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절 및 거절 도식이 초기 성인기의 경계선 성격 특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거부민감성의 매개된 조절효과

        전정은,김정민,한예은 한국상담학회 2021 상담학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단절 및 거절 도식, 사회적 지지, 거부민감성 및 초기 성인기의 경계선 성격 특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단절 및 거절 도식이 경계선 성격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사회적 지지와 거부민감성이 매개된 조절효과를 갖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초기 성인기에 해당하는 36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절 및 거절 도식이 거부민감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사회적 지지는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절 및 거절 도식이 경계선 성격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단절 및 거절 도식이 경계선 성격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와 거부민감성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단절 및 거절 도식으로 인해 경계선 성격 특성을 가진 초기 성인기를 위한 구체적인 심리 치료적 개입의 근거 자료를 제공했다는 면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social support, rejection sensitivity a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n early adulthood, and to verify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rejection sensitivity concerning the influence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on the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For data collection,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360 young adults.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concerning the effect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on rejection sensitivity were significant. Second, th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concerning the effect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on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were significant. Third,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rejection sensitivity concerning the effect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on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were significa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provided basic data regarding specific psycho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caused by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 KCI등재후보

        Cognitive Schemas as Medi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Psychological Distress

        F. Donald Kelly,Donghyuck Lee 한국상담학회 2011 Journal of Asia Pacific counseling Vol.1 No.1

        This study examined the indirect effects of maladaptive cognitive schema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the forms of depression and anxiety. A total of 249 college students completed th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Hewitt &Flett, 1991), the Schema Questionnaire-Short Form (Young, 1990),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Radloff, 1977), and the State-Trait Anxiety Scale (Spielberger, 1983). The results indicated that certain maladaptive cognitive schemas significant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psychological distress. Specifically, fear of abandonment and subjugation, are significant mediator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Mean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nxiety is mediated by fear of abandonment, mistrust/abuse, and vulnerability to harm.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ts may be vulnerable to depression and anxiety due to their maladaptive cognitive schemas.

      • KCI등재

        사회행동 배열과제의 개발과 타당도 연구: 정신분열병 환자의 사회인지 능력을 측정하는가?

        권정혜,전진수,최기홍 한국임상심리학회 2003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ocial Behavior Sequencing Task (SBST) measuring social-cognitive ability of schizophrenics and examin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Social Behavior Sequencing Task was developed following the format of the Schema component sequencing task used by Corrigan, Wallas, & Green(1992). The final six items of the Social Behavior Sequencing Task were sele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study in which 10 items were administered to 200 college students. To establish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Social Behavior Sequencing Task was then administered to 42 schizophrenics attending the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and 46 normal adults.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Cronbach alpha coefficient was .87 indicating high reliability. It was also shown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chizophrenic group and the normal group on the mean of the SBST, t(86)=-3.40. p < .01.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al analyses indicated that the score of the SBS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core of the picture arrangement subtest of KEDI-WISC, r=.47, p < .01 but not with the vocabulary subtest of K-WAIS, r=.14, ns. The SBST was also foun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wo measures of social skills(r=.44 & -.58), demonstrating high validity.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along with its limitations.

      • KCI등재후보

        수치심: 사회 심리적 관점에서 접근

        이희철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08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15 No.-

        This article is about shame and schema. This article assumes that every professional caregiving acts on its own schema. This article argues that schema orients future acts whatever it is a caregiver’s act or a caretaker’s act that reflects shameful experiences. Two major paradigms of shame will be addressed; they are ‘Internal Oriented Paradigm’and ‘Relational Paradigm.’This article will explore these paradigms critically and attempts to find each schema that strongly operates in them. This article will end with pastoral suggestions, hoping to enhance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for people whose major emotional predicament is shame.

      • KCI등재

        사이버생활양식 개념의 정립

        이상훈 대동철학회 2003 大同哲學 Vol.23 No.-

        정보화 사회로의 이행은 문화와 인지 및 학문체계 전반에 걸쳐 총체적인 변화를 이끌고 있을 뿐 아니라, 최근 완료된 게놈 프로젝트에서 볼 수 있듯이 인간과 그 영혼의 문제에 이르기까지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런 이유로 디지털 혁명을 과학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존재론적 혁명이라는 차원에서 바라보는 논의들도 나타나고 있다. 졸고는 정보화 사회의 주요 특징을 디지털 문화와 디지털 영상도식 및 테크노철학 개념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며, 이 과정에서 사이버 사회관계와 사이버 생활양식 개념을 정립해 보고자 한다. The transition to the Information Society is causing great changes in the academic spheres and mass culture. Recent Genome Project shows it can make effects directly on the Human itself and its soul. By this reasons, the Digital Revolution is now considered not just on the technical and scientific levels but also on the socio-ontological dimension. This article deals with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digital culture and proposes new concepts such as 'digital image schema' and 'Techno-philosophy'. During this process, it will also try to set up the new concept of cyber-lifeform.

      • KCI등재

        운동의도 설명을 위한 사회생태학적 접근

        이윤구 ( Yoongu Lee ),이기표 ( Ki-pyo Lee ),윤용진 ( Yong-jin Yoon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7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생태학적 관점에서 사회적 환경과 물리적 환경 변인들이 어떻게 운동 자기-도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신체활동증진 개입전략의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경기도에서 개최된 생활체육대회 이벤트에 참여한 50대 남성 238명이 본 연구의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운동 자기-도식, 사회적 환경, 물리적 환경, 운동의도 질문지가 사용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이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되었다. 결과: 첫째, 사회적 환경과 물리적 환경 변인 모두 운동 자기-도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운동 자기-도식과 물리적 환경은 운동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사회적 환경은 운동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 사회적 환경과 물리적 환경이 운동 자기-도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환경적 요인들은 운동행동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신체활동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많은 다양한 연구가 요구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social and physical environment variables affect the exercise self-schema from the social ecological perspectiv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intervention strategy of physical activity promotion. Methods: A total of 238 of 50s male participated in the Sports Event in Gyeonggi-do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Exercise self-schema, social environment, physical environment, exercise intention questionnaires were us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to derive the study results. Results: First, both the social environment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xercise self-schema. Second, exercise self-schema and physical environment have a positive effect on exercise intention. However, the social environment did not directly affect the intention to exercis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at social and physical environmen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xercise self-schema, environmental factors were found to be helpful for the exercise behavior. In addition, many further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the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rogram are needed.

      • KCI등재

        장소 스키마 이론의 사회과 지리교육적 함의

        한동균 ( Han Dong Kyu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6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는 개인의 주관적인 장소 경험에 대한 지식체계로서 장소 스키마 이론을 논하고 사회과 지리교육적 함의를 추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장소 스키마는 사회적 구성물인 장소와 관련하여 개인이 가지고 있는 감성적이며 암묵적인 지식체계이다. 이러한 장소 스키마는 장소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장소 시스템과 상호작용에 의해 장소 패턴의 발달을 유발하는 기제로 작동한다. 특히 장소 스키마는 장소와 관련된 개인의 인지와 행위에 영향을 끼치며, 개인이나 집단이 속한 사회문화적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장소 스키마는 사회적 산물인 장소와 경관에 내재된 질서와 권력을 독해하는 단서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사람들이 장소를 어떻게 이해하고 그들의 장소 경험을 부호화하는지 해석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사회과 지리교육적으로 장소 스키마는 개인지리를 탐색할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탐색 과정 중에 발견되는 학생의 지리적 오개념을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이 지리적 안목으로 세상을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 인식의 틀로서 지리적 탐구를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개인마다 다양한 모습으로 표상되는 장소 스키마는 차이와 다양성을 고려하는 차이의 지리교육이 가능하도록 한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place schema theory as a knowledge system about subjective place experience of individuals and to extract its implication in geographical education of social studies. Place schema is a emotional and tacit knowledge system, which individuals have, regarding places that are social constructs. This place schema functions as a mechanism that causes development of place patterns due to place system and interaction, in the process of forming place identity. Especially, place schema affects personal cognition and behavior related to a place and is affected by society and culture that an individual or a group belongs to. This place schema can be used as a clue to read order and power in place and landscape that are social fruits. Moreover, this helps in interpreting how people understand places and encode their place experience. In particular, place schema can be a foundation to explore personal geography in geographical education of social studies. It is also useful in finding and fixing geographical misconceptions of students during exploration. In addition, it facilitates geographic enquiry as a framework of perception to help students look upon the world, from a geographical perspective. Lastly, representation of place schema varies from individual to individual and makes geographical education of difference possible to consider difference and diversity.

      • KCI등재

        혼술 및 사회 음주 집단의 심리적 특성

        전혜린,이훈진,전혜진 한국건강심리학회 2024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9 No.1

        본 연구는 대학생 문제 음주 집단을 혼술 및 사회 음주 집단으로 구분하여 집단 간 초기 부적응 도식, 대처 양식, 우울 및 사회불안 등 문제 음주와 연관된 심리적 요인을 비교하였다. 대학생 330명에게 한국판 알코올 장애 간이 선별검사(AUDIT-K), 도식 질문지 단축형, 문제중심 대처 양식 척도, 음주 동기 척도, 한국판 역학연구센터 우울척도 및 한국판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척도를 실시하였고, AUDIT-K 점수와 음주 습관 질문 결과를 바탕으로 혼술 집단 24명, 사회 음주 집단 140명, 병행 음주 집단 30명, 비위험 음주 집단 121명을 선별하였다. 연구 결과, 혼술 집단은 사회 음주 집단에 비해 단절과 거절 및 타인 지향성 도식 영역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대처 양식 중 억제형 대처 및 반동형 대처가 더 높았다. 또한, 혼술 집단은 대처 동기와 평소 경험하는 우울 및 사회불안의 정도도 더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혼술 및 사회 음주 집단이 문제 음주의 취약성 요인으로 알려진 초기 부적응 도식 및 대처 양식에서 차이를 보이며, 평소 경험하는 심리적 부적응에서도 상이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혼술 집단이 사회 음주 집단에 비해 초기 부적응 도식, 대처 양식, 우울 및 사회불안에서 더 부적응적인 특성을 보임을 확인함으로써, 알코올 사용장애의 위험 요인이자 재발 요인으로 알려진 혼술과 연관된 심리적 요인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variou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etween solitary and social drinking groups. Three hundred and thirty-three participants from a university answered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the Korean Version of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K), Young Schema Questionnaire-Short form, Problem-Focused Style of Coping, Drinking Motives Questionnair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Korean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Based on the results of AUDIT-K and Drinking Type Classification Scale, the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as a solitary drinking group (n=24), social drinking group (n=140), solitary and social drinking group (n=30), and nonproblematic drinking group (n=121).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olitary drinking group had higher scores i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and ‘other directedness’ schemas, suppressive and reactive coping styles, coping motives, and higher levels of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compared to the social drinking group.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olitary drinking group, compared to the social drinking group, is more vulnerable towards problematic drinking, represented as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coping styles, and also suffers higher levels of psychological maladap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revealed psychological factors related to solitary drinking, which is a known risk factor and recurrence factor for alcohol use disorders.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further discussed.

      • KCI등재

        스키마 이론에 근거한 사회과 지리 학습의 재해석

        한동균 ( Dong Kyun Ha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4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2 No.1

        Most of all people understand and solve various problems of daily lives, based on their previous knowledge. Therefore, the Schema, an cognitive system organized with previous knowledge becomes an important structure frame through which an individual interprets social phenomena. From an educational point of view, the student’s schemas are the most fundamental basis as well the origin of learning in which learning activities are generated. This is also the most basic issue of forming and developing of student’s knowledge in subject-matter education. In conclusion, the aim of subject-matter education may be to forster an ability to accumulate and use the schema as a structure of knowledge for a meaningful learnings of students. Thus, a study of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schema as the student’s knowledge constructs, seems to be important in terms of subject-matter education. However, few studies about this theme in subject-matter education have been implemented, and discussions of learning processes for students have been insufficiently carried out. Hence, this study attempted to reinterpret the social studies geography learning through a schema theory from a view of theory of knowledge.

      • KCI등재

        대학생의 초기부적응도식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수치심의 매개효과

        권석용(Gwon SeokYong),이지연(Lee JeeY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8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초기부적응도식과 스마트폰 중독 사이에서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수치심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대학생 335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SPSS 21.0과 AMOS 21.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부적응도식, 사회부과 완벽주의, 수치심, 스마트폰 중독으로 설정한 경로들이 유의하였다. 둘째, 초기부적응도식은 수치심을 매개하여 스마트폰 중독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초기부적응도식은 스마트폰 중독에 직접적인 영향도 미치며,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수치심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스마트폰 중독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의 치료를 위한 개입에서 초기부적응도식의 중요성을 밝혔으며,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수치심이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에 대한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Objectives In this study, we want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hame between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smartphone addiction in college students. Methods To this end, data from 335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technical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 using SPSS 21.0 and AMOS 21.0.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pathways set by early maladaptive schema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hame, and smartphone addiction were significant. Seco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early maladaptive schemas increases the smartphone addiction by mediating shame Finally, it has been confirmed that early maladaptive schemas has a direct impact on the smartphone addiction and increases the smartphone addiction by mediating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hame sequentially. Conclusions The above findings reveal the importance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in interventions for the treatment of smartphone addiction in college students, and confirm tha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hame can be important clue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bsequent studie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