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음악 교과 담당 교사의 2015 개정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인식

        신혜경 ( Shin Hae-kyung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0 예술교육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실행 실태 및 지원 필요 사항을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전국 단위의 음악 교과 담당 경험이 있는 초등학교 교사 301명을 대상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 공통 강조 사항에 대한 인식,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이해와 적용, 실행 상의 난점과 지원 요구를 다면적으로 분석하여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 공통 강조 사항에 관한 이해와 음악과 교육과정에의 반영, 수업 실천 및 변화에 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업 변화에 대한 긍정 응답률이 다소 낮아 이해와 실천 간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이해와 적용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도 긍정적이었다. 교사들은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변화 및 강조 사항, 교과 역량, 핵심 개념, 학습량과 내용 수준,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사항’과 ‘평가방법 및 유의 사항’의 유용성에 대하여 타당하다고 인식하였다. 반면 교과 역량이나 핵심 개념과 같은 추상적인 개념의 적용 방안 고찰의 필요가 있었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실행상의 난점과 지원 요구, 차기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개선점은 수업 적용을 축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습 및 평가자료 제공과 악기와 음악실을 비롯한 수업 환경 구축이 관건이었다. 차기 음악과 교육과정의 개선 사항 역시 교과서의 내용 및 구성 보완과 수업 자료 및 교구 지원이 중심을 이루었다. 특히 교과 역량의 의미 이해와 국악의 난이도 조정 및 내용의 다양성, 학습자 흥미도 반영에 대한 요구에 주목할 필요가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grasp the current state of implementation and support needs of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s. The study included a multi-faceted analysis to examine the common emphasis,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the demands of support for 301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experience in music curriculum across the country. The conclusions drawn by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understanding the common emphasi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reflecting it in music and curriculum, and practicing and changing lessons were found to be positive.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understanding and practice, for the response rate of positive responses to the changes in class was rather low. Secon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th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was found to be positive.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changes in and the emphasis of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curriculum competency, core concepts, learning volume and content level, and the usefulnes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were valid. Further, there was a need to determine how to apply abstract concepts such as subject matter and core concepts. Third,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the difficulties in the revision of the music curriculum in 2015, the demands for support, and the improvements required for revising the next curriculum. The key was to provide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materials and build a classroom environment that includes musical instruments and music rooms. The improvement of the next music curriculum also focused on supplementing the contents of textbooks,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aids. In particular, it wa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demand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curriculum competency, adjust to the difficult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understand the diversity of contents, and reflect learners’ interests.

      • KCI등재

        중등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을 통한 음악교사효능감 변화

        신혜경(Shin Hae 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2

        본 연구는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의 교육실습 전-후 음악교사효능감 변화 고찰을 목 적으로 한다. 연구자는 음악교사효능감의 교육적 유용성에 주목하여 예비음악교사들 의 교육실습 경험을 통한 음악교사효능감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 다. 첫째,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의 교육실습 전-후 음악교사효능감은 어떠한 차이를 가 지는가? 둘째,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의 진로계획에 따른 교육실습 전-후의 예비음악교 사효능감은 어떠한 차이를 가지는가? 예비음악교사효능감 실습 전-후의 측정 결과, 교 육실습 반성저널, 심층면담 내용을 분석하여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실 습 기간 동안 예비음악교사들의 효능감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 가지 하위 영역 중 대인관계영역을 제외한 음악교과지도, 생활지도,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결과기대감의 다섯 가지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교육실 습 전에는 교직을 희망하는 학생들의 효능감이 비교직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실습 후 측정 결과에서는 두 집단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예비음악교사교육에 대하여 음악교사효능감 향상을 위한 교육실습의 의의 및 실습저 널의 역할, 예비음악교사들의 진로결정 방식에 대한 시사점을 언급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changes observed in pre-service music teachers’ efficacy as a result of their student-teaching experienc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how did the pre-service music teachers’ teacher efficacy differ before and after the teaching practicum?; second, how did the pre-service music teachers’ teacher efficacy differ before and after the teaching practicum with respect to their career plan? Forty pre-service music teachers who had experienced a teaching practicum in 2015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The data resources were a pre-service music teaching efficacy scale, reflective journals for teaching practicums, and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student-teaching period, pre-service music teachers’ teaching efficacy was statistically improved. Scores for music teaching, student guidance, self-regulation, task difficulty preference, and outcome expectancy were improved; only the personal relationships score did not improve. Second, before the teaching practicum, teacher track students’ music teacher efficacy score was higher than for non-teacher track students. However, after the teaching practicum perio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usic teacher efficacy scores of both groups.

      • KCI등재

        예비음악교사의 교육실습 경험 연구

        신혜경(Shin, Hae-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예비음악교사들의 경험에 근거하여 음악과 교육실습의 의미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교육실습의 의미, 수업을 중심으로 한 교사지식 습득 방식, 음악교사지식과 음악교사상에 관한 예비음악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서울 소재 A대학교에서 ‘음악교재연구 및 지도법’을 수강하는 10명의 중등 예비음악 교사들이 교육실습 기간 중 작성한 반성저널을 분석하여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실습은 예비음악교사들에게 진로 탐색, 이론적 지식의 적용과 현장 지식의 습득, 교직의 재발견 기회로서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예비음악교사들은 교육 실습 기간 동안 다양한 반성적 실천의 방식으로 음악교사로서 필요한 지식과 기능을 습득하였다. 발견을 통한 반성이 일어나는 수업참관과 수업 후 평가단계 역시 수업상황 못지않게 중요하였다. 예비음악교사들이 반성적 실천을 통하여 교사 전문성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반성을 실천할 수 있는 수업의 기회 여부가 영향을 주었다. 셋째,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에서 형성하고 발견한 음악교사지식과 음악교사상은 학습자를 전제로 한 상대적인 개념이었다. 반성적 예비음악교사 교육을 위한 시사점으로는 교육실습의 체계화와 예비음악교사 교육과정에서 반성적 실천을 적용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ature and meaning of the teaching practicum experience from the stance of pre-service music teachers. Analyzing reflective journals which were written during the teaching practicum periods, I explored the value and meaning of the pre-service music teachers’ practicum experiences, their methods of learning music teacher’s pedagogical knowledge, and their thoughts of the qualifications of music teachers, as well as the desirable image of music teachers. Ten pre-service music teachers who took a teacher-certificate course in 2013 Spring semester in A College located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ree major findings emerged: Firstly, throughout the teaching practicum experiences, the pre-service music teachers were able to explore their vocational path as music teachers while balancing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They also considered the practicum experiences opportunities to apply their pre-existing theoretical knowledge about education learned from the teacher certification coursers, as well as to learn practical knowledge from the fields. Secondly, constructing pre-service music teachers’ practical and pedagogical knowledge through reflective practice, various types of class observations and cooperating teachers’ feedback were revealed as significant factors. Lastly, pre-service music teachers relatively conceptualized teacher knowledge and the desirable models of a music teacher in relation to their target learners.

      • KCI등재

        스마트교육에 관한 예비음악교사 인식 및 경험 연구

        신혜경(Hae-Kyung Shin)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8 음악교육공학 Vol.- No.37

        본 연구는 예비음악교사들의 스마트교육에 관한 인식 및 경험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중등 예비음악교사 144인을 대상으로 스마트기기 일상 활용, 스마트교육 일반, 전공 및 음악교과의 스마트교육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예비음악교사들의 스마트기기 소지는 스마트폰의 비중이 우세했으며, 강의 중 스마트기기 활용도는 개인 학습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음악교사들이 경험한 대학 스마트교육의 장점은 학습 및 과제 부담 감소, 문제해결능력 개발과 시·공간적 편리성이었으며, 단점은 학습 몰입 방해로 나타났다. 학교 스마트교육에 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으나 이해의 정도는 개략적이었다. 스마트교육의 공유와 연결 측면에 가장 긍정적인 반면, 학습자의 자기 주도 및 조절 능력 향상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예비교사들은 음악교과 고유의 스마트교육 가능성과 스마트교육을 통한 학교 음악교육의 활성화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면 실제 경험은 낮게 나타났다. 예비교사들이 응답한 스마트 음악교육의 장점은 접근성과 편리성, 학습자의 흥미, 수업 참여도 향상, 실음 학습을 통한 성취감, 연주 능력 제한의 문제 해결로 나타났다. 난점으로는 음악 수업의 예술적 질 저하가 크게 부각되었으며, 이외에도 관련 교수 역량 부족, 학생 통제, 스마트기기 앱의 한정적 기능 등이 제기되었다. 이상에 근거하여 음악교과의 스마트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교육 측면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that pre-service music teachers have regarding smart education. A questionnaire survey, covering areas including daily usage of smart devices, general smart education, smart education specified in music education, was administered to 144 pre-service music teachers, and it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indings showed that smartphones definitely dominated pre-service music teachers possession of smart devices. They implemented smart devices less frequently in classes than in their privatestudy sessions. Second, they considered that smart education in college would help reduce learning- and task-burden, develop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overcom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while they perceived distractions caused by smart devices to be drawbacks.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smart education were generally positive, but their understanding was superficial. They considered the elements of sharing and connection in smart education to be its most positive aspects, and decrease in learner s self-control ability to be a negative aspect. Third, pre-service music teachers were positive about the potential present in the development of music education via the implementation of smart education, but they had few actual experiences. The participants stated that the advantages of smart music education were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increase in learners’ interests, active class participation, achievements based on experiencing real sounds, and overcoming the limitation of performance ability. In terms of drawbacks, the artistic quality of music lessons was greatly emphasized. Lack of teaching ability in smart education, student control, and the limited functionality of smart device applications were also mentioned. Implications for reducing the gaps between perceptions an dexperiences regarding smart education in music-teacher educa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와 중학교 음악교과서 창작영역 분석

        신혜경(Hae-Kyung Sh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0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와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창작 영역 고찰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교육과정 성취기준, 활동 유형, 연계 활동, 음악 요소, 장르, 활용 매체, 평가 방식의 범주에 근거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 육과정 성취기준별 창작 활동의 비율은 초등학교부터 중학교까지 전 학년군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둘째, 창작 활동의 유형은 전통적인 음악 창작인 작곡이나 즉흥연주보다 노랫말 관련 활동이나 음악극 만들기와 같은 응용된 활동의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랫말 및 말붙임새 관련 창작 활동의 비율이 매우 높았다. 이러한 활동 유형 편중의 영향으로 창작에서 사용되는 매체 중 목소리의 비중 역시 상당히 크게 나타난 반면 악기 사용은 매우 미비한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음악 요소 중 리듬 및 장단을 다루는 창작 활동이 전체의 과반수를 차지하였는데, 이 역시 노랫말 및 말붙임새 관련 창작 활동의 높은 비중의 영향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타영역과 연계된 창작 활동이 독립된 창작 단원보다 더 큰 비중을 차지하였는데, 가창영역과 연계된 활동이 주를 이루었다. 다섯째, 장르 분석 결과 서양음악과 국악이 주 를 이루는 가운데, 대중음악의 비중도 이전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창작물의평가 방식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경우는 주로 독립된 창작 단원으로 해당하며, 전체적으로 평가 내용을 제시한 비율은 낮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music-creating activitie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music textbooks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which was revised in 2015. According to the criteria for analysis—such as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activity types, related activities, musical elements, genres, implemented media, and evaluation methods—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atio of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applied to music creating activities was consistent across grade groups from elementary to secondary levels. Second, activity types had a greater proportion of applied activities mainly related to lyrics than authentic music-making activities, such as composition or improvisation. Consequently, the implemented media also had a large proportion of vocal components. Third, creative activities involving rhythm-related elements were the majority among other musical elements. Fourth, music creating activities were linked to other areas, such as singing or music appreciation, than independently creating music. Fifth, the proportion of popular music increased, while Western music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dominated. Lastly, the proportion of activities presenting detailed evaluation methods was low.

      • KCI등재

        Z세대의 웹툰 캐릭터를 활용한 패션 콜라보레이션 사례연구

        신혜경(Shin, Hae-Kyung)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0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61

        정보기술의 발달과 함께 어린시절부터 디지털 환경속에 성장한 Z세대는 미래 산업의 주 고객층으로 웹툰을 비롯한 모바일 문화에 친숙하고 온라인 문화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최근 이종브랜드 간의 크로스오버 콜라보레이션에 의한 새로운 마켓 확대를 통한 부가가치 창출이 패션을 중심으로 다양한 콘텐츠에서 활성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Z세대의 개념을 정의하고 2017년 이후에 개발된 웹툰의 캐릭터를 활용한 패션브랜드 콜라보레이션의 특성을 사례 연구하였다. 웹툰 캐릭터는 신진 브랜드 및 캐주얼 브랜드의 경우 Z세대를 위한 의류에서는 캐릭터를 살린 티셔츠, 후드 및 아우터를 중심으로 교복 및 일상에 코디네이트할 수 있는 데일리 룩 구성을 전개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상황에서 콜라보레이션에 의한 제품 개발을 통해 시각적 즐거움, 참신성, 위트등 Z세대의 소비 패턴에 맞춘 콜라보레이션이 확대되고 있다. 슈즈 브랜드에서는 웹툰 캐릭터를 활용하여 일상 운동화, 스니커즈 및 슬리퍼에 이르기까지 젊은 고객층을 흡입하는 브랜드 강화 전략을 통하여 집단의 동질성 및 사회적 구성원으로의 만족감을 강화하고 있다, 이와 같이 웹툰 캐릭터를 활용한 콜라보레이션은 또래 문화의 파노플리(panoplie) 현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웹툰 캐릭터만이 아니라 웹툰 작가와의 크로스오버 콜라보레이션을 통해서 브랜드 홍보 효과 강화와 인지도 향상 및 스토리텔링에 의한 새로운 콜라보레이션을 제시하여 웹툰 캐릭터를 매장 디스플레이의 중심 요소로 연출하고 있다. 혁신적인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새로운 문화 영역의 확산은 소비자에게 색다른 경험을 제공하여 브랜드 가치를 창출하고 브랜드 확장의 기대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Generation Z grew up amidst the rapid spread of smartphones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ies, establishing themselves as central consumers in future industries by making active investment in networks oriented toward their taste. Familiar with the mobile culture including webtoons, they make up the core of online industries. In recent years, value added creation through new market expansion based on collaboration between different brands has been active across various areas of content including food, stationery, mobile games as well as fashion. This study thus set out to define the concept of Generation Z based on literature study and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on used in the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products by looking into cases of collaboration between fashion brand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webtoon characters developed since 2017. The findings show that webtoon characters worked to reinforce the collective solidarity and satisfaction of Generation Z as members of society through visual pleasure, originality, wit, and panoplie in their collaboration with new and casual clothes and shoes brands. The scope of collaboration was also expanded as such brands engaged in cross-over collaboration with webtoon artists as well as webtoon characters, thus strengthening their advertising and promotion effects, increasing their brand recognition, and providing consumers with new and different experiences. Generation Z has a self-initiative tendency, being active to explore and develop their taste, which raises a need for brand marketing strategies to respect and upgrade their self-esteem in taste. It is also critical to pursue collaboration to offer real experiences through the diverse five senses beyond visual stimuli and help consumers experience new space and time through their experiences in offline space beyond online space.

      • KCI등재

        예비음악교사의 감상 수업에 관한 인식 형성 과정 탐색

        신혜경(Shin Hae 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예비음악교사의 음악 감상 수업에 대한 인식 형성 과정 탐색을 목적으 로 한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예비음악교사들은 감상 수업의 의미를 어떻게 이해하고 형성해나가는가? 예비음악교사들이 감상 수업의 계획 및 시연 과정에서 경 험하는 어려움과 보람은 무엇인가? 3) 예비음악교사들이 생각하는 좋은 감상 수업과 이를 위하여 요구되는 교사 역량은 무엇인가? 연구 대상은 A 대학원 ‘감상지도법’ 강 좌를 수강한 예비음악교사들이며, 수업반성저널과 수업지도안, 동료 및 자기평가지, 그리고 연구자 연구일지 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예비음악교사들은 문헌 고찰과 수업시연에서 경험하는 반성적 실천을 통하여 감상 수업의 개념을 구체화하였으며, 특히 감상 활동의 인지적인 측면에 주목하였다. 둘째, 예비음악교사들이 수업시연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은 수업지도안의 논리적 구성 과 교수 학습 자료의 선정 및 제작, 다양한 시대와 장르를 포괄하는 감상 수업의 범위,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한 학생의 수준 이해와 소통, 인지적 활동 촉진을 위한 피드백 제공으로 나타났다. 반면 예비음악교사들은 자신의 장점을 발휘할 수 있는 영역 발견, 다양한 주제의 감상 수업 가능성 탐색, 시연에 대한 동료들의 공감과 인정에서 보람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음악교사들은 좋은 감상 수업의 요인을 명확한 학 습목표 설정, 수업에 대한 논리와 타당성, 다양한 활동을 통한 몰입, 학습자 스스로 사 고할 수 있는 시간, 음악을 듣고, 느끼고, 사고하고, 표현하기의 연계로 제시하였으며, 이를 위한 교사 자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음악 교사의 실천적 지식 형성 과정을 예비음악교사의 관점에서 탐색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pre-service music teachers construct concepts about the teaching methods of music appreciation by analyzing their reflective journals. Fifteen pre-service music teachers who had taken the Teaching Method of Music Appreciation cours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write reflective journal entries for every class during the semester, including midterm and final reflective journal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How did the pre-service music teachers construct concepts about the teaching methods of music appreciation? 2) What problems did the pre-service music teachers encounter while planning their lessons? and 3) Based on their experiences during this course, what did they find to be significant for effective music appreciation instruction, and which qualifications did they think music teachers should possess for effective instru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music teachers constructed the concepts of music appreciation by analyzing literatures and experiencing microteaching processes. Second, overall, the pre-service music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during the process of designing lesson plans, selecting and producing the teaching materials, and covering the broad range of learning content and learner-centered instruction. On the other hand, they discovered the topics they wanted to specialize in, realized the potential of various types of music appreciation lessons, and received empathy and recognition from their peers. Third, the pre-service music teachers identified the conditions of effective music appreciation instruction along with the necessary qualifications of music teachers as follows: definite learning objectives, validity and logic about the instruction, learners’ immersion, reasonable time allotted for thinking, the process of listening to and sensing music, and thinking about and expressing their ideas.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is study made suggestions for enhancing reflective pre-service music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컴퓨터를 활용한 작곡 수업에 대한 교사연수 경험 탐색

        신혜경 ( Shin Hae-Kyung ) 미래음악교육학회 2017 미래음악교육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컴퓨터를 활용한 작곡 수업에 관한 교사들의 연수 경험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미국에서 열린 하계교사연수에 참석한 음악교사들의 작곡 지도의 과정, 반성적 성찰, 관습을 살펴보았다. 연구 방법은 사례연구이며 심층 면담, 수업 관찰, 연구자의 연구일지, 교사참여자들의 성찰일지와 같은 다중 자료원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하계교사연수는 교사들에게 작곡 교수학습에 관련된 포괄적인 경험을 제공하였다. 음악교사들은 연수 경험을 통하여 음악을 만드는 과정에서 심미적 체험을 하였고, 음악 창작에 대한 자신감을 회복하였으며, 학생들이 작곡을 배우는 과정에서 어떻게 느끼고 생각하는가를 경험하면서 작곡 수업에 대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었다. 둘째, 테크놀로지는 하계교사연수에서 편리와 장애의 양면을 제공하며 작곡 교수 학습의 본질뿐 아니라 상호작용의 측면에까지 영향을 주었다. 특히 소프트웨어와 기기 사용과 같은 테크놀로지에 관련된 기술과 지식은 작곡 학습의 내용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llenges in preparing public school teachers to teach music composition within the digital environment. Focusing on in-service teachers’ experiences during a summer institute held in the United States, this study explores teacher reflections, processes, and practices as they are engaged in learning to teach music composition. This study adopte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and multiple data resources such as in-depth interviews, observations, researcher’s field notes and teacher-participants’ self-reflections were used. First, the main feature of summer institute was comprehensiveness in experiences of teaching and learning music composition. This institute provided motivation to apply music composition to their teaching practices while feeling aesthetic achievement, restoring confidences in creating music, and experiencing what their students would feel and think in learning composition. Second, technology influenced on the nature and interactions of teaching and learning composition in the summer institute while simultaneously providing the conveniences and the barriers. Particularly, skills and knowledge about music technology, including using software and equipping hardware, were combined with the content of learning music composition.

      • KCI등재

        MZ세대를 위한 3D Virtual Technology의 융합 특성을 활용한 이지 캐주얼웨어(Easy Casual wear) 디자인

        신혜경(Shin, Hae Kyu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8 No.5

        뉴 노멀 시대를 맞이하여 3차원 디지털 기술의 융합에 따른 패션 산업이 확대되고 있다. 새로운 소비문화의 중심으로 부상한 MZ 세대는 디지털 문화에 능숙하고 유행이나 브랜드보다 나만의 스타일에 가치를 두고 워라벨을 추구하는 세대로 자유로운 출근복의 의미를 지닌 이지 캐주얼웨어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실제 패션산업 현장에서 디지털 패션디자인 기획 및 생산 프로세스 업무의 융합적 응용을 위하여 3D 가상 착의 기술을 활용한 이지 캐주얼웨어룩을 디자인하여 top & pants design, shirts & skirt design, knit & pleats design 및 day dress design을 전개하였다. 3D 가상 기술을 활용한 디자인 개발은 패션디자인 과정에서 시각적 평가를 통해 효율성을 강화하고, 각 개인의 특성에 맞춰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는 나만의 디자인을 보다 간편하게 디자인 할 수 있다. 또한 피팅을 통해 착의 시 맞음새를 보다 정확히 파악하여 온라인 쇼핑의 반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3D 가상 의상 디자인은 3D 샘플 제작, 온라인 피팅, 보정 및 품평 과정을 통해 시간, 인적, 물적 경감 및 업무의 소통 확대를 통해 지속 가능한 경영의 효율성을 강화할 수 있다. 온라인 플랫폼의 발달과 소비 문화의 변화로 캐주얼웨어 산업이 중심을 이루고 있는 상황에서 남과 다름을 원하는 MZ 세대 소비자를 위한 이지 캐주얼웨어 디자인은 빠른 시제품 생산이 요구되는 패션산업에서 3D 가상 기술과의 융합적 활용을 가속화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In the new normal era, the convergence of 3D digital technology is expanding the fashion industry. The MZ generation, which is accustomed to digital culture and pursues work labels with a value of their own style, so the need for easy casual wear, which is free Friday clothing, is increasing. This study developed easy-casual looks using 3D virtual clothing technology for the fusion application of digital fashion design planning and production process work in the actual fashion industry. As a result, Top & Pants design, Shirts & Skirt design, Knit & pleats design, and Day dress design were developed. It is expected that the convergence of 3D virtual technology will accelerate in the fashion industry that requires a small amount of production and rapid prototype production.

      • KCI등재

        음악영재 교육을 위한 음악 창의성 프로그램의 개발

        신혜경(Hae Kyung Shin),정진원(Jin Won Chung) 한국음악교육학회 2012 음악교육연구 Vol.41 No.1

        본 논문은 서울시 지원 하에 진행된 A대학 음악영재교육과정의 창의성 프로그램 개발사례를 보고하기 위한 것으로, 첫째, 창의적·음악적 사고능력 중심의 음악영재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이론적 배경을 탐색하고, 둘째, 이에 근거하여 연차적으로 개발-적용된 ``음악창의성 프로그램``을 소개하며, 셋째, 적용과 병행하여 이루어진 개발 과정상의 시사 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2009년부터 2011년에 걸친 3개년의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연구와 문헌의 고찰을 통해 음악영재성 개발을 위한 핵심 요소로서의 음악인치룔 중심으로 한 창의적 사고과정에 대한 충분한 이론적·실증적 증거를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이를 근거로, 감지-체화-구성의 수업절차, 개념, 맥락, 활동의 수업요소, 그리고 개념, 기능, 활동의 난이도를 중심으로 창의성 중심 영재음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셋째,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기능중심의 전통적 음악영재 프로그램에 대한 현대적 의미의 대안으로서 예술적-창의적 사고과정 중심의 교육프로그램의 제안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ase & development of a creativity-centered music education program as a pert of a preliminary educational curriculum for children with musical giftedness. The whole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musically gifted, including the creativity-centered music education program have been provided by the A Young Musicians Academy since 2009, sponsored by the city government of Seoul, This study firstly examined theoretical backgrounds for the program, including the subjects of musical thinking and musical creativity. Followed was the introduction of creativity-centered music education program for technical skills for musical performance, which have been developed for the last three years, Significant findings that have been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Previous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s reveal that a relatively sufficient body of theoretical and empirical evidences suggest that the creative thinking process based on music cognition plays a core role for developing musical giftedness. Based on this aforementioned theoretical exploration, this study proposes an instructional program, including instructional procedures of sensing-personalizing-constructing, instructional elements of musical concqt1rratnials-contexts-aDtivities, and a graded series of contents, arranged by the difficulty level of learning materials. This study suggests the program based on musical and creative thinking process can replace traditional music gifted programs, which puts emphasis on technical skills for musical performance, and provides alternatives at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lev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