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중등교원 대상 STEAM 융합교육 인식 조사

        신재한(Shin, Jae-han)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3 학습과학연구 Vol.7 No.2

        본 연구에서는 학교급, 성별, 교직경력, 연령, 학교규모, 영재교육 담당 경험, STEAM 융합교육 인식 정도 및 연수경험, STEAM 융합교육 수업설계 및 적용유무 등 초중등 교원 배경 변인별 인식 차이를 토대로 효과적인 STEAM 융합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점과 향후 STEAM 융합교육을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효과적인 STEAM 융합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STEAM 융합교육 연수 이수 여부에 따른 맞춤형 STEAM 융합교육의 목적을 설정하고 교원의 전문성을 확보하며 활성화 방안 모색해야 한다. 둘째, 학교급이나 STEAM 융합교육 수업설계 경험에 따른 맞춤형 STEAM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STEAM 융합교육 연수 프로그램은 교육과정 재구성 및 설계 능력과 STEAM 융합교육에 대한 교과 지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한다. 본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STEAM 융합교육 연수 이수 여부, STEAM 융합교육 수업설계 경험 여부, 학교급 등 교원 배경변인에 따라서 STEAM 융합교육 방향이 다르므로, 교원 배경변인에 적합한 맞춤형 STEAM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STEAM 융합교육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설문 조사 중심의 양적 연구와 더불어 참여관찰, 심층면접 등을 포함한 질적 연구 방법을 동시에 실시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consider and establish effective STEAM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difference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in primary and secondary, ie, the school level, gender, teaching experience, age, school size, experience in gifted education, perception level of STEAM convergence education teaching training experience, whether teachers have STEAM convergence education instructional design and application experience or not. To practice effective STEAM convergence education, the followings must be considered. First, we should set up the goal for the customized STEAM convergence educa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completion of the STEAM convergence education, ensure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search for the activation plan. Second, we should need to develop customized training programs according to school level or STEAM convergence education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 Third, STEAM convergence education training programs should be composed to develop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design skills and content knowledge about STEAM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direction of STEAM convergence education is different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comple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STEAM convergence,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 of STEAM convergence education, school level,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develop the appropriate customized STEAM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on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Second, in order to the activation for STEAM convergence education, it needed to be conducted survey-based quantitative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including such as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 KCI등재

        초등 Science IT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김동진 ( Dong Jin Kim ),구덕회 ( Duk Hoi Koo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이 과학과 IT를 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초등 Science IT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에 대하여 분석함으로써 과학과 IT의 적절한 융합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초등학교에 적용할 수있는 초등 Science IT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둘째, 개발한 초등 Science IT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첫 번째 연구문제로 설정한 초등 Science IT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현행 과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 및 관련 문헌 연구를 통하여 총 4개 주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각 프로그램은 기존 과학과의 영역인 ‘물질, 운동과 에너지, 생명, 지구와 우주’에 속하는 단원 중에서 IT의 적용이 학습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는 단원을 선정하여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개발한 초등 Science IT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실험반과 통제반을 선정하여 두 반의 과학흥미도와 ICT 리터러시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 Science IT 융합교육 프로그램이 과학흥미도와 IT 리터러시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융합교육 프로그램으로서 의미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초등 Science IT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일부 학생의 실험 결과는 그 효과를 전체 학생으로 일반화시키기에는 무리가 있다. 하지만, 점점 더 복잡하고 다양해져가는 우리 주변의 문제에 대해서 보다 융합적 사고를 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IT 기술을 활용하는 것은 21세기에 학습자가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이다. 즉, 과학과 IT의 융합이라는 주제로 진행한 본 연구는 우리 사회에 필요한 융합형 인재를 길러내기 위한 한 가지의 방법으로 충분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new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against the existing education program by developing and analyzing the application of elementary Science IT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The research topics ware as follows: 1. Development of elementary Science IT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2. Analysis of the applying effectiveness of elementary Science IT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The first step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previous studies on IT convergence education and science program, and to analyze the current science curriculum of the sixth grade. Then, a new program which consists of four themes was developed. The developed program selected one unit from the sixth grade textbook which was related to each of four following science fields, ``substance, movement and energy, biology, earth and universe``. The units were also selected based on appropriateness to apply the elements of IT. Finally, a teaching program with a suitable IT element for each theme was developed. To apply the developed elementary Science IT convergence program, one class was pre-selected while other classes followed traditional education. Then,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pre- and post-test for interest in science and ICT literacy was conducted. As a result, tw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These results imply that elementary Science IT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developed from this study has a great potential to help students to improve ICT literacy and interest in science ompared to other existing education programs. However, to generalize the effectiveness of the new developed program solely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s unreasonable. Nevertheless, in modern society with more complex and diverse Science IT, the convergence of thinking and IT literacy are very important skills for learners in the 21st century. Therefore, this study for new convergence education has enough significance in developing bright minds with convergence thinking skills.

      • KCI등재

        교육시설의 공간 프로그램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 충청남도 교육청 진로융합 교육원을 대상으로 -

        이지수,이현성,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Background and Purpose) Currently, our society is entering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demands convergent creativity with the characteristics of hyper-connection, super-intelligence, and super-convergence. In this situation, education to cultivate the ability to respond to the future is emerging as a response strategy, and career education is focused on expanding and realizing with interest in convergence education through learning and experience to develop various capabilities.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program so that space can provide a faithful experience to the educational field to enhance the importance of career convergence activities such as career education and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Method)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the Chungcheongnam-do Office of Education's Career Convergence Education Center, the first case of the newly emerging Career Convergence Education Center at the national level. First, the concepts of career education,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nd future education are review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Second, characteristics for building spatial programs are derived through prior research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components of educational facilities. Third, the spatial programs of the Chungcheongnam-do Office of Education's Career Convergence Education Center, which is the subject of a case study,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 flow of space operation. Fourth, the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prior research and the flow chart of space operation are linked to analyze the contents applied to the subject of the program of the Chungcheongnam-do Office of Education's Career Convergence Education Center. (Result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prior research, diversity, connectivity, and autonomy were derived as characteristics of creative educational spaces. Also, contents such as visual communication through overlapping spaces, activation of mediating spaces, and acceptance of various programs with unclear boundaries were derived as composition methods. The elements related to the derived content were rearranged to suit the subject of this study.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nts were faithfully used by applying them to the program of the case target site. (Conclusions) In line with the changing demands of the times, career education is at a point where it is expanding into convergence education to cultivate future competencies further in the process of finding dreams. According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stablishing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the role of space for the expansion and realization of career convergence education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programs of the Chungcheongnam-do Office of Education, which aims for convergence education with the nation's first career and education. It is hoped that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new space to be created with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future, and in-depth research will be conducted on this. (연구배경 및 목적) 현재 우리 사회가 4차 산업혁명 시대로 진입한 시점에서 초연결, 초지능, 초융합의 특성을 가지는 융복합적 창의성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응 전략으로 미래에 대응하는 능력 함양 교육이 대두되고 있으며, 다양한 역량 개발을 위해 학습과 체험을 통한 융합교육에 관심을 두고 진로교육을 중점적으로 확장 및 실현해 나아가는 중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진로교육과 창의적 체험활동과 같은 진로 융합활동의 중요성 제고를 목적으로 교육현장에 공간이 충실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공간 프로그램의 특성을 제시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범위는 국가적 차원에서 새로 신설해 나아가고 있는 진로융합 교육원의 첫번째 사례인 충청남도 교육청 진로융합 교육원을 대상으로 한정하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진로교육과 창의적 체험활동의 개념 그리고 미래교육에 대한 내용을 문헌연구를 통해 고찰한다. 둘째, 교육시설의 공간 특성과 구성요소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해 공간 프로그램 구축을 위한 공간특성을 도출한다. 셋째, 사례연구 대상인 충청남도 교육청 진로융합 교육원의 공간 프로그램을 분석해 공간 운영의 흐름을 알아본다. 넷째,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특성과 공간 운영 흐름도를 연결하여 충청남도 교육청 진로융합 교육원의 프로그램의 주제에 맞게 적절히 적용된 내용을 분석한다. (결과) 문헌연구와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창의적 교육공간의 특성으로 다양성, 연결성, 자율성이 도출되고 구성방식으로는 공간의 중첩을 통한 시각적 소통, 매개공간의 활성화, 불분명한 경계로 다양한 프로그램 수용과 같은 내용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내용과 함께 연관된 요소를 본 연구의 주제에 맞게 재정리하였다. 충청남도 교육청 진로융합 교육의 프로그램에 적용해 그 내용이 충실히 쓰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변화하는 시대적 요구에 맞춰 진로교육은 꿈을 찾기 위한 과정에서 더 나아가 미래역량 함양을 위한 융합교육으로 확장되고 있는 시점에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 최초의 진로와 진학을 함께 품으며 융합교육을 목표로 하는 충청남도 교육청 진로융합 교육원을 대상으로 분석하여 교육시설의 공간 프로그램 특성을 제시함으로써 진로 융합교육의 확장과 실현을 위한 공간의 역할을 살펴보며 그 중요성을 정립하는 것에 의의를 가진다. 향후 융합교육 발전에 따라 새롭게 생겨날 공간에 있어 바탕이 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지며 이에 대하여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 협동학습 기반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인성요소 발달 탐색

        김고경(Kim, Go Kyoung),백성혜(Paik, Seoung-Hey)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 2019 융합교육연구 Vol.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에서 만든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고 앞으로의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에 기여하고자 하는 데 있다. 융합교육 프로그램은 중학교 자유학기제에 실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만들어져 있어 이를 연구 대상자인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수준으로 재구성하였다. 프로그램 차시별 활동은 연구 대상자의 특성과 초등학교 성취기준, 협동학습 구조를 바탕으로 하여 학생들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실생활의 문제를 중심으로 재구성하여 설계하였다. 수업은 5회에 걸쳐 10차시로 진행되었고, 동료평가는 3~4 차시에 1회, 5~6차시에 1회, 9~10차시에 1회, 총 3회 실시하였다.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학생들의 인성요소 변화 평가는 일반 수업과의 비교와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의 변화의 두 가지 관점에서 평가지 및 활동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일반 수업을 진행하였을 때와 협동학습 구조 및 토론 활동을 바탕으로 한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을 때의 학생들의 수업 참여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융합교육 프로그램이 진행될수록 학생들은 동료평가를 객관적으로 하게 되었고, 수업참여에도 변화된 모습을 보였다. 평소 수업에 적극적이고 참여도가 높으며 다른 친구들의 의견을 잘 들어준 학생들이 가장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활동에서도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한국교원대학교 융합연구소에서 개발·보급하고 있는 융합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다양한 평가를 바탕으로 더욱 발전된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제작 방법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a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created by the Institute for Convergence Education at Korean National University to sixth graders to identify its effect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futur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was designed to be implemented in the free semester of middle school, which was reconstructed to the level of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The program-by-programme activities were design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tudied, the achievement criteria of elementary schools, and the cooperative learning structure, focusing on real-life issues that enable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es. The class was conducted on 10 occasions over 5 occasions, and the peer review was conducted on 1 time between 3 and 4 times, 1 time between 5 and 6 times, 1 time between 9 and 10 times, and 3 times in total. The assessment of changes in students personality factors through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was analyzed from two perspectives: comparison with general classes and change in conducting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class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at in general classes and in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based on cooperative learning structures and discussion activities. Second, as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progressed, the students became more objective in peer review and showed a change in their participation in class. Based on the various evaluation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developed and distributed by the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 Convergence Research Institute, the Commission suggested how to produce more advanced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영화연기의 융합예술교육론

        김종국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9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54

        This article points out the necessity of convergence art education due to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the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side and outsid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film acting education and the improvement strategy of film acting program as a convergence art education. It is clear that there is a certain limit to seeking the theory of convergence education with its necessity in the situation where the identity and direction of the domestic film acting is not adequately reflected in education. Nonetheless, the transition to the convergent film acting education is a demand of the industrial field and the learner, and it is an unavoidable trend in the educational reality. To accomplish this, it is necessary to clearly set educational goals and talents, and not to merely integrate between majors and departments, but to try real convergence. Project-oriented practice and learner-centered programs linked to industrial sites should be operated. Of course, human, material and financial support for the convergence art education of film acting should be based. Film acting is a way of cultivating talented people with creativity and personality, seeking communication between life and education, and is suitable for the direc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that is educational practice encompassing individuality and diversity of learners. This article does not address the learner's point of view about film acting education, but it is meaningful in that it seeks possibility of conversational integ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nvergence art education theory. This will be useful as a basis for future research and program development as a precondition for establishing film acting education of consilience and empathy. 이 글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교육환경의 내외적 변화에 따른 융합예술교육의 필요성과 당면과제, 현행 영화연기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융합예술교육으로서의 영화연기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영화연기의 정체성 및 방향이 교육에 적절히 반영되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그것의 필요성만 가지고 융합교육론을 모색하기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는 것이 분명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융복합 영화연기교육으로의 전환은 산업계와 학습자의 요구이며, 교육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시도이다. 이를 위해 교육목표와 인재상을 명확하게 설정하고, 전공 또는 학과 간의 단순한 통합이 아닌 진정한 융합이 이뤄져야 하며, 산업계와 연계된 프로젝트 중심의 실무와 학습자 중심의 프로그램이 운영되어야 한다. 무엇보다, 영화연기의 융합예술교육을 위한 인적, 물적, 재정적 지원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영화연기는 삶과 교육 간의 소통을 모색하고, 창의성과 인성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한 방안이며, 학습자의 개별성과 다양성을 포괄하는 교육적 실천이라는 융합교육의 방향에 적합한 교과이다. 이 글은 영화연기교육에 관한 학습자의 관점을 다루지 않았지만, 융합예술교육론의 관점에서 대화적 통합의 가능성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통섭과 공감의 영화연기교육을 확립하기 위한 전제로 향후의 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유용할 것이다.

      • KCI등재

        초등학교 쌍방향 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무용교육과 영어교육 중심으로

        김정희(Kim, Jeong-hee),이강순(Lee, Gang-soon)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교육논총 Vol.42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쌍방향 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무용교육과 영어교육에서의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무용교육과 영어교육의 목표는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는 데 있다. 무용은 표현 수단으로 신체를 활용하는 것이고, 영어는 말하기, 쓰기 등으로 자신이 생각을 나타낸다. 따라서, 표현을 매개로 무용교육과 영어교육의 융합교육을 실시하여 쌍방향 수업에서 필요한 의사소통능력, 표현능력 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이를 학교 교육에 적용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개발에서 교수학습 계획 및 교수학습자료를 제시한다. 연구방법으로는 내용 분석과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소통역량 함양을 목표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둘째, 수업 방법은 쌍방향 수업과 대면 수업으로 나누었으며 쌍??향 수업으로는 ZOOM, PADLET을 제시하였다. 셋째, 평가 방법으로 쌍방향 수업 평가 방법을 구안하였다. 코로나로 새로운 교수방법이 필요한 때이다. 쌍방향 수업으로 원격수업에서의 비대면 수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교사와 학생의 소통이 가능한 수업을 마련하고자 한다. This study seeks to construct a STEAM program in dance education and English education that can be implemented in interactive classes. Two-way classes require new communication methods. Although interactive classes are conducted virtually, they address the limitations of the lack of physical presence in remote classes as well as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Physical expression education and English education aim to encourage learners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The purpose of dance education is to enable individuals to use their body as a means of expression, while the purpose of English education is to strengthen individuals’ ability to convey their thoughts through speaking and writing. Therefore, the intention is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and expression skills necessary for interactive classes through a convergence of dance education and English education in terms of expression. To apply this to the school environment, teaching and learning plans and materials are presented in program development. The research method involved investigating previous studies, convergence programs, and curriculums through content and comparative analyses of literature research methods. To ensure the expertise, diversity, and validity of program development, consultations were conducted with experts in physical education, dance education, and English education. Further, the development process of programs—from planning to performance—involved the close cooperation of incumb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implementing these programs in the actual field. This study first constructe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a convergence talent education program involving physical expression and English education to aid in interactive classes, with “expression” being the aim. Second, the study distinguished possible learning activities in interactive and face-to-face classes. Third, a convergence program that can be effectively implemented in interactive classes was developed, focusing on dance education.

      • KCI등재

        비대면 융합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사례 연구

        권현우(Hyunwoo Kw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6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19 시대의 비대면 온라인 문화예술교육에서 테크놀로지와 예술이 융합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에 대해 사례를 들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비대면 문화예술교육의 한계점을극복하고, 기술 융합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해 나가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목적을 위해 2021년 7 월부터 11월까지 거쳐 온라인으로 진행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주말예술캠퍼스 “또 다른 i”의 사례를 중점적으로살펴보았다. 당초 대면 교육으로 기획된 프로그램이었으나, 펜데믹으로 인해 비대면으로 전환되어 비대면 온라인교육으로 기획, 설계, 시행, 평가의 4단계를 거쳐 운영되었다. “또 다른 i”는 VR과 스토리텔링이 결합된 융합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 현실 세계의 나를 바탕으로 가상현실에서의 나와 만나보며 또 다른 새로운 나를 찾아가는여정을 담은 프로그램이다. 본 사례를 통해 온라인 플랫폼 활용한 소통으로 라포 형성의 가능성을 확인 하였으며 기술과 예술이 융합한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개발 및 운영 사례를 제시하였다. 하지만 운영결과에서 나타나는 한계점으로는 온라인 플랫폼의 한계, 참여자 간의 소통 문제, 기술 융합 문화예술교육에서의 적정 기술 수준 문제 등이 나타 났으며,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프로그램 준비과정에서 더욱 세밀한 준비와 시큘레이션이 요구된다. 본 연구를 통한시사점으로 비대면 온라인교육에 대한 시각의 변화 요구, 비대면 상황에 맞는 라포 형성 활동, 다양한 플랫폼과소프트웨어에 적응할 수 있는 지속적인 노력, 기술과 결합한 문화예술교육의 프로그램 마련 등을 제시하였다. 비대면 온라인 융합교육이 대면 수업의 대안이 아닌 새로운 형태의 문화예술교육의 한 축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향후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In this study, we tried to examine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that combines technology and art in non-face-to-face online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the era of COVID-1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non-face-to-fa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to seek ways to practice technology converge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 focused on the case of “Another i”, the weekend art campus of Dream Darak Saturday Culture School, which was conducted online from July to November 2021. The program was originally planned as face-to-face education, but due to the pandemic, it was switched to non-face-toface and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was operated through four stages: planning, desig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nother i” is a converge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that combines VR and storytelling. The possibility of forming a rapport was confirmed through communication using an online platform, and a new development and operation cas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at converges technology and art was presented. However, the limitations of the operation results include the limitations of the online platform, communication problems between participants, and problems with the appropriate skill level in technology converge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ration is required A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it suggested a change in perspective on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rapport formation activities suitable for non-face-to-face situations, continuous efforts to adapt to various platforms and software, and preparation of programs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combined with technology. Future research should be continued so that non-face-to-face online convergence education can move forward as a new form of cultural arts education rather than an alternative to face-to-face classes.

      • KCI등재

        인공지능 기반의 창의융합 디자인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지영(Kim, Ji Young)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1 한국디자인리서치 Vol.6 No.1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초연결, 초융합, 초지능의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 인공지능은 다양한 분야와 함께 융합교육교과로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의 인공지능 기반의 창의융합 디자인교육 프로그램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창의융합 인재양성을 목표한다. 미래지향적 인재교육의 실천과 새로운 사회에 대비하는 새로운 학습방법을 개발하고 실생활에 확산할 수 있는 내용으로 인공지능 기반의 창의융합 디자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인공지능 기반의 창의융합 디자인교육 프로그램은 중학생용, 고등학생용 각각 3차시씩 개발되었으며 핵심주제로는 데이터과학과 알고리즘을 중요 키워드로 다루고 최신 기술 분야와 예술을 다양한 방법으로 융합하여 흥미를 유도하는 STEAM 교육의 준거틀을 적용하였다. “구글 이미지검색은 어떻게 할까?”, “유투브가 인도하는 신기한 알고리즘 세계로 떠나자”의 “Hi-Ai STEAM”을 개발하여 학교 밖 STEAM에 적용하였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창의융합 인재양성을 목표로 한 인공지능 기반의 창의융합 디자인교육 프로그램 “Hi-Ai STEAM” 은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미래시대의 창의융합 인재교육의 실천과 새로운 사회를 대비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디자인 프로그램을 개발했다는 것과 둘째, 인공지능 기반의 디자인교육 프로그램 Hi-Ai STEAM 프로그램을 제시하여 빅데이터와 알고리즘과 같은 과학 기술의 이해를 디자인과 융합하여 쉽고 재미있게 교육이 이루어졌다는 것이며 셋째, 교육환경이 교실에서 이루어졌던 대면수업에서 비대면으로 전화되는 시점에 학생과 온라인 수업의 경험은 앞으로 온라인 수업의 활성화를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과학과 기술의 융합교육은 질적으로 수준 있는 프로그램과 콘텐츠의 개발,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시스템을 구축해야 함을 제시할 수 있다.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a background of ultra-connected, ultra-converged, and ultra-intellige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has recently been developed as a convergence education curriculum along with various fields. The AI-based creative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program aims to foster creative convergence talent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developed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reative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program to develop new learning methods to prepare for future-oriented human resources education and to spread them in real life.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reative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programs were developed for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STEAM education was applied to attract interest by combining data science and algorithms with important keywords. We developed Hi-Ai STEAM for How to Google Image Search? and Let s Go to the Wonderful World of Algorithms guided by YouTube and applied it to STEAM outside of school. Hi-Ai STEAM,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reative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program aimed at fostering creative convergence talent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we developed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design program to prepare for the future of creative talent education and a new society. Second, we presented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design education program Hi-Ai STEAM program. Convergence educ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an suggest the development of qualitatively high-quality programs and contents, and the establishment of personalized online systems.

      • KCI등재

        융합교육으로서 미술 감상 교육 콘텐츠 개발 연구

        고홍규 ( Koh¸ Hongkyu ),박재용 ( Park¸ Jaeyong ),정동훈 ( Jung¸ Donghun ),장현진 ( Jang¸ Hyunjin ),김정임 ( Kim¸ Jeongim ),김현지 ( Kim¸ Hyunji ),채유정 ( Chae¸ Yoojeong ),한경은 ( Han¸ Kyungeu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4

        본 연구는 미술 감상 교육을 기반으로 하여 과학, 사회(역사), 생활과학(실과) 등의 교과를 연계하는 융합교육 콘텐츠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융합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대두된 이래로 융합교육에 대한 많은 연구와 교육적 시도가 있었다. 하지만 우리 교육현장에서 대부분의 융합교육은 STEAM으로 대변되는 과학이나 수학 위주의 교육 프로그램이 주를 이루었다. 미술교과는 다양한 영역과 연계하여 학습될 수 있는 융합적 가능성이 많은 교과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의 융합교육에서는 대개 그 융합적 가능성이 적절히 기능하지 못한 채 주변화 된 교과로 진행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연구자는 미술교과, 그 중에서도 타 교과 영역과의 연계 가능성이 큰 미술 감상 영역을 중심으로 여러 교육 내용을 연계할 수 있는 융합적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하여 보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일련의 연구 과정의 첫 단계로서 융합교육 콘텐츠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은 고구려 고분벽화 <무용총>, 신윤복의 <월하정인>, 김홍도의 <수운엽출>, 조선의 민화 <백동자도>,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최후의 만찬>, 한스 홀바인의 <대사들>, 요하네스 베르메르의 <사관과 웃고 있는 소녀>, 김환기의 <피난열차>, 가야 시대의 <오리모양 토기>, 그리고 조르주 쇠라의 <그랑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의 총 10점의 미술 작품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학생들의 학습 수준을 고려하여 과학, 사회(역사), 생활과학(실과) 등의 교과와 연계할 수 있는 내용들을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앞으로 후속 연구에서는 개발된 융합적 콘텐츠를 바탕으로, 이를 초등교육과정 및 현장에 부합하는 교수·학습과정안 및 교수 방법으로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실제 초등교육 현장에 적용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이 이우러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present a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that links subjects such as science, society (history), and life science (practical arts) based on art appreciation education. Since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convergence education emerged,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and educational attempts on convergence education. However, most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in our educational field was mainly science or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s represented by STEAM. Although art subjects have many fusion possibilities that can be learned in connection with various fields, in fusion education so far, the fusion possibilities tend to proceed to marginalized subjects without properly functioning.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e researcher developed and implemented a convergent educational program that can link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centering on the art subject, especially the art appreciation area, which has a high possibility of linking with other subject areas, and reports its effectiveness. I tried to verify.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convergence educationprogram as the first step in a series of research processes. Developed educational programs include Goguryeo tomb murals < Mudyong Chong >, Shin Yun-bok's < Wolha Jungin >, Kim Hong-do's < Sooun Yeopchul >, Joseon's folk painting < Baek Dongjado >, Leonardo da Vinci's < The Last Supper >, Hans Holbein's < The Ambassadors > >, Johannes Vermeer's < The Officer and the Laughing Girl >, Kim Whanki's < The Evacuation Train >, < Duck-shaped Pottery > from the Gaya Period, and Georges Seurat's < Sunday Afternoon on Granjat Island > As a result, contents that can be linked to subjects such as science, society (history), and life science (practical arts) are presented in consideration of the learning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follow-up study, we will go further from this study and present more diverse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art works, such as the programs developed in this study, and develop them as teaching/learning curriculum plans and teaching methods suitable for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 KCI등재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융합인재교육(STEAM)기반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문화예술 융합교육 모형을 적용하여-

        기세홍(Ki Sehong),권재환(Kwon Jaehw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문화예술 융합교육 모형을 적용하여 개발한 융합인재교육(STEAM) 기반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자유학기제 예술·체육 수업으로 진행하고 학생들과 교사들의 피드백을 통하여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미술과 중심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례를 제시하여 미술과 중심의 융합인재교육(STEAM)을 확산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STEAM 준거 틀에 기반을 두어 전통적인 학습모형인 ADDIE 모형과 H. TABA의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검토하고 유형요소와 필요역량을 반영할 수 있는 문화예술 융합교육 모형을 참고하여 마블링, 모빌, 벽화 등 3가지 주제에 따른 융합인재교육(STEAM) 기반 미술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여 2018학년도 1학기와 2학기에 중1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진행 결과 전체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으며 ‘수업내용이 흥미롭고 재미있었다’는 항목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미술 교과 중심의 융합인재 프로그램은 미술교사가 가지는 과학, 수학교과의 전문 지식의 한계나 필요한 실험 교재, 수업시간의 부족, 제한된 학생 수 등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구성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미술과 중심의 수학, 과학의 융합인재교육을 확산하고 대중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research progresses through art and physical training education during free learning semester by applying the model of culture and art convergence education, which develops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convergence talent education(STEAM), and intends to expand convergence talent education(STEAM) centered on art subject by suggesting a case of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centered on art subject that cultivate individual creativity·personality, which received feedbacks from students and teachers. Under the standards of STEAM, by reviewing conventional study models such as ADDIE model and H. TABA model, by referencing culture and art convergence education model that considers categorical factor and its necessity and by accommodating convergence talent education(STEAM) based on three topics such as marbling, mobile and wall painting, the class took effect on 7th grade students during 2018 first semester and second semester. The satisfaction level of this program, generally, was reported high and the response, ‘The contents of the class were interesting and fun’, had the highest rate. Convergence talent education centered on art subject had its own limitations for the tendency of art teachers lacking knowledge in math and science, insufficient amount of class time and limited number of students.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will expand and publicize art centered convergence talent education of math and science that aims to foster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