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려 원림을 통해 본 이자현과 이규보의 차문화 공간

        고연미 ( Ko Yeon-mi ) 원광대학교 한국예다학연구소 2018 한국예다학 Vol.6 No.-

        본 연구는 고려시대 이자현이 조성한 현존하는 문수원(文殊院)과 이규보가 집필한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文集)』의 원림기(園林記)를 주제로 차문화 공간의 특성을 살펴본 시론이다. 고려 원림을 묘사한 차그림(茶畵)에는 금기서화(琴棋書畵)가 주요 문예활동이었으나 문헌상 기록은 좀 더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었다. 문수원을 차문화 공간으로 상정할 수 있는 근거는 그가 문수원에 주석하였을 때 예종과 인종이 차를 하사한 기록이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동문선(東文選)』에 남아있고, 이자현이 입산 후 37년간 문수원을 떠나지 않고 북원 선동(仙洞)에서 수행을 한 데 있다. 주요 수행처인 선동일대에는 이자현이 해서체로 ‘청평선동(淸平仙洞)’, ‘청평식암(淸平息庵)’이라 새긴 각자(刻字)가 현존하며, 그가 조영한 산(山)이 투영되어 보이는 ‘영지(影池)’도 고려 원림의 대표적 상징물로 현존하고 있다. 수행 및 음다 공간으로서 문수원은 불도융합도장이자 사관원림(寺觀園林)이기 때문에 그 조형적 특징은 가치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동국이상국집』에서 차문화 공간으로 볼 수 있는 원림기는 「태재기(泰齋記)」와 「손비서 냉천정기(孫祕書冷泉亭記)」였고, 모두 샘물을 주제로 전자는 전차(煎茶)를, 후자는 점천(點荈)을 논하였다. 이규보 자신의 원림기 중 「사가재기(四可齋記)」「사륜정기(四輪亭記)」는 도가적 은일과 창의적 사고가 돋보였으나 차와 관련된 기록은 앵계초당(鶯溪草堂)을 주제로 한 고율시(古律詩)에 나타났다. 이를 통해 이규보가 전원생활과 육우의 차 정신을 동경하며 소박한 차문화 공간을 지향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ea culture space titled with “Munsuwon” gardened by Lee Ja-hyun and Essay on Private Gardens of Dongguk-isangguk-jib written by Lee Gyu-bo. Although literary activities called Geumgiseohwa in tea pictures depicting private gardens in Goryeo was a major theme, written records show more various activities. The History of Goryeo, Essentials of Goryeo History and Dongmunseon provide historical evidence that Munsuwon is a location of tea culture give the fact that Lee Ja-hyun received teas during the reign of King Yejong and Injong and Lee Ja-hyun conducted practiced religious act in Seondong adjoining to Bukwon by staying in Munsuwon for 37 years after entering into the mountain. In reality, carved letters including Cheongpyeongseondong and Cheongpeyongseokam with his squared writing style remain intact in Seongdong where he primarily conducted religious behaviors. A pond called Yeongji that mirrors the mountain still remains as the representative symbol of private gardens in Goryeo. Munsuwon as a location of religious performance and drinking tea is its value greater because of an integrated practice arena of Buddhistic and Taoistic austerities and a historic garden embodied Buddhistic and Taoistic idea. The Essay on Private Gardens as a location of tea culture in Dongguk-isangguk-jib written by Lee Gyu-bo includes Taejegi and Sonbiseo Naengcheonjeonggi, all of which cover spring water. The former discusses boiling tea, while the latter covers whisking tea. Sagajaegi and Saryunjeonggi of his essays on private gardens are characterized by Taoistic seclusion and creative thought, a Goyul poem based on Aenggyechodang includes records associated with tea. It was found that Lee Gyu-bo aimed for a rustic location of tea culture, eagering for rural life and Lu Yu’s tea spirit.

      • KCI등재

        차나무 영양계품종의 육성연한 단축방안

        정병춘(Byeong-Choon Jeong),송연상(Yeon-Sang Song),문윤호(Youn-Ho Moon),한선경(Seon-Gyeong Han),방진기(Jin-Ki Bang) 한국차학회 2006 한국차학회지 Vol.12 No.3

        The big problem of tea tree cultivation in Korea is that almost all tea tree gardens have been making with tea tree seeds gathered from the native land or artificial tea tree gardens. The second problem is that those seedling gardens are located in mountain slopes. These situations cause lower yield and make it difficult to mechanize tea farming, which in turn raises production cost and consumer price. In the case of seedling tea tree fields made with true seeds, over 80% of total tea tree gardens, are different in sprouting time and growth type among individuals and as a result, yield decreases and the quality of products is not uniform.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supply clonal cultivars with disaster-resistant, high quality and high yielding features. The tea products made from the leaves of these tea cultivars must fit to koreans 'taste, and must be expanded to tea tree garden in plain areas. Another important thing is to improve safer material by adopting the environment-friendly cultivation practices. In addition, efforts should be exerted to lower production and processing costs for a lower consumer price, and to promote high quality. The other important things for popularization of tea consumption at home and export to overseas markets by organizing and enlarging of farmers or factories for tea products.

      • KCI등재후보

        후시안(不審庵)의 노지(露地)에 관한 연구

        최미영,이소민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0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6 No.2

        Fushin'an is the collective name of Omotesenke (表千家) that inherits the tea ceremony rules and ideas of Sen no Rikyū. Also Roji (outdoor location) refers to the gardens in front of the teahouses. The tea-room garden, or in other words, the heart of the Roji, allows for momentary self-reflection that comes from each step taken on the stepping stones placed in the garden. It is only then that one can return to the teahouse afterwards and reach nirvana through the act of brewing tea. Japanese tea ceremonies are ‘provincial’ (道) and Sen no Rikyū defines them as a concept that is separate from tea ceremonies for enjoyment. Tea ceremonies place central importance on that which is internal rather than form, and when the Roji is composed, self-purification functions of the heart are essentially needed. With this, the Roji is special compared to other garden styles. This specialness of the Roji is simple but astonishing. Here, curiosities form as to what point of specialness of the Japanese tea ceremony allowed the Roji to take its place as a Japanese garden style. With this, examinations are made of the space composition, components, and plant elements of the tea-room garden of Fushin'an, or the Roji, to find out. 후시(不審庵)1)안은 센노리큐(千利休)2)의 다도법칙과 사상을 그대로 계승하고 있는 표천가(表千家)를 통틀어 부르는 이름이다. 그리고 노지는 다실 앞 정원을 말한다. 다실 정원, 즉 노지의 핵심은 정원에 놓인 디딤돌을 한 걸음 한 걸음 내딛는 발걸음에서 생겨나는 찰나의 자기생각을 하게 하는 것이다. 그런 후에야 다실에 들어가 차를 타는 행위에서 자기해탈에 이를 수 있다. 일본다도는 ‘도(道)’이며 즐기는 차노유(茶の湯)와는 별개의 개념으로 센노리큐가 정립을 한다. 다도 핵심은 형식보다 내면을 중요하게 생각하는데, 노지를 구성할 때. 필히 마음의 자정작용을 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에서 노지는 다른 정원양식보다 특별함을 가진다. 이러한 노지의 특별함은 어디에서 비롯되는지, 경험하는 이로 하여금 어떠한 점이 감탄을 자아내는지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게 한다. 그렇다면 일본다도의 어떤 특별한 점이 노지가 일본 정원양식의 하나로 자리 잡았는지 궁금해진다. 그리하여 후시안의 차실정원, 즉 노지의 공간구성, 구성요소, 식물요소를 고찰하여 찾아보려고 한다.

      • KCI등재

        카츠라리큐(桂離宮, 계리궁)의 형성배경 및 공간특성

        염성진 ( Sung Jin Yeom ),안승홍 ( Seung Hong An ),윤성융 ( Sung Yung Yoon ),윤상준 ( Sang Jun Yoon ),손용훈 ( Yong Hoon Son ),이원호 ( Won Ho Lee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5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3 No.4

        한국과 일본의 정원문화는 공통적으로 중국의 원림문화의 영향을 받아 발전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각 서로 다른 정원문화의 발전을 통해 정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대표적 정원조성양식인 회유식정원의 원류인 일본의 황실정원인 카츠라리큐(桂離宮, 계리궁)의 정원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한 형성배경 및 조성주체를 파악하고 현장조사 및 관리자 인터뷰를 실시하여 공간구성요소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서. 일본의 정원문화에 있어서 중요한 사례인 카츠라리큐에 대한 기초적 지견을 얻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카츠라리큐는 겐지이야기(源氏物語, 원씨물어)에 기반을 둔 왕조문학을 통해 와카(和歌, 화가)에 통달한 토시히토친왕(智仁親王, 지인친왕)과 아들인 토시타다친왕(智忠親王, 지충친왕)에 의해 2대에 걸쳐 약 30년에 달하는 기간을 들여 완성한 최초의 치센슈유(池泉舟遊, 지천주유)카이유시키(回遊式, 회유식)정원으로 정원의 공간구성은 크게 육상과 섬, 수공간으로 구분되며 총36개의 공간구성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카츠라리큐는 쇼킨테이(松琴亭, 송금정), 쇼카테이(賞花亭, 상화정), 쇼이켄(笑意軒, 소의헌) 등의 다정(茶亭)을 두어 원지(園池)를 중심으로 주유(舟遊)를 주목적으로 조성되었으며 이는 당시의 놀이문화를 정원에 도입한 것이다. 셋째, 원지의 서쪽에 위치한 건축물인 코쇼인(古書院, 고서원)의 북쪽에 성토를 하고 돌담을 쌓아 주변보다 높은 지형을 형성하고 그 위에 차정인 겟파로(月波樓, 월파루)를 만들어 카츠라리큐만의 경관특성인 동산에 떠오르는 달을 조금이라도 오랫동안 즐기려 하였다. The garden culture of Korea and Japan have been commonly influenced by Wonrim culture of China. Nevertheless, each culture has been settled down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two separate garden cult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formation background and main agent of development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gardens in Japanese Imperial Garden Katsura Imperial Villa, which is the origin of the representative garden making style.Circuit Style Garden, to look into the characteristic of spatial organization elements by conducting on-site survey and interview with a garden manager, and to obtain elementary views on Katsura Imperial Villa which is an important case of Japanese garden culture. As a result; first, Katsura Imperial Villa is the first jicheol juyu(round tour of ponds and springs) circuit style garden created by Toshihito Emperor and his son Toshitada Emperor, who were well-versed in Waka through the dynasty literature based on the story of Genji throughout about two generations lasting about 30 years; space composition of this garden is divided into land, island and water space, being composed of a total of 36 space components. Second, Katsura Imperial Villa was created with the primary goal of making a round tour around the garden land by arranging tea pavilions, such as Shokintei, Shokatei and Shoiken, etc., which introduced the then game culture into the garden. Third, the personnel in Katsura Imperial Villa intended to enjoy the scenic characteristics of the area where Katsura Imperial Villa was located from the interior of the garden by making Gepparo which was a tea pavilion for enjoying the rising moon on the hill even a litter faster and longer by piling up earth and setting up stone walls north of Koshoin which was a structure located west of the garden land.

      • KCI등재

        17-18세기 런던 기호음료의 변화: 술에서 차로

        정동준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8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48

        This article aims to give a succinct explanation of the trend changes in Londoners' beverage consumption along with the time. Coffee, the sober drink landed successfully in London by differentiating with alcohol. After the Great Fire of 1666, London was totally rebuilt. Since 1670, this city had become the most influential port, a metropolis surrounded by satellite cities, and the world’s financial center. The population growth and the expansion of numerous specialized jobs contributed to the giant economic leap for London. Coffeehouses kept pace with the developments in this city. They served many useful functions, such as a branch of the post system, a business office, social space, an expert-led conference site involved in trade and sailing, as well as a facility for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newspapers. etc. The experts in various fields came into their coffeehouse of choice to exchange their information or carry on their business. These meetings created a culture of exclusiveness in the coffeehouse space and ultimately led to its decline. The culture of tea in London was formed late in the Seventeenth Century. The tea culture maintains its open elements such as those of the early coffeehouses. Because they heal Londoners, they provide amusements or opportunities to socialize with other people, tea gardens and pleasure gardens became more and more popular. There, people take tea, enjoy a light meal, see the circus and fireworks, dance, and love each other. Women were allowed free access to these tea gardens, unlike the coffeehouse. Persons of both sexes can have a tea party everywhere in the city, in the open air, and at home. Unlike coffee beans, tea does not require roasting or grinding. Therefore many Londoners were feverish in their longing for Chinese tea and tea sets, in spite of their high cost. The British government endeavored to make tea a global trade commodity. Therefore, alcohol's monopolization as London’s once-favorite drink was broken by the coffee culture, and coffee lost its dominance by tea.(Daejin University) 각성의 음료인 커피는 알코올과의 차별화를 통하여 런던에 성공적으로 상륙하였다. 런던은 1666년 대화재 이후 짧은 기간(20-30년)에 국제무역 선도항구로서 여러 위성 도시들을 거느린 메트로폴리스로 성장하고, 인구가 폭증하였다. 여기에 발맞추어 커피하우스는 다양한 기능-체신보조기능, 비즈니스와 사교를 위한 공간, 무역항해 관련 업무의 처리, 뉴스의 생산과 소비-을 소화하는 다기능의 열린 공간이 되었다. 그렇지만 전문가 집단들이 반복적으로 모여 정보를 교환하고 업무를 처리함에 따라, 커피하우스는 과거의 개방성을 잃고, 이들만의 폐쇄적인 공간으로 변질되었다. 17세기 후반 영국에 상륙한 차(tea)는 개방성과 사교성에서 커피와 라이벌이었다. 티 가든과 놀이공원은 런던 시민들의 인기있는 오락사교의 공간이었는데, 이곳에서 사람들은 식사를 하고 차를 마시고 춤을 추었다. 커피와 달리 차는 여성에게도 접근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로스팅과 원두의 분쇄처럼 번거로운 공정이 필요 없기 때문에, 차는 야외나 가정에서 즐길 수 있었다. 고가의 중국산 차와 다기(茶器)들도 차의 인기를 증대시켰다. 그리고 수익 면에서 차가 커피를 누르자, 영국 정부도 차를 무역상품으로 세계화시키는 데에 노력하였다. 그리하여 런던 기호품의 주도권은 술에서 커피로, 그리고 커피에서 차로 넘어갔다.

      • 1960~1980년대 국산홍차의 생산과 유통 : 전라남도 보성을 중심으로

        정은희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7 論文集 Vol.39 No.-

        This paper deals with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domestic black tea during the 1960s-1980s. Since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in 1945, black tea has been the 2nd favorite beverage followed by coffee, far more consumed than green tea. After the alteration and adulteration of the black tea in the 1970s, the black tea has lost popularity gradually. Domestic black tea production in industrial scale with national distribution channel has started by Daehan tea and Hankook tea based on Bosung tea garden, followed by major food company, Dongsuh Food and Amore Pacific. Domestic black tea production has been in the forms of loose leaf, tea bag. and other instant teas. In order to gain popularity for tea, green tea-centered production and tea culture should be expanded to black tea culture.

      • KCI등재

        가오별업(嘉梧別業)의 복원 설계를 위한 공간구성 및 정원 특성에 관한 연구

        노재현 ( Rho Jae-hyun ),김순기 ( Kim Soon-ki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8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6 No.3

        본 연구는 조선 말기 대표적 정치인이며 경세가, 그리고 다인이었던 귤산 이유원의 은거 유적인 남양주 천마산 기슭에 위치한 가오별업의 공간구성과 정원 특성을 고구함으로서 향유 별서원림 복원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문헌고찰과 시문 분석 그리고 현장조사와 주민인터뷰를 결과를 종합해 얻은 가오별업의 정원 모습은 다음과 같다. 종남산을 상징하는 ‘귤산’이라 자호한 이유원은 왕유의 망천별업과 서계 박세당의 은거 및 별서 경영을 동경하고 이를 스스로 실현하기 위해 선영이 있는 양주 가오곡에 별업을 조성하였다. 천마산 아래 가오곡을 중심으로 조성한 가오별업은 크게 내원과 외원으로 구성되며 별업공간의 영역은 ‘가오복지’ 바위글씨 표식으로부터 시작된다. 가오별업의 내원은 사시향관, 오백간정, 임하려, 퇴사담 등의 건물과 행랑채 주변의 채원과 후원의 과원을 주요 정원구성요소로 하였으며 내원으로부터 약 850m 떨어진 상부에 조성된 영귀정은 별업 속에 또 다른 별서로서의 이중적 공간구성을 보인다. 가오별업의 내원은 장서각이자 고동서화의 보관소로서 사랑채 역할을 한 사시향관과 익랑 형태로 연결된 작은 사랑채 오백간정이 있었으며 주변에는 유상곡수거가 시설되었다. 또한 서재이자 벽려원(薜荔園)이라 편액한 임하려는 별업 가장 높은 곳에 입지한 서옥이자 다실이었다. 방지원도형의 연당 퇴사담에 도입된 태호석 이외에도 가오별업에는 여러 기의 태호석이 도입되었으며 내원에는 다양하고 희귀한 정원 식물들이 식재되었는데 이는 이 시기 원예취미 사조 및 이유원의 재력과 고동서화 수집과도 무관하지 않다. 한편 별업에서 만회암으로 이르는 가오천계곡에 세운 영귀정 일원은 이유원 시기 이후 옥산 또는 우암이란 호를 가졌던 또 다른 인사가 향유했던 명소 ‘우암폭’이었던 곳으로 보인다. 이유원은 우암폭을 제삼폭으로 규정하고 ‘귤산’이라 새김으로서 이곳이 자신의 별업 영역임을 알렸으며 이곳에 영귀정을 세우고 주변에는 다수의 복사나무를 심어 도화경을 재현하였다. 영귀정 상부에는 만회정에 이르는 교량 앞에 새겨진 벽파동천 바위글씨는 가오복지 속에 형성된 또 다른 선계로 가름된다. 이유원은 그가 중창에 큰 역할을 한 사찰 만회암 후면 계곡의 거대한 바위에는 제일산이라 바위글씨를 새겨 이곳이 가오별업 외원의 종국임을 알렸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현장연구에 의해 가오곡 일대의 별업 흔적을 추정한 것으로 현재까지 확인된 현장 유적에 의해 추정된 결과이다. 제일산과 제삼폭 사이의 제2의 경물이나 바위글씨를 확인을 위한 노력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향후 시굴조사 등을 통해 가오별업의 정확한 배치특성이 밝혀지기를 기대한다. 이를 위해서는 특히 가오별업 복원을 위한 남양주시의 관심과 역할이 있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baseline data for designing restoration of Gaobyulup, researching space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gardens of Gaobyulup, which located in the foot of Cheonmasan Mountain in Namyangju. Gaobyulup is a remain in retirement of Gyulsan Yu-Won Lee, a representative politician, administrator, and tea drinker in late Joseon Dynast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bout the shape of Gaobyulup deducted through reference review, poetry and prose analysis, an on-the-spot survey and residents’ interview are below: Lee, who used pseudonym as ‘Gyulsan,’ which menas Jongnamsan Mountain, yearned Mangcheonbyeoreop(辋川別業) by Yu Wang and retirement with a country house operation by Seogye Sedang Park. In the persuit of this ideal, he created and operated a country house in Gaogok of Yangju, which a family burial ground was located. Gaobyulup, which located in Gaogok in the lower part of Cheonmasan Mountain, was largely composed outer and inner gardens, and the area of house operation was started from a stone post of Gaobokji The inner garden of Gaobyulup was including major garden components like buildings, such as Sasihyanggwan, Obaekganjung, Imharyoe and Toesadam, and Chaewon near Haengrangchae, and Gwawon in an backyard. In addition, Younggwijung pavilion, which located 850m away from Gaobyulup, was the another country house inside the Byulup, thus Gaobyulup shows a duplex space formation. In the inner garden of Gaobyulup, there are Sasihyanggwan, which had functions of Sarangchae as library and depository of old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nd Obaekganjung, a small Sarangchae which connected with Sasihyanggwan in the form of a transept. Yusanggoksuger located near Obaekganjung. Additionally, Imharyeo, a library with a tablet of Byeokryowon(薜荔園), which located in the highest point in Byulup, has the functions of a reading room and a tea house. Many Taihu stones were located not only in Toesadam, a square-formed pond with lotus but also many places in the inner gardens. And rare garden plants were planted. These were closely related to the trend of horticulture for pleasure, wealth, and collecting old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for pleasure of Lee. Meanwhile, the area of Younggwijung pavilion, located in Gaocheon stream fall from Byulup to Manhoiam, looks like Wooampok, a enjoying place of other personages, who use their pseudonym as “Oksan” or “Wooam” Lee identifies Wooampok as “Jesampok” and carved ‘Gyulsan’ s he declared this place is his operating area. Lee built Younggwijung pavilion and planted many peach trees for recreation of utopia. The stone letters of Byukpadongcheon, located in front of a bridge in the foreside of Younggwijung pavilion, seems another enchanted land created in Gaobokji inside. Lee carved Jeilsan in huge rock on the falls rear Manhoiam temple, which Lee did great role of foundation of the temple, so he identifies that this place was the end of the outer garden of Gaobyulup. This study tries to estimate traces of the country house in Gaogok through reference review and on-th-spot survey, and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presumed based on site remains only conformed today. It needs to discover second scenary or stone carved letters between Jeilsan and Jesampok. Additionally, exact formation characteristics of Gaobyulup should be identified through excavation survey later. To do so, an interest and a major role of Namyangju-si must be equipped for future restoration of Gaobyulup.

      • KCI등재

        개항기 인천 근대정원의 조영특성에 관한 기초연구 - 리키다케 별장을 중심으로 -

        진혜영,신현실 한국전통조경학회 2020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formation of modern garden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Jemulpo in Incheon and the details of the modern garden constru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ormation of the Incheon Residence Site began in 1876 with the signing of the Joseon-Japan Treaty. Jemulpo used to be a desolate fishing village in the past, but after its opening in 1881, the Japanese settlement, Chinese settlement, and the general foreign settlement were formed. After that, Japan reclaimed the southern mudflats and expanded the theire settlement area, and advanced to the Joseon area(currently Sinheung-dong). In Japanese colonial era, modern Japanese urban landscapes were transplanted into the settlement area, centering on the Japanese modern gardens were distributed in the area around the center of the settlement area. Second, after examining the process of creating the garden for the Rikidake villa, Japanese Rikidake purchased a site for an orchard in Uri-tang, who was a major landowner in Incheon, to create the garden. At the time of Rikidake's residence, the garden was very large, measuring about 3,000 pyeong, and after liberation, it was acquired by Incheon City and used as Yulmok Children's Library. It was known as a rich village at the time of the opening of the port, and a garden was located at the highest point in Yulmok-dong, making it easy to see the Incheon Port area. Also, a spot located about 300 meters away from Rikidake's rice mill may have affected the location selection. Third, today's Rikidake villa has a Japanese-style house on a trapezoidal site, with a garden of about 990 square meters on the south side. Currently, it is possible to enter from the south and from Yulmok Children's Park in the north, but in the past, the main direction of the house was to view the Incheon Port, settlement area, and the Rikidake Rice Mill, so the house was located in front of the garden. The garden is a multi-faceted style with stone lanterns, tombstones, garden stones, and trees placed on each side, and is surrounded by arboreal plants such as attention, strobe pine, and maple trees, as well as royal azaleas. The view from the inside of the house was secured through shrub-oriented vegetation around the house. 본 연구는 근대정원의 형성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인천 제물포의 조계지 형성 및 변화과정을 분석하고 이곳에 조성된 근대정원의조영 내용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천 조계지의 형성은 1876년 조일수호조규 체결을 계기로 본격화되었다. 과거 제물포는 황량한 어촌이었으나 1881년 개항이후 일본 조계지와 청국전관조계 및 각국공동조계가 형성되었다. 이후 일본은 남쪽 갯벌지대를 매립하여 조계지를 확장했고, 조선지계(현신흥동 일대)로 진출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전관조계를 중심으로 일본의 근대도시경관을 이식하였으며, 조계지의 중심가 주변지역에 근대정원들이 분포하고 있다. 둘째, 리키다케 별장을 대상으로 정원의 조성과정을 살펴본 결과, 일본인 리키다케가 인천의 대지주였던 우리탕의 과수원 부지를매입하여 정원을 조성하였다. 리키다케의 거주 당시에는 정원공간만 약 3,000평으로 매우 큰 규모였으며, 해방 이후에는 인천시에서인수하여 율목어린이도서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곳은 개항 당시 부촌으로 알려져 있었으며, 율목동 일대 가장 높은 곳에 정원이위치하여 인천항 일대의 조망이 용이했다. 또한 리키다케의 정미소와 직선거리로 약 300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점 또한 입지선정에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셋째, 오늘날 리키다케 별장의 정원은 석축을 쌓은 사다리꼴 형태의 부지에 복층의 일본식 가옥이 위치하고, 남측에 약 990㎡ 규모의 정원이 조성되어 있다. 현재 남쪽에서의 진입과 북쪽 율목 어린이공원에서의 진입이 가능하나 과거에는 인천항과 조계지, 그리고 리키다케 정미소를 조망할 수 있는 방향이 가옥의 주 향이었을 것으로 보아 정원을 앞에 두고 가옥이 위치했을 것이다. 정원은원로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석등과 비석, 정원석, 수목 등을 배치한 다정양식에 해당하며, 주변에 주목, 스트로브잣나무, 단풍나무등의 수목식재와 둥글게 전정한 철쭉과 영산홍이 주를 이루고 있다. 가옥 주변에는 관목 중심의 식재를 통해 가옥 내부에서의 조망을 확보하였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의 차산지에 관한 연구

        정은희 한국일본근대학회 2007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17

        This paper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ea culture and tea production regions in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Korean traditional tea culture has been succeeded n the forms of tuckcha, tea cake, baekwoonokpancha, and jaecksal. These traditional teas were produced mainly in Jeonnam Provnce, used as everyday drinks and medicinal purposes. Japanese the government-general in Korea encouraged to produce and use green tea. It developed Moodeung, Ogawa, and Bosung tea gardens in order to diffuse Japanese tea culture and assimilation and adaptation of Korean people, which was the root of the prevailing Korean tea culture today.

      • KCI등재

        제주도 차밭에 적합한 유기질 새싹비료의 선발 및 첫물차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고건희,이민석,이진호 한국차학회 2019 한국차학회지 Vol.25 No.4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a new organic fertilization system by evaluating the decomposition rate and nitrogen mineralization rate of organic fertilizers to select suitable and efficient fertilizers for Jeju tea gardens. The impact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the first green tea using the selected fertilizer was examin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itrogen mineralization rate of organic fertilizers was observed between soils. The highest nitrogen mineralization rates among organic fertilizers were guano and microbial complex fertilizers. Guano and microbial fertilizers had higher degradation rates than soybean meal, mixed milk meal, castor gourd, and bone meal at 10℃. The NH4+-N content was higher than 160 ∼ 300 g·kg-1 at 30℃, followed by soybean meal, mixed milk meal, castor gourd, and bone meal. Among them, the microbial composite fertilizer showed the fastest decomposition rate of more than 70 % between 10 and 20 days. The length of shoot, number of new shoots, the weight of the bud, and the number of leaves per shoo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reatments, but the emergence tende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fertilization rate. Therefore, the use of microbial fertilizers as a method of fertilization for tea fields in Jeju Island is expected to increase the amino acid content of green tea by more than 10%. 유기농 재배에서 고품질 차나무를 생산하기 위해 유기질 비료의 분해속도와 질소 무기화율을 평가하여 제주도 차밭에 적합한 유기질 새싹비료를 선발하였다. 그리고 선발된 유기질 비료가 첫물차의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화산회토 특징을 갖는 토양에서의 분해속도는 미생물 복합비료, 구아노, 혼합유박, 대두박, 아주까리박, 골분 순이었다. 이 중 미생물 복합비료가 10∼20일 사이에 70% 이상의 가장 빠른 분해율을 보였다. 아장, 아수, 아중, 엽수는 처리간 유의성은 없으나 생육을 평가하는 기준 중의 하나인 출개는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유기질비료를 통한 질소 공급량과 녹차의 맛에 관여가 높은 총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비례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비량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여 질소화합물이 시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결과 미생물 미생물 복합비료를 새싹비료로 활용하면 녹차의 품질지표인 아미노산 함량을 10% 이상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제주도 차밭의 유기농재배 체계에서 고품질의 첫물차 생산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