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hanges in Goal and Reward Structures in Organizations since the Financial Crisis in South Korea

        송찬후(Chanhoo Song) 한국인사조직학회 2011 인사조직연구 Vol.19 No.2

        급속한 산업화와 함께 경이로운 경제성장을 이룩한 한국은 1997년 일부 아시아 국가에 닥친 경제위기로 인하여 급격한 사회, 경제적 변화를 겪었다. 경제위기 이후 많은 조직들은 경제위기 이전의 연공서열에 의한 월급여와 성과와 무관하게 미리 설정된 일정 수준의 상여급이 주를 이루던 연공서열 중심의 보상제도를 개인 및 집단의 성과와 연동된 연봉제로 전환하고 개인 및 집단 수준의 목표를 설정하고 관리해 나가는 목표관리제(MBO)를 도입했다. 개인의 성과와 연동된 연봉제와 개인 수준의 성과목표를 관리하는 목표관리제는 조직 내 구성원간 경쟁적인 사회관계를 촉진한다고 할 수 있지만, 집단 성과에 기반한 연봉제와 집단 수준의 목표관리제는 협동적인 사회행동을 증진하기 위한 제도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조직들이 구성원들의 사회가치지향, 보상제도 및 목표제도 간의 일치성을 고려한 제도변화를 추구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국내 IT산업에 종사하는 376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사회가치지향과 그들이 속한 조직의 보상 및 목표제도간의 일치성이 조직의 평가제도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를 실시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응답자의 사회가치지향(Pro-social, Pro-self), 응답자가 속한 조직의 보상제도(개인성과기반, 집단성과기반, 개인과 집단성과 혼합, 연공서열), 응답자가 속한 조직의 목표제도(개인목표, 집단목표, 개인과 집단목표 혼합)와 응답자가 소속 조직의 평가제도에 가지는 태도를 측정했다. 분석에 포함된 총 376명의 응답자 중 조직의 보상과 목표제도가 서로 일치성을 보인다고 응답한 응답자는 226명이고, 그 중 69명은 개인성과에 기반한 보상제도와 개인수준의 성과목표가 주어지는 조직에 근무했으며, 77명은 집단성과에 기반한 보상제도와 집단수준의 성과목표가 주어지는 조직에 근무한다고 응답했다. 한편, 80명은 보상이 개인과 집단성과 모두에 기반하고 있으며 성과목표도 개인과 집단 수준이 함께 주어진다는 응답을 했고, 150명은 보상과 목표제도가 서로 일치성을 보이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조직들이 보상제도와 목표제도의 일치성(60.11%)을 보였으나 약 40%의 응답자는 보상제도와 목표제도가 일치하지 않는 조직에 속해 있었다. 가설 1을 검증하기 위하여 성별, 나이, 소속 조직의 사업영역, 수행 업무 종류를 통제변인으로 포함하고 보상과 목표제도의 일치성 여부를 더미변수로 변환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보상과 목표제도의 일치성은 응답자의 평가제도에 대한 태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이 있음을 나타냈다. 보상과 목표제도가 일치성을 보이는 조직의 평가제도에 대한 태도가 그렇지 않은 조직에 비하여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가설 2의 검증을 위해 응답자들의 사회가치지향이 측정되고 138명이 Pro-social로 분류되고 238명은 Pro-self로 분류되었다. Pro-social은 자신과 타인의 공동의 이익을 최대화하거나 자신의 이익/손실과 무관하게 타인의 이익만을 최대화하려는 가치지향을 보이는 사람들이고 Pro-self는 타인과 비교한 자신의 이익을 최대화하거나 타인의 이익/손실과 무관하게 자신의 이익만을 최대화하려는 가치지향성을 보이는 사람들을 포함한다. 가설 2의 검증을 위하여 응답자의 사회가치지향과 소속조직의 보상 및 목표제도가 일치하는 집단과 사회가치지향과 소속조직의 보상 및 목표제도가 일치하지 않는 집단을 비교했다. 검증결과 자신의 사회가치지향과 맞으면서 일치하는 보상/목표제도에 속한 구성원은 자신의 사회가치지향과 맞지 않으면서 보상/목표제도간의 일치성은 유지하는 평가제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사회가치지향(Pro-social, Pro-self)과 보상-목표제도 일치성(개인보상-개인목표 일치, 집단보상-집단목표 일치, 혼합보상-혼합목표 일치, 보상-목표제도 불일치)간의 상호작용효과의 검증은 흥미로운 결과를 보였다. Pro-social응답자와 Pro-self응답자간의 차이는 혼합보상-혼합목표로 일치하는 집단이 가장 컸으며, Pro-social응답자(M=4.74)들이 Pro-self응답자(M ̄ =3.98)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한편, Pro-self응답자들은 개인보상-개인목표로 일치하는 조직에 대한 선호를 보이는 반면, Pro-social응답자들은 집단보상-집단목표 일치, 혼합보상-혼합목표 일치, 보상-목표 불일치 조직 모두의 경우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Pro-self응답자들보 다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본 연구는 IT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넷설문을 통한 실증연구로 다수의 한계점을 갖지만 시사하는 바 또한 크다. Rather limited research efforts have been extended on the issue of congruence even after dramatic changes in reward and goal structures in South Korea after the economic crisis in 1997. Three hundred seventy-six workers in the Koreann IT industry participated in an Internet survey on their attitudes towards organization performance systems and social value orientation. Two hundred twenty-six workers identified their organizations’ goal-reward structures as congruent, while 150 indicated otherwis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indicated that an individual working for an organization with congruent goal-reward structures tends to perceive the organization’s performance system more favorably than those working for one with an incongruent goal-reward structure. However, a test of interaction effects between goal-reward structure congruence and social value orientation showed that pro-social participants and pro-self participants with a fit congruent goal-reward structure did not show different level of attitudes toward an organization’s performance system in comparison to those with an unfit congruent goal-reward structure. Meanwhile, the overall interaction effects showed that pro-social participants tended to favor congruent mixed goal-reward structures while pro-selves did not. In comparison, pro-selves perceived their organization system more positively than pro-social participants in congruent individual goal-reward structur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organizations in South Korea did go through a great deal of changes in their goal and reward structures but some organizations might have ignored the importance of congruence among their organizational systems and their members’ social value orientations. More attention is called for in developing an organization’s performance system to maintain congruence between goal and reward structures.

      • KCI등재

        Study on Social Transformation in Contemporary China: From the Perspective of Structural Holes

        황청밍 한국비교경제학회 2014 비교경제연구 Vol.21 No.1

        Since 1978,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have led to the rapid development, the entire society presents a great historic change, which is known as the "China miracle". The market-oriented path selected by contemporary China not only brings the change of the economic operation mode, but also the re-integration of the traditional interest structure. Compared with the former socialist countries and western countries, Chinese social transformation, both in the real structural restriction condition and the development logic, has obvious uniqueness.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social transformation in contemporary China are studied in the paper. The social transformation of China is mainly embodied in the following changes: from planned economy to market economy, from agricultural (rural) society to industrial (city) society, from closed society to open society, from ethics society to legal society, from state monopoly to social participation, from nationalization to internationalization, and from single culture to multiculturalism, etc.. The social transformation in China on the basis of economic system transformation is not only the change in the social stratification structure, but also the structural change of city population, social culture and other social ideology. Therefore, the social transformation of China is a comprehensive, holistic social structure transformation on various aspects of society, national ideology, culture, political and psychological revolution. The social transformation of China reflect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1)the combination of mandatory and inductive power, (2) the comprehensive change of social structure, and(3)the flat management in soci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tructural holes theory, since structural holes is more advantageous to enhance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players and the value of the entire network, individuals or organizations in the society must establish "structural holes" as many as possible, which implies extensive connection with individuals or groups who are not directly linked with them. By doing this, the players can obtain information and control advantage, and develop the advantage in the competition. Chinese traditional social relations based on family structure obviously lack the natural advantage of building structural holes, so it is necessary to transform into the social relations based on individual as the center. The structural holes theory indicates that the chance of acquiring new information depends on the weak tie between the player and his local network. Most local information in the network is widely shared, and the new information usually comes from non-repeating contact. The player must communicate with external groups to seek larger development opportunities, but the traditional family structure has hampered the external continuous information exchange, which is difficult to adapt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transformation, Chinese traditional social relations based on family structure will be resolved gradually. Contemporary social transformation in China provides an opportunity for the change of traditional family structure, and the deconstruction of traditional family structure in turn promotes the transformation of the society, and create conditions of breaking the closed boundaries for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 in the Chinese social structure. With the deepening of social transformation, great changes have taken place in Chinese traditional family structure and social relations,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performance of family culture, urbanization process and population structure. The formation of structural holes in Chinese social networks is increased by population frequent flow, interpersonal expansion and the conversion from closed lifestyle to open-type lifestyle. This paper shows that the social transformation in China has a great impact on traditional family structure formation, and disinte...

      • KCI등재

        Study on Social Transformation in Contemporary China: From the Perspective of Structural Holes

        ( Cheng Ming Huang ) 한국비교경제학회 2014 비교경제연구 Vol.21 No.1

        Since 1978,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have led to the rapid development, the entire society presents a great historic change, which is known as the “China miracle”. The market-oriented path selected by contemporary China not only brings the change of the economic operation mode, but also the re-integration of the traditional interest structure. Compared with the former socialist countries and western countries, Chinese social transformation, both in the real structural restriction condition and the development logic, has obvious uniqueness.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social transformation in contemporary China are studied in the paper. The social transformation of China is mainly embodied in the following changes: from planned economy to market economy, from agricultural(rural) society to industrial(city) society, from closed society to open society, from ethics society to legal society, from state monopoly to social participation, from nationalization to internationalization, and from single culture to multiculturalism, etc.. The social transformation in China on the basis of economic system transformation is not only the change in the social stratification structure, but also the structural change of city population, social culture and other social ideology. Therefore, the social transformation of China is a comprehensive, holistic social structure transformation on various aspects of society, national ideology, culture, political and psychological revolution. The social transformation of China reflect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1) the combination of mandatory and inductive power, (2) the comprehensive change of social structure, and (3) the flat management in soci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tructural holes theory, since structural holes is more advantageous to enhance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players and the value of the entire network, individuals or organizations in the society must establish “structural holes” as many as possible, which implies extensive connection with individuals or groups who are not directly linked with them. By doing this, the players can obtain information and control advantage, and develop the advantage in the competition. Chinese traditional social relations based on family structure obviously lack the natural advantage of building structural holes, so it is necessary to transform into the social relations based on individual as the center. The structural holes theory indicates that the chance of acquiring new information depends on the weak tie between the player and his local network. Most local information in the network is widely shared, and the new information usually comes from non-repeating contact. The player must communicate with external groups to seek larger development opportunities, but the traditional family structure has hampered the external continuous information exchange, which is difficult to adapt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transformation, Chinese traditional social relations based on family structure will be resolved gradually. Contemporary social transformation in China provides an opportunity for the change of traditional family structure, and the deconstruction of traditional family structure in turn promotes the transformation of the society, and create conditions of breaking the closed boundaries for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 in the Chinese social structure. With the deepening of social transformation, great changes have taken place in Chinese traditional family structure and social relations,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performance of family culture, urbanization process and population structure. The formation of structural holes in Chinese social networks is increased by population frequent flow, interpersonal expansion and the conversion from closed lifestyle to open-type lifestyle. This paper shows that the social transformation in China has a great impact on traditional family structure formation, and disintegra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traditional family structure also change the social relations and ocial interest distribution. In this paper, the structural holes theory is not used to analyze the operation of social capital as usual, but used to study the social transformation as a new attempt. Therefore, the discussion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 the problems faced by social transformation, the direction of the institutionalization and its social base in China from a new perspective.

      • 개혁주의 신학에서 본 복음전도와 사회운동

        이상원(Sangwon Lee) 신학지남사 2017 신학지남 Vol.84 No.2

        The gospel is a glorious and grand salvation work of God which covers from before the creation of the world till after the end of the world in time and from the inner world of human beings till the infinite universe in space. In this grand scale occurred the mystical union with Christ, and the glorious state of the people of God is established freely, by grace alone, permanently, and irrevocably. Calling, regeneration, justification, and becoming God’s son by adoption etc express the abundance of this establishment. Believers who are the people of God go under the serious divine command to obey the directions of the Holy Spirit and to lead sanctified life in his social as well as private life. The blessings of salvation always begin from the regeneration occurred in the inner being, so the salvation of an individual must be always precedent to other activities absolutely in logic and also in time except for an emergent situation. However, the change in the inner being of an individual is destined to be expressed by concerns for society and functions as a driving force for the transformation of society. The ethical efforts to transform society increase the efficacy of evangelism decisively, so the salvation of an individual and social participation has an inseparable relation with each other. This means that Christians and the church should devote themselves to social participation as well as the salvation of an individual. Christians and the church have the duty not to limit their devotion just to reliefs or individual developments but to extend their devotion even to the transformation of the social structure. Ethical practice gets its final fruits from legislation. The Scriptures criticize structural sins as well as individual sins as the prophets of the Old Testament period show well. The Scriptures require the reform of inner distorted thoughts of individuals. However, the Scriptures asks the criticism and reform of the social structures, too, when these are not harmonious with the will of God. Christians and the church should examine closely whether the social structure of Korean society is in accordance with the will of God and whether the poor’s right to live is protected by this structure, and, if the structure is not in accordance with the will of God, suggest a new social structure as an alternative one. However, the efforts to transform the social structure must be carried out not by the church itself but independent organizations consisted of experts in various social problems except for emergent situations.

      • KCI등재

        사회구조, 사회학습과 학업 중단 청소년 지위비행의 관계: Akers의 사회구조-사회학습 모델을 중심으로

        노희주,이창배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23 치안정책연구 Vol.37 No.4

        School dropout is an event tha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ives of adolescents. In particular, adolescents who stop studying experience negatively in terms of individuals, families, and society, and some move toward delinquent behaviors. However, despite this, the majority of researches about juvenile delinquency are conducted mainly on ordinary adolescents, and research considering the complex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ho have stopped studying is also insufficient. Meanwhile, Akers' social structure-social learning model is a model that assumes that social structural variables are indirect causes that affect crime and are mediated only through social learning variables to exert influence. This model is an integrated explanation method that encompasses both micro and macro aspects of individual behavior.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delinquency of adolescents who stopped studying based on the social structure-social learning model. Specifically, it aim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their delinquency by integrating social structural factors and social learning factors. To this e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School Dropout Youth Panel data conducted from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an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path analysis, the path from family disorganization to status delinquency, community bond to status delinquency, friends' antisocial tendency to status delinquency, and community disorder to friends' antisocial tenden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mediating effec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only in community disor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ructural variables and status delinquency of adolescents who stopped studying. Other family disorganization and community bond had only a direct effect on status delinquency, and the level of family economy had no effec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grasp the factors affecting the delinquency of adolescents who stopped studying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based on the social structure-social learning model. 학업 중단은 청소년의 삶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건이다. 특히 학업중단 청소년들은 학교라는 제도권 밖에서 개인, 가족, 그리고 사회적 측면에서 부정적인 경험을 겪기도 하고, 일부는 비행과 일탈로 나아가기도 한다. 다만, 이러한 점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청소년 비행 연구는 일반 청소년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학업중단 청소년의 복잡한 특성을 고려한 연구 역시 부족한 실정이다. 한편, Akers의 사회구조-사회학습 모델은 사회구조적 변수는 범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적 원인이며, 오직 사회학습변수를 통해 매개되어 영향력을 발휘한다고 가정하는 모델로, 개인 행위의 미시적·거시적 측면을 모두 포괄하는 통합론적 설명방식이다. 이 연구는 사회구조-사회학습 모델을 기반으로 학업중단 청소년의 비행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사회구조요인과 사회학습요인을 통합하여 학업중단 청소년의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의 1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로분석 결과, 가정해체 여부에서 지위비행, 지역사회 유대에서 지위비행, 친구의 비행성향에서 지위비행, 그리고 지역사회 무질서에서 친구의 비행성향에 이르는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둘째, 사회구조변수와 학업중단 청소년의 지위비행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는 지역사회 무질서에서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의 가정해체 여부와 지역사회 유대는 지위비행에 대하여 직접효과만 가졌으며, 가정 경제수준은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못하였다. 이 연구는 사회구조-사회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학업중단 청소년의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통합적인 시각에서 파악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한국 사회복지 연대운동의 균열구조와 과제에 관한 탐색적 연구

        민기채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2023 민주주의와 인권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사회복지 연대운동의 균열구조를 파악하고, 운동승리를 위한 사회복지 연대운동의 과제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운동의 구성주의적 이론을 적용하며, Rokkan의 균열구조의 개념에 기초하여 분석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론적 차원에서 사회복지운동, 주체, 그리고 연대의 의미를 되짚어보고, 사회복지 연대운동의 균열구조를 자본주의 하에서 사회복지운동의 본성적 측면과 한반도 평화복지체제 구축의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나아가 이러한 균열구조에도 불구하고 실현해나가야 할 한국 사회복지 연대운동의 과제를 탐색적으로 살펴본다. 분석 결과, 자본주의 하에서의 사회복지 연대운동은 각 단체의 강령과 실천방법에 대한 입장 차이, 평화복지동맹 및 평화복지의 지역적 범위에 대한 입장 차이로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연대적 수정체제 지향 운동단체’가 연대운동의 중심에 설 수 있으므로, 구동존이에 입각하여 균열을 최소화하며 연대운동을 추동할 필요가 있다. 한국 사회복지 연대운동의 실천과제로서 사회복지 운동주체들의 강화(재생산과 사회복지교육), 개별성과 연대성의 결합, 친복지정치의 세력화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가 사회복지 연대운동의 승리를 위한 운동주체들의 역할 모색에 기여하기를 희망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leavage structure of the social welfare solidarity movement in Korea and to explore the tasks of the social welfare solidarity movement to win the movement. To this end, constructivist theories of social movements are applied and analyzed based on Rokkan's concept of cleavage structure. Specifically, I will look back on the social welfare movement, the subject, and the meaning of solidarity at the theoretical level, and analyze the cleavage structure of the social welfare movement and solidarity movement in terms of the nature of the social welfare movement under capitalism and the establishment of a peace and welfare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Furthermore, it explores the tasks of the Korean social welfare solidarity movement that must be realized despite this rift structu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ocial welfare solidarity movement under capitalism can have cracks due to the difference in position on the program and practice method of each organization, and the difference in position on the regional scope of the Peace and Welfare Alliance and peace welfare. Since the ‘solidarity correction system-oriented movement group’ can stand at the center of the solidarity movement,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solidarity movement while minimizing the cracks based on the movement zone. As practical tasks for the Korean social welfare solidarity movement to be realized, the strengthening of social welfare movement subjects (reproduction and social welfare education), the combination of individuality and solidarity, and the strengthening of pro-welfare politics were discusse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search for the role of movement subjects for the victory of the social welfare solidarity movement.

      • KCI등재

        인격과 사회구조에 나타나는 악의 연대성

        홍순원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5 기독교사회윤리 Vol.33 No.-

        악에 대한 윤리적 탐구는 윤리학에 악의 현실에 대한 종합적 성찰을 제공함으로써 그것이 인문학 안에서의 학제간 연구를 위해서 기여하도록 도와준다. 본연구의 목표는 개인의 악과 사회악 사이의 연대성을 밝히는 것이다. 이러한 시도는 인간 실존과 사회구조 안에 나타나는 악의 현실을 보다 더 깊이 있게 다룰수 있다. 인간 실존과 사회구조의 연대성에 대한 연구는 인문과학과 사회과학, 다시 말해서, 인간학과 역사학의 연관성을 밝혀준다. 그것은 개인과 공동체의 상호연관성과 상호작용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인간실존이 겪는 선과 악의 갈등은 사회 현실 안에 내재하는 구조적 모순과 분리될 수 없다. 인간과 사회현실은 상호 종속적이며 서로를 규정하기 때문이다. 악은 인간 현상일 뿐 아니라사회현상이며 통전적 이해를 필요로 하는 경험적 현실이다. 연대성 개념은 사회개혁을 제도적 차원만이 아닌 인성회복을 통하여 추구해야 하는 당위성을 드러낸다. 연대성 개념은 인간정신과 시대정신의 상호작용을 강조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사회개혁은 제도적 차원만이 아닌 인간 의식의 변화를 의미한다. 제도의 개혁은 인간의 개혁에 뒤따르는 결과이다. 인간은 자신의 악한 실존을 악한행위를 통하여 표현하며 사회의 구조적 악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재발견한다. 연대성 의식은 개인화된 영성과 행위에 집착하여 세상 안에서 고립되어가는 크리스천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다. 그리스도인은 사회에 대하여 책임적일 때 비로소 자기 자신에게 책임적이 된다. This research provides ethics with the unified reflections for reality so that it may contributes to the interdisciplinary studies in the human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the solidarity between individual and social evil. This attempt can deal more profoundly with the reality of evil which appears in human existence and social structure. This research on the solidarity between human existence and social structure clarifies the relation between cultural science and social science, as it were, anthropology and history. Human being and social reality are mutually dependent and regulate with each other. Evil is at once a human and a social phenomenon. The concept of solidarity can be a theoretical basis for the necessity of social reform which is to be pursued not so much as through the institutional change but through the recovery of humanity. The concept of solidarity emphasizes the interaction of the human spirit and the spirit of time. Man actualizes his evil existence through evil deeds and rediscover his identity in the evil of social structure. The consciousness of solidarity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for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Christians who are being isolated in the world by clinging to the privatized spirituality and conduct. A christian comes to be responsible for himself as long as he is responsible for the society.

      • KCI등재

        구조-구성주의적 행위 설명모델의 시도

        이철(Chul Lee) 한국사회이론학회 2008 사회이론 Vol.- No.33

        사회학에서는, 구조와 문화에 대한 연구가 시간차를 두고 발전한 결과 현재까지 구조와 문화가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제대로 고려하는 분석틀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에 대한 하나의 접근으로 구조-구성주의적 연결망 분석에 기초한 행위설명모델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올레마허의 구성주의적 버전의 행위의 구조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토대에서 독자적인 구조-구성주의적 행위 인과관계모델을 개념화하였다. 이 모델은 행위맥락으로서 구조와 인지된 사회구조로서 문화가 각각 독립적인 존재로 행위자를 통해 행위를 가능하게 하거나 제한하는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제한다. 이 전제는 사회구조 영향력 가설과 문화 영향력 가설과 문화영향력 우월 가설의 세 가지 핵심가설로 세분되며, 대학생의 시험부정행위라는 구체적인 일탈유형의 보기를 통해 검증된다. 구체적으로, 행위맥락으로서 구조의 차원과 인지된 사회구조로서 문화의 차원에서 나타난 적법규범의 승인정도 및 적법수단 유용성 정도와 불법규범의 승인정도 및 불법수단 유용성 정도가 각각 행위를 제한하거나 가능하게 하는지를 설문조사(n=319)를 통해 경험적으로 조사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사회구조 영향력 가설은 부분적으로, 문화 영향력 가설은 조사된 모든 차원에서, 문화영향력 우월 가설은 부분적으로 행위에 대한 효과가 입증되었다. 이것은 행위자가 대면하는 현실보다 행위자가 인지하는 현실이 행위에 대해 보다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구조와 문화의 연구와 행위발생에 관한 후속연구에 하나의 중요한 출발점을 제공하고 있다. Within the sociology, studies of structure and of culture has developed with a time-difference. Consequently, there is not yet an analysis frame properly considering the effects of structure and culture on actions. This paper presents, as an approach to this problem, a model for explanation of actions grounded by a critical examination of structural-constructionist network analysis. Based on “the structural theory of action in its constructionist version” by Ohlemacher, it has conceptualized “structural-constructionist model for causes of action”. The presented model assumes that both structure as context of action and culture as perceived social structure, as independent factor, enable or constraint action through human agency. This presumption is differentiated into the hypothesis of effects by social structure, the hypothesis of effects by culture, and the hypothesis of superiority of cultural effects, and testified on the basis of a concrete deviant behavior, i.e. unhonest examination behavior by university students. We have verified with a questionnaire survey (n=319) whether acceptance degree of legal norms and availability degree of legal means on the one, and acceptance degree of illegal norms and availability degree of illegal means, each of them existing both in the structural dimension as context of actions and in the cultural dimension as perceived social structur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roduced the partial verification of the first hypothesis (of effects by social structure), the full verification of the second hypothesis (of effects by culture), and the partial verification of the third hypothesis (of superiority of cultural effects). These results mean that the reality perceived by human agency more strongly influences the action than the reality confronting it, and simultaneously offers an important start point for the next research of structure and culture and of causes of behaviors.

      • KCI등재

        한국사회의 구조적 변화와 사회보장정책

        이호용 ( Ho Yong Lee ),손영화 ( Young Hoa Son ) 한국법정책학회 2013 법과 정책연구 Vol.13 No.4

        사회보장정책의 내용과 특성은 그 사회가 직면한 사회적 위험에 의해 결정된다. 즉 사회의 구조적 변화는 사회보장정책과 법의 유형과 특성을 결정짓는다. 한국사회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최근 한국 사회의 구조적 변화는 1997년의 외환위기를 기준으로 설명하는 견해가 많다. 외환위기 전에는 한국이 복지국가인가가 관심이었다면 이후에는 어떻게 복지국가를 할 것인가에 관심이 있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외환위기는 한국에서 복지개혁의 시발점으로 평가되고 있다. 외환위기 이후 한국 사회의 구조적 변화로는 세계화 및 그 이념적 기반이 되는 신자유주의와 후기산업화사회의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신자유주의와 후기산업화사회로 인한 영향은 상호보완적 관계에 있다. 신자유주의는 사회보장체제에서 민영화, 시장화, 각종 규제의 철폐와 계약의 활성화 또 그로 인한 노동시장의 유연화 등을 가져왔다. 후기산업화사회는 제조업에서 서비스업으로의 고용구조 변화에 따라 고용불안과 고용의 질적 하락을 가져왔으며, 고령화, 핵가족화, 여성인구의 증가 등과 같은 가족 구조의 변화도 가져왔다. 이러한 사회구조의 변화는 사회보장정책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신자유주의에 이념적 기반을 둔 생산적복지 등의 제도이다. 김대중 정부의 자활지원사업 등을 통한 생산적 복지는 노무현 정부에서는 사회투자국가이론을 통한 참여 복지, 이명박 정부의 근로장려세제를 통한 능동적 복지 등으로 발전해 가는데, 모두 근로연계복지를 강조하는 것이어서 그 이념적 기반에는 큰 차이가 없다. 후기산업화로 인해 발생한 신 사회위험(new social risk)의 대응으로서는 보편주의의 채택 및 사회서비스의 제공을 요구한다. 김대중 정부 이래 국민연금, 고용보험, 산재보험 등은 적용범위 확대를 통한 보편주의를 취하였으며, 국민연금과 건강보험은 재정을 통합함으로써 사회연대를 확대하였다. 그런데 생산적 복지 등으로 시행한 근로연계복지의 경우 빈곤율이나 탈수급율 등 수급혜택의 측면에서 크게 개선된 면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비정규직 근로자 등 근로빈곤층은 여전히 사각지대로 남아 있다. 또 보편주의가 확대된 사회보험의 경우에도 납부예외자나 적용제외자가 광범위하게 존재하여 사회안전망으로서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지는 못하고 있다. 생각건대 사회보장체계가 좀 더 관심을 두어야 점은 사각지대로 남아 있는 비정규직과 영세 자영자에 대한 보호이며, 사회보험을 제1차적 안전망으로 하는 보편주의적 사회보장체제를 견지할 수밖에 없다. 중간계층이 빈곤에 빠지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사회전체의 입장에서 더욱 중요하기 때문이다. 최저수준의 사회보장은 국가의 책무로 하고, 최적 수준의 사회보장은 민간과 협력하는 역할 분담이 필요하다.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social security policy is determined by the social risks that society is faced. Or The structural changes in society will determine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security policy and the law. The same is true in Korea society. The 1997 financial crisis is the turning point of Recent structural changes in Korea society. The financial crisis in South Korea are regarded as the starting point of welfare reform. As the structural changes in society since the financial crisis in South Korea, globalization or the neo-liberalism and post-industrial society and the like. The Relationship between neo-liberalism and post-industrial society are complementary. Neo-liberalism in the Social Security system have brought privatization, marketization, the deregulation and activationof contract and in addition, the resulting flexibility of the labor market. Post-industrialized society have brought, changes from manufacturing to services depending on changes in the structure of employment and job insecurity brought about a drop in employment quality, aging, nuclear family, the increase of the female population, such as changes in family structure. These changes in the social structure affects the social security policy, The representative is the workfare which is neoliberalism. Neoliberalism has grown into Participation Welfare of Noh-MuHyun government through social investment state theory and Active Welfare of MB government through the EITC (Earned Income Tax Credit). All these are the ones that highlight the Welfare to Work. As Response to new social risks caused by industrialization, Universalism has been required. This phenomenon is mainly from social insurance, pension, public health insurance,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etc. However, Welfare to Work and adoption of universalism was not improved poverty rate, the working poor, such as temporary workers and small business owners still remains a blind spot. Those are to be solved recent pressing problems.

      • KCI등재

        사회망구조분석으로 본 노인관광

        박근수(Keun Soo Park)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1 觀光硏究論叢 Vol.23 No.1

        이 연구는 우리사회의 미래현상을 ``사회의 노령화``, ``서비스와 관광산업``, ``사회네트워크``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서 노인관광을 사회망구조로 접근하며, 둘째, 사회망구조를 효과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방법론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셋째, 언론에 노출된 다양한 노인관광과 노인여가의 모습을 사회망구조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향후 노인관광과 여가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개인의 사이코그래픽 관점과는 다른 시각인 사회집단모델과 사회망 구조 (social network structure) 분석법을 활용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노인관광의 이해를 위해 효과적인 연구방법을 선행연구의 연구방법을 분석하면서 그 장단점을 비교하였다. 또한 우리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노인관광과 여가현상이 언론을 통해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그 현상을 사회구조 분석법으로 해석하려고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노인들의 관광활동과 여가활동을 이해하는데 사회망구조 분석법이 상당히 유용하다는 것과 몇 가지 시사점을 제안하고 있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Korean society`s future phenomenon, such as ``the aging society``, ``service and tourism industry``, and ``the social network``.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following: First, the study tried to analyze the previous research of senior tourism through the Social Network Structure. Second, the study tried to propose the effective research method of Social Network Structure, such as the in-depth interview and the Social Convoy Model. Third, the study tried to analyze Korean older adults` leisure and tourism which has been reported in various newspapers by Social Network Structure perspectives. According to the study, the Social Network Structure perspective has been proven an effective way to analyze the Korean older adults` travel and leisure behaviors. Also, several implications have been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