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숙향전>의 환상성과 교육적 의의 -‘고난의 예고’와 환상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효정 ( Lee Hyo-ju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7 고전문학과 교육 Vol.34 No.-

        이 연구는 <숙향전>을 대상으로 고전소설에 나타난 환상의 서사 전략과 의미를 살피고, <숙향전>의 환상성이 갖는 교육적 의미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상 텍스트로 <숙향전>을 삼은 것은 <숙향전>이 환상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작품이며 당대 높은 인기를 구가했다는 점에서 고전소설에 나타나는 환상의 특성을 밝히기에 적합하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숙향전>의 서사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고난의 예고’가 천상계의 개입을 사전에 예고함으로써 작품의 환상성을 강화한다고 보고, 숙향의 삶을 중심으로 고난의 예고와 환상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숙향전>에서 ‘고난의 예고’가 환상을 실현하는 방식은 천상계가 숙향에게 고난을 부여하고 고난에서 구원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우선 천상계의 예고는 <숙향전>의 거시 구조를 형성하며, 독자는 숙향의 삶이 천상계의 예고대로 실현되는 것을 보면서 인간의 운명을 관장하는 천상계의 거대한 힘을 깨닫고 천상계에 대한 경외심을 갖는다. 또한 천상계는 위험에 처한 숙향을 구하기도 하는데, 천상계의 전지전능한 힘은 고난의 순간에서 숙향이 보이는 순진한 모습과 대조되어 천상계의 초월적 힘이 주는 경이로운 느낌을 강화한다. 한편 천상계가 꿈을 통해 숙향과 주변 인물들에게 운명을 알리고 운명을 실현하게 하는 것은 작품에 신비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서사의 개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고난의 예고’를 통해서 작품의 환상성을 강화하는 것의 서사적 의미는 숙향의 현실 삶을 통해 밝힐 수 있다. 첫째, 숙향이 겪는 고난은 현실적이고 구체적이기에 독자는 숙향에 감정이입하여 다가올 고난을 두려워하고 함께 통곡하며, 숙향이 행복을 성취하는 모습을 통해 내면의 근심을 해소한다. 둘째, 숙향의 선한 행동에 감동한 천상계의 존재들이 숙향을 죽을 고비에서 구하는 것은 독자에게 선한 길을 가는 인간에게는 천상계가 함께 할 것이라는 믿음을 준다. 셋째, 숙향과 이선이 결연 과정에서 보여주는 능동적인 자세는 지상에서의 고난을 극복하고 천상계에서 그 인연을 이어가게 하며, 이는 독자에게 고난을 통해 더 상위의 삶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희망을 준다. 이러한 <숙향전>의 환상성은 환상을 통해 현실의 불안을 극복하여 자아를 발견하게 하며, 관계 인식을 확장하여 타자와의 일체감과 연대감을 높인다는 점에서 현대 학습자에게도 유의미한 가치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narrative strategy and meaning of fantasy in classic novels and to derive the educational meaning from the fantasy of Sukhyangjeon. This study selected Sukhyangjeon because is considered a suitable literary text that embodies characteristics of fantasy inherent in classical novels through its successful portrayal of the fantasy genre and its high popularity during its time. Specifically, this study observed that the “notice of hardships” which repeatedly appears in the narration of Sukhyangjeon reinforces the fantasy of the novel as it serves as an advance notice of intervention from heaven.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tice of hardships and fantasy by focusing on Sukhyang’s life. The way in which the “notice of hardships” is a form of illusion realized it evident in the plot when heaven saves Sukhyang from her hardship even though it was heaven that had granted her those forms of hardship. Firstly, the “notice from heaven” constitutes the macro structure of Sukhyangjeon. Through it, readers realize the enormous power of heaven by seeing how Sukhyang’s life has been realized in accordance with heaven’s notice with that, it evokes a sense of respect to heaven. In addition, heaven saves Sukhyang from different forms of danger. It enhances a miraculous feeling, which the omnipotent power of heaven shows, against the innocent appearance of Sukhyang during her times of danger. Meanwhile, when heaven notifies Sukhyang and the surrounding people of their fate and subsequently realizes it through dreams, this act creates a mysterious atmosphere and improves the probability of the narrative. If so, the narrative meaning in reinforcing the fantasy of the novel by the use of “notice of hardships” could be revealed through Sukhyang’s real life. First, the hardship in which Sukhyang has gone through is so realistic and detailed that the readers’ feelings of empathy are evoked with the fear of the coming hardship, wailing together, and trying to resolve the inner anxiety through Sukhyang’s happiness. Second, the heavenly beings who are touched by the good behaviors of Sukhyang save her from the dangers of death. This creates the belief in readers that heaven intervenes for the good people. Third, the active attitude that Sukhyang and Leesun show in the process of marriage helps them overcome their earthly hardship and preserve their relationship in heaven. This gives readers hope that they could go to a “higher life” after going through suffering. This fantasy of Sukhyangjeon helps readers overcome their anxieties of reality through fantasy and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s to enhance a sense of unity and solidarity with others. Because of these elements, it is expected that the fantasy of Sukhyangjeon will have a meaningful value to modern readers.

      • KCI등재

        <숙향전>에 나타난 숙향의 二重的 正體性과 그 의미

        송혜란(宋惠蘭) ( Song Hye-ra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4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2 No.1

        <숙향전> 연구에서 숙향의 나약성과 수동성이 주로 부각된 것은 다음에서 연유한다. 첫째, 현실적 관점과 숙명론적 관점을 토대로 숙향의 삶을 이해한 것과 관련이 있다. 둘째, 선계의 존재로서 숙향과 속계의 존재로서 숙향의 정체성이 단절적으로 이해되어왔기 때문이다. 셋째, 대중소설로서 <숙향전>의 가치를 강조함에 따라 비극적 정조를 형성하는 숙향의 형상이 주목되었기 때문이다. 이 글은 숙향의 이중적 정체성이 구현되는 양상에 주목하여 숙향의 형상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였다. 속계의 숙향은 경계적 신체를 보유하여 고난 극복의 조건을 내재화하고 있다. 선계를 체험한 숙향은 문제에 대한 현실적 해결 능력을 획득하고 자기 보존의 욕구를 추구한다. 초월적 존재에 대한 의문을 회수하여 속계에서의 목표 의식을 전환한다. 숙향의 이중적 정체성은 속죄에 대한 숙향의 책임 의식과 애정성취를 위한 목적의식을 강화하고 속죄와 애정성취라는 모순성을 극복하는 효과를 갖는다. This article aims to supplement the discussion on the shape of Sukhyang in Sukhyangjeon. The weakness and passivity of Sukhyang were mainly highlighted as follows. First, it is related to understanding Sukhyang’s life based on a realistic and fatalistic perspective. Second, the identity of “So-a” and “Sukhyang” has been understood separately. Third, in previous studies, by emphasizing the value of “Sukhyangjeon” as a popular novel, the narrative was understood centering on the shape of Sukhyang, which forms tragic fidelity. In Sukhyangjeon, the identity of “So-a” and “Sukhyang” does not exist disconnectively. Sukhyang in the secular world has a borderline body and is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respond to the transcendental world at any time, and through the intervention of the transcendental world can freely cross from the secular to the transcendental world, enter the transcendental world directly through projection, or stan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transcendental and secular worlds. After experiencing the transcendental world, Sukhyang acquires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realistically, pursues the desire for self-preservation, and easily resolves realistic barriers by recovering questions about transcendent existence. The dual identity of Sukhyang reinforces her sense of responsibility for atonement and gives her a sense of purpose to achieve affection. Furthermore, it serves to overcome the contradictions between atonement and achieving affection.

      • KCI등재

        후대소설에 미친 <숙향전>의 영향과 소설사적 의의

        이상구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8 고전과 해석 Vol.24 No.-

        <숙향전>은 <구운몽>, <사씨남정기>, <창선감의록>, <소현성록> 등과 함께 17세기 말에 창작되었으며, 이들 작품과 함께 우리 고소설이 본격적으로 발전하는 데 근간이 된 작품이다. 특히 <숙향전>은 신분의 차이에 따른 남녀의 애정 문제를 주요 갈등으로 설정한 가운데 남녀의 차별과 절대적 가부장권에 대해서도 이의를 제기하는 등 민중적․진보적 성향이 강한 작품으로, 조선 후기 부녀자와 하층민들에게 대단한 인기를 끌었다. 이는 <춘향전>, <심청전>, <배비장전>, <봉산탈춤>, <성주풀이>, <화전가> 등에 <숙향전>과 관련된 내용이 삽입되어 있다는 것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그런데 한동안 다대한 환상성이나 비현실적인 측면을 부정적으로 이해한 결과 <숙향전>의 가치와 소설사적 의의가 평가 절하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에 본고는 <숙향전>이 후대 소설에 미친 영향을 논증함으로써 <숙향전>의 소설사적 의의를 다소나마 드러낼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그 결과 <숙향전>은 개별 화소와 사건에서부터 인물 형상과 구성, 선계의 형상과 세계관 등 다양한 측면에서 후대소설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서 고찰 대상으로 삼은 작품은 <박씨전>, <육미당기>, <쌍주기연>, <김원전>, <장경전>, <금방울전>, <소대성전>, <남윤전>, <적성의전>, <김진옥전> 등인데 이들 작품은 필자가 개인적으로 인지한 작품에 한정되어 있는바, 실제로는 훨씬 더 많은 작품들이 직․간접적으로 <숙향전>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숙향전>은 여주인공의 고난과 여러 신령들의 구원, 남녀주인공의 사랑과 시련, 선계의 모습에 대한 생생한 형상, 조선 후기 물정과 세태의 사실적 반영, 소외된 인물의 심리와 정서에 대한 곡진한 표출, 경계 허물기와 동일시의 서사 등 실로 다양하면서도 흥미진진한 요소가 매우 많다. <숙향전>이 조선 후기에 널리 향유되었던 것도 이들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후대의 많은 고소설이 이들 요소 가운데 일부를 차용하고 있는바, <숙향전>은 우리 고소설의 특질과 가치를 全有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 논문을 계기로 <숙향전>이 후대의 고소설에 미친 영향이 더욱 폭넓고 깊이 있게 고구되어 <숙향전>의 소설사적 위상과 의의가 제대로 밝혀지길 기대한다. Along with <Guunmong>, <Sassinamjeonggi>, <Changseongamuirok>, and <Sohyeonseongrok>, <Sukhyangjeon> was written at the end of the seventeenth century which also served as the foundation of expansion of our ancient fictions. Of these, <Sukhyangjeon> was especially well-liked by women and lower class folks as it was more folky and progressive, setting focus on a lovers’ quarrel and refuting the social system of patriarchy and gender discrimination. This is also evident from the fact that the contents of <Sukhyangjeon> can be found in <Chunhyangjeon>, <Simcheongjeon>, <Baebijangjeon>, <Bongsantalchum>, <Seongjupuli> and <Hwajeonga>. Then again, for some time, the value of the fiction was underestimated by those who adversely understood the fantasy or unrealistic aspect of the story. This paper was attempted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Sukhyangjeon> on the ensuing fictions to divulge the significance of the story in the history of fiction writing. As a result, it was disclosed that certain segments or units of the story were featured in <Bakssijeon>, <Geumbanguljeon>, <Namyunjeon>, <Sodaeseongjeon>, <Jeokseonguijeon>, <Yukmidanggi>, <Ssangjugiyeon>, <Gimjinokjeon>, <Janggyeongjeon>, and <Gimwonjeon>. These are only the ones that I could personally read over and I believe there are many more works that were influenced,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by <Sukhyangjeon>. The plot of <Sukhyangjeon> includes diverse and fascinating elements including the hardships of the female protagonist, salvations made by numerous gods, love and ordeal between the male and female protagonists, vivid description of the heavens, social conditions in late Joseon dynasty, heartfelt display of the psychology and emotions of those alienated, and braking down the barriers. It can be safely assumed that these complex intersections were the very reason why the story was more enjoyed by most people. As many of the fictions from this time feature a number of these elements, it won’t be a stretch to claim that <Sukhyangjeon> retain all of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our ancient fictions. By this paper, I hope that the effect of <Sukhyangjeon> is more widely and deeply studied to ascertain its true value and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fiction writing.

      • KCI등재

        <숙향전>의 생태주의적 독해

        엄태식(Eom, TaeSik) 돈암어문학회 2021 돈암어문학 Vol.40 No.-

        본고는 <숙향전>을 생태주의적 관점에서 독해한 것이다. 생태주의에서는 부분과 전체, 개체와 환경의 유기성을 강조한다. <숙향전>에서 숙향의 고난은 전생의 죄(罪)에서 비롯된 것인데, 이러한 인과 관계는 생태주의적 사유와 흡사하다. 그리고 숙향과 이선은 타인의 고통이 자기에게서 비롯되었다고 말하는바, 자신과 세계가 깊이 연결되어 있다는 생태주의적 사유가 타자와의 간격을 없앨 수 있었던 것이다. 생태주의에서는 인간중심주의와 이분법적 사고의 극복을 중요한 과제로 생각한다. 숙향은 사회의 최약자로서 고난을 스스로 극복하지 못하고 신과 동물 들의 도움을 받는데, <숙향전>은 인간은 나약한 존재로서 인간이 아닌 존재들의 도움 없이는 살아갈 수 없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숙향전>에는 신과 인간, 그리고 동물 사이에 엄격한 위계질서가 존재하지 않으며, 인간이 자연과 동물을 지배하지 않는다. <숙향전>은 가족의 붕괴로 상징되는 공동체의 위기를 생태주의적 실천으로 극복할 수 있다는 낙관적 전망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것이 전부는 아니다. <숙향전>의 결말을 보면, 숙향이 생부모를 남겨 두고 먼저 승천(昇天)하는데, 이는 곧 자식을 버린 부모는 진정한 부모가 아니라는 뜻이다. <숙향전>은 재난 속에서 버림받은 유기아(遺棄兒)들의 기억을 담고 있는 작품이다. 유기아의 입장에서 볼 때 자신에게 닥친 고난은 환상계나 전생 등을 끌어들이지 않고서는 납득하기 어려운 것이었으며, 그 무엇보다도 두려운 것은 이 세상에 유대감을 느낄 수 있는 존재가 없다는 사실이었을 것이다. 숙향의 조력자들이 대개 신이나 동물이라는 것은 유기아들의 조력자가 거의 없었음을 반증한다. <숙향전>은 유기아 문제를 환상적인 방식으로 해결하고 있다는 점에서 일정한 한계를 지니고 있지만, 이로 인해 생태주의적 사유에 육박하는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This paper is a reading and comprehension of Sukhyangjeon from an ecological point of view. Ecology emphasizes the organic relationship of parts and wholes, individuals and environments. In Sukhyangjeon, Sukhyang"s suffering is the result of the sins of her past life, and this causal relationship is similar to ecological thinking. And Suk-hyang and Iseon say that the suffering of each other comes from them. This is because the ecological thinking that the self and the world are deeply connected was able to close the gap with others. Meanwhile, ecology considers the overcoming of anthropocentrism and dichotomous thinking as important tasks. As the weakest person in society, Suk-hyang cannot overcome hardships on her own and gets help from gods and animals. Here, Sukhyangjeon shows that humans are weak beings and cannot live without the help of non-human beings. In Sukhyangjeon, there is no strict hierarchy between gods, humans, and animals, and humans do not dominate nature and animals. Sukhyangjeon shows an optimistic prospect that the crisis of the community, symbolized by the collapse of the family, can be overcome through ecological practices. But that"s not all. According to the ending of Sukhyangjeon, Sukhyang ascends to heaven first leaving behind her biological parents, which means that the parents who abandoned their children are not true parents. Sukhyangjeon is a work that contains the memories of abandoned children in disaster. From a abandoned children’s point of view, it was difficult to comprehend the hardship she faced without bringing in the fantasy realm or past life, and the most frightening thing was the fact that there was no one in this world who could feel a bond. The fact that Sukhyang"s helpers are usually gods or animals proves that there were few helpers for abandoned children. Although Sukhyangjeon has certain limitations in that it solves the problem of abandoned children in a fantastic way, it was able to achieve results close to ecological thinking.

      • KCI등재

        <숙향전>의 여성성장담적 성격과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환상의 기능과 의미

        이유경 ( Lee Yu-kyu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1 고전문학과 교육 Vol.22 No.-

        이 논문은 <숙향전>이 환상적 여성성장담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이 작품의 여성성장담적 성격을 먼저 살핀 후에 여성성장담으로서의 <숙향전>에 나타나는 환상의 기능과 의미에 대해 논한 것이다. <숙향전>은 주인공인 숙향이 겪어내는 수차례에 걸친 시련과 그 극복 과정이 이야기의 주된 내용이며, 이러한 시련은 태어날 때부터 이미 정해진 것으로 나타난다는 점에서 대체로 숙명론적 사고의 반영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숙향이 겪는 이러한 ‘예정된 시련’을 인간이면 누구나 성장하기 위해 꼭 겪어내야 하는 통과의례적 시련의 의미로 보았다. 통과의례의 과정은 인간 모두에게 해당되는 보편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예정’되어 있는 시련으로 볼 수 있지만, 각각의 인간이 생의 각 단계에서 겪게 되는 시련의 내용과 그 극복 과정은 모두 다르기 때문에 개인에 따라 개별성을 지닌다. 숙향이 겪는 ‘예정된 시련’도 이런 관점에서 살필 수 있다. <숙향전>에서는 숙향의 성장 단계에 따라 세 차례의 통과의례가 나타난다. 숙향이 부모와 분리되면서 유아기에서 벗어나는 과정, 소녀에서 결혼 적령기에 이른 여성으로 성장하는 과정, 그리고 이상적인 배필을 만나 혼인을 한 후 그 집안의 정식 가족 구성원으로서 받아들여지는 과정에서 통과의례의 시련을 겪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숙향은 자신에게 닥친 이러한 통과의례적 시련을 견딤과 기다림의 방식으로 극복해 내는데, 이 과정은 곧 자신의 올바른 모습을 찾아 주체적인 자아로 서기까지의 자아탐색의 과정이기도 하다. 숙향은 이러한 자아탐색의 과정을 거치며 내적 성장을 이루어 온전한 여성으로서 사회에 재통합된다. 숙향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시공을 초월한 다양한 초월적 존재의 도움을 받게 되는 것은 숙향의 거듭되는 시련과 더불어 이 소설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인데, 이때 <숙향전>에 나타나는 환상은 숙향이 자신에게 닥친 통과의례의 시련을 무사히 극복하여 육체적ㆍ정신적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 작품에 나타나는 환상은 인간이 성장하면서 부딪히게 되는 수많은 시련에 대한 두려움을 해소시키고 그 고비를 잘 이겨낼 수 있다는 믿음을 줌으로써 현세의 삶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갖게 하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숙향전>은 숙향이 자신이 받은 은혜를 되갚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자연친화적이고 상호보완적인 순환론적 세계관을 드러내고 있다. <숙향전>은 이러한 내용을 통해 인간은 세계와 동떨어져 홀로 살아가야 하는 외로운 존재가 아니라, 시간과 공간을 넘어서서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세계의 한 부분으로서 그 속에서 서로 영향을 받고 도움을 주고받으며 살아가는 존재라는 확장된 자아 인식을 보여준다. Focusing on the fact that < Sukhyangjeon > presents a fantasy story of woman's growth, this study examined its features as a story of woman's growth and discussed the functions and meanings of fantasy in it. The main plot of < Sukhyangjeon > is the process of the heroine Sukhyang facing several cases of hardship and overcoming them. The fact that her hardship was decided when she was born seemed to have reflected fatalist thinking. However, the study regarded those "prearranged sufferings" that happened to her as the trials as part of rite of passage that any human being should undergo in order to growth. The rite of passage is applied to all human beings and thus universal, presenting "prearranged sufferings". However, it also holds individuality since individuals have different sufferings and overcoming processes in each of life stages. Sukhyang's "prearranged sufferings" can be approached from that perspective. In < Sukhyangjeon >, Sukhyang goes through three rites of passage according to her growth stages, and they are the process of Sukhyang being separated from her parents and growing out of her childhood, that of her growing from a girl into a mature lady up for marriage, and that of her meeting and marrying an ideal husband and being accepted by his family as a regular family member. Sukhyang overcomes those sufferings in the form of rite of passage through enduring and waiting, which process also represents the process of her self-exploration that involves her finding her true self and standing on her own as an independent ego.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self-exploration, she attains internal growth and is re-incorporated into the society as a complete woman. She receives assistance from various supernatural beings beyond time and space limitations in the process of growing, which is one of the novel's important characteristics along with her repeating sufferings. The fantasies that visit her help her safely overcome the trials in the rite of passage and achieve physical and mental growth. In < Sukhyangjeon >, fantasies help her eliminate fear for many trials one gets to face in the process of growing and make her believe that she can overcome them right, thus contributing to her positive outlooks on the current life. In addition, < Sukhyangjeon > demonstrates a circular world view that is nature-friendly and mutually supplementary by showing her repaying others' kindness. With those stories, < Sukhyangjeon > shows that human beings are not lonely creatures that are supposed to live alone distant from the world but need to exchange influence and help with one another in the world as part of the world being connected as one beyond time and space.

      • KCI등재

        <숙향전>; 경계 허물기와 동일시의 서사

        이승은 ( Lee Seung-eun ) 한국고소설학회 2017 古小說 硏究 Vol.44 No.-

        본고는 <숙향전>에 나타난 경계 허물기의 양상을 살피고, 인간계와 천상계의 관계 및 두 세계가 교호하는 장소로서 이화정의 공간적 특성을 규명한 것이다. <숙향전>은 인간계와 천상계의 넘나듦이 빈번하고 그것이 작품을 이끌어가는 중요한 축으로 작동한다. 숙향은 인간계에서 다섯 번의 액운을 겪은 후에 이선과의 애정을 성취한다. 이는 곧 숙향에게 지워진 구별과 경계를 허무는 과정이라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설정된 경계의 허위를 폭로한다. 천상계의 존재들 또한 이러한 경계 허물기에 조력하는데, 이는 항아를 위시한 여성신, 하위 신들이 옥황상제를 중심으로 한 남성신, 상위신에 대항하는 형태로 드러난다. 즉 현실계에서 발생한 경계 허물기의 근거로서 천상계의 존재가 요구되었고, 그 요구에 따라 천상계의 신들을 배치한 것이다. 그리고 인간계와 천상계가 병존하며 경계 허물기가 구현되는 장소로서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인 이화정이 존재한다. 이곳에서 숙향과 이선은 요지연에 참석하는 꿈을 꾸고 서로를 확인하며, 애정을 성취한다. <숙향전>은 경계를 허무는 과정에서 대결과 승리를 지향하지 않는다. 오히려 숙향의 행보는 화합을 위한 통과의례로서 조정의 과정에 가깝다. 신들의 음조와 보우를 통해 숙향은 고난을 인내하며 주체로서 장으로 진입한다. <숙향전>이 오랜 시간 동안 인기를 누릴 수 있었던 이유는 바로 이러한 단계적 고난의 서사와 성취, 그 속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경계 허물기의 경험이 당대 독자들의 기대지평과 조응하는 측면이 있었기 때문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s of breaking down the border in Sukhyangjeon and identifie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lee Hwa-jung as a place where the human world and the heavenly world coexist and interchange. Sukhyangjeon shows frequent turning of the human world and the heavenly world, and it works as an important axis to lead the story. Sukhayng accomplishes affection with Lee Sun after five near-death experience in the human world. This is the process of breaking down the distinctions and boundaries that have been stigmatized to Sukhyang, revealing the falsehood of the boundaries through it. The beings of the heavenly system also assist in the demolition of these boundaries, which reveals the form of feminine gods, subordinate gods against male gods and superior gods, centering on the Great jade emperor. In other words, the existence of the heavenly system was demanded as the basis of the boundary demolition in the real world, and the gods of the heavenly system were arranged according to the demand. And there exists the heterotopia space, lee Hwa-jung, as a place where the human system and the heavenly system coexist and the demarcation of the boundary is realized. Here, Sukhyang and Lee sun are dreaming of attending the Xi wang mu’s Banquet, confirming each other, and fulfilling affection. In the process of destroying the border, Sukhyangjeon doesn’t aim for confrontation and victory. Rather it is a process of reconciliation as a rite of passage for harmony. Through the help and assistiance, Sukhyang enters the field as a subject, enduring suffering. The reason why Sukhyangjeon has been popular for a long time is because the narrative and accomplishment, and the experience of the destroying the border that can be seen in it, corresponded with expectation of the readers of those days.

      • KCI등재

        〈숙향전〉의 환상담의 서사전략과 독서효과

        김문희(Kim Moon-Hee)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한국학연구 Vol.37 No.-

        본 연구의 목적은 「숙향전」의 환상담의 서사전략과 독서효과에 주목하여 「숙향전」이 당대 독자들에게 흥미와 인기를 끌었던 이유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숙향전」의 환상담은 크게 네 가지 방향으로 전략적으로 구성된다. 첫째, 초현실적 존재가 미래사를 예시함으로써 가해적(可解的) 독서 맥락을 형성한다. 또한 세부 사건이 일어나게 된 이유는 뒤에 해명하여 긴장적 독서 맥락을 형성한다. 둘째, 시혜와 보은, 악행과 응징의 대칭적 구조화는 당대인이 지니고 있는 권선징악과 인과응보적 관념이라는 윤리적 기대지평을 반영한 것이다. 그러나 권선징악과 인과 응보는 현실에서는 제대로 실현되지 못하지만 「숙향전」에서는 이러한 이상적 윤리가치가 실현되고 있기 때문에 독자들은 「숙향전」에 보다 호응하게 된다. 셋째, 「숙향전」의 초현실적 존재는 남녀 간의 진정한 사랑과 부성애(父性愛)를 시험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남녀 간의 낭만적 사랑과 진정한 부성애에 대한 독자의 기대심리를 반영한다. 넷째, 이선의 구약여행은 이계의 경이로움을 표현하고 흥취와 향락의 삶과 불로 장생의 욕망을 재현하는 통로로 기능한다. This study aims to focus on narrative strategies and reading effect of the fantasy tale in “Sukhyangjeon” to explain in detail the reasons why it drew so much interest and became popular among the readers of the time. The fantasy tale in “Sukhyangjeon” is largely constituted in four different ways from the strategic point of view. First, by setting up a surreal being to tell the future in advance, it creates an intelligible reading context, thus constructing a comfortable reading environment. And the background of specific events is explained at the later stage, which adds the tension in the reading context. Second, the popular didactic and punitive justice ideas of the time such as doing a favor and getting repaid for it, or doing an evil deed and getting punished do not realize properly in the real life, but as “Sukhyangjeon” fulfills such idealistic moral values, it received a favorable response from the readers. Third, the surreal being of “Sukhyangjeon” carries out the role of testing true love between a man and a woman as well as the truthful parental love of a father, and through that the book reflects the romantic love between a couple and the truthful parental love that the readers expect and yearn for. Fourth, Lee Seon’s “journey in search of medicine” functions as the passage to express the wonders of this world and to reconstruct people’s desire for a life of joy and bliss and the desire to enjoy eternal youth.

      • KCI등재

        <숙향전(淑香傳)>의 새 한문본, <마고외전(麻姑外傳)> 고찰

        김인경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24 동방학 Vol.- No.50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Mago-oejeon(麻姑外傳)”, housed in Kawai collection, Kyoto University, Japan, is considered as a new Chinese version of “Sukhyangjeon”. First of all, “Mago-oejeon”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 Korean translation that relatively faithfully preserves the original work, unlike the existing Chinese version, which is a condensed version of the original Korean version and translated into Chinese. Among the Korean version of "Sukhyangjeon", the close relationship with the representative texts that maintain the original form of the work is confirm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re is a direct relationship with "Mago Oejeon", and it is highly likely that it is a translated copy based on the older Korean texts of the original series. In addition, although it is part of "Mago Oejeon", there are settings, similar to the Chinese version, not the Korean version, and it seems to be the result of partially reflecting the tastes of who reads the Chinese version.

      • KCI등재

        <숙향전> 텍스트의 담론 특성 연구 -흥미를 견인하는 텍스트 내부 기제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박은진 ( Park,Eun-jin ) 겨레어문학회 2016 겨레어문학 Vol.57 No.-

        이 연구는 <숙향전> 텍스트 흥미를 견인하는 텍스트 내부기제로서 숙향전 텍스트의 담론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문학교육에서 작품을 읽게 만드는 궁극적인 요인으로서 `흥미`는 중요하다. <숙향전>은 대중적인 인기와 흥미를 끌었던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숙향전> 텍스트가 대중적인 흥미를 끌었던 요인을 차원에서 그 원인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숙향전> 텍스트의 흥미와 관련해서는 기존 논의들에 여러 가지 논의들이 있어왔다. 여기에서는 고난과 해소 모티프의 반복에 주목하되 고난과 해결모티프를 통한 스토리의 구축과 서술상의 특징으로 나누어 살펴 보았다. 서술상으로는 이를 내용상의 흐름에 따라 (1) 숙향의 고행담 부분, (2)이선과 김전과의 결연 부분, (3) 이선의 구약 여행 세 가지로 나누어 작품에 드러나는 담론 특성을 살펴보았다. (1) 부분의 경우는 그동안 여러 논의들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고난과 해결의 사후 제시를 통해 독자의 흥미를 견인하고, (2) 부분의 김전과 이 선과의 결연 부분에서는 말놀이를 통한 지연이 드러나며, (3) 부분의 경우는 고난 과정에서 드러나는 선계 풍경의 묘사적 제시를 통해 독자의 흥미를 견인하는 양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살펴본 담론 특성을 통해 <숙향전> 텍스트가 고난과 해결이라는 모티프를 내용에 따라 다르게 서술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숙향전> 텍스트의 담론 특성은 영웅소설의 측면에서 새롭게 조명해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op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discourse characteristic of Sukhyangjeon text. interest is a main factor in literature text reading. In the field of literature education to find out text`s interesr structure is most important. Sukhyangjeon is famous novel which is read by many people. paying attention to this factor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the reason why this text attracted many people. In this study focused on trouble-settlement sturucture and divided story and three narrative line. (1) sukhyang`s trouble part is saying problems earlier, solutions after. (2) In Kim Jeon, Yi Seoun part, the narrative is delayed by jokes. In part (3) fantastic world travel, descriptive discourses are appeared. These discourse characterics are can be related with characteristic as hero novel.

      • KCI등재

        <숙향전>에 나타난 ‘고통’의 문학적 해석

        김현화 한국문학회 2017 韓國文學論叢 Vol.77 No.-

        The heroine who had repeatedly experienced the physical extinction in the narratives such as 「Choi Chi Won」, 「Manboksajeopogi」,「Leesaenggyujangjeon」, 「Hasaenggiwoojeon」, 「Woonyoungjeon」, is reborn as a heroine with strong vitality that endures ‘pain’ against the customs and institutions of the real world, denies the world of death in the narratives such as 「Sassinamjeonggi」, 「Guwoonmong」, 「Choicheokjeon」, 「Chunhyangjeon」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phases of the times, and the world view in the late Chosun. 「Sukhyangjeon」 is the work based on a series of literary conventions. The imagery of ‘pain’ represented in 「Sukhyangjeon」 is expressed into two aspects. ‘Pain’ embodies the heroine as the subject of physical extinction. Sukhyang is a figure that shows the image as a traditional and customary physical extinction. It is the subject that experiences the physical extinction due to abandonment, drowning oneself, wandering, deformity, buried at sea and stone to death. It is the aspect that embodies the pain of the woman who has been left out of the protection under the mainstream system at that time. The ‘pain’ of 「Sukhyangjeon」 is also expressed into the imaginary aspects of spiritual transcendence and restriction. If the place is a transcendent world where he can enjoy the freedom escaped out of the oppression of the real world for Lee Sun, the transcendent world is expressed into the image of restraint that emphasizes the oppression of the real world for Sukhyang. The fact that the aspect of ‘pain’ is expressed into the transcendence and restriction, is due to the literary way to reveal the complex life diversity. The literacy function of ‘pain’ can be searched from the aspect that contributes to the tempo control of road movie type narrative. 「Sukhyangjeon」 show the typical pattern of road movie type narratives that leave the settlement for certain destination and return. ‘Pain’ adjusts the tempo of road movie type narratives, functions to carve the life at that time. ‘Pain’ also contributes to expansion and variation of the water related space. The setting of the water related space function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real world. 「Sukhyangjeon」 realizes the oppression and persecution faced by the people at that time through imagery of each different “pain” of male and female characters. In addition, it realizes the bureaucracy that attempts to solve the problem of real world by moving it to the transcendence world, or the human nature that desires for a happy life. <최치원>,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하생기우전>, <운영전> 등의 서사 안에서 거듭 육체적 소멸을 경험한 여주인공은 조선 후기, 변모하는 시대상과 세계관에 맞춰 <사씨남정기>, <구운몽>, <최척전>, <춘향전> 등의 서사 안에서 죽음의 세계를 부정하고 현실세계의 관습과 제도에 맞서 ‘고통’을 감내하는 강한 생명력의 주인공으로 재탄생한다. <숙향전>은 그 일련의 문학적 관습 위에 선 작품이다. <숙향전>에 나타난 ‘고통’의 형상화는 두 가지 양상으로 나타난다. ‘고통’은 우선 여주인공을 육체적 소멸 주체로서 형상화한다. 숙향은 전통적이고도 관습적인 육체적 소멸 주체로서의 형상을 보여주는 인물이다. 유기, 투신, 유랑, 불구, 수장, 투살 등으로 인한 육체적 소멸을 경험하는 주체이다. 당대의 제도권 하에서 보호 받지 못한 채 소외되었던 여성의 고통을 형상화한 양상이다. <숙향전>의 ‘고통’은 또한 영적 초월과 속박의 형상화 양상으로 나타난다. 이선에게는 현실계의 억압에서 벗어나 자유를 구가하는 곳이 초월계라면, 숙향에게는 오히려 현실계의 억압을 더욱 강조하는 속박의 형상으로 초월계가 그려진다. ‘고통’의 양상이 초월과 속박으로 나타난 것은 그만큼 복잡한 삶의 다양성을 드러내기 위한 문학적 방편에서 기인한다. ‘고통’의 문학적 기능은 우선 노정형 서사의 완급 조절에 기여하는 측면에서 찾아볼 수 있다. <숙향전>은 정착지를 떠나 일정한 목적지로 떠났다가 귀환하는 노정형 서사의 전형을 보여준다. ‘고통’은 노정형 서사의 완급을 조절하고, 그 이면에 당대인의 삶을 새겨 놓는 기능을 한다. ‘고통’은 또한 수계(水界) 공간의 변주와 확대에 기여한다. 수계 공간의 설정은 현실계의 문제를 해소하는 기능을 한다. <숙향전>은 남녀주인공의 각기 다른 ‘고통’의 형상화를 통해 당대의 민중이 처해 있던 억압과 핍박은 물론 현실 문제를 초월계로 옮겨 해소해 보고자 하는 관료의식, 혹은 행복한 삶을 염원하는 인간의 본성을 구현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