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허성을 갖는 UI/UX 융합디자인 개발 방안 연구

        송지성,박수조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4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esign and technology are becoming widely converged. Because UI/UX design is related to the interaction of technology and the way it is expressed, UI/UX design is an essential convergence factor. UI/UX design should be designed to be patentable. In such cases, UI/UX design is at the core of the overall technology and design leads the technolog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way that UI/UX design can have patentability. First, we examined how the components of the patent technology system match UI/UX. Here, the UI was matched to what was seen during sensing, input, output, communication and storage, and the UX was matched to the computational process. Next, we discussed how to change the UX to match the patent technology system. At this time, the UX was filtered to remove human behavior and transformed into processes performed by each component of the technology system. Subsequently, the method of increasing patentability by changing the matched UI in the patent technology system was discussed. Here, a method of changing the UI over time and a method of interacting between UIs was derived. Finally, the patentability of the derived UI/UX patent elements was evaluated. In terms of industrial applicability, novelty and unobviousness, and monopoly availability, the UI/UX patent elements are highly patentable. Therefore, UI/UX design including convergence elements derived from this study can be defined as a new UI/UX convergence design. The development method of UI/UX convergence design is expected to increase its utilization in future design or technology development. 4차 산업 혁명 시대에서 디자인과 기술은 광범위하게 융합되고 있다. UI/UX 디자인은 기술의 상호 작용및 기술의 표현 방식과 관련되므로 필수적 융합 사항이다. 이러한 UI/UX 디자인이 전체 기술의 핵심이 되고 기술을 선도하려면 특허성을 가지도록 디자인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UI/UX 디자인이 특허성을 가질 수 있는 방안을 분석하였다. 우선, 특허 기술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과 UI 및 UX가 어떻게 매칭되는지 고찰하였는데, UI는 센싱, 입력, 출력, 통신 및 저장 과정에서 보여지는 것으로 매칭하였고, UX는 연산 과정으로 매칭하였다. 다음으로 UX를 기술 시스템에 매칭시키기 위해 변화시키는 방안을 고찰하였는데, UX를 필터링하여 사람의행위를 제거하고, 기술 시스템의 각 구성이 수행하는프로세스로 변환하였다. 이어서 기술 시스템에서 매칭된 UI에 변화를 부여하여 특허성을 높이는 방안에 대하여 고찰하였는데, UI를 시계열적으로 변화시키는방안 및 UI간 상호작용하는 방안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UI/UX 특허요소의 특허성을 평가하였는데, 산업상 이용 가능성의 관점, 신규성⋅진보성의 관점 및 독점가능성의 관점에서 UI/UX 특허요소의 특허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융합 요소를 포함하는 UI/UX 디자인은 새로운 UI/UX 융합디자인으로 정의될 수 있고 향후 디자인 또는 기술 개발 시 그 활용도가 커질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대학 그룹웨어의 UI 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

        연명흠(Yeoun, Myeongheum),한아름(Han, Areum),천정은(Cheon, Jeongeu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09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8 No.2

        본 연구는 인제대학교의 그룹웨어인 인제정보시스템의 리뉴얼을 위해 진행한 UI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 사례연구로서, 그 개발 과정에서의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여 다른 그룹웨어 UI디자인의 참고가 되도록 하는 것에 연구 목적이 있다. 프로세스는 벤치마킹과 인제정보시스템 분석으로 이루어진 리서치 단계와 중요페이지의 인터랙션 디자인, 네비게이션 디자인, 사용성 테스트 및 인터뷰, GUI디자인으로 이루어진 디자인개발 단계로 진행되었다. 시스템분석을 통해 교수, 직원, 조교, 학생 등 다양한 사용자에 대한 이해를 얻었으며, 기존 시스템의 UI 문제점을 파악하였고, 조회, 입력, 출력 등으로 구성되는 업무성격을 이해하였다. 중요페이지를 선정하여 인터랙션디자인을 완성하고 그 과정에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디자인을 진행하였다. PPT를 이용한 프로토타이핑과 사용성 테스트를 거쳐 인터랙션디자인을 완성하였고, Clean & Calm을 컨셉으로 GUI디자인을 완성하였다. 이러한 작업과정을 통해, ‘효율적인 업무지원이 되게 설계해야 한다’, ‘입력의 사용성을 높여야 한다’, ‘이해하기 쉽게 디자인해야 한다’, ‘시각적으로 간결하게 디자인해야 한다’는 원칙을 수립하고, 가이드라인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가 향후 다른 대학 그룹웨어 UI개발과 연구에 참고가 될 것을 기대한다. This UI design Case study is for the renewal of Inje information system(IJIS as below).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share experience and know-how on UI design process of university groupware, and to be useful reference for other UI design. The design process is consisted of two phases, research and development. We surveyed several other university groupware, and analyzed existing IJIS UI on research phase, and designed interaction, navigation, and GUI, and carried out usability testing on development phase. Through IJIS system analysis, it was able to understand variety groups of users such as professors, staffs, teaching assistants and students, UI problems of existing system and characteristics of the tasks such as inquiry, input and output. We completed the interaction design by selecting important pages and abstract design guidelines through this process. The interaction design has been completed through usability test and prototyping by using PPTMT and GUI design was completed under the concept of Clean & Calm. Through these design process, UI design principles were established. The principles are as below. The design should be efficient to support work, increase the usability of input task, easy to understand, concise visual design. The UI study the future development of groupware and other university research is expected to be on the Note.

      • KCI등재

        UI 디자인의 개발 프로세스에 따른 다면적 권리 보호 방안

        정유원,박수진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2

        This paper examines the legal protection of UI design that is so difficult to judge the scope of a right and Patent infringement or not. Firstly, I carry out analysis of Patent Law, Design Law, Copyright law, Trademark law,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nd Trade Secret Protection Act concerning UI design area and examine with some cases the rights of UI design that are complementarily protected through each law. Secondly, I draw up sequential guidelines for the object of legal protection related to UI design based on design outputs from each stage in whole UI design process. Thirdly, I examine important worth protecting of outputs from each stage and try to get the omnifaceted protection method for efficient protection of UI design. Finally, I examine the distinguishing problem of UI design on infringement judgement. In summary, I draw up sequential guidelines keeping up with the whole process of UI design and suggest the omnifaceted protection method from important worth protecting, scope & effect of protection of each output, and the exercise of a right & criteria of infringement. I hope that this study lays the foundation for future work on investigation into worth protecting digital Interface design. 본 논문에서는 여러 디자인 분야 중에서도 비교적 새로운 개념으로 그 간의 법체계와 판례만으로는 권리 범위의 설정과 침해여부를 판단하기가 매우 어려운 UI 디자인의 법적인 권리 보호에 대해 살펴본다. 연구의 방법은 첫 번째로는 UI 디자인을 둘러싼 특허법, 디자인보호법, 저작권법, 상표법,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에 관한 법률 등의 관련법을 분석하고 이들을 통해 상호보완적으로 확보 가능한 UI 디자인의 권리들을 사례를 통해 검증해 본다. 두 번째로는 UI 디자인의 전체 개발 프로세스 상의 각 단계에서 산출되는 디자인 결과물들과 그 사이에 권리로서 확보해야할 UI 디자인의 보호 대상들을 순차적 가이드라인으로 정리한다. 세 번째로는 개발의 각 단계별로 만들어지는 결과물들의 중심적 보호 가치를 논의하고, UI 디자인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다면적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획득되는 권리 행사의 목적과 UI 디자인의 침해 판단 기준의 특징을 검토한다. 요약하면, 프로세스의 각 단계를 따라가며 우선적으로 보호해야 되는 순차적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각 결과물의 보호 가치, 권리의 범위와 효과, 권리 행사와 침해기준에 따른 다면적 보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가 디지털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보호 가치를 규명하기 위한 기반 연구의 발판이 되길 바란다.

      • KCI등재

        어포던스 이론을 토대로 하는 한중 내비게이션앱의 UI 디자인 가이드라인

        가건 ( Jia Jian ),이창욱 ( Lee Changwook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5 No.-

        현 시대 마켓에서 메인스트림 스마트폰 앱은 다양한 UI 인터페이스 디자인스타일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인터렉티브 모드까지 포괄하고 있다. 동시에 사용자가 이러한 스마트폰 앱을 사용할 때 UI 인터페이스의 사용성에 대한 문제점들이 계속 발생하고 있다. 어포던스 디자인과 사용자경험 디자인의 밀접한 관계는 사용자의 인터렉티브 행위의 본질에서 출발하여 사용자와 인터페이스가 인터렉티브 과정에서의 전위행동을 시스템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예쁘고 고상해야 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쉽게 인지하고 조작할 수 있어야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선행문헌의 연구 성과를 의거하여 스마트폰 앱 UI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를 고찰하는 동시에 본 연구에서의 UI 삼요소를 도출한다. 그 후 어포던스 차원에서 출발하여 본 연구에 가장 적합한 어포던스 타입 중 학자 Hason의 어포던스 디자인 4대 타입을 연구기준으로 하고, 본 연구에서 정리한 각 내비게이션앱의 UI 인터페이스 삼요소에 대하여 어포던스 이론을 토대로 설문조사를 제작하고 어포던스 디자인의 차원에서 한중 6개의 내비게이션앱의 UI 디자인에 대하여 지향성 있게 합리적인 보완방법 및 개선방침을 제기한다. 따라서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하는 동시에 레이아웃의 배열방식, 심플한 아이콘, 사용자의 조작상태 등은 모두 일정하고 명확한 피드백을 갖고 있다. 사용자가 인터페이스와 인터렉티브를 이루는 과정에서 아무런 보조가 없더라도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이해하고 순조롭게 조작을 이루어 제품의 사용성을 향상할 수가 있다. 이를 통해 같은 영역 중 내비게이션앱 UI 디자인의 개선 활동에 참고적 가치가 되었으면 한다. Nowadays, the UI interface design in mobile phone applications has a variety of styles, including many interaction methods, and many design principles in related fields.There are many user experience problems in the design of mobile UI.The close connection between the usability design and the user experience design can be taken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user's interaction behavior, and the dislocation behavior of the system's expulsion interaction process.It is also necessary to make the user understand and operate smoothly.Therefore, the visual elements of UI design were studied and the three main elements were sifted.Based on HASON's four main categories of usability design, the data are collected through the network questionnaire, and the cognitive availability, physical availability, perception and skills of the UI design of the six major navigation app in Korea and China are improved. Therefore, while carrying out the interface design, there certainly is clear feedback on the layout arrangement, the simplicity of the graphic logo, the user’s operating states, etc. In the process of interacting with the interface, users can understand the interface function and complete the operation successfully without any assistance, which improves the usability of the product. Using this as a reference, UI design in navigation applications in the same field plays an important role.

      • KCI등재

        Gestalt 시지각 법칙을 통해 분석한 모바일 UI디자인 연구 -삼성·애플 모바일 폰을 중심으로-

        라시바오(Luo, Shi Bao),오용균(Oh, Yong Kyu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게슈탈트 관점에서 모바일 UI디자인의 객관적 평가 기준을 마련하고, 게슈탈트 시지각심리 법칙을 활용하여 실제 사용되는 대표적인 모바일 UI디자인 간의 유사성과 특징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데 있다. 만약, 제품 제작 전에 시지각과 관련된 인간 심리를 충분히 반영하여 제품을 설계해 나간다면 UI디자인 개발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범위는 대표적인 모바일 기업인 삼성의 ONE와 애플의 iOS 모바일 UI디자인 및 게슈탈트 시지각 구성요소로 한정하였다. 주요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대표적인 시지각 심리학 이론인 게슈탈트 법칙과 시각디자인의 기본요소를 접목하여 평가지표를 작성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아이콘’, ‘메인화면’, ‘멀티태스킹’, ‘퀵패널’ 네 부분으로 분류하고, 대표적 게슈탈트 법칙인 ‘대칭성’, ‘연속성’, ‘완결성’, ‘근접성’, ‘유사성’ 다섯 가지의 원칙에 적용하여 그 특징을 살피고 UI디자인의 원칙인 ‘직관성’, ‘일관성’, ‘효율성’과 접목하여 분석을 구체화하였다. 연구 결과 모바일 UI디자인에 있어서 게슈탈트 법칙에 기반한 시지각적 특성을 활용하여 디자인 할 때, 사용자가 정보에 대한 이해와 기능에 대한 접근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UI디자인은 디자이너의 시각에서가 아니라 이용자가 바라보는 시각에서 설계되어야 한다. 그러한 관점에서 대표적인 두 기업의 모바일 UI디자인은 게슈탈트 법칙들이 잘 활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objective evaluation criteria for mobile UI design from the Gestalt point of view and analyze and evaluate similarities and characteristics between representative mobile UI designs used in practice by utilizing Gestalt visual perception psychology law. If the product is designed to fully reflect the human psychology related to visual perception before the production of the product, it is expected to help the development of UI design. The scope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the components of the visual perception of Samsung’s ONE and Apple’s iOS Mobile UI Design and Gestalt, both of which are representative mobile companies. The main research points are as follows. Assessment indicators were drawn up by combining the basic elements of visual design with the law of Gestalt, a representative theory of visual perception psychology. Specifically, it categorized Icon, Main Screen, Multitasking, Quick Panel, and applied the five main principles of Gestalt: ‘Detention’, ‘Perfect’, ‘Close’, and ‘Similarity’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applied the detailed analysis of the principles of UI design, ‘intuitive’, ‘uniformity’, and ‘efficiency’. Research has found that users can increase their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and access to functions when designing using visual perceptu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law of Gestalt in mobile UI design. UI design should be design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ser, no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esigner. From that point of view, the two flagship companies’ Mobile UI design was able to confirm that the laws of Gestalt were well utilized.

      • KCI등재후보

        지식재산으로서의 모바일 UI 디자인의 법적 보호

        정유원(Jeong, Yuwon),박수진(Park, Sooji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2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1 No.3

        정보 통신과 디지털 기술의 발달은 정보 통신기기 등과 같이 업무적, 일상적으로 접하는 제품들의 기능을 복잡하고 다양하게 변화시켜, 이들 기기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담당하는 UI 디자인의 중요성이 날로 증대되고 있다. 기업에서는 경쟁시장에서의 우위를 점하기 위하여 각종 제품의 외형 디자인과는 별도로 UI 디자인만의 개발에 많은 인력과 비용을 투자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애플사를 중심으로 불거지고 있는 글로벌 특허 분쟁에서 UI디자인과 관련된 기술 특허와 디자인 특허, 상표와 트레이드 드레스 문제는 그 핵심 쟁점으로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논문은 UI 디자인과 관련된 각 법률이 지닌 보호의 가능성과 실질적 한계를 살펴보고자 했으며 나아가 UI디자인과 관련한 이용저촉관계가 발생한 경우, 그 권리의 보호범위에 관해서 논의해 보고자 했다. 결론적으로, 복합디지털 생산물로서의 UI 디자인은 어느 하나의 제도에 의해 완벽한 보호가 이루어질 수 없으므로, 앞으로 그 보호 방법에 대한 대안론의 연구는 더욱 절실할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연구의 시작으로서, 디자인 업계로부터의 전문적인 기반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우선적 사안으로 새로운 디지털 디자인 분야에 대한 권리를 보호함에 있어 디자인 사례별 유사성 판단 기준, 침해 업체의 디자인 모방의 의도성 판단 기준, 자유로운 디자인 경쟁의 기회를 박탈하는 특정 기업의 독점을 제한하기 위한 보편적 디자인 지침의 기준, 디자인 컨셉의 포괄적 인정 등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As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digital technique brought many complicated and diverse changes to the function of ordinary products in our everyday life, the User Interface design having a key part in the function of interface between these products and human-being is getting more and more important. Some companies are investing manpower and expense in the development of UI Design separately apart from the appearance design of product in order to take a high position from competitive market. Recently, In global patent dispute centered in Apple Inc. the issues of technical patent, design patent, the trademark and trade dress which relate with UI designs are discussed actively as controversial subjects. At this critical juncture, the present research question emerged from the questions: whether UI design is protected fully or not according to domestic law. So, this paper examines the issues of the law related with UI design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necessity of criteria for evaluating design similarities, judgement of design copy, average design standard, protection of design concept, and so on.

      • KCI등재

        스마트홈 사용성 향상을 위한 어포던스 이론 기반의 UI 디자인 연구 -한국과 중국 앱 사례 비교-

        우금보 ( Yu Jinbao ),이창욱 ( Lee Chang-wook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4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6 No.-

        현대 스마트홈 기술의 빠른 발전과 사용자들의 편리한 생활 방식에 대한 추구와 더불어, 스마트홈 앱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디자인의 중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사용자들이 이러한 스마트홈 앱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UI 인터페이스의 사용성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능적 어포던스 디자인과 사용자 경험 디자인 간의 밀접한 관계에 주목하여, 스마트홈 앱 UI 디자인의 개선 전략을 탐구하고 구현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이 보다 효율적이고 만족스러운 사용 경험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첫째,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시장에서 상위 랭킹을 차지하는 4개 스마트홈 앱을 선택했다. 둘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UI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들을 조사하고, 네 가지 핵심 요소를 추출했다. 어포던스 관점에서 출발하여, Hartson이 제시한 어포던스 디자인의 네 가지 유형을 연구 기준으로 삼고, 이 스마트홈 앱의 네 가지 핵심 UI 디자인 요소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셋째, 설문조사와 SPSS데이터 분석을 통해, 한중 4개 스마트홈 앱 UI 디자인의 어포던스 디자인 차원에서 합리적인 개선 방법과 전략을 제안했다. 본 연구는 스마트홈 앱 UI 디자인의 핵심으로 사용자 경험을 강조하며, 미래 디자인에 대한 유효한 참고자료를 제공한다. 실증 연구와 사용자 피드백을 통해 미래 스마트홈 앱의 UI 디자인이 더욱 인간 친화적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사용자 그룹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창출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The rapid development of modern smart home technology, coupled with users' pursuit of a convenient lifestyle, has increasingly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smart home application user interface (UI) design. Users are continuously encountering usability issues with UI interfaces while using these smart home app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exploring and implementing improvement strategies for smart home app UI design, paying close attention to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affordance design and user experience design.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enable users to have a more efficient and satisfying usage experience. Firstly, this study selected four leading smart home applications in the Korean and Chinese markets. Secondly, based on prior research, it examined the visual elements of UI design and extracted four key elements. Starting from the perspective of affordance, the study used the four types of affordance design proposed by Hartson as the research standard and conducted a survey on the four key UI design elements of these smart home applications. Thirdly, through surveys and SPSS data analysis, the study proposed rational improvement methods and strategies for the affordance design dimensions of the UI design of these four Korean and Chinese smart home applications.This research emphasizes user experience as the core of smart home application UI design and provides valid reference material for future design. Through empirical research and user feedback, it is expected that the UI design of future smart home applications will develop to be more human-friendly, meeting the needs of various user groups and creating a better user experience.

      • 사용자 태도에 근거한 가치공학적 UX/UI 디자인 평가모형 연구

        두경일(Doo, Kyungil)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2 디자인지식저널 Vol.21 No.-

        최근 디지털미디어 환경속의 UX/UI 디자인에 대한 중요성이 날로 높아짐에 따라 정확한 판단과 평가를 통해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UX/UI 디자인의 활용은 디자인 전략의 핵심으로 경쟁력을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객관적인 디자인 가치측정과 평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객관적 디자인 평가와 가치를 이론적으로 정리하여 디자인 가치평가에 대한 가치공학적 고찰을 통해 사용자 태도 측면의 방법론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UX/UI 디자인에 대한 가치평가모형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무형의 상품인 UX/UI 디자인의 특성에 따라 가치공학 방법론적 분석모델을 토대로 사용자 태도를 중심으로 접근 하였으며, 사용자 태도 형성과 변화에 대한 요인들을 정리해 보았다. 그 결과, 사용자가 가지게 되는 경험과 감성 만족도가 궁극적인 속성에 해당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토대로 UX/UI 디자인 가치평가모형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보편화 되어 있지 않은 가치공학 관점에서의 UX/UI 디자인 평가모형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한편으론 사용자 태도를 기반으로 한 평가모형이라 사용자에 따른 여러 가지 변수가 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어, 향후 이를 고려한 실증적 연구와 방안 도출이 필요하다. As the importance of UX/UI design in digital media environment is getting high day by day. the objective judgement and evaluation on UX/UI design is being noted as an important issue deciding the competitiveness as a core of design strategy. However. the study on the objective design value measuring and evaluation on it is realistically weak. The use of UX/UI design provided for users through the exact judgement evaluation is very important. Hereby. this study is aimed at looking around the methodology of user’s attitude aspect through the value-engineering consideration on design value assession by theoretically arranging the objective design evaluation and value. and groping the value evaluation model on UX/UI design based on it. It approached focusing on user’s attitude based on value-engineering methodological analysis model according to the feature of UX/UI design. an intangible product. and extracted the design value evaluation model by arranging the factors about user’s attitude formation and change.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suggesting the value-engineering UX/UI design evaluation model which is not prevalent in our country. Meanwhile. since it is an evaluation model based on the user’s attitude. it has a limit of diverse variables following the user so the positive study and the plan introduction considering it is necessary.

      • KCI등재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 모델을 적용한 UX/UI 디자인 수업 과정 연구

        김경혜(Kyeong Hey Kim),남원석(Won Suk Nam)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3 한국디자인리서치 Vol.8 No.2

        큰 기술 환경의 변화가 일어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해 UX/UI 디자인은 기존부터 중요시되던 디자인의 표현 능력뿐만 아니라 현대 사회의 다양한 정보들을 관찰하고 새로운 관점을 발굴할 수 있는 창의적 능력이 중요해졌다. 이러한 사회의 흐름에 따라 교육부의 교육과정 또한 기본 능력을 기초로 관찰력과 포용성, 창의성을 갖춘 주도적인 사람으로 성장시킬 수 있는 다양한 수업 방법을 고안하고 있다. 이에 맞춰 특성화고등학교 UX/UI 디자인교육을 진행하면서 기본적인 지식 교육과 인간 중심의 창의성을 키울 수 있도록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 모델을 적용한 UX/UI 디자인 수업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디자인 씽킹의 이론과 선행연구, 특성화고등학교의 UX/UI 디자인교육 현황을 분석하여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 모델을 적용한 UX/UI 디자인 수업을 구성하고 지도 계획을 작성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 후 수업받은 학생들에게 진행한 설문 조사에서 포용력과 창의력 향상 효과는 평균 4.64, 만족도는 평균 4.68로 높은 수치와 만족도를 나타냈으며 수업모형과 설문을 토대로 진행한 실무자의 타당성 검토 결과는 평균 4.70으로 높은 타당성을 보여 본 연구가 UX/UI 디자인에 대한 지식 습득과 포용성, 창의성 등을 향상하는 데 기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has brought about major changes in the technological environment, UX/UI design has become important not only for its design expression capabilities, which have always been important, but also for its creative ability to observe various information in the modern world and discover new perspectives. In line with this trend, the curriculum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also devising various teaching methods to grow into a leading person with observation, inclusiveness, and creativity based on basic skills. In line with this, we aimed to develop a UX/UI design class model that applies the design thinking process model to foster basic knowledge education and human-centered creativity while conducting UX/UI design education at a specialized high school. By analyzing the theory of design thinking, previous research, and the current status of UX/UI design education in specialized high schools, we organized a UX/UI design class using the design thinking process model, wrote a teaching plan, and conducted the class. In the post-lesson survey of the students, the effect of improving inclusion and creativity was 4.64 on average, and the satisfaction level was 4.68 on average, and the results of the practitioner's feasibility review based on the lesson model and the survey were 4.70 on average, showing high feasibility, confirming that this study contributed to improving knowledge acquisition, inclusion, and creativity of UX/UI design.

      • KCI등재

        대형병원 서비스 통합 디자인을 위한 UI 요건 연구

        이정현,김영석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6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4 No.3

        서비스 통합 디자인은 현재 병원 시스템들의 무분별하게 배치되고 사용되는 UI(User Interface Design)디자인을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로 통합하여 통일성 있는 디자인을 구축하는데 있어 필요한 요건 들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재 대형병원의 디바이스 및 서비스 시스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서비스 통합 디자인의 개발 모형을 설계하고 사용성 평가 항목을 제안한다. 개발 모형은 UI 요건을 연구한 학자들의 이론을 근간으로 서비스디자인 관점에서 연구 되어졌으며, 이는 병원내의 시스템을 사용자 모두가 보편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만들고 나아가 병원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브랜드 가치를 상승하게 하게 하는데 있다. 현재 사용되어지고 있는 병원 키오스크, 어플리케이션, PDA, 타블렛 등의 정보 시스템들은 통일성 없이 각 병원마다 다른 형태, 다른 인터페이스로 사용자들의 혼란을 가져왔다. 그러기 위해서는 다른 형태지만 통일성 있는 인터페이스와 시각적 요소, 경험적 요소 모두를 포함한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 시스템들의 UI 디자인 을 통합하여 서비스디자인에 있어 더 나은 환경을 만들기 위한 서비스 통합디자인을 개발, 평가 항목을 개발 모형을 통해 제시하였다. 서비스 통합 디자인 개발 모형을 통해 디자인된 서비스디자인은 향후 U 헬스케어(U Healthcare)시대의 상호 유기적이고 효율적인 양질의 의료 서비스가 되기 위한 가이드가 되길 기대해 본다. Integrated service design aims to suggest necessary requirements for establishing a coherent UI design by incorporating user-centered design to enhance imprudently placed and utilized UI(User Interface) design. Current issues of Device and service systems of large-Scale hospitals were addressed, developmental model of integrated service was designed, and user evaluation items were proposed. Developmental model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theories of researchers who investigated UI requirements in the views of service design, and it aims to achieve universal availability of hospital system to all users, improve the efficiency of hospital services and increase the brand value. The lack of unity in the information system involving hospital kiosk, application, PDA, and tablets brought about confusions of users due to heterogenous forms and interfaces in each hospital. To tackle this, user-centered design that involves a coherent interface, experiential components and visual components should be developed. Thus, this study developed an integrated service design to create an ameliorated service environment through incorporating UI design, and suggested evaluation items through developmental model. The service design created from the developmental model of integrated design is expected to guide mutually organic, efficient and high-quality health care service in upcoming U Healthcare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