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치원 교육실습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직 실습 업무 스트레스와 내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

        신수경(Shin, Su-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0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실습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직 실습 업무 스트레스 및 내적동기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해 봄으로써 유치원 교육실습의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N대학에 재학 중인 4학년 30명을 대상으로 교 육실습에 대한 교직 실습 업무 스트레스와 내적 동기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 결과, 첫째, 교육실습 후 예비유아교사의 교직 실습 업무 스트레스는 유치원 교육실습 전에 비해 교직 실습 업무 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부정적 요인 인 실습 교직 업무부담 및 긍정적 요인인 사회적지지가 증가함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체적인 교직 실습 업무 스트레스는 감소되지 않음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실습 후 예비유아교사의 내적 동기는 유치원 교육 실습 전에 비해 내적 동기의 하위요인 중 내적 완성감, 내적 독립적 판단, 내적 성향이 증가함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전체적인 내적 동기가 증가됨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교육실습으로 인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직무 부담 등의 실습 업무 스트레스가 여전히 과중되고 있음으로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실습과정 중에 경험한 사회적 지지와 교육 실습을 통해 내적 완성감, 내적 독립적 판단, 내적 성향 등이 긍정적으로 향상됨으로 나타나 교육실습에 임하는 예비교사의 태도 및 가치관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어 전문적인 교직인으로서 발전 가능성을 보여준 연구 결과라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indergarten teaching practice on teaching practice work stress and internal motivation of pre-service child teachers, an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Kindergarten teaching practice. This study collected data on teaching practice work stress and internal motivation of 30 senior students attending N university. I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ollected data, first, for teaching practice work stress of pre-service child teachers after Kindergarten teaching practice, among the sub‐factors of teaching practice work stress, job burden, which is a negative factor and social support, which is a positive factor,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with that before the teaching practice. Second, after the teaching practice, for internal motivation of pre-service child teacher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was found in internal completeness, internal independent judgment, and internal disposition among the sub‐factors of internal motivation compared with that before the teaching practice. In conclusion, in this study, although teaching practice work stress such as job burden of pre-service child teachers due to Kindergarten teaching practice are still overloaded, through the experience of social support and teaching practice during the process, the internal completeness, internal independent judgment, and internal disposition, etc. were found to be improved, which is a result of research showing that the attitude and values of the pre-service teachers who are engaged in the teaching practice change positively and show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as a practical teaching person.

      • KCI등재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인식 및 요구

        송연숙,박영옥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5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4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sent state in kindergarten teaching practice as well as requirements for a kindergarten teaching practice system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collaborative operation of student teaching practice between universities and kindergartens. In this study, 258 cooperating teachers teaching students in kindergartens in the U·G area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survey. To measure recognition and requirement in the present state of kindergarten teaching practice, the questionnaires (Park, 2000; Lim, 2007; Choi, 2013) developed by the researcher in this study were used. Data were analyzed with respect to frequencies, percentages, averages, standard deviations, and Cronbach’s ⍺ with SPSS 18.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showed that cooperating teachers were almost unanimous in their opinions about the desirable frequencies of teaching practice periods, part-time classwork, and full-day classwork. Results showed that they wanted four part-time classwork and one full-day classwork opportunities. Moreover, observation teaching practice and class teaching practice were guided under the plan of cooperating teachers but it appeared as a limited experience in duties teaching practice. Second, they generally recognized the positive aspects of their performance. Guidance on observation teaching practice relatively appeared higher. In comparison, the satisfaction regarding the guidance of duties teaching practice appeared lower. Third, they had the same opinion on the need for a pre–post teaching practice system; they demanded practical training opportunities in kindergarten and simulation classes. In addition, they asked student-teachers to be active and willing to learn more. 본 연구는 유치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실습의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살펴보고자 U, G지역의 교육실습 지도교사 258명을 대상으로 설문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육실습 운영 현황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살펴본 결과, 실습시기에 대해선 실제 이루어지는 시기와 이상적인 실습시기가 동일하였으며 수업실습에서는 부분수업 4회, 전일제 수업 1회를 바람직하게 여기고 있었다. 또한 관찰실습, 수업실습은 교사의 계획하에 지도되고 있으나 실무실습의 경우 제한된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관실습, 수업실습, 실무실습에 대한 역할 수행 및 실습지도 만족도는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중 참관실습에 대한 지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실무실습에 대한 지도는 다소 낮았다. 셋째, 실습제도 개선에 대해선 사전ž사후실습의 필요성을 제안하였으며, 대학에 대해 현장실습의 기회확대, 연령별 모의수업 시연을 통한 수업역량 및 생태적 현장역량 강화를 요구하였다.

      • KCI등재

        교직실무 개선을 위한 교직실무 교재의 비교분석

        김태기(Kim, Tai Ki)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미래교육학연구 Vol.33 No.3

        이 연구는 교직실무 교과도입의 10년을 기하여 교직과목에 대한 개편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 교직실무 개선을 위해 교직실무 교재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개선된 교직실무 교재의 집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2년부터 2019년까지 출판된 34권의 교직실무교재를 대상으로 2009년부터 2011년도까지의 초기 교직실무 교재를 분석한 연구와 비교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교직실무 교재의 재구성 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2009년 도입 이후 초반에 사용된 교직실무 교재에 비해 최근의 교재는 전체적으로 교육의 본질에 충실한 교재로 개선되었으며 시대의 흐름이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상당수의 교직실무 교재가 교육부의 교직과목 세부 이수 기준을 적용하지 않고 있었으며 이에 현행 교직실무 교재는 교육부가 기대하는 교사의 양성에는 최적화 되어있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직실무 교재의 정체성, 내용구성, 현장성의 한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육부의 기준과 현장의 필요성 등을 고려하여 선행연구의 제안과 최근 교육현안을 다루는 주제를 반영한 재구성된 교직실무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교직과목에 대한 개편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교직실무 과목의 향후 개편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며 현행 교직실무 교재의 현황과 더불어 앞으로의 교직실무 교과목에 대한 실제적인 교육내용을 제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끝으로 교직실무 교재의 개선을 위해 현장 교사를 통한 교직의 실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teaching practice textbooks and to present ideas for improving teaching practice based on the results when the demand for the reorganization of the subjects is increasing for the 10 years of teaching practic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34 teaching practice textbooks published from 2012 to 2019, and presented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analysis of textbooks from 2009 to 2011 and the results of the reconstruction of teaching materials were presented. This study found that compared to the teaching practice textbooks used in the early stages since its introduction in 2009, the latest textbooks have been improved into textbooks that focus more onto the nature of education and reflect the trend of the times. However, since many teaching practice textbooks do not comply with the governments standards, it was expected that the current teaching practice textbooks may not be enough to train teachers expected by the government. These results confirm the limitations of identity, content composition, and authenticity of teaching practice textbook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is study proposed a revised teaching practice improvement plan that reflected topics dealing with recent educational issues, considering the standards of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site. It is meaningful that this research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future reorganization of teaching practice subjects at a time when demands for reform of teaching subjects are increasing, and suggests practical education contents on future teaching practice as well as the current status of teaching practice textbooks. Finally,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field teachers for the improve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the teaching profession was suggested.

      • KCI등재

        교육 실습에서 국어과 예비 교사의 수업 역량 성장 연구

        류보라(제1저자) ( Bo Ra Ryu ),백혜선(교신저자) ( Hye Sun Paik ) 국어교육학회 2015 國語敎育學硏究 Vol.50 No.4

        이 연구는 국어과 예비 교사들이 교육 실습을 통해 수업 역량이 성장하는 과정과 이와 관련된 변인들을 탐색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참여자는 3개 중등학교에서 실습한 4명의 교생이며 연구 자료는 관찰 자료, 면담 자료, 문서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업 참관, 교생 면담을 주요자료로 활용하였다. 교생 4인의 교육 실습에 대한 자료들에서 추출한 중심어는 ‘교생의 수업 역량 성장’으로 관련 변인은 교육 실습에 대한 인식, 실제 수업의 체험, 교육 실습의 어려움, 교생의 역량에 영향을 주는 외적 요인 등네 범주이다. 교육 실습을 통해 국어과 예비 교사들은 수업 역량의 성장을 경험하게 된다. 교생들은 부담과 기대라는 인식을 갖고 실습에 임하며, 수업역량 성장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활동은 실제 수업의 체험이다. 그러나 실습 과정에서 교생은 내적으로는 정체성의 혼란, 외적으로는 환경적인 요인들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수업 역량에 영향을 주는 외적 요인은 지도교사와 대학에서의 강의이다. 국어과 예비 교사들의 수업 역량 향상을 위해 수업 역량 관련 요인들을 중심으로 교사 양성 교육과 교육 실습을 내실화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o develop the teaching competence of Korean language student teachers and explores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ir practice teaching.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four student teachers at three secondary schools,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observations, interviews, and documents. The primary data are from observations of instruction and interviews with the student teachers. The key term extracted from the data of the four student teachers is “growth of the teaching competence of Korean language student teachers.”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practice teaching are the perception of practice teaching, experience of real instruction, experience of problems, and factors related to teaching competence. The teaching competence of Korean language student teachers develops through their experiences of practice teaching. Student teachers expect to practice teaching and have the responsibility to do so, and the experience of giving real instruction is most related to the growth of their teaching competence. However, student teachers experience problems stemming from the confusion of their internal identity and external environmental effects. The teachers’ instructors and university lectures are environmental effects. To foster the growth of Korean language student teachers’ teaching competence, the education of student teachers and practice teaching should ensure internal stability focused on teaching competence.

      • Exploring the Difficulties and Coping Methods that the Student-Teachers Experience During Practice Teaching of Physical Education

        ( Ki Cheol Shin ) 한국체육학회 2015 국제스포츠과학 학술대회 Vol.2015 No.1

        Purpose: Among the subjects taught in the elementary schools, mos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feel difficulties about teaching physical education (PE). This study is interested in the way to cultivate teachers` ability of teaching PE, but especially focuses on student-teachers (ST)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f teacher socialization. This is assuming that the way student teachers cope with the difficulties will be able to work even when they encounter such a problematic situation as in-service teache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fficulties and coping methods that ST experience during practice teaching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Method: This study us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Participants were six (2 males and 4 females) STs, from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hich is located in a local area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 The interview was processed for two months from November to December of 2014. The content of the interview, which was carried on through face-to-face interview, mostly includes difficulties what STs have experienced during practice teaching. And then data were analyzed by the phenomenological method. Result: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in two aspects. The first, the difficulties that STs have experienced during practice teaching were categorized as following themes: restricted opportunity to teach PE, burden of preparation to practice, limitation of endeavor, and gap between theories and practice. Simultaneously the causes of difficulty are implied in the each of themes. That is, first theme is related to the cultural and structural aspect, second theme to subject aspect, and third & fourth theme to personal aspect. Second, the coping methods against these difficulties were categorized as following themes: content reconstruction, looking for useful data, and accepting acquaintances` advice. Above of all, STs thought that PE must be a happy time to pupils, so they tried to present exciting activities unlike the textbook. And STs showed tendency to depend on the web data. A few STs told that they ask others to help them, but range of acquaintance is very restricted such as friends or university seniors.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ST during practice teaching, because practice teaching presents opportunity not only to encounter a complicated and dynamic context of teaching PE, but also to shapes their identity as a PE teacher. Therefore practice teaching should be deliberately prepared so that all of student teachers have chances to perform teaching PE and to remedy and improve their defects in teaching PE.

      • 교육실습생의 자아성찰에 관한 연구 -교육실습생의 성찰저널을 중심으로-

        노원경 ( Won Kyung Noh ) 경희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구.교육문제연구소) 2007 慶熙大學校 敎育問題硏究所 論文集 Vol.23 No.1

        본 연구는 교육실습생의 성찰저널을 통해 교육실습생의 인식과 교육실습운영의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을 진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실습 운영의 내실화를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래의 항목에 대해 그 사례를 찾아 분석하고자 한다. 첫째, 교육실습의 교과지도, 학생지도, 학급경영 영역에서 교육실습생의 자아성찰은 어떠한가? 둘째, 교육실습의 실제적 목적에 비추어 교육실습생이 교육실습 과정에서 배운 내용은 무엇인가? 본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서울 소재 K대학교의 ``예비교사를 위한 프로그램``에 참가한 48명이었다. 이 중에서 내용 분석의 대상이 된 것은 26명의 성찰저널이었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실습생의 자아성찰 중 교과지도 영역에서는 사전 수업 계획 및 준비의 중요성을 깨달았다는 교육실습생이 있었고, 수업 내용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갖추지 못한 채 수업에 임하여 고민한 교육실습생도 있었다. 교육실습생이 수업 시간에 경험하는 문제 상황은 현 교원양성과정에서 수업 시간 중 실질적인 교수방법에 대해 적절히 준비해 주고 있지 못함을 나타낸다. 학생지도 및 학급경영에서는 현재 교직과정에서 이론 수준에서만 학습이 이루어질 뿐 이론의 구체적인 활용 및 응용 방법에 대한 교육이 부족하다는 것이 나타났다. 따라서 예교사 교육에서는 이론 학습이 이루어진 후 현장중심의 문제해결 교육도 중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육실습과정을 통해 교육실습생들은 현실적인 교육철학의 형성과 함께 교사에 대한 인식도 막연한 동경이나 단순한 직업으로서 관념에서 현실적으로 판단하고 선택할 수 있는 일로 바뀌었다. 교직의 좋은 점과 어려움을 함께 정리하면서 교직 선택에 대해 종합적인 판단을 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자아성찰과정을 통해 교직과정을 선택한 후 4주간의 교육실습기간은 학생의 관점이 아닌 교사의 관점에 서서 교육을 봄으로써 딜레마를 경험하였고 이를 통해 교직에 대한 현실적인 판단을 하게 되었고 교직을 넓은 관점에서 심도 있게 이해할 수 있었다. 따라서 교육실습기간 동안 의미있는 교육경험을 쌓기 위해서는 교육실습생들에게 자아성찰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practical suggestions for the teaching practice by making a diagnosis of the problems and analyzing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s of students who write self-reflection journals.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self-reflection journals for the below-mentioned questions. First, the analyses of the self-reflection journal on teaching practice, especially teaching contents, instruction for students and classroom management. Second, the analyses of he self-reflection journal on teaching practice compared to teaching practice`s practical goals. The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48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that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for preserivce teachers. The self-reflection journals written by 26 participant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1. As to preservice teachers` self-reflection about teaching contents, it is necessary to acquire a practical teaching method, to use the teaching materials, and to learn the method of writing a teaching plan. 3. As to preservice teachers` self-reflection about instruction for students and classroom management, it is considered that a method of advising the students and knowledge of classroom management through teaching practice was acquired. 4. Compared to teaching practices` practical goals, preservice teachers in the early stage of teaching practice recorded just expectation of teaching and being a preservice teacher but later, recorded more on the general teaching performed by themselves. It can be said that the classroom experience of preservice teachers requires profound self-reflection on the truth of teaching.

      • KCI등재

        특수교육기관 교육실습일지에 기록된 교사 피드백 분석을 통한 학교 현장의 교육적 요구 이해

        이경면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14 지적장애연구 Vol.16 No.2

        이 연구는 특수교육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교육실습기간 동안 실습지도교사로부터 받은 피드백을 분석하여 그 유형과 내용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학교현장의 교육적 요구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2010년∼2012년까지 3년에 걸쳐 21개 학교에서 59명의 실습생들이 교육실습일지를 통해 받은 지도교사의 피드백을 분석한 결과 총 2,810개의 내용이 검출되었다. 피드백을 교육실습의 하위 요소별로 보면 참관실습관련 내용이 122개(4.34%), 수업실습관련 내용이 1,973개(70.2%), 실무실습관련 내용이 715개(25.4%)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볼 때, 실습기간 동안 주로 주어지는 피드백이 ``수업실습``과 관련되어 있으며, 교육실습생들의 수업역량에 대한 현장의 기대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수업실습의 하위 내용에서 교육과정 및 교과, 수업평가 등에 대한 피드백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게 제시되어, 수업실습 하위 영역의 균형 잡힌 지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ntents and needs of educational field by analyze the feedbacks shown in teaching practice journal. At the result of analysis, 2,810 feedbacks are extracted from 59 teaching practice journals written during 2010~2012 at 21 special schools. When consider the feedbacks as sub-element of teaching practice, 122(4.34%) feedbacks are related to observation practice, 1,973(70.0%) feedbacks are related to teaching practice and 715(25.4%) feedbacks are related to practical training. It shows that feedback during teaching practice is mostly related to teaching practice. But when consider sub-contents of teaching practice, there were few feedbacks related to curriculum, subject matter, teaching evaluation, and it shows the need of ``balanced`` training instruction especially to the sub-contents of teaching practice.

      • KCI등재

        교육실습에 대한 예비특수교사의 인식 변화 분석

        박은송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1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perception of teaching practice institutes after completing their practice by gender, year of practice, and prior field experience. This study also intends to collect information that should be referred to regarding teaching practice for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special education field, including universities and teaching practice institutes. The questionnaire items we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understanding of students, roles of guidance teachers, understanding of curriculum, establishment of a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and educational field experience. In all of the five categori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and year of practi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ategory of roles of guidance teachers by prior field experience. In addition, there were suggestions that teaching practice institutes should offer systematic and well-organized training courses and that the short period of teaching practice and conveniences for trainees should be improved. This study then discussed the improvements that teaching practice institutes are expected to make for teaching practice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based on these results. 이 연구는 예비특수교사들이 교육실습을 마친 후 교육실습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실태를 분석하고, 교육실습에 대한 인식에서 성별, 사전실습 기간, 실습년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며, 예비특수교사들의 교육실습 기관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예비특수교사들의 교육실습에 있어서 교원양성대학과 교육실습 기관 즉, 특수교육 현장에서 교육실습 시 반영해야 할 자료를 수집하고자 하였다,설문지 문항은 학생이해, 지도교사의 역할, 교육과정의 이해, 교직관 확립, 교직실무 경험 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다섯 영역에서 예비특수교사들의 성별에 따른 유의차는 없었으며, 교육실습연도별 차이 검증에서도 유의차는 없었다. 교육실습 이전의 사전 실습 경험에 따른 차이에서는 지도교사의 역할 영역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다수 실습생들의 교육실습기관에 대한 요구는 체계적이고 짜임새 있는 교육실습지도계획이 바람직하며, 교육실습 기간의 짧음과 교육실습생들을 위한 업무편의 시설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었다. 향후 예비특수교사들의 교육실습은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실습기관에서 갖추어야 할 사항들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법학 전공 실천교육에서 체험식 사례 기반 교수법 활용연구

        충광린 ( Cong Guanglin ),황보명국 ( Huangfu Mingguo ) 경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8 중등교육연구 Vol.30 No.2

        체험식 사례 기반 교수법은 중국의 대학교 법학 교수법 개혁에서 중요한 실천 수업모형중의 하나이며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교수법은 실제 사례를 재현하는 형식으로 진행되는데 학생들이 원고인, 피고인, 판사, 변호사 등의 캐릭터를 맡으면서 법률문서의 작성, 토론 및 평가, 모의 법정, 주제연구 등 다양한 형식을 통해 이론적인 지식에 대한 학습에서 구체적인 실제 사건으로의 활용을 추구하는 실천적인 교수법이다. 체험식 사례 기반 교수법은 학생들의 법률 전공지식을 공고히 하고 법률 전문능력을 훈련시켜 과학적으로 실천의 능력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법적 사고 방식의 형성에 대한 실질적 트레이닝을 통해 학생들이 장래에 사회로 진출하여 법률 직업에 종사할 수 있는 기초를 닦을 수 있다. 체험식 사례 기반 교수법의 구체적 과정에는 사례 선출, 팀 구성 및 캐릭터지정, 법률 문서의 작성, 과제에 대한 토론 및 평가, 모의 법정, 주제연구 및 논평 등이 포함된다. 본문은 조사연구를 통하여 체험식 사례 기반 교수법이 전통적인 단일 수업의 모형에 비해 학생들의 종합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율적임을 확인하고자 하며, 중국의 대학교 교수법 개혁에서 추구하는 일방적 ‘가르침(Teach)’ 중심에서 자율적 ‘학습 및 연습(Learn & Practice)’ 중심으로의 전환 원칙을 법학의 실천적 교육에 적용하여 보급할 가치가 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Experimental case Teaching method is an important exploration of the practice teaching mode of law major in the teaching reform of Chinese colleges. The teaching method is divided into groups of students and plays different roles such as plaintiff, defendant, judge, legal researcher and so on. through case practice, using homework after class, discussing and commenting in class, simulating court, etc. Some teaching methods, such as special topic study of law, apply the theoretical knowledge of law to a practical teaching method of simulating litigation in specific cases. This kind of teaching method can not only consolidate the law specialized knowledge, train the law skill, improve the scientific research ability, but also train the law thought in the practice training, lay a solid foundation for the students to go to the society to engage in the law profession in the future. The teaching process of experimental case teaching includes case selection, grouping and role assignment, legal document making, classroom homework evaluation and discussion, mock court, project research and evaluation. The teaching practice proves that the experimental case teaching method breaks through the traditional single teaching mode, and it can improve the students' comprehensive ability and meet the individual needs of the students. To realize the transformation from "teaching" to "learning and practicing" in the teaching reform has certain popularization value in the practice teaching of law major.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만족: 영향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길효정,이영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competence, ego - resilience, and teaching practice stress, which are factors affect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practice satisfaction. The questionnaires used were 284 par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follow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s a result,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directly affects the stress of the teaching practice and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the teaching practice. Ego-resilience directly affects the stress of the teaching practice and has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the satisfaction of the teaching practic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atisfaction of teaching practice,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teaching practice satisfaction, the teaching practice stress had mediation effect. Based on this study, this study suggests a program to strengthen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go-resilience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suggests a pre-service teacher support system that can control the stress of the teaching practice.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인 의사소통능력, 자아탄력성, 교육실습스트레스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사용된 설문지는 의사소통능력, 자아탄력성, 교육실습 스트레스, 교육실습 만족도에 대한 내용 284부이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AMOS 21.0을 사용하여 상관관계를 검토한 후,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의사소통능력은 교육실습 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교육실습 만족에는 직접,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자아탄력성은 교육실습 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교육실습 만족에는 직접,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의사소통능력과 교육실습 만족의 관계와 자아탄력성과 교육실습 만족의 관계에서 교육실습 스트레스는 매개 효과가 있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의사소통기술과 자아탄력성을 강화하는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실습 스트레스를 조절할 수 있는 예비유아교사 지원 시스템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