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船遊와 遊山으로 본 鄭遂榮의 《한임강유람도권》 고찰

        한상윤 국립중앙박물관 2019 미술자료 Vol.- No.96

        In this paper, I argue that the Handscroll of a Sightseeing Trip to the Hangang and Imjingang Rivers by Jeong Su-yeong (1743~1831, pseudonym: Jiwujae) is a record of his private journeys to several places on the outskirts of Hanyang (present-day Seoul) and that it successfully embodies the painter’s subjective perspective while boating on these rivers and going on outings to nearby mountains. Around 1796, Jeong Su-yeong traveled to different places and documented his travels in this 16-meter-long handscroll. Several leaves of paper, each of which depicts a separate landscape, are pieced together to create this long handscroll. This indicates that the Handscroll of a Sightseeing Trip to the Hangang and Imjingang Rivers reflected the painter’s personal subjective experiences as he went along his journey rather than simply depicts travel destinations. The Handscroll of a Sightseeing Trip to the Hangang and Imjingang Rivers features two types of travel: boating and mountain outings on foot. Traveling by boat takes up a large portion of the handscroll, which illustrates the channels of the Hangang and Imjingang Rivers. Mountain outings correspond to the sections describing the regions around Bukhansan, Gwanaksan, and Dobongsan Mountains. Jeong Su-yeong traveled to this wide span of places not just once, but several times. The fact that the Hangang River system are not presented in accordance with their actual locations shows that they were illustrated at different points. After visiting the riversides of the Hangang and Namhangang Rivers twice, Jeong Su-yeong delineated them in fourteen scenes. Among them, the first eight illustrate Jeong’s initial trip by boat, while the other six scenes are vistas from his second trip. These fourteen scenes occupy half of this handscroll, indicating that the regions near the Hangang River are painted most frequently. The scenes of Jeong Su-yeong’s first boating trip to the system of the Hangang River portray the landscapes that he personally witnessed rather than famous scenes. Some of the eight scenic views of Yeoju, including Yongmunsan Mountain, Cheongsimru Pavilion, and Silleuksa Temple, are included in this handscroll. However, Jeong noted spots that were not often painted and depicted them using an eye-level perspective uncommon for illustrating famous scenic locations. The scenes of Jeong’s second boating trip include his friend’s villa and a meeting with companions. Moreover, Cheongsimru Pavilion and Silleuksa Temple, which are depicted in the first boating trip, are illustrated again from different perspectives and in unique compositions. Jeong Su-yeong examined the same locations several times from different angles. A sense of realism is demonstrated in the scenes of Jeong’s first and second boating trips to the channels of the Hangang River, which depict actual roads. Furthermore, viewers can easily follow the level gaze of Jeong from the boat. The scenes depicting the Imjingang River begin from spots near the Yeongpyeongcheon and Hantangang Rivers and end with places along the waterways of the Imjingang River. Here, diverse perspectives were applied, which is characteristic of Imjingang River scenes. Jeong Su-yeong employed a bird’s-eye perspective to illustrate the flow of a waterway starting from the Yeongpyeongcheon River. He also used an eye-level perspective to highlight the rocks of Baegundam Pool. Thus, depending on what he wished to emphasize, Jeong applied different perspectives. Hwajeogyeon Pond located by the Hantangang River is illustrated from a bird’s-eye perspective to present a panoramic view of the surroundings and rocks. Similarly, the scenery around Uhwajeong Pavilion by the Imjingang River are depicted from the same perspective. A worm’s-eye view was selected for Samseongdae Cliff in Tosangun in the upper regions of the Imjingang River and for Nakhwaam Rock. The scenes of Jeong Su-yeong’s mountain outings include pavilions and small temple mainly. In the case of Jaeganjeong Pavilion on Bukhansan Mountain, its actual location remains unidentified since the pavilion did not lead to the route of the boating trip to the system of the Hangang River and was separately depicted from other trips to the mountains. I speculate that Jaeganjeong Pavilion refers to a pavilion either in one of the nine valleys in Wooyi-dong at the foot of Bukhansan Mountain or in Songajang Villa. Since these two pavilions are situated in the valleys of Bukhansan Mountain, their descriptions in written texts are similar. As for Gwanaksan Mountain, Chwihyangjeong and Ilganjeong Pavilions as well as Geomjisan Mountain in the Bukhansan Mountain range are depicted. Ilganjeong Pavilion was a well-known site on Gwanaksan that belonged to Shin Wi. In this handscroll, however, Jeong Su-yeong recorded objective geographic information on the pavilion rather than relating it to Shin Wi. “Chwihyangjeong Pavilion” is presented within the walls, while “Geomjisan Mountain” is illustrated outside the walls. Handscroll of a Sightseeing Trip to the Hangang and Imjingang Rivers also includes two small temples, Mangwolam and Okcheonam, on Dobongsan Mountain. The actual locations of these are unknown today. Nevertheless, Gungojip (Anthology of Gungo) by Yim Cheon-2019sang relates that they were sited on Dobongsan Mountain. Compared to other painters who stressed Dobong Seowon (a private Confucian academy) and Manjangbong Peak when depicting Dobongsan Mountain, Jeong Su-yeong highlighted these two small temples. Jeong placed Yeongsanjeon Hall and Cheonbong Stele in “Mangwolam small temple” and Daeungjeon Hall in front of “Okcheonam small temple.” In addition to the buildings of the small temple, Jeong drew the peaks of Dobongsan Mountain without inscribing their names, which indicates that he intended the Dobongsan peaks as a background for the scenery.The Handscroll of a Sightseeing Trip to the Hangang and Imjingang Rivers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embodies Jeong Su-yeong’s personal perceptions of scenic spots on the outskirts of Hanyang and records his trips to these places. 본 논문은 之又齋 鄭遂榮(1743~1831)의 《漢臨江遊覽圖卷》이 한양 근교 지역의 여러 곳을 船遊와 遊山 여행하면서 화가의 주관적인 시각이 잘 담긴 사적인 여행 기록이라는 점을 밝힌 연구이다. 이 작품은 정수영이 1796년 무렵, 각 지역을 여행하고 총 16m 길이의 긴 화권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처 럼 독립된 경관으로 나뉜 작품을 긴 두루마리의 형태로 계속 이어 붙인 점은 《한임강유람도권》이 특 별한 여행이 아닌 여행에서 마주한 주관적 경험을 담았음을 보여준다. 《한임강유람도권》은 장소에 따라 선유와 유산의 두 가지 여행 형태로 구분된다. 선유 여행 지역 은 넓게 한강과 임진강 수계에 포함되며, 유산 여행 장소는 북한산과 관악산 일대, 도봉산 지역이다. 정수영은 넓은 범위의 장소를 한 번이 아닌 여러 번에 걸쳐서 여행했음이 확인된다. 특히 한강 수계 의 장소에서 그려진 순서가 실제 위치와 다른 점은 이곳이 다른 시간대에 이루어졌을 것이라는 사실 을 뒷받침해준다. 한강변 및 남한강변은 두 차례에 걸쳐 여행한 후, 제14장면까지 그렸다. 이 중 1 차 선유 여행은 첫 장면에서 제8장면까지, 2차 선유 여행은 제9장면부터 제14장면까지인 점이 확인 된다. 화권의 전체 길이 상 절반을 차지하는 양으로 한양에서 가까운 근교 지역이 많이 남겨진 것을 알 수 있다. 한강 수계의 1차 선유 여행은 잘 알려진 곳보다 자신의 여행 과정에서 눈으로 직접 마주한 풍경 을 표현하였다. 용문산이나 청심루, 신륵사와 같이 여주 팔경에 속하는 곳도 그렸으나 흔히 명소를 표현하는 방식이 아닌, 자기의 눈에 들어온 잘 그려지지 않았던 장소를 수평시점으로 묘사하였다. 2 차 선유 여행에서는 친구의 별업을 그리고, 친구들과 함께 한 순간을 담았다. 이에 더해 1차 여행에 서 그린 청심루와 신륵사를 시점과 구도를 달리해 표현하였다. 정수영은 이미 그린 장소도 다른 시 점과 각도에서 그리고자 했다. 한강 수계의 1, 2차 선유 여행은 길을 그대로 표현한 곳이 많아 현장 감 있는 표현이 돋보이며, 배에서 경물을 수평적 바라보는 정수영의 시선이 잘 느껴진다. 임진강 수계에서는 영평천과 한탄강의 장소가 먼저 그려지고, 화권의 가장 마지막 부분은 임진 강 물길에 있는 곳이 그려졌다. 이곳은 다양한 시점으로 표현되었는데, 여기서만 나타나는 특징적인 점이다. 정수영은 영평천에 있었던 장소에서 이어지는 물길의 흐름을 보여주기 위해 부감시점으로 표현했지만, 백운담에서 수평시점으로 바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은 바위에 대한 관심의 표현으로 보 인다. 그가 보여주고자 하는 대상에 따라 자유롭게 시점을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한탄강변에 위치 한 화적연은 주변의 모습과 바위가 한눈에 들어오도록 부감시점이 사용되었다. 임진강변에서는 우 화정 주변의 모습이 부감시점과 파노라마 형식으로 잘 드러나며, 이보다 상류에 위치한 토산의 삼성 대와 낙화암은 위로 올려다보는 시점[仰視]으로 표현되었다. 유산 여행의 장소에서는 주로 정자와 암자가 그려졌다. 먼저 북한산의 재간정은 한강 수계의 선 유 여행 경로와 이어지지 않으며, 다른 유산 여행과도 화권에서 분리되어 있기에 이전까지 정확한 장소가 밝혀지기 어려웠다. 필자는 한양 근교 중 재간정이라는 이름을 찾아 북한산 우이동구곡 중 한 곳과 손가장의 재간정으로 추정해보았다. 몇몇 기록들의 재간정에 대한 묘사가 비슷한 것은 두 곳 모두 북한산의 계곡에 위치했기 때문이다. 관악산 일대는 취향정과 일간정 두 정자와 관악산 줄 기인 검지산이 그려졌다. 일간정은 관악산에서 잘 알려진 신위의 정자였으나, 정수영은 신위와 연관 시키지 않고 객관적인 지리정보만 표기하였다. 취향정과 검지산에서는 담장이 묘사되어 있다. 정수 영은 담장을 그리면서 〈취향정〉에서는 담장 안을 주제로, 〈검지산〉은 담장 밖을 중심으로 다르게 그 렸다. 도봉산에서는 망월암과 옥천암 두 암자를 담았다. 이 부분도 어느 곳을 그린 것인지 알려지지 않았으나 임천상의 『궁오집』을 통해 도봉산을 그린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화가들이 그린 도봉 산은 도봉서원과 만장봉을 부각시켜 드러낸 것에 반해 정수영은 암자 두 곳을 표현했다. 〈망월암〉에 는 영산전과 천봉탑비가 그려지고, 〈옥천암〉에서는 대웅전이 정면으로 배치되었다. 정수영은 화면 에 암자 건물과 함께 도봉산의 봉우리 모습을 그렸으나 봉우리의 명칭은 적지 않았다. 이를 통해 도 봉산의 봉우리를 배경으로만 나타내고자 했던 것이 간취된다. 《한임강유람도권》은 정수영의 개인적인 시각이 잘 반영되어 있으며, 그가 지나온 여행의 흔적들 을 담고 있는 기록이라는 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 작품이다

      • KCI등재

        미디어를 통해 본 김수영의 시세계 : 대중매체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주영중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2 한국문학연구 Vol.0 No.43

        이 글은 김수영의 시에서 대중 매체가 지니는 의미와 대중매체에 대한 김수영의 태도를 주체·대중·매체의 역학적 구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세 요소는 김수영 시에서 유기적으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김수영 시의 주체는 대중과 (대중)매체를 비판적으로 사유하면서도 자기 자신까지를 타자화하여 비판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김수영이 당대의 대중매체에 대해 관심을 보여주었던 이유는 대중매체가 주체와 대중에게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김수영 시에 등장하는 신문, 잡지, 라디오, 영화, 텔레비전 등의 대중매체는 감각과 신체의 확장은 물론 사유와 상상력의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매개로 기능하기도 하지만 동시에 그 자체가 부정적 대상물이 되기도 하며 부조리한 현실·권력을 드러내주는 매개로 작용하기도 한다. 또한 대중매체는 현대인의 왜곡된 욕망과 생활을 드러내주는 일종의 지표 역할을 한다. 김수영시의 주체는 대중매체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 그 속으로 들어가 대중매체와 대결하고 그것을 넘어서려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보여준다. 김수영은 대중매체가 조장하는 마법적 환상으로서의 세계가 아닌 도래해야할 새로운 실재의 세계를 기대하면서, 오히려 그 너절하고 타락한 오늘보다 더 깊이 들어가 그 오늘을 정시하고 오늘을 구원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 나선다. 김수영은 그것을 또한 현대시가 나아가야 할 방향이라 믿었다. 김수영은 미디어의 일방적 메시지 전달도 아니고 주체의 일방적 메시지 수용도 아닌 상호주체적 작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변화가능성을 모색한다. 이를 통해 김수영 시의 주체는 미디어의 메시지 속에 자신의 욕망을 투사하던 주체에서 능동적이고 자유로운 주체로 변환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역설적이게도 주체는 새로운 담론의 생산자의 위치에 놓이게 된다. 결국 김수영 시의 주체는 미디어가 미치는 작용력에 대해 지속적으로 의식하면서도 그 작용력의 범위를 넘어서서 자유로운 감각을 획득하게 된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implications of the mass media and the attitude of the mass media in the Kim Su-yeong's poetry focused on the dynamical composition of the subject and the public and media. These three elements has organic relevance in the Kim Su-yeong's poetry. The subject of Kim Su-yeong's poetry shows the appearance to criticize oneself to otherness the public and the mass media as well as his own. The reason Kim Su-yeong showed interest in the mass media of the day is why he knew the influence of mass media on the subject and the public. Mass media such as newspapers, magazines, radio, movies, television, appeared in Kim Su-yeong's poetry function as a parameter to enable the expansion of reason and imagination, as well as the extension of the senses and the body. At the same time it is negative object and to functions as parameter that reveal the absurdity of reality and the power of negativity. And the mass media are indicators that reveal the distorted desires and lifestyle of modern man. Kim Su-yeong's subject sustain an effort that go into it and go beyond the public and confrontation with media .in order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mass media. For magical fantasies and depraved reality that the mass media promotes, Kim Su-yeong go more deeply rather than depraved and sloppy reality, try to find the possibility of seeing and saving the reality. As when to do so would expect the world of the reality to be advent. Kim Su-yeong believed that it is also the direction of modern poetry. New possibilities may be derived in the mutual proactive action in the Kim Su-yeong's poetry. Also it go through the process of being converted into an active and liberal principals. Paradoxically, the subject is placed in the position of the producers of the new discourse. And Kim Su-young"s poetry gain free sense against the forces of media consciousness and beyond the scope of its forces.

      • KCI등재

        김수영 시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 연구

        권지현(Kwon Ji?Hyeo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연구 Vol.0 No.32

        본고는 김수영 시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를 시적 생명의 발현과정으로 보고 김수영시에 내재한 죽음의 문제를 고찰하였다. 김수영시에 나타난 ‘죽음’은 새로운 생명을 획득하는 변증법적 과정을 거치면서 시적 해탈과 새로움의 시간을 획득한다. 본고에서는 김수영 시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와 관련하여 5·60년대의 억압적인 반공이데올로기에 갇힌 작가적 현실을 시인의 죽음으로 파악하고 김수영 시인의 순교자적 죽음의식을 고찰하였다. 또 김수영의 초기시에서부터 시작된 일련의 죽음의식이 자양분으로 받아들인 책 속에서 죽고 그 자신이 창작한 시 속에서 다시 한 번 죽음으로써 시의 죽음과 죽음의 현재적 시간을 획득함을 블랑쇼의 글쓰기와 관련시켜 논의하였다. 더불어 장자의 생사관과 불교의 ‘해탈’과 같은 동양사상에 내재한 전통을 혁신함으로써 ‘새로움’의 시학을 보여준 김수영 시의 죽음의식은 생명에대한 미래적 회귀의식을 보여준다. 김수영시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는 5·60년대의 정치·사회적 상황과 긴밀한 연관을 지닌 것으로 김수영은 죽음의식을 통해 시적 ‘새로움’과 ‘자유’의 생명을 획득하는 시적 성취를 이룩한다. 김수영의 시의식이 본질을 향해 나아가는 과정에서 추구하였던 ‘죽음’을 시적고통과 순교자적 대결의식, 죽음의 시간과 시의 죽음, ‘새로움’과 ‘해탈’의 미래적 회귀로 파악하고 이를 작품 분석을 통해 고찰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poetics of death’ inherent in Kim Su?yeong’s poems, assuming that the ‘death’ problem in Kim Su?yeong’s poems is the process of manifesting a poetic life. For this, we analyzed his works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death’ pursued by Kim Su?yeong in the course that his poetic consciousness moved toward the essence was the content of poetic pain, martyrdom consciousness of confrontation, the death of the author and books, Zen?style liberation, and the revolution of ‘newness.’ The discus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r Kim Su?yeong who promoted poetic completeness comparable with contemporary world literature, the division of the country and the curbed realities suppressing literary freedom were equivalent to death. Although an utterance about the division system could lead him to severe risk and even death, Kim Su?yeong wrote poems containing such utterances. This poetic spirit can be regarded as martyrdom consciousness of confrontation toward poetic freedom. Second, with regard to the ‘death’ problem in Kim Su?yeong’s poems, we discussed it in connection to Blanchot’s concepts of writing and death. A series of death consciousness beginning from Kim Su?yeong’s early poem ‘Confucius’ Hard Living’ achieved the death of poetry and the poet’s death through a death in books read for nutrition and another death in poems written by himself. Third, Kim Su?yeong read the depth of newness in poems containing ‘the music of death.’ Accordingly, the death problem in Kim Su?yeong’s poems became the point where ‘newness’ and freedom are attained. In his prose ‘Lying Zen,’ he revealed through lying Zen the absolute state of ‘perfect oblivion’ leaving no trace of the corpse, the remains of death. Thus, we can say that the death problem in Kim Su?yeong’s poems is his search of ‘newness’ and his will toward freedom so desperate that he tried to pass through death and leave no trace of the dead body behind.

      • KCI등재

        김수영과 신동문 시의 계량언어학적 분석

        전은진 ( Jeon Eunjin ) 한국언어문화학회(구 한양어문학회) 2017 한국언어문화 Vol.0 No.62

        이 연구는 김수영 시와 신동문 시의 어휘를 계량언어학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품사별 어휘 수, 어휘 사용 빈도, 어휘 다양도를 통해 두 시인의 어휘를 비교 분석하고, 고빈도 어휘 목록을 통해 어휘 사용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어휘 수의 비율 면에서 보면, 김수영 시는 신동문 시보다 체언과 독립언의 비율이 높고, 신동문 시는 용언, 수식언, 관계언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휘사용 빈도의 비율 면에서 보면, 김수영 시는 신동문 시보다 체언, 관계언의 비율이 높고 신동문 시는 용언, 수식언, 독립언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어휘 다양도를 측정해 본 결과, 신동문이 김수영보다 고유명사와 감탄사를 제외한 모든 품사에서 더 다양한 어휘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품사별 고빈도 어휘 목록을 살펴본 결과, 김수영과 신동문 시에서 인칭 대명사 `나`의 사용이 높게 나타났고, 관형격조사 `의`의 사용이 매우 높은 점도 특징적이다. 또한 여러 품사에서 부정 표현이 고빈도로 출현하였다. 김수영의 시에는 신동문이 사용하지 않은 `집, 돈, 여편네, 아내, 엄마, 가족, 일하다`, `포로, 포로수용소` 등의 시어들이 등장하는데, 이를 통해 전쟁 체험과 수용소 생활, 가족 부양 등이 김수영의 삶과 의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신동문의 시에서는 김수영 이 사용하지 않은 `병사, 포복, 비행장` 등의 전쟁 관련 어휘들이 다수 출현하는데, 이러한 어휘를 통해 전쟁과 뒤이은 혼란 정국, 4.19 등의 역사적 변혁기를 거치며 변화되는 신동문의 사회 참여 의식을 살펴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n the aspect of words in the poems of Kim Su-yeong & Shin Dong-mun. The poems of Kim Su-yeong & Shin Dong-mun were build to a corpus. And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extract main words. The frequency of the entire poetic words was analyzed for each part of speech. As a result, the frequency of the postposition in the poems of Kim Su-yeong & Shin Dong-mun was appearanced highly. And perso n pronoun `I` was analyzed as a main word. Also this study analyzed NDW, TNW, and TTR to measure the diversity of words in the poems of Kim Su-yeong & Shin Dong-mun. Kim Su-yeong indicated higher numerical value than that of Shin Dong -mun in case of NDW and TNW. However, Shin Dong-mun indicated higher nume rical value than Kim Su-yeong in Type-Token Ratio.

      • KCI등재

        김수영 시의 어휘 사용 양상과 공기어네트워크 분석

        전은진 한국언어문화학회 2014 한국언어문화 Vol.0 No.5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n the aspectof words and the network of co-occurring words in the poems of Kim Su-yeong. Morethan 176 poems of Kim Su-yeong were build to a corpus and frequency analysis wasperformed to extract main words. The frequency of the entire poetic words was analyzedfor each part of speech. As a result, the frequency of the postposition in the poems ofKim Su-yeong was appearanced highly. Of the main words in his poems, target wordswere selected and co-occurring word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co-occurrence relationof target words and co-occurring words, a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Especially,person pronoun and state as a target words was analyzed in the co-occurrence relationnetwork. As a result, it could be analyzed the poems of Kim Su-yeong

      • KCI등재

        김수영 시평 연구

        권진희 ( Jin Hui Kwon ) 한민족어문학회 2013 韓民族語文學 Vol.0 No.64

        김수영은 한국현대문학을 오랫동안 양분해온 『창작과비평』(창비)과 『문학과지성』(문지)진영에서 각각 자신의 문학적 거점으로 평가되면서 큰 주목을 받아왔다. 창비 진영은 백낙청과 염무웅 등을 중심으로 해서 그의 현실의식에 주목해서 그를 참여 시인으로 평가해온 반면, 문지 진영은 현실에 대응하는 양식으로서의 모더니티에 주목하여 그를 모더니즘 시인으로 평가해온 것이다. 그러나 시평을 통해 확인되는 김수영 문학의 특성은 ‘현대성’과 ‘새로움’의 추구 두 가지로 분석된다. 그의 현대성은 ‘온몸의 시학’을 바탕으로 자유를 억압하는 모든 것에 대한 실천적 저항을 의미하며, 그의 새로움은 강한 개성을 의미하는 동시에 철저한 절망을 통해 죽음과도 같은 자기갱신을 향해 나아가는 과정으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창비진영과 문지진영의 기존 평가는 김수영 문학의 본질적 측면을 간과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김수영이 추구한 문학은 ‘죽음’과도 같은 ‘새로움’을 견뎌내면서 자유를 억압하는 모든 것을 ‘온몸’으로 거부하는 진정한 ‘현대성’의 지향인 것이다. Kim Su-Yeong has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from 『Creation and criticism』(Changbi) and 『Literature and Intelligence』(Munji) that bisected the modern Korean literature for long time as being evaluated as their literatural stronghold. Changbi camp centering around Baek Nak-Cheong and Yeom Mu-Ung has evaluated him as one of participant poets giving attention to his sense of reality, while Munji camp has evaluated him as one of modernist poets giving attention to his modernity as a style facing to the reality. 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Kim Su-Yeong`s literature identified through comments are analyzed by two aspects, ``modernity`` and ``novelty``. His modernity means a practical resistance against everything that suppresses freedom based on ``the poetics of whole body``, and his novelty means a strong individuality and at the same time the process toward self-renewal like a death through thorough despair. Therefore, the existing evaluation of Kim Su-Yeong by Changbi camp and Munji camp overlooked the essential part of his literature. The literature Kim Su-Yeong sought is the aiming at the real ``modernity`` that refuses everything that suppresses freedom with the whole body, while enduring the ``novelty`` like ``death``.

      • KCI등재

        김수영 시에 나타난 어휘 연구

        전은진 ( Jeon Eun-jin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7 청람어문교육 Vol.0 No.61

        이 연구는 김수영 시에 나타난 어휘를 품사별 고빈도 시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시어의 관계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대상어 `나`와 공기 관계에 있는 어휘를 네트워크로 분석해 보았다. 김수영 시의 어휘를 분석해 본 결과, 체언에서는 `나`가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나`는 `주인, 아내`와 같이 삼인칭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특정 대상과 긴밀한 의미 관계를 보였다. 또한 `자유`와 연결 강도가 높은데, 이는 김수영이 살아온 삶이나 그 시대의 사회상이 반영된 것으로 보이며, 김수영 자신의 자유에 대한 갈망이 강하게 드러난 것으로 보인다. 용언에서는 부정 표현 `않다, 없다, 아니다` 등이 높은 빈도를 보였다. 김수영은 시적 화자인 `나`를 통하여 현재의 삶이나 극복할 수 없는 암담하고 절망적인 현실을 상태 동사로 표현하고, 나의 의지와 앞으로의 다짐을 행위 동사를 통하여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김수영 시의 또 다른 특징은, 관형격조사 `의`의 사용 빈도가 높다는 점이다. 이는 김수영의 시가 다른 시보다 산문성과 서술적 요소가 두드러지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김수영은 현실을 직시하고 모순된 세계를 정직하게 보여주기 위하여,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언어보다는 일상적인 어휘를 구사하고 있었다. 일상어에 담긴 자기 고백적 성향과 자기 반성적 모습으로 시인 자신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n the word in the poems of Kim Su-yeong. Accordingly, More than 176 poems of Kim Su-yeong were build to a corpus, and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extract words. The frequency of the entire poetic words was analyzed for each part of speech. As a result, the frequency of the personal pronoun `na` in the poems of Kim Su-yeong was appearanced highly. The personal pronoun `na` that is the main word in his poems were selected by target words and co-occurring words of the personal pronoun `na` were extracted. Based on the co-occurrence relation of personal pronoun `na` and co-occurring word, a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it could be analyzed on the aspect of words and the network of co-occurring words in the poems of Kim Su-yeong.

      • KCI등재

        김영수 작「혈맥」의 변주양상 연구 - 영화 「혈맥」(1963)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전지니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3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0 No.-

        This thesis aims to examine a difference, which is shown in the process of changing genre, through play 「Kinship」(1948) that is the representative work of Kim Yeong-su and Kim Soo-yong's 「Kinship」(1963) that is evaluated as a successful case of being made a movie of the original, and to discuss about its performance and limitation. Kim Yeong-su is a writer who had been active with f requently crossing genres such as drama, novel, scenario, and radio drama. His creative trace is showing possibility of having connection and conversion in diverse genres. The characteristic of Kim Yeong-su's drama, which is classified into the realistic series, aimed to reflect light and shade in those days together by distributing diverse character group in the limited space and establishing so that these things can move simultaneously. Also, a writer aimed to reflect the world more objectively by describing the cross sections in diverse characters' life through dispersing the focus of drama and diluting enlightening aspects. The movie 「Kinship」 is a work that followed most faithfully the establishment of the original among cases of Kim Yeong-su's drama to be made a movie. However,in the mov ie 「Kinship」, the past of Won-chil who had been a drafted laborer in the colonial period, is deleted. Furthermore, Baek Ok-hee is changed into a heroine of melodrama and Geo-buk appears as a symbol of new age. Thus, a character's dimensional aspect is diluted and the aspect of conflict comes to be more simple. Also, when being compared with the original, the movie concentrates on a family story, namely, a problem of 'a blood relation' instead of introspecting the liberation period that is the background of the original, or the phases of the times critically that the movie was shot. Especially, the movie advocates nationalism, which was combined the anticommunism and the economic-development logic, and seeks the lower class people's prospect in the modernized factory. This compromising conclusion seems to have been originated from the historical limit in the early 1960s when the possibility of the April 19th was upset. The original 「Kinship」 was continuously played on the stage after the movie 「Kinship」. The latest play 「Kinship」(2013) attempted a work of intentionally de-constructing character, plot, and theme of the original. The basis that 「Kinship」 could be continually and variously played in this way seems to be the reason that existence problem of minorities who had been portrayed in the original could form sympathy of penetrating a time. Given paying attention to the attempt of the original that had aimed to express minorities's life in connection with their circumstance from the macroscopic perspective,「Kinship」 in another form will be able to be expected in the future. 본고는 김영수의 대표작 「혈맥」(1948)과 원작의 성공적인 영화화 사례로 평가되는 김수용의 「혈맥」(1963)을 통해 장르 전환 과정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검토하고, 그 성과와 한계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김영수는 희곡, 소설, 시나리오, 방송극등 장르를 넘나들며 활동했던 작가로, 그의 창작 궤적이 다양한 장르의 교섭과 전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 중 사실주의계열로 분류되는 김영수 희곡의 특징은 제한된 공간에 다양한 인물 군상을 배치하고, 이들이 동시에 움직이도록 설정함으로써 당대의 명암을 함께 조망하고자 했던 것이다. 또한 작가는 상대적으로계몽성을 희석시키고, 극의 초점을 분산시켜 여러 인물들의 삶의 단면을 제시함으로써 이들이 속한 세계를 보다 객관적으로 조명코자 했다. 영화 「혈맥」은 김영수의 희곡을 영화화한 사례 중 원작의 설정을 가장 충실하게 반영한 작품이다. 그러나 영화 「혈맥」에서는 징용노동자였던 원칠의 과거가 삭제되고, 백옥희는 멜로드라마의 여주인공, 거북은 새 시대의 상징으로 등장하면서인물의 입체적 면모는 희석되고 갈등선은 보다 단순해지게 된다. 또한 원작과 비교할 때 영화는 원작의 배경이 되는 해방공간 혹은 영화가 촬영된 당대의 시대상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대신 가족 이야기, 곧 ‘핏줄’의 문제에 집중한다. 특히 영화는 반공과 경제 개발 논리가 결합된 민족주의를 제창하며, 근대화된 공장에서하층민들의 전망을 찾는다. 이 같은 타협적 결말은 4.19의 가능성이 좌절된 60년대 초반의 시대적 한계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인다. 영화 「혈맥」 이후에도 원작 「혈맥」은 무대에서 지속적으로 변주됐고, 가장 최근의 연극 「혈맥」은 원작의 캐릭터와 플롯, 주제의식 등을 의도적으로 해체하는 작업을 시도했다. 그리고 영화 「혈맥」과 2013년의 연극 「혈맥」은 각각 5.16 이후의시대논리를 여과 없이 반영한다거나 관객과의 소통에 일정부분 도달하지 못했다는 문제점을 노출했다. 그러나 이 같은 변환 작업은 원작이 시대와 장르를 불문하고 다양하게 재해석되는 과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곧 관습적 독해를 넘어 텍스트가 무한히 확장되어 관객과 교감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시도라 규정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鄭遂榮의《之又齋山水十六景帖》연구

        박정애(朴晶愛) 한국미술연구소 2005 美術史論壇 Vol.- No.21

        之又續 鄭遂榮(1743-1831)은 조선 후기 정조ㆍ순조 연간에 활약한 선비화가이다. 그는 평생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地圖製作과 詩文書畵, 紀行寫景 등으로 일생을 보냈다. 정수영의 회화세계는 전문 직업화가들과 달리 ‘餘技의 美學’을 구현했던 전형적인 文人畵家의 면모를 보여준다. 그는 기존의 틀에 얽매이지 않는 독자적 시각과 개성적 화풍으로 문인적 소양과 회화적 역량을 성공적으로 조화시켜 냈다. 이 글에서 처음 소개되는 정수영의 《之又齋山水十六景帖》(개인 소장)에는 山水圖14폭과 怪石圖 2폭, 총 16폭의 그림이 실려 있을 뿐 별도의 題跋은 없다. 각 작품의 크기는 모두 세로 24.7㎝, 가로 17.2㎝로 동일하며, 종이 바탕에 水墨淡彩로 그려졌다. 화면의 여백에 ‘君芳’과 ‘之又居士’를 새긴 白文方印이 찍혀 있고, 그중 여덟 폭에는 그림의 내용에 부합하는 行草의 題詩가 곁들여져 있다. 《지우재산수십육경첩》은 문인화가 정수영이 궁극적으로 추구했던 이상향의 회화적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정수영이 기존에 알려진 화보 외에 『十竹齋書畵譜』도 참조했음을 알 수 있다. 동시에 가계나 교유관계, 그리고 화풍의 연관성으로 미루어 선배 문인화가 姜世晃에게 많은 영향을 받았음도 재확인된다. 또 唐ㆍ宋代 詩를 주제로 삼은 ‘詩意圖’ 성격을 지니고 있어 문학과 긴밀히 소통하며 발전한 조선 후기 문인화의 일 양상을 보여준다. 한편 양식적 특징상 정수영의 무르익은 독자성이 뚜렷이 배어 있어 70대 이후 노년기에 제작된 그림으로 추정된다. 요컨대 이《지우재산수십육경첩》에는 정수영이 말년까지 꾸준히 제작한 南宗 문인산수의 특징이 집약되어 있다. 따라서 그 동안 眞景山水에 비해 평가가 소홀했던 定型山水를 고찰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자료라 하겠다. 또 정수영 개인의 畵歷을 풍부하게 해줄 뿐 아니라 그가 ‘조선문인화’의 정착에 기여했음을 확인시켜 주는 작품으로서 의의를 지닌다. Jiujae (之又齋) Jeong Su-yeong (鄭遂榮, 1743-1831) was a literati painter, active in the late 18th to early 19th century during the Joseon Dynasty (1392-1910). Mr. Jeong, who never took up government service, spent his life making maps, writing poems, painting, and exploring beauty of nature. His painting style was different from that of professional painters. He was a typical literati painter whose main interest was to seek to express amateurish aesthetics, taking scholarly leisure culture to achieve harmony of both educated character and painting skill. At last, he succeeded in accomplishing his individual painting style. The painting album, Jiujae-sansu-sibyukgyeong-cbeop (之又齋山水十六景帖), owned by a private collector, is mentioned in the beginning of this paper. There is no record about the album except for sixteen paintings, composed of 14 landscape paintings of fixed form (定型山水) and 2 paintings with oddly shaped-stone in the album. The size of each painting, which was painted in ink and light-colors on paper, is 24.7㎝ vertically by 17.2㎝ horizontally. There are poems matching with subject of paintings properly on 8 leaves. It is to be confirmed that the works belong to the Jeong Su-yeong, as there are two seals engraved 'Gunbang (君芳) and ‘Jiugeosa (之又居士)’ on the paintings. The paintings in this album show us the pictorial expression of his ideal. It is identified that Gang Se-hwang (姜世晃), an elder literati painter, had an influence on his painting style as well as that Mr. Jeong made copies after Chinese painting manuals, such as Sibjukjaeseobwabo(十竹齋書畵譜). Mr. Jeong's paintings as evidenced in this album expressing poetic ideas show an aspect of the literati painting tradition that had been developed through interweavings of literature and art history. In addition, I think that this album was painted after his 70's because Mr. Jeong's unique style is distinctly visible in each paintings. In conclusion, his painting album, Jiujae-sansu-sibyukgyeong-cheop has his characteristic features in part of Southern School style (南宗文人山水), which he had painted throughout his life. Thus this album is an important reference for the research on landscape paintings of fixed form, which until today had received relatively few attention in comparison to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眞景山水). This album is an enrichment in terms of the painter's personal achievement. Moreover, it is to be confirmed that Jeong Su-yeong contributed in the establishment of Joseonized literati paint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 KCI등재

        김수영 시에 나타난 자연존재(ϕύσις, physis)에 관한 연구: 하이데거의 존재론의 관점으로

        오주리 한국하이데거학회 2022 현대유럽철학연구 Vol.- No.66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iscuss the meaning of the symbols of physis in Su-yeong Kim’s poetry from the perspective of Heidegger’s ontology. In Part I, the concept of natural being, that is, physis, is discussed. Heidegger’s concept of physis is defined, first, as self-discovery-from-self and, second, as immanent nature, that is, as the law of the ground. In Part II, the meaning of existential being is discussed through “Flower” ​​and “Petal”. The symbol of physis “flower” has meaning as a rose-being, implying the dignity of Dasein, which must be revealed through the truth of being. In Part III, the meaning of historical being is discussed through “The Song of the Royal Cemetery”, “Coming out of the Palace One Day”, and “Giant Root”, which concerns the symbol of physis “root”. As a nation, the symbol “root” exists in the earth as a field of history and as the original hometown. In Part IV, the relation between existential being and historical being is discussed through “Grass”, which regards the symbol of physis “grass”. This symbol signifies the original hometown, the struggle for the truth, the vitality of being, and the language of poetry writing as dialogue. In conclusion, Su-yeong Kim’s poetry becomes a mirror of reflection for Dasein to regain its originality through the symbols of physis “flower”, “root”, and “grass”. Thanks to these symbols, Su-yeong Kim’s poetry embodies the beautiful truth of humanity as a poem of being and the history of being. 이 논문 「김수영 시에 나타난 자연존재(ϕύσις, physis)에 관한 연구」의 목적은 하이데거의 존재론의 관점에서 김수영 시의 자연존재의 상징의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I부에서는 자연존재, 즉 퓌지스의 개념이 논의된다. 하이데거의 퓌지스 개념은 첫째 자신-으로-부터-개현함, 둘째, 존재의 근거율로서의 내재적 본성으로 규정된다. II부에서는 ‘꽃’이란 자연존재의 상징에 대하여 「꽃」과 「꽃잎」 연작을 통해 실존적 존재의 의미가 논의된다. ‘꽃’이라는 자연존재의 상징은 존재의 진리를 열어 밝혀 보여야 할 현존재의 존엄성을 암시하는 장미-존재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Ⅲ부에서는 ‘뿌리’란 자연존재의 상징에 대하여 「묘정의 노래」, 「어느 날 고궁을 나오며」, 그리고 「거대한 뿌리」를 통해 역사적 존재의 의미가 논의된다. 민족으로서의 ‘뿌리’라는 자연존재의 상징은 역사의 장으로서의 대지이자 근원적 고향으로서의 대지에 존재한다. Ⅳ부에서는 ‘풀’이란 자연존재의 상징에 대하여 「풀」을 통해서 실존적 존재와 역사적 존재가 논의된다. ‘풀’이라는 자연존재의 상징은 근원적 고향, 진리를 위한 투쟁, 생명력, 그리고 대화로서의 시 짓기의 언어라는 의미를 지닌다. 결론적으로 김수영의 시세계는 ‘꽃’-‘뿌리’-‘풀’이라는 자연존재의 상징을 통해 현존재가 자신의 본래성을 되찾아가는 데 성찰의 거울이 된다. 김수영의 시세계는 자연존재의 상징에 힘입어 존재사와 존재의 시로서의 인간을 아름다운 진리로 형상화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