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개인정원의 시대별 일본정원 요소 적용과 영향요인 분석

        김정철,김도균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0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6 No.2

        Unlike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culture, the Japanese garden style has been long remained in the garden field, But it is time to differentiate the styles of Korean modern private gardens and escape from the Japanese garden style based on the influx and expansion of overseas gardening sty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etter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rivate gardens and to provide data on the application status and influencing factors of the Japanese garden style so that it can be developed into a unique garden style by grasping how much of the Japanese garden factors have been applied to Korean modern private gardens by period, and what are the factors that consistently remain. This study extracted and quantified Japanese garden factors applied to modern private gardens shown in garden magazines by planting type and facility type, and grasped the extent of application of the Japanese garden factors by period. Although Korean private gardens are developing with the diversification of garden styles and the expansion of garden materials such as planting trees and flowers compared to the past, it was shown that the influence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continues in the Korean garden culture. The application index of the Japanese garden factors was 40.0 points from postwar to 1970, 20.3 points from 1971 to 1980, 26.0 points from 1981 to 1990, 7.3 points from 1991 to 2000, 17.8 points from 2001 to 2010, and 16.3 points from 2011 to 2019. The application index tended to decrease with a slope of 4.1 from the Korean War to the present. It was shown that pruned pines such as Juniperus chinensis Kaizuka Variegata and pruned royal azaleas were frequently applied with an application frequency of 1.0 or higher among the Japanese garden factors. The frequency of application of facility factors such as laying stepping stone, intentional arrangement of natural stones, stone pagoda, or stone lanterns, was also high by 1.0 or higher. The reason for the continued application of Japanese garden factors in Korean private gardens was found to be largely influenced by the practical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of Japanese garden factors at the garden construction site, in a situation where garden personnel who design and construct a garden have little clear understanding of garden culture and garden styles. Therefore, this study raised the necessity of fostering technical personnel for garden construction who should continuously escape from the Japanese garden factors remained in Korean private gardens, and apply an independent and unique Korean garden style. 우리나라는 일제 강점시대를 지나 광복 75주년을 맞이하고 있으나, 정원 분야는 급격하게 변화하는 사회문화와 달리 일본정원 양식이 길게 잔재하고 있다. 최근에는 해외정원 양식의 유입으로 한국 현대 개인정원의 양식과 정체성을 확립하고, 해외 정원양식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야 하는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대 개인정원에 잔재하는 일본정원 요소가 시대별로 어느 정도 적용되었는가와 지속적으로 잔재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파악하여, 현대 개인정원이 가진 개성 표출을 강화하고, 고유한 정원양식으로 발전될 수 있도록 일본정원 양식 적용현황과 영향요인 자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정원관련 잡지 등에 나타난 현대 개인정원에 적용된 일본정원 요소를 식재유형, 시설물 유형에서 추출하여 계량화하고, 시대별로 일본정원 요소의 적용 정도를 파악하였다. 또한, 현대 개인정원의 설계 및 시공 과정에 참여한 주체에 따라 일본정원 요소 적용 영향요인을 선형 회귀분석으로 도출하였다. 한국 개인정원은 과거에 비해 다양한 정원양식이 전파되고, 정원소재의 다변화 방향으로 발전 중이나, 과거 일본 식민지 시대의 영향이 한국 정원문화에 잔재하여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정원 요소의 적용지수는 전후∼1970년까지 40.0, 1971∼1980년까지 20.3, 1981∼1990년까지 26.0, 1991∼2000년까지 7.3, 2001∼2010년까지 17.8, 2011∼2019년까지 16.3로, 한국전쟁이후부터 현재까지 일본정원 요소의 적용지수는 4.1의 기울기로 줄어드는 경향이었다. 일본정원 요소 중 가이즈까향나무와 같은 전정한 소나무류, 전정한 철쭉류의 적용빈도가 1.0 이상으로 즐겨 적용되었고, 징검돌 놓기, 의도적인 자연석 배치, 석탑, 석등 등 시설물 요소의 적용 빈도가 1.0 이상으로, 주로 도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 개인정원에서 일본정원 요소의 적용이 지속되는 원인은, 정원을 설계하고 시공하는 정원 전문 인력이 정원문화 및 정원양식에 대한 명확한 이해도가 낮은 상황에서 정원시공 현장에서 관행적으로 일본정원 요소를 적용하는 영향요인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한국 개인정원에 담긴 일본정원 요소의 지속적인 탈피와 독자적이고 독특한 한국정원 양식을 개발하고 확산시키기 위한 중요한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 KCI등재후보

        2019 청주가드닝페스티벌에 출품한 작가정원의 식재경향

        홍광표,이혁재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19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5 No.2

        The garden fair, which is held in various local governments with the Suncheon International Garden Expo is divided into artist garden and citizen student garden, and the garden is being created. In addition, although the planting design considering the four seasons is necessary because it is often preserved differently from overseas garden exposition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gardening, such as the opening period of the fair seems to be lacking in the planting design, which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garden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lanting trends the firearms and phenomena of the introduced plants and the planting methods of the seven model gardens selected for the second year of the Cheongju Gardening Festival in order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garden planting design. As a result of analyzing species flowering period and planting method of introduced plants based on the planting plan and field survey of each garden the number of trees introduced by each garden was greatly different and selection of species considering the time of the fair was universal. The difference in number of species in trees was caused by lack of understanding of plants and reduction of construction costs, and the selection of species by season was the result of the intention to maximize the image during the holding period due to the concentration of species flowering in spring and summer considering that the event time was from late May to early June.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examination manual and strengthen the examination of the planting in order to improve the planting design of the garden exposition in Korea. 순천국제정원박람회를 계기로 여러 지자체에서 개최되고 있는 정원박람회는 작가정원, 시민학생정원으로 구분되어 정원이 조성되고 있다. 또한, 해외의 정원박람회와 다르게 존치시키는 경우가 많아 4계절을 고려한 식재 디자인이 필요하지만, 박람회 개최기간을 최우선으로 조성되는 등, 정원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식재 디자인에 대해서는 부족한 점이 많이 보인다. 본 연구는 올해 두 번째로 연린 청주 가드닝페스티벌에 선정된 7개 모델정원을 대상으로 각각의 식재경향, 도입된 식물들의 화기 및 현상, 식재방식에 대하여 조사하여 정원식재 디자인의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각 정원의 식재계획도와 현장조사를 토대로 도입식물의 종, 개화기, 식재방식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각 정원별 도입된 수목의 종수는 차이가 크게 났으며, 박람회가 개최되는 시기를 고려한 수종선택이 보편적으로 나타났다. 수목의 종 수 차이는 식물에 대한 이해 부족 및 공사비 절감이 원인이었으며, 계절별 수종선택은 행사시기가 5월 말∼6월 초인 점으로 보아 봄, 여름에 개화하는 종이 집중되어 개최기간 중 이미지를 극대화 하기 위한 의도로 나타난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정원박람회의 식재 디자인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심사매뉴얼의 개발 및 식재에 대한 심사의 강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SFC의 개발과 정원디자인에 응용방안 제시 - 경기정원문화박람회와 서울정원박람회 참여 정원을 중심으로 -

        정주현,안정명,강미란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15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1 No.1

        We are on the verge of the entering the era of garden design. However, Landscape Architecture field has only experienced quantitative growth in public, parks and green space works. This was not an intentional development direction led by the Landscape Architecture professionals. However, we did not have the foresight to steer the work scope of our profession wisely in the past to include other work scope. Within the framework of our present day cultural societies, qualitative development of our outdoor environments is a requirement. To this end, we need to bring forth the culture of garden. Already there are many interests, various implementations and manifestation of garden concepts which are in keeping with current societal trends. Even though to date, Landscape Architecture professionals have been lacking in preparation, we need to embrace and spearhead the growth of the culture of gardens. Gardens contain the most basic as well as comprehensive principles that serve as the foundation of the Landscape Architecture concepts. We must redefine and reorganize our work to include garden culture as part of our profession. There needs to be studies into garden design methodologies and approaches as well as details, materials, and construction techniques. For plant materials, focus needs to be shifted from planting trees to use more flowers. This thesis contains examples of designed and built gardens globally. Also SFC(Steel Frame Cube) is introduced and featured. SFC is a new and versatile material well suited for use in outdoor designs. 바야흐로 정원의 시대가 도래했다. 하지만 조경분야는 공공부문의 공원․녹지 위주로만 성장하는 편향된 양적 성장의모습을 보여왔다. 물론 이것이 우리가 의도한 바는 아니지만, 긴 호흡으로 앞을 내다보지 못한 자성 또한 필요할 것이다. 이제는 질적 성숙이 요구되는 문화산업으로서 정원문화를 꽃피워야 한다. 이미 시대적 흐름과 트렌드는 이러한정원문화산업에 대한 많은 관심과 다양한 시도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조경 분야가 비록 그동안 준비를 소홀히 해왔지만, 지금이라도 우리의 역할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분연히 일어서야한다. 조경의 가장 기본적인 바탕이며 전부라고 할 수도 있는 정원 분야는 앞으로 새롭게 정의되고, 정리되며, 정립되어야할 필요가 있다. 또, 여러 가지 방법론과 설계적 접근, 시공 상의 디테일한 시도, 소재와 자재의 더욱 발전되고 다양한 적용이 요구된다. 식물재료에 대한 관심도 수목에서 초화류로 중심 이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은 실제 수행했던 설계와 시공 사례를 가지고 정원의 한 모습을 보여줌과 동시에 설계된 정원들의 공통분모로서 사용된 SFC라는 새로운 조경자재를 소개하는 큰 의미를 가진다.

      • KCI등재후보

        정원의 직접적 건강편익에 관한 최근 연구 동향

        강민지,김승주,진혜영,송수정,이주영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0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6 No.3

        전 세계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고, 자연에 대한 인간의 욕구가 커지면서 정원의 필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정원과 같은 자연환경은 인간에게 다양한 건강 편익을 제공해주며, 정원의 보건적 가치에 대한 재조명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정원이 사람에게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심리적, 생리적 편익과 그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최근 20년 동안의 관련 연구를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키워드를 사용하여 Google Scholar와 PubMed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을 진행하였고, 정원의 심리적, 생리적 효과에 대한 증거를 제시한 11건의 연구를 도출하였다. 논문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해 정량화 가능 등급을 부여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세 가지 범주로 구분하여 정원의 효과에 대해 상세히 검토하였다. 정원은 뇌의 기능과 혈압 유지에 긍정적으로 작용함으로써 생리적 스트레스를 줄여주고, 불안과 우울증 완화와 같은 심리적 상태를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이번 검토에서는 정원의 형태에 따라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향후 정원과 관련한 구체적이고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need for gardens is growing more and more as people's desire for nature grows around the world-wide interest in health. Natural environments such as gardens provide various health benefits to humans and are being reexamined for the health value of garde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iscuss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benefits and their importance by investigating the direct impact of gardens on people. To analyze the relevant studies over the last 20 years, searches were conducted in Google Scholar and PubMed databases using various keywords, and 11 studies presented evidence of th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effects of the garden were derived.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paper, quantifiable grade was assigned, and the research result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nd the effect of the garden was reviewed in detail. The garden has helped reduce physiological stress and improve psychological conditions such as anxiety and depression relief by positively acting on brain function and blood pressure maintenance. The review identified differences in the impact on human health depending on the type of garden, suggesting that specific and diverse studies related to future gardens should be conducted.

      • KCI등재후보

        정원 치유활동이 노인의 스트레스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박미옥,서주영,이성준,구본학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1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garden healing activity program on the stress change of the elderly. For the study subjects, 13 elderly people with a stress index score of 9 or higher were selected among the sensitive and vulnerable groups who received a lot of stress in the Cheonan area. The garden healing activity program was conducted 9 times in a place that was created as a healing garden. The program was developed and verified through brainstorming FGI by forming an expert group, and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garden decoration, garden appreciation, and garden management. The program diagnosis tool used the PWI-SF questionnaire, which is a stress scale test paper before and after program activities, and consists of 18 item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stress before and after program activity, the stress change according to the program activity decreased in a significant range for all 9 programs. In the garden, it was confirmed that the healing activity program affects stress and has a physical and healthy healing effect. The program that showed the highest change was [Making a garden sculpture], showing the largest difference with a difference of 0.26 points. The type appeared as a garden decoration. The program with the least stress change was [Understand me sweetly], showing the lowest difference with a score of 0.09. Second, as a result of pre- and post-analysis according to the stress items before and after garden healing activity program, 8 were most significant in the 3rd session [Making a garden sculpture] program. In the 4th [Maintaining the garden] and 8th [My Garden Story] programs, the least significance was recognized with 0.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in item scores before and after program activities, most items had lower item values than before and after, and some physical activities caused physical stress in energy-consuming activities, or increased item numbers as part of the healing proces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garden healing activity program affects the stress change of the elderly, and it is judged that it can be suggested as a way to solve the stress problem of the elderly. In addition, through garden healing activities, people and nature coexist, and it will be possible to realize green welfare to enjoy a healthy life, and it is judged that the garden will be widely used as a function of a healing garden. 본 연구는 정원 치유활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스트레스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천안지역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민감취약층 중 스트레스지수가 9점 이상인 노인 13명을 선정하였다. 치유정원으로 조성된 곳에서 정원 치유활동 프로그램을 9회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브레인 스토밍 FGI를 통하여 프로그램을 개발 및 검증하였으며, 정원장식, 정원감상, 정원관리로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프로그램 진단도구는 프로그램 활동 사전 사후에 스트레스 척도 검사지인 PWI-SF 설문지를 활용하였으며, 18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활동 전-후 스트레스 결과 프로그램 활동에 따른 스트레스 변화는 9개 프로그램 모두 유의한 범위에서 감소하였다. 정원에서 치유활동 프로그램은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며, 신체적, 건강적으로 치유의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가장 높은 변화를 보인 프로그램은 [정원 조형물 만들기]로 차이는 0.26점으로 가장 많은 차이를 보였다. 유형은 정원장식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변화가 가장 적었던 프로그램은 [달콤한 나를 이해하기]로 0.09점으로 가장 낮은 차이를 보였다. 둘째, 정원 치유활동 프로그램 활동 전-후 스트레스 항목에 따른 전후 분석 결과, 3차시 [정원 조형물 만들기] 프로그램에서 8개로 가장 많이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4차시 [정원 유지 관리하기], 8차시 [나의 정원이야기] 프로그램에서 0개로 가장 적은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프로그램 활동 전-후 항목 점수 차이 결과 대다수 항목에서 사전보다 사후에서 항목 수치가 낮아졌으며, 일부 신체활동을 통해 에너지를 소비하는 활동에서 신체적으로 스트레스를 받아 부정적이게 되거나, 치유하는 과정의 일환으로 항목 수치가 높아진 것이 있었다. 본 연구 결과 정원 치유활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스트레스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인의 스트레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정원 치유활동으로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고, 이를 통해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는 녹색복지를 실현시킬 수 있을 것이며, 정원이 힐링정원의 기능으로 많이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댐저수지 주변지역 수생정원 도입을 위한 친수공간 조성계획

        박미옥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17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3 No.1

        Natural landscape and tour resources of dam reservoirs and watersheds can greatly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visitors by providing a place for relaxation and leisure sports. It must be created as tourist attractions aimed to such as building eco-cultural park, creating wildlife habitats, making landscape aesthetics, by way of establishing the waterfronts of dam and reservoirs. It is essential to make efforts to set up energy saving and eco-friendly landscapes not excessive and indiscriminate pla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t up the cultural waterfronts and water friendly gardens that local and nation peoples can feel empathy and accept nation people's demands for the rest and leisure. The comprehensive masterplan was established from the detailed and systematic environmental analysis on the dam and reservoirs vicinity areas, and design concepts were as family, healing, health, history as 2 nation border line, cultural linkage, nostalgia etc. Finally the storytelling vision was suggested as ‘Eco-culture story joining with family and generation' and detailed objectives were set up as ‘Multi Age Family Story', ‘Eco-culture Story', ‘Special Extra Story'. This study concluded and suggested basic strategies for sustainable operation and managements of dams concerning the geological, ecological, histor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dam and reservoirs vicinity with water friendy garden strateg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be meaningful and useful design guidelines and standards for remodeling of managing dams and constructing of new water gardens. 댐저수지 및 그 유역의 고유한 자연경관 및 관광자원을 최대한 활용해 탐방객이 쾌적하게 보고, 즐기고, 느낄 수있는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매개체로 활용되어야 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댐 및 저수지를 중심으로 친수공간을 도입하여생태문화공원 조성, 생물서식환경 조성, 경관미 창출 등을 목표로 하는 관광명소로 조성하되, 과도하고 무분별한 계획이아닌 에너지를 절약하고, 환경친화적인 경관을 형성하는 노력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낙후된 댐 주변 환경을 개선하고, 국민들의 휴식 및 레저욕구를 능동적으로 수용하여 지역주민은 물론, 국민 전체가 공감할 수 있는 친수문화공간 조성을 통해 수생정원 도입을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수변 친수문화공간, 자연자원, 수자원, 문화자원, 역사자원 등이 복합적으로 존재하는 댐 및 저수지 주변지역을 대상으로 정밀하고 체계적인 환경조사를 통해 친수공간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수생정원 도입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기초 조사는 문헌조사 및 현지조사를 통하여 대상지 현황을 분석하였고, 디자인컨셉은 가족, 치유, 건강, 접경지역으로서 역사, 문화적 연계, 향수를 각각 주제로 설정하였다. 스토리텔링 비전으로는‘온 가족, 온 세대가 함께 하는 생태문화 이야기’로 설정하였고, 스토리텔링 세부 목표로는 세대 간, 가족 간 함께 하는스토리, 생태문화 스토리, 융복합 스토리 등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발전, 홍수조절, 상수원 등 댐의 고유 기능을유지하면서도 댐 및 저수지 주변 지역의 독특한 지리적, 생태적, 역사적,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지속가능한 댐 이용활성화를 위한 기본 전략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운영 중인 댐 및 저수지 수변구역 수생정원 리모델링 및 새로운수생정원 조성을 위한 유용한 설계기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태화강 국가정원의 경관평가구조 및 개선방향

        이혁재,송즈쉬앤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3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9 No.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future direction of the Taehwagang National Garden by conducting a landscape evaluation on the gardens of the Taehwagang National Garden to identify the landscape evaluation structure and present improvements to the results. The landscape evaluation scale was extracted by comparing the preferences of the target gardens using the property Grid Development Method and expressing the results as adjectives. The landscape evaluation structure of each garden of the Taehwagang National Garden was identified by conducting a survey. As a result, three factors were extracted that could evaluate the Taehwagang National Garden, and as a result of arranging the target garden in the space of each factor, overseas artist garden and citizen student garden were relatively highly evaluated, but seasonally, flowerless chrysanthemums or peony gardens were low. In addition, the evaluation results and improvement directions for each garden could be presented. This paper is meaningful in evaluating the national garden in terms of landscape and presenting specific directions for improvement based on the results, and it can be said that this improvement can contribute to the spread of garden culture and the establishment of garden culture. 본 연구는 태화강 국가정원의 정원들을 대상으로 경관평가를 실시하여 경관평가구조를 파악하고, 그 결과에 대한 개선사항을 제시함으로써 태화강 국가정원의 향후 조성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Repertory Grid Development Method를 사용하여 대상지 정원들의 선호도를 비교하고, 그 결과를 형용사로 표현함으로써 경관평가척도를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경관평가척도를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통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태화강 국가정원의 각 정원에 대한 경관평가구조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태화강 국가정원을 평가할 수 있는 3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각 요인의 공간상에 대상지 정원을 배치해본 결과, 해외작가정원, 시민학생정원은 비교적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계절적으로 꽃이 없는 국화원이나 작약원의 경우에는 낮은 평가를 받고 있는 것이 파악되었다. 또한, 각 정원들에 대한 평가결과 및 개선방향성에 대해 제시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국가정원을 경관이라는 측면에서 평가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판단되며, 이러한 개선을 통해 정원문화의 확산과 정원문화의 정착에 기여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정원관광을 위한 관광지 선택속성의 우선순위 분석

        박은영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3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9 No.1

        The selective attributes of tourist destinations are an important pull factor in tourism activiti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prioritize the most important selective attributes of tourist destinations for garden tourism.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selective attributes of tourist destinations to be counted for garden tourism, literature review case studies, expert FGI, and survey-based validity evaluations were used, and their importance was analyzed using the AHP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the author identified 18 selective attributes of garden tourism destinations, which are nine physical environment attributes and nine service environment attributes. In terms of their relative importance, “variety of plants” (0.155) and “spatial arrangement” (0.132) were found to be high priority factors, followed by “surrounding environment” (0.103) and “sensory stimulation factors” (0.075) such as birdsong and scent. “Building design” (0.058), “overall atmosphere/space for relaxation” (0.053), and “landmark symbols/artwork” (0.052) may also be important factors in the selection of garden tourism destinat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identified attribute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lanning and design of garden tourism destinations, and provided a basis for prioritizing the use of limited resources and services. 관광활동에 있어서 관광지의 선택속성은 유인요인으로 중요한 요소이다. 정원관광에 있어서 관광지의 주요 선택속성을 도출하고, 우선순위를 파악하는 것을 이 연구의 주된 목적으로 하였다. 정원관광에 반영할 관광지의 선택속성의 항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는 문헌연구, 사례분석, 전문가 FGI, 설문조사를 통한 검증성 평가의 방법을 사용하였고, 중요도를 분석하는 과정에서는 AHP기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정원관광의 관광지는 물리적 환경(9개), 서비스 환경(9개)의 총 18개 선택속성 항목이 도출되었다. 중요도의 결과를 전체적으로 종합해 보면 ‘다양한 식물(0.155)’, ‘공간배치(0.132)’가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으며, ‘주변환경(0.103)’, 새소리, 향기 등의 ‘오감자극요소(0.075)’가 다음 순이었다. ‘건물디자인(0.058)’, ‘전반적인 분위기/휴식공간(0.053)’, 랜드마크가 될 수 있는 ‘상징물/예술품(0.052)’도 정원관광의 관광지 선택시 중요한 항목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정원관광에서 대상지의 계획, 설계시 고려하여야 하는 합리적인 항목 도출과 한정된 자원의 이용 측면과 서비스 측면에서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후보

        도시정원의 생태계서비스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동향

        모용원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1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7 No.1

        Ecosystem services of small-scale green areas such as urban gardens have been considered important components in citi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ite, and materials and methods of assessment for the ecosystem services of urban gardens.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evaluating ecosystem services of urban gardens were searched in the Google Scholar and Web of Science databases. As the results, the study sites were used for various terms or types such as allotment garden, home garden, and community garden, so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ite before interpreting the quantitative ecosystem service assessment results. Compared to other green areas, ecosystem services provided by urban gardens were evaluated mainly through field surveys and measurements, and detailed spatial composition was also considered. For examples, the provisioning service was assessed by the area excluding the corridor from the crop planting areas, and the regulating service was evaluated from the effect of reducing stormwater runoff in consideration of the raised bed and the home-range of bee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pollination, were used. The supporting service was also assessed through detailed data, such as considering the vertical vegetation structure or 3D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Therefore, it would be important to know how to quantitatively evaluate ecosystem services provided by urban gardens, and ecosystem services would be an important means of urban garden planning. 도시는 인공구조물과 인위적으로 조성된 녹지가 주를 이루는 만큼, 정원과 같은 소규모 녹지가 제공하는 생태계서비스도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정원 생태계 서비스 평가방법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최근 도시정원의 생태계서비스 평가관련 연구를 Google Scholar와 Web of Science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대상지는 시민정원, 주택정원, 공동체정원과 같이 다양한 용어 또는 유형에 대해 정원의 생태계서비스가 평가되고 있어, 정량적인 평가결과 해석을 위해 대상지 특성을 분명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도시정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생태계서비스는 다른 녹지와 달리 주로 직접적인 현장조사와 측정을 통해 평가하고 있었으며, 세부적이고 입체적인 공간구성까지 고려하고 있었다. 공급서비스는 작물 식재지에서 통로는 제외한 면적을 이용하고, 조절서비스는 화단(raised bed)까지 고려한 우수유출량 저감효과, 수분작용에 직접적인 역할을 하는 벌의 풍부도와 서식범위를 고려하고, 지원서비스는 식생의 입체적 구조나 3차원 주변 환경정보를 고려한 세부적인 데이터를 통해 생태계서비스 평가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통해 도시정원이 제공하고 있는 생태계서비스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에 대해 알 수 있었으며, 추후 도시정원을 조성하는데 생태계서비스가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도시공원의 공공정원 노후도 평가를 통한 장기 관리방안 연구- 시흥시 옥구공원 내 정원을 대상으로 -

        김정철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1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7 No.1

        In order to spread garden culture in a city, show gardens exhibited at Garden Expo have been preserved in urban parks to be used as a rest place to develop the culture. However, it is time to supplement the facilities and reorganize the maintenance system to remodel the gardens as they have not been managed well after the Exp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reference material in setting the direction of garden remodeling, and reestablishing the garden maintenance and operation system based on the maintenance level. This study analyzed long-term maintenance characteristics, quantified the deterioration degree of garden facilities, In addition, a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 garden facilities and the deterioration degree for the maintenance characteristics of the gardens through an interview with a gardener. The deterioration degree index of herbaceous plants was very high among the deterioration degree of garden plants in 6 public gardens, with between 60.0 and 92.0, as most herbaceous plants planted were degraded or withered, and that of the garden facilities was very high with 84.0 for lighting facilities and 90.0 for landscaped facilities. As a result of linear regression analysis by matching the garden maintenance index and the deterioration degree, the slope of the graph was —0.4022, which showed a gentle (—) effect, and F=15.16 (p<0.001), which indicated that the regression model was suitable. The maintenance level of the gardens was β=—0.4022 (p<0.001), indicating that the garden maintenance level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terioration degree of the gardens. In the course of this study, the deterioration degree of the garden sites was identified after 10 years, but there was a limitation in that as the evaluation of the deterioration degree-maintenance activities was not performed every 2∼3 year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future studies are need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terioration degree-maintenance activities on a periodic basis after garden remodeling, and on ways to activate gardening education courses and hands on gardening programs using gardens. 도시 내 정원문화 확산을 위해 정원박람회의 전시 정원을 도시공원 내에 존치하여 정원문화의 홍보 및 휴식공간으로 활용 중이나, 박람회 행사이후 정원관리가 미흡하여 정원 리모델링을 위한 시설보완 및 관리체계의 재설정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장기 운영되어온 공공정원의 관리 수준과 정원식물 및 시설물의 노후 정도를 파악하고, 정원의 관리도를 기반으로 정원관리 및 운영체계를 재확립하고, 정원 리모델링 방향 수립에 참고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정원박람회 이후 유지관리되어온 공공정원을 대상으로 장기간의 관리 특성을 분석하고, 정원 시설물의 노후화 정도를 계량화하며, 정원 노후화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이 무엇인지 파악하였다. 또한 정원의 관리 특성을 관리담당자의 인터뷰를 통해 공공정원 시설의 노후도와의 관계를 선형회귀분석 하였다. 6개 공공정원의 정원식물 피해도 중, 식재된 초화류의 대부분이 퇴화 및 고사로 인해 초화류 피해도 지수가 60.0∼92.0로 매우 높았고, 정원시설의 노후도 지수는 조명시설이 84.0, 수경시설 90.0으로 매우 높았다. 정원관리 지수와 정원 노후도를 대응하여 선형회귀분석 결과, 그래프의 기울기는 —0.4022로 완만한 (—)의 영향이었고, F=15.16(p<0.001)으로 회귀모형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었다. 정원의 관리도는 β=—0.4022(p<0.001)로 나타나 정원관리도가 정원 노후화 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었다. 유사한 정원관리 수준에도 불구하고, 정원마다 노후도 차이가 크게 나타난 이유는 코티지가든 등의 초화류 관리 미흡과 정원박람회 행사를 위해 급하게 식재한 수목의 집단적 고사 및 시설 구조체 파손으로 인한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 정원 조성 후 10년 경과된 노후도를 파악하였으나, 2∼3년 주기로 노후도-관리도 평가를 진행하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정원의 리모델링 후 주기적인 노후도-관리도의 관계성 평가와 함께 정원을 이용한 정원교육, 정원체험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