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교직갈등에 관한 질적 연구

        노지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4 敎員敎育 Vol.3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rofession conflicts of beginning teachers through analysis of aspects and meaning of conflicts. Objects of study limit membership to teachers who have less than 3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in public elementary schools: Seoul and Jeollanam-do.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semi-structural and non-structural interviews.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to preserve data with the interviewer's cons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teaching profession conflicts as an individual. Beginning teachers have been confused about their identities, getting clothed with their responsibilities as teachers. The age gap of beginning teachers has been getting bigger and bigger since the unemployment crisis, moreover, each has different work experience, which is a struggle for beginning teachers. Furthermore, over-concentration in workload due to gender gap is another aspect. Second, teaching profession conflicts as a school system. Beginning teachers have been confused with the changing school system according to each principal’s standards. Also, they feel contradiction to teaching-learning system that is assessment-oriented. In addition, they suffer from assignments and over-concentrated workloads which lack structured principals, yet each are sensitive to rumors and to the watchful eye of senior teachers. Third, teaching profession conflicts off-campus. Beginning teachers have scrupl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of students and themselves. Particularly, beginning teachers who work in schools which are not economically, culturally, or socially advanced undergo all sorts of hardships from impolite parents of students. Meanwhile, their dwellings undergo a change according to their working conditions. The beginning teachers who get assigned to agricultural, mountainous, and fishing villages, have to live in official residences. However, beginning teachers, who get assigned to cities, go through financial difficulties as well. Even though they are in different difficult situations, but both experience dwelling conflicts. The discus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teachers’ conflicts end up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school organization. Second, beginning teachers’ professional conflicts originate from simultaneously entering into relationships with various types of and social levels of people in schools. Third, problems that beginning teachers go through are also closely connected to the social climate in which women have hardships in the work field. Fourth, the conflict of the age gap of beginning teachers getting broader and their work experiences becoming more diverse is related to a mocro-societal crisis involving the current unemployment crisis. Fifth are the various informal group structures in schools. Sixth, teachers in Seoul and Jeollanam-do have experienced unique local characteristics. 이 연구는 전남과 서울의 초등학교 초임교사를 대상으로 교직적응 과정에서 겪는 갈등의 양상을 파악하고, 그들이 겪는 갈등의 원인을 분석함을 통해 교직초기 교사들의 교직갈등을 드러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작성하여, 서울과 전남 지역 초임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의 특성상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으나 교직 초기에 경험하는 교사의 주관적 인식과 갈등 과정에 대한 묘사를 통해 초임교사의 교직적응 과정을 설명하는 개념 틀을 형성하는 데 통찰을 제공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구를 통해 초임교사의 갈등원인을 한국사회의 사회문화적 특성, 학교내부, 학교외부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이들의 갈등은 일반 조직의 신입사원이나 학교조직의 경력교사의 갈등과 차이점이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 KCI등재

        특수교육지원센터 초임교사가 순회교육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지원요구

        조수민,홍재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9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qualitative study and deeply examine the challenges and support needs experienced by beginning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during itinerant education. Methods To this end, snowball sampling was conducted to target 5 beginning teachers working i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in Jeollabuk-do Province as the research participants. This study intended to closely investigate the experience of beginning teachers that implement itinerant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so a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developed with 3 domains and 12 components about the ‘operation status of itinerant education,’ ‘challenges of itinerant education,’ and ‘support needs for itinerant education.’ Based on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1-2 sessions of in-depth interview, which is a qualitative study, were conduct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inductive analysis through the three coding processes that consisted of transcription, coding, and meaning generation. Results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struggles of the beginning teachers can be classified into 4 upper categories and 13 sub-categories. The first upper category is ‘a lack of expertise’ and recognized the lack of expertise as a teacher such as establishing itinerant education activity plans, classes, and interventions for behavior problems. The second upper category is ‘psychological conflicts from relationships’ and beginning teachers experienced challenge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inclusive teachers, guardians, and the students during the itinerant education. The third upper category was the ‘barren road for self-development’ as there were limits in the training for itinerant education or human resource. The fourth upper category is the ‘poor environment and administrative⋅ financial support’ and there were insufficient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itinerant education and administrative⋅ financial support. The support needs of the beginning teachers can be categorized into 3 upper categories and 6 sub-categories. The first upper category is for ‘teachers to develop’ through efforts for the growth of teachers' expertise such as training an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e second upper category is ‘a school that collaborates and communicates.’ The beginning teachers emphasized the need to cooperate and communicate with the inclusive teachers and the school parents. The third upper category is ‘effective administrative⋅financial support’ as there were demands of appropriate administrative⋅financial support to perform the duties effectively. Conclusions The study results can be applied as the base data of policy support plans for the itinerant education of the beginning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nd also to examine the measures required for the beginning teachers to develop into professional itinerant teachers. 목적 이 연구는 질적연구 방법을 통해서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근무하는 초임교사들이 순회교육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지원요구를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눈덩이(snowball) 표집을 통하여 전라북도 소재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는 5명의 초임교사를 연구 참여자로선정하였다.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순회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초임교사들의 경험을 면밀히 들여다보기 위해 ‘순회교육 운영 실태’, ‘순회교육 실시에 대한 어려움’, ‘순회교육에 대한 지원요구’에 대한 3가지 영역과 12개의 내용 요소를 포함한 반구조화된 형식의면담 목록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반구조화된 면담 목록을 통해 질적연구 방법인 심층 면담을 1-2회기 진행하였고, 수집한 면담 자료는 전사, 코딩, 의미 생성 과정인 3차 코딩 과정을 거쳐 귀납적 분석을 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초임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은 상위범주 4개와 하위범주 13개로 분류할 수 있었다. 첫째 상위범주는 ‘부족한 전문성’ 으로 초임교사는 순회교육 활동계획 수립, 수업, 문제행동 중재 등과 같은 교사의 전문성 부족을 인식하였다, 둘째 상위범주는 ‘관계에서 오는 심리적 갈등’으로 초임교사는 순회교육 과정에서 통합교사, 보호자, 학생과의 관계에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셋째 상위범주는 ‘척박한 자기 계발의 길’로 순회교육를 위한 연수나 인적 자원에 한계가 있었다. 넷째 상위범주는 ‘열악한 환경 및 행⋅재정적 지원’ 으로 순회교육의 환경적 부분과 행⋅재정적 지원이 부족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초임교사들의 지원요구는 3개의 상위범주와 6개의하위범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첫째 상위범주는 ‘성장하는 교사’로 연수, 전문적 학습공동체 등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노력이필요하였다. 둘째 상위범주는 ‘협력과 소통이 있는 학교’이다. 초임교사는 통합교사, 학부모와의 협력 및 소통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셋째 상위범주는 ‘효과적인 행⋅재정적 지원’으로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적절한 행⋅재정적 지원이 요구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근무하는 초임교사들의 순회교육을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과 초임교사가 전문성 있는순회교사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중등 초임 과학교사의 수업 전문성 개발 실태 분석

        곽영순 한국지구과학회 2009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0 No.3

        In this research, we investigated the support system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eaching practices of beginning science teachers through instructional consulting. Using open-ended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ting teachers and group discussions taking place on a regular basis to analyze and compare classes of six beginning teachers, we analyzed beginning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efforts centering around their teaching practices. The group discussion consisted of 6 beginning teachers and another 6 experienced teachers, they discussed and cross-analyzed beginning teachers’ 9th lessons on middle school science unit, ‘Work and Energy.’ The characteristics of beginning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drawn from this research are: (1) beginning teachers' teaching practices they were taught, (2) lack of reflection on their teaching practices, (3) no guidance for beginning teachers regarding ways to teach, (4)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bout teaching science, and (5) lack of time for instructional preparation due to other heavy workload. Suggestions for ways to improve and support beginning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re discussed with experienced teachers. Required conditions for an effective induction program are also discussed. 이 연구에서는 수업컨설팅을 통하여 초임교사 지원 실태와 초임교사의 전문성 개발 노력을 분석하였다. 수업동영상 분석을 위한 컨설팅 협의회, 초임교사와의 면담 자료 등을 활용하여 초임 과학교사들의 전문성 개발 실태와 개선방안을 탐색하였다. 분석대상으로 한 수업은 중학교 3학년 일과 에너지 단원의 9차시 수업이며, 6명의 초임교사와 선배교사로 구성된 6명의 컨설팅 협의진이 차시별 수업을 교차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초임교사들의 경우 초임시절에 수업에 대한 교사의 반성적 실천이 없고, 수업하는 방법에 대한 안내도 없어서 대개는 배운 방식대로 학생을 가르치는 경향이 발견된다. 교사로서의 전문성 개발 측면에서도 잡무가 많아서 수업준비를 할 시간이 없을 뿐만 아니라 교사들 사이에 수업에 대한 의사소통이 없었다. 이러한 실태 진단에 대한 대안으로 선배교사들은 초임교사 지원을 위한 시보교사 제도 도입과 교사 협의회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결론에서는 초임교사 지원을 위한 효과적인 입문 프로그램이 갖추어야 할 조건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협력적 멘토링을 통한 초임 중등과학교사의 교수실행에서 나타나는 반성적 실천의 변화

        고문숙 ( Mun Suk Go ),남정희 ( Jeong Hee Na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3 No.1

        이 연구는 초임 중등과학교사를 대상으로 교수에 대한 반성적 사고와 실천을 유도하는 협력적 멘토링 과정에서 멘토링 전호의 교수행위의 특징과 실제수업에서의 변화를 통해 교수실행의 반성적 실천이 어떻게 발전되어 가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대학교수 1명, 박사·석사 과정에 있는 연구자 2명, 3명의 멘토교사와 3명의 멘티교사 등 총 9명이 참여하였다. 멘토링 과정에서 멘티수업 녹화본 및 전사본, 학습지도안, 일대일 멘토링 녹음 및 전사본, 멘토 저널과 멘티 저널, RTOP 교수관찰지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업의 분석은 RTOP을 이용하였으며, 멘티교사의 수업에 있어서의 인식과 변화는 자신의 교수행위에 대한 반성(reflection)과 반성적 실천(reflective practice)으로 범주화하여 수업실행 전후의 멘티저널, 멘토링 협의회 녹음전사본, 멘토링 후 멘티 저널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초임 과학교사 3명의 멘토링 이전 수업의 특징은 교과내용지식과 관련된 측면은 어느 정도 구성되어있으나, 학생들에게 다양한 탐구활동의 기회를 제공해주는 탐구적 교수법과 학생들의 능동적 지식 구성을 강화하는 수업방법에 있어서는 매우 취약함을 보여주었다. 멘토링이 진행됨에 따라 3명의 멘티교사의 차시별 수업을 분석한 결과, 멘티교사별로 상승곡선의 경향이 다소 다르게 나타나기는 하나, RTOP의 평균 점수는 점진적으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적 멘토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멘티교사의 교수실행의 변화로 나타난 반성적 실천에서는, 멘토링 과정에서 3명의 멘티교사 모두 수업에 대한 반성이 일어나며 점진적으로 반성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적 멘토링을 통해 멘티교사에게 수업반성의 기회를 제공하고 피드백하는 과정에서 멘티교사의 반성적 성향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이와 함께 반성적 실천에 의한 실제수업에서의 변화로 이어졌다. 이는 수업반성을 통해 교수기술의 향상을 가져옴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 in the classes of beginning science teachers through the collaborative mentoring program that induce reflective thinking practic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three mentor-teachers two teachers in doctor`s or master`s course one university professor and three mentee-teachers who have less than four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We collected data such as video recordings of the mentee-teachers` classroom teaching and transcription lesson plans recording of one-on-one mentoring and transcription mentor and mentee`s journals and RTOP classroom teaching observation reports. RTOP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classroom teaching and mentee-teachers` recognition and changes in their classes were found out through journals and one-on-one mentoring interview materials. According to mentee-teachers` recognition and changes in their classes during the mentoring program they themselves recognized their teacher-centered teaching style misconception and lack of content knowledge. Furthermore there were changes in the mentee-teachers` classroom teaching through their reflective practice and improvement.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interactions with mentor-teachers through collaborative mentoring program stimulated mentee-teacher`s reflections on their teaching. Therefore these reflections led to their reflective practice that showed progressive changes in their teaching behavioral activities. The extent of these changes varied according to the mentee-teachers` individual disposition toward reflection and the issue of whether mentee-teachers` reflective practice was in accordance with priorities in motivational ZDP or not. Also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eachers` reflection was not all accompanied by reflective practice even if the beginning science teachers made some partial changes in reflective practice through reflection. It means that it is hard to lead reflective practice for mentee-teachers through mentoring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refore we consider that a systematic and long-term mentoring program is necessary for beginning science teachers.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요구: 유치원 예비교사, 초임교사, 경력교사를 중심으로

        황은희 ( Eun Hee Hwang ),이현 ( Hyun Lee ) 대한가정학회 2010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48 No.3

        This study analyzes the difficulties that student teachers, beginning teachers and experienced teachers face in the field of kindergarten, and urgent support requests. The total of participants was 372 of this number, 122 were student teachers, 118 were beginning teachers and 132 were experienced teachers. The results showed the difference in difficulties and the needed support requests among student teachers, beginning teachers and experienced teachers. Student teachers had the difficulty of time management, but beginning teachers and experienced teachers had trouble due to the nonexistence of assistant teachers. Student teachers required teaching strategies for starting relationships with children within responsibility. Beginning teachers and experienced teachers regarded the plan, practice, and evaluation of a program as the most needed support request. Collectively, the results revealed that expansion of the practice period is necessary for student teachers so that they can gain experience with children, parents, and the children`s education institution with various opportunities as a learning course.

      • KCI등재

        팀티칭 영아반에서 경력교사의 상호작용이 초임교사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신윤승,김명순 한국보육학회 2019 한국보육학회지 Vol.19 No.4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of the experienced teachers on the interaction of the beginning teachers in team-teaching classroom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0 for each of 100 beginning teachers and 100 experienced teachers in 51 infant classrooms in Seoul. This study used PICCOLO (Parenting Interactions with Children: Checklist of Observations Linked to Outcomes; Roggman, Cook, Innocenti, Jump Norman, & Christiansen, 2009) and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t-test, one-way ANOVA, Scheffé ex post analysis, Pearson’s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teacher-infant interaction between beginning teachers and experienced teachers, and the interaction levels of experienced teachers were higher in all subcategories.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teacher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nd the interaction levels of the teachers with 3~5 teaching years were higher than the teachers with 9 year of experience. Second,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of the experienced teacher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of the beginning teachers. Conclusion/Implications: In conclusion, the experienced teacher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influences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of the beginning teacher in team-teaching classroom. Therefore, team-teaching with more experienced teachers is necessary to support the beginning teachers who have difficulties interacting with infants. 본 연구는 팀티칭 영아반에서 경력교사의 교사-영아 상호작용이 초임교사의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소재 51개 어린이집 팀티칭 영아반에 근무하는 초임교사와 경력교사 각 100명씩 총 200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초임교사와 경력교사의 교사-영아 상호작용을 관찰하기 위해 Roggman, Cook, Innocenti, Jump Norman과 Christiansen(2009)의 PICCOLO(Parenting Interactions with Children: Checklist of Observations Linked to Outcomes) 관찰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t-검증, 일원변량분석과 Scheffé 사후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그리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임교사와 경력교사 간에는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차이가 있고, 모든 하위범주에서 경력교사의 상호작용 수준이 더 높았다. 그리고 경력교사의 연차에 따라 교사 상호작용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3~5년 차 교사의 수준이 9년 차 교사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력교사의 교사-영아 상호작용은 초임교사의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었다. 즉 경력교사는 초임교사의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인이다. 따라서 초임교사가 느끼는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어려움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상호작용을 잘하는 경력교사와 팀티칭 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한국과 미국, 독일의 초임교사 교육에 관한 비교연구

        유지영 ( Ji Young You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교육연구논총 Vol.31 No.1

        초임교사는 직전 교육을 받고 교육 현장에 투입된 후 많은 어려움에 직면해 있으며 전문성 신장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수한 초임교사를 확보하기 위해 평가라는 제도적 장치를 통하여 초임교사의 자격 기준을 강화하는 미국과 학교 현장을 중심으로 초임교사의 전문성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고 실행하는 독일을 대상으로 두드러진 특징들을 고찰하여 한국의 초임교사 교육에 도움이 될 만한 시사점을 발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의 초임교사 교육은 학생들의 학습 결과를 향상시키는 일환으로 교사들의 자격 기준을 강화하고, 초임교사가 갖추어야 할 10가지 기준을 제시하여 초임교사 교육을 통해 전문성 신장을 유도하고 있다. 둘째, 독일의 초임교사 교육은 두 차례에 걸친 국가시험과 그 사이에 존재하는 수습 근무 기간을 두어 현장 중심 교육을 강화하여 교원의 질을 제고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의 초임교사 교육은 교사 자격 기준을 정하여 평가하거나 초임교사가 당면한 가장 큰 문제인 교육현장에서의 교직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으로 현장 중심의 교육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some suggestions to improve beginning teacher education for the beginning teachers at the elementary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f three countries, Korea, United States of America, Germany, focused on their beginning teacher education. In this study, available data and literatures about beginning teacher education were gathered and analysed. In U.S.A, beginning teacher education based on ten standards of teacher certification, which beginning teachers have, leads to improve beginning teacher`s Professionality. In Germany, teacher education focused on the field is reinforced by two step state exam and internship between state exam. These are main difference of teacher certification system in Korea, which the 2nd class regular teacher, who is beginning teacher, becomes the 1st class regular teacher through the qualification training. Therefore, to improve the beginning teacher`s Professionality, teacher`s certification should be made and teacher education focused on the field should be reinforced.

      • KCI등재

        초임 유아교사와 경력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혜욱,이옥형 한국유아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연구 Vol.31 No.3

        이 연구는 유아교사가 겪는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고,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고자,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를 매개변인으로 하여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며, 이러한 영향이 초임교사와 경력교사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196명(초임교사 90명, 경력교사 10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직무스트레스는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직무만족도와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는 직무만족도와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둘째, 초임교사가 경력교사보다 직무스트레스가 높았으며,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직무만족도는 낮았다. 셋째, 직무스트레스는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직무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는 직무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스트레스는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를 통해 직무만족도에 간접적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초임교사와 경력교사 모두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그 영향력은 초임교사가 경력교사보다 높았다. 또 초임교사는 사회적 지지를, 경력교사는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를 통한 간접효과가 있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influence of job stress, ego-resiliency, and social support on preschool teachers' job satisfaction. Data from 196 preschool teachers(90 beginning teachers and 106 experienced preschool teach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job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ego-resiliency, soci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go-resiliency and social support. Second, beginning teachers had greater job stress than the experienced teachers. The beginning teachers had lower ego-resiliency, soci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then did the experienced teachers'. Third, job stress had a negative influence on ego-resiliency, soci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Ego-resiliency and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Fourth, job stress had a directly nega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Ego-resiliency and social support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Fifth, job stress had a directly nega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for beginning teachers as well as for experienced teachers. Social support indirectly effected the relationships of the other variables for beginning teachers. Ego-resiliency and social support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relationships of the other variables for experienced preschool teachers.

      • KCI등재

        신규임용교사들의 교사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연구 -서울시 중등 국어과 신규임용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배재성 ( Jae Seong Bae ) 국어교육학회 2014 國語敎育學硏究 Vol.49 No.2

        이 논문은 국어교사양성 교육과정의 실정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고, 학습자의 요구를 확인하며, 교과교육학 강좌가 변화해야 할 방향을 탐색하기 위해 신규임용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한 설문 연구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규임용교사들은 국어교과의 각 영역에서 모두 교수ㆍ학습 방법이나 평가 방법에 비해 이론 및 지식을 잘 알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신규임용교사들의 영역별 교과교육론 강의 수강 경험은 교원자격 취득 경로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셋째, 신규임용교사들은 교과교육론 강의를 통해, 교수ㆍ학습 방법이나 평가 방법에 비해 이론 및 지식을 잘 알게 되었다고 인식하였다. 마지막으로 신규임용교사들은 교과교육론 강의에서 이론 및 지식보다 교수ㆍ학습 방법이나 평가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 논문은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국어교사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investigated beginning Korean teachers` perceptions on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This quantitative study examined teachers` perception on 1)teacher professionalism, 2)subject matter education lecture. This study showed that beginning teachers are well aware of the theory and knowledge than instructional method or evaluation. And beginning teacher learn theory and knowledge better than method or evaluation through subject matter education lecture. On the other hand beginning teachers are recognized as important for instructional method and evaluation in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Implications and ideas were suggested for further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in secondary school teacher preparation program.

      • KCI등재

        교사의 지식에 대한 중등 초임수학교사들의 인식 분석

        심상길 대한수학교육학회 2013 학교수학 Vol.15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of beginning teachers about teacher knowledge. Reflections and improvement of their class knowledge have been perceiv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by beginning teachers. In terms of utilization of actual classes, teacher knowledge, mathematical concepts and correlations such as connection linked to class contents and hierarchy have been used the most. Among the needed teachers knowledge, knowledge of student understanding and mathematics content knowledge was the most essential knowledge that could be mainly formed through classroom experience and teacher training program. On the other hand, knowledge about technology and assessment was not necessary or useful factor for beginning teachers. To facilitate formation of beginning teachers’ knowledge, teacher introductory program, mentoring program, interactive relationship with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curriculum improvement for teacher education institute and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various teachers training program would be required.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지식에 대한 초임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초임교사들에게 설문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초임교사들은 자신의 수업의 반성과 개선에 대한 지식을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실제 수업에서는 수학적 개념과 학습 내용들 사이의 연계성과 위계성 등 상호 관계에 대한 지식을 가장 많이 활용한다고 인식한다. 이러한 교사의 지식은 주로 수업 경험과 교사 연수를 통해 형성된다고 인식한다. 또한, 초임교사들은 수학 수업에서 공학적 도구와 평가를 활용하는 지식에 대해 필요성을 낮게 인식하고 자주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초임교사들이 교사의 지식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교사 입문 프로그램과 멘토링의 활성화, 교원 양성기관의 교육과정의 개선, 다양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 등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