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스마트(SMART) 교육은 국어교육을 스마트(smart)하게 할 수 있는가

        정혜승(Chung Hye seung)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4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8 No.2

        이 연구는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SMART) 교육의 필요성을 생각하고, 그러한 교육의 도입으로 국어교육이 스마트(smart)해질 수 있는지, 스마트한 국어교육이 되기 위해서 어떤 변화가 필요한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스마트 교육은 개인적 차원에서는 변화하는 정보 기술 사회에서 삶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역량을 길러주는 데, 사회ㆍ국가적 차원에서는 국가 경쟁력을 제고하는 데 필요하며, 학습자의 자기주도성, 흥미, 적성을 고려하고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으로도 의미 있는 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지금의 국어교육은 학습자들이 교육의 효과성을 체감하지 못하며, '국어'의 틀에 갇혀 스마트하다고 평가하기 어렵다. 스마트한 국어교육이란 학습자들이 언어를 통하여 성장하며, 자신의 성장을 체감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스마트 교육이 단지 디지털 기기의 사용과 매체를 활용한 교수ㆍ학습을 증가시키는 데 그치지 않고 국어교육을 스마트하게 하는 데 기여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국어교육자들에게 근본적인 관점의 변화가 필요하다. 학습자를 주체로 보고 그들에게 실제적인 언어 경험을 제공하는 것, 문자 중심적인 텍스트관을 확대하여 복합양식적인(multi modal) 텍스트를 다루는 교육에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근원적인 관점의 변화가 전제되지 않는 한 많은 비용과 노력을 들여 스마트 교육이 도입된다고 하여도 국어교육이 스마트해진다고 보장하기 어렵다. This study discussed the requirement for the SMART education propelled by the Korean government, whether the introduction of such education may mak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mart and which changes were required for the smart language education. The SMART learning nurtures the competences to live in the changing information technology society at the individual level, is required to sharpen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at the social and national level and it may be said that the education is meaningful in the aspect of the education in that the education considers the self-directed learning, interest and aptitude of the learner. However, the learner does not feel the effectivenes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t is difficult to assess smart due to the limit of the 'Korean language'. The smart Korean language education means that the learner grows through the language and feels the growth. The Korean language educators shall change their fundamental viewpoint fo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contribute to the smart life beyond simply increasing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smart devices and media. It is required to focus more on providing actual experience by considering the learner as the agent, expanding the text-based viewpoint and dealing with multimodal text. It is difficult to guarantee tha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would become smart even though the SMART education is introduced with a lot of money and effort without the change in the fundamental ground.

      • KCI등재

        스마트기기의 속성 및 스마트교육의 교육적 가능성에 대한 스마트교육 선도교사들의 인식

        임정훈 ( Jung Hoon Leem ),성은모 ( Eun Mo Su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5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1 No.1

        이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스마트교육의 보급과 확산을 담당하게 될 핵심인력이라 할 수 있는 스마트교육 선도교사들이 스마트기기의 속성에 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스마트교육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인식에 있어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시도교육청 스마트교육 선도교사 52명을 대상으로 스마트기기의 속성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의미분별척도법(semantic differential scale)을 사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선도교사들의 인식을 보다 명료화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스마트교육 선도교사들이 스마트교육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에 관하여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지, 그리고 실제 수업상황에 스마트교육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지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중요도-수행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방법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교육 선도교사들은 스마트기기에 관해 ``개방적인``, ``변화하는``, ``접근성이 높은``, ``최신의``, ``흥미진진한`` 같은 긍정적 인식뿐만 아니라 ``믿을 수 없는``, ``불안정한`` 같은 부정적 인식도 함께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선도교사들의 스마트기기에 관한 속성들을 요인분석을 통해 범주화한 결과 스마트성, 역동성, 창발성, 즉시성, 연속성, 친밀성 등 여섯 가지 요인들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IPA 분석 결과, 교수학습 패러다임의 변화, 수업준비의 효율성, 수업운영 전략의 다양성, 상호작용성 증진, 학습내용전달 및 이해의 효과 성, 교수학습 관리의 효율성, 학습성과 향상 등 모든 영역에서 중요도가 수행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향후 스마트교육에 관한 교사연수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 시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실천적 과제들이 제안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mart education leading teachers` perception on the main characteristics of smart devices and educational possibility of smart education in school setting.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used semantic differential scale to analyse smart education leading teachers` perception on the main characteristics of smart device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categorize 52 smart education leading teachers` feeling and perception on smart devices. Also, this study conduct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ducational usefulness and potential which smart education leading teachers perceive on smart education. As a result, smart education leading teachers had positive and negative feelings simultaneously on smart devices. Their perception on smart devices were categorized into six factors: smart, dynamic, emergent, instant, continuous, and friendly. According to IPA, the importance scores of paradigm change of teaching and learning, efficiency of preparation, diversity of implementation strategies, improvement of interactivity, effectiveness of contents delivery and understanding, efficiency of management of instruction, and improvement of learning achievement were higher than performance scores. Finally, some considerations were recommended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eacher training program on smart education.

      • KCI등재

        스마트 교육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예비교사 역량 향상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임철일 ( Cheol Il Lim ),한형종 ( Hyeong Jong Han ),홍영일 ( Young Il Hong ),이선연 ( Sun Yeon Lee ),이은영 ( Eun Young Lee ),장수 ( Shuai Zha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스마트 교육 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는 목적을 지닌다. 이를 실제 현장에 적용해 봄으로써 본 교육 프로그램 모형에 대한 효과와 개선점을 탐색하는 목적을 지닌다. 최근 학교교육 맥락에서 스마트 교육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향후 학교교육을 운영하는 주체로서 예비교사의 스마트 교육 관련 지원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예비교사의 스마트 교육 역량 향상을 위한 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형성평가 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여 예비교사의 스마트 교육 역량 향상 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2015년 가을학기 서울 소재 ‘S’대학교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강좌를 수강하는 예비교사 13명을 대상으로 적용함으로써 효과와 개선점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의 스마트 교육 역량 향상을 위한 설계 원칙을 도출하고 운영단계에 따라 ‘스마트 교육 통합 활용을 위한 교수설계’, ‘마이크로 티칭’, ‘학교 현장 수업 실행’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예비교사’, ‘현장 교사’, ‘교육공학 및 교과교육 교수’, ‘온라인 지원 시스템’의 주체를 고려하여 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도출하였다. 예비교사 대상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효과 측면에서 본 모형에 포함된 스마트 교육 통합활용을 위한 수업 설계의 개념과 주요 활동은 스마트 교육을 운영하는 측면에서 실질적인 도움이 되었으며, 온라인 지원 시스템은 구성원 간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중요한 기제역할을 수행하고 용이성 등을 제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점으로는 스마트 교육 통합 활용을 위한 자료의 다양성 고려, 지원 시스템의 프로그램오류 등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의 개선을 위해서는 대학과의 지속적인 연계를 통해 보다 개선점을 확인하여 최적화를 추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또한, 예비교사들이 스마트 교육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하고 스마트 교육 역량 향상을 위한 원칙과 지침을 제공하는 처방을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del of educational program that improves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 in order to effectively implement and integrate smart education in classroom teaching. The importance of effective implementation of smart education has been raised in the context of school education.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for pre-service teachers to be able to implement smart education for the future. However, studies for smart education implementation of pre-service teachers have been insufficient. There is a need to improve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on smart education. Using a formative evaluation methodology, a model of educational program including major design principles was derived. It was organized in accordance with the implementing steps and participants. The major steps were as follows: instructional design for integrating and utilizing smart education in classroom teaching; systematic micro-teaching; and teaching practice on school context. Also, smart education support system was developed to guide activities of pre-service teachers on smart education such as providing feedback. It facilitates interaction with members such as professors, pre-service teachers, and school teachers. After applying a model to a course, responses of thirteen pre-service teachers were examined on its effectiveness and improvement areas. The major effective strategies were as follows: ‘helping per-service teachers prepare to operate and integrate smart education on classroom teaching’, ‘providing implementation and integration guidelines’, ‘the usefulness of interaction with members including feedback and data utilization by online support system’. For major improvements, offering various resources related smart education and revising the smart education support system were suggested.

      • KCI등재

        교사들의 스마트교육 교사연수 및 교사 학습공동체 경험 유무에 따른 스마트교육 실천 수준 비교

        원지영 한국교원교육학회 201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교육 관련 교사연수 및 교사 학습공동체를 경험한 교사들과 그렇지 않은 교사들의 스마트교육 실천 수준을 비교하고 스마트교육 실천을 촉진하기 위한 국가 및 학교 수준의 지원 방안에 대한 현직교사들의 견해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권성호 외 (2012)가 스마트교육을 실천하는 교사들의 수업 성찰을 위하여 개발한 <스마트교육 자가 진단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스마트교육의 핵심 특성을 교사들이 학교 수업에서 어느 수준으로 실 천하고 있는지 확인 하였다. 기술통계 및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연구 문제를 검증하고 다 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스마트교육 관련 교사연수 경험 유무에 따른 교사의 스마트교육 실천 수준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스마트교육 관련 교사공 동체 경험 유무에 따라 교사의 스마트교육 실천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스마트교육 실천을 위하여 현직교사들이 희망하는 국가 및 학교 수준의 지원 방안들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스마트교육에 대한 교사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사연수 및 학습 공동체의 설계 및 운영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study has been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secondary teachers’ smart education teaching practice by their experiences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for smart education. Followings are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First, does the experience of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smart education affect secondary teachers’ practice of smart education? Second, does the experience of teachers’ learning communities affect their practice of smart education? Finally, what are secondary teachers’ needs on the assistance that they like to get from their schools and government for better practice of smart education. The survey was developed using the <Checklist for self-evaluation on teachers’ practice of smart education> and conducted with 322 secondary teachers in the area of Chungcheong Province in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of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smart education did not affect teachers’ practice of smart education. Second, teachers involved in learning communities for smart education better-implemented smart education compared with teachers who have no experience of learning communities for smart education. Finally, several important teachers’ needs for better practice of smart education were analyzed.

      • KCI등재후보

        스마트교육 연구 동향 분석: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의 적용

        권현범 ( Hyun Bum Kwon ),천세영 ( Se Yeoung Chun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연구논총 Vol.34 No.2

        이 연구는 최근에 이슈가 되고 있는 스마트교육의 개념을 이해하고 연구의 동향을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스마트교육’으로 키워드를 입력하여 2003년부터 2012년까지 산출된 자료 393개의 자료 중 교육관련 학회지로 자료를 한정하여 추출된 196개의 자료를 대상으로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NetDra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미지로 나타내었다. 이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스마트교육은 다른 유사한 개념의 연장선상에 있다. 그러나 이러닝, 사이버러닝, 유러닝 등의 다른 개념들과는 달리 스마트교육의 고유한 특성은 스마트디바이스의 휴대성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스마트교육의 연구 분야가 상대적으로 편파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즉 스마트교육은 사회과학과 기술과학 쪽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정부가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을 세운 2011년부터 급격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추진 전략의 핵심인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관심과 연구 성과가 상대적으로 미진한 모습을 보였다. 넷째, 스마트교육은 교육학의 범주를 벗어난 여러분야로 확장 가능성이 있다. 스마트교육은 기존의 ICT 교육과 달리 학습자가 지식을 창출하고 공유하는 장을 마련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여러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이루어져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스마트교육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스마트디바이스의 안정적 운용을 위하여 교과적인 측면에서 벗어난 교수환경 이외의 측면 이를테면 보안관련 연구 및 법적, 제도적 연구가 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pt of the smart education as well as the tendencies of the smart education`s research field. In order to carry out this purpose, I searched for each title of papers with typed the keyword ``the smart education`` from 2003 to 2012 on RISS, limiting these all conducted data into the extent of the educational field, and then applying them to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by using the KrKwic program. Finally, I used NetDraw program so as to showing the image of some networks. The study conducts some outcomes. First, smart education is on the extension to the other similar concepts such as e-learning, u-learning, cyber learning, and so forth. In spite of this fact, there is only a smart education`s particular feature. That is what it can have actively been accepted on the nature of the smart device`s portability. Second, the smart education`s research field is being studied partially among various academic fields. Smart education has relatively much been studied mainly on both social science and technology science. Third, although smart education has been increasingly studied since 2011 when Korea Ministry of Education appointed the digital textbook as a core of a smart education field, digital textbook`s studies are not much more than others. Fourth, smart education has the possibility of extending to the various academic fields over pedagog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ICT education types, it is surely said that Smart education has been exploring the new place where students can create a lot of new knowledge as well as share them. Therefore, we do develop the reason and the way to secure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run and operate a smart education in terms of both legal and society system.

      • KCI등재

        스마트교육에 관한 예비음악교사 인식 및 경험 연구

        신혜경(Hae-Kyung Shin)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8 음악교육공학 Vol.- No.37

        본 연구는 예비음악교사들의 스마트교육에 관한 인식 및 경험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중등 예비음악교사 144인을 대상으로 스마트기기 일상 활용, 스마트교육 일반, 전공 및 음악교과의 스마트교육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예비음악교사들의 스마트기기 소지는 스마트폰의 비중이 우세했으며, 강의 중 스마트기기 활용도는 개인 학습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음악교사들이 경험한 대학 스마트교육의 장점은 학습 및 과제 부담 감소, 문제해결능력 개발과 시·공간적 편리성이었으며, 단점은 학습 몰입 방해로 나타났다. 학교 스마트교육에 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으나 이해의 정도는 개략적이었다. 스마트교육의 공유와 연결 측면에 가장 긍정적인 반면, 학습자의 자기 주도 및 조절 능력 향상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예비교사들은 음악교과 고유의 스마트교육 가능성과 스마트교육을 통한 학교 음악교육의 활성화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면 실제 경험은 낮게 나타났다. 예비교사들이 응답한 스마트 음악교육의 장점은 접근성과 편리성, 학습자의 흥미, 수업 참여도 향상, 실음 학습을 통한 성취감, 연주 능력 제한의 문제 해결로 나타났다. 난점으로는 음악 수업의 예술적 질 저하가 크게 부각되었으며, 이외에도 관련 교수 역량 부족, 학생 통제, 스마트기기 앱의 한정적 기능 등이 제기되었다. 이상에 근거하여 음악교과의 스마트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교육 측면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that pre-service music teachers have regarding smart education. A questionnaire survey, covering areas including daily usage of smart devices, general smart education, smart education specified in music education, was administered to 144 pre-service music teachers, and it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indings showed that smartphones definitely dominated pre-service music teachers possession of smart devices. They implemented smart devices less frequently in classes than in their privatestudy sessions. Second, they considered that smart education in college would help reduce learning- and task-burden, develop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overcom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while they perceived distractions caused by smart devices to be drawbacks.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smart education were generally positive, but their understanding was superficial. They considered the elements of sharing and connection in smart education to be its most positive aspects, and decrease in learner s self-control ability to be a negative aspect. Third, pre-service music teachers were positive about the potential present in the development of music education via the implementation of smart education, but they had few actual experiences. The participants stated that the advantages of smart music education were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increase in learners’ interests, active class participation, achievements based on experiencing real sounds, and overcoming the limitation of performance ability. In terms of drawbacks, the artistic quality of music lessons was greatly emphasized. Lack of teaching ability in smart education, student control, and the limited functionality of smart device applications were also mentioned. Implications for reducing the gaps between perceptions an dexperiences regarding smart education in music-teacher educa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스마트교육의 속성과 구현 실태에 관한 연구

        윤가영 ( Yun Ga-young ),이효진 ( Lee Hyo-jin ),박인우 ( Park Inn-woo ) 안암교육학회 2017 한국교육학연구 Vol.23 No.1

        스마트 기술의 발달과 다양한 스마트 매체의 등장은 개인의 학습 환경과 학교교육 현장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이에 정부는 학습 환경의 변화에 발맞추어, 2011년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을 발표했고, 스마트교육이라는 용어를 공식적으로 등장시켰다. 이후 정부를 중심으로 스마트교육을 학교 현장에 도입하고자 다양한 정책이 실행되어 왔으며, 스마트교육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스마트교육이라는 개념이 등장한지 6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스마트교육은 정체성에 대한 혼란을 안고 있으며, 스마트교육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부재한 상황에서 기술적 측면을 중심으로 정책이 추진되면서 일선현장의 교사들은 스마트교육을 단순히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수업으로 이해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해 스마트교육은 단순히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수업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스마트교육의 이론적 기틀 마련을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토대로 스마트교육의 속성을 정의하였으며, 스마트교육 연구 가운데 실증 및 사례 연구를 검토·분석하여 실제 교육현장에서 스마트교육이 어떤 속성들을 중심으로 구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선행연구 분석 결과 도출된 스마트교육의 속성은 정보통신기술(T), 열린 학습 환경(E), 자기주도 학습(S), 맞춤형 학습(C), 소셜 러닝(SL)의 5가지로 나타났다. 실증 및 사례연구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실제 교육현장에서 구현되고 있는 스마트교육의 속성은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기기 및 매체의 활용을 중심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주도 학습, 맞춤형 학습은 스마트교육 환경에서 적절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었다. 추후 연구를 통해 스마트교육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교육 현장에서 제대로 활용하여 교육적 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Since the development of Smart technology and the advent of various Smart media, a learning environment for individual learners and the school has been changing. In the stream of changing learning environments, in 2011, the government announced SMART education strategies, introducing the term officially, “SMART education.” With the governments` efforts to develop and implement SMART education in school, many policies has been enacted and many research has been conducted and increased gradually. However, as policies of SMART education have initiated in situation where there is no clear understanding in regard of SMART education, many researchers and teachers confused of SMART education and its identity and attributes, even though it has been 6 years since the concept was introduced. Unfortunately, SMART education has been implemented as one type of instructional methodology as utilizing Smart technology. Thus, in this research, we tried to build theoretical foundation of SMART education through analyzing former research on SMART education to define the attributes of SMART education. To examine how SMART education has been implemented in terms of its attributes, also, we analyzed research that conducted instruction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n SMART education in actual learning environments. As the results of former research analysis, the attributes of SMART education includ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open learning environment, self-directed learning, customized learning, and social learning. In majority of research, SMART education focused on utilizing Smart technology and media in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s but self-directed, and customized learning were less adapted in SMART learning environments. In the following research, how to improve educational benefits of SMART education through adapting original attributes of SMART education need to be examined.

      • KCI등재

        스마트교육 시대의 국어교육연구 방향

        서유경 ( Yu Kyung Seo ) 국어교육학회 2014 國語敎育學硏究 Vol.49 No.2

        스마트교육은 전면 실행 단계로 접어드는 듯이 보인다. 그런데 국어교육은 아직 스마트교육에 대한 준비가 충분하지 못하다고 판단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스마트교육이 내포하고 있는 구체적 내용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쟁점을 도출함으로써 향후 국어교육에서 이루어져야 할 국어교육 연구 주제들을 탐색하여 보았다. 우선 스마트교육의 정체성을 국어과 매체 활용 교육의 전개 과정, 매체언어교육의 정립과 실행 과정 속에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스마트교육이 실현될 때 우리 국어교육에서 발생할 수 있는 쟁점들을 디지털교과서 측면, 교수-학습 주체 측면, 스마트기술의 국어교육적 적용 측면 등으로 구체화하여 보았다. 이러한 스마트교육이 지니는 국어교육적 쟁점들에서 향후 스마트교육 시대에 필요한 국어교육 연구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스마트교육이 지닌 교육 체제 변혁의 성격은 기존의 매체언어교육뿐만 아니라 전체 국어교육의 판도를 바꾸는 것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앞으로 이루어질 새로운 국어교육 연구를 바탕으로 스마트교육 시대를 제대로 맞이하고 이끌어 갈 수 있기를 바란다. It seems that the smart education would begin entirely. But we can judge the preparation for the smart education is not ready. Accordingly this thesis aims that what the smart education is, what the issue of the smart education is and what we should study on Korean education. At first, the identity of the smart education was examined with the history of adapting media in Korean education and the process of setting up the media language education. And issues was found that could appear as the smart education carries out on the side of the digital textbook, the subject in teaching-learning and the adaptation of the smart technology into Korean education. The character of the transforming system that the smart education has shows the possibility of changing the structure and the territory of Korean education as well as the media language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new research on Korean education should lead properly to the age of the smart education.

      • KCI등재

        중국의 디지털 기반 교육 혁신 동향

        김민정,이지원,박지현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4 시민인문학 Vol.46 No.-

        Smart education is a new educational paradigm in the era of digital AI for the modernization of education in China. Smart education pursues customized education by individuals, levels, and abilities, which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digitization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advancement of educational governance using IT technologies such as AI. The Chinese government is bringing smart education to the fore in the 14th five-year plan, which shows that China's educational innovation has completely changed and developed from the existing ‘Internet+Education’ to ‘AI+Education’. In this paper, the concepts, goals, methods, and status of smart education in China were examined, focusing on smart education pillar plan, smart education development indices, smart education platforms, smart homework, smart campus, and smart physical education. China's educational innovation, represented by smart education at this stage, still prioritizes solving Chinese problems such as suppressing private education, closing gaps between regions, and improv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However, it is essential to note that innovative experiments in smart physical education using cutting-edge IT technology are underway, providing valuable references for leading innovations. As for how these policies promoted by the Chinese government are actually being realized on the front line of the education field, further confirmation should be sought. Howeve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na's political system and the achievements of China's continuous education development so far, the trend of digital-based education innovation is expected to persist and expand, even with any detailed adjustments due to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 KCI등재

        한국의 스마트교육과 독일의 미디어교육

        김문숙(Kim, Moon-Sook) 한국비교교육학회 2014 比較敎育硏究 Vol.24 No.3

        이 연구는 21세기 지식기반정보화사회의 심화와 더불어 생겨난 우리의 스마트교육 정책이 교육환경과 교육내용, 교육방법 및 평가 등 교육체제의 혁신에 집중한 나머지 교육의 본질이라 할 수 있는 인간교육이 상대적으로 소외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의 스마트교육에 해당하는 독일의 미디어교육을 분석하고 이로부터 우리 스마트교육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해 내고자 했다. 독일도 정보화 사회의 도래와 함께 미디어교육을 국가적 차원에서 관여하며, 2009년 이후 미디어교육은 모든 주의 모든 학교가 실천해야 하는 의무사항이 되었다. 따라서 추진되고 있는 미디어교육정책을 각 주별로 분석하였고 연구결과 이들 주에서 실천되고 있는 미디어교육의 공통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1) 미디어교육을 일정기간 완수해 내야하는 특수교육 기준으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교육과정과 유기적 관계에서 실천하고 있다. 2) 미디어교육전개 과정이 위로부터의 일방적 지시와 전달이 아닌, 현장 교사의 실천적 사례를 적극 반영하며 그 방향성을 모색하는 민주적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3) 정보화 사회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토대로 정보화 사회에 필요한 청소년의 인성과 정체성에 관여하고 있다. 미디어교육정책의 방법과 절차에 관한 첫 번째와 두 번째 시사점과 달리 세 번째 시사점은 미디어교육의 근본적 목적으로 이 연구논문에서 제시하는 가장 핵심적 시사점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교육적 맥락에서 시도되고 있는 독일의 미디어교육 정책은 환경혁신이나 교육콘텐츠개발과 같은 물리적 기반혁신이 중심이 된 우리 스마트교육정책에 시사 하는바가 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교육의 목적은 스마트환경구축과 스마트한 교육방법이 아니라, 미래사회를 행복하고 성공적으로 이끌어갈 스마트한 인간의 양성임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따라서 교육환경 인프라라와 물리적기반에 치우쳐진 우리 스마트교육의 담론을 스마트시대에 요구되는 인격과 정체성에 대한 담론으로 바꾸어 나아가야 할 것이다. 이때 비로소 교실혁명이 아닌 인간중심 교육혁명이 시작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inspired by the issue that the fundamentals of education have been overlooked, as today's smart education policies established in the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of the 21st century have only focused on building digital environment and its efficiency. To carry out the study, the media education of Germany, which is equivalent of Korea's smart education, was analyzed to obtain implications for Korea's smart education. In Germany, the media education has been managed by the country ever since the information society has begun. Since 2009, the media education has become a requirement for all schools in every state. Thus, the current media education policy of each state has been analyzed, which revealed the following common characteristics. 1) The media education is closely linked to existing curriculum and education, rather than being conducted separately with different standards. 2) The media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in a democratic manner by actively reflecting the exemplary cases of school teachers, rather than following the instructions and guidelines from the government. 3) The media education deals with the character and identity of young students, based on their basic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society, which are essential for a successful life in the upcoming society. Unlike the first and second implication linked to the method and procedure of media education policy, the third implication is the basic purpose of media education, which is also the key implication of this study. The media education policy of Germany, which is being conducted with its own educational philosophy, offer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Korea's smart education policy. In Korea, the education only revolves around device-based environment innovation or content developmen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urpose of smart education is developing smart individuals who can bring better, happier, and more successful society ― rather than establishing a smart environment. Therefore, the focus of discussion on Korea's smart education that revolves around environment, infrastructure, device utilization, and contents development should be changed to the character and identity of students, which are required in the future smart era. That's when 'human-based' educational revolution, instead of 'device-based' classroom revolution can beg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