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영유아 복지시설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이 교사- 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분석: 서울지역 영유아 복지시설 종사자를 중심으로

        최명주,서보람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7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9 No.-

        본 연구는 서울지역에 위치한 영유아 복지시설 종사자 148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분석하고,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중 업무 과부하가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교사효능감의 경우 일반적 교수 효능감이 개인적 교수 효능감보다 높게 나타났다.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경우 적극적인 활동 참여가 가장 높았으며 기타 하위영역들 또한 비교적 높은 수준을 보였다.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 중 원장 지도력 및 행정적 지원 부족 변인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가장 크게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효능감의 경우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전 하위영역에 걸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곧 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설명하는 수준 또한 매우 높게 나타나 강력한 영향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중 원장지도력 및 행정적 지원의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마련, 교사효능감의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제도 마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targeting 148 employees at child welfare facilities in Seoul, analyzed their job stress,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examined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teacher’s sense of efficacy o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analysis revealed that, of subjects’ job stress, workload was the most stressful, and that, in the case of teacher’s sense of efficacy, the general teaching efficacy sense was higher than the individual teaching efficacy sense. In the case of teacher-child interaction, positive participation in activities was the highest, and participation in other subarea activities was relatively high.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teacher’s sense of efficacy o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revealed that, of the job stress, a lack of the facility head’s leadership and a lack of administrative support had the greatest negative effects o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teacher’s sense of efficac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overall subareas of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higher the teacher’s sense of efficacy was, the higher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was. The teacher’s sense of efficacy offered a powerful explanation of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suggesting that it was a strong influential factor. Based on these findings of this study, this study suggested a need to prepare measures for enhancing the facility head’s leadership and the administrative support in relation to the employee job stress, and to prepare systems designed for increasing the teacher’s sense of efficacy.

      • KCI등재

        중학교 교장의 도덕적 지도성, 교사효능감, 교사공동체성, 교사의 직무만족 간의 구조 관계

        김기석(Kim, Kee-Sun),이윤식(Lee Yun Sik) 한국교육행정학회 2014 敎育行政學硏究 Vol.32 No.2

        이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 2010」에서 중학교 자료 를 사용하여 학교장의 도덕적 지도성과 교사효능감, 교사공동체성, 교사의 직무만족 간의 구 조 관계를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에서 도출된 가설을 중심으로, 학교장의 도덕적 지도성과 교사효능감을 독립변인으로, 교사공동체성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였으며, 교사의 직 무만족을 종속변인으로 구성하였다. 이들의 관계가 반영된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고 검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의 도덕적 지도성이 교사공동체성 및 교사의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 치고 있었다. 둘째, 교사효능감이 교사공동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교사의 직무만 족에 주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학교장의 도덕적 지도성과 교사효능감이 교사공 동체성을 매개로 하여 교사의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학교장의 도덕 적 지도성과 교사효능감이 교사공동체성을 매개로 하여 직무만족에 주는 중요성을 인식하여, 학교장의 도덕적 지도성, 교사효능감, 교사공동체성과 교사의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그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principal’s moral leadership, teacher’s efficacy,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eacher’s sense of community by employing the ‘Study of real condition of school education and level analysis’ conducted by The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Based on a hypothesis derived from empirical studies, the current study sets principal’s moral leadership and teacher’s efficacy as independent variables, teacher’s sense of community as mediation variables,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as dependent variables. By utilizing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at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principals’ moral leadership plays a positive role in increasing teacher’s sense of community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Secondly, even though teacher’s efficacy affects teacher’s sense of community positively, the actual influence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is not significant. Finally, the principal’s moral leadership and teacher’s efficacy play decisive roles in increasing teachers’ job satisfaction only if these variables were mediated by the teacher’s sense of community. Through the acknowledgement of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o-relations between principals’ moral leadership, teacher’s efficacy, teacher’s sense of community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in an empirical manner.

      • KCI등재

        특수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일-삶 균형이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장지현 ( Jang¸ Jihyun ),박재국 ( Park¸ Jaekook ),김은라 ( Kim¸ Eunra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2 No.3

        [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교사효능감, 일-삶 균형,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 수준을 파악하고, 교사효능감과 일-삶 균형이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여 향후 특수교사의 교사효능감, 일-삶 균형,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에 근무하는 특수교사 251명을 대상으로 교사효능감, 일-삶 균형,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특수교사의 교사효능감 수준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사의 일-삶 균형 수준은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사의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 수준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특수교사의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중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일반적 교수효능감과 개인적 교수효능감이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특수교사의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은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효능감 향상을 통해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을 극대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nse of efficacy, Work-Life Balance on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to present the future direction of program development to improve teacher’s sense of efficacy, Work-Life Balance, Teacher-Student Interaction. [Method] 251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Results] First, the level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nse of efficacy is positive. Second, the level of Work-Life Balanc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is normal. Third, the level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is positive. Fourth, among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Teacher-Student Interac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general teaching efficacy and personal teaching efficacy, which are sub-factors of teacher efficac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we will use it as basic data to develop programs to improve the teacher efficacy, work-life balance, and level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of special teachers. Also it can be used as evidence when planning a counseling program for people having difficulties in teacher-student interaction.

      • KCI등재

        예비보육교사의 교사역할인식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보육실습기관 관련 변인의 영향

        남미경(Nam Mik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6

        본 연구는 보육실습이 예비보육교사의 교사역할인식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보도국실습기관 관련 변인을 중심으로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예비보육교사 53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대상 학생들은 K시의 4년제 대학 보육관련학과 3학년 학생들로써 2006년 6월~8월 중에 4주간의 보육실습을 경험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의 보육실습 전ㆍ후에 교사역할인식 및 교사효능감에 대해 조사를 하였고 보육실습을 마친 후 보육실습기관 관련 변인에 대한 기초 조사와 실습과정에 대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예비보육교사의 교사역할인식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보육실습기관 관련 변인으로는 보육실습기관의 설립별 유형, 보육교사의 경력과 보육실습담당학급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실습과정에 대한 면담결과에서도 보육실습기관 관련 변인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ables related to a child care center of student teaching on a teacher's role awareness and the teacher's sense of self-efficac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3 child care student teachers of D university, in K city, They experienced student teaching for four weeks. The instruments used were 'The Scale of Teacher Role Awareness', 'The Scale of Teacher's Sense of Self- Efficacy', 'The Survey of Variables related on Child Care Center' and 'The Interview tools on Student Teach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student teaching on the child care student teacher's teacher role awareness were revealed.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child care student teacher's 'The Scale of Teacher Role Awareness' by the child care center type, cooperative teacher's career and class (by children's age) of student teaching, after student teaching in the child care center.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child care student teacher's 'The Scale of Teacher's Sense of Self- Efficacy' by the child care center type, cooperative teacher's career and class(by children's age) of student teaching, after student teaching in the child care center.

      • KCI등재

        숲 체험활동에 참여하는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김해경,김승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학논집 Vol.21 No.4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teacher’s sense of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ing in forest activitie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program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ree stages – literature review, requirement survey, and composition of program.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investigated targeting 23 early childhood teachers of the experiment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20 early childhood teachers of the comparison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The program was composed of the purpose and the goals,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s, operation, and evaluation. In particular, the program focused on helping the teachers overcome fear and vagueness that the teachers were facing during forest activities. Also, the program emphasized helping the teachers actively interact with children by acquiring professional knowledge about forest activities and diverse teaching-learning methods. As a result, the program contributed to improving teacher’s sense of efficacy about forest activities. This result indicates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eacher’s sense of efficacy for successful forest activities, and that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teacher’s sense of efficacy should be operated continually. 본 연구의 목적은 숲 체험활동에 참여하는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프로그램 개발은 문헌연구와 요구도 조사, 프로그램 구성 등 세 단계를 거쳐 이루어졌다. 프로그램 효과는 교사교육에 참여한 실험집단 교사 23명과 교사교육에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프로그램 구성은 목적 및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운영, 평가 등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프로그램은 교사들이 숲 체험활동에서 나타나는 두려움과 막연함을 극복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또한 숲 체험활동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습득함으로써 교사들이 유아와 활발하게 상호작용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결국 본 교사교육 프로그램은 숲 체험활동에 대한 교사효능감 향상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숲 체험활동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사효능감 증진이 필수적이여, 교사효능감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지속해서 시행되는 것이 필요함을 가리킨다.

      • KCI등재

        유아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귀인, 교사효능감이 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력

        홍종원 ( Hong¸ Jong-wo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1 아동교육 Vol.30 No.3

        본 연구는 유아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귀인 및 교사효능감이 유아 교사의 역할수행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과 경력별 교사집단별로 어떠한 영향력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유아 교사 30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변인별 통계치 산출, 단계적 방식의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유아 교사 역할수행 전체에 미치는 영향력 결과에서 직무 스트레스의 행정적 지원 부족은 부정적 영향력, 개인적 교수 효능감은 긍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 교사 역할수행 하위변인별로 미치는 영향력 결과에서 직무 스트레스의 행정적 지원 부족과 대인관계 변인은 부정적 영향력을, 내적 귀인과 개인적 교사효능감 변인만이 긍정적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력별 유아 교사집단에 미치는 영향력의 구조적 관계는 저 경력 교사집단은 개인적 교수 효능감만이 고경력 교사집단에서는 내적 귀인과 개인적 교수 효능감이 긍정적 영향력을, 그리고 대인관계 스트레스는 부정적인 영향력이 나타났다. 두 집단은 공통으로 개인적 교수 효능감이 교사역할 수행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v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job stress, attributional type, and teacher’s sense of self-efficacy on the performance of early childhood educator, and how their influence varies depending on the short-term and long-term experienced teaching groups. A total of 309 kindergarten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lack of administrative support in the job stress has negative effect and the personal teaching efficacy in the teacher’s sense of self-efficac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overall early childhood educator's role performance. and Lack of administrative support in the job stress negatively affects routine plan and implementer along with counselors and advisors in the role performance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The interpersonal stress in the job stress had a negative effects on administrative services and managers in the role performance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For short-term experienced teachers, only the personal teaching efficacy of teachers' sense of self-efficac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role performance of short-term experienced early childhood educators. For long-term experienced teachers, inner attributional type and personal teaching efficac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role performance of teachers. The interpersonal stress in the job stress had a negative affects in the role performance of long-term experienced early childhood educators. The personal teaching efficacy of teachers' sense of self-efficacy has the greatest effects on the role performance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in both groups.

      • KCI등재후보

        보육교사의 영유아 아동학대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윤서연(Yun Seo Yeon),김성현(Kim Seong Hyun)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4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학대와 관련된 교사변인으로 알려져 있는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 자아존중감, 교사의 효능감, 사회적 지지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을 통해 내실 있는 아동학대 예방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동학대에 대한 심각성이 지속적으로 논의되고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보육기관에서 아동학대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수행을 기반으로 내실 있는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축적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직급, 경력, 어린이집 유형 등의 배경 변인을 기준으로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 자아존중감, 교사의 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관련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보육교사 및 원장 172명에게 수집하였으며,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 실행척도’, ‘자아존중감 평정 척도’, ‘교사의 효능감 척도’, ‘사회적지지 척도’를 사용하여 수집되었다. 모든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독립표본 t 검증과 일원변량배치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직급에 따른 교사의 효능감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는 직급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경력에 따른 제반변인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기관 유형에서 직장어린이집이 국공립어린이집에 비해 사회적 지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 자아존중감, 교사의 효능감, 사회적지지 간의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 실행, 자아존중감, 교사의 효능감, 사회적 지지의 체계들을 연계하여 교육할 수 있는 아동학대 예방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둘째, 교사의 배경변인에 적합한 요인들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constructing a substantial child abuse prevention program by examining child abuse-related childcare practices, self-esteem, teacher efficacy, and social support, which are known as teacher‘s child abuse-related variables. Although the seriousness of child abuse continues to be discussed and various programs are provided, child abuse still occurs in child care institutions. Therefore, it is judged that basic data for substantial child abuse prevention can be accumulated based on the performance of this study. In this study, the differences in childcare practices respecting the right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self-esteem, teachers efficacy and social support were examined based on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teacher s rank, career, and type of daycare center. In addition, correlations of related variables were analyze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72 childcare teachers and principals, and were collected using the Respect for Infant Rights Childcare Practice Scale , Self-Esteem Rating Scale , Teacher s Efficacy Scale , and Social Support Scale . Al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0.0 program, and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 s moment correlation analysis method were used as analysis methods.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teacher s sense of efficacy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eacher. There were no differences according to rank in the implementation of childcare that respects the rights of infants and toddlers,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lso, there was no difference in various variables according to career. Secon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childcare practices that respect the right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self-esteem, teacher efficacy, and social support. The conclusions draw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for a child abuse prevention program that can educate by linking the systems of teachers respect for children s rights and childcare practices, self-esteem,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social support. Second, it is required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that can reinforce factors suitable for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 KCI등재

        교사효능감이 보육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및 직무스트레스의 조절효과

        김은숙,이미애 중소기업융합학회 2019 융합정보논문지 Vol.9 No.9

        본 연구는 교사효능감이 보육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및 직무스트레스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만 5세 유아 348명과 해당 유아의 담임교사인 보육교사 348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을 검증했다. 매개효과는 Sobel test를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이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둘째 교수효능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수효능감이 보육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직무스트레스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하여 보육교사의 행복감을 높이기 위해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This research is analyzed the effect of teacher’s sense of efficacy from childcare teacher on happiness. The aim is to verifying the interactional medium effect and regulating the result of job stress regulating result between teacher and children. Therefore, the 7th of survey data from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as referenced in this paper. The respondents of this data are 348 children who just 5 years old and those teachers in . The final results were verified by adopting hierarchical analysis. Likewise, the results also showed the medium effect by the sobel test. Based on the results, it was shown that firstly, the teacher’s sense of efficacy from childcare teacher has a positive impact on happiness. Secondly, there is a medium effect creating by interacted between teacher and children. Thirdly, the influence between happiness and the teacher’s sense of efficacy lead to regulating the result of job stress. Hence, for increasing the happiness of childcare teacher, it is necessary to seek a program with practicality.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그릿과 창의적 인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황연주(Yeonju Hwang),황희숙(Heesook Hwang),이새별(Saebyeol Lee) 인지발달중재학회 2021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2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을 향상할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창의적 인성,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 및 그릿과 창의적 인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 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본 연구를 위해 B 지역에 소재한 대학의 예비유아교사 210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및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창의적 인성, 교사효능감에 대한 인식수준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창의적 인성, 교사효능감 간의 모든 관계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창의적 인성이 교사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예비유아교사의 그릿과 창의적 인성이 교사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증진을 위한 다양한 접근방법으로 그릿과 창의적 인성을 활용하도록 하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ve impact of grit and creative personality on the sense of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s: In this study, 210 pre-service early childhood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were surveyed Data processing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to perform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grit, creative personality, and sense of efficacy were slightly higher than normal. Second,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appear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creative personality, and teachers’ sense of efficacy. Third, grit and creative persona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sense of efficacy.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grit and creative persona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sense of efficac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rit and creative personality enhances a teachers’ sense of efficacy.

      • KCI등재

        학교조직 효과성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적 분석

        박균열(Park, Kyun?Yeal) 한국교육행정학회 2021 敎育行政學硏究 Vol.39 No.5

        본 연구는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 교사의 임파워먼트, 교사효능감, 학교조직 효과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설정하여 가설적 경로모형의 적합도를 탐색하고 직․간접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도출된 본 연구의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X2=266.777(df=48, p <.001), RMR=.032, CFI=.916, NFI=.900, GFI=.905, AGFI=.846로 도출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조직의 효과성은 학교장이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교사의 효능감을 고려하여 변혁적 지도성을 발휘할 때 그 효과가 제고된다. 둘째, 학교장이 변혁적 지도성을 발휘하면 교사가 임파워먼트를 제고한다. 셋째, 학교장이 변혁적 지도성을 행사하면, 교사가 효능감을 긍정적으로 갖는다. 넷째, 교사가 임파워먼트와 효능감을 높게 갖고 있으면 학교조직 효과성은 제고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uitability of the hypothetical path model and to identify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relationships by establishing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the teacher"s empowerment, th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the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fit index of the model of this study derived from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is X²=266.777(df=48, p <.001), RMR=.032, CFI=.916, NFI=.900, GFI=.905, AGFI =.846.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 enhanced when the principal exerts transformative leadership in consideration of the teacher"s empowerment and the teacher"s sense of efficacy. Secondly, when the principal exerts transformative leadership, teachers increase their empowerment. Thirdly, when principals exercise transformative leadership, teachers have a positive sense of efficacy. Fourthly, if the teacher has a high sense of empowerment and efficacy,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 impr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