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협동학습 기반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인성요소 발달 탐색

        김고경(Kim, Go Kyoung),백성혜(Paik, Seoung-Hey)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 2019 융합교육연구 Vol.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에서 만든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고 앞으로의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에 기여하고자 하는 데 있다. 융합교육 프로그램은 중학교 자유학기제에 실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만들어져 있어 이를 연구 대상자인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수준으로 재구성하였다. 프로그램 차시별 활동은 연구 대상자의 특성과 초등학교 성취기준, 협동학습 구조를 바탕으로 하여 학생들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실생활의 문제를 중심으로 재구성하여 설계하였다. 수업은 5회에 걸쳐 10차시로 진행되었고, 동료평가는 3~4 차시에 1회, 5~6차시에 1회, 9~10차시에 1회, 총 3회 실시하였다.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학생들의 인성요소 변화 평가는 일반 수업과의 비교와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의 변화의 두 가지 관점에서 평가지 및 활동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일반 수업을 진행하였을 때와 협동학습 구조 및 토론 활동을 바탕으로 한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을 때의 학생들의 수업 참여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융합교육 프로그램이 진행될수록 학생들은 동료평가를 객관적으로 하게 되었고, 수업참여에도 변화된 모습을 보였다. 평소 수업에 적극적이고 참여도가 높으며 다른 친구들의 의견을 잘 들어준 학생들이 가장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활동에서도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한국교원대학교 융합연구소에서 개발·보급하고 있는 융합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다양한 평가를 바탕으로 더욱 발전된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제작 방법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a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created by the Institute for Convergence Education at Korean National University to sixth graders to identify its effect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futur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was designed to be implemented in the free semester of middle school, which was reconstructed to the level of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The program-by-programme activities were design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tudied, the achievement criteria of elementary schools, and the cooperative learning structure, focusing on real-life issues that enable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es. The class was conducted on 10 occasions over 5 occasions, and the peer review was conducted on 1 time between 3 and 4 times, 1 time between 5 and 6 times, 1 time between 9 and 10 times, and 3 times in total. The assessment of changes in students personality factors through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was analyzed from two perspectives: comparison with general classes and change in conducting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class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at in general classes and in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based on cooperative learning structures and discussion activities. Second, as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progressed, the students became more objective in peer review and showed a change in their participation in class. Based on the various evaluation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developed and distributed by the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 Convergence Research Institute, the Commission suggested how to produce more advanced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 RO를 이용한 기수 담수화 효율 분석 및 수자원 공급원의 타당성 연구

        김승겸 ( Seungkyeom Kim ),이민영 ( Minyoung Lee ),김고경 ( Gogyeong Kim ),송원중 ( Wonjung Song ),박용민 ( Yongmin Park ),권지향 ( Jihyang Kweon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도시발전 및 급속한 산업화로 인해 생활용수, 공업용수의 수요가 증가 됨에 따라, 수 환경의 오염 및 수자원의 고갈로 인한 수자원의 추가확보는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새로운 수자원 확보방안으로는 지하수 개발, 해수 담수화, 중수도를 포함하는 하수 처리수의 재이용 등이 있다. 현재 하수 처리수의 재이용은 하천의 자정 능력이 감소함에 따라 점차 심화 된 수질오염 문제를 개선하는 방법으로 쓰이고 있다. 또한, 댐 건설 등과 같은 방법에 비해 충분한 수량 확보가 가능하고, 경제적 효용성도 높기 때문에 많이 고려되고 있는 방법이다. 하지만 현재 하수 처리수 재이용에 대해 구체적인 수질 기준이 정립되지 않은 상태이며, 하수 처리수를 이용한다는 심미적 거부감이 있는 상황에서 하천의 유지용수, 또는 생태기능을 위한 용수로 사용되기에는 수질의 측면에서 아직은 불안정한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 하수 처리수의 재이용이 아닌 비교적 높은 효율을 내는 것으로 알려진 담수화 공정, 특히 기수 유역에서의 담수화를 연구하고자 한다. 기수는 해수보다 염분농도가 낮아 생산수의 수량적인 측면에서 이점이 있고, 기수를 이용하면 해수를 이용한 담수화 공정보다 50% 미만의 에너지가 들어가 경제적이다. 최근 담수화 방법으로 여러가지 막을 이용한 공정들이 연구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역삼투 공정(Reverse Osmosis), 나노여과 공정(Nanofiltration), 정삼투 공정(Forward Osmosis), 막증발 공정(Membrane distillation)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역삼투 공정은 이온성 물질과 무기물, TDS를 99% 이상 제거 가능하다. 또한, DOC나 UVA 등은 평균 80%, TEP는 90% 이상 제거 가능하며, 콜로이드성 유기물질들은 역삼투 공정을 거치면서 대부분 제거된다. 이에 본 연구는 기수 담수화 공정을 통해 하수 처리수 재이용의 고질적인 수질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RO를 이용한 기수 담수화 효율 분석 및 수자원 공급원의 타당성 연구

        김승겸 ( Seungkyeom Kim ),이민영 ( Minyoung Lee ),김고경 ( Gogyeong Kim ),송원중 ( Wonjung Song ),박용민 ( Yongmin Park ),권지향 ( Jihyang Kweon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도시발전 및 급속한 산업화로 인해 생활용수, 공업용수의 수요가 증가 됨에 따라, 수 환경의 오염 및 수자원의 고갈로 인한 수자원의 추가확보는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새로운 수자원 확보방안으로는 지하수 개발, 해수 담수화, 중수도를 포함하는 하수 처리수의 재이용 등이 있다. 현재 하수 처리수의 재이용은 하천의 자정 능력이 감소함에 따라 점차 심화 된 수질오염 문제를 개선하는 방법으로 쓰이고 있다. 또한, 댐 건설 등과 같은 방법에 비해 충분한 수량 확보가 가능하고, 경제적 효용성도 높기 때문에 많이 고려되고 있는 방법이다. 하지만 현재 하수 처리수 재이용에 대해 구체적인 수질 기준이 정립되지 않은 상태이며, 하수 처리수를 이용한다는 심미적 거부감이 있는 상황에서 하천의 유지용수, 또는 생태기능을 위한 용수로 사용되기에는 수질의 측면에서 아직은 불안정한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 하수 처리수의 재이용이 아닌 비교적 높은 효율을 내는 것으로 알려진 담수화 공정, 특히 기수 유역에서의 담수화를 연구하고자 한다. 기수는 해수보다 염분농도가 낮아 생산수의 수량적인 측면에서 이점이 있고, 기수를 이용하면 해수를 이용한 담수화 공정보다 50% 미만의 에너지가 들어가 경제적이다. 최근 담수화 방법으로 여러가지 막을 이용한 공정들이 연구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역삼투 공정(Reverse Osmosis), 나노여과 공정(Nanofiltration), 정삼투 공정(Forward Osmosis), 막증발 공정(Membrane distillation)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역삼투 공정은 이온성 물질과 무기물, TDS를 99% 이상 제거 가능하다. 또한, DOC나 UVA 등은 평균 80%, TEP는 90% 이상 제거 가능하며, 콜로이드성 유기물질들은 역삼투 공정을 거치면서 대부분 제거된다. 이에 본 연구는 기수 담수화 공정을 통해 하수 처리수 재이용의 고질적인 수질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RO를 이용한 기수 담수화 효율 분석 및 수자원 공급원의 타당성 연구

        김승겸 ( Seungkyeom Kim ),이민영 ( Minyoung Lee ),김고경 ( Gogyeong Kim ),송원중 ( Wonjung Song ),박용민 ( Yongmin Park ),권지향 ( Jihyang Kweon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도시발전 및 급속한 산업화로 인해 생활용수, 공업용수의 수요가 증가 됨에 따라, 수 환경의 오염 및 수자원의 고갈로 인한 수자원의 추가확보는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새로운 수자원 확보방안으로는 지하수 개발, 해수 담수화, 중수도를 포함하는 하수 처리수의 재이용 등이 있다. 현재 하수 처리수의 재이용은 하천의 자정 능력이 감소함에 따라 점차 심화 된 수질오염 문제를 개선하는 방법으로 쓰이고 있다. 또한, 댐 건설 등과 같은 방법에 비해 충분한 수량 확보가 가능하고, 경제적 효용성도 높기 때문에 많이 고려되고 있는 방법이다. 하지만 현재 하수 처리수 재이용에 대해 구체적인 수질 기준이 정립되지 않은 상태이며, 하수 처리수를 이용한다는 심미적 거부감이 있는 상황에서 하천의 유지용수, 또는 생태기능을 위한 용수로 사용되기에는 수질의 측면에서 아직은 불안정한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 하수 처리수의 재이용이 아닌 비교적 높은 효율을 내는 것으로 알려진 담수화 공정, 특히 기수 유역에서의 담수화를 연구하고자 한다. 기수는 해수보다 염분농도가 낮아 생산수의 수량적인 측면에서 이점이 있고, 기수를 이용하면 해수를 이용한 담수화 공정보다 50% 미만의 에너지가 들어가 경제적이다. 최근 담수화 방법으로 여러가지 막을 이용한 공정들이 연구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역삼투 공정(Reverse Osmosis), 나노여과 공정(Nanofiltration), 정삼투 공정(Forward Osmosis), 막증발 공정(Membrane distillation)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역삼투 공정은 이온성 물질과 무기물, TDS를 99% 이상 제거 가능하다. 또한, DOC나 UVA 등은 평균 80%, TEP는 90% 이상 제거 가능하며, 콜로이드성 유기물질들은 역삼투 공정을 거치면서 대부분 제거된다. 이에 본 연구는 기수 담수화 공정을 통해 하수 처리수 재이용의 고질적인 수질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