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역사교과서에 나타난 독일사를 보는 방식: 7차 교과과정과 2009년 개정 교육과정 「세계사 교과서」의 독일사 서술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최선아 한국독일사학회 2016 독일연구 Vol.- No.32

        The world of today was integrated into one living zone beyond the dimension of a mutual exchange simply among countries, thereby having become the era that any race or nation cannot survive independently. Therefore, to proceed with living in the age of globalization, the attitude and the ability of trying to understand about diverse cultures and values, which exist in the world, are essentially demanded and were magnified as the necessary quality. Learning the world history makes us available for rightly understanding history and culture in many countries of the world and for broadening the width of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international sense through this. Furthermore, learning the world history can lead to being able to more correctly grasp what the distinctiveness and the universality of Korean history are.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on history textbook so far. But there are many cases of being limited mostly to national history textbook. Thus, the world history is in a situation of being few in its compilations compared to Korean history. The elements other than history textbook are having great influence upon forming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For example, above all, even a question about how much one country and society are giving importance and putting value in history education may be much varied every country. It is also what can be called a level of 'memory culture' in one country or society on the whole. Accordingly, to understand Korean history harmoniously from the position of world history with escaping from a nationalistic sight, the education of world history is needed. There will be a need to be carried out history education that understands both distinctiveness in national history and the generality in universal history. By the way, a matter is that it is not so in the reality of world-history education based on curriculum. The curriculum of world history was clearly stated to sublate the history that was conventionally biased to the focus of Chinese history and European history while passing through the 6th and 7th courses. Hence, this study aims to consider into which direction the description of German history is changed in a field of Western history, which was curtailed among the whole contents of world history. This research is considered to be likely helpful for grasping the distinctiveness and the universality of German history amidst the curriculum of world history. 오늘날 세계는 단순히 국가 간의 상호 교류의 차원을 넘어서 하나의 생활권으로 통합되어 어떤 민족이나 국가도 독자적으로 생존할 수 없는 시대가 되었다. 그러므로 세계화 시대에 살아가기 위해서는 세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문화와 가치에 대하여, 그것을 이해하려는 태도와 능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필요한 자질로서 부각되었다. 우리는 세계사를 학습하면서 세계 여러 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국제 이해와 국제적 감각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나아가 세계사 학습을 통하여 한국사의 특수성과 보편성이 무엇인지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지금까지 역사 교과서에 대한 연구는 많았지만 대부분 국사 교과서에 국한된 경우가 많아 세계사의 경우 국사에 비해 그 편수가 적은 상황이다. 역사의식의 형성에 있어서는 역사교과서 이외의 요소들이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선 예를 들면 한 국가와 사회가 역사 교육에 얼마나 많은 중요성을 부여하고 가치를 두고 있는가의 문제도 나라마다 매우 다를 수 있다. 그것은 전반적으로 한 국가나 사회의 ‘기억문화’의 수준이라고 불릴 수 있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한국사를 국수주의적 시각에서 벗어나 세계사적 입장에서 균형 있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세계사 교육이 필요하고, 민족사의 특수성과 보편사적 일반성을 함께 이해하는 역사교육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교육과정에 준한 세계사 교육의 현실이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다. 세계사 교육과정은 6차와 7차 과정을 거치면서 기존에 중국사 및 유럽사 중심의 편중된 역사를 지양할 것을 명시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세계사 전체 내용 중 축소된 서양사 분야에서 독일사의 서술이 어떤 방향으로 변화되는지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세계사 교과과정 속에서 독일사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보인다.

      • KCI등재

        동아시아사 교과서에서 동아시아사와 세계사 연계 방안

        강선주 동북아역사재단 2013 東北亞歷史論叢 Vol.- No.40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ggest strategies for how to incorporate world history in the high school East Asian history textbook. Students study world history together with Korean history in a required course in middle school and study world history, East Asian history, or Korean history as an elective in high school. The high school course in East Asian history requires students to focus on East Asian history, but does not ask them to put it in a world history context. However, to help students transcend parochialism, the textbook writers could incorporate world history into the East Asian history textbook. How can the writers bring a world history context into East Asian history in their East Asian history textbook? To answer this question, I analyzed two East Asian history textbooks in terms of their strategies for incorporating world history and their organizing themes and narrative structures of world history added onto East Asian history. I pointed out problems of Eurocentrism in the narrativeof the 2009revised middle school world history curriculum and suggested different organizing themes of world history that could be added to high school East Asian history byreducing Eurocentrism. In addition, I examined current issues and questions in the area of East Asian history and suggested an intercultural perspective to organize world history and East Asian history. In sum, I suggested that the world history added onto high school East Asian history could be organized from a global history perspective in a narrative format or an inquiry activity format. In particular, I emphasized that intercultural interaction transcending cultural or ethnic barriers could be the focus of world history. 2007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개발된 동아시아사 교과서들은 ‘세계사’적 맥락에서 동아시아사를 검토할 수 있는 몇 개의 장치를 사용하였다. 본고는 동아시아사 교과서들이 동아시아사와 세계사를 어떻게 연계하였는가 분석하고,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학생들이 중학교에서 학습한 세계사를 보완·심화하여 학습할 수 있는 방향과 동아시아사나 세계사와 관련된 최근 학계의 문제의식을 반영하여 동아시아사 교과서에서 세계사를 다루는 방안을 구상해 보고자 한다. 요컨대 학생들의 공적인 선행 학습 지식과 학문적 담론의 측면을 고려하여 동아시아사와 연계하는 세계사의 내용 선정 및 조직 방안의 밑그림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제2차 세계대전에 관한 독일과 일본 역사교과서의 비교분석 - 전쟁에 대한 기억과 반성

        김가영 한국역사교육학회 2016 역사교육연구 Vol.- No.24

        In this paper, the external characteristics of 8 history textbooks recently published in Germany and Japan, and their descriptions of themes on the Second World War have been comparatively analyzed, and accordingly the orientation of the history education in each country was deduced. Through this,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collective memory of people in the two countries were investigated, and how they have cleared the past affairs as war criminals was compared between Germany praised to have overcome its past successfully and Japan relatively under endless controversy over its dark past. Also, this paper was aimed at drawing out desired aspects of history education in East Asia that would promote reconciliation and peace beyond the history of a single country. After comparing the external characteristics of textbooks of both countries, the descriptions related to the Second World War was analyzed focusing on four themes including ‘progress of war’, ‘colonial & occupational policy and victims’, ‘resistance’ and ‘war guilt and overcoming the past’. As a result of such examination of the contents on the Second World War that the German and Japanese history textbooks described, 4 main characteristic differences could be found. First, the descriptions of everyday life and people in history were mainly made in the German textbooks while the political history and ruling class were mainly described in the Japanese textbooks. Second, the German textbooks have clearly specified the assailant and the scale in various types of war crimes. In contrast, the Japanese textbooks only described relatively specifically the atomic bomb, group evacuation of children, and air raids by the Allies, and thus highlighted the damage of its own people rather than its committed war crimes. Third,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German history textbooks are the multiperspectivity that suggests various perspectives on controversial issues. Learning that enables students to think and judge historically on their own through historical records and questions invoking critical minds is always emphasized. On the other hand, the Japanese textbooks contain almost no activity requiring discussions, and the number of research activities that may help shaping personal views is drastically few. Fourth, in facing the past, while the Japanese history textbooks deny its negative pasts, the Germany textbooks accept its negative pasts also in its history. The description in the German history textbooks emphasized that all Germans were responsible for the past and war guilt while the Japanese textbooks lacked responsibility and reflection on the war. Various historic events having occurred in the Second World War are also the valuable subjects of history education in that the importance of universal values such as democracy and human rights can be presented to students. It can be stated that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Germany where such aspects are faithfully taught through textbooks is the cradle that fosters mature democratic citizens. Just like the exemplary case of Germany that has made healthy civil society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s through selfreflection, the history education and textbooks in Japan and Korea need to move forward in such direction. 본고에서는 독일과 일본에서 최근 출간된 역사교과서 8종의 외형적 특성 및 제2차 세계대전을 테마로 한 서술을 비교분석하여, 각 국가에서 역사교육이 지향하는 바를 추론하였다. 이를 통해 양국 국민이 갖고 있는 역사의식 및 집단기억을 알아보고, 전범국으로서 과거극복을 훌륭히했다고 평가되는 독일과 상대적으로 과거극복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는 일본의 과거사 청산 모습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자국사를 넘어선 화해와 평화를 도모하는 동아시아의 바람직한 역사교육의 모습을 그려보고자 하였다. 먼저 양국 교과서 형태의 특징에 대한 비교 후 ‘전쟁의 전개’, ‘식민지·점령지 정책과 피해자’, ‘저항’, ‘전쟁책임과 과거극복’이라는 네 가지 테마를 중심으로 제 2차 세계대전과 관련된 서술을분석하였다. 그 결과 독일과 일본 역사교과서의 제2차 세계대전 서술내용을 살펴보면 크게 네 가지 특성의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첫째, 독일교과서는 생활사·민중사 위주의 서술을 보이고 있고, 일본교과서는 정치사와 지배층 위주의 서술을 주로 하고 있다. 둘째, 독일교과서의 서술은 여러 형태의 전쟁범죄에 대해 가해의 주체와 그 규모를 분명하게 명시하고 있다. 반면 일본교과서의 경우 그들이 자행한 전쟁범죄의 모습보다는 원자폭탄, 학동의 집단소개(疏開), 연합국의 공습 등에 대해서만 비교적 구체적으로 서술하여 자국민의 피해를 부각시키고 있는 모습이다. 셋째, 독일교과서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논쟁적인 부분에 있어 여러 가지 관점을 제시하는 다원적 관점의 활용이다. 학생들에게 문제의식을 제시하는 사료와 질문을 통하여 스스로가 역사적으로 사고하고 판단할 수 있는 학습이 항상 강조되고 있다. 반면 일본교과서의 경우 토론을 요구하는 활동은 거의 없고, 개인의 입장을 정리해보는 탐구학습의 개수도 현저하게 적다. 넷째, 일본의 역사교과서는 과거에 대한 대면에 있어서 부정적 과거를 거부하고 있는 반면, 독일은 부정적 과거 또한 자신들의 역사에 수용하고 있다. 독일의 역사교과서는 과거극복과 전쟁책임에 대해 독일인 전체의 책임임을 나타내는 서술이강조되는 반면 일본의 경우 전쟁에 대한 책임과 반성의 모습이 부족하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 벌어진 다양한 역사적 사건에 관한 역사교육은 민주와 인권과 같은 보편가치의 중요성을 학생들에게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소중한 역사교육의 소재이기도 하다. 교과서를 통해 이러한 점을 충실히 교육하는 독일의 교육환경은 성숙한 민주시민을 양성하는 산실이라고 할 수 있다. 스스로에 대한 반성을 통해 건강한 시민사회와 국제관계를 만든 독일의 모범적 사례처럼, 일본과 한국의 역사교육과 역사교과서도 이러한 지향점을 향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와 ‘대안’교과서 비교 -이슬람 세계를 중심으로

        서선화 ( Seo Sun-hwa ) 순천대학교 인문학술원 2020 인문학술 Vol.4 No.-

        서구 중심적 역사서술로 인해 7차 교육과정 세계사 교과서 내에서 가장 왜곡된 정체성을 부여받게 된 것은 이슬람 세계이다. 본고에서는 이슬람 세계의 서술 중 기존연구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된 부분에 대해 7차 교육과정 세계사 교과서와 『살아있는 세계사 교과서』에서 이를 어떤 식으로 서술하고 있는지 검토해 그 장점과 한계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7차 세계사 교과서는 서술 분량에 있어서나 내용 서술 면에 있어서 여전히 서구중심 구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세계사인식의 변화에 따른 세계사 서술의 변화라는 학계의 흐름을 교과서 내에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한계를 보이고 있었다. ‘대안’교과서의 경우 기존 세계사 교육과정이 안고 있는 서구중심적 태도를 지양한다는 전제 아래 서술분량이나 내용 서술 면에 있어 균형적인 시각을 유지하려 노력한 흔적이 엿보였다. 하지만 완전히 서구중심적인 시각에서 벗어나지 못했으며 7차 세계사 교과서에서 수정된 문제점이 다시 나타나는 한계를 보이고 있었다. This paper explores the way in which ‘the Alternative’ world history textbooks called ‘Live World History’ treats and overcomes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description of the Islamic world presented in official world history textbooks. The National Association of History Teachers published ‘Live World History’ in order to overcome westernized historical misunderstanding. It tries to maintain a balanced view. It carefully considers the amount of description as well as the form of description to describe historical evernts. However, it does not completely shake off the westernized view that can be found in the existing world history textbook. Hence it is not an ultimate alternative but one of possible alternatives to the current description of the Islamic world. Consequetly, this paper aims to suggest three ways in which to improve this description. First, the Islamic world needs to be presented holistically, since the holistic view integrates economy, culture, and society in terms of cross-cultural interactions across the regions. Second, the Islamic world needs to be described by those who have professional and extensive knowledge of the region and its peoples. Third, detailed explanations should be included in the teacher’s guide book in order to facilitate the concrete understanding of the Islamic world. It is essential to reformulate the narration of the Islamic world to improve the overall quality of world history education. Efforts to provide a balanced perspective are needed to keep pace with the changing paradigm of world history. The history of the world is a result of mutual interaction and contributions from every civilization in the world. Consequently, world history textbooks should be written from the point of view of cultural diversity and correlativity.

      • KCI등재

        제 7차 교육과정기 중학교 세계사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김유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3 사회과교육 Vol.42 No.4

        세계화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세계사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는데, 한국의 중등학교에서는 통합 사회과체제로 인하여 교육과정에 규정된 내용조차 제대로 교수 학습되지 못하고 있다. 중학교의 세계사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최소한 전근대와 근현대, 동양사와 서양사가 통합된 교과서를 가지고, 한 학년에서 일관되게, 역사를 전공한 교사에게 배울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중학교 '사회교과내 과목 분화체제'가 바람직하지만, 현재로서는 우선 지리 역사 일반사회별로 각각의 교과서를 구성하여 전공교사에게 일임하는 '사회과목내 교과서 분화체제'라도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중학교 세계사 교과서는 중학생의 수준에 맞게 세계사의 복잡한 내용을 최대한 쉽게 풀어서 설명해 주어야 한다. 학성들이 흥미롭게 읽고, 읽으면서 이해할 수 있는 교과서를 만들기 위해서는 한 단원에 포함되는 역사 사실의 양을 줄여야 하며, 외래어 특히 한자로 된 역사용어를 가급적 일반적인 용어로 풀어 써야 한다. 그리고 본문외 읽기자료는 이야기체를 활용하여 인물사 위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is strongly recommended to reinforce world history education to keep pace with globalization. To improve world history education in middle school, the curriculum has to make one textbook that contains premodern and modern history as well as oriental and western history. Also, the teacher who majored in history should instruct the world history textbook through two semesters. In the Korean middle school curriculum, geography, social studies and world history are all in one subject, under the name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To improve world history educatio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has to take out world history from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at least the world history textbook take out from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in middle school, the world history textbook should be made easier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to understand, so that the students can just read and understand at the same time. To improve world history textbook in Korea, first of all, it is recommended that the textbook changes its writing style. The world history textbook contains so many chinese characters and historical facts are too difficult to understand. And a subtext is needed to provide a historical narrative about some important people in the world history.

      • KCI등재

        중국 마공정(馬工程) 역사 교재에 담긴 세계사의 재서술과 중국의 길 — ‘개혁개방’에서 ‘신시대’로의 역사 재구성

        이승아 한국중국학회 2024 중국학보 Vol.107 No.-

        이 연구는 최근 중국 정부가 편찬한 ‘마공정’ 대학 교재의 현대세계사 서술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중국의 세계 역사 발전에 대한 인식과 중국특색 사회주의 ‘신시대’에 대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확인해 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기존의 대표적인 세계사 교재인 세계사 현대사편 (2011)과 마공정 교재 세계현대사 하권(2013), 그리고 그 개정판인 세계현대사 하권(2020)을 서로 비교해 보았다. 각 교재의 세계사 서술변화를 분석함으로써 당시 중국 정부의 지향과 세계사에 대한 인식, 평가 등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이 확인된다. 먼저 세계사 현대사편 (2011)은 당시 중국의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와 지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세계를 서로 연결된 하나의 단일화된 세계로 전진하는 것으로 인식했다. 과거 분열되었던 세계는 냉전의 종식과 함께 종결되었으며, 따라서 중국은 경제 세계화의 추세에 잘 적응하여 상호존중과 협력 속에서 자립하고, 평화로운 발전을 목표로 내세웠다. 그러나 중국 정부가 편찬한 마공정 세계현대사 (2013)는 중국의 주체적 서술이 강화된 동시에, 당대 사회주의 국가라는 새로운 국가진영이 세계 일원으로 부각된다. 중국이 사회주의 길을 통해 ‘소강사회’에 이르는 여정으로 상술하며, 세계가 다원화로 나가는 것이 필연적인 추세라는 인식이 서술에 반영되었다. 따라서 세계는 자본주의가 주도하는 세계 시장화에서 다원화된 진정한 세계시장으로 이행하며, 중국으로 대표되는 제삼세계는 서로 협력과 연대하여 패권주의 국가에 맞서 세계시장과 국제 질서를 지속해야 한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반면, 2020년 개정된 교재는 習近平 정부의 ‘신시대’ 이념에 따라 미국으로 대표되는 반세계화의 보수주의 세력과 중국으로 대표되는 세계화와 개방 경제를 지지하는 세력이 대립하는 세계 구도를 그려낸다. 이상과 같이 대학 교재의 세계사 서술은 중국 정부의 정책과 현재 인식에 따라 변화해 갔다. 특히 마공정의 세계현대사 교재는 중국공산당의 사상과 정책이 직접 반영되고 있으며, 중국 정부의 목표와 그 정책을 세계사적 맥락과 세계 정세에 대한 이해를 통해 뒷받침해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By examining the evolving narrative in the Chinese government’s “Marxism Project” textbooks on modern history of the world, this research aims to discern China’s perspective on global historical development in the context of the ‘new era’ of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involves a comparative analysis one of the representative university textbook, World History-Modern(2011), with the “Marxism Project” textbook, Modern History of the World(2013) and its latest revision in 2020. By analyzing the changes in the presentation of world history in each textbook, this study identifies distinctive features of the Chinese government’s attitude, perception and evaluation of modern world history with the Chinese government’s goals at the time. Initially, World History-Modern(2011) affirmed a positive assessment and alignment with China’s “socialist market economy system,” portraying the world as progressing towards unity and interconnectedness. The post-Cold War era marked the end of a divided world, prompting China to adeptly embrace economic globalization while pursuing self-reliance and peaceful development through mutual respect and cooperation. In Modern History of the World(2013), the “Marxism Project” textbook, the Chinese government reinforced its own narrative, emphasizing the ‘Contemporary Socialist Country’ as a global entity. The narrative portrayed China’s socialist development as a journey towards a ‘moderately wealthy society’, reflecting the notion that it was inevitable for the world to move towards pluralism. This shift suggested a departure from a capitalist-driven global market towards a genuinely pluralistic one, with the Third World, exemplified by China, urged to sustain global market dynamics and international order through cooperative solidarity against hegemonic states. Conversely, the 2020 revision, in alignment with the Xi Jinping government’s “new era” ideology, depicts a global scenario marked by the conflict between anti-globalization conservative forces, epitomized by the United States, and pro-globalization and open economy forces, exemplified by China. Obviously, the presentation of world history in university textbooks has changed in line with the contemporary perspectives of the Chinese government. In particular, the textbooks of the “Marxism Project”, Modern World History, overtly reflect the ideas and policies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and support the aims of the Chinese government and its policies within the broader context of world history and global affairs.

      • KCI등재

        세계사 교과서 속의 미국 : 제7차 교육과정 세계사 교과서를 중심으로

        丁慶姬(Chung Kyung-Hee) 歷史敎育硏究會 2010 역사교육 Vol.114 No.-

        Recently, Korea’s existing World History textbooks have been criticized as Eurocentric. Under this circumstance, newly published history textbooks aim to be more balanced by incorporating history of the Third World, which has been largely ignored. This poses another problem because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has never received its due attention in Korea’s World History textbooks. How is America presented in the World History textbooks of Korea? Do the textbooks show the unbiased historical consciousness of America? Do they recognize American history in the international context?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all the narratives related to America in all three high school World History textbooks of Korea, with an intention to explore ways to produce a desirable, balanced World History textbook. As for the quantity of the American history part, it is absolutely insufficient in all three high school World History textbooks. Only ‘the American Revolution’ is covered as an independent historical event while many significant historical events are left out. As for ‘the Civil War’, it is described not in a comprehensible way, but only vaguely as part of ‘American development in the 19th century.’ As for the quality of the American history part, all the textbooks show a number of fallacy in writing historical facts one notable example would be depicting Abraham Lincoln as an abolitionist. In explaining the Cold War, it seems that especially one textbook fails to maintain impartiality. In conclusion, Korea’s high school World History textbooks have to be revised to be elaborate and balanced World History textbooks.

      • KCI등재

        세계사 교과서의 르네상스 서술 변화와 근대 기점 문제

        鄭美欄(Jeong, Miran) 역사교육연구회 2016 역사교육 Vol.140 No.-

        This study attempts to search for changes and meaning of world history by introducing the theory of ‘New World History’. The study reviews match and chasm for a Renaissance narrative between the 7th, 2009, 2011 World History National Curriculum and world history textboo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Renaissance narrative was changed from inclusion to exclusion, and exclusion to re-inclusion in World History National Curriculum. Besides, the view of the Renaissance in the Curriculum had an effect on world history textbooks. Second, the Renaissance narrative was written in the textbooks continuously, which was different to the curriculums. Regulatory power of the curriculums was refracted by the textbook publishers. Third, the Renaissance narrative in the textbooks was influenced by the author’s specialty in the Western History. Fourth, the Renaissance narrative paralleled the explanation of the core contents and added new and various types of supplementary materials. Fifth, the narrative was different than the modern period and the concepts were written by the Curriculums and textbooks. Until now, the discussion has progressed to some extent about the need and direction of the Overcoming Euro-centrism. However, the alternative content system and specific description were poor. In other words, the 2009 revised World History National Curriculum and world history textbooks in high school expressed ‘New World History’, which was meaningful and showed a realistic possibility.

      • KCI등재후보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에 나타난 ‘성경’과 ‘성서’의 표기 문제에 대한 고찰

        고유경 ( Ko Yoo Kyoung ),허은철 ( Heo Eun Cheol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8 神學과 宣敎 Vol.54 No.-

        교과서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학생들에게 교과서는 역사를 이해하는 중요한 매개체가 된다. 특히 고등학교 세계사는 많은 사람들이 마지막으로 학교에서 배우는 세계사이다. 만약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에서 잘못된 어휘를 사용하여 역사를 서술한다면 학생들은 오개념을 가지고 역사를 바라보게 될 것이다. 이러한 서술의 중요성은 기독교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세계사 교과서의 한 축을 담당하는 기독교에 대해 잘못된 어휘를 사용하거나 통일되지 않은 어휘를 혼용한다면 학생들은 기독교에 대하여 오해를 가질 수 있고, 편향된 시각으로 기독교를 바라볼 수 있다. 따라서 세계사 교과서에서 기독교에 대한 바른 언어의 사용은 매우 중요하다. 기독교의 본질과 핵심가치는 성경(Bible)이다. 하지만 현행 세계사 교과서는 ‘성경’과 ‘성서’라는 용어를 혼용함으로써 학생들의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그 원인은 교수요목기와 1차 교육과정의 세계사 교과서에서 두 용어를 혼용한 것으로부터 비롯된 것으로, 지난 70년간 세계사 교과서에 계속해서 두 용어가 혼용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교육부는 학생들의 이해를 돕고 어휘를 일원화시키려는 목적으로 편수용어를 계속해서 수정 · 보완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성경’과 ‘성서’의 용어는 논의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다. 이 글에서는 세계사 교과서에서 ‘성경’과 ‘성서’라는 용어 가운데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지에 대해 고민하였다. 이를 위해 근대 신어 데이터 베이스를 가지고 그 용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성경’과 ‘성서’라는 용어가 가진 차이점은 무엇이며, 이 두 용어가 가진 언어적 의미와 역사적 유래, 그리고 뉘앙스의 차이를 각각 확인해 보았다. 또한 교과서 편수용어의 원칙에 근거하여 어떤 단어를 선택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고찰해 보았다. The role of textbooks is very important. For students, textbooks are an important way for understanding history. Especially high school world history is the world history that many people learn last in school. If you write history in a high school world history textbook using the wrong vocabulary, students will look at history with misconceptions. The importance of this narrative can be equally applied to Christianity. If you use wrong vocabulary or ununified vocabulary about Christianity, which is one of the axis of world history textbooks, students can have a misunderstanding about Christianity and look at Christianity from a biased perspective. Therefore, the use of correct language in Christian history is very important in world history textbooks. The essence and core value of Christianity is the Bible. However, current world history textbooks are confusing students by using the terms 'seong-gyeong' and 'seong-seo'. The reason is that the two terms have been mixed in both the curriculum in the world history textbook of the formation stage of the contemporary education system, and the first curriculum. It can be seen that the two terms have been mixed in the world history textbook for the past 70 years. In response to these problems, the Ministry of Education have been continues to revise and supplement the principles of textbook compilation terminology for the purpose of assisting students in understanding and unifying the vocabulary. Despite these efforts, however, the terms ‘seong-gyeong’ and ‘seong-seo’ have still been excluded from the discussion. In this article, we were concerned about the choice of the terms 'seong-gyeong' and 'seong-seo' in world history textbooks. To do this, we analyze the application of modern term database. We also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rms ‘seong-gyeong’ and ‘seong-seo’,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inguistic meanings, historical origins, and nuances of these two terms. We also examined what words to choose based on the principles of textbook compilation terminology.

      • KCI등재

        제1차 교육과정 세계사 교과서 서술체제와 내용 분석

        남한호 역사와 교육학회 (구 동국대학교 역사교과서연구소) 2016 역사와 교육 Vol.22 No.-

        세계사는 인류가 나타난 때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인류의 경험을 다루는 인류 전체의 이야기이다. 특히 현대 사회에 나타나는 지역⋅민족⋅인종⋅종교⋅계급 간의 갈등과 대립을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문화와 가치를 이해하고 다양한 집단 간의 상호 관계를 다루는 세계사 과목의 학습은 필수적이다. 세계사 교육은 교수요목기부터 시작되었지만, 학교급별로 세계사 과목이 편제되고 이론적인 모색이 나타난 시기는 제1차 교육과정부터이다. 제1차 교육과정에서 교수요목 시기 동양사와 서양사로 나누어져 있던 중학교 세계사 과목이 「세계의 역사」로 통합되었으며, 고등학교 편제가 확립되면서 「세계사」 과목이 편성되면서 세계사 교육의 체제가 마련되었다. 그러나 세계사 영역이 사회과에 포함되어 운영됨에 따른 한국사와 관련성이 미흡한 점, 세계사가 선택과목으로 편성됨에 따른 세계사 교육의 약화된 점 등 세계사 교육의 위기라고 일컬어진 문제점은 제1차 교육과정에서 시작되었다. 제1차 교육과정기 세계사 교과서의 특징을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내용의 선정과 조직에서 중학교 세계사는 정치사⋅왕조사 중심, 고등학교 세계사는 문화사를 중심으로 다룸으로써 계열성을 확보하려고 하였다. 이러한 내용 조직은 이후 세계사 과목의 내용 구성 원리의 기반을 이루였다. 그러나 교육과정에서 강조하였던 학습량의 적정화, 토론중심의 내용 구성, 역사적 사고력의 육성을 위한 내용 구성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둘째, 세계사 교과서의 내용 서술면에서 서구중심적인 관점을 보이고 있다. 교과서의 내용 서술에서 선사 이후 중세까지 동양사와 서양사의 비중은 균형을 이루고 있으나, 근대 이후 서양사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크다. 서술면에서 세계사 교과서에서는 근대 서구문명을 인류 역사 발전단계 가운데 최고의 단계로 전제한 위에 유럽에 비해 아시아는 후진적이라는 인식을 드러내고 있다. 근대 이후 서양을 중심으로 세계가 일체화되어 갔으며, 현대에 들어 서양을 중심으로 통일된 세계사가 완성되었다는 논리의 흐름을 보인다. 교과서의 서술 분량에서도 동양사에 비해 서양사의 비중이 크다. 셋째, 세계사 교과서의 분량면에서 저자 간의 편차가 심하게 나타난다. 이는 검정 기준에서 제시하였던 학습량의 적정화가 엄격하게 적용되지 않은 결과로 해석된다. 단원별 분량에서 중학교 세계사 교과서는 교과서별 편차는 크지 않지만,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는 단원 간의 비중의 차이가 심하게 나타난다. 이는 교과서 저자의 관점이 단원의 서술 분량에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World history is the whole human story that covers human's experiences from the time when human first appeared to the present. The subject of world history, which deals with mutual relationships among various groups, is essential to understand various cultures and values in order to solve the conflicts among regions, peoples, races, religions and classes in modern society. The education of world history started at the syllabus period, but it was from 1st curriculum when the subject of world history was organized by each level of schools, and when theoretical exploration appeared. At 1st curriculum, middle school world history, which was divided into oriental history and western history at the syllabus period, was combined to 「History of World(세계의 역사)」, and the system of world history education was formed while 「World History(세계사)」 became one of the subjects in highschool as highschool education organization was established. Nevertheless, some problems called the crisis of world history education started at 1st curriculum. As the domain of world history was included to the subject of social studies, it lacks correlations with Korean history. As the subject of world history was assigned as an elective, world history education became weak. The characteristics of world history textbook of 1st curriculum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regarding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contents, the textbook intended to secure sequence by focusing on political history and dynastic history in middle school and cultural history in highschool. This organization of contents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world history's contents organization principle later. However, what curriculum emphasized did not appear apparently such as rationalization of learning amount, contents organization focusing on debates and contents for improvement of historical thinking. Second, the description of contents shows western centered perspective. In description of textbook, the amount of oriental history and western history from prehistory to medieval times balances, but after modern times, the amount of western history outweighs drastically. In description, world history textbook reveals the perspective that Asia is less advanced compared to Europe under the premise that modern western culture was the greatest level among development stages of human history. It shows the logic flow that the world became integrated as the western centered after modern times, and that the western is in the center completing unified world history in present days. Western history outweighs oriental history in the amount of description of the textbook. Third, there is considerable amount of difference in the amount of textbook. This means the rationalization of learning amount, which was suggested by the government approved standards, wasn't applied strictly.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in the amount per chapter of middle school textbook, but highschool world history textbook displays great difference in the amount among chapters. This means the perspectives of textbooks' authors might have affected the amount of description per each chap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