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초기 프랑스 단편 소설의 ‘번역’ 및 ‘번역 계보’ 연구 (1919~1921)

        김준현(Kim, Jun-Hyun)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코기토 Vol.- No.84

        번역문학과 관련된 연구의 기본적인 출발점이면서도 종종 간과되었던 ‘번역 계보’ 조사의 중요성과 함의를 재확인하는 데 본 논문의 주안점이 있다. 차후의 심화 연구를 위한 기본 선행 작업이기도 한 본 연구에서는, 서양문학 작품 번역의 초기에 해당하는 1910년대 말과 1920년대 초에 이루어진 몇 편의 프랑스 단편 소설의 ‘번역’ 및 ‘번역 계보’와 관련된 논의를 통해, 이 시기 번역의 현황과 특징, 원작과 번역 사이의 주목할 만한 변용 양상 등을 실증적으로 짚어보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본 논문은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로 번역 계보 조사의 필요성을 김소월의 번역을 다룬 선행연구에 대한 비판적인 검토를 통해 다시 확인하였으며, 두 번째와 세 번째로는 향후의 연구 과제 소개 차원에서 1920년대 초에 번역되었으나 오늘날까지 특별한 관심을 받지 못했던 모파상과 뒤마의 작품인 「사랑」, 「브랑빌리에 후작 부인」에 대한 전반적인 논의를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근대 서양 문학 번역의 주역 가운데 한 명인 김억의 모파상 작품 「고독」의 번역 및 번역 계보 문제를 세밀하게 검토하였다. 연구자의 주안점은 과거의 번역을 다양한 층위에서, 즉 프랑스어 원문뿐만 아니라 당시의 영역(英譯), 일역(日譯) 등과 유기적으로 비교하는 데 있으며, 실증적인 검토를 통해 당시 번역의 저본을 명확히 규명하는 데 있다. 그러나 동시에 우리의 연구는 세밀한 ‘번역 계보’ 조사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마주치게 되는 문제들, 즉 당시 번역가의 원작 이해 수준, 번역에서 드러나는 굴절의 이유, 번역의 특징 등을 되짚어봄으로써 번역 문학과 관련된 논의들을 효과적으로 보충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이 ‘원론’을 효과적으로 보완하는 ‘각론’으로 나아가는 한 걸음이 되기를 희망한다. This study aims to reconfirm of the importance and implication of ‘translation genealogy’ which was often passed over by the studies on the translated literature. The scope of this study covers several French short stories translated in the period from late 1910s and early 1920s which was the very beginning of the translation history in Korea. Our basic preliminary examination focuses on the situation and special features of the translation in this era and noteworthy change patterns from the original text to the translated ones. This article consists of four parts. First, the necessity of ‘translation genealogy’ is confirmed through the critical literature review about Maupassant’s L’Odyssée d’une fille. Second and Third, to introduce the research question, Amour and La Marquise de Brinvilliers by Dumas and Maupassant will be discussed generally since those two were translated in the early 1920s but didn’t get proper attention. Lastly, Maupassant’s Solitude translated by Kim Eok, who played the central role in the modern western literature translation, will be closely translated. The research mainly compares the past translated text with not only the original French text but English translation and Japanese translation of the same period. Furthermore, the study seeks to find the exact source text of many translated script through corroborative review. At the same time, the study tries to add rich discussion on translated literature by retracing the reason of bending the text, the understanding of the text by the translator at that time, and special features of the translation in that period, which are inevitably confronted during the course of meticulous ‘translation genealogy’ research. In this context, this study could be the first step to lead to more detailed discussions from general ones effectively.

      • KCI등재

        Philosophize with a Hammer, Translate with a Hammer - Domesticating Translation with Reference to Nietzsche and Venuti

        김영신 한국통번역교육학회 2015 통번역교육연구 Vol.13 No.2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questions of fluent and domesticating translation by drawing on the notion of genealogical approach proposed by Nietzsche and later adopted by Venuti. First, this research explored the common ground shared by Nietzsche and Venuti as to the inherently ethnocentric nature of translation. The second discussion was engaged with the genealogical approach to translation in general and fluent translation in particular. Nietzsche put forth the insight that translation, with its domesticating strategies, was being mobilized for cultural and political agendas in Germany. Venuti, on the other hand, argues that a enealogical analysis of translation can help resist the regime of fluent strategies, calling for the heighten sense of responsibility and ethics from translators. Translation which enables the source text to emerge undamaged with its uniqueness into the target culture, he believes, truly resists ethnocentricism in translation.

      • KCI등재

        『춘희(椿姬)』의 번역 계보와 문학사적 의의

        김영애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9 한국어문교육 Vol.29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nd reveal the genealogy of the translated novel, Chunhee. Chunhee is a translated work of La Dame aux Camélias by Alexandre Dumas Fils, a French novelist (1848). During the Korean colonial period, Jin Hakmun, Na Dohyang, Shimhyangsanin, Kim Jahye, and Park Luweol translated some works of Dumas Fils. Especially, Park Luweol's work is a film novel. Not much has been known about this work until recently. This paper deals with the translation genealogy and literary historical meaning of Chunhee. Except for The Hongru by Jin Hakmun, not much research has been done on other works. There is a need for a systematic study of the translation genealogy of Chunhee. Thus, this paper 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works, and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literary and historical implications of the genealogy. When translating Japanese works, Jin Hakmun and Na Dohyang modified titles or names, making them Korean ones, and translated the whole original works. Shimhyangsanin, Kim Jahye, Park Luweol, on the other hand, accepted the title of Japanese version, ‘Chunhee’, and made a condensed translation. 이 논문의 목적은 식민지시기 번역소설 『춘희(椿姬)』의 계보를 밝히고 그 문학사적 의미를 분석하는 데 있다. 소설 『춘희』는 프랑스 소설가 알렉상드르 뒤마(Alexandre Dumas Fils)의 『La Dame aux Camélias』(1848)를 번역 번안한 작품이다. 뒤마의 원작을 번역 번안한 작품으로 진학문의 『홍루』(1917), 나빈의 『동백꽃』(1927), 심향산인의 『춘희』(1929), 김자혜의 『춘희』(1933) 등이 소개된 바 있다. 본고는 여기에 박루월의 『춘희』(1930)를 추가하여 『춘희』의 번역 번안 계보와 그 문학사적 의미를 다루었다. 특히 박루월의 『춘희』는 지금까지 번역소설이나 영화소설 연구에서 구체적으로 분석된 적이 거의 없고, 진학문의 작품을 제외한 나머지 번역소설에 관한 개별적인 연구 또한 찾아보기 어렵다는 점에서 본격적인 논의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고는 『춘희』가 우리 문단에 번역 소개되어 온 역사적 정황을 작품별로 제시하고, 그 계보의 문학사적 의미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식민지시기 『춘희』의 번역사를 조망하고자 했다. 진학문, 나도향은 일본소설을 대본으로 번역 번안했으나 제목이나 인명 등을 조선적인 표현으로 바꾸었고 축역이나 경개역이 아닌 완역에 해당하는 작품을 선보였다. 반면 심향산인, 김자혜, 박루월은 공통적으로 일본소설 제목 ‘춘희’를 그대로 수용하고 줄거리 중심의 축역, 경개역에 해당하는 작품으로 고쳤다는 점에서 앞선 작가들과 변별된다.

      • KCI등재

        『청춘』의 ‘세계문학개관’ 저본에 대한 검토 (1) -최남선과 마쓰우라 마사야스(松浦政泰)-

        김준현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8 사이 Vol.24 No.-

        본고는 번역문학과 관련된 다양한 논의의 선행 작업 가운데 하나인 ‘번역 계보’조사의 중요성을 재확인하는 한편, 면밀한 기초 조사가 관련 선행 연구들을 효과적으로 보완하고 새롭게 접근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는 점을 짚어 보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구체적인 저본에 대한 조사 및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한 최남선의 ‘세계문학개관’을 검토 대상으로 삼았다. 다양한 잡지 발간과 신문관을 중심으로 한 출판 사업을 통해, 20세기 초 근대지식의 전파와 서구 문명 소개에 주력했던 선구자 가운데 한 명이며 당시 가장 활발한 활동을 펼쳤던 육당 최남선이 『청춘』을 통해 다섯 차례에 걸쳐 소개한 ‘세계문학개관’의 저본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육당의 소개가 1913년 간행된 마쓰우라 마사야스(松浦政泰)의 저서에 기초한 것임을 확증할 수 있었다. 마쓰우라 마사야스라는 인물과 그의 저작에 대한 고찰이 기존의 최남선 관련 연구에서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던 만큼, 먼저 이 인물의 생애와 주요 활동을 살펴보았으며 그의 저작에 대해서도 개괄적인 조사를 진행하였다. 아울러 번역가이자 편집자였던 최남선이‘세계문학’을 국내 독자들에게 알리는 연속 기획에서 저본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일단 파악하기 위해 내용 소개에 앞서 제시되는 작가 및 작품 소개 등을 우선적으로 살펴보았다. 우리의 연구는 최남선과 공명한 다양한 인물들을 살펴봄으로써, 육당의 지적 배후에 어떤 인물들과 저작이 있었는지를 규명하는 시도의 첫걸음에 해당하며, 이를 통해 기존의 연구들을 되짚어 보는 동시에 새로운 연구 전망을 확보하는 데 주안점을 둔 것이다. 또 구체적인 번역 검토를 통해 번역가로서의 최남선의 활동과 그의 번역의 특징을 재조명하는 것을 궁극적으로 지향한다. 우리의 시도는 차후 『청춘』의‘세계문학개관’과 관련해 지속적으로 수행될 연구인 마쓰우라 마사야스의 원작과 최남선의 번역에 대한 구체적인 비교 검토 작업, 마쓰우라 마사야스의 또 다른 저작인 『분투(奮鬪)의 위인』에 기초해 『청춘』에 소개된 열두 명의 위인전기에 대한 전면적인 고찰 등을 순차적으로 거침으로써, 최남선과 관련된 연구 지평을 확장하고 새로운 전망을 확보하는 데 이를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비문학 텍스트의 번역 및 ‘경개(梗槪) 자체의 번역’에 대한 새로운 논의의 장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provide the opportunity to supplement previous studies effectively by thorough basic investigation as well as to reaffirm the importance of ‘translation genealogy’research, as one of the precedent works regarding translation literature. For this purpose, “World Literature Overview” by ChoiNam-seon will be reviewed closely of which the original text has not been discussed properly so far.Choi Nam-seon was one of the leading figures to introduce modern knowledge and Western culture in the early 20th century by publishing various magazines. It was found out that the original text used to introduce “World Literature Overview” for five times in Cheongchoon (Youth) had based on the book by Matsura Masayasu in 1913. Since Matsura Masayasu and his works have never been examined in preceding Choi Nam-seon studies,his life and important activities have been examined along withgeneral research on his works. Also the general introduction of the writer and the book (Victor Hugo’s Les Misérables, Leo Tolstoy’s Resurrection, John Milton’s Paradise Lost, Miguel de Cervantes’s Don Quixote, Geoffrey Chaucer’s The Canterbury Tales) was first examined to understand how Choi Nam-seon, as the translator and editor, used the original text to introduce “World LiteratureOverview” to Korean readers in this series project.Our study could be the first step to inquire into whatcharacters and works had been Choi Nam-seon’s intellectualbackground considering various people interacting with him.Furthermore, it could cast a fresh light on existing studies as wellas broaden the scope of new study and Choi Nam-seon as a translator and his activities will be examined by reviewing his translation specifically. Our future study will include the comparative review on the original text of Matsura Masayasu and Choi Nam-seon’s translation, and the full consideration on biographies of twelve great men introduced in Cheongchoon(Youth), which were based on different works of MatsuraMasayasu. Lat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ographies in Boys and works of Matsura Masayasu will be investigated in due order.These studies would suggest a new perspective on Choi Nam-seon studies and enable us to understand the translation of a digest of a book through further discussion.

      • KCI등재

        『만국공법』의 판본학적 계보 고찰

        尹泳裪 ( Yun Young Do ) 중국어문학회 2024 中國語文學誌 Vol.- No.87

        The large-scale translation of Western thoughts from the mid-19th century brought about modernization in East Asian thought and society in general. The starting point of these modern translations, and the representative translation that brought about a fundamental change from the local order of “heavenly kingdom(天下)” to the global system, is Wan guo gong fa(萬國公法). which is the classical Chinese translation of Wheaton’s Elements of International Law. As a result, scholars at home and abroad have conducted research on Wan guo gong fa, including political and diplomatic studies on the formation of the modern international order in East Asia, and studies on the process of acceptance and translation of modern discourse related to Western international law. However, there are very few papers that specifically study the genealogy of various editions that appeared before and after the translation of Wan guo gong fa, through a bibliographical or genealogical approach. In this article, I examine the textual genealogy of the various editions, starting with Wheaton’s Elements of International Law and ending with the copied editions and commentaries in Japan, by examining their composition and format, and by interpreting their meaning.

      • KCI등재

        조선후기 역관족보(譯官族譜)의 고찰(考察) -『김산리씨세보(金山李氏世譜)』를 중심으로

        장인진 ( In Jin Cha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6 大東文化硏究 Vol.94 No.-

        금산이씨는 고려 초의 벽진장군 李悤言의 후손인데 역관의 계통이다. 19세기 중반에 『금산이씨세보』를 간행하고 李愉의 가계 157명을 수록하였는데, 성관 집단이면서 한 파로 구성되어 派名이 없다. 족보에 嫡庶를 표기하였다. 17세기 이후 서얼통청 등 사회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었지만 이 족보에서는 士族의 족보와 동일하게 존비 귀천 의식이 남아 있다. 이 족보에서 외손·외증손의 妻父와 외손서·외증손서의 父名까지 표기한 것은 타 족보에서 보기드문 사례가 되므로 자신들의 신분적 영역을 굳게 고수하고자 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족보를 간행할 때 역관 가문으로서 결속을 다지고 족세를 유지하려는 의도가 있었을 것으로 보이는데, 족보 편성시 命字항열 6명을 포함한 31명의 가계에서 수단을 내지 않은 것은 18세기 사회의 士族우위 풍조에서 중인 차별이라는 문제 인식에서 나온 한계가 아닌가 한다. 최초 역관 李愉는 자손 12대까지 연이어서 총 66명의 역과 합격자를 배출하여 조선시대 역과 합격수 10大姓氏안에 들었다. 또 합격자 가운데는 壯元7명, 5子 합격한 1가구 등이 있었고, 종1품에 오른 자는 6명이었다. 역관들이 가장 영예롭게 여기던 敎誨의 직에 선발된 자가 32명으로 합격자의 48.5%를 점하였다. 이 가문의 업적을 요약하면, 李愉는 임란 때 임금을 호종한 후 倭都에 들어가서 4년간 公務를 충실히 수행하였다. 李後勉은 燕京에 들어가서 禁書를 구하여 조정에 올렸다. 李樞는 연경에 33번 가서 奏請6번 성사시키는 등 역관의 소임을 다하였고, 특히 『明史』에 인조반정 기록이 잘못된 것을 바로잡는데도 기여하였다. 李洙는 『朴通事新釋』·『重刊老乞大』의 간행과 『捷語新語』·『通文館志』에 序文을 쓰는 등 사역원의 주요 서적을 간행하는데 공헌하였다. 李야는 『금산이씨세보』를 간행하였고, 李瀷은 『蒙學三書』의 重刊序를 지었으며, 李應憲은 『華音啓蒙』을 편찬하였다. 李琦는 유럽 6개국의 외교를 폈다. 통혼의 경우, 중인 신분층과 철저히 혼사를 하였고, 혼사를 맺은 성씨는 37성씨89본관인데 겹친 혼사가 많았다. 사돈 중에는 역관 시인으로 저명한 李尙迪과 우봉김씨의 기반을 다진 金益瑞가 주목되었다. 사위의 가계를 살펴보면 전체 355명 가운데 역과 합격자가 78명이므로, 사위·외손들 역시 역관의 가계를 계승하고 있다. 그러나 醫科, 籌學출신이 늘어나고, 雲科·律科의 합격자가 나온 점으로 보면 사위·외손 가계에서 다양한 전문 기술직으로 확산되고 있었다. 금산이씨는 역관가문으로 이어오면서 조선시대 중국, 일본과 외교를 다지는데 기여하였고, 구한 말 새로운 문명이 대두하던 시기에는 내·외 후손들이 정치, 외교, 사회, 종교, 예술, 문화, 출판 등 각 방면에서 당대 신지식인으로서 선도적 역할을 수행한 점이 돋보인다. The Geumsan Lee Family is the descendant of Lee Chong-eon(李悤言) in the early Goryeo Dynasty, and the first Translators(譯官) in this lineage was Lee Yu(李愉) in the early 16th century. In the 『Genealogy of Geumsan Lee Family(金山李氏世譜)』, there was a record of 145 descendants in Lee Yu``s family tree; however, I added 9 more people, thus now there are 154 descendants known in the lineage. Lee Yu produced 66 family members who passed the Yeokgwa examination(譯科, examination for Translators) over 12 generations in a row in his lineage; which inducted his lineage into one of the top ten lineages in Choson Dynasty for turning out successful candidates. This is a brief summary of the lineage and their achievements: Lee Yu served as a public official for four years, in attendance on the King during the Imjin War(1592~1598) in Waedo(倭都). Lee Hu-myeon(李後勉) brought the banned literatures from Yanjing(燕 京) and dedicated those to the government. Lee Chu(李樞) served as the official interpreter and travelled to Yanjing over 33 times; especially he contributed to correct inaccuracy in the record of the King Injo``s Restoration from the book 『History of Ming(明史)』. Lee Su(李洙) published major literatures in Sayeokwon(司譯院). Lee Ya(李야) published 『Genealogy of Geumsan Lee Family』. Lee Gi(李琦) engaged in diplomatic relations with six states in Europe. With regard to the marriage, it mostly was engaged with Jungin(the Middle Class); and there were 37 lineages with 89 family clans involved. One of their in-laws was Lee Sang-jeok(李尙迪), a Translators and poet. In the lineage of the sons-in-law, there were 78 who passed the Yeokgwa examination among 355; so it can be considered as the lineage of interpreters. The Geumsan Lee Family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oson Dynasty, China and Japan at the time; also, the lineage henceforth played a leading role in various aspects including politics, diplomacy, society, religion, art, culture and publication during the era of newly-rising civilization in the late Choson Dynasty.

      • KCI등재

        중국 ‘문화’ 개념의 기원과 담론의 계보: 청말 문화주의적 담론을 중심으로

        윤영도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 2016 외국학연구 Vol.- No.38

        This paper investigates the origin and the genealogical history of the discourse on culture in early modern China from the period of early translation in the 1820s to the period of transition in the 1900s. From the perspective of its conceptual history, ‘culture’ looks like a signifier which is full of so many multi-layered and even conflicting signifieds, but it also seems an empty signifier because it is too ambiguous and too contradictory to signify anything. ‘Culture’ has become the most powerful and omnicompetent discourse through the translation and the controversial struggles in China after the Hundred Days’ Reform movement. Also, it characterizes the culturalist feature of the discourse of ‘culture’ in China.

      • KCI등재후보

        ‘미-래의, 도래하는’ 공생체 -번역ㆍ비-본질주의ㆍ환대-

        허경(Huh, Kyoung)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21 공동체문화와 민속 연구 Vol.2 No.-

        논문은 민속학, 공동체 및 미래학의 문제와 관련하여 번역, 비본질주의, 환대의 세 개념이 가질 수 있는 다양한 학문적 함축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첫째, 번역과 관련하여, 일제 강점기 이래 한국 ‘민속학’ 연구의 동향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 ‘민속학’(民俗學)이라는 번역에 대한 어원학적, 계보학적 철학적 고찰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논문은 ‘공동체’(共同體)라는 일어 번역의 적실성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대체번역어로서 공생체(共生體)를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논문은 미래(未來)라는 번역어가 품고 있는 다양한 철학적ㆍ종교적 함축을 간략히 검토한다. 둘째, 논문은 20세기 중후반 이래 현대 학문의 지배적 경향으로 자리잡은 비본질주의와 관련하여, 민속학, 공동체 및 미래 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논문에서 이러한 비판적 분석의 레퍼런스로 활용되는 사상가들은 베네딕트 앤더슨, 니체, 소쉬르, 유발 하라리, 푸코의 다섯 명이다. 셋째, 논문은 환대의 개념과 관련하여, 레비나스와 데리다의 사유가 민속학, 공동체, 미래학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살펴본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논문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것은 좁은 의미의 국소적 학문으로서의 민속학 개념을 넘어선 세계학으로서의 새로운 민속학 개념의 창출에 기여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도는 불가피하게 기본의 특수와 보편, 로컬과 글로벌 개념 및 이들이 전제하는 실체론적 이분법을 넘어서는 새로운 이해의 지평, 나아가 민속학, 공동체, 미래, 환대에 대한 새로운 개념의 지평을 요청한다. 논문의 궁극 목적은 바로 이러한 새로운 개념적 전망을 우리 앞에 드러내고자 하는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under the critical perspective the notions of translation, non-essetialism and hospitality in relation to folklore, community and futurology. Firstly, in regard to translation, i examine the implications and effects of the word Minsok-hak(民俗學), a 19<SUP>th</SUP> century japanese translation of the German word Volkskunde or english word Folklore, in contemporary Korean research of the this field or discipline since Japanese Occupation(1910~1945). This contains etymological and genealogical study of the key notions as Gongdongche(共同體) and Mirae(未來) and suggests Gongsaengche(共生體) as an alternative translation of the former. Secondly, this article deals with many contemporary discourses on Folklore, community and Future in a non-essentialist perspective. I use some great thinkers as references or tool boxes like Benedict Anderson, Friedrich Nietzcshe, Ferdiand de Suassure, Yuval Harari and Michel Foucault. Thirdly, this article examines Folklore, Community and Future in regard to hospitality as a main concept of the french thinkers of the Other like Emmanuel Levinas and Jacques Derrida. This attemp inevitably forces us to rethink on the major notions of the pass like the particular and the universal, the local and the global, and finally the binary oppositions based on (pre-supposed) two substances and to make a new horizon of the notions concening these disciplines, Folklore, Community and Futurology. The ultimate aim of this article is to show us a new vision of this conceptual scenery.

      • KCI등재후보

        푸코의계보학으로개념의‘근대적’변천: 의암 손병희

        허경 동학학회 2008 동학학보 Vol.12 No.1

        Most of the studies of Donghak have been normally performed under the concept of Modernity. This attitude comes of course from the 'modernist' concern that tries to find in traditional Donghak thought some 'moderne', that is to say 'non western' elements which will prove us that there were already some 'modern' elements in Donghak thought and thus that it would have been a 'non western' modern world in Korea if it were not interrupted by japanese imperialist invasion. But the main problem of this hypothesis is the fact that it takes it for granted the 'universality' of western modernity, that the modernity is in itself a western modernity, and finally that the western modernity is in fact a tautology. In fact, so called 'Korean' modernity in late nineteenth century was a forced modernity, a japanized modernity, a modernity interpreted by japanese. The modern consciousness in that period was represented, in linguistic terms, a unity of speech and writing and the use of korean alphabet, and, in thought forms, a introduction of translated western concepts by japanese. Uiam Son Byung-Hee begins to use these translated western concepts from his writing in 1902, just one year after his visit to Japan. This article tries to examine his writings from 1899 to 1909 to prove that the introduction of these translated modern concepts has transformed not only the landscape of his vocabularies but also his thought, and that in fact it was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of the Donghak thought. All these efforts aim ultimately at the foundation of genealogy or the history of concepts in modern Donghak thoughts to see if there can be another form of modernity other than western. 동학의 연구는 적어도 80년대까지는 대부분 ‘근대성’ 개념과의 연관 하에 수행되어왔다. 이는 물론 동학에서 이른바 ‘근대화’의 비서구적인 연원, 즉 자생적인 측면 혹은 맹아를 찾으려는 인식론적 관심의 반영이다. 이러한 논의에서 문제는 실질적으로는 ‘(근대적) 서양화’에 다름 아닌 근대화 과정을 인류가 반드시 다다라야 할 하나의 ‘보편적인’ 역사적 과정으로서 간주한다는 점이다. 한편 일제에 의해 강요되었던 이른바 우리의 근대화는 기실 ‘일본에 의해 해석된 서양적 근대화’였다. 이러한 과정은 언어의 측면에서는 순 한문체로부터 국한문 혼용체를 거쳐 순국문체로 이르는 여정 및 중국 중심의 동아시아 한자 문명의 붕괴에 이어지는 일본식 서구 근대 조어의 유입에로, 사상의 측면에서는 그에 의해 수행되고 있던 전통적 유불도 사상의 붕괴 및 정치․경제․사회․문화 그리고 결정적으로 과학 등 제 영역에 있어서의 서구 사상의 유입으로 특징지어진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당시 의암 손병희에 있어서의 개념의 변화를 다룬다. 수운과 해월의 용어와 사상은 물론 그들 의식의 바탕을 이룬 유불도 및 동학의 용어들이었으며, 이들 개념은 순한문 혹은 순우리말의 형태로 표현되었다. 의암 역시 초기에는 이러한 과정을 따르나 1890년대 중후반 이후의 대세였던 언문일치의 경향을 따라, 그리고 결정적으로 자신의 1901년 도일 경험을 계기로 서구용어의 일본식 근대조어들을 받아들여 사용한다. 본 논문은 의암의 당시 1899년에서 1909년에 이르는 논문들을 따라 이러한 용어의 변화 및 수용의 과정을 계보학적으로 추적함으로써 향후 수행되어야 할 동학사상의 근대적 정립 과정 연구의 개념사적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이헌구 비평 연구

        최윤정 ( Yun Jung Choi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4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2 No.1

        This paper grasp that implies the national discourse in Lee Heon Gu``s criticism. But this variety of discourse go between the Proletarian Literature and that of Nationalistic Literature. The evaluations about Lee Heon Gu was leaning on the KAPF``s assessment. Take a deep look inside itself, Lee Heon Gu``s criticism, we understand that his discourse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roletarian literature and Nationalistic Literature during the colonial period. He criticized on Proletarian Literary tradition wrong and Nationalistic Literary non-proletarian inclination, and advocated Behaviorism, which could overcome them. He emphasized the sociological role of literature as a nation. And at the same time, he commented on Nationalistic Literary the traditional regression. He presented a new Genealogy writing for tradition. In addition, he fulfilled the translation tasks independently from Japanese imperialism. Also he even world literatur-oriented, mind the uniqueness of Chosun. Moreover, he warned escapism in terms of sociological criticism. Consequently Lee Heon Gu presented an independent direction of our literature from different ang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