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Empirical assessment of design patterns' fault-proneness at different granularity levels

        Mohammed, Mawal A.,Elish, Mahmoud O. Techno-Press 2017 Advances in computational design Vol.2 No.4

        There are several claimed benefits for the impact of design patterns (DPs) on software quality. However, the association between design patterns and fault-proneness has been a controversial issue. In this work, we evaluate the fault-proneness of design patterns at four levels: the design level, category level, pattern level, and role level. We used five subject systems in our empirical study. As a result, we found that, at the design level, the classes that participate in the design patterns are less fault-prone than the non-participant classes. At the category level, we found that the classes that participate in the behavioral and structural categories are less fault-prone than the non-participant classes.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 classes that participate in the structural design patterns are less fault-prone than the classes that participate in the other categories. At the pattern level, we found that only five patterns show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fault-proneness: builder, factory method, adapter, composite, and decorator. All of these patterns except for builder show that the classes that participate in each one of them are less fault-prone than the non-participant classes in that pattern. The classes that participate in the builder design pattern were more fault-prone than the non-participant classes and the classes that participate in several patterns: the adapter, the composite, and the decorator design patterns. At the role level,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between the classes that participate in some roles and the non-participant classes. Only three pairs of design pattern role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These roles are concrete-product vs. concrete-creator, adapter vs. adaptee, and adapter vs. client. The results recommend the use of design patterns because they are less fault-prone in general except for the builder design pattern, which should be applied with care and addressed with more test cases.

      • KCI등재

        한국 전통 문양 및 색채를 활용한 뷰티디자인 연구

        신세영(주저자) ( Sae Young Shin ),김성남(교신저자) ( Sung Nam Kim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4 동양예술 Vol.26 No.-

        한 국가의 민족문화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문화적 가치는 현재 글로벌 경쟁시대 하나의 전략으로 부각되고 있다. 최근 한류의 열풍으로 한국적 이미지를 활용한 산업체 영역이 확대되고 있고, 특히 디자인 영역에서는 한국의 미를 알리기 위해 다방면에서 전통 문양이 활용되고 있다. 현재 한국인의 정서 속에 나타난 미의식을 표현한 전통문양은 뷰티디자인의 모티브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논의와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 문양을 뷰티디자인의 모티브로현대적인 시각화 표현을 구체화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실존 유물과 각종 문헌, 전문서적, 정기간행물, 연구 논문,웹사이트 등을 참조하여 한국전통 문양의 기원과 역사, 종류, 현재 사용되고 있는 기법등에 대해 알아보고 뷰티디자인으로 활용될 수 있는 디자인요소 및 원리를 중심으로 전통 문양 구조에 대해 고찰하였다. 뷰티디자인 연구를 위해 인체부위 중 얼굴에 한정하여 적용하였으며, 뷰티 디자인 활용적 접근을 위해 우리 민족 고유의 미의식과 장식미를 잘 나타내 줄 수 있으며 인체의 곡선적 요소와 디자인 원리를 적용한 식물 문양과 가면 문양을 중심으로 전통 문양 패턴을 추출하였다. 또한 한국 전통 색채 활용을 위해 단청의 색상배열에서 색상을 추출하여 한국의 독창적인 이미지와 뷰티디자인을 접목하여 패턴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전통 문양 중 뷰티디자인을 위한 식물문양은 반복, 단순화, 연속, 결합의 원리를 사용하여 표현이 가능했으며, 인체의 곡선을 통해 한국적 이미지를 나타내는 패턴으로 이용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식물문양은 곡선의 유기적인 특징을 활용, 간격, 위치, 두께에 따라 효과를 극대화, 인체의 곡선 활용이 가능한 문양이다. 이를 통해 율동감이나 리듬감을 표현할 수 있었다. 둘째, 전통문양 중 가면 문양은 단순화, 재배치, 결합, 확장 기법으로 표현이 가능하며 한국적 이미지를 여러 가지 디자인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가면의 특징적 요소를 얼굴에 그대로 혹은 부분적용 할 수 있으며, 형태의 크기와 배치, 각도, 명암, 색상대비로 의미와 상징성 부여 및 뷰티 디자인으로써의 활용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한국 전통 색채 활용을 위해 단청의 색상배열에서 색상을 추출하여 한국의 독창적인 이미지와 뷰티디자인을 접목하여 패턴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한국의 전통미를 뷰티디자인을 통해 표현하고 부각시킴으로써차별화된 디자인 영역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적 문양을 이용하여 현대적인 뷰티 디자인으로 활용이 가능함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다양한 방법의 접근과 시도를 통해 다양한 한국적인 문양 패턴이 개발되어지기를 기대한다. 우리나라 전통 문양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전통에 대한 현대의 재해석을 통한 뷰티디자인이 개발될 것으로 기대한다. Cultural value that represents an ethnic and cultural identity of a nation has become a strategy in the competitive global world. Recently, industrial areas have been expanded using Korean image along with the Korean Wave. In design, in particular, traditional Korean patterns have been used in various ways to promote the beauty of Korea. Traditional Korean patterns that present the aesthetic sense in Korean sentiment have been used as a motif in beauty design.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discussion about it and systematic study. For this reason, this study aims to specify contemporary visualizing expression as a motif of traditional Korean patterns in beauty design. As study methods, origin and history of traditional Korean patterns, their kinds and current techniques were reviewed by referencing existing remains, various literature, professional books, periodical publications, study thesis and web sites. In addition, structures of traditional Korean patterns were analyzed based on design factors and principles that could be used in beauty design. The beauty design study was conducted on a face among human body parts. For the practical approach to beauty design, plant patterns and mask patterns were chosen among traditional design patterns, which represent Korean aesthetic sense and the beauty of decoration with curve element of human bodies and design principle. Moreover, colors were chosen from color arrangement of traditional multicolored paintwork on wooden buildings and stripes of many colors to suggest a pattern combined with creative Korean image and beauty design.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plant pattern for beauty design was expressed with the use of principles of repetition, simplification and rhythm. It was identified that the plant pattern can be used to represent Korean image with curves of human body. It is possible for the plant pattern to use organic characteristics of curves, maximizing effects depending on distance, location and width for the use in the curves of human body. Therefore, dynamic and rhythmical senses were able to be expressed. Second, a mask pattern can be expressed with simplification and rearranging technique. In addition, various designs can be created by changing an arrangement of Korean image.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characteristic factors of masks can be applied on the face either entirely or partially. Moreover, size, arrangement, angle, brightness and color contrast made it possible to give meaning and symbolism, proving its possibility to be used in beauty design. Third, for the use of traditional Korean colors, it was possible to suggest a pattern combined with creative Korean image and beauty design bychoosing colors from the color arrangement of traditional multicolored paintwork on wooden buildings and stripes of many colors. The study results would help to construct distinctive design areas by expressing and emphasizing traditional Korean beauty in beauty design. From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raditional Korean patterns can be used in contemporary beauty design. It is expected for Korean design patterns to be developed more variously.

      • KCI등재

        A Case Analysis Study of Hijab Design Applying Egyptian(Mamluk Era) Patterns

        Elkhouly, Sofia Abdel Moneim A(소피아 엘콜리),Eom, Kyoung Hee(엄경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2

        히잡은 이슬람 여성들이 이슬람 성 쿠란(Quran)의 히잡 원칙에 따라 그들을 보호한다는 의미로 착용하는 의복이다. 과거에는 히잡이 주로 단순한 문양으로 이루어졌으나 현대에는 다양한 문양, 형태, 컬러가 히잡디자인에 적용되어 상품화되고 있다. 그러나 디자인 측면에서 개성과 미적 요소가 가미한 디자인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집트만이 지니고 있는 독특하고 전통적인 제품들은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집트 역사상 위대한 예술 작품의 황금기인 맘루크시대 만들어졌던 예술품 표면에 표현된 장식문양들은 고찰 분석하고 이러한 문양들이 최근 이집트 여성의 히잡디자인에 적용된 사례를 알아보고 향후 히잡디자인 개발에 도움을 줌으로써 이집트 국가브랜드 이미지 위상을 높이고자 함이 본 연구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관련된 문헌, 논문, 서적, 전문인터넷 사이트, 관련 사진 자료수집, 등을 통해 맘루크시대와 이집트 히잡디자인 개념과 스타일 및 현황사례를 고찰분석 하였다. 연구범위는 첫째, 이집트 맘루크시대의 대표적인 문양 특징 중 식물, 기하학적, 아랍 캘리그래피를 선정하여 온라인 전문 히잡매장을 통해 사례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둘째, 디자인 요소 인 컬러, 형태, 공간, 소재를 중심으로 고찰 분석하였다. 더불어 디자인 원칙(대비, 반복, 리듬, 균형, 통일성)뿐만 아니라 아랍 캘리그래피 미학(스타일, 유연성, 구적법, 겹침 및 발성 표시 “Tashkeel”)적 측면의 범위를 선정하여 고찰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 여성들이 선호하는 이집트 역사상 위대한 예술 작품의 황금기인 맘루크시대 문양을 활용한 히잡디자인 매장 즉, “The lace garment, Tie Shop, Jude, Esh-Esh”를 중심으로 사례분석 하였다. 따라서 이집트 맘루크시대 문양을 응용한 히잡 디자인 사례분석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맘루크시대 문양은 히잡디자인에 주로 식물, 기하학 그리고 아랍 캘리그래피 규칙과 반복과 형태의 균형을 중심으로 표현되었다. 히잡 디자인은 다양한 스타일이 있으나 이집트 여성들은 편안하고 착용감과 기능성인 측면에서 쉬폰과 실크소재를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맘루크 시대 문양이 나타난 면이나 린넨 소재는 여대생이 들은 선호하는 인기 상품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동물문양 히잡디자인 문양에 대한 사용 및 미학 측면에서 선호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물문양을 활용한 히잡디자인은 맘루크 시대 꽃문양을 활용하였으나 얼굴형태 보다 크기가 컸으며, 컬러가 비교적 어두웠다. 기하학 문양을 활용한 히잡디자인은 다양한 기하학적 별점을 사용하여 표현되었으며, 변화를 원하는 여성에게 적합하게 디자인되었다. “Thuluth 및 Kufic” 스크립트와 같은 아랍 서체로 사용하여 일상생활에 인간들에게 긍정적인 메시지를 주도록 디자인되었다. 그러나 맘루크시대 문양 형태에 대한 표현은 비교적 잘 나타나 있으나 좀더 소비자 요구에 적합한 형태와 다양한 컬러가 이루어지면 이집트 국가 브랜드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랍 유산의 부활을 위해 이집트 히잡디자인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히잡디자인 문양과 관련된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해본다. A hijab is a garment worn by Muslim women to protect them according to hijab principle of the Islamic Holy Qur’an. In the past, hijab was mainly composed of simple patterns, but in modern times, various patterns, shapes, and colors are applied to hijab designs and are commercialized. However, in terms of hijab design in Egypt, designs with individuality and aesthetic elements are being developed, but unique and traditional products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ze the decorative patterns that were expressed on the surfaces of antiques from the Mamluk era, which is considered the golden age of great artworks of art in Egyptian history, examining cases where these patterns were applied recently to hijab design for Egypt women, and helping to develop hijab designs in the future to raise the status of the Egyptian national brand image.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concept, style, and current status of hijab designs in the Mamluk era in Egypt will be reviewed and analyzed through related literature, papers, books, specialized internet sites, and related photo data collection. The scope of the study was first, investigating the vegetal, geometric, and Arabic calligraphy patterns that were selected among the typical antique patterns of the Egyptian Mamluk era, and cases will be analyzed through online specialized hijab stores. Second, considering and analyzing design elements such as color, shape, space, and material. In addition, selecting and analyzing the design principles (contrast, repetition, rhythm, balance, unity), as well as Arabic calligraphy aesthetics (style, flexibility, quadrature, overlapping, and vocalization or “Tashkeel”). Lastly, the case analysis will be conducted focusing on hijab design stores that use the patterns of the Mamluk era, favored by women today namely, “The Lace Garment, Tie Shop, Jude, and Esh-Esh”. Accordingly, the following conclusion could be obtained from hijab design case analysis study applying the Egyptian Mamluk era patterns. The patterns of the Mamluk era were mainly expressed in hijab design, focusing on the vegetal, geometry, and Arabic calligraphy rules and the balance of repetition and form. There are various styles of hijab designs, but it was found that Egyptian women prefer Chiffon and Silk fabrics in terms of comfort, fit, and functionality. Subsequently, it was judged that the preference for hijab design with an animal pattern was low in terms of use and aesthetics. Hijab design that applied vegetal patterns from the Mamluk era was expressed by using a flower in a larger than the face shape, and the color was relatively dark. Hijab design that applied geometric patterns was expressed by using various geometric asterisks and it was designed for women who look for change. Hijab design that applied Arabic calligraphy scripts like the “Thuluth and Kufic”, was designed to give positive messages to humans in their daily life. However, the expression of the pattern of the Mamluk era was relatively well shown, but it is thought that the Egyptian national brand image can be emphasized if the shape and various colors are made more suitable for consumer needs. For this reason, this study is expected to have an important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Egyptian hijab design for the revival of Arab heritage, and it is expected that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ment related to hijab design will be activated in the future.

      • KCI등재

        중국 구름무늬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과자 패키지 디자인을 중심으로-

        장닝닝 ( Zhang Ningning ),홍창기 ( Hong Chang-kee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4 No.-

        중국 과자 패키지 디자인에서 구름무늬는 중국의 과자 소비 시장에서 높은 인식도를 가지고 있으며, 패키지 디자인에서 자주 사용되는 디자인 요소이다. 그러나 구름무늬는 전통적인 요소로만 사용되며, 상징화된 정제 과정을 거치지 않아 소비자가 구름무늬의 상징적 의미와 브랜드의 핵심 가치를 정확히 이해하기 어렵다.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전통적인 구름무늬의 상징적 특징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고, 실제적인 개념과 디자인에서의 전통적인 구름 무늬의 상징적 의미를 연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국의 3개 과자 브랜드와 구름무늬 디자인과 관련된 대표적인 5개 패키지를 선택하여 구름무늬의 상징성을 형태, 색상, 구도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중국 과자 패키지 디자인에서 구름무늬의 형태는 주로 유기형태, 유동적인 형태, 등비형태를 사용하며, 브랜드의 특성과 주제 에 따라 조화롭게 조합하여 브랜드 이미지와 일치하는 패키지 디자인을 구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름무늬의 색상은 고정된 제한이 없으며, 중국 문화의 내포를 기반으로, 사람들이 익숙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색상을 선택하고, 브랜드의 특성과 주제에 맞게 색상을 조합하여 소비자와 감정적인 공감을 일으키는 효과를 창출하였다. 구도에 있어서는 대칭적인 구도, 동적인 구도, 균형적인 구도 및 다층적인 구도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구도 방식을 유연하게 활용하여 과자 패키지 디자인을 시각적으로 매력적이고 예술적으로 만들었다. 이처럼 구름무늬를 적용한 과자 패키지 디자인은 풍부한 상징적 의미인 행운과 번영, 조화롭고 통일된 상태, 축하와 기원 등을 표현하며, 깊은 문화적 내포와 고귀하고 화려한 브랜드 이미지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전통 구름무늬의 기호화와 상징성을 중국 과자 패키지 디자인에 요약함으로써 전통 패턴의 패키지 디자인이 더욱 미적이고 예술적인 요소를 갖출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전통 구름무늬를 현대 디자인 요소와 결합하여 창의적이고 독특한 패키지 디자인을 만들고 전통과 현대의 균형점을 탐구하여 패키지 디자인의 예술성과 미적 가치를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해 고민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전통 구름무늬의 패키지 디자인에서 문화유산과 혁신적인 사고의 결합을 실현하고 전통 문화의 깊은 의미를 발굴하여 패키지 디자인에 새로운 창의성과 활기를 불어넣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clearer explanation of the symbolic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loud patterns and to investigate their symbolic meaning in practical concepts and designs. For this purpose, three Chinese snack brands and five representative packages related to cloud pattern designs were selected for analysis in terms of form, color, and composi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form of cloud patterns in Chinese snack package designs mainly includes organic, dynamic, and geometric shapes, combined harmoniously according to the brand's characteristics and themes to create a package design that aligns with the brand image. The color of cloud patterns is not restricted to fixed limitations, but rather chosen based on the inherent cultural significance in Chinese culture and the colors that people are familiar with and can resonate with emotionally, thus creating an effect that elicits consumer empathy, in line with the brand's characteristics and themes. In terms of composition, symmetric, dynamic, balanced, and multi-layered compositions were commonly used, which provided an aesthetically appealing and artistic touch to the snack package designs. By applying cloud patterns to snack package designs, the rich symbolic meanings of luck, prosperity, harmony, celebration, and well-wishes were expressed, showcasing deep cultural significance and a splendid, glamorous brand image. This study summarizes the codification and symbolism of traditional cloud patterns in Chinese snack package designs, allowing traditional patterns to possess more aesthetic and artistic elements. Through this, creative and unique package designs can be created by combining traditional cloud patterns with modern design elements, exploring the balance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and enhancing the artistic and aesthetic value of package designs. Furthermore, it is hoped that the combination of cultural heritage and innovative thinking in traditional cloud pattern package designs will be realized, unearthing the profound meanings of traditional culture and infusing new creativity and vitality into package designs.

      • KCI등재

        중국 한나라 전통문양의 제품디자인 적용 방안 분석 - 사신문(四神紋) 문양 중심으로

        사무하,김진성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2

        Chinese traditional pattern is one of the unique cultural characteristics. Since six counties were united by the rulers of the Han Dynasty, the traditional patterns, especially the four god patterns, began to be applied to all aspects of people’s lives. There have been sorts of researches on Chinese traditional patterns. Through the existing researches related, most focused o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patterns while some simply reconstructed the patterns for certain visual effects. The patterns were simply decorated or copied directly to enhance the appearance of products, hence producing certain effects. Such products can remind consumers of Chinese elements, but fail to convey accurately the meaning of traditional culture, making them difficult to gain consumers’ cognition. So we should research further the traditional patterns in product design. This essay aims to study how to apply the traditional patterns on modern product design and figure out some design principles and methods. Analyzing traditional pattern application in the design schemes of products and reading related literature on moral forms of the patterns, the paper focused on functions, aesthetics and significance to analyze patterns of the four gods. Through the research, the significance of the traditional pattern lies in a bridge between products and consumers’ inner feeling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usage of traditional patterns, the meanings of patterns can be understood more clearly to design some products that impress the consumers. This paper approved a design guideline of how to apply the traditional patterns on modern design. 중국의 전통 문양은 독특한 민족 문화 중 하나이다. 여러 장식문양 중에서 ‘사신문’(四神紋) 장식은 와당문화에 접목되어 가장 대표적인 동물문양으로 발전하였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많은 현대식 건물은사신문양으로 장식되었으며, 문양의 발전은 중국 근대 디자인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전통을 되살리기위해서는 전통문양을 현대 사회에 잘 적용하고 접목시킬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해야 한다. 본 논문은 전통문양을 현대 제품디자인에 잘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 디자인의 가이드라인을 구축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문헌 및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사신문 문양의 유형 및 발전상을 분석하였고 표현 형식과 의미, 현대적 적용 사례에서 문양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문양의 형성이나 발전 과정에 대해 분석하거나 부분적 시각효과를 위해 문양을 간단하게 재구성한제품 장식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이런 제품들은 소비자가 중국 전통 요소를 연상할 수 있도록 하나전통 문화의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인지도를 얻기는 힘들다고 판단된다. 선행연구의 분석 기준을 바탕으로 기능성, 상징성, 심미성을 새로운 분석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었고, ’16~18년간 중국 레드닷 디자인 수상작 중 9개를 선정하여 제품디자인에 적용된 사신문 사례를 해당기준에 따라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수상작들은 심미적 원칙, 기능적 춴칙, 생산 원칙, 체험 원칙, 상징성의 원칙을 충족 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 가이드 라인을 다음 세 가지로 압축할 수 있었다. 첫째, 제품 원형 디자인과 융합되도록 문양을 재구성. 둘째, 제품 기능과 유사도가 높은 문양을 선택 셋째, 제품의 기능과 연동이다. 본 연구를 통해 중국 전통 문양의 의미가 소비자와 제품 간의 감정을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제안된 가이드 라인과 같이 문양의 본질을 명확히 파악하여 적용하면 사용자에게 좀 더 의미 있는 제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건축 파사드의 디지털 패턴 디자인 유형에 대한 감성 특성* - 밴 팰(Ben Pell)의 파사드 패턴 유형을 중심으로 -

        오영은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22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31 No.4

        Pattern is a visually important element in designing an architectural facade. The digital pattern design such as a facade is deeply related to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However, the lack of research on a systematic design process for digitalized pattern design such a facade, poses a problem for designers. This research provides emotional characteristics on five types of architectural facade pattern: applied, perforated, layered, cast, and tiled. The analysis is based on an existing study that briefly analyzed their emotional characteristics, and this is combined with the results of other research on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applied and perforated patterns. First, reviewing previous research reveals the reasons for selecting façade pattern types classified by Ben Pell and determines their classification criteria, the definition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representative projects of the five types of architectural facade. Second, the survey method from existing research is used to establish targets, method, and analysis. Third, general information of survey respondents is analyzed in terms of gender, age, education, occupation, and experience. Results represent emotional characteristics by case and by type of digital pattern design of architectural facade and reveal a correlation between determined emotional characteristics by type and by case. After deriving their correlations, this study finally determines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by type and case. Emotional responses are then presented by type and case. Fourth, the results a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ose of existing research. The results in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show that the applied and layered patterns are continuous and discontinuous-continuous, respectively, the perforated pattern is irregular and irregular–regular, and the cast and tiled patterns are regular and irregular-regular, respectively. In the comparison of the average value by facade pattern design type, based on the results and as a design concept, a continuous continuity is more suitable for the layered pattern than the applied pattern, a regular regularity is more appreciated for the cast pattern than the tiled pattern, and an irregular regularity is good for designing the perforated pattern.

      • KCI등재

        중국 중산국(中山國) 문양을 응용한 넥타이 디자인 개발

        정효경 ( Cheng Xiao-qiong ),이영숙 ( Lee Young-sook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4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7 No.-

        중산국(中山國) 문화는 중국 허베이성(河北省) 지역 가운데 특히 스지아쫭시(石家莊市)를 대표하는 문화중심지역으로 유물의 문양 장식, 조형, 공예 등에 표현된 내용은 매우 높은 예술적, 역사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중산국 문양은 전국시대(戰國時代, BC414년∽BC296년)의 사회풍습, 과학기술, 경제발전의 축소판을 상징할 뿐만 아니라 고대인들의 사상 의식, 가치관 및 심미적 정취를 담고 있다. 최근에는 중산국 문양이 현대화된 디자인 기법으로 패션제품과 장신구에 응용되어 중국문화의 우수성을 알리는 촉진작용을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심미적 관점에서 중산국 문양에 내포된 가치를 탐구하고, 중산국의 대표적인 기존의 문양 이미지를 새롭게 해석하여 남성용 넥타이디자인에 적용하여 중국문화의 이해와 더불어 새로운 문양의 현대적 디자인 개발 및 활용을 통해 패션관련업체 및 유관 디자인업계에서 중국 전통문양을 응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남성 넥타이를 디자인 개발의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중산국인들의 무예와 용감함을 중시하던 사회적 맥략을 현대 남성들의 대표적 패션제품인 넥타이에 용감하고 강인한 정신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중산국 문양의 특징, 의미와 대표 이미지를 정리한 다음, 넥타이 패턴 디자인을 구상하였다. 그리고 Adobe Photoshop CS와 Adobe Illustrator CS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모티브 요소를 추출하여 24개의 패턴을 디자인하였다. 넥타이 개발은 패션제품기획의 5W 원칙을 바탕으로 색상에서 쿨톤과 웜톤을 구분하여 총 24개의 넥타이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The Zhongshan culture is a cultural center region representing Shijiazhuang City, especially among China's Hebei provinces, and its contents expressed in pattern decorations, sculptures, and crafts of artifacts are very artistic, historical, and valuable. The Zhongshan State pattern not only symbolizes the miniature version of social customs, science and technology, and economic development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414 BC-296), but also contains ancient people's ideological consciousness, values, and aesthetic atmosphere. In recent years, the pattern of Zhongshan Province has been applied to fashion products and accessories as a modern design technique to promote the excellence of Chinese culture. From an aesthetic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value implied in the patterns of the Middle Kingdom and to newly interpret the representative image of the existing patterns of the Middle Kingdom. In addition, by applying it to men's necktie design, it is to provide data that can apply Chinese traditional patterns to fashion-related companies and related design industries through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modern designs of new patterns as well as the understanding of Chinese culture. The reason why men's Neckties were targeted for design development was to express the brave and strong spirit of the Neckties, a representative fashion product of modern men, using the social strategy that emphasized the martial arts and bravery of the middle-class people. The research method first summarized the characteristics, meanings, and representative images of the pattern of the middle country through prior research, and then conceived a tie pattern design. And 24patterns were designed by extracting motif elements using Adobe Photoshop CS and Adobe Illustrator CS software. Based on the 5W principle of fashion product planning, tie development developed a total of 24 Neckties designs by distinguishing cool and warm tones from colors.

      • KCI등재

        Analysis on the Symbolic Features of Traditional Water Patterns in Packaging Design -Focus on the Cases of Packaging Design in Korea and China-

        Liu, Jue(유각),Nah, Ken(나건)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3

        본 논문은 기호학 이론을 바탕으로 패키지 디자인에 전통 도안의 문화적 기호와 상징적 특징을 연구하였다. 전통 수문 도안의 속성을 통해 상징 방식을 고찰하고 정리한다.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전통적인 수문 도안의 기호화 특성을 명확하게 해석할 수 있고, 구조화 분석 방법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기호화 패턴 사용에 대한 실제 개념을 상징적 의미를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사례 분석 방법을 활용하며, 한중 패키지 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비교분석을 진행하였다. 패키지 디자인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면서 전통적인 패턴의 패키지 디자인도 계속 나타난다. 그렇지만 대부분 디자인은 추상적인 기호 없이, 전통적인 그래픽을 직접 사용하는 형태로 나타나고 있어서 전통적인 패턴을 효율적으로 시각화 디자인하는 방법이 관심의 초점이 되었다. 또한, 현대적인 디자인에 핸드드로잉은 컴퓨터로 대체함으로써 디자인의 전통적인 장인 정신의 지위를 더욱 약화시켜, 전통적인 패턴을 상대적으로 단조로운 패키지 디자인을 현상 나다. 본 논문은 한국과 중국의 전통 수문 도안의 역사와 발전을 연구 배경으로 삼고, 형태 상징화, 색채 상징화, 구성 상징화의 세 가지 측면에서 수문 도안의 표현 양식과 특성을 분석한다. 두 나라의 현대적인 패키지 디자인을 예로 들어, 두 나라의 현대적인 패키지 디자인에 물 패턴의 유사점과 차이점, 다른 표현과 상징적 특징을 찾아내고 마지막으로 현대적인 패키지 디자인의 전통적 수문 도안의 적용 특성을 총괄하였다. Based on the theory of semiotics, this paper studies the cultural connotation of traditional patterns in packaging design as well as the attributes of traditional patterns. To analyze the symbolic rules through the attributes of traditional water patterns, and to finally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water patterns in packaging design. The research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more clearly the symbolic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water patterns, construct a structured analysis method, clarify the actual concept in the application of symbols and the symbolic meaning of the traditional water patterns. This study uses the method of case analysis to conduct research, focusing on the packaging design cases of Korea and China for comparison and analysis. With the continuous iterative update of packaging design and packaging design with traditional patterns emerging in an endless stream, most of them appear in the form of direct use of traditional graphics, without abstract symbolic refining. How to carry out efficient visual expression of traditional patterns has become the focus of attention. In addition, contemporary design replaces manual drawing with computer, which further weakens the position of traditional technology in design, resulting in the relatively monotonous packaging design with traditional patterns as elements nowadays. Based on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water patterns in Korea and China, this paper analyzes the forms and characteristics of water patterns from three aspects: symbolization of shape, color and composition. Taking the contemporary packaging design of the two countries as an example, this paper finds 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water patterns in the two countries’ contemporary packaging design, as well as the different forms of expression and symbolic features, and finally summarizes the application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water patterns in contemporary packaging design.

      • KCI등재

        Generative Design 기술을 활용한 Digital Surface Pattern Design에 관한 분석연구

        안승식(Ahn, Seungshik),조성환(Jo, Seonghwa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5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5 No.2

        삼성전자와 애플의 디자인 특허 소송은 복잡하고 다차원적인 현대 디자인의 흐름을 보여준다. 소비자의 감성적 체험과 브랜딩 이미지의 제고를 위한 차별화된 디자인 전략을 펼쳐가고 있는 삼성전자의 전략에서 Surface Pattern Design과 같은 소재 및 가공에 대한 고민의 흔적을 찾을 수 있고, 이는 갤럭시 노트 시리즈를 통해 구체화되기 시작했다. 본 연구는 제품디자인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주목받아온 표면 패턴 디자인의 디지털 구현기술인 Generative Design의 케이스스터디를 통해 Surface Pattern Design에 효과적인 알고리즘 생성 과정과 이의 효용성에 대해 연구하여 디지털 파이프라인의 구축 방안을 제안하였다. Design patent litigation between Samsung and Apple shows a complex and multi-faceted modern design trend. Samsung is pushing ahead differentiated design strategies for consumers" emotional experiences and image branding, for which materials and processing such as Surface Pattern Design matter. Galaxy Note series show this. Generative Design is used to realize surface pattern design. Therefore, this study will consider algorithm generation process effective to surface pattern design and its usefulness through a case study on Generative Design, suggesting how to build Digital Pipeline.

      • KCI등재

        한국 전통 문화와 현대 주얼리 디자인 융합 연구 -당초문양을 중심으로-

        홍성민,최승욱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2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0 No.4

        Korea's jewelry industry is characterized by mass production and standardization. For this reason, the Korean jewelry industry failed to develop unique and artistic jewelry products, and the luxury jewelry market was invaded by famous foreign jewelry brands. Therefore, this study started by recognizing the need for design development that combines traditional culture and modern jewelry as a strategy for specialization and differentiation of jewelry design to revitalize the stagnant Korean jewelry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possibility of design application of vine patterns among Korean traditional patterns. To the end, this study designed and produced two pieces of jewelry using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formativeness and symbolism of the vine pattern in a modern way. The research results and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line', the main design element of the vine pattern, is easy to use in jewelry design. Jewelry design is a structure that creates one aesthetic form by combining various shapes, and the organic curve of the vine pattern enables a harmonious and natural combination. Seco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vine patterns, such as simplicity and abstraction, are good for application to modern and sophisticated jewelry design. Even in order and balance, Korean vine patterns can be found in unconventional beauty, and their form is harmonious and natural. These characteristics are close to the characteristics pursued by modern design. Third, it is possible to design jewelry with various shapes and meanings by using the composition and symbols of the combination vine pattern. If the combination vine pattern, which was mainly used in Korea, is used, the semantic value of jewelry can be increased through the auspicious meaning of each material as well as the morphological beauty.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vine pattern as a modern design will be widely publicized, and various jewelry designs using the vine pattern will be actively developed. 우리나라 주얼리 산업의 특징은 대량화, 규격화이다. 이러한 이유로 개성 있고 예술적인 주얼리 상품을개발하지 못한 채 해외 유명 주얼리 브랜드에 럭셔리 주얼리 시장을 잠식당하고 말았다. 이에 본 연구는 침체된 우리나라 주얼리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주얼리 디자인의 전문화, 차별화 전략으로써 전통 문화와 현대 주얼리를 융합한 디자인 개발의필요함을 인식하는 데에서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전통 문양 중 당초문양의 디자인적 활용가능성을 밝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당초문양의개념과 특징, 조형성과 상징성을 고찰한 뒤, 이를 현대적으로 활용한 주얼리 2점을 디자인 및 제작하였다. 연구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당초문양의 주요 디자인 요소인 '선'은 주얼리 디자인에 활용하기에 용이하다. 주얼리 디자인은 다양한 형태들이 결합하여 하나의 미적인 형태를 만드는 구조로, 당초문양의 유기적 곡선이 조화롭고 자연스러운 결합을 가능케 한다. 둘째, 우리나라 당초문양의 고유한 특징인 단순성과 추상성은 현대적이고 세련된 주얼리 디자인에 응용하기에 좋다. 우리나라 당초문양은 질서와 균형 속에서도 파격의 미를 찾아볼 수 있으며 그 형태가 조화롭고 자연스럽다. 이러한 특징은 현대의 디자인이 추구하는 성격에 가깝다. 셋째, 결합당초문양의 구성과 상징을 활용하여 다채로운 형태와 의미를 지닌 주얼리를 디자인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주로 사용되었던 결합당초문양을 활용한다면 형태적 아름다움뿐 아니라 각각의 소재가 내포하는 길상적인 의미를 통해 주얼리의 의미적 가치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당초문양의 현대적디자인의 활용 가능성을 널리 알리고, 당초문양을 응용한 다양한 주얼리 디자인이 적극적으로 개발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