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중한 예의와 정치적 예의의 공존을 통한 시민적 예의 교육

        심성보 ( Seong Bo Sim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4 교육철학연구 Vol.36 No.2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예의’라는 말을 자주 사용하지만, 그것이 무엇을 뜻하는지 명쾌하게 개념화하기란 쉽지 않다. 일반적으로 예의는 ‘예의범절’ 정도의 정중한 행동이나 예의바름의 의미로 정의되는 것이 보통이다. 흔히 이것은 어른이나 직장 상사, 나아가 고객들에게 복종하고 봉사한다는 태도를 나타내는 매너나 에티켓으로 표현한다. 그런데 예의는 원래 정중한 예의와 정치적 예의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전자의 예의로 축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하여 정치적 예의가 결여된 정중한 예의는 예의의 정치적 본질을 포착할 수 없게 한다. 왜냐하면 정중한 예의가 정치적 예의보다 표현의 자유에 더 많은 제약을 받기 때문이다. 이렇게 예절바른 고상한 덕목인 정중한 예의는 정치적 입장 차이를 보일 때 갈등의 정도가 심하다. 왜냐하면 정치적 예의는 정중한 예의가 관심을 두지 않는 문제, 즉 시민들에게 극단적 폭력을 무례하게 행사하는 국가권력의 폭력 문제에 개입을 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정치적 예의는 폭력과 불의의 문제에 개입하면서 사회정의를 위한 변화에 관심을 갖기도 한다. 시민적 예의는 정중한 예의와 정치적 예의의 관계 속에서 형성된다. 인간적 차원의 개인 간의 정중한 예의만으로는 공동체의 정치적 예의를 표현하는 데 충분하지가 않다. 그것은 다른 사람을 평등하게 대우하는 문제와 분리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정치적 예의는 단순히 정중한 예의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시민들의 현실과 관련된 공동체의 정치적 폭력과 착취 등의 문제에 관심을 둔다. 이에 개인 간의 정중한 예의와 시민 차원의 정치적 예의가 대립하는 것이 아닌 공존하는 ‘시민적 예의’를 필요로 한다. 시민적 예의의 함양은 인류가 갖추어야 할 시민성의 핵심적 요소로서 좋은 시민이 될 수 있는 주요한 기제이다. 따라서 ‘정직한 시민’뿐 아니라 ‘정의로운 시민’을 동시에 함양하는 ‘시민적 예의교육’을 더욱 필요로 한다. Civility is a complicated notion that requires more careful. Generally, civility is defined as courteous behaviour or politeness. But, civility is not simply or principally about manners or etiquette, polite behavior and also is more than just manners, politeness. While manners focus on the exchanges between and among individuals, civility also includes the exchanges between individual and the community. Good manners and polite interactions with others foster a sense of community that strengthens the community as a whole. However, the concept of civility has sparked confusion. Civility interweaves humane/polite civility and political civility. Being polite is certainly not sufficient for political civility and may not even be necessary. Humane/Polite civility imposes much greater restrictions on freedom of expression than political civility. We must not commit the civility the reductionist mistake of restricting civility to polite behaviour or etiquette. Broadly understood, civility concerns communication about and within the political sphere. Political civility is a form of reciprocity and recognition between citizens regarding the kind of reasons and the standards used within argumentation on public issues and affairs. Political civility, considered as a democratic civic/public virtue goes beyond mere politeness to include decent respect and consideration as opposed to rudeness of behavior. Political civility could be the true of those who engage in ruthless acts of extreme violence against citizens of a polis. Political civility can be defined as a proclivity towards non-violence and respect for the principles of comprise, mutual respect, and power-sharing among different ways of life. Sometimes, uncivil actions should be tolerated, sometimes not. Political civility is not mere politeness but a matter of treating others as equals. Political civility plays a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itizens. Therefore, we should activate civility education through co-exsistence of politeness and political civility to consolidate more civil society. Being “uncivil” is defined as “barbaric”, lacking in courtesy, and not conducive to civil harmony and welfare. However, granted that moral disagreement is a fact of any democratic society, we need a virtue that will enables us to bridge the disagreement politically. Political civility bridges disagreement by restraining our desire to maximize our conception of the good in the public spheres. Uncivil/critical consciousness-raising has a crucial role to play in securing a hearing for the disadvantaged and making a more just society. Incivility is not always wrong. In exploitative class hierarchies or unjust states that deny opportunities, dissent and individual rights, uncivil actions may be critical consciousness-raising and revolution justified. We require civility education for narrowing the gap of civility and incivility, polite civility and political civility. And we need it for coexisting both of civility, consisted of “just” citizen as well as “honest” citizen.

      • KCI등재

        대학생의 다문화 감수성과 공감능력이 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이병임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3

        This research aimed to study the effects of both multicultural sensibility and empathic ability on civility. There were 239 participants, who are undergraduate students in colleges, randomly recruited from N and D cities. The scales used included multicultural sensibility, empathic ability, and civility, and the results analyzed reliability, correlation, and regression.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first, the means of multicultural sensibility, empathic ability, and civility were 3.69, 4.08, and 3.96 respectively. Second, multicultural sensibility, empathic ability and civility had significantly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s. Third, multicultural sensibility and empathic 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ivility. Finally, regarding relative influence, multicultural sensibility had more of an effect than empathic ability on civility. To increase civility, a multidimensional approach is needed. University classes on civility, and general education classes on multicultural sensibility and empathic ability, need to be further develop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다문화 감수성과 공감능력이 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N시와 D시 소재의 대학생 239명을 임의표집 하였다. 측정도구는 다문화 감수성, 공감능력, 시민의식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결과분석을 위해 신뢰도, 상관관계 그리고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감수성의 평균은 3.69, 공감능력의 평균은 4.08 그리고 시민의식의 평균은 3.96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감수성, 공감능력 그리고 시민의식은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다문화 감수성과 공감능력은 시민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 영향력에서는 다문화 감수성과 공감능력 순으로 다문화 감수성이시민의식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해서는 다면적인 접근이필요함을 제언하였다. 특히 시민의식 관련 교과목 뿐 아니라 다문화 감수성 및 공감능력을 함양할수 있는 교양 교과목 및 비교과 프로그램의 개발 그리고 다양한 교수법의 활용이 필요함을 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의 방향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문명’과 ‘야만’의 서사를 통한 재‘만’ 조선인의 신분 상승의 욕망

        왕원원(Wang, Yuan Yuan),이해영(Li, Hai Ying)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통일인문학 Vol.87 No.-

        이 논문은 ‘문명’과 ‘야만’의 대립적 서사를 통해 재‘만’ 조선인 소설에서 조선인의 신분 상승의 욕망이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일본인과 같은 반열에 오르려는 환상을 품었으나 진정한 국민으로 취급받지 못한 조선인에게 ‘문명’은 우위, ‘야만’은 하위라는 민족적 위계 질서가 내포되어 있는 ‘문명론’은 신분적인 낙차를 없애는 차선책이 되었다. ‘문명론’에 의해 조선인은 본민족의 ‘문명’과 우월성을 나타낼 수 있는 ‘야만’적인 ‘만주’를 발견하였고 조선인의 신분 상승의 욕망은 ‘만주국’이라는 특별한 공간에서 구현되었다. 이러한 조선인의 신분 상승의 욕망은 재‘만’ 조선인 소설의 하나의 주제로 표출되었다. 한찬숙의 「초원」은 ‘문명’을 대표하는 조선인과 ‘야만’을 상징하는 몽골인 사이에 형성된 ‘문명’화 정도의 대비를, 또한 일본인의 부재를 이용하여 조선인은 ‘만주’ 토착민 몽골인의 우위에 서고 일본인과 동등해지려는 욕망을 그대로 나타냈다. 김현숙의 「참회」는 ‘만주국’내 일본인은 우위, 조선인은 하위의 민족적 위계 질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야만’적인 조선인이 ‘문명’한 일본인에 의해 구원을 받고 문명인으로 신분 상승의 가능성을 획득하는 서사를 통해 위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조선인의 욕망을 우회적으로 표출하였다. 박영준의 「밀림의 여인」은 ‘야만’적인 적대세력 공산당을 교화하는 서사를 통해 조선인 전체를 ‘만주국’ 체제에 편입시킴으로써 조선인 신분 상승의 욕망을 반영하였다. 비록 소설에 따라 욕망의 구현 형태가 다르지만 이것은 ‘문명론’을 통해 조선인의 ‘문명’과 우위를 확보하고자 했던 재‘만’ 조선인의 식민주의적 무의식이 만들어낸 허상이었다. This paper examined how the desire to improve the status of Koreans was fulfilled through the contrasting narratives of "the civilized" and "the barbarous" in the Korean immigrant novels of Manchukuo. For Koreans who were eager to obtain equal status with the Japanese but had never been treated as Japanese nationals, the hierarchical "theory of civility," which holds that "the civilized" occupies the upper position and "the barbarous" is placed in the lower position, had become the alternative choice to eliminate their status differences. With the help of the "theory of civility," Koreans found that Manchukuo"s, a "barbaric" place, highlights their national civility and status superiority; this has become one of the central themes of Manchukuo novels. Han Chan-sook"s Grassland used a comparison of the degree of civility between the Koreans who represented civility and the Mongols who symbolized barbarism, as well as the absence of the Japanese, to manifest the desire of Koreans to stand above the Manchukuo original inhabitants-Mongols and to obtain a status comparable to the Japanese. Kim Hyeon-sook"s Confession told a story about "barbaric" Koreans who were saved by the "civilized" Japanese, which provided the opportunity to improve their status as civilized persons while maintaining the national hierarchy in Manchukuo, where the Japanese were superior and the Koreans were inferior. This story implicitly shows Koreans" desire to improve the hierarchy. Park Young-joon"s Woman in the Jungle embodied the desire to improve the status of Koreans by incorporating all Koreans into the "Manchukuo" system through a narrative that edified the "barbaric" hostile forces-the Communist Party. The desires depicted in these novels, albeit with different manifestations, were illusions created by the colonial unconsciousness that internalized the "theory of civility" to confirm the civility and superiority of Koreans.

      • KCI등재

        귀족의 예절, 평민의 예절, 그리고 규율. 에라스무스와 드 라 살의 예절서

        김정인 호남사학회 2015 역사학연구 Vol.58 No.-

        In his book The Civilizing Process(1939), Norbert Elias explained the process of creation and diffusion of the manners in three stages, such as the courtoisie in the middle ages, the civility in the modern absolutism, and the civilization in the nineteenth century. He made wide use of two works for the key evidence of his analysis that the manners had spread from the court noblesse through the elite of bourgeoisie to the common people for 200 years. One is Erasmus' On Civility in Boys and the other Jean Baptiste de La Salle's The Rules of the Christian Decorum and Civility. Elias' book explicated the civilizing process connected with the epopee of the modern state formation from the middle ages to the nineteenth century. His work has been reprinted and regarded as a classic of history of mentality, after the success of Philippe Ariès who tried to find out a different concept of childhood while utilizing similar sources and methodology as his. These classics show in what way the manners had been transformed like a panorama, analyzing a great number of etiquette books from the middle ages to the nineteenth century. Instead of following that approach, however, the paper will exam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civility and the decorum which were attributed to the nobles and the commons, only looking at the works of Erasmus and La Salle. Erasmus' book, dedicated to a son of nobility, described the manners of the nobility while La Salle aimed to spread the manners to the people, bearing in mind the church brothers and their future students as his readers. Thus the latter, drawing on the manners of Erasmus, regulated the contents of manners in more detail, which seems ridiculous in our days. It also gave a great emphasis o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uperiors and the inferiors. His civility and decorum deserve particular attention with regard to the school discipline. Because the whole life of church schools were strictly regulated by the Congregation in accordance with the rigorously defined rules based on those civility and decorum. 노르베르트 엘리아스는 1939년에 발간된 그의 책 『문명화과정』에서 예절이 만들어지고 확산되는 과정을 중세 봉건사회의 쿠르투와지와 근대 절대주의 시대의 시빌리테, 그리고 19세기 시민사회의 시빌리자시옹의 단계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그의 설명에서 에라스무스의 『어린이의 예절에 관하여』라는 작은 책과 장-밥티스트 드 라 살의 『기독인의 예의범절에 대한 규칙들』이라는 책은 200여년의 차이를 두고 이 예절들이 궁정귀족으로부터 부르주아지 상층부로 그리고 다시 일반 평민들에게 전파되는 방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근거로 이용되고 있다. 중세로부터 19세기로 이어지는 근대국가 형성의 대서사시와 연결된 문명화과정을 수많은 예절서들을 근거로 설명하는 데 주력했던 이 저서는, 아동기의 발견이라는 다른 관점에서 출발했지만, 비슷한 자료와 방법론을 이용했던 필립 아리에스의 성공 이후 재발간되어 심성사의 한 축으로 간주되었다. 이제는 고전이 되어버린 이 저서들은 중세로부터 19세기로 이어지는 수많은 예절서들을 함께 분석하면서 파노라마와 같이 전개되는 예절의 변형을 서술하고 있다. 이 방식을 따르는 대신, 이 논문에서는 앞의 두 권의 책만을 대상으로 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할 것이다. 에라스무스의 책은 귀족의 아이에게 헌정된 책이고 따라서 귀족층의 예절을 설명하고 있다. 반면 장-바티스트 드 라 살은 먼저 교사가 될 수도회의 수사들과 이들이 가르칠 아이들을 독자로 하여 책을 썼기 때문에 민중들에게 예의범절을 확산시킬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후자의 책이 에라스무스의 예절을 차용하면서도 지금에 와서는 우스꽝스럽게 여겨질 내용들을 상세히 규정하고 있는 것이나, 윗사람과 아랫사람의 구분을 항상 분명히 하고 그 우선순위를 강조하는 것이 이 때문이다. 한편 그의 예의범절은 학교 규율과 관련하여 특히 주목할 만하다. 이 수도회에서 운영하는 학교들에서 진행되는 모든 일들이 규칙에 따라 엄격히 규정되어 있기 때문이며 그 바탕에 이 예의범절이 깔려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연구논문 : 귀족의 예절, 평민의 예절, 그리고 규율, 에라스무스와 드 라 살의 예절서

        김정인 ( Jung In Kim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5 역사학연구 Vol.58 No.-

        노르베르트 엘리아스는 1939년에 발간된 그의 책 『문명화과정』에서 예절이 만들어지고 확산되는 과정을 중세 봉건사회의 쿠르투와지와 근대 절대주의 시대의 시빌리테, 그리고 19세기 시민사회의 시빌리자시옹의 단계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그의 설명에서 에라스무스의 『어린이의 예절에 관하여』라는 작은 책과 장-밥티스트 드 라 살의 『기독인의 예의범절에 대한 규칙들』이라는 책은 200여년의 차이를 두고 이 예절들이 궁정귀족으로부터 부르주아지 상층부로 그리고 다시 일반 평민들에게 전파되는 방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근거로 이용되고 있다. 중세로부터 19세기로 이어지는 근대국가 형성의 대서사시와 연결된 문명화과정을 수많은 예절서들을 근거로 설명하는 데 주력했던 이 저서는, 아동기의 발견이라는 다른 관점에서 출발했지만, 비슷한 자료와 방법론을 이용했던 필립 아리에스의 성공 이후 재발간되어 심성사의 한 축으로 간주되었다. 이제는 고전이 되어버린 이 저서들은 중세로부터 19세기로 이어지는 수많은 예절서들을 함께 분석하면서 파노라마와 같이 전개되는 예절의 변형을 서술하고 있다. 이 방식을 따르는 대신, 이 논문에서는 앞의 두 권의 책만을 대상으로 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할 것이다. 에라스무스의 책은 귀족의 아이에게 헌정된 책이고 따라서 귀족층의 예절을 설명하고 있다. 반면 장-바티스트 드 라 살은 먼저 교사가 될 수도회의 수사들과 이들이 가르칠 아이들을 독자로 하여 책을 썼기 때문에 민중들에게 예의범절을 확산시킬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후자의 책이 에라스무스의 예절을 차용하면서도 지금에 와서는 우스꽝스럽게 여겨질 내용들을 상세히 규정하고 있는 것이나, 윗사람과 아랫사람의 구분을 항상 분명히 하고 그 우선순위를 강조하는 것이 이 때문이다. 한편 그의 예의범절은 학교 규율과 관련하여 특히 주목할 만하다. 이 수도회에서 운영하는 학교들에서 진행되는 모든 일들이 규칙에 따라 엄격히 규정되어 있기 때문이며 그 바탕에 이 예의범절이 깔려 있기 때문이다. In his book The Civilizing Process(1939), Norbert Elias explained the process of creation and diffusion of the manners in three stages, such as the courtoisie in the middle ages, the civility in the modern absolutism, and the civilization in the nineteenth century. He made wide use of two works for the key evidence of his analysis that the manners had spread from the court noblesse through the elite of bourgeoisie to the common people for 200 years. One is Erasmus`` On Civility in Boys and the other Jean Baptiste de La Salle``s The Rules of the Christian Decorum and Civility. Elias`` book explicated the civilizing process connected with the epopee of the modern state formation from the middle ages to the nineteenth century. His work has been reprinted and regarded as a classic of history of mentality, after the success of Philippe Aries who tried to find out a different concept of childhood while utilizing similar sources and methodology as his. These classics show in what way the manners had been transformed like a panorama, analyzing a great number of etiquette books from the middle ages to the nineteenth century. Instead of following that approach, however, the paper will exam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civility and the decorum which were attributed to the nobles and the commons, only looking at the works of Erasmus and La Salle. Erasmus`` book, dedicated to a son of nobility, described the manners of the nobility while La Salle aimed to spread the manners to the people, bearing in mind the church brothers and their future students as his readers. Thus the latter, drawing on the manners of Erasmus, regulated the contents of manners in more detail, which seems ridiculous in our days. It also gave a great emphasis o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uperiors and the inferiors. His civility and decorum deserve particular attention with regard to the school discipline. Because the whole life of church schools were strictly regulated by the Congregation in accordance with the rigorously defined rules based on those civility and decorum.

      • KCI등재

        교양 사회과학에서 민주적 시민성 함양을 위한 체험과 협력 기반 교육 방법 -‘사회적 약자’에 대한 체험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박현희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4

        Courses in social sciences, as part of college curricula in liberal arts, aim at fostering democratic civility within the students that enroll in these courses. Until now, social science courses have not been able to fulfill its role as one of the main arenas of civic education. This particular point is stressed by the way research in educational methodology regarding social science subjects are almost nonexistent. Education that focuses on fostering civility requires emphasis on the need for ‘critical thinking’, ‘sympathy and consideration for others’, and ‘mutual cooperation and reciprocity’ mixed into its educational curricula in order to promote participation of its citizens in public matters and increase the general civic quality of its citizenry. As such, college courses in social science that aim to foster civility will need to stress the significance of changes in the heart and attitude and in the growth of personal character all the while promoting education based on experience and cooperation.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education based on experience and cooperation is that the instructor facilitates for the opportunity for students to carry out the learning in their own accord. Experience-based education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background information is handed out to the students to catch their attention; next, students carry out experience-based activities; students hand in their work and present their results, then the results are discussed among the group; lastly, students are encouraged to reflect back on their work and assess it in a critical manner. Looking at case-studies of classes conducted in this manner, the results indicate an increase in democratic civility of students in the midst of a neo-liberal, individual-centric, competition-driven times. Through this educational methodology, students were able to learn to sympathize with others, consider the needs of others, and more actively engage in resolving societal issues and problems. Through a series of education courses based on experience and cooperation, we were able to identify a change in the student’s attitude from being ignorant towards societal issues, disinterested in the socially disadvantaged, insensitive towards other people’s hardship, and towards having fostered a sense of consideration towards others, interest in societal matters, and actively engaged in promoting social change. Additionally, students were abl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ooperation based on mutual understanding and respect in creating a democratic society. Hence, we were able to conclude that cooperative exercises that students carried out contributed to an opportunity for them to learn from each other in how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develop their thought. As students are faced with various societal problems and issues, as they attempt to resolve these issues using their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seek to find solutions to these societal problems, as they reflect back on their experiences in the course of their learning, students are able gain a heightened sense of civility. As such, we have a need for a larger number of instructors to take interest in this educational methodology as well asfor the government to invest more resources in the fostering of democratic civility in relation to college social science curricula. 대학교양교과로서 사회과학은 민주적 시민성 함양을 실천적 목표로 한다. 그동안의 교양 사회과학은 실천적 시민교육의 장으로서의 제구실을 하지 못했다. 민주적 시민성 함양을 위한 교양교과로서 사회과학의 교육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다는 점이 이를 말해준다. 시민성 함양교육은 민주주의 사회에서 공적인 문제에 대한 참여 의지와 시민적 능력 배양을 목적으로 ‘비판적 사고’와 ‘타자에 대한 배려와 공감’, ‘상호 협력과 호혜성’을 교육의 구체적 내용으로 삼을 필요가 있다. 시민성 함양을 목표로 하는 대학의 교양 사회과학은 마음의 변화, 태도의 변화에 주목하고 인간 성장을 도모하는 교과교육으로서 실천적이고 전인적 차원에서 체험과 협력 기반 교육이 필요하다. 체험과 협력 교육의 원리는 ‘공공의 문제’를 주제로, 학생 주도적으로 자율적인 학습과정이 이뤄지도록 교수자는 촉진자로서 일련의 체험교과 과정을 조직화하는 것이다. 체험 교과과정은 ‘동기부여를 위한 배경 지식 전달’, ‘학생들의 체험활동 과정’, ‘체험 활동의 결과물 제출과 발표와 토론 과정’, ‘체험 후기를 통한 자기성찰단계’로 이루어진다. 실제 수업 사례를 통해 체험 후기를 검토한 결과, 각자도생의 원리를 강요하는 신자유주의 무한 경쟁 시대에, 체험교육에 참여한 학생들은 민주적 시민으로서의 태도를 갖게 되었다. 이 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타자의 고통을 공감하고, 배려하며, 사회문제에 적극적인 자세로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다질 수 있었다. 일련의 체험과 협력 교육을 거쳐 사회문제에 대한 무지, 사회적 약자에 대한 무관심과 타자의 고통에 대해 무감각한 개인에서 벗어나, 약자에 대한 공감과 사회문제 해결에 적극적 참여 의지를 갖춘 시민으로서 면모를 갖추게 되었음을 체험 후기를 통해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협력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상호 이해와 존중에 기반을 둔 협력이 민주 시민으로서 반드시 필요한 역량이라는 점을 인지하게 되었다. 협력활동은 사고와 표현(의사소통)에 있어 서로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되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된다. ‘사회적 약자’와 ‘대안을 추구하는 주체’를 대상으로 다양한 층위의 사회문제들을 함께 체험하고, 마음으로 이해하며,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원인과 해결책을 탐구하며, 체험 후기를 통해 체험 학습 과정을 돌아보면서, 학생들은 민주시민으로 거듭날 수 있다. 교양 사회과학의 민주적 시민성 함양을 위한 실천적 실험이 보다 활발해질 수 있도록 보다 많은 교수자들의 관심과 대학 당국의 정책적 지원이 병행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18세기 영국의 결투반대운동

        김중락 ( Joong Lak Kim ) 대구사학회 2009 대구사학 Vol.94 No.-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anti-duelling arguments and their acceptance in eighteenth-century Britain, when the dueling culture was at its highest. Whereas the anti-duelling campaign in seventeenth-century had been based on legal approaches, the eighteenth-century campaign had been mostly conducted by the anti-duelist writers. The anti-duelist writers criticised the theory of civility and politeness, as they saw that duelling was not an isolated culture of the upper class. They found the code of honour upon which duelling base was a part of contemporary practice of civility and politeness. True civility and politeness, for the anti-duelist writers, was not formal and outward manner of flattery and ceremonies, but simple and natural one. Therefore, gentleman`s honour was nothing to do with the failure of this hypocrisy, formal civility. Duelling was the most fallacious aspect of this formal and conceived civility. These arguments had been supported by the urban renaissance and the commercial development in eighteen-century Britain. The urban renaissance demanded a new norm of behaviour among the upper class. The violence was no longer seen as a sign of masculinity and gentlemanliness. It was something a gentleman had to avoid at any cost. Nevertheless, these anti-duelist writers did not deny the importance of honour as a virtue of the upper class. The christian anti-duelist writers, however, went further to criticise the concept of honour itself, whether it came from true civility or not. For them, the pursuit of honour was a sin, because christian gentlemen should seek meekness, not reputation. Furthermore, the law of honour was against the law of God. The duelists put themselves in God`s place by taking His prerogative of vengeance. These religious arguments were much influenced by the rise of the evangelical movement in the late eighteen-century. The idea on the rule of law also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taming of the duel. In the formation of the modern state, it was widely accepted that the law should be the only dictator and should not share its power with any other person. In this sense duelling was directly against the law of the state. Some of anti-duelists suggested the establishment of a court of honour to solve the matter of honour following the French example. We cannot say exactly how efficient these anti-duelling campaign had been. Nevertheless we can clearly say they were well in line of the social development in the late eighteenth-century. The shift of concept of civility and politeness was in harmony with the urban renaissance and the commercial development. Arguments for the laws of God and state were well accepted in the evangelical movement and the modern state formation. Without these, we cannot explain the rapid decline of duelling in the late eighteenth and early nineteenth-century.

      • KCI등재

        멜 깁슨의 「핵소 고지」에 나타난 종교적 가치: “신념 있는 시민교양”

        김용성,한금윤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7 종교와 문화 Vol.0 No.33

        Mel Gibson’s Hacksaw Ridge portrays an artistic vision of “convicted civility” which retains significance in modern society of high technology. It was mostly regarded as a movie which places an emphasis mainly on patriotism and life respect though. However, the movie as an art deals with an important theme of “convicted civility” which illustrates how people with religion beliefs should interact with others in the real world. Desmond Doss, a U.S Army medic, is the protagonist of the movie who miraculously saves over seventy-five injured soldiers in the battle of Hacksaw Ridge, in Okinawa during the World War II. Doss, a Seventh-day Adventist, who has firm belief in the Christian faith decides to follow the word of God especially when he faces two crucial moments in his early life. When the World War II breaks out, Doss had a good reason to be exempt from being enlisted, but he voluntarily joins the Army as a medic and a conscientious cooperator. Trying to keep the Sabbath on Saturday and refusing to carry a gun, he experiences difficult times in the Army. However, Doss heroically rescues a large number of injured soldiers in battles demonstrating his “convicted civility.” “Convicted civility” can be an alternative value that modern society needs in the era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 KCI등재

        초등 및 중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요인 탐색

        박혜숙(Park, Hye-sook)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44 No.-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청소년 초4 및 중1 패널 데이터(KCYPS)를 사용하여 아동 청소년들의 다문화 수용성과 관련되는 여러 변인과의 관계를 위계적 회기 모형을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2차년도의 변인들을 우선적으로 2차년도 다문화 수용성 예측변인으로 사용하고 나중에 1차년도의 변인들을 사용하였다. 특히 변화하는 시민의식이 다문화 수용성에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초4패널에 비하여 중1패널의 시민의식과 다문화 수용성은 낮았다. 초등학교 5학년의 경우 성별, 부모교육, 해외여행을 제외하고 독서시간, 시민의식, 성취도는 다문화 수용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관계가 있었다. 초4시기에 얻어진 다른 변인들을 통제한 후에도 초5때의 이들 변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초4 시민의식만의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2차년도 다문화 수용성을 예측하였다. 중1패널의 경우, 부모교육, 중2해외여행경험 및 중2성취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성별, 중2독서시간, 및 중2시민의식은 중2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여학생의 경우 남학생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다문화 수용성이 더 높았으며, 독서시간의 효과는 매우 작았다. 2학년 때의 변인을 통제한 후에도 성별, 1학년 때의 시민의식과 해외여행 경험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2차년도 다문화 수용성을 예측하였다. 시민의식과 다문화 수용성을 제고하기 위한 과외활동과 시간사용에 관한 심도 있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multicultural receptivity and civility/citizenship characteristics among different grade cohorts using a higher order regression model.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cohorts of elementary school 4th graders and middle school 1st graders over two years. Our findings include the following: (1) In the case of elementary 5th graders, controlling for gender, parental education, oversea travelling experience with parents, hours spent for reading, civility and citizenship values, academic achievemen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multicultural receptivity score. (2) In the case of the middle school cohort, parental education and overseas travelling experienc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effects of gender, hours spent for reading, and civility (civic) and citizenship values on multicultural receptiv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3) Compared to the elementary 4th grade cohorts, the 1st year middle school cohort's level of civility and citizenship values and multicultural receptivity scores were low. (4) Female students in the middle school cohort scored higher in multicultural receptivity than male students, but the effect of hours spent for reading was very small. (5) The cohorts'1st year scores seem to predict 2nd year multicultural receptivity both at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evels. Specifically, with the first-year middle school cohort, overseas travelling experience and civility and citizenship valu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multicultural receptivity. (6) Finally, in the case of the middle-school cohort, gender and the 2nd year civic and citizenship values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We suggest that in-depth studies to enhance civility and citizenship values and multicultural receptivity are needed.

      • KCI등재

        논문 : 소셜 미디어 이용과 시민성간의 관계에 대한 구조분석: 인터넷 정치참여의 매개효과분석

        김상돈 ( Sang Don Kim ),김승녕 ( Seung Nyung Kim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社會科學論集 Vol.43 No.2

        본 논문의 목적은 소셜미디어 이용(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팟캐스트, 블로그)이 인터넷 정치참여와 시민성(시민덕목, 질서준수)에 미치는 인과적 영향력을 분석검토하고 이들 변인들간의 관계를 다차원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페이스북은 인터넷 정치참여에 정의 인과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시민성과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트위터는 인터넷 정치참여에 정의 인과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시민성에는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셋째, 카카오톡은 인터넷 정치참여, 시민덕목과 기초질서준수 모두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넷째, 팟캐스트는 인터넷 정치참여와 시민덕목에 정의 인과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기초질서준수에는 부의 인과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블로그는 인터넷 정치참여에 정의 인과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시민성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인터넷 정치참여는 시민덕목에 강한 정의 인과관계로 기초질서준수에 부의 인과관계로 나타났다. 일곱째, 인터넷 정치참여의 매개역할인데, 페이스북, 트위터, 팟캐스트, 블로그는 인터넷 정치참여를 매개로 시민덕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기초질서준수에는 부의 영향으로 미친다는 사실이다. 마지막으로, 시민덕목과 기초질서준수사이의 상관관계는 별개의 현상으로 나타났지만, 분석에 사용된 변인들의 통제가 동시에 이루어진 상태에서의 인과관계분석에서는 시민덕목이 기초질서준수에 정의 인과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소셜미디어 이용, 개인성향, 인터넷 정치참여 변인들과 함께 연동하여 기초질서준수로 연결되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impact of use of social media on internet political participation and civic virtue, and to analysis the multi-relation of those variables. The analysis results were the followings: First, The impact of Facebook and Tweeter on internet political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while The impact of Facebook and Tweeter on civil virtue were not significant. Second, The impact of Cacaotok on internet political participation, civility, and order observance were not significant. Third, The impact of podcast on internet political participation and civil virtue civility were positively significant, while The impact of podcast on order observance were positive negatively significant. forth, The impact of blog on internet political participation were positively significant, while The impact of blog on civil virtue and order observance were not significant. fifth, The impact of internet political participation on civil virtue were positive significant, while The impact of internet political participation on order observance were negative significant. sixth, Social media via internet political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ivic virtue, While These were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order observance, Lastly, The impact of Civic virtue were not positive signific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