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평등법이 가정에 미치는 영향 - 통일사상의 인간관을 중심으로 -

        아베요오꼬,김인수 통일사상학회 2021 통일사상연구 Vol.21 No.-

        「평등에 관한 법률안」(이하 ‘평등법’)은 이상민(더불어민주당) 등 24인에 의해 2021년 6월 16일에 제안된 의안이다. 이후 2021년 8월 9일에 더불어민주당 박주민 의원 외 13인이 「평등에 관한 법률안」을, 그리고 2021년 8월 31일에도 더불어민주당 권인숙 의원 외 17명이 「평등 및 차별금지에 관한 법률안」을 각각 발의하였다. 제21 대 국회에서만 4번의 평등법 발의가 이루어진 것이다. 평등법을 통과시키려고 하는 국회의원들의 움직임도 크지만, 이에 반대하는 국회의원들과 국민들의 의지도 확고 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이러한 평등법이 가정에 미칠 영향을 통일사상의 인간관으로 논의하 는 것이다. 왜냐하면 인간의 평등을 위한 법률을 논함에 있어, 그 주체와 대상인 인간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통일사상 인간관인 본성론을 중심으로 평등법의 주장들을 고찰했을 때, 그 주장들은 우리 국민들의 가정에 어떤 영향들 을 미치게 될까? 이 질문을 위해 평등법에 대한 학문적 선행연구들을 문헌 중심으로 고찰하였고, 문선명⸱한학자 선생의 철학인 통일사상의 인간관을 소개한 후, 그 인간 관을 중심으로 평등법이 가정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였다. 평등법은 모든 영역에서 차별을 없애고 평등을 도모하는 법을 표방하고 있으나 실제적으로는 차별금지 항목에 성적지향이나 성별정체성, ‘제3의 성’에 대해 수용하 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성소수자들의 권리 보장과 이들에 대한 차별금지를 가장 강 력하게 지시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남성과 여성 외에 ‘제3의 성’을 인정하 는 평등법이 통과되어 시행된다면, 많은 문제점들이 있겠지만, 가장 우려되는 것이 이 법이 가정에 미치는 영향이었다. 평등법은 ‘동성애’를 정당화시키며, ‘제3의 성’ 을 옹호하고, 무엇보다 기존의 ‘가정제도’를 붕괴시킴으로서, 하늘부모님의 창조목 적인 3대축복완성을 가정에서 실현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할 것이다. 평등법과 이로부터 파생되는 여러 문제들이 가정에 미칠 영향은 통일사상의 본 성론적 관점에서 뿐만 아니라, 통일가치론 ·통일교육론 ·통일윤리론 등의 다양한 관 점에서도 연구가 지속될 것을 기대한다. The “Bill for Equality A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Equality Act”) was proposed on June 16, 2021, by 24 representatives of The Minjoo Party of Korea, including Rep. Lee Sang-min. Then on August 9, 2021, Rep. Park Jumin and 13 other members of the The Minjoo Party of Korea submitted the "Bill on Equality". Once again on August 31, 2021, Rep. Kwon Insuk and 17 other members of the The Minjoo Party of Korea went on to submit the "Bill on Equality and Non-Discrimination". In the 21st National Assembly alone, four equality laws were introduced. Although the push from lawmakers to pass the Equality Act is strong, it seems that the will of the lawmakers and the people who oppose it are alos standing firm.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impact of this Equality Act on the fami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eory of the Original Human Nature from the Unification Thought. The backdrop for this perspective is because in order to discuss the law for human equality, an understanding of the subjects and objects of human beings must be preceded beforehand. When examining the arguments of the equality Act centering on the theory of the Original Human Nature, which is the perspective of the Unification Theology discussing human beings, what effect will those arguments have on the families? To look into this research question, literature review on precedent studies on the equality law were conducted, and after introducing the Theory of the Original Human Nature of the Unification Thought, which is the the philosophy of co-founders Dr. Sun Myung Moon and Dr. Hakja Han Moon, the impact of the Equality Act on the family is discussed centering on the viewpoint from the Theory of The Original Human Nature. Although the Equality Act advocates for the elimination of discrimination and the promotion of equality in all areas, in reality,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includes the acceptance of all sexual orientation, gender identity, and the 'third gender', and guarantees the rights of LGBT people, and most of all the strongest directive to prohibit discrimination against these parties. If an Equality Act that recognizes the 'third gender' other than men and women would be passed and implemented, many problems would occurr, but the most worrisome would be the impact of this law on the family. The Equality Act justifies 'homosexuality', advocates 'third sex', and above all, breaks down the existing 'family system', making it impossible to realize Heavenly Parent's goal of creation, the three great blessings, within the boundaries of a family. We look forward for continued upcoming studies not only on the effects of the Equality Act and various problems on the family from the viewpoint of the Theory of the Original Human Nature from the Unification Thought, but also from the various viewpoint of the Unification Thought, such as the Theory of the Unification Values, the Theory of Unification Education, and the theory of Unification Ethics.

      • KCI등재

        변법파 캉유웨이(康有爲)와 혁명파 쑨원(孫文)의 사상 비교연구

        이영란,고재휘 한국동북아학회 2012 한국동북아논총 Vol.17 No.2

        제1·2차 아편전쟁과 태평천국으로 중국의 양무파는 자강운동 일환으로 양무운동을 추진하였으나 청일전쟁으로 실패하였고 이후 변법파는 변법운동을 단행하였다. 그러나 변법운동 역시 서태후를 중심으로 한 보수파의 반대로 실패하였다. 이렇듯 중국의 자강운동은 실패를 거듭하며 결국 쑨원의 혁명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청말 지식인들의 목소리는 청조의 위기 속에서 개혁에서 혁명이라는 단계로 갈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그러한 상황을 인식하는 차원에서 변법운동의 대표자라 할 수 있는 캉유웨이(康有爲)와 혁명의 대표자라 할 수 있는 쑨원(孫文)의 사상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혁명파를 대표하는 쑨원의 사상과 변법파를 대표하는 캉유웨이의 사상은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를 이 글을 통해서 살펴보고, 변법의 시기에서 혁명의 단계로 갈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들여다봄으로써 그 시대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캉유웨이는 대동 세계에 도달하기 위해 우선 중국의 정치 개혁 즉 중국을 부국강병한 입헌군주제 국가를 건립하여, 다른 서양 자본주의 국가의 대열에 합류하고자 하였다. 『대동서(大同書)』에서 지적한 대동의 방식은 혁명을 찬성한 것은 아니고 변법을 주장한 것이었다. 그는 서양의 정치를 학습하여 군주전제를 군주입헌으로 개혁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 역시 민권설을 주장하였으나, 그의 민권설은 황제의 권력에 의지하는 불완전한 것이었다. 도덕적 정치적 혼란을 일찍이 걱정하였던 캉유웨이는 혁명이 도래하는 시기에도 여전히 민주주의 사상에 대한 전반적 이해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쑨원 역시 아주 어린 시절에는 전통교육을 받았지만, 성장기에는 서양교육의 영향이 훨씬 더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다. 이러한 쑨원의 교육환경은 서양 학설에 대한 객관적 분석과 함께 혁명의 시각을 갖게 하였다. 그의 혁명 사상은 멸만흥한(滅滿興漢)의 민족주의에서 출발하였다. 변법 실패 후 청조의 부패와 무능이 심각해질 때 그는 혁명 의지를 다졌다. 그리고 그는 삼민주의를 주창하였다. 그 중 하나인 민생주의에서는 대동 사회를 말하고 있다. 쑨원이 생각하는 대동 사회는 공산주의란 말과 상통하고 또 그 말은 사회주의라는 말과 서로 바꿔 쓸 수 있는 말이라고 하였다. 그의 이상은 중국의 전통적인 대동사상과 다른 것이 아니었다. 중국의 전통사상을 근본으로 하고 민생주의가 달성된 세상 즉 대동의 세계에 이르는 필수 과정으로서 민족의 해방, 국가의 독립을 우선 획득하고 이를 민주주의의 형태로 전개하려는 쑨원의 계획과 사상은 캉유웨이가 생각하는 대동의 이상과 별반 다를 바가 없다. 그들은 중국 전통의 유가 사상에서 볼 수 있는 대동(大同)을 하나의 이상으로 삼았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을 가진다. 물론 캉유웨이와 쑨원이 대동이라는 세계에 이르는 방법적 차이를 보이고 있다. 캉유웨이는 개혁을, 쑨원은 혁명을 택한 방법론의 차이가 있었다. 신해혁명(辛亥革命) 이전 쑨원을 중심으로 한 혁명파와 캉유웨이를 중심으로 한 보황파(保皇派)는 서로 정치적 행보와 목표에서 차이를 보였다. After the 1st and 2nd Opium Wars and Taiping Rebellion, the Yang-wu group in China developed the Yang-wu movement,a self-strengthening movement which failed due to the Sino-Japanese War. Then, the changing laws party conducted a movement for changing laws, which also failed because of objections from conservatives including Cixi. In this manner, the self-strengthening movement in China was constantly frustrated until a revolution led by Sun Won began. At the end of the Qing Dynasty when it was in a crisis, the voices of intelligentsia pushed China from reformation to revolution. In order to know the situations at that time, a comparison needs to be made between the thoughts of Kang Yuwei who may be called the representative of the changing laws movement and those of Sun Won who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revolution. This thesis is aimed to generally consider the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figures’ thoughts and why China could not proceed from the step of changing laws to that of revolution, with a view to understanding the conditions of the times. Kang Yuwei insisted that for China to reach universal equality, first of all, a political reformation must be made where China could enhance its wealth and military strength to be a constitutional monarchy and to join the club of Western capitalist countries. In the book entitled Toward Universal Equality, he asserted that a way for universal equality is not a revolution but to change the laws. He stressed that China should learn Western politics so that the absolute monarchy might be reformed into a constitutional monarchy. He also insisted on the theory of people's rights, but his theory is incomplete since it is dependent on the power of the emperor. Kang Yuwei, being previously concerned with moral and political confusions, did not yet have general understanding of democratic thoughts as the revolution was approaching. Sun Won also received traditional education in his very early days but was much more influenced by Western education in his growing period. Such an educational environment of Sun Won enabled him to objectively analyze Western academic doctrines and have a way of looking at revolution. His thoughts of revolution started with his nationalism that the Manchurian race should be destroyed while the Chinese race flourishes. As the Qing Dynasty’s corruption and inability deteriorated afterrrrrrrrrrrrrrrrrrr movement failed, he made up his mind for revolution and advocated three principles of the people. One of the three is taking care of the livelihood of the people and pursuing a universally equal society. The universally equal society, according to the wording of Sun Won, is correspondent to communism and is interchangeable with socialism. His ideal was not different from China’s traditional thought of universal equality. It may be said that the plan and thoughts of Sun Won were greatly influenced by Kang Yuwei. Sun Won believed that democracy should come from the emancipation of his race and the independence of his country, which were essential for reaching the world of universal equality, where the livelihood of the people would have been realized based on China’s traditional thoughts. Kang Yuwei and Sun W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at the former concentrated on reformation while the latter on revolution for achieving their purposes. Yet, they are the same in that the ideal of both of them is the universal equality, which is derived from traditional Confucianist thoughts in China. Of course, in reality, Kang Yuwei and Sun Won had a different concept of universal equality. The reformation party led by Sun Won was persecuted by the Qing Dynasty and so was the party for protecting the emperor led by Kang Yuwei during the period of revolution. Both of the parties were actively based in Japan, but their political lines and goals were different.

      • KCI등재
      • KCI등재

        동학사상에 나타난 ‘기(氣)’의 문제

        이정애 동양철학연구회 2020 東洋哲學硏究 Vol.104 No.-

        Donghak thought initially began in the time when there were lots of social changes in the late 19th century. Donghak presented a new perspective on human beings and a theory of practice by accepting and inheriting the existing traditional thoughts. In the Oriental philosophy, the ‘Qi’ is one of the important concepts explaining the formation and change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The origin of ‘Qi’ has been continued from the ancient, which is different in each time and scholar. In Donghak thought, ‘Qi’ is ‘Extreme Qi(至氣)’, which is the underlying being that creates and presides all things in the universe. In Donghak thought, ‘Qi’ is regarded as something that fills the universe including the heaven. Thus, in Donghak thought, the order of human beings is regarded as being composed of this ‘Extreme Qi(至氣)’ just like the universe. In Donghak thought, the universe is filled with ‘Extreme Qi(至氣)’ which is ‘one qi(一氣)’. This means that human beings and the universe including the heaven are organ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is ‘Extreme Qi(至氣)’ view, Choi, Je-Woo accepted the thoughts of the way of heaven and the way of humans of traditional Confucianism. Regarding the relation between heaven and human shown in reality, he highlighted the Qi-Philosophical perspective taking ‘Extreme Qi(至氣)’ as the operating reason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instead of Neo-Confucian perspective emphasizing Li(理). This appeared his perspective of Qi-monism that regards all things in the universe are operated by ‘Extreme Qi(至氣)’. In Donghak thought, all things are harmoniously operated by activities of ‘Extreme Qi(至氣)’, and the formation and change endlessly occur. In Donghak thought, ‘Extreme Qi(至氣)’ is a being that is naturally done by doing nothing. This perspective means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reach the ultimate world inherent in oneself with no interferences by anyone. Donghak’s thought of ‘serve the heavens(侍天主)’ thinks that the moral consciousness could be realized by enshrining God that is ‘Extreme Qi(至氣)’. This reflects the idealistic desire to make the world peaceful through a life that resembles the sky. 동학사상은 19세기 후반의 사회적 변화가 심했던 시기에 태동했다. 동학은 기존의 전통 사상을 수용하고 계승하여, 새로운 인간관과 실천론을 제시하였다. 동양철학에서 ‘기(氣)’는 우주 만물의 생성과 변화를 설명하는 중요한 개념 중의 하나이다. ‘기’의 기원은 고대로부터 이어져오는데, 이는 시대와 학자들 마다 차이가 있다. 동학사상에서 ‘기’는 ‘지기(至氣)’로 모든 만물을 낳고 주재하는 근원적 실재이다. 동학사상에서는 ‘기’를 하늘을 포함하는 우주에 가득 차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따라서 동학사상에서는 우주뿐만 아니라 인간의 질서 역시 이러한 ‘지기’에 의해 구성된 것으로 여긴다. 동학사상에서 우주는 ‘한 기’인 ‘지기’로 가득 차 있다. 이는 하늘을 포함하는 우주와 사람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최제우는 이 ‘지기’관을 정립하는 과정에서 전통 유학의 천도(天道)와 인도(人道)의 사상을 받아들였다. 그는 현실에서 드러난 하늘과 사람의 관계에 대해 리(理)를 중시하는 성리학적 관점이 아니라, ‘지기’를 우주 만물의 운행 이치로 삼는 기철학적 관점을 중시했다. 이는 그가 ‘지기’에 의해 우주 만물이 운행되는 것으로 여기는 기일원론의 관점을 드러낸 것이다. 동학사상에서는 ‘지기’의 활동에 의해 만물이 조화롭게 운행되고, 생성과 변화가 끊임없이 진행되는 것으로 생각한다. 동학사상에서 ‘지기’는 하지 않으면서도 저절로 그렇게 되는 실재이다. 동학사상의 저절로 그렇게 된다는 관점은 자신에게 내재해 있는 세계를 누구의 간섭도 없이 스스로 궁극적인 세계에 도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동학의 ‘시천주(侍天主)’사상은 ‘지기’인 하늘님을 모시는 삶을 통해 도덕의식을 구현할 것으로 생각한다. 이는 사람이 하늘을 닮는 삶을 통해 세상을 평화롭게 하고자 하는 이상향을 반영한 것이다.

      • KCI등재후보

        철학 : 원효 성사와 성 프란치스코의 종교 사상 비교 -"무애행"과 "탁발"을 중심으로-

        석창훈 ( Chang Hoon Seog )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과학연구 Vol.0 No.15

        Nowadays there are increase gradually the demands of ``glocalization``. We must explore the strengths of korean ethos and reproduce the meanings of world-intellectual history. Therefore I worked in order that this study compare the Wonhyo(617-686)`s Mu-Ae thought and St. Francisco (1182-1226)`s Equal thought. Saint Wonhyo`s Muae thought are comprised of 4 the realm of Buddhism that E Mu-Ae(No Hindrance of Reason), Sa Mu-Ae(No Hindrance of Things), Isa Mu-Ae(No Hindrance of Reason and Things), Sasa Mu-Ae(No Hindrance of Things and Things). By his deeds, Wonhyo saves the world, so to speak, he is a man who embodies of Mu-Ae of Wreath Doctrine. St. Francisco`s Equal thought are composed of humility, brotherhood, virtue of peace and meditation in a spontaneous pover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onhyo and St. Francisco`s religious thought have the point of similarity-Great Mercy and Compassion, an innovative thinking oriented to equal society, song and dance propagation for popular people, an feminism view of companion-, Secondly, Wonhyo and St. Francisco`s religious thought have the point of difference-momentum of conversion, a literary production, field of reform-. Finally, Saint Wonhyo`s Muae thought and St. Francisco`s Equal thought are remain still more effective values as the coping mind against religious exclusivism and social polarization, the recovering effort to spirituality, music, feminism.

      • KCI등재

        박경리 『토지』의 문학사상 연구 -『토지』와 동학사상의 관련 양상

        한점돌 ( Jeom Dol Han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3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5

        대하소설 『토지』는 박경리 필생의 역작이자 그 이전의 문학적 성과들의 종합적 결산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토지』 형성의 이러한 과정적 특성을 감안할 때 작품의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는 그 이전 작품들에 대한 동시 고찰이 필수적 요청사항이라 할 수 있다. 이제까지『토지』는 여러 논자들에 의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조명되어 그 연구 성과 또한 상당한 수준에서 축적되어 있는 바, 본고는 거시적 차원에서 작가의 정신구조로서의 발상법을 문학사상이라 규정하고 『토지』의 문학사상을 탐색하였다. 박경리의 문학적 생애는 몇 단계로 구분지어질 수 있고 그 단계 사이에는 인식론적 단절 혹은 계승이 이루어지면서 지속적으로 작가의식의 확산이 이루어져 왔음을 알 수 있다. 먼저 『토지』 이전의 작품들의 경우 초기작에서는 실존주의를 포함하는 에고이즘이, 『김약국의 딸들』과 몇 작품에서는 샤머니즘이, 그리고 『시장과 전장』에서는 아나키즘이 작품의 발상법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박경리 문학의 총결산이자 생명문학의 대명사로 일컬어지는 『토지』의 경우, 작가가 『토지』를 관류하는 정신이라 언급한 동학의 평등사상을 일단 『토지』의 문학사상으로 상정해 볼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박경리의 문학사상은 초기의 자전적 에고이즘 단계를 거쳐 관심대상을 증폭시킨 민중적 샤머니즘 단계, 당대적 문제의식으로서의 아나키즘 단계를 지나 모든 이전 단계는 물론 우주 만물, 과거와 현재 및 미래까지 아우를 수 있는 발상법으로서 동학의 평등 사상으로 귀착되기에 이른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박경리 『토지』의 발상법이 동학의 평등사상에 닿아있다고 할 때 그것은 박경리가 동학사상을 축자적으로 문학에 그대로 옮겨 놓았다는 의미는 아니다. 가령 동학이 시천주(侍天主)적 존재로서의 인간 및 만물은 평등하다고 보고 평등사회를 지상에 실현하려 했다면, 박경리는 그 평등성을 모든 생명의 비극적 본질에 기인하는 ‘한’의 공유에서 찾아내고 ‘한’을 삶의 에너지로 파악하는 고유한 생명사상을 이룩하였다. 이처럼 이전의 문학사상이 발견해 낸 문학적 성과들이 평등사상으로 수렴되는 과정에서 작품의 대상이 확대되고 삶의 고통과 한이 발견되고 더 나아가 평등성이 범생명적 한의 공유로 재해석되면서 『토지』라는 거대 드라마는 나름대로 한을 품고 한을 풀면서 동일한 구조의 생을 영위하는 생명들에 있어 태생대로 사는 것이 가장 자연스러운 일이라는 참주제를 형상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This thesis aims at investigating the literary thought as a spiritual structure of author through the Land(토지) by Park, Gyeong-ri. Park, Gyeong-ri before writing the Land shows a few different stages in literary thought: egoism, shamanism and anarchism. But Park, Gyeong-ri reaches at final stage of literary thought, equality of life during writing the Land under the influence of Dong-hak(동학). The function of every stage as follows: Egoism stage deepens inner consciousness, shamanism stage extends the object of interest, anarchism stage inquires into contemporary ideology problem, and finally stage of life-equality synthesizing all previous stages puts together all things in the universe from past to future by way of Dong-hak vision as life-equality. But Dong-hak and Park, Gyeong-ri are not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of life-equality exactly. Dong-hak regards all things in the universe as equal because of containing the Creator in them. But Park, Gyeong-ri regards all things, especially life as equal because of tragic fate causing regret. At any rate Dong-hak vision as life-equality could make Park, Gyeong-ri create grand drama of the Land showing innumerable people that bear regret and revenge throughout life.

      • KCI등재후보

        대순사상의 남녀평등이념과 여성성 재조명 : 여성해원의 원리로 본 공덕과 실천을 중심으로

        박민미,황희연,박용철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7 대순사상논총 Vol.29 No.-

        본 연구의 목적은 대순사상에 입각한 여성성(女性性)과 외부담론인 페미니즘(Feminism) 이론을 통해 여성과 여성성에 대한 개념 및 그 역할의 의미와 가치를 재조명해보고자 하는 데 있다. 특히 남녀평등 이념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대순사상의 여성해원(女性解冤)과 관련하여 여성으로서의 공덕(功德)과 이를 위한 실천적 부분에 대해 집중적으로 살핌으로써 여성해원의 적극적이고 바람직한 역할을 도출하고자 한다. 그럼으로써 상극(相克)의 세계를 상생(相生)의 세계로, 억음존양(抑陰尊陽)의 상황이 낳은 갈등을 정음정양(正陰正陽)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하고자 한다. 1세대 페미니즘은 평등 지향 논리로 요약될 수 있다. 이를 대순사상과 관련시켜 볼 때, 남녀를 떠나서 완전한 인간완성을 이루고자 한다면 여성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대순사상에서 제시하는 가장 이상적인 여성상은 여성도통군자(女性道通君子)일 것이다. 후천에서는 남성과 여성의 구별이 없이 노력한 만큼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도의 이치에 대한 깨달음, 즉 음양의 이치를 깨달은 상태에서는 남성과 여성의 구별이 무의미하며 남녀 모두 ‘도통군자(道通君子)’에 다름 아닌 것이다. 따라서 페미니즘 1세대의 평등이념과 여성해원 사상은 그 개념 구사의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평등의 이념이 도달하고자 하는 차원이 명백히 구별되는 논의라고 할 것이다. 2세대 페미니즘의 대표적 논증은 ‘배려’라는 여성적 특질의 강조이다. 대순사상에서 이와 관련되는 개념은 자모지정(慈母之情)이다. 그런데 자모지정은 비단 여성만이 가지는 덕도 아니고 어머니인 사람만이 가지는 덕이 아니라 ‘음덕(陰德)’이라고 하는 ‘음(陰)’의 가치이다. 자모지정은 자신을 적극적으로 내세우는 것이 아니라 낮추고 타인의 뜻을 이루도록 돕는 실천 영역을 지칭하며, 음(陰)이라는 원리의 환유적 차원인 ‘여성성’과 닿아있는 가치이다. 이를 사회적으로 확산시키는 과정 중에 하나로써 중요한 것이 포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포덕을 통해 화(和)를 이끌어내면 ‘정음정양’이라는 도가 실현된 평(平)의 상태에 도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평의 차원은 정음정양이 실현된 우주적 과정이기 때문에 단순히 사회에서의 평등 구현이라는 페미니즘, 혹은 다수의 이데올로기들의 세간적 차원의 목표와 명백한 차이를 가지고 있다. 상극의 시대인 선천에서 상생의 시대인 후천으로 나아감에 있어서 ‘평(平)’의 원리와 ‘화(和)’의 원리를 부단히 실천해가야 한다는 논리를 제시한다고도 볼 수 있는 대순사상의 관점에서 그 출발점에 있는 ‘화(和)’와 ‘포덕(布德)’의 관계성과 그 가치에 대한 강조가 중요하다고 할 때 대순사상의 실현은 ‘자모지정’이라는 여성적 가치의 활성화에 그 출발점이 있다고 밝힐 수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reviewing the concepts, roles, meanings, and values ascribed to females and femininity as observable in Daesoon thought and in Feminist theory. Especially with regards to the process of achieving gender equality through the resolution of grievance for females in Daesoon thought, the study draws positive and desirable roles within this practice by specifically examining good deeds performed by females and practical roles that females play. By doing so, this study finds a way to go from the world of mutual contention to the world of resolving grievances that have arisen due to the oppression of yin and the encouragement of yang. First wave feminism can be summarized as the inclination for equality. In Daesoon thought concerning this and from standpoint of females, the most ideal image of woman is one of a female Perfected Being who is unified with Dao and has thereby achieved perfection of her humanity apart from gender. In the Later World (Hucheon), people can get results based on their hard work regardless of gender. The enlightenment of Dao is such that it is not important to distinguish between males and females. Both of them can be ‘unified with dao’. Therefore, despite the similarity, the concepts of equality in first wave feminism and the resolution of grievance for women have differences in terms of their ideal vision of equality. The representative claim in second wave feminism is ‘consideration’ and, in this context, ‘consideration’ has pronounced feminine characteristics. In Daesoon thought, this sense of ‘consideration’ is related to the concept of ‘Jamojijeong’, a term that refers to motherly affection. However, it is not simply a virtue of females and mothers, but rather the value of ‘Yin (pronounced in Sino-Korean as ‘Eum’)’ called ‘Eumdeok (hidden virtue)’. Jamojijeong means that people should behave in a modest way and this helps them achieve their aims. It is also closely related with ‘femininity’ in the sense of Eum. One of processes spreading it socially is to propagate virtue (Podeok) and if harmony is achieved through it, then ‘right yin and right yang’ emerge as the precondition by which Pyeong Do (Pacification of Tao) can be realized. Furthermore, because the aspect of Pyeong is a cosmic process, it has distinct differences from the social aims of feminism and the worldly aims of other numerous ideologies. In proceeding from the Former World (Seoncheon), an era of mutual contention, to the Later World, an era of mutual beneficence, it is essential to emphasize the connection between ‘harmony (Hwa)’ and ‘propagating virtue’ as the starting point from which the perspective of Daesoon thought aiming at the principle of ‘Pyeong’ and ‘Hwa’ emerges. Herein one can discover that the realization of Daesoon thought is based on the vitalization of the feminine value of ‘Jamojijeong’.

      • KCI등재

        韓國儒學思想에서 法文化의 一端

        송영현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7 No.-

        한국의 유학사상은 다양한 영역에서 현대를 사는 우리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 이는 법적인 측면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유학사상과 법의 연관성을 떠올릴 때 우리는 전통적 법문화를 헤아려야 한다. 법문화를 법이념의 집합체로 상정해 우리의 유학사상에서 살피는 새로운 의미에서의 가치론적 태도는 유학에서의 인간존중 사상에서 유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고귀한 인간을 자명한 원리로 받아들인 인간존중 사상의 발현은 제도적 장치로 구현되기 이전에 인간이 스스로를 수기(修己)하는 타자에 대한 배려의 덕목이었다. 흔히들 현대 한국 사회가 보유한 구조적 문제점과 그로 말미암은 다양한 부작용을 찾아내면서 그 원인 가운데 하나로 서구사회가 경험했던 오랜 근대화의 과정을 거치지 못한 점을 꼽곤 한다. 그리고 이를 지금의 시점으로 환치시켜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세계화의 시대에서 빚어지는 현재의 문제점으로도 대입해 논의를 이어나가기도 한다. 이에 대한 하나의 해결책으로 유학사상의 힘을 빌릴 수도 있을 것이다. 최근 법의 이념 속에 내재한 인간존중 사상은 그 무엇보다 유학의 기초였고, 인간을 바라보는 다채로운 사상의 일단은 유학의 토대가 되는 것이었다. 이렇듯 유학에서 민본(民本)과 위민(爲民)의 전통은 새롭게 조선시대에 이르러 싹을 틔운다. 조선은 외래 학문인 성리학을 국학으로 삼아 조선성리학으로 토착화하는데 성공했고, 그 사상적 토대 위에서 조선의 고유문화를 창출했다. 선성(善性)을 천부로 이르고, 인간을 귀히 여기며 존중하는 사상적 기초는 또 다른 면에서 평등정신의 토대가 된다. 법은 평등을 전제하며 한 사회와 개인을 보호하는 제도적 장치로서 실천을 촉진시키는 구조의 일부이다. 따라서 법에 내재한 법 정신, 그리고 그것이 발현되는 법문화의 체계와 함께 어우러져야 진정한 의미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유학사상에서의 공동체의 조화를 이끄는 공동체 지향성은 바로 개별적 인간을 바탕에 두고 이 세상을 다함께 만든다는 맥락에서, 유학사상의 한 논점은 규범으로서 도덕의 출발점을 찾고 도덕의 확대된 형태로서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는 법을 이해하게 되는 것이다. 개별적 존재로서 한 사람만이 지켜야 하는 것이 아니라 모두가 따라야 하는 것으로, 그로부터 한 사회의 법문화가 형성된다고 할 때 우리의 전통 유학사상에서 찾는 법의식의 발현으로 빚어지는 법문화는 의외로 현대인들에게도 크나 큰 시사점을 줄 수 있게 된다. 왜냐하면 현대 사회의 법이 지향해야 하는 방향을 설정해 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인간이 중심이 되어 하늘의 길과 인간의 길이 같다는 유학적 견해는 법의 실천적 다스림의 모습을 상정할 때 나타나는 민본의 정신을 띠게 되는데 이 또한 인간존중 사상을 고스란히 드러내는 셈이다. 수많은 고난 속에서도 결코 인간의 귀중함을 생각하는 마음을 잃지 않았던 우리 겨레는 평범한 백성일지라도 민본사상의 범주 내에서 생각했다. 도덕과 인의를 원리로 삼은 유학사상은 신분제 사회였던 조선시대에 평등사상을 축조시키는 자양분이 되는데, 이를 법문화의 단초로 보아 사상과 제도의 괴리 없는 실천력을 확보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유학사상은 규범적인 의미에서의 권리를 보장하는 방법의 하나로 황금률을 중시했고, 현실의 암울한 처지와 굴절된 상황은 오히려 인간적인 면을 강조하게 만들었다.... Once thinking about the connection between Confucius philosophy and Law, we should consider traditional legal culture. Assuming the legal culture as an assembly of ideologies of law, we could find the new axiological attitude in our Confucius philosophy which was stemmed from Confucius’ human dignity thought. The manifestation of human dignity thought which respects all man was virtue of consideration on others who disciplines his own mind and body before it was materialized by institutional strategies. Frequently, people regard the reason of Korean society’s structural problems along with various other side effects originated from that as the lack of enough time of Modernization which Western societies have experienced. Also, they interchange that with the present globalized world where changes are prevail and then keep proceeding there discussion. We could get Confucius philosophy as a solution to solve these problems. The humanistic ideology being inherent in the ideology of law was the basic idea of Confucius philosophy and the first step of seeing human beings was the foundation of Confucius philosophy. Thus, the tradition of “people centered idea” that think people should be the first and foremost and the idea that a ruler should serve the people first were newly started in Joseon Dynasty. Joseon Dynasty adopted foreign Neo Confucianism as heritage of its nation and succeeds to naturalizing Joseon Confucianism. Also, on the basis of that, it created Joseon Dynasty’s native culture. The foundation of ideology claiming human nature is fundamentally good and respecting humans is also ground of equality in other aspects. The law premises equality and it is part of promoting actions as an institutional strategy protecting one society and individual. Therefore, it can only achieve true meaning in case of harmonizing together with the spirit of law annotated in law itself and system of legal culture where the spirit of law appeared. In Confucius ideology, directivity of community leading the harmony between communities is founded on individual persons. In the context of creating the world together, Confucius’ point can find the starting point and understand the law as a method of protecting society with shape of enlarged form of ethics. If the society’s legal culture where people admits the law as not only one individual should follows but also every human beings should follow altogether was created, legal culture shaped by manifestation of our traditional Confucius philosophy would imply valuable suggestions to contemporary people. This is because it could set the directions where the modern law should aimed at. The Confucius view which focused on humans and considers God’s way and human’s way are both same stands out the characteristic of “people oriented idea” which usually appeared in time of supposing politics as same as law’s practical governance. This also shows humanistic ideology. Korean ethnicity who never lost the mind of valuing human’s dignity thought in the scope of people oriented idea regardless of they were just mere people. During the Joseon Dynasty where the slavery still existed, the Confucius philosophy which is thorough on the ethics and the principle of phosphoric raised the idea of equality. This could be seen as an initial point that establishes power of execution without any disjunction between ideology and system. The Confucius philosophy consider the golden rule as important to guarantee human’s right and it made the society even put an emphasis on humanitarian aspect even in the dark circumstances. It is human who is seated in the foundation of establishment of the law. Thus, our legal culture was cultivated and developed by our consciousness also was greatly influenced by Confucius philosophy which puts high value on human dignity and equality.

      • KCI등재후보

        조선전기사회의 남녀 관계와 오늘날 양성 평등한 법제도

        이새라(Lee, Sae-Ra) 忠北大學校 法科大學 法學硏究所 2010 法學硏究 Vol.21 No.1

        Every human being is equal. However in 1950's most Korean women did not receive equal treatment. People thought that the reason why women were in inferior position socially and economically was because of the legal and system discrimination. And those would be affected by the traditional ideas such as Confucianism. Thus, without considering the traditional ideas, they tried to introduce western legal systems in Korea. Men and women discrimination prohibition and equal opportunity guarantee were pursued from the perspective of law and system. Legal Feminism leads to gender equality in our society. But we should find same law and legal systems in early Chosun Dynasty, and we found that early Chosun society was more equal than we thought. Law is a cultural norm and we should focus on enacting and applying of the effective law suitable to our situation. Equality is a relative concept having a comparative concept, and it is judged according to standard including a certain value judgment in relation to a comparative object. This standard of equality judgment is concretely confirmed in the living relationship regulated by people; the legal system for men and women equality should contain our reality and idea. We need a correct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ideas. Our laws and legal systems should be reflected in our thinking, then those will be able to make a more powerful force In reality.

      • KCI등재

        묵자(墨子)의 법사상

        ( Ji Su Kim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法學論集 Vol.18 No.2

        본고는 전국초기에 유가와 더불어 양대 현학으로 눈부시게 활약한 묵자의 법사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머리말에서 묵자의 생애와 ‘묵자’書에 대한 학설을 간략히 소개하고, 묵자의 등장배경과 유묵의 경쟁대립을 언급한다. 본론에 들어가서, 먼저 묵자 철학사상의 핵심기초인 ‘兼愛交利’의 만민평등주의를 살펴본다. 묵자의 겸애는 공자의 인애나 예수의 박애와 비슷한 사랑으로서 황금률이다. 허나 묵자의 겸애는 친소에 따른 차등적 사랑을 인정한 공자의 仁보다는, 호혜평등의 보편적 사랑으로서 예수의 박애에 가깝다. 둘째로, 인격적 의지의 하늘을 숭상하고, 하늘의 아들인 천자가 하늘의 뜻에 맞게 법을 제정해 다스려야 한다는, 묵자의 天志에 근거한 자연법론을 고찰한다. 셋째로, 統壹大同의 天下正義에 기초한 묵자 특유의 法律起源論을 소개한다. 넷째로, 군주의 통치권을, 尙賢의 인사정책에 기초한 현명한 관리체계와, 죄악 및 책임 사이의 형평정의에 기초한 공평하고 정의로운 司法정책, 그리고 인민을 위한 興利除害의 공리주의 입법원칙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다섯째로, 근대의 국제법에 손색없는 평화공존의 국제법과, 칸트의 영구평화론보다 훨씬 앞서고 훌륭한 非攻의 正戰論을 소개한다. 끝으로, 묵자 원전의 충실한 이해를 바탕으로 법사상을 通觀한 본고가, 우리 법학계에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나아가 뜻있고 학식 있는 후학들의 확대심화 연구를 이끄는 조그만 불씨가 되길 기대한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legal thought of Mozi(墨子) who was initiator of Mojia(墨家) in the early period of Warring States(475-221 B.C.), Mojia(墨家) was one of two famous marked and prominent Schools of thought in pre-Qin(先秦) period of ancient China, the other was Rujia(儒家) i.e. Confucianism. This paper in preface introduces various theories about the life of Mozi and the Book of Mozi, and mentions the background of Mozi`s appearance on the historical stage and the competition & struggle between Mojia & Confucianism. The main subjec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The first is ‘Jian-ai-jiao-li(兼愛交利)’, which was the core base of philosophy of Mozi, it means that person should love the others universally on the basis of equality and mutual benefit. It is a sort of golden rule of Mozi, as like as Confucian Ren(仁: humane-loving) and Love of Jesus, but it is more similar rather Jesus`s than Confucian, because Confucian Ren approve & maintain the difference of love between blood relations like parents and distant relatives, also between beloved family and unfamiliar stranger. The second is Mozi`s Natural Law based on Tianzhi(天志), i.e. Heaven`s Will or Wish. Mozi maintained that the emperor named Tianzi(天子) as the Son of Heaven, should uphold and obey Heaven`s Will or Wish in the process of rule, legislation & judicature. The third is Mozi`s characteristic theory of origin of law based on the worldly justice, unity & Great Harmony. The forth is the rule of emperor, divided in three branches, that is the wise official system based on the policy which respects for & instates the virtuous & able men, the fair judiciary system based on equal justice between crime & punishment, and the principle of utilitarian legislature based on the policy which promotes what is beneficial and abolishes what is harmful to the people. The fifth is Mozi`s theory of international law based on peaceful coexistence and non-attack(非攻) only approving invocation of self-defense power, which means just war. Mozi`s theory is never inferior to modern international law nor Kant`s theory of eternal peace. In conclusion, this paper makes a general survey of Mozi`s legal thought in broad outline based on adequate understanding of the original text, and the author hopes that this paper become a small priming water of pump or kindling of fire which may induce interest of readers, so that the young may accomplish further more broad & deep study on Mozi`s legal thou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