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로장벽 깨뜨리기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장벽 인식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김은희,김봉환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여대생이 인식하는 진로장벽을 극복하기 위한 진로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것이 여대생의 진로장벽 인식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집단상담은 효과적인 운영을 위하여 모듈식으로 구안하고 개발과정은 계속적인 수정과 검토가 이루어지도록 4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마음과 마음을 여는 1회기를 시작으로 하여 여성의 역할갈등을 이해하는 역할퀼트 작업, 여성의 취업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기 위한 직업 가치관 설정하기와 자신의 진로탐색, 우리사회의 환경적인 진로장벽 요인들과 개인이 느끼는 심리내적인 진로장벽을 인식하는 진로성숙의 시간, 여성의 다중역할을 연기해보는 상황극, 현실과 이상을 좁혀가는 합리적 의사결정 시간, 취업 시장에 부딪쳐 자신의 꿈을 이룰 준비 작업의 시간, 마지막으로 날개를 펼치는 시간으로 총 8회기로 구성되었다. 연구 대상은 여자대학생 실험집단 88명, 통제집단 88명으로 구성하여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진로장벽 검사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고,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차이와 사후검사의 공변량 분석을 통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사후검사에서 의미 있는 점수의 변화를 보였다. 즉 실험집단의 여대생들은 진로장벽을 낮게 인식하여 극복하려는 의지가 상승되었고, 진로 자기효능감도 의미 있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집단 진로상담 프로그램은 여대생의 진로선택과 도전에 긍정적인 도움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Break Down The Women's Career Barriers Counseling Program for women college students upon their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For this purpose, This program was developed.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the program was composed mainly 8 stages. the samples of this study were female college students who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Out of 156 in the samples, 88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hile the remaining 88 didn't. As means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program, career barriers inventory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 efficacy scale were employed. Findings of this study might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Break Down The Women's Career Barriers Counseling Program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areer barriers of women college students. Second, the Break Down The Women's Career Barriers Counseling Program impacted 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of women college students significantly.

      • KCI등재

        경력단절여성의 평생학습을 통한 인식전환에 관한 연구 : 이미지 코칭 프로그램 참여자를 중심으로

        정은영(Jeong, Eun You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20 평생교육학연구 Vol.26 No.2

        이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이 평생학습과정인 이미지 코칭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어떠한 경험이 인식전환을 자극하는지, 학습을 통한 인식전환 경험은 실제 삶에 어떤 변화로 이어지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목적은 경력단절여성의 건강한 자아인식 회복과 재취업 및 자기계발과 관련된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미지 코칭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를 중심으로 질적 연구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경력단절을 더는 나아갈 수 없는 “벽에 갇힌” 것으로 인식한다. 둘째, 경력단절여성의 평생학습 참여 경험은 “창을 내는” 것으로 비유하며 삶에 대한 도전과 개선 의지가 학습 참여 동기로 이어진다. 셋째, 경력단절여성의 평생학습 참여를 통한 전환은 “문을 여는” 것으로 표현되며 내적인 정서와 인식의 변화로 이어진다. 평생학습을 통한 변화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사회적 영향력의 확대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학습자 역할로 평생학습에 참여하여 전문가로서의 성장을 이루었으며 실제로 ‘고립된 학습자’에서 ‘가능성을 자극하는 교수 역할로 전환되었다. 평생학습참여는 긍정적 관점을 갖게 하며 삶의 의지를 높여 주고 이후 진로 전환까지 연결되어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article studies what parts of experiences in Image Coaching Program, a course of lifelong learning program for women with career break, stimulated their perceptual transformation and the effect of this transformation on their lives.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ome basic data for researchers who are interested in healthy self-awareness recovery, re-employment, and self-development for women with career break. This study was carried out using a qualitative method of interviewing participants in the Image Coaching Program.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omen with career breaks generally tend to think of their career breaks as “insurmountable difficulties.” Second, the experiences of lifelong learning could help them restore their self-confidence and make them find the possibility of being born again even as specialists. It could be compared to “building a window to a new world.” Third, women with career breaks could get experience of “opening a door to a new life” by participating in a lifelong learning program. These experiences enable women with career breaks gain formative experience of the change of their emotions and perceptions. One of the most noticeable is that the program could help women extend their positive influence on the society. This article concludes that lifelong learning programs could lead participants to experts with great confidence and change their roles from Isolated Learner to Instructors with infinite possibilities. Lifelong learning could help women with career breaks get positive perspectives and their strong will to live their lives that lead to career changes.

      • KCI등재

        경력단절여성의 계획된 우연역량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개인 환경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인구,양동우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 벤처창업연구 Vol.15 No.5

        Recently, Start-ups has been emphasized as part of a career-breaking women returning to society policy. To this Polic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s of a career-breaking woman was investigated, and the successful role model as an individual environmental factor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forces was verified. The results of the survey analysis of 139 women who have experienced career cut-off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Dae-gu and Gyeong-buk are as follows; First,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of career-breaking women affect a positive effect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successful role model does not appea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of a career-breaking woman and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the social support for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s of a career-breaking woman. Last, It was found that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s, which is a person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for career-breaking women is more directly affected than personal environments. In order to increase career-breaking women's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s, it is necessary to develop psychological skill-building programs which can enhance the accessibility of start-ups and raise the perception of Start-up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expand exposure opportunities such as role models and success stories which succeeded in starting a business after a career break and to expand social support forces that can help with courage, advice, and change management to discover opportunities of start-ups. 최근 경력단절여성의 사회 복귀 정책의 일환의 하나로 창업으로의 진로가 강조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력단절여성의 계획된 우연역량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개인의 환경요인인 성공적 역할모델과 사회적 지원세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경력단절 경험이 있는 여성 139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단절여성의 계획된 우연역량이 창업의지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둘째, 경력단절여성의 계획된 우연역량과 창업의지와의 관계에서 성공적 역할모델은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는 걸로 검증되었다. 셋째, 경력단절여성의 계획된 우연역량과 창업의지와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원세력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는 걸로 검증되었다. 경력단절여성들에게는 개인 환경요인의 조절효과 보다는 개인의 심리적역량인 계획된 우연역량이 창업의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력단절여성의 창업의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창업의 접근성을 높이고 창업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는 심리적 역량강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경력단절여성의 창업의지의 고취는 계획된 우연역량을 향상시키는 노력과 동시에 경력단절 후 창업에 성공한 역할모델과 성공사례 발굴 등의 노출 기회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고, 창업기회를 발견할 수 있도록 용기, 조언, 변화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회적 지원세력을 확대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 다변량 해체기법을 이용한 수도권과 비수도권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률 차이에 관한 실증 분석

        고영진(Ko, Young Jin),이성우(Lee, Sung Woo) 한국지역개발학회 2019 한국지역개발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atistically find determinants which make differences of career-broken women’s reemployment rate between capital and non-capital region. This study used Korea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2015 data and utilized a sample of women aged between 25 and 64 with premarital employment experience. By applying multivariate decomposition method, this study analyzed regional differences in career-broken women’s reemployment rate with endowment and residual effect. The study found that career-broken women in the non-capital region showed higher rate of being reemployed than those in the capital region. Main factors that made differences were number of kids, high school graduate, and own house variables for residual effect. In sum up, this study found that regional gap in economic power and the environment for supporting child-rearing caused the differences in career-broken women’s reemployment rate between the two regions. This study concludes with suggesting the policy direction to lessen the regional gap in career-broken women’s reemployment.

      • KCI등재

        경력단절여성은 <82년생 김지영>을 어떻게 읽는가?: 경력단절을 경험한 유자녀 기혼여성의 해독을 중심으로

        박지훈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22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7 No.3

        By analyzing how women who experienced a career break read the film <Kim Ji-Young: Born in 1982>, this study explores the ways that married women with a child (children) are interpellated in Korean society and their implications. The respondents of our study did not necessarily sympathize with Kim Ji Young’s desire to get back to work. It is not because the respondents do not support women’s realization of their dream via their participation in the labor market. It’s rather because of their awareness that career women are still primarily responsible for the childcare and housework and thus must endure mental and physical tiredness. The respondents also felt in the film the negative perception of stay-home-moms as lazy and incompetent and expressed their discomfort about the reproduction of a derogatory term such as ‘mum-roach.’ The respondents’ reading of the film indicates the married women’s precarious position in Korea. The patriarchal culture that assigns the primary role of childcare and housework to women and the neoliberal discourse that regards stay-home-moms as lazy and incompetent ultimately require married women to perform both role perfectly. 본 연구는 경력단절을 경험했던 여성들이 영화 <82년생 김지영>이 재현하는 경력단절여성의 서사를 해독하는 방식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유자녀 기혼여성이 사회에서 호명되는 방식과 그 함의를 논의한다. 응답자들은 직장 복귀에 대한 김지영의 서사에 전적으로 공감하지 않았는데 이는 이들이 경제활동을 통한 여성의 자아실현을 부정적으로 보기 때문이 아니라, 김지영이 직장으로 복귀하더라도 그녀가 책임져야 할 가사와 육아·양육의 의무가 줄어드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더 큰 정신적·육체적 부담을 감당해야 한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응답자들은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전업주부를 무능하고 열등한 존재로 바라보는 사회적 시선을 영화에서도 느꼈으며 이에 대한 불편함을 드러냈다. <82년생 김지영>에 대한 응답자들의 해독은 한국 사회에서 유자녀 기혼여성이 처한 불안정한 위치를 드러낸다고 보인다. 기혼여성에게 육아·양육, 가사노동을 떠맡기는 가부장적인 문화,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여성을 자기계발하지 않는 나태하고 존재로 바라보는 신자유주의적 시선은 결국 유자녀 기혼여성에게 직장생활과 육아·가사 노동을 둘 다 완벽하게 할 것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

        해체기법을 이용한 수도권과 비수도권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 확률 차이 분석

        고영진,이성우 한국지역개발학회 2019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3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atistically find determinants which make differences of career-broken women’s reemployment rate between capital and non-capital region. This study used Korea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2015 data and utilized a sample of women aged between 25 and 64 with premarital employment experience. By applying multivariate decomposition method, this study analyzed regional differences in career-broken women’s reemployment rate with endowment and residual effect. The study found that career-broken women in the non-capital region showed higher rate of being reemployed than those in the capital region. Main factors that made differences were number of kids, high school graduate, and own house variables for residual effect. In sum up, this study found that motivation of reemployment caused by regional gap in economic power and regional employment mismatch affects on the differences in career-broken women’s reemployment rate between the capital and non-capital regions. This study concludes with suggesting the policy direction to lessen the regional gap in career-broken women’s reemployment.

      • KCI등재

        체육계 여성의 경력단절 극복 경험 탐색

        이인(Lee 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5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계 여성이 경력단절을 극복해나가는 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맥락과 구조를 파악하고 통합적인 핵심범주를 도출해 내는데 있으며, 이를 통해 재취업을 원활히 돕기 위한 재교육 시스템 및 직업 환경 조성에 필요한 유의미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를 위해 이론적 표본추출 방법에 근거하여 6명의 연구 참여자를 점차적으로 선정하였고 심층면담과 문서 수집을 실시하였다. 분석 방법은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시한 3단계 분석 단계에 따라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을 실시하였으며,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해 모든 분석 및 해석 과정에서 구성원 간 검토 및 전문가 협의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개방코딩인 ‘체육계 여성의 경력단절 극복과정 범주화’를 통해 102개의 개념과 24개의 하위범주, 1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인 ‘체육계 여성의 경력단절 극복과정 구조화’를 통해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분석을 실시하여 6가지 구성요소에 범주를 배치시키고 각각의 속성과 차원을 확인하였다. 선택코딩인 ‘체육계 여성의 경력단절 극복과정 구축’에서는 핵심범주로 ‘예전의 나를 찾기 위한 노력과 도전으로 커리어 우먼으로써 재도약하기’가 선정되었으며, 이야기 윤곽전개를 통해 전체 범주 간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경력 단절된 체육계 여성들은 이전과 달라진 자신의 모습에서 변화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와 노력을 하였고 가족과 사회의 지지와 협력을 통해 재사회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나감으로써 커리어 우먼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현재는 더 활발한 활동을 희망하거나 자신이 처한 상황을 힘들고 불안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in order to develop retraining programs that would help the women’s reemployment and improve the reemployment system by coming up with a substantive theory including categorization and standardization of the steps to overcome their career break. Based on theoretical sampling, six of the participants were gradually selected and interviewed, and their documents were collected. For analysis,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were implemented using the three analysis steps suggested by Strauss & Corbin (1998). Also, for data veracity, both member checking and peer debriefing have been conducted during all the process of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s a result, 101 concepts, 24 sub-categories and 19 categories have been introduced through Categorization of overcoming process of career break of women in sports field as an open coding. In addition, categories were located into six different components by performing category analysis by paradigm through Structurization of overcoming process of career break of women in sports field as an axial coding. Also, for Construction of overcoming process of career break of women in sports field as a selective coding, ‘Establishing as a career woman through growth and efforts for change’ was selected. Consequently, the women having discontinued their career tried and made an effort to shift to better of them having been changed from the past. Moreover, many of them succeeded as a career woman by setting a solid foundation to go back to the society through family’s support and cooperation. Also, some of them hoped to work more actively and others felt pressed or anxious about the situation they were in.

      • KCI등재

        경력단절 여성의 직업교육훈련 참여지속의도가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 현장지향성의 매개효과

        김민정(Min Jeong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경력단절 여성들이 사회 재진입을 위해 직업교육훈련에 참여 후 참여지속의도와 고용가능성의 관계에서 현장지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인천지역의 직업교육훈련 과정에 참여중인 경력단절여성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을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참여지속의도가 높을수록 고용가능성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지속의도가 높을수록 현장지향성(훈련과정의 실용성, 학습전이 기회제공, 현장학습 유용성)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장지향성(훈련과정의 실용성, 학습전이 기회제공)이 높을수록 고용가능성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참여지속의도와 고용가능성의 관계에서 현장지향성 (학습전이 기회제공)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경력단절 여성들은 재취업을 위해 직업교육훈련에 참여하여 참여지속의도와 학습전이 기회제공이 높을수록 고용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경력단절여성들의 고용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취업 후 학습전이가 나타날 수 있는 취업기반 프로그램 및 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역량기반의 현장지향 프로그램 설계를 통해 취업률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breaking women participated in vocational education training to reentry into soci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ntion for Maintaining Participation and employability. Methods For this purpose,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data of 124 career-breaking women participating in the vocational education training curriculum in Incheon. Results First, The higher the degree of Intention for Maintaining Participation, the higher the Employability. Second, The higher the degree of Intention for Maintaining Participation, the higher the field-orientedness(practicality of the training process, providing opportunities before learning, and usefulness of field trips). Third, the higher the field-oriented(practicality of the training process and providing opportunities before learning) the higher the employability. Fourth,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field-orientedness(providing opportunities before learning) in the relationship Intention for Maintaining Participation and employability.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empirical studies that career-breaking women in vocational education training for reemployment, and that the higher the intention for maintaining participation and the higher the providing opportunities before learnin, the more likely they are to be employability. Based on this,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to increase the employment rate through job-based programs and capability-based field-oriented programs required by industries to increase the employment possibility of career-breaking women.

      • 경력단절 여성의 실태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이우권 ( Woo-kwon Lee ) 한국정책연구원 2019 한국정책논집 Vol.19 No.2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ituation of career break women and prepares policy measures to prevent career break and prolongation. Suggested developments include, first, efforts to reduce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to promote work-family reconciliation. Second, in order to revitalize employment of careerbreaking women, efforts should be made to realize the employment support policies and systems. Third, the job search system needs to be improved and reorganized. Fourth, an effective employment program should be developed for women's career development. Fifth, promotion strategies for career development and employment welfare services or policies for women with career break should be strengthened. Sixth, psychological counseling services for career-breaking women should be actively supported.

      • 경력단절 여성 창업활성화 방안 연구

        최종우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19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경력단절을 겪으면서 창업을 통해 노동시장에 복귀 및 준비하는 과정에서 겪는 사회적, 심리적 어려움을 해결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여성 창업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첫째, 경력단절의 원인을 파악하고 둘째, 경력단절여성이 출산 후 그로 인한 어려움과 대체전략이 무엇이며 셋째, 경력단절여성이 창업시장에 진입하기 위해 필요한 사회, 구조적 지원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고, 넷째, 경력단절여성의 창업을 활성화 할 수 있는 효과적인 프로그램과 정책방향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경력단절을 경험한 후 창업에 성공 하였으며, 경력단절 과정에서 창업에 의지가 있는 30~40대 여성 30명을 설문 후, 그 중 연구에 적합한 8명을 심층면담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사례자들이 경력단절을 겪은 후 창업 및 준비과정에서 겪는 한계를 밝히며 경력단절 여성의 창업과 관련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ways to solve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returning to and preparing for the labor market through entrepreneurship, and to activate women s business through case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auses of career disconnection, and what is the difficulty and alternative strategy for women with career disruption after childbirth. Third, the social and structural support needed for career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ive programs and policy directions that can activate start-up women. The study method wa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uccessful in establishing their career after experiencing a career disconnection. After questioning 30 women in their 30s and 40s who are willing to start their business in the process of discontinuing their career, eight of them were selected as in - depth interviewers. This study suggests the limitations experienced in the start - up and preparation process after experiencing the career breaks and suggests the research about the start - up of the career - breaking wo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