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능력별 소집단 협동학습이 수학 학업성취도와 흥미도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안종수(Jong Su 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본 연구는 학생들이 능력별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하여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대한 학업성취도와 흥미도 및 수학적 태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00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2개반 56명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하였다. 00고등학교는 00광역시에 위치하고 있다. 1학년 1학기 중간고사 성적을 참작하여 2개 반을 선정하였다. 1반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1반을 비교집단으로 나누었다. 2022년 4월 29일부터 7월 9일 까지 약 2개월간 실시하여 13차시 수업을 하였다. 실험집단(28명)은 능력별 소집단 협동학습으로 수업한 반이고 비교집단(28명)은 설명식 위주의 전통적인 교과서를 바탕으로 수업을 한 반이다. 결과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단원별 학습내용을 설정하고 능력별 소집단 협동학습에 활동지를 활용하였다. 이를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학업성취도와 흥미도 및 수학적 태도를 신장시킬 수 있었다. 둘째, 능력별 소집단 협동학습을 활용한 수업이 상위권, 중위권, 하위권 학생들에게 서술형 위주의 전통적인 교과서를 바탕으로 한 수업과 비교하여 볼 때 학업성취도와 흥미도 및 수학적 태도에 더 효과가 있었다. 셋째, 능력별 소집단 협동학습을 활용한 수업에서는 일반적인 수학 수업에서 제외되는 하위권 학생에게도 흥미를 가지게 되어 활발히 참가하여 학업성취도의 수준을 향상하는데 효과를 보였다. 결론 결론적으로 능력별 소집단 협동학습으로 수업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보다 학업성취도와 흥미도 및 수학적 태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ways for students to improve their overall mathematics achievement, interest, and mathematical attitude toward math learning through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by ability.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on 58 students in 2 classes in the 2nd grade of 00 Humanities High School. OO High School is located in OO Metropolitan City. Two class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midterm exam in the first semester of the first grade. Class 1 was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class 1 was divided into a comparative group. From April 29 to July 9, 2022, 13 classes were conducted for about 2 months. The experimental group (33 students) was a class that was taught by cooperative learning of small groups by ability, and the comparative group (33 students) was a class that was taught based on traditional textbooks centered on explanatory expressions. Results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in this study, learning contents for each unit were set and activity papers were used for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by ability. By applying this to the class, it was possible to improve mathematics achievement, interest, and mathematical attitude. Second, classes using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by ability were more effective in mathematics achievement, interest, and mathematical attitude compared to traditional textbook-oriented classes centered on narrative for top, middle, and bottom students. Third, in classes using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by ability, they were also interested in lower-level students excluded from general mathematics classes, and actively participated and improved the level of mathematics achievement. Conclusions In conclusio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used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by ability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thematics achievement, interest, and mathematical attitude than the comparative group.

      • KCI등재

        역할을 부여한 소집단 협동학습이 초등학생의 정의적 영역과 영어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성은경 ( Sung Eunkhyung ),김보라 ( Kim Bora ),조정래 ( Jo Junglae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7 외국어교육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역할을 부여한 소집단 협동학습이 학생들의 정의적인 영역(흥미도와 자신감), 그리고 영어 쓰기 능력(유창성과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영어실력 면에서 동질 집단으로 밝혀진 세 학급을 선정하여서 10주 동안 영어 쓰기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서는 학생들을 소집단으로 나누고, 각 집단 구성원에게 개별 역할을 부여하였다. 비교집단 1에서는 집단을 나누지 않고, 개인 활동 위주로 수업을 진행하였고, 비교집단 2에서는 소집단으로 나누어서 수업을 하되 개별 역할은 부여하지 않았다. 각기 다른 수업 방식에 대한 학습자들의 흥미도와 자신감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사전과 사후에 설문지 검사를 실시하였고, 사전과 사후에 영어 쓰기능력 평가지로 학습자들의 쓰기 정확성과 유창성의 향상을 살펴보았다. 사전과 사후의 흥미도를 비교한 결과, 세 집단 중 실험집단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p<.01). 세집단 간 사후 흥미도를 비교하였을 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개인 활동을 한집단보다는 소집단 또는 역할부여 소집단 활동을 한 학생들이 흥미도가 높아졌다. 자신감 면에서도 세 집단 중 실험집단만 사전과 사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p<.05). 세 집단 간 사후 자신감을 비교하였을 때, 흥미도 결과와 마찬가지로 개인 활동보다는 소집단 또는 역할부여 소집단 활동을 한 학생들의 자신감이 훨씬 더 많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설문지 개방형 질문에 대한 응답에서 소집단 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의견이 많았다. 그러나 소집단 간의 수준 차이나 하나의 소집단 내에서 구성원들 간의 수준 차이로 인한 어려움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영어쓰기 능력 평가지를 통해서 나타난 유창성과 정확성을 분석한 결과, 유창성에서는 세 집단 모두 사전과 사후에 큰 차이를 보였다(세 집단 모두 p<.01). 정확성 면에서는 소집단 활동과 역할부여 소집단 활동을 한 학생들이 사전과 사후에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두 집단 모두 p<.01). 이러한 결과는 명확한 역할을 부여한 소집단 협동학습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정의적인 면과 영어쓰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앞으로 학습자의 학습 성향과 학습 능력을 고려한 집단 구성과 역할 부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ssigning roles in small-group cooperative learn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est, self-confidence, and English writing ability. Three fifth grade classes were separated into two control groups and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y were instructed to write in English during a 10-week treatment period. The students from the experimental group engaged in English writing activities in small groups with individually assigned roles, whereas students from the first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activities without forming small groups. Students from the second control group were also involved in the activities in small groups; however, they participated without assigned roles. Questionnaires were used to explore participants` interest and self-confidence, and English writing tests were administered to assess their writing ability, focusing on fluency and accur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interest and self-confidenc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treatment. In addition, in open-ended questions, participants from all three groups indicated their preference for small-group cooperative learning. However, they also noted problems related to proficiency level differences among groups or among group members in each group. Furthermore, while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second control group reveal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fluency and accuracy of English writing ability, the first control group did not reveal progress in accurac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mall-group cooperative learning with assigned roles is an effective way to enhanc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est and self-confidence, as well as their English writing ability.

      • KCI등재

        한국영재교육에서 소집단 탐구활동에 대한 인식 분석

        정현철,박영신,황동주 한국지구과학회 2008 韓國地球科學會誌 Vol.29 No.2

        This study quantitatively investigated the actual situations and perceptions of gifted students and their teachers during small group inquiry activities in Korea. Some 1,670 gifted math students and 1,732 gifted science students, as well as 614 of their teachers were selected through random sampling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a survey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of this study, based on reviews of literature related to inquiry and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Korean gifted education, small group inquiry activities were frequently used a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nd both the students and teachers perceived its effects to be very positive in terms of cognition and affection. (2) Gifted education teachers emphasized the development of students' procedural inquiry skills as well as logical thinking skills, whereas they were indifferent to the essential elements of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and therefore the lessons did not surpass the level of traditional group activities. (3) The fact that the actual small group inquiry activities did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well-organized small group activities is due to a lack of knowledge on the teacher's part as to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concerning cooperative learning. This study implies that gifted education teachers require the opportunity to reflect on and develop their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small group inquiry activities through professionally developed programs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small group inquiry activities in gifted education. 이 연구는 우리나라 영재교육에서의 소그룹 탐구활동에서의 실태 및 인식을 정량적으로 조사한 것이다. 임의 표본으로 전국의 16개 도시의 영재담당 교사 614명, 수학에서는 1,670명, 과학에서는 1,732의 영재학생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하여 본 연구의 연구자들은 기존의 관련 문헌을 바탕으로 협동학습 형태의 소그룹활동 및 탐구활동에 대한 설문지를 개발하여 실태 및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1) 현 한국의 영재교육에서의 소그룹 탐구활동은 교실 내에서 효과적인 학습 및 교수법으로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었다. 또한 한국영재교육에서의 소그룹 탐구활동에 대해 교사 및 영재학생들은 인지적 및 정의적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2) 실질적으로 학생간의 상호작용을 활발하게 도모하기위한 교수법이나 효과적인 조구성을 위한 교수법은 사용하지 않았다. 이는 영재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소그룹 탐구활동은 단순한 전통적인 그룹 활동에 불과하다는 것을 지적하며, (3) 이는 영재담당 교사들의 관련 이해 및 지식이 충분하지 않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교수법의 부족에서 오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한국영재교육에서의 효과적인 소그룹 탐구활동의 적용을 위해서는 영재담당 교사연수를 통해 소그룹 탐구활동에 대한 이해도 및 지식을 반성하고 개발하며 또한,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관련된 교수법 및 교수 모델을 창안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역사과 소집단 모둠학습 양상과 학생들의 활동 특성

        양정현 한국역사교육학회 2020 역사교육연구 Vol.- No.38

        In recent years, research on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and practice of classe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history education. In this regard, concepts such as cooperative learning, collaborative learning or learning centered community that emphasize the relationship or activity between students were introduced. And teaching learning practices based on these theories are spreading.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small group learning mainly focused on knowledge verification was a form of cooperative learning. Small group learning in the form of discussion could be classified as collaborative learning. Debate is difficult to classify into either cooperative learning, collaborative learning, or learning centered community. Students especially responded favorably to group study conducted in the form of discussions or debates about history. 근래 역사교육에서 학생 상호간의 대화 혹은 소통에 대한 연구와 수업 실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학생 상호간의 관계 혹은 활동을 강조하는 협력학습(collaborative learning) 혹은 협동학습(cooperative learning), ‘배움의 공동체’ 등의 개념이 일찍이 소개되었다. 역사과에서도 모둠학습이나 배움 중심 수업에 관한 논의가 확산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역사과 교수 학습에서 학생들의 모둠 활동이 어떤 양상으로 진행되는지, 이를 통해서 학생들이 어떻게 ‘배움’을 달성하는지를 검토하였다. 역사과에서 사실 지식 확인 위주의 모둠학습이라면 대체로 협동학습의 형태로 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토의, 토론을 통해 다양한 해석을 배우는 모둠학습의 경우는 협력학습 쪽의 논의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논쟁적 수업은 협력학습, 협동학습 중 어느 쪽으로 분류하기 어려운 형식이다. 학생들은 특히 역사 수업에서 논쟁적인 주제를 가지고 진행한 모둠학습에 대해 호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자기와 다른 의견을 듣고 토론하는 과정을 통해서 자신의 생각을 상대화 객관화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 것이다. 소집단 모둠학습에서 모둠은 이질적인 성별과 능력 그리고 성향을 가진 학생들로 구성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래야 서로 배울 수 있고 논쟁 수업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 영재교육을 위한 지구과학 분야의 능동적 소규모협력수업 프로그램 개발

        최성봉,김상달,주국영 국제과학영재학회 2007 국제과학영재학회지 Vol.1 No.1

        Active Learning is defined as a ‘process to turn new information into knowledge,’ which is possible in thecourse of participating in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thinking, asking questions, and solving problems.Therefore, good class is to encourage students to take part in learning actively. As implied by the saying,“One can learn by teaching,” encouraging active learning is to help students experience learning processfor themselves. To this end, in this study, students conduct the primary pre-study through research inan effort to understand concepts related to given theme and find learning interesting. In addition, presenta-tion and experiments help them better understand natural phenomena and concepts, with a formative testfunctioning to give them feedback about what they have never known. After all, the study wasintended to help solve problems with science education, students actively take part in the class, whichmakes class more exciting, and more teachers apply the developed lesson model to their class, by meansof small group-based collaborative and experimental classes in which they can learn by teaching. Inrelation to this study, research tasks for the future are as follows: First, studies should be made on how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Small Group-Based Active and Cooperative Learning model developedin this study and induce change in attitude, by applying the model to gifted student. Second, it isessential to continue R&D efforts on Small Group-Based Active and Cooperative Learning, making useof integrated characteristics of four science subject, going beyond earth science.

      • KCI등재

        소집단 협동학습을 활용한 영어수업의 효과: 메타분석

        송해성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2017 영어어문교육 Vol.2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verall effects of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in English classes in Korea. A meta-analysis of 202 effect sizes in 31 research articles, which have been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looked at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subjects, treatment period, methods of organizing groups, and types of cooperative learning. The overall results indicate that English classes using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had a medium-sized effect (ES=.69), with its effect being a little greater in the affective domain (ES=.70) than in the cognitive domain (ES=.67). More specifically, it found that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brings beneficial effects in the areas of the four language skills and academic achievement. Also, it showed positive effects in developing motivation, satisfaction, confidence, interest, and attitudes toward English classes. These results show that introducing cooperative learning in English class will bring about positive benefits.

      • KCI등재

        과학영재교육을 위한 협동학습 기반 소집단 토론 수업 모형 개발 : 지구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최동열(Dong-Yeol Choi) 한국영재교육학회 2022 영재와 영재교육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교육에서 적용할 수 있는 협동학습 기반의 소집단 토론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 선행 문헌의 분석을 바탕으로 협동학습에 기반한 소집단 토론수업의 단계를 ‘사전준비-사전학습-협력적 활동-토론-정리’의 순으로 나누었다. 이후, 각 단계 마다의 필수 설계원리와 세부지침을 유목화하여 협동학습 기반 소집단 토론 수업 설계원리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설계원리를 바탕으로 영재교육의 특성을 반영하여 과학영재교육을 위한 협동학습 기반의 소집단 토론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 초안은 지구과학교육학 및 영재교육 분야의 전문가 5명으로 구성된 패널들로부터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패널들의 검토 의견을 바탕으로 초안을 지속적으로 수정·개선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이후 과학영재학교 1학년 학생들(N=90)을 대상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설문 조사, 심층 면담 등을 통해 프로그램의 만족도 및 협동학습 구현 정도 등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영재교육에서 심화 과학 개념을 학습하는데 있어 학생들에게 큰 도움을 줄 수 있음은 물론, 협동학습을 효과적으로 체험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mall group discussion class program based on cooperative learning that can be applied to science gifted education. To this end, based on the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precedent literature, the stages of small group discussion class based on cooperative learning were divided in the order of preparation-pre-learning-cooperative activity-discussion-organize . After that, the design principles for small group discussion classes based on cooperative learning were developed by nomadizing the essential design principles and detailed guidelines for each stage. Based on the developed design principle, a small group discussion class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cooperative learning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gifted education. The draft program was verified for content validity by a panel of 5 experts in the field of earth science education and gifted education. After that, the program developed for first-year students of gifted schools (N=90) was applied,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confirm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such as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and the degree of cooperative learning implement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be of great help to students in learning advanced science concepts in gifted education, as well as enable them to effectively experience cooperative learning.

      • KCI등재

        소그룹 협동학습 활동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영어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최유선(Choi, You-Seon),김동규(Kim, Dongkyoo)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구 영남영어교육학회) 2010 영어교육연구 Vol.22 No.3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ffects of teaching English through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riting ability. Two 6th grade classe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instructed to write in English and their writing progress was examined throughout a 16-week treatment period. Students from the experimental group engaged in their English writing activities in small groups that involved cooperative learning whereas students from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as a single group. Two English writing tests, a multiple choice test and a free writing test, were administered to all participants in order to examine their progress in English writing ability. Participants’ scores on the free writing test were systematically categorized into six domain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writing ability increased significantly in four domains out of six as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eaching English through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is an effective way of teaching writing in English.

      • KCI등재후보

        이고그램에 따른 소집단 구성이 공업고등학교 학생들의 협동학습 교류패턴에 미치는 영향

        손주민 대한공업교육학회 2010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고등학교 협동학습 수업에서 이고그램을 고려하여 소집단을 구성했을 때 학생들의 협동학습 상황에서 상호작용과 교류패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구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공업고등학교 협동학습에 참여한 학생들 24명을 대상으로 이고그램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구조-기능을 분석 하고, 이를 토대로 자기긍정-타인긍정이며 유화성 있는 학생이 참여한 소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소집단으로 구성하고 표집된 두 소집단의 협동학습에서 이루어진 대화 내용을 녹음, 녹화하여 여기에서 이루어진 언어적 상호작용과 교류패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의 이고그램 평균 특성은 FC 점수가 가장 높고 CP점수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는 연구 대상 학생들의 특성이 자유분방하며 자기 표현이 분명하지만 느슨하고 무절제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대상 학생들의 인생태도 분석도에 나타난 내용은 자기긍정-타인긍정의 인생태도를 보인 학생은 6명(25%)이며 자기긍정-타인부정의 태도를 보인 학생은 15명(62.5%)으로 나타났다. 셋째, 두 집단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교류패턴을 분석한 결과, 자기긍정 및 타인긍정이며 유화성 있는 학생이 참여한 소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소집단보다 더 많은 대화가 이루어졌으며, 상보교류의 횟수도 상대적으로 더 많았다. 따라서 공업고등학교 협동학습 수업에서 이고그램 특성에 따라 소집단을 구성하는 것이 수업의 활성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자기긍정-타인긍정이며 유화성 있는 학생이 참여한 소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소집단보다 수업의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eractions and transaction patterns on cooperative learning class grouping by egogram in the technical high school. For the process of this study, students' structural and functional egostates were analysed by egogram. After that experimental groups that participate in the members who have high score on I'm OK and You're OK position were organized. and also comparison groups that do not have any students who get position of I'm OK and You're OK were organized. After the target small group was video- taped, students' verbal interactions were written into transcripts. Their interactions and transaction patterns were analysed by the frame of verbal interaction. The results of egogram analysis is that the score of FC is most high and the score of CP is low. High FC means students have their free thoughts and childish actions in suitable language. And low CP means students have personality of immoderation and loose. The target students' life attitude graph shows that I'm OK-You're OK students is 6(25%) and I'm not OK-You're not OK students is 15(25%).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more active interactions than comparison group. The frequency of complementary transaction was also higher plenty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the frequency of crossed transaction was higher plenty in comparison group. So this study verify that when organize students into small groups on cooperative learning class in the technical high school the egostates of positiveness is important variable. and the students who have a personality variable that influence positive life attitude to themselves and to others participate in as a member of small groups, the verbal interactions increase sharply and that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lasswork process and performance.

      • KCI등재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한 교양영어 독해수업 방안 연구

        김혜경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교양교육연구 Vol.10 No.4

        This study suggests forming effective small groups and efficient role dividing system as practical ways to make up for some problems such as clamorous classroom environment and free-rider effects of small group-oriented cooperative learning. A case study applying these two ways to a real teaching spot was conducted in 2016 with 97 students in the first grade taking 'College English Reading 1' at Hoseo University. Students’ average TOEIC score was 417. For forming effective small groups, the number of each group's members was limited to four, and each group was formed by both student-selected and instructor-determined composition methods. And each group members sat facing each other. For managing efficient role dividing system, each member in a group was asked to take one of four roles; a reporter, a recorder, a timekeeper, and a checker. A leader of each group managed his/her group members' roles to be rotated well. To help this, a worksheet and a table to check each group member's role were offered in every class. After 10 weeks, a survey was conducted for students'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51% of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current way of forming small groups. And over 90% of students were pleased with allocating one special role for each group member and rotating this role in every class, which means this way worked well as a good solution for the problem of free-rider effects. 본 논문에서는 소집단 협동학습이 영어 수업에 끼치는 부정적인 영향들 중, 소란스러운 수업 환경과 무임승차 문제에 중점을 두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소규모 집단 구성과 역할분담의 효율적 관리를 제안하였다. 또한, 이를 교양영어 독해 수업에 적용한 사례를 살펴보았다. 해당 수업을 수강한 대상은 본 연구자가 속한 대학의 교양필수 교과목인 ‘대학영어강독1’의 2016년도 1학기 수강자들로 총 97명의 학생들이며 이들의 토익성적 평균은 417점이었다. 우선, 소집단의 구성에 있어서 한 모둠의 인원을 4명으로 제한하였고, 학생 선택 방식과 교수자 결정 방식의 이질집단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4명의 모둠 구성원들이 2명씩 마주보고 활동할 수 있도록 자리를 배치하였다. 역할분담과 역할교대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는 각 모둠 구성원들에게 각각 발표자, 기록자, 시간 관리자, 검수자의 역할을 주고 모둠장이 매 수업마다 역할이 교대될 수 있게 관리하도록 하였다. 역할의 원활한 분담 및 교대를 위해 매 수업 시, 각 모둠별로 모둠활동지와 역할교대 확인표를 제공하고 작성하게 하였다. 이러한 소집단 구성방식과 역할분담 방안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후 설문을 시행하였다. 사례연구의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 학습자들은 현 소집단 구성 방식에 51%의 만족도를 보였다. 또한 역할분담 및 교대 관리 방식에 90%가 넘는 만족도를 보여, 이 방안이 소집단 독해활동의 무임승차 문제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