 후, 이를 토대로 선행연구와 함께 서울 지역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2021년 10월 5일부터 10월 1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활 지침(골고루, 싱겁게, 칼로리 낮게) 건강신념 수준은 건강 행동 실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생활 지침(체중조절) 건강신념 수준(인지된 장애, 식이 자아효능감)은 건강 행동 실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생활 지침(건강기능식품) 건강신념 수준(식이자아효능감)은 건강 행동 실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전통 식생활 건강신념 수준(인지된 이익, 식이 자아효능감)은 건강 행동 실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식습관(식품선택 습관)은 식생활 지침(골고루, 싱겁게, 칼로리 낮게) 건강신념 수준(인지된 장애, 식이 자아효능감)과 건강 행동 실천 간에, 식생활 지침(체중조절) 건강신념 수준(식이 자아효능감)과 건강 행동 실천 간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습관(식 행동)은 식생활 지침(체중조절) 건강신념 수준(식이 자아효능감)과 건강 행동 실천 간에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통 식생활 건강신념 수준과 건강 행동 실천 간에 식습관(식품선택습관, 식 행동)은 조절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20대 여성들을 위한 건강 행동 실천력을 향상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etary life guidelines and traditional Korean foods of health belief levels for health behavior practices of 20s’ women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In addition,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eating habits. After we had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two 20s’ women in Seoul area, a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5th to October 15th, 2021 20s’ women in Seoul.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ealth belief level of the dietary life guidelines(evenly, not salty, low calori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ealth behavior practices. The health belief level(perceived barriers, dietary self-efficacy) of the dietary life guidelines(weight contro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ealth behavior practices. The health belief level(dietary self-efficacy) of the dietary life guidelines(health functional foo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ealth behavior practices. Second, health belief level(perceived benefits, dietary self-efficacy) of the traditional Koran food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ealth behavior practices. Third, Eating habits(food selection habits)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health belief levels(perceived barriers, dietary self-efficacy) of the dietary life guidelines(evenly, no salty, low calorie) and healthy behavior practices. Eating habits(food selection habits)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health belief levels(dietary self-efficacy) of the dietary life guidelines(weight control) and healthy behavior practices. Also, Eating habits(eating behavior)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health belief levels(dietary self-efficacy) of the dietary life guidelines(weight control) and healthy behavior practices. Forth, Eating habits had no moderating effect between health belief levels of the traditional Korean foods and health behavior pract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gave basic data to improve health behavior practices for 20s’ women.

      • KCI등재후보

        2015개정 실과교육과정에 기반한 예비교사 교육 방안- 실과 식생활 영역 심화 강의에 대한 비교 분석 -

        이성숙 한국실과교육학회 2016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9 No.3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operation conditions of dietary life areas in intensified course of practical arts education 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Korea in order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preliminary teachers education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Intensified course class of dietary life area includes 17 subjects in 11 universities with theory and practice for 7~8 semesters. Subjects opened included 'Dietary Life Education', 'Cooking Science and Practice', and 'Food·Nutrition (Education)' and these classes aimed at acquiring cooking methods, improving cooking abilities and developing cooking abilities to apply to real life at 'Cooking Science and Practice'. ‘Dietary Life Education’ focused on educational theory of dietary life area and teaching ability of dietary life class, followed by education of basic theories of nutrition, food, cooking, and right dietary life, and education of taste appears newly. The contents of classes included curriculum contents in cooking science and practice, and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and the themes of classes were mainly 'cooking practice', followed by 'cooking principles of food'. Lecture and practice were used a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paper test was mainly used as evaluation metho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nectivity with dietary life area of practical arts education curriculum revised in 2015, the subjects related to ‘cooking science and experiment’ showed the lack of contents in 'balanced dietary life', 'characteristics of food materials and taste of food' and included three areas in the subject related to 'dietary life education'. It seems to be desirable that classes of dietary life area based on the above results consist of 'dietary life education' and 'cooking science and practice' with three credits respectively for two subjects and 'dietary life education' is good for one subject. It will be desirable that ‘dietary life education’ should be composed to include the theory of dietary life education, food, cooking, dietary culture, safety and taste education, 'cooking science and practice' to include cooking science, cooking principles and taste education. Especially, complement for safety and taste education, major items of dietary life area of practical arts education revised in 2015, is needed. 이 연구는 전국 교육대학교 실과 심화과정 식생활 영역의 운영 실태를 비교, 분석하여 예비교사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였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식생활영역 심화과정 강좌는 11개교에서 17개 과목이 개설되어 있었고, 대부분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여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이수 시기는 주로 7~8학기이었다. 개설 과목은 ‘식생활교육’, ‘조리과학 및 실습’, ‘식품영양’ 관련 과목으로 구분되었으며, 강의 목표는 ‘조리과학 및 실습’에서는 조리 방법 습득, 조리 능력 함양, 조리 시 식품의 변화, 실생활에 적용 능력 등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식생활교육’에서는 식생활영역 교육 이론, 식생활 수업의 지도능력 함양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영양학, 식품학, 조리학 관련 기초 이론, 바른 식생활 등이 주를 이루고 있었고, 미각교육이 새롭게 등장하고 있었다. 강의 내용은 조리과학 및 실습과 식품영양은 교과 내용학 이었으며, 강의 주제(강의 내용)는 ‘조리 실습’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식품별 조리 원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교수학습 방법은 강의와 실습이 주로 활용되고 있었으며, 평가 방법은 지필 평가가 가장 많았다.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 식생활 영역과의 연계성을 분석한 결과 ‘조리과학 및 실험’관련 과목은 ‘균형 잡힌 식생활’, ‘식재료의 특성과 음식의 맛’ 내용이 미흡하고 ‘식생활교육’관련 과목은 3영역을 골고루 포함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과 심화과정 식생활 영역의 강의 구성은 ‘식생활교육’과 ‘조리과학 및 실습’으로 3학점씩 2과목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며, 1과목일 경우에는 ‘식생활교육’이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식생활교육’은 식생활교육론, 식품, 조리, 식문화, 안전, 미각교육 등이 골고루 포함되도록 구성하고, ‘조리과학 및 실습’은 조리과학, 조리 원리, 미각 교육을 포함한 실습 위주의 교과목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 식생활 영역의 중점 사항인 안전과 미각교육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佛家의 食生活과 修行의 연관성

        김민희 대각사상연구원 2010 大覺思想 Vol.13 No.-

        인간은 몸과 마음이 건강한 생활을 원한다. 인간이 생존하기 위한 기 본요소인 의ㆍ식ㆍ주 중에서 식은 단순하게는 배고픔과 몸을 유지하는 것이며 건강은 물론 사람과의 관계를 이어가는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한 다. 이러한 식생활의 가치는 생명유지ㆍ종족보존ㆍ건강증진과 체험을 통 한 조화로움에서 발휘되고 있다. 과거와는 다르게 현대사회는 산재된 식 품 때문에 생명의 위협까지 받는 실정이다. 식생활이라 하면 음식을 만 들어 먹는 것과 관련된 제반 활동을 말하는 것이고, 식생활의 식이란 음 식물 자체 혹은 음식물의 섭취의 의미이며, 먹는다는 것은 인간의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요소이며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식생활은 식생활에 대한 다양한 요구와 사회적ㆍ경제적ㆍ환경적ㆍ기술적인 요인으 로 변화를 이루었다. 사람 또한 식생활에 대한 관념이나 행위양식이 변 화하는 것은 문화적 현상이다. 문화란 어떤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볼 수 있는 행동양식이 그 지역 사람들에게 습득되어 다음 세대로 전달되는 것 으로 먹는 것에 관련된 행동양식을 식문화라 하며, 식생활의 변화요인은 새로운 양식의 식문화에 영향을 미친다. 한 사회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항상 문제에 접하게 되고 이를 해결하는 새로운 방법을 시도하기 때문이 다. 특히 종교는 사고의 질적 향상으로 사회적 가치관과 인간성 회복의 변화를 끌어낸다. 그 중에서 불교의 식생활 문화는 건강한 생존과 궁극 적인 깨달음의 수행 측면을 함께 나타내는 불교적 식생활 문화현상으로 볼 수 있다. 불교 식생활의 특징인 불가의 음식은 음식이 있기까지의 수 많은 사람의 노고와 자연환경에 대한 감사와 시주자의 은덕을 생각하고, 음식에 대한 탐심을 소멸하고 청정한 몸을 만드는 요소로 생각하며, 사 계절의 다양한 재료들의 조화와 일미의 창조성을 표현하는 수행적인 식 생활이다. 이러한 불가의 식생활 중에서 발우공양법은 오늘날의 문제로 제기된 웰빙(well-being)과 웰다잉(well-dying)의 과제에 대한 답안일 수 도 있다. 그래서 불가의 식생활의 고찰을 Ⅱ.에서 초기불교교단의 식생활과 발 우에 나타나는 사상을 (1)수행의 의미 (2)전법의 의미 (3)법식의 의미로 정리하였으며, Ⅲ. 식생활에 나타나는 수행관에서 걸식수행과 조화로운 음식수행으로 정리하였다. Ⅳ.장은 식생활의 관리법이다. 행복한 삶의 기 본조건은 몸과 마음의 건강이며, 몸과 마음을 잘 관리하는 적극적인 실 천에 있기 때문에 1. 일상적인 식생활과 2. 수행적인 식생활로 나누었다. 그 이유는 불가의 식생활은 대부분이 출가자 중심의 생활이다. 그러나 일상적인 식생활은 출가자와 재가자의 구분을 떠난 일상적인 기본 생활 로 보았기 때문에, 이 일상적인 식생활에서 인간성 회복과 좋은 습관, 즉 올바른 식습관으로 건강한 삶의 바탕을 이뤄내는 것이고, 수행적인 식생 활에서는 일상적인 식생활 안에 수행과 깨달음이라는 다른 의미를 부가 한 것이다. 따라서 불가의 식생활이 지향하는 자세와 정신을 재인식하여 일상적인 식생활을 겸허한 자세 즉 ‘여법한 행’을 한다면 밖으로는 생명 을 유지하고, 안으로는 법식으로 지혜를 자라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건강한 삶은 물론 깨달음의 자량을 갖추게 된다. 일상적이든 수행적이든 간에 이들의 가치는 지키고 실천을 통해서 이 뤄낼 수 있다. 따라서 불가의 식생활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건강한 식습 관, 철저한 수행관을 바탕으로 한 식생활은 참다운 삶을 발현할 것이다. Humans desire healthy mental and physical lives. At the same time, human lives are threatened by fast food culture in the modern society. The changes in our diets are imminent and inevitable. Humans require 3 bare necessities to live: food, clothing and shelter. Food not only is essential for our lives, but also has developed in social, economical, environmental and technical aspects. Therefore, changes in concepts and styles of dietary lives can be interpreted in cultural terms. The definition of culture is the behaviors and beliefs acquired by a particular social group and passed on to the next generation. Culture that involves dietary life of a certain social or ethnic group is referred to as “dietary culture.” Changes in dietary lives shape or give rise to different dietary culture, especially in religion. Dietary practices in Buddhism can be seen as cultural phenomena that reflect healthful living and the road to the Enlightenment. The dietary practice of Buddhists is distinctive because Buddhists perceive eating as means to appreciate the nature and the offerer as well as to resist greed and to express creativity. Among dietary practices of Buddhists, “formal meal” can provide possible solution that leads to “well-being” and “well-dying.” In part II, the meaning of asceticism, missionary and dietary ritual is discussed. In part III, the importance of dietary practice through practicing moderation in eating and religious mendicancy is discussed. Part IV draws a clear line between dietary practices in everyday life and that in religious life. The Buddhist dietary lifestyle is focused on religious practices. Thus, the Buddhist diet is different from the ordinary one in that Buddhist dietary practices involve the significance of the Enlightenment and asceticism. By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the Buddhist dietary lifestyle, Buddha’s teachings can be observed, and the Enlightenment can be reached. The worthiness of good dietary life, whether ordinary or religious, can only be earned through practice. Therefore, the Buddhist dietary lifestyle based on thorough asceticism and strict dietary practices is the fruit of effort and the work upon oneself.

      • KCI등재

        통일을 대비한 초등실과 가정생활교육 방안(Ⅲ)- 식생활 및 주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정미경,김유정 한국실과교육학회 200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of Unification Education in dietary life and housing area of practical Arts of elementary school as a preparation for the unification of Korea. First, this study introduces the basic direction for Unification Education and the current situation. Then it suggests the problems of elementary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with the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guidebooks, curriculum commentaries, periodical journal, and the thesis. It also collects and analyses the information on North Koreans' dietary life and ho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it confirms that the practical arts is a very useful subject in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point of that it can be approached by the life cultural approach method for the elementary Unification Education.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cognition on the issue and it needs studies which are more practical. Second, the dietary life of North Koreans had depended upon food rationing mechanism in the aspect of food supply, however the conventional mechanism has been broken down with extremely severe shortages of food since the mid 1990s. The shortages of food are reported to remain sever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n North Korea, the value of food is determined predominantly by its quantity, rather than its nutritions, taste or flavor, texture or preference, meal factories are operated for the purpose of securing female labor force, and thus, the dietary life of North Koreans differs much from that of South Koreans. Third, the housing of North Koreans involves public housing lease system in which they should make monthly payment for their rental houses assigned by the national authorities. Moreover, their houses are not furnished with proper water supplies or kitchen tables. Such the poor residential environment is attributed to economic hardship, and the housing supply policy is derived from their social system. Fourth, the aim to obtain the basic knowledge of North Korean dietary life and housing and inqure the North Korean dietary and housing based on the knowledge to develop a shared racial consciousness was established. Instructions & learning methods were suggested for the Unification Education in dietary life and housing area of Practical Arts Education. 본 연구는 초등 실과 ‘식생활 및 주생활’ 영역에서의 통일교육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실과교과에서의 통일교육의 실제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으며, 통일교육에 관련된 연구 논문과 단행본, 통일부의 통일교육 관련 발간물 등의 문헌 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통일교육의 기본방향과 현황을 소개하고, 초등 실과교과서의 통일교육의 문제점들을 제시하였다. 또한 북한 정보에 대한 웹사이트, 인터넷 신문기사 등을 검색하여 북한의 식생활 및 주생활에 관한 정보를 수집·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첫째, 우리나라 통일교육의 체제에서 실과교과는 최근의 초등학교 통일교육에서 추구하는 생활 문화적 접근이 가능한 교과로서 그 역할을 담당할 수 있으나 여전히 그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므로 더 많은 실제적 연구의 수행이 요구되고 있었다. 이는 실과교과의 각 생활영역에 해당하는 북한의 현황에 대한 이해가 통일교육방안의 마련에 반드시 수반되어야 함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북한의 식생활은 공급면에서 식량배급제에 의존해 왔으나, 1990년대 중반 이후 심각한 식량난을 겪으면서 배급제가 와해되었으며, 여전히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에서는 음식의 가치도 영양, 맛, 질감, 기호보다는 분량에 가장 큰 비중을 두며, 여성들의 노동력 확보를 위해 밥공장을 운영하는 등 남한의 식생활 문화와는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북한의 주생활은 주택을 국가로부터 배정받아 매달 사용료를 내는 임대형식으로 이루어진다. 북한의 가정에는 급수장치 및 조리대가 제대로 구비되어 있지 않는데, 이러한 북한의 열악한 주거 환경은 경제적 궁핍에 기인한 것이고, 주택의 공급 정책은 사회제도에 기인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넷째, 초등실과 식생활 및 주생활 영역에서의 통일교육은 ‘북한 식생활 및 주생활에 대한 기초지식을 습득하고, 북한의 식생활 및 주생활 문화를 탐구함으로써 남북한 민족 공동체 의식을 함양할 수 있다’로 목표를 설정하였으며, 북한의 식생활 및 주생활 현황과 교육내용을 바탕으로 실과 5,6학년 교과서의 식생활 및 주생활 단원에 관련된 통일교육내용과 교수-학습방법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식생활교육이 건강식생활 실천 및 식생활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충남 식생활교육네트워크 활동지역과 비활동지역 비교를 중심으로-

        조춘봉(Cho, Chun-Bong),최루미(Choi, Roo-Mi),강국주(Kang, Kook-Joo) 한국외식경영학회 2018 외식경영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식생활 관련 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과 경험이 없는 집단을 비교하고, 동시에 식생활교육 필요성의 인식 정도에 따라 건강 식생활 실천 및 만족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조사대상 및 범위로는 충남도내 사단법인 식생활교육네트워크 체제로 활동하고 있는 지역과 인근의 비활동 지역 초․중․고․대학생 및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지조사 법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도구로는 t-검정과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활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과 없는 집단 간의 식생활교육 필요성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식생활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과 없는 집단 간의 건강식생활 실천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식생활교육은 식생활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식생활교육 만족도는 건강식생활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dietary-related education experience group with the inexperienced group and at the same time, to analyze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healthy dietary practice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erception level of dietary education necessity. The subjects and scope of the survey were analyzed by questionnaire survey method in the areas of dietary education network system in Chungcheong province and in the inactive areas of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college students and the general public. The t-test and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the analysis tool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necessity of dietary education among the group with and without dietary education experience. Second, dietary education influenced the practice of healthy diet life. Third, dietary education influenced the satisfaction of dietary education. Fourth, satisfaction with dietary education affects healthy dietary practice.

      • KCI등재

        식생활교육이 건강식생활 실천 및 식생활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충남 식생활교육네트워크 활동지역과 비활동지역 비교를 중심으로-

        최루미,강국주,조춘봉 한국외식경영학회 2018 외식경영연구 Vol.21 No.1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dietary-related education experience group with the inexperienced group and at the same time, to analyze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healthy dietary practice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erception level of dietary education necessity. The subjects and scope of the survey were analyzed by questionnaire survey method in the areas of dietary education network system in Chungcheong province and in the inactive areas of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college students and the general public. The t-test and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the analysis tool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necessity of dietary education among the group with and without dietary education experience. Second, dietary education influenced the practice of healthy diet life. Third, dietary education influenced the satisfaction of dietary education. Fourth, satisfaction with dietary education affects healthy dietary practice. 본 연구는 식생활 관련 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과 경험이 없는 집단을 비교하고, 동시에 식생활교육 필요성의 인식 정도에 따라 건강 식생활 실천 및 만족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조사대상 및 범위로는 충남도내 사단법인 식생활교육네트워크 체제로 활동하고 있는 지역과 인근의 비활동 지역 초․중․고․대학생 및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지조사 법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도구로는 t-검정과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활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과 없는 집단 간의 식생활교육 필요성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식생활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과 없는 집단 간의 건강식생활 실천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식생활교육은 식생활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식생활교육 만족도는 건강식생활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충북지역 일부 초등학생의 식습관과 식지식 비교 및 조리 실습 교육에 대한 평가

        김지희(Ji Hee Kim),박혜원(Hae Won Park),조혜란(Hae Ran Cho),주지형(Jihyeung Ju)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11 생활과학연구논총 Vol.15 No.1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dietary habit and knowledge as well as evaluation on a culinary practice among elementary students. A small-scale survey was conducted among a total of 61 elementary students (male 52.5%, female 47.5%) in Cheongju, Chungbuk. The subjects were found to have low preference on red pepper and pea by a preliminary survey performed prior to the culinary practice. The culinary practice therefore was designed to include red-pepper and pea as material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1) dietary habits of the subjects were scored in a range of 2.7-4.8 points(mean) out of 5 points, and dietary knowledges of the subjects were scored in a range of 4.1-4.8 points(mean) out of 5 points; 2) dietary habit scores were lower than the corresponding knowledge scores(p<0.05); 3) 95.0% of the subjects had an experience in attending an experiment/practice type of classes, but none of the subjects had an experience in culinary practice; 4) the culinary practice designed for this study was scored high compared to other experiment/practice courses in the respect of participation(p<0.001), understanding (p<0.0005) and satisfaction(p<0.01).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for elementary students to apply knowledge on diet to their dietary life. The culinary practice might be an effective way to improve their undesirable dietary habits. Further large-scale study remains to be done.

      • KCI등재

        어머니의 종합적 식사지도와 유아의 식생활 실천과의 관계

        조명일,계승희 한국영양학회 2022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5 No.1

        Purpose: This study deter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comprehensive feeding practices (CFP) and dietary practices of preschool children. Methods: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27 mothers of children aged 3 to 5 years attending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of Korea. The Comprehensive Feeding Practices 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the maternal feeding practices. The Nutrition Quotient for Preschoolers (NQ-P) was measured to evaluate dietary practice and diet quality of children. Results: The balance of NQ-P for childre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modeling, restrictions for weight control, encouragement of balance and variety, pressure, and involvement among maternal CFP. Moderation of NQ-P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onitoring, modeling, teaching about nutrition, encouragement of balance and variety, environment, and involvement among maternal CFP. However,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 regulation, food as a reward, and child control in maternal CFP. Among maternal CFP, the environment of NQ-P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onitoring, modeling, teaching about nutrition, encouragement of balance and variety, environment, and involvement, and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 regulation. A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aternal CFP that positively predicted balance of NQ-P indices were restricted for weight control, pressure, and involvement. Among maternal CFP, encouragement of balance and variety, and environment were positive predictors, while food as a reward, and child control were negative predictors for the moderation of NQ-P. Items of maternal CFP positively predicting environmental factors of NQ-P were monitoring and environment. Conclusion: Mothers are recommended to practice dietary guidance to their children, such as monitoring, modeling, teaching about nutritional information, recommendation of balance and diversity, healthy eating environment, and participation in meal plan and preparation, while they are advised not to conduct any adverse dietary guidance such as emotional control, compensation with food, child control, and food coercion.

      • KCI등재

        보육시설의 영양사 배치를 통한 영양교육 및 효과 평가

        장혜자(Hye Ja Chang),고은선(Eun Seon Ko)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7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with nutrition services provided by dietitians who were placed in child care facilities from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For this, we investigated the levels of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intakes of children who attended child-care centers as well as dietary practices of children assessed by their parents. The treatment for children consisted of nutrition education and food service activities that are provided by the dietitian who have 3 to 5 years experience. Nutrition education was implemented during 10 weeks, 20 times, and a total 400 min and it`s effectiveness was evaluated by questionnaire. Data were obtained for 123 children aged 4 to 5 years old who attended four child-care centers, one for a control group and 3 for intervention groups. Dietary intakes were investigated by measuring one-serving size and plate waste a of child for one-day dietary records before and after nutrition education. The levels of nutrition knowledge of children improved showing 70.80 points before to 83.45 points after nutrition education (p < 0.001). Dietary intakes of the children after nutrition service increased significantly on cooked rice (133.66 g), Kimchi (19.41 g), side dish of meat/fish (48.40 g), and side dish of vegetables (24.88 g). Dietary practices of children after treatment also improved especially ``eat diverse meat, fish, egg, and bean`` and ``never leave plate waste``. To summarize, this study pointed out that nutrition service and nutrition education provided by dietitians had influences on increases of the nutrition knowledge, dietary intake, and dietary practices. Therefore, placement of dietitians needs to extend to child care facilities from the 100 persons-over-capacity facility to the 50 persons-over-capacity facility, for providing professional service such as nutrition education and nutrition counseling.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2(3) : 299~309, 2007)

      • KCI등재

        대전지역 일부 남자 대학생의 군복무 경험이 바른식생활에 관한 인지도 및 실천에 미치는 영향

        임소빈,유경혜,이선영 한국생활과학회 2019 한국생활과학회지 Vol.28 No.5

        이 연구에서는 남자 대학생들의 군복무 경험에 따른 ‘바른식생활’에 관한 인지도와 실천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전 지역 한 대학교의 남학생 ​​250 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지는 ‘바른식생활’의 3대 핵심가치인 환경, 건강, 배려의 항목들에 대하여 개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군복무 집단(MSF)은 109명(43.6%), 미복무 집단 (MSN)은 141명(56.4%)이었다. MSF에서 바른식생활에 관한 인지도와 실천도의 점수는 MSN에 비하여 높았다. 바른식생활에 관한 인지도는 전체 대상자에서 3.68±1.29 점이었고 MSF의 점수는 MSN의 점수보다 높았다(p<.05). 바른식생활의 실천도에 대한 전체 대상자의 평균 점수는 3.17±0.41점이었고, ‘환경 친화적 식생활’ 실천도 평균은 3.12±0.57점, ‘건강한 한국형 식생활 실천도’ 평균은 3.34±0.45점, ‘감사하고 배려하는 식생활’ 평균은 3.04±0.62점이었다. MSF의 점수가 MSN의 점수보다 높은 하위 항목은 환경 친화적인 식생활 실천도에서는 '개인 컵 사용하기'(p<.001), '일회용 제품 사용 안하기'(p<.01) 및 '알맞게 주문하고 남은 음식은 포장해 가기'(p<.001)였으며 ‘건강한 한국형 식생활 실천도’에서는 '밥 중심의 한식 먹기', '함께 식사하기'(p<.01)와 ‘행복하게 식사하기’였고 감사하고 배려하는 식생활 실천도에서는 '식품 생산에 참여하기'(p <.01), '감사하고 배려하는 식생활 실천도'에서는 ‘함께 요리하기’(p<.01)와 ‘먹을거리 생산 현장에 참여하기’(p<.01), ‘어려운 이웃과 음식 나누기’(p<.05), ‘어려운 이웃과 음식 나누기’(p<.05)였다. 바른식생활 인지도 및 실천도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감사하고 배려하는 식생활’의 실천도는 인지도 및 다른 세부 항목의 실천도와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practice of good dietary behavior (environment, health, gratitude) and the relationship with military service experience. This survey was conducted on 250 male university students in the Daejeon area.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a guideline for adults to practice a good dietary lifestyle. The results are as follow. The military service finished group (MSF) comprised 109 (43.6%) persons, military service not served group (MSN) comprised 141 (56.4%) persons. The scores of awareness and practice of good dietary behavior in the MSF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MSN group. The mean score of awareness for good dietary behavior was 3.68±1.29 points and the score for the MSF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MSN group (p<.05). The average score of practicing good dietary behavior was 3.17±0.41 points. The sub-items in which the MSF group’s scor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MSN group were ‘using a private cup’ (p <.001), ‘do not use disposable products’ (p<.01) and ‘package the leftovers’ (p <.001) in ‘eco-friendly dietary behavior’, ‘dine together’ (p<.01) ‘happily dine’ (p <.001), and ‘rice-based diet’ in ‘healthy Korean style eating practice’ and ‘cooking together’ (p<.01) and ‘participating in food production’ (p<.01), ‘sharing food with neighbors’ (p<.05) in ‘eating behavior of appreciation and consider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p<.05) between the awareness and practice of good dietary behavior (p<.05). In particular, the awarenes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eating behavior of appreciation and consideration’ (p<.0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