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치안정책연구’의 연구경향 및 시사점

        윤병훈,성용은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17 치안정책연구 Vol.3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cent research trends of policing policy research by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related words based on the core subject words of the papers published in ‘Journal of Police Policies’ and discuss the implications of future policing policy research.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rom 2009 to 2017, Volume 31, Issue 1 (issued in March 2017), and analyzed the Journal of Police Policies published by the Police Science Institut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endency of study of police policy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 research topics were ‘Police’, ‘CPTED’, ‘Police officer’, ‘North Korea’, ‘Investigation’; Second, the results of the linkage analysis of the research theme ‘Police’ showed that the centrality of connection is ‘crime’, ‘investigation’, ‘North Korea’, ‘human rights’, ‘security police’, ‘police activities’, ‘Unification’, “crime prevention” and so on; Third, the main topic of the research is ‘crime’, ‘investigation’, and ‘North Korea’, which are related to the two main research topic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s suggested that: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expand the research trend of police policy research into police planning, cyber security, terrorism, foreign affairs, police planning, and information security; Second, more research is needed to study the major keywords (e.g., cyber terrorism,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ig data, new cybercrime, etc.) that can represent changes in the changing security environment. And that it should be of practical assistance in the development of police policies. Last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the academic and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이 연구의 목적은 ‘치안정책연구’에 게재된 논문들의 핵심 주제어를 바탕으로 관련 주제어간 관계성을 분석하여 치안정책연구의 최근 연구경향을 살펴보고, 향후 치안정책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2009년부터 2017년 제31권 제1호(2017년 3월 발행)까지 치안정책연구소에서 발행된 치안정책연구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치안정책연구의 연구경향은 첫째, 연구주제의 빈도분석 결과, ‘경찰’, ‘CPTED’, ‘경찰공무원’, ‘북한’, ‘수사’라는 연구주제어가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다. 둘째, 연구주제어 연결중심성 분석결과, ‘경찰’을 중심으로 연결중심성은 ‘범죄’, ‘수사’, ‘북한’, ‘인권’, ‘보안경찰’, ‘경찰활동’, ‘인권침해’, ‘통일’, ‘범죄예방’ 등이 주요 연구주제어가 도출되었다. 셋째, 연구주제어 중 연결중심성이 높은 연구주제어는 ‘범죄’, ‘수사’, ‘북한’이라는 연구주제가 각각 총 32개의 연구주제어 중 약 2개의 연구주제어와 관계성을 보여주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치안정책연구의 연구경향은 향후 사이버안전, 테러, 외사, 경무기획, 정보화 등 보다 다양한 분야의 치안정책 연구로 확대 및 확장될 필요성이 있다. 둘째, 변하는 치안환경의 변화를 대변할 수 있는 주요한 키워드(예, 사이버테러, 제4차 산업혁명, 빅데이터, 신종 사이버범죄 등)의 연구주제로 더욱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며, 특히 이는 우리나라 경찰의 치안정책 개발에 실제적으로 도움이 되도록 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끝으로 이 연구의 학술적ㆍ정책적 의의와 함께 이 연구의 한계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KCI등재

        실시간 안면인식 치안시스템에 대한 시민의 수용성 연구: 경찰 효율성, 시스템 안정성, 범죄 두려움, 사생활 침해, 경찰 정당성, 경찰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박한호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23 치안정책연구 Vol.37 No.1

        Live Facial Recognition Policing System (LFRPS) has recently emerged as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policing innovations. This is because concerns about personal data and privacy infringement are rais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using biometric information. Therefore, this study explored and analyzed the variables that predict citizens' acceptability, focusing on factors that are concerned when using the live facial recognition policing system at a time when empirical research on the police's use of the live facial recognition policing system has not yet been conducted. Through the analysis of this study, we seek ways to reduce conflicts between police and citizens in the process of using new policing technology and to build a positive relationship that increases police efficiency by utilizing live facial recognition policing systems. For this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focusing on citizens (public) who are parties to the security service, and SPSS was used as the statistical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use of live facial recognition was highly receptive when it was not infringing on citizens' privacy (β=-0.428***), and the higher the police's use of live facial recognition policing system (β=0.402***), the higher the willingness to accept it, and the justification in terms of means (β=0.358***). In addition, the analysis results (β=-0.197*) showed that stability and reliability should be secured for automated systems in accordance with the expectation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predictive security systems (Fredfall, Hunchlab) will be combined in the future.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in order for the police to actively utilize the live facial recognition policing system, citizens' perception of the police should not be impaired in case citizens perceive it negatively rather than the completeness of the technology.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clearly justify the purpose and use of the new policing technology, and as it is expected to be implemented as an artificial intelligence live facial recognition policing system to be automated, it is proposed to secure reliability in the system. 실시간 안면인식 치안시스템(LFRPS)은 최근 가장 논란이 많은 치안 혁신 중 하나로 급부상했다. 생체정보를 이용하는 이들의 특성으로 인해 개인 데이터 및 사생활 침해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경찰의 실시간 안면인식 치안시스템 사용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아직 시행되지 않은 시점에서 실시간 안면인식 치안시스템 활용 시 우려되는 요인을 중심으로 시민의 수용성을 예측하는 변인들을 탐색하고 그 영향들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을 통해 신치안기술의 활용과정에서 경찰과 시민들 간의 갈등을 감소시키고 실시간 안면인식 치안시스템을 활용하여 경찰의 효율성을 높이는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치안서비스 당사자인 시민(대중)을 중심으로 설문되었으며, 통계 프로그램은 SPSS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실시간 안면인식의 활용은 시민의 사생활을 침해(β=-0.428***)하지 않을 때 수용성이 높았고, 경찰의 실시간 안면인식 치안시스템 사용이 치안활동의 효율성(β=0.402***)을 높인다고 판단할수록 수용의사가 높았으며, 수단적 측면에서도 정당화(β=0.358***)되어야 한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더불어 향후 인공지능(AI)과 예측치안시스템(프레드폴, 헌치랩) 등이 결합될 것이라는 예상에 따라 자동화된 시스템에 대해서도 안정성 및 신뢰성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것을 분석 결과(β=-0.197*)로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실시간 안면인식 치안시스템을 경찰이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술의 완성도보다 시민이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경찰에 대한 시민의 인식이 손상되지 않아야 함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치안 신기술에 대한 사용의 목적과 용도를 명확하게 정당화할 필요가 있으며, 자동화될 인공지능 실시간 안면인식 치안시스템으로 구현이 예상되는 만큼 시스템상의 안정화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중단위 파출소 전환을 통한 경찰치안력 강화방안

        양승돈,임유석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12 치안정책연구 Vol.26 No.2

        지구대와 파출소와 같이 지역경찰은 경찰조직의 최일선에서 국민들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며, 지역사회 주민들과 밀착하여 최고의 치안서비스를 제공한다. 지금까지 경찰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과 기대 그리고 치안서비스 요구의 변화와 함께 파출소는 대단위 파출소, 광역파출소, 경찰서 집중순찰제 등의 다양한 형태로 변모하여 왔다. 이에 2003년에는 범죄 대응력 향상, 치안서비스 강화를 위한 경찰조직 내 인력의 재배치와 경찰관서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근무여건 개선을 이유로 경찰서 관할구역을 인구·면적·범죄발생 건수 등의 치안수요 요건들을 지역실정에 적절하게 권역별로 인력·장비를 집중시켜 순찰지구대를 발전시켰다. 또한, 순찰지구대에서 제외된 기존의 파출소는 치안센터라는 명칭으로 민원담당관을 배치하여 민원봉사에 중점을 두고 각종의·치안서비스 제공, 관내 주민여론 수렴, 협력방범활동 등을 통해 치안서비스 활동을 강화하였다. 하지만 지역적으로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는 치안여건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다시 지역사회경찰활동을 위한 파출소 제도를 적절하게 운영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결국, 순찰지구대의 중단위 파출소 전환을 통한 경찰의 치안대응력 향상방안으로 지역사회 실정에 알맞은 지역경찰업무 수행, 경찰서와 지역경찰관서의 경찰기능과 업무 및 인력의 효율적인 재배치, 경찰의 지휘부서와 업무 수행부서의 중복된 업무 지양, 지역경찰관서 단위의 단순사건 해결 권한 부여 등을 통해 탄력적이고 유동적인 지역경찰 업무를 수행해야 할 것이다. Local police protect people's lives and property at the forefront in organizations such as police box, and provide the best policing service closely with local communities. Also, citizens required awareness and expectations and policing services of police. Police box has changed in the form of various(Large-scale police box, Metro-police box, Focusing patrol), In 2003, crime responsiveness, police service to strengthen the relocation of personnel and police officers within the police organization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were improved. So the police jurisdiction population, area, and incidence of crime, policing, and demand requirements, as appropriate to local restaurant with regional personnel and equipment were developed by focusing patrol division. In addition, the patrol division are excluded from the existing police box focuses on civil service by placing the policeman in police operation center. Policing services, residents vitro consensus, cooperation and crime prevention activities strengthened the police service activity. But police box for community policing operate properly practice is increasing by considering the security situation in recent years. Eventually, policing service by the conversion of medium-scale's police box in the patrol division system improve responsiveness. Local polices through tasks of the police and the efficient reallocation of labor, the police department and the department's mission avoid duplicate work, the authorization of the simple case resilient and flexible local police work should be performed.

      • KCI등재

        경찰의 정보격차 실태와 개선방안

        권태형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14 치안정책연구 Vol.28 No.2

        To fight over the crimes getting more skillful and clever, the police have endeavored to devise more efficient and creative systems such as Smart Policing base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However, even though the Police Information System is getting even more advanced, it is unlikely to be utilized if there is a Digital Divide in the police, the ones who actually use the system in the field. In order to embody the Smart Policing, the Digital Divide in the police should be settled. This study is going to understand the status of the Digital Divide focusing on the Skills Divide and suggest some improvement proposals to solve the problems. Comparing ICT skills of policemen, the characteristics of low ICT skills groups are as follows: the shift pattern is field policeman, sex male, and rank inspector, senior inspector, superintendent or higher ranks, and the aged, experienced group. In terms of functions of duties the scores in public safety, patrol officer, and public security/traffic are relatively low in the low ICT skills groups. Also, policemen with higher individual performance evaluation levels turn out to have better ICT skills. Desk policemen who have higher individual evaluation levels have higher ICT skills scores, and in case of field policemen, the lower individual evaluation level (B and C level) groups have lower ICT skills scores than the higher individual evaluation level (S and A level) groups. On the other hand for the relation between ICT skills and Metropolitan/Provincial Police Agency’s Police Comprehensive Performance Assessment relationship, the groups with higher Police Comprehensive Performance Assessment scores (S and A level) tend to have better ICT skills than those with lower Police Comprehensive Performance Assessment scores. This study, based on such research results, proposes solutions to the Digital Divide problem in the police in the two different aspects of education and dissemination of ICT equipment. Also, an investigation of the Digital Divide status in police should be conducted annually in order to time-sequentially measure and evaluate resolution policies of Digital Divide in the police and to utilize as a base line data for more efficient development of policies in the future. 정보화 시대에 갈수록 교묘해지는 각종 범죄에 맞서는 경찰은 정보통신기술에 기반한 스마트 치안 등 더욱 효과적이고 창의적인 업무체계를 갖추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경찰정보화시스템이 계속 첨단·고도화 된다 해도 실제 이를 활용해야 하는 경찰 내에 정보격차가 있다면 스마트 치안 구현은 쉽게 이루어지기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스마트 치안 구현을 위해서는 경찰 내 정보격차 해소가 뒷받침 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찰의 정보격차 실태를 활용격차 위주로 실증적으로 파악하고, 정보격차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경찰의 정보화 능력을 여러 집단별로 비교 조사한 결과 정보화 능력이 낮은 집단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근무형태로는 외근직이고, 성별로는 남자이며, 계급별로는 경찰 간부인 경위, 경감, 경정이상이며, 나이가 많고 근무경력이 많은 집단이다. 그리고 근무기능별로는 생활안전, 지역경찰, 경비/교통 기능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성과평가 등급이 높을수록 전반적인 정보화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근직은 개인성과평가 등급이 높을수록 정보화 능력 점수가 높으며, 외근직은 성과평가 하위등급(B등급, C등급)의 정보화 능력 점수가 성과평가 상위등급(S등급, A등급)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보화 능력과 지방청 치안종합성과평가 결과의 관계에서는 치안종합성과평가 결과가 상위등급(S등급, A등급)인 지방청의 정보화 능력이 치안종합성과평가 결과가 낮은 지방청의 정보화 능력보다 높은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경찰의 정보격차 해소 방안을 교육적인 측면과 정보화장 비보급측면으로 나누어 제언한다.

      • KCI등재

        자치경찰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소고

        곽영길,이승철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19 치안정책연구 Vol.33 No.3

        현재 한국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에서만 자치경찰제가 실시되고 있고 제도의 불완전함으로 인해 진정한 의미에서 자치경찰제는 요원한 상황이다. 따라서 전국적으로 지역에 적합한 치안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치경찰제의 도입은 필수적이라고 하겠다. 이에 현 정부에서는 「경찰법」을 전면 개정하여 「국가경찰 및 자치경찰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률(안)」을 의원입법으로 발의하였고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이다. 이 법률은 자치경찰제 도입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여 주민 수요에 적합한 다양한 치안서비스를 제공하고 국가 전체의 치안역량을 강화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주민참여의 보장이라는 관점에서 현 정부안에서 도입하려는 시·도 경찰위원회를 고찰하고 이와 함께 일선 공무원들의 인식조사를 통하여 파악한 자료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시·도 경찰위원회제도의 구성 및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 정부안의 시·도 경찰위원회는 과거 역대 정부가 주장한 시·도 경찰위원회를 다소 발전시킨 방안으로 생각되나, 시·도 경찰위원회가 실질적이고 능동적인 주민참여의 통로로 기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향후 입법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보다 심도 있게 검토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첫째, 시·도 경찰위원회는 단순한 심의·의결기관으로 형식적인 주민참여가 아닌 능동적이며 실질적인 주민참여의 실현과 정치적 중립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독립적인 행정위원회 기관형태로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시·도 경찰위원회의 자치경찰에 대한 관리·감독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시·도 경찰위원회의 정책에 대한 결정권과 감독권을 부여하는 방안을 입법화해야 한다. 둘째, 주민참여를 활성화하는 측면에서 시·도 경찰위원회의 위원은 7인 이상 10인 이하로 하는 것이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적정하다고 사료된다. 이때 1인의 위원을 대법원이 추천하는 것은 주민참여의 취지와 부합하지 않으므로 재고할 필요가 있다. 셋째, 시·도 경찰위원회의 서무는 독립하여 수행토록 하고, 위원회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사무국을 시·도 경찰위원회 내에 두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Currently, only the Jeju Special Municipal Province has a Municipal Autonomy police system, and due to the incomplete system, the real Municipal Autonomy police system is a long way off. Therefore, it is said that it is essential to introduce a Municipal Autonomy police system that can provide adequate security services to the regions nationwide. Accordingly, the current government proposed the 「Act on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National Police and Municipal Autonomy Police」 by revising the 「Police Act」 and is currently pending in the National Assembly. The law aims to provide various security services suitable for the needs of residents and strengthen the security capabilities of the entire nation by providing legal grounds for the introduction of the Municipal Autonomy police system. In this study, the city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s were reviewed to introduce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guarantee of residents’ participation, and at the same time, based on data identified through a survey of the perceptions of frontline government officials, the government wanted to present desirable measures to organize and operate the city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 system. While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s of the current administration are thought to have improved the city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s somewhat, they believe that the following matters need to be considered in the future legislation process in order to ensure that the city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s function as channels for practical and active participation of residents. First, the institutional form of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 should be established as an independent administrative committee to ensure active and practical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political neutrality, not as a mere deliberation and decision-making institution. In addition, a measure should be enacted to give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s the right to decide and supervise the policies of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s in order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econd, it is necessary to have at least seven members of the city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s in terms of boosting residents’ participation. On the other hand, considering the efficiency of the operation, it would be appropriate to make up a seven-ten-member committee, and the Supreme Court’s recommendation of a single member should be raised to be far from public particip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make the ordination of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s independent and to consider having the secretariat within the city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s to carry out the commission’s duties.

      • KCI등재

        광역단위 자치경찰제 도입에 관한 경찰관들의 인식 연구

        장민규,류준혁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20 치안정책연구 Vol.34 No.4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autonomous police system in a desirable direction by examining the perceptions of front-line police officers on the introduction of the metropolitan autonomous police system under discussion.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details such as personnel, organization, political neutrality, division of duties, and finances within the regional autonomous police system. A survey was conducted on 1,227 national police officers nationwide to find out about the shortcomings and advantages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organizational justice and commitment, pros and cons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and investigated preferences and intentions to turnover among the operating types of the police system. SPSS 18 was used for the calculation and analysis of the basic statistics. The analysis methods were factor analysis and logistic analysis. Logistic analysis shows that those who are more aware of the shortcomings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are more likely to oppose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The mo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urity service and the labor cost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was recognized, the more likely they were to oppose it. Women are more likely to oppose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than men, and the older are more likely to support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Meanwhile, when the intention to turn to autonomous police was analyzed as a dependent variable, those who recognized more about the shortcomings of autonomous police system were more likely not to turn to autonomous police. In addition, police officers who perceiv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urity service and labor costs for autonomous police were more likely not to turn to autonomous police. Regarding organizational fairness, the higher recognition of interaction fairness and procedural justice, the more likely it would not be to turn away. The higher the level of normative and emotional commitment, the more likely they would not turn to autonomous police, and the older they were, the higher their intention to turn to autonomous police.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wo policy for police. First, it is necessary to rethink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if there is no solution to the fundamental problem represented by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Second, for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an active persuasion process for officer is essential. 이 연구는 현재 논의되고 있는 광역단위 자치경찰제 도입 안에 대한 일선 경찰관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바람직한 방향의 자치경찰제 도입을 목적으로 한다. 전국 1,227명의 국가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자치 경찰 제도의 장점·단점, 조직공정성과 몰입, 자치경찰제 안에 대한 찬·반 의견, 이직 의향을 조사하였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 기본적인 통계 산출 및 분석은 SPSS 18을 이용하였고, 분석 방법은 요인 분석, 로지스틱 분석을 시행하였다. 로지스틱 분석 결과, 자치경찰제도의 단점에 대해 더 많이 인식하는 사람들의 경우 자치경찰제도에 대한 반대 가능성이 더 크게 나타나고 있었다. 자치 경찰에 대한 치안 서비스와 인건비 차이를 더 많이 인식할수록 자치 경찰에 반대할 가능성이 더욱 커진다는 것도 보여주고 있었다. 여성이 남성보다 자치경찰제도에 반대할 가능성이 크며, 연령이 많아질수록 자치경찰제도에 대해 찬성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치 경찰로의 이직 의도를 종속변수로 분석하였을 때는, 자치경찰제도의 단점에 대해 더 많이 인식하는 사람들의 경우 자치 경찰로 이직하지 않을 가능성이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자치 경찰에 대한 치안 서비스와 인건비의 차이가 크다고 인식하는 경찰공무원일수록 자치 경찰로 이직하지 않을 가능성이 더 커진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었다. 조직공정성과 관련해서는 상호작용 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이직하지 않을 가능성이 컸다. 규범·정서적 몰입 수준이 높을수록 자치경찰로 이직하지 않을 가능성이 컸고, 연령이 높아질수록 자치경찰로 이직 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는 2가지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자치경찰제도의 도입이 나타내는 근본적인 문제의 해결이 없다면 자치경찰제도의 도입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자치경찰제도의 도입을 위해서는 구성원들에 대한 적극적인 설득의 과정이 필요하다.

      • KCI등재

        중앙경찰학교의 신임경찰관 교육내용과 성과에 관한 고찰

        이정기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17 치안정책연구 Vol.31 No.3

        The main task of the police is to carry out the roles of power, such as ordering and enforcing the people by the general rulership in order to protect the life, body and property of the people. In addition, recently, the crime phenomenon in Korean society is not only an increase in police demand but also a desire for national security and a demand for high quality policing service, our police are confident that they are professional and professional in order to meet the expectation of the people. Police officers must be secured and educated. According to this social phenomenon and the demand of the people, Is expected to increase by 4,000 in 2013, A new officer of the police officer who increased the workforce by 20,000 It is a situation that the dragon is rapidly increasing. The new police education is an important issue direct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police organization. In particular, the Central Police Academy, a new police officer education institution, is a very important educational institution for the successful performance of police officers as a new basic education institution that polishes the procedures and principles and the necessary knowledge and techniques for the new police officers to carry out their duties effectively in the field. At the present moment of the 30th anniversary of the opening of the Central Police Academy, which is to commemorate this year, this study examined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al aspects of the Central Police Academy graduates who have achieved major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police affairs. 찰의 주요한 업무는 국민의 생명․신체․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일반통치권에 의해 국민에게 명령․강제하는 권력 작용 등의 역할 수행이다. 더불어 최근 한국사회의 범죄현상은 양적ㆍ질적으로 치안수요의 증가뿐 아니라 국민안전에 대한 욕구와 질 높은 치안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는 시점에서 우리 경찰은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한 전문적이고 직업관이 투철한 신임 경찰공무원을 확보하고 양성해 나가야 한다. 이러한 사회현상과 국민의 요구에 따라 경찰청은 2013년 4천명 증원을 시작으로 5년간 경찰인력 2만명을 증원하면서 경찰공무원의 신규임용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신임 경찰교육은 경찰조직의 발전과 직결되는 중요한 이슈라 할 수 있다. 특히, 신임경찰관 교육기관인 중앙경찰학교는 신임경찰관들이 현장에서 직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절차 및 원칙, 필요한 지식과 기법을 연마하는 신규임용 기본교육기관으로서 경찰관들의 성공적 직무수행을 위하여 매우 중요한 교육기관이다. 올해 기념할 만한 중앙경찰학교 개교 30주년의 현 시점에서, 본 연구는 중앙경찰학교 졸업생들이 그간 치안현장에서 주요 성과를 이룩하게 된 그동안의 교육적 측면의 내용에 대하여 짚어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경찰관 고객만족 컨설팅의 효과 분석- 시흥경찰서 경찰관들의 직무만족도를 중심으로 -

        박종철,정철우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17 치안정책연구 Vol.3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basic materials to establish strategies that raise degree of job satisfaction of police officers through analysing the effectiveness of custom satisfactory consulting. For this study, 541 data of Siheung police officers surveyed by police agency were collected. This data are consist of 6 variables such as degree of job satisfaction, sex, age, career, rank, and consulted or not. And to find the pure effectiveness of consulting, the Covariance Analysis method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sulting is very effective in raising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from 6.18 to 8.53. in not controling the co-variables. Second, analysing the adjusted mean deducted by covariance analysis showed that the mean of job satisfaction raised from 6.12 to 8.56. This study found that the consulting was very effective in raising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of police officers, so the consulting should be expanded to the all over police organization. 경본 연구는 경찰청에서 조사한 2015~2016년도 경기남부지방경찰청 시흥경찰서의 직무만족도 자료를 활용하여 고객만족 컨설팅이 경찰관의 직무만족도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공분산 분석을 실시하였고, 컨설팅의 순수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공변수를 통제하고 조정평균을 통해 통제 이전과 이후를 평균값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변수 통제 이전과 이후 모두 고객만족 컨설팅은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시흥경찰서 경찰관들의 직무만족도가 고객만족 컨설팅 실시 후에 높아진 것을 의미한다. 특히, 위와 같은 결과는 고객만족 컨설팅이 민간 분야 뿐 아니라 공공 분야에서도 활용될 수 있음이 검증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을 요약하여 정책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경찰청 소속 고객만족 컨설팅 전담 조직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경찰서 고객만족 T/F팀 구성시 상사(중간 관리자)의 참여가 매우 필요하다. 셋째, 컨설팅 실시 전 구성원들의 기대(요구) 사항의 일치가 선행되어야 한다. 넷째, 경찰청 차원의 지속적인 지원과 운영 관리가 필요하다. 모쪼록 본 연구가 경찰청의 고객만족 컨설팅 정책의 지속적인 운영 판단에 유용하게 활용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다중흐름모형을 통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치과정 연구

        윤재상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20 치안정책연구 Vol.34 No.3

        The High-ranking Public Officials Crime Investigation Office eliminates certain crimes, such as abuse of authority committed by high-ranking public officials or their family members, filing of fraudulent official documents, and illegal receipt of political funds, and eradicating the privileges and corruption of public officials to ensure the transparency of the state and the reliability of public officials. As an institution to create a just and fair country that guarantees equal opportunities for all citizens by raising the level, the process of enacting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High-Level Public Officials Crime Investigation Center」 for establishment of this institution is divided by period. Through the multiple streams framework, we derive policy implications that the combination of each flow and the role of policy innovators are important in policy making, alo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icy decision process, such as the suitability and differences of the theory. Specifically, first, the fact that the smooth composition of each flow and whether or not it rises affects the policy decision, and if the flow rises, but cannot be combined, the policy window does not open, and when each flow is combined, the desired result is We confirmed the suitability of the claim to be produced. Second, along with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he head of state as a policy entrepreneur, it was also found that the head of state can contribute to policy decisions only by securing the driving force supported by each flow.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assertion that policy entrepreneur make decisions based on time constraints is appropriate. Finally, the research result that the multiple streams framework is a theory that is useful when the degree of differentiation of the policy system is relatively low as in Korea, and the policy is suddenly decided or changed from time to time, it was also possible to examine its suitability through a case study.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는 고위공직자 또는 그 가족이 범한 직권남용, 수뢰, 허위공문서 작성 및 정치자금 부정수수 등의 특정범죄를 척결하고, 공직사회의 특혜와 비리를 근절하여 국가의 투명성과 공직사회의 신뢰성을 높임으로써, 국민 모두에게 균등한 기회가 보장되는 정의롭고 공정한 나라를 만들기 위한 기관이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치를 위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는 과정을 시기별로 구분한 뒤 다중흐름모형을 통해 이론의 적합성과 다른 점 등 정책 결정 과정에서의 특징과 함께 각 흐름의 결합과 정책혁신가의 역할이 정책 결정에 중요하다는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각 흐름의 원활한 조성과 대두 여부가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과 흐름은 대두하였지만 결합하지 못하는 경우 정책의 창이 열리지 않으며, 또 각 흐름이 동시에 모두 결합할 때 바람직한 결과가 산출된다는 주장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국가원수의 정책혁신가로서 역할을 하는 부분에 대한 중요성과 함께 국가원수 역시 각 흐름의 뒷받침을 받아 추동력을 확보해야 정책 결정에 이바지할 수 있다는 다른 점도 발견하였다. 셋째, 정책결정자들은 시간 제약에 따라 의사결정을 한다는 주장이 적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다중흐름모형은 한국과 같이 정책체제의 분화 정도가 비교적 낮고, 정책이 갑자기 결정되거나 수시로 변동되는 경우에 유용한 이론이라는 연구결과도 사례연구를 통해 그 적합성을 고찰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제3의 탈경찰화와 민간경비원의 권한확대 : 영국의 지역사회 안전인가제도 중심으로

        김학경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14 치안정책연구 Vol.28 No.1

        1990년대부터 시작된 제3의 탈경찰화는 사회 안전 예방책임의 민간영역으로 재분배 현상을 의미하는데, 그 배경은 종래 국가가 독점해오던 공공의 안녕과 질서유지에 관한 경찰권을 민간인에게 위임하여 부족한 경찰력 등을 보완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제3의 탈경찰화의 핵심은 지역사회 내 범죄예방이라는 보편적 목적을 위하여 민간영역에 제한적인 경찰권을 부여한 것인데, 이는 2002년 경찰개혁법에서 시작된 영국의 지역사회 안전인가제도와 유사한 측면이 많다. 지역사회 안전인가제도는 지역경찰청장이 요건 및 자격 등을 검토한 후, 인가경비원 등에게 범칙금 통고처분권·불심검문·압수권 등과 같은 보편적인 성격의 경찰권을 부분적으로 부여하는 제도이다. 동 제도를 통하여 영국의 민간경비산업은 사적 계약관계에서 기인하는 사용자 종속성에서 벗어나, 이제는 지역사회 협력치안활동의 공식 파트너로서 범죄와 무질서 예방 그리고 반사회적 행위 근절이라는 보편적인 치안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최근 일각에서 제기되는 민간경비원의 법적권한 확대주장에 발맞추어 지역사회 안전인가제도의 구체적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향후 도입 시 필요한 이론적·비교법적 근거 및 운영모델사례를 선제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첫 번째, 비교법적 근거도출을 위하여 대륙법계의 시대적 지향점인 탈경찰화 흐름과 영국의 지역사회안전 인가제도의 도입배경을 이론적으로 접목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 구체적인 운영모델 사례를 제시하기 위해서 승인 및 인가절차 그리고 교육훈련 및 범죄경력요건 중심으로 지역사회 안전인가제도를 분석하였고, 마지막으로 이러한 비교고찰을 통하여 정책적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In Continental Europe, the concept of “Entpolizeilichung” means the reduction of duties and powers of the regular police to simply maintaining law and order. However, since the 1990s, the third Entpolizeilichung has gradually emerged, where the responsibility of maintaining law and order began to be re-distributed between state, local authorities, and the private business sector. In other words, the police started to entrust limited, but targeted, police powers to the private sector in order to complement the deficiency of manpower and resources of the police. In a similar vein, the UK police force has also implemented the Community Safety Accreditation Scheme (CSAS), based on the Police Reform Act 2002. Through the CSAS, the Chief Constable of a local police force can grant a limited, but targeted, range of police powers to employees of non-police organisations, such as private security officers who can also contribute to community safety. Individuals who have been granted these powers are known under the Act as Accredited Persons, and they are also required to wear a uniform and a badge approved by the police when exercising their powers. In particular, the badge must show and detail the powers which they are entitled to exercise.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UK’s CSAS can be theoret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Entpolizeilichung. In Korea, academic discourses on the entrustment of police powers to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has recently occurred, but seems to fail to provide robust theoretical grounds and model examples, particularly based on cross-cultural studies. In this context, the study first tries to investigate the procedures and conditions of the CSA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ird “Entpolizeilichung”. Drawn from the critical discussions of the findings, the study finally provides the following policy suggestions: 1) the accreditation body should be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KNPA), 2) In order to evaluate private sector companies seeking approval, the Korea Security Association should be nominated on behalf of the KNPA, 3) the target of police powers needs to be confined to misdemeanours in a community, 4) the entrustment of limited, but targeted, police powers with the exception of arrest, detention, and weapons, 5) accredited persons should be restricted to legally-licensed private security officers, 6) education programs should include “crime and incident scene management” and “disaster and crisis management”, 7) the criminal record check standard needs to be reinforced, and finally 8) the imposition of criminal charges against accredited persons in the event the given powers are abused, and against any civilians who challenge their legitimate pow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