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시각장애 교육과정에 관한 국내 연구 경향

        박은송,한성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08 시각장애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ssue of 'what and how will we teach?' for th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s to say, to identify the general trend in making and operating curriculum of visual impairment, and to establish research direction afterwards for them. The concret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I analyze the general trend in researches relating with curriculum of visual impairment. Second, I analyze the issue on which this curriculum of visual impairment takes focus among subjects of developing and operating it, for example, leaner, teacher, course, or environment. Third, I analyze which is the main trend of researches on curriculum of visual impairment out of constitution system of curriculum and contents of education. For this, I have analyzed the preceeding studies in the view of general research trend, the trend of participating subjects in developing and operating curriculum, and the trend of area where the research on curriculum is implementing. I have checked the preceeding theses as the subjects by searching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of KERIS with inputting the key words, 'visual impairment, curriculum' and 'multiple disability, curriculum' in the section of whole areas, and among those 94 domestic academic journals and 236 theses for a degree I have chosen the academic journals and theses for a degree above master having the subject of th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It was total 33 that satisfied this condi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s. First, it has been shown that there needs advanced researches by above doctor's degree. And there needs balanced researches with taking focus on each subject of curriculum like as teacher, students, course, and social demand. Last, there needs various kinds of researches on curriculum by departmentalizing the constitution elements, and also in the respect of education contents, there needs researches on making and operating curriculum for job development above second degree and for converting education in general course and job training course. 이 연구는 시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는 문제, 즉 시각장애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에 관해서 연구한 논문을 시각장애 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연구의 일반적인 경향, 교육과정 개발·운영 주체의 관한 연구 경향, 교육과정 연구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영역은 어떤가의 경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 논문은 석사학위 이상의 논문과 학술지 논문으로 총 33편이었다. 연구 결과는 시각장애 학생을 위한 심층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주체들과 특히 일부분인 학습자에 대한 연구 균형감 있게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향후의 연구는 시각장애 교육과정에서 교육과정의 구성 요인을 세분화 하여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고, 교육내용 측면에서도 일반 교과와 직업 교과 등에서 이료 이상의 직업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전환교육 교육과정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최중도 지체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인식

        박은송,박경옥,박희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1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4 No.1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sciousnes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career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profound physical disabilities, and also is a basic research in order to set the direction with respect to career education for them.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by means of Delphi method, and the research panel consisted of incumbent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took charge of career education in special school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e research results drawn from total 4 rounds of Delphi method revealed that;First, the teachers' perception regarding the students' future in connection with career education for the students focused on the difficulty in selecting career,troubles in finding information about career, non-connectivity of career education with local community, and no responsible government organization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career education. Second, included in the teachers' perception towards actual status of career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profound physical disabilities are that the contents of career educations should be conducted with a focus on independent living, and then such education is required to be linked with local community. Also that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charge of career education should have to take a role as experts who link career education with local community. Lastly, the teachers' perception regarding the career education of the students with profound physical disabilities after their graduation(from high school) were that there lacked protective(eg, day-care center and training center). organization where the students with profound physical disabilities could easily participate in. And the teachers perceived that training program is necessary insomuch as to help the students carry on an independent living.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the researcher was able to reestablish the concept of finding an employment for the students with profound physical disabilities, and also to discuss about the method, contents, and location for career education. 이 연구는 최중도 지체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과 관련된 문제점, 진로·직업교육의 운영 실제, 졸업 후 진로의 방향성 등에 대하여 특수교사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조사연구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 델파이 조사를 수행하고 있으며, 조사대상은 지체장애 특수학교에서 진로·직업을 담당하고 있는 특수교사 30명이었다. 연구의 결과, 첫째, 최중도 지체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과 관련된 문제점으로 최중도 지체장애학생에 대한 진로선택의어려움, 진로에 대한 정보획득 곤란, 진로·직업교육이 지역사회와 연계되지 않은 점 등을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최중도 지체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의 운영에 대하여 진로·직업 교육내용은 자립생활에 중점을 두어야 하고, 지역사회와 연계한 교육이 되어야 하며, 특수교사는 지역사회와의 연계 전문가로서의 역할을 해 나가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최중도 지체장애학생의 졸업 후 진로의 방향성에 대하여 학생이 졸업 이후 계속 참여할 보호(훈련)기관과 자립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훈련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최중도 지체장애학생의 취업에 대한 개념 재정립과 학교에서의 진로·직업교육의 내용과 방법 등에 대한 방향 설정이 필요함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도장애학생의 생활지도실태 및 지원요구 분석

        박은송,박경옥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4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7 No.4

        This study analyzed the actual condition of life guidance among school activities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actual condition of counseling which is one of the sub-domains of student guidance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student guidance and to suggest directions of guiding students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condition of student guidance and counseling structure of 127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 located in Seoul, and analyzed results of a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between 9 teachers from a same special school. As the results, the 'health guidance' was highest with 40.9% among daily-life guidance territory in major content analysis of daily-life guidance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the 'sociality guidance' was 37.0%, 'personality guidance' was 14.2%. For the analysis of counseling contents and the role of counselors, 'establishing and supporting behavior modification pla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highest with 27.6%, then in the order of 'asking about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other appropriate professionals' with 12.6% and 'counseling parents and family membe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th 11.0%.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of a discussion between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guiding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verified that the life-guidance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require assistance from professional fields as medical and welfare facilities other than the field of education. Second, they need prepare parents and family counseling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Third, they need to be equipped with professionalism on the life-guidance and counseling of teachers to help parents to understand better and to persuade them during the life-guidance process.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이 학교교육활동 과정에서 중도장애학생들에게 제공하고 있는 생활지도 및 상담의 내용과 교사들이 상담자로서의 역할을 분석하여 보다 효율적인 생활지도 지원을 위한 기초 자료를 추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의 한 특수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27명의 교사가 작성한 중도장애학생 127명의 1년 치 생활지도 및 상담 일지를 분석하였고, 이들 학생을 지도한 교사 9명과 심층 면담을 통해 생활지도 과정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도장애학생 생활지도의 주요 내용은 ‘건강지도(40.9%)’, ‘사회성 지도(37.0%)’, ‘성격지도(14.2%)’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이 수행한 상담자로서의 역할과 내용에서는 ‘장애학생을 위한 행동수정 계획의 수립과 실행을 지원하는 일(27.6%)’, ‘장애학생을 다른 적절한 전문가에게 의뢰하는 일(12.6%) 등이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중도장애학생들의 생활지도를 담당하는 교사들은 다음과 같은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먼저, 상담과정에서 의료, 복지 등의 전문 분야와 공조가 필요함을 언급하였고, 중도장애학생을 양육하고 있는 가족이 어려워하는 재활 및 의료 정보 및 연계, 그리고 의사소통 지도에 대한 교사의 대비가 필요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그리고 교사들은 이와 관련한 전문성 신장을 위한 실무형 직무연수 기회 확대 및 상담 매뉴얼 개발 보급을 요구하였고, 중도장애학생 지원을 위한 전문상담인력의 학교 유입에 대한 신중한 고려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도장애학생의 졸업 후 지역사회 전환에 따른 진로·직업 실태 및 교육효과 분석

        박은송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1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4 No.2

        Korea's special education has seen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growth since the 1980s and accordingly many students for whom special education was required have advanced into the society after receiving special education. Even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for whom special education was required but who were isolated from special education just a few years ago, are now witnessed on the spot of special education including itinerant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alities of career and employment of graduates with severe disabilities for the past decade who need overall aid in their daily life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special education input so far, thereby providing basic materials for organizing and managing educational courses in future special education and at the same time providing proper direction in establishing policies for careers and jobs of the adult disabled. This study is a follow-up, complete study; all the graduates from H special school for the past ten years were surveyed. The study result is that graduates with severe disabilities were under much poorer conditions after graduation than those with non-severe disabilities to an incomparable degree in terms of their work and leisure and their lives as a whole. Only two graduates with severe disabilities entered university among 84,showing very low ratio in getting a higher education. In this regard the outcomes of special education provided to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are very poor and, in particular, transition on special education in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is considered necessary. Therefore the findings suggest that review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is needed and local communities and the government should responsibly establish policies to cope with this issue. 우리나라 특수교육은 1980년대 이후 질적·양적 증대에 따라 많은 특수학교(급)의 졸업생들을 배출하였다. 몇 해 전까지만 해도 특수교육에서조차 소외되었던 중도장애학생들도 순회교육을 비롯한 다양한 특수교육 현장에 등장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지난 10년간의 중도장애졸업생의 진로실태가 어떤지를 파악하고, 투입된 특수교육의 효과를 분석하며, 향후 특수학교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 중도 성인장애인에 대한 진로·직업 정책을 수립하는데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연구되었다. 연구방법은 추적조사이며, 연구 대상은 지난 10년간 H지체장애 특수학교의 중도장애졸업생 전체를 대상으로 한 전수조사이다. 연구결과 중도장애졸업생은 다른 장애졸업생들의 진로실태와는 비교가 안될 정도로 졸업 후 주거생활, 직장생활,여가생활, 지역사회생활 등에서 열악하게 생활하고 있으며, 진학 측면에서도 매우 낮은 진학률을 보였다. 따라서 중도장애학생에 대한 특수교육의 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향후중도장애학생에 대한 진로·직업교육의 재검토와 중도 성인장애인에 대한 지역사회 및 국가에서의 맞춤식 진로·직업교육 등의 정책 수립이 요구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성공적인 지역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 방향성 탐색

        박은송,박경옥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1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4 No.2

        Current special education schools and classes in Korea focus mainly on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yet measures for this are not sufficient. 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need of measures to help such students' transition from school to the society. This study examines the reconstitution of transition education program regarding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was conducted by analyzing relevant litera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transition program and curriculum for disabled students to the society was analyzed. Second, educational need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regarding adaptation and social skills test tools was analyzed. Third,the vocational education course of the basic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as analyze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a model that reconstituted the transition education within the vocational education course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proposed implicat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groundwork for discussions on the transition education in vocational education course and other general educational programs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이 연구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이 지역사회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하기 위해 학교에서의 진로·직업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은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전환 프로그램과 교육과정, 적응행동검사 도구 및 기본교육과정의 직업교과를 Snell과 Brown(2006)의 개별화 전환교육프로그램 진단분석틀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전환 프로그램과 교육과정 및 적응행동검사 도구에 포함된 진로교육의 영역은 가정생활, 지역사회생활, 여가생활, 직업생활로 구분할 수 있었다. 둘째,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의 직업교과의 영역은 개인생활영역은 하위영역이 11개, 지역사회생활은 3개, 여가활동에 2개, 직업생활영역에 5개로 영역 간 불균형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분석내용을 바탕으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은 향후 생태학적 모델에 입각하여 미래 사회에서 조화롭게 적응해 나갈 수 있도록 성인기에 요구되는 4개의 영역과 내용요소로 구성해야 한다. 교육활동목록은 개별 학생의 요구에 맞는 학생 중심의 전환교육 프로그램 적용이라는 진로·직업교육의 재개념화에 대한 논의를 다루고 있다.

      • KCI등재

        중도ㆍ중복장애인의 자립생활지원을 통한 지역사회 통합 방안

        박은송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1 No.4

        이 연구는 중도ㆍ중복장애학생들이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에 성공적으로 지역사회에 통합되어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학령기를 거쳐 사회에 진출하게 될 성인으로서 지역사회에서 삶을 영위하게 하는 방법은 누군가로부터의 도움을 받아서 생활하거나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등의 다양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연구는 중도ㆍ중복장애학생이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에 자립적으로 생활해 낼 수 있도록 장애인의 교육, 재활을 담당하는 유관 기관들 간의 유기적 협력을 꾀하여 성공적인 사회적 통합을 해 나갈 수 있도록 교육과 복지가 연계된 지원방안을 모색하였다.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way of successful integrated life in local community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fter graduating from their high schools. Adults with disabilities could live with others’ help or independently in their community as they grow older. The study searched the way of education-welfare linked support for individual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o live independently after graduating their high schools through cohesive cooperation among institutions of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 중도 지체장애학생을 위한 생태학적 목록의 선정과 조직에 관한 고찰

        박은송,김삼섭 한국특수교육학회 2009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

        이 연구에서는 중도 장애학생의 교육 역사, 교육 가능성, 교육프로그램 등을 선행연구를 통해 고찰하고, 중도 지체장애학생을 위한 생태학적 목록을 선정하는 방법을 알아본후, 선정된 교육과정 내용을 조화롭게 조직할 방법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생태학적목록을 선정할 수 있는 원천자료들이 한국 사회의 문화와는 이질감이 있을 뿐 아니라,원천자료들 간의 교육 내용과 영역도 일치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중도지체장애학생을 위한 생태학적 목록은 우리 실정에 맞게, 그리고 중도 지체장애학생의특성을 고려하여 선정되고 조직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지체장애학교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수업설계의 과정과 어려움

        박은송,박경옥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3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6 No.2

        This study intended to explores in-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nd enactment of instructional design in their teaching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otal of 175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swered offline survey developed to investigate how they perceive instructional design activities and how they actually enact it during their actual instructional planning. As a result of study,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 all instructional design activities as very important for enhancing student learning. Howev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did not implement these activities considerably as much as they perceiv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had challenges in managing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in terms of learning objectives, instruc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instructional adaptation, evaluation, and teacher reflection. The implications for not only instructional design but also teaching and learning in special education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지체장애학교에 근무하는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수업설계에 대한 중요도와 실천정도 간의 차이를 살펴보고, 수업설계과정을 조사하여 지체장애 특성을 고려한 실제적인 지원 방법을 찾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지체장애 특수학교의 특수교사 175명을 목적 표집 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지체장애학교 교사들은 수업설계의 각 활동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천정도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수업설계는 학생 현행수준 및 요구분석-교육과정분석-교육내용선정 및 수업 목표설정-학생수준별 목표설정-수업모형 및 교수학습방법계획-형성평가-돌발 상황 대비의 7단계로 수행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수업설계를 하면서 학습목표의 설정, 교수·학습 활동의 계획, 수업자료의 선정 및 제작, 수업 실행, 개별화된 교수적 지원, 교육성과의 평가, 수업개선 노력 등에서 상당한 도전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체장애학생의 고유한 특성을 고려한 수업설계과정에 대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분석과 함께, 앞으로 지체장애 특수교육에서 실천해 나가야 할 수업설계에 대한 연구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교육실습에 대한 예비특수교사의 인식 변화 분석

        박은송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1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perception of teaching practice institutes after completing their practice by gender, year of practice, and prior field experience. This study also intends to collect information that should be referred to regarding teaching practice for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special education field, including universities and teaching practice institutes. The questionnaire items we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understanding of students, roles of guidance teachers, understanding of curriculum, establishment of a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and educational field experience. In all of the five categori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and year of practi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ategory of roles of guidance teachers by prior field experience. In addition, there were suggestions that teaching practice institutes should offer systematic and well-organized training courses and that the short period of teaching practice and conveniences for trainees should be improved. This study then discussed the improvements that teaching practice institutes are expected to make for teaching practice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based on these results. 이 연구는 예비특수교사들이 교육실습을 마친 후 교육실습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실태를 분석하고, 교육실습에 대한 인식에서 성별, 사전실습 기간, 실습년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며, 예비특수교사들의 교육실습 기관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예비특수교사들의 교육실습에 있어서 교원양성대학과 교육실습 기관 즉, 특수교육 현장에서 교육실습 시 반영해야 할 자료를 수집하고자 하였다,설문지 문항은 학생이해, 지도교사의 역할, 교육과정의 이해, 교직관 확립, 교직실무 경험 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다섯 영역에서 예비특수교사들의 성별에 따른 유의차는 없었으며, 교육실습연도별 차이 검증에서도 유의차는 없었다. 교육실습 이전의 사전 실습 경험에 따른 차이에서는 지도교사의 역할 영역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다수 실습생들의 교육실습기관에 대한 요구는 체계적이고 짜임새 있는 교육실습지도계획이 바람직하며, 교육실습 기간의 짧음과 교육실습생들을 위한 업무편의 시설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었다. 향후 예비특수교사들의 교육실습은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실습기관에서 갖추어야 할 사항들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