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 고, 대학생의 성역할 정체감 발달과 변화

        최임숙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17 No.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quire the development of sex-role identity. The study will have its significance for providing a foundation of sex-role education today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98 students consisted of 202 middle school students, 200 high school students and 196 college students. Sex-role identity was measured repeatedly for 145 college students at the interval of one year.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velopmental pattern of sex-role identity is different by gender. In the case of male students, middle school students are characterized by undifferentiated type of sex-role identity. However, high school students are represented by masculine type while college students androgynous type.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undifferentiated type is dominan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while feminine type is dominant among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Second, the repeated measure of the sex-role identity shows that a significant change appears in sex-role identity among college students during 1 year. Approximately 43% of the college students have changed their sex-role identity in a period of one year. The undifferentiated and androgynous types show a higher proportion of change than the masculine and feminine types. A future study is expected to answer toward the question of why such changes occur among college students in one year 본 연구의 목적은 연령에 따른 성역할 정체감 유형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성역할 정체감의 전체적인 발달 추이를 알아보고, 개인의 발달 단계에 맞는 건강한 적응과 시대 변화에 적절한 새로운 성역할 교육의 근거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중, 고등학생과 대학생들의 성역할 정체감 유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성인 초기 성역할 정체감의 안정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1년 간격의 반복 측정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의 중학생 202명, 고등학생 200명, 대학생 196명 등 총 598명이었다. 반복측정 연구는 대전광역시의 대학생 145명이었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성역할 정체감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미분화 유형에서 그 외의 유형 즉, 남성성ㆍ여성성ㆍ양성성 유형으로 발달해 간다. 남학생의 경우, 중학생은 미분화 유형, 고등학생은 남성성 유형, 대학생은 양성성 유형을 그 특징으로 한다. 여학생의 경우는 중학생의 미분화 유형에서 고등학교와 대학을 거치면서 여성성으로 발달해간다. 둘째, 성인 초기 성역할 정체감의 안정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반복 측정 연구에서, 대학생들의 성역할 정체감 유형별 구성 비율은 1년 사이에 유의한 변화를 나타낸다. 즉, 남성성과 여성성 유형은 안정을 유지하면서 적은 변화만을 보인 반면, 미분화 유형과 양성성 유형에서 주된 변화가 나타난다. 이러한 변화 양상이 대학 시기 이후에도 계속 되는지에 대한 의문은 후속 연구를 통해 해결해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무용 전공 여고생의 성역할 정체감에 관한 연구

        이현경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06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2 No.2

        본 연구는 무용 전공 여고생의 성 역할 정체감이 일반여고생의 성 역할 정체감과 의미있는 차이가 있는지를 밝혀 특수한 경험과 학습을 거친 무용 전공 여고생의 성 역할 정체감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시소재 여자고등학교 여고생과 예술고등학교 무용 전공 여고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유층 집락 무선 표집(systematic stratified clusterrandomsampling)으로 무작위할 당하여 100명씩 총 200명을 표집, 설문지를 배포하여 400부를 회수하여 391부를 본연 구의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Bem(1974)의 성 역할 검사지(BSRI: Bem Sex Role Inventory)를 바탕으로 한국 실정에 맞게 제작한 김영희(1988)의 한국형 성역할 검사지(KSRI : Korean Sex Role Inventory)를 토대로 구성한 <무용 전공 여고생의 성 역할 정체감>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일원변량 분석(One-way ANOV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본 연구에서는 먼저 무용 전공 여고생의 성 역할 정체감을 규명하려는 목적으로 예술고등학교 여고생과 인문계 여고생의 성 역할 차이를 알아보았으며, 이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연구 결과를 기초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무용 전공 여고생이 일반여고생에 비하여 남성성과 여성성, 중성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대부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서 본 연구의 가설은 모두 지지되었다. 무용 전공 여고생이 일반여고생에 비하여 남성성과 여성성, 중성성이 모두가 높다 는 본 연구의 결과는 무용이 남성성과 여성성 모두를 증가시켜 개인을 진보적인 방향으로 성역할 사회화시킨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sex-role identities of girl high school students who majored in dance and were exposed to special experience and learning course, by examining whether there would be any significant gap in sex-role identities between them and other girl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not dance major.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0 girl students selected by systematic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who included 100 from a girls' high school and 100 dance majors from an art high school in Seoul.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40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the responses from 391 students were chosen for analysis.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the sex-role identity questionnaire for dance-major girl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Kim Young-hui's Korean Sex-Role Inventory(KSRI), which is a revised version of Bem(1974)'s Bem Sex-Role Inventory(BSRI) to fit our situation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one-way ANOVA.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sex-role identities difference between the girl students in the art and regular high schools and trying to clarify the sex-role identities of the dance majors,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The girl students who majored in dance appeared to be more masculine, feminine and androgynous in sex-role identities, compared to the regular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gap between the two groups was mostly significant. Therefore, the hypotheses posed in this study were all accep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at the dance-major girl high school students had more masculine, feminine and androgynous sex-role identities suggest that dance served to increase the masculinity and femininity of students and to socialize their sex role identities in more forward manner.

      • KCI등재후보

        부모권력구조에 대한 아동기 경험이 여대생의 성역할 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Childhood Experience of Parental Power Structure

        김광응,유미숙,조유진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2004 아시아여성연구 Vol.43 No.1

        본 연구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부모권력구조에 대한 아동기 경험이 성역할 정체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여대생 425명을 대상으로 부모권력구조에 대한 아동기 경험과 성역할 정체감을 측정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권력구조 각 하위요인(가족행사 · 친족관련 권력,자녀교육 권력, 가정경제 권력)에 대해 부우위형과 모우위형의 부모권력을 경험한 여대생은 성역할 정체감 분포에서도 다른 양상을 보였다. 반면 부모권력구조 척도의 전체점수를 합산하여 부우위형과 모우위형으로 부모권력을 구분했을 때 여대생의 성역할 정체감 분포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기존 부모권력 측정도구의 문제점을 지적한 연구자의 비판에 타당성을 더해주는 결과이다. 둘째, 여대생의 성역할 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부모권력구조 하위요인 모두를 동시에 고려한 다반응 로짓분석 결과 부모권력구조 하위요인 중 자녀교육 권력과 가정경제 권력이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자녀교육 권력에서 아버지가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의사결정 정도가 높을 때 여대생들의 양성성과 남성성 성역할 정체감 발달 확률이 높은 반면, 가정경제 권력에서는 어머니의 참여와 의사결정 정도가 높을 때 여대생들이 남성성 성역할 정체감을 발달시킬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가족행사 · 친족 관련 권력은 다른 하위요인의 영향을 제거했을 때 여대생의 성역할 정체감과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sex-role identiti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related to their childhood experiences of parental power structur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425 female college students regarding their childhood experiences of parental power structure and their sex-role identities. Parental power structure consisted of three subfactors: parental power on family events/relative-related, child education, and home economics. It was found that the female college students formed different sex-role identity dimensions when their experiences of parental power hierarchy were measured individually in subfactors. However, they did not show differences when their experiences of parental power hierarchy were measured as the sum of subfactor scores. This supports the authors' conviction that previous measures are problematic in identifying relationships of parental power structure and children's sex-role identity. In particular, multi-response logit analysis was used in order to take into account of all the subfactors of parental power structure at the same time. As a result, childhood experiences of parental power hierarchy on child education, and on home economy were foun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sex-role identities in the female college students. That is, the female college students, whose fathers had power on their children's education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and decision-making, were likely to develop their androgyny and masculinity. On the other hand, those whose mothers had power in home economy were likely to develop masculinity. Furthermore, family events and relative-related parental power were not found to be related to the sex-role identity in female college students when the impacts of other subfactors were eliminated. It is posited that equal or balanced exertion of parental power is critical in the development of adptive and flexible sex-role identity in their children.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성역할정체감, 수치심 및 진로장벽 간의 관계

        천성문(Cheon Seong-Moon),전은주(Jeon Eun-Ju)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인문학논총 Vol.14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역할정체감이 수치심과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과 성역할정체감 유형이 진로장벽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수치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시 K대학교 여자대학생 38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중다 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성역할 정체감 유형인 남성성과 여성성은 수치심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역할 정체감 유형인 남성성과 여성성은 진로장벽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치심은 진로장벽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역할 정체감 유형인 남성성은 진로장벽과의 관계에서 수치심이 부분매개하였고, 여성성은 진로장벽과의 관계에서 수치심이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성역할정체감이 수치심을 통해 진로장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진로상담 시 성역할정체감에 따라 진로장벽이 다를 수 있으며, 수치심을 고려해야 할 것임을 시사해 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sex-role identity on shame and career barrier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hame on sex-role identity factors and career barrier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380 female students of K university in Busan. A multipu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ate.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asculinity and femininity of sex-role identity had significantly effect on shame. Second, masculinity and femininity of sex-role identity were significantly effect on career barriers. Third, shame had significantly effect on career barriers. Finally, shame partially mediated between masculinity and career barriers, and completely mediated to femininity. We designed this study to examine the effects of sex-role identity on career barriers through the roles of shame as mediators. So, we should consider sex-role identity and shame of career barriers in career counseling.

      • KCI등재

        유아의 성역할 정체감 형성을 위한 가정 : 유치원 상호 협력 중심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정미라 한국유아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연구 Vol.31 No.4

        본 연구는 유아의 성역할 정체감 형성을 위해 가정-유치원 상호 협력 중심 유아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교육적 효과를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국내외 관련 문헌 고찰과 가정 및 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양성평등교육의 실태, 그리고 가정-유치원 상호 협력을 위한 기초 요구 조사 결과를 토대로 가정-유치원 상호 협력을 고려한 30개 활동으로 구성된 가정-유치원 상호 협력 중심 유아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개발된 가정-유치원 상호 협력 중심 유아양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성역할 정체감과 부모의 성역할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개발된 가정-유치원 상호 협력 중심 유아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전체 성역할 정체감과 하위영역인 가사, 직업, 놀이 모두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성역할 태도와 하위영역인 성별분업, 남녀의 권위관계, 남녀의 기회, 기타 성 고정관념 모두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가정과 유치원이 상호 협력하여 유아와 부모의 성역할 정체감 형성을 도모할 수 있는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으로서의 현장 적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pply and evaluate a gender equity education program in the context of a home-kindergarten partnership model focused on young children's sex role identity. To this end, a thorough review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on home-kindergarten partnership program models, with special emphasis on gender equity education was conducted. Home-kindergarten partnership models were chosen as the context because traditionally they are structured to develop parent involvement in school goals and activities, thereby establishing a partnership based on understanding and shared goals. Evaluation of the program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this study revealed positive effects on the children's gender role identity sub-categories involving household chores, occupations and play. Evaluation of the program also revealed positive changes in parental perceptions of gender equity and subsequently, in sex role behaviors specifically concerned with the division of labor, authority, and equality in opportunities for both boys and girls, Thus, the changes in parental perceptions and behavior extended to family, school, work and social contexts.

      • KCI등재후보

        도서관 관리자의 성역할 정체감이 직원의 직무효능감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조찬식,최항석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3 경영컨설팅연구 Vol.13 No.4

        사회가 다원화되어 감에 따라 현대사회에서 인간의 성적 기대치인 성역할은 전통적인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이라는 이분법적인 논리를 떠나, 남성이 여성화되고 여성이 남성화되는 추세 점점 가속화되면서 성역할 정체감은 복합적인 형태로 변해가고 있다. 이러한 성역할 정체감은, 자료를 수집․정리․분석․보존․축적하여 공중 또는 특정인의 이용에 제공함으로써 정보이용․조사․연구․학습․교양 등 문화발전 및 평생교육에 이바지하는 하나의 경영조직체로서 도서관에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도서관 관리자의 성역할 정체감이 직원의 직무효능감과 조직몰입 등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성역할 정체감과 경영조직으로서의 도서관에 관한 개념적 배경을 바탕으로, 도서관 관리자의 성역할 정체감, 직무효능감 그리고 조직몰입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법을 이용하였으며, 서울시에 소재한 8개 공공도서관에 근무하는 사서 127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된 설문내용은 SPSS 20 통계팩키지를 이용한 통계분석으로 처리하여 각 변인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도서관 관리자의 성역할 정체감이 직원의 직무효능감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토론을 전개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행복감의 차이

        김다영,김낙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9 敎員敎育 Vol.3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행복감에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37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한국형 성역할검사,교사효능감 검사도구, 행복감 척도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연구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의 기술통계, 일원배치 분산분석(one way ANOV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유아교사의 성역할 정체감유형에 따라 교사효능감과 행복감의 수준에 차이가 있는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수준은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양성성 유형의 성역할 정체감을 가진 유아교사가 남성성유형이나 미분화 유형에 속하는 교사보다 교사효능감이 높았다. 또한, 유아교사의 행복감 수준도 마찬가지로 양성성 유형에 속하는 유아교사가 다른 성역할 정체감 유형의유아교사보다 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changes dis the sex-role ident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ring about regarding teacher efficacy and happiness. The study involved surveying 372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Seoul, Incheon, and the Gyeonggi area.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Korean sex-role tests, teacher efficacy test tools,and happiness scales and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data analysis and one-way ANOVA using the SPSS 2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As a result of examining teacher efficacy and happiness according to different types of sex-role identity, the level of teacher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 of sex-roleidentity, a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identified as androgynous had higher teacher efficacy than the teachers belonging to the male type or the undifferentiated type. In addition, the level of happiness of the androgynous group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also higher than that of other types of sex-role identity.

      • KCI등재

        대학생의 성역할 정체감, 대인관계문제 및 대인관계만족의 관계: 성차를 중심으로

        조영주 한국상담학회 2020 상담학연구 Vol.21 No.4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ex role identity(masculinity, feminin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away from people, against people, toward peopl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Sex differences in these relationships were also explored. Data from 194 male college students and 126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collected and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s, correlation analyses, regression analyses and path analy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t significant sex differences in masculinity, femininity, away from people problem, against people probl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while wome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oward people problem than men. Second, men’s away from people problem were negatively related to relationship satisfaction, while women’s away from people problem and against people problem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relationship satisfaction. Third, for both men and women, masculinity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away from people problem and toward people problem while femininit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oward people problem. Fourth, the higher the masculinity of both men and women, the hig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through the lowness of away from people proble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본 연구에서는 성역할 정체감(남성성, 여성성), 대인관계문제(멀어짐 문제, 맞섬 문제, 향함 문제) 및 대인관계만족 간의 관계와 이들 관계에서 성차를 살펴보았다. 남학생 194명과 여학생 126명으로부터 수집한 설문자료를 독립표본 t-검정, 상관분석, 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성, 여성성, 멀어짐 문제, 맞섬 문제, 대인관계만족에서는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고, 향함 문제는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학생의 경우 멀어짐 문제만 대인관계만족을 부적으로 유의하게 설명하였고, 여학생의 경우는 멀어짐 문제와 맞섬 문제가 대인관계만족을 부적으로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셋째, 남녀 모두 남성성은 멀어짐 문제와 향함 문제를 부적으로 유의하게 설명하였고, 여성성은 향함 문제를 정적으로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넷째,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남성성이 높을수록 멀어짐 문제가 낮은 것을 통해서 대인관계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논의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포함하였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소비자생활협동조합 이사회의 성역할 정체감, 지배구조, 그리고 경영성과

        김아영 ( Ah Young Kim ),최우석 ( Woo Suk Choi ),장승권 ( Seung Kwon Jang ) 한국여성경제학회 2014 여성경제연구 Vol.11 No.1

        본 논문은 여성 중심으로 구성된 생협 이사회의 성역할 정체감이 지배구조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실증 분석한 것이다. 국내 생협 중 매출액 규모가 가장 큰 아이쿱(iCOOP)소비자활동연합회 소속 지역조합 이사회를 연구대상으로 내부 자료와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이사의 성역할 정체감이 지배구조와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고, 둘째, 여성성과 남성성이 동시에 높은 ‘양성성’ 이사회가 좋은 지배구조를 구축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고, 셋째, 형식적 지배구조 보다는 내용적 지배구조가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여성’과 ‘협동조합경영’에 관한 이론과 실천에 시사점을 줄 것이다. The aims of the research are: (1)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sex role identity of Board of Directors (BODs), governance and financial performance, (2)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sex role identity of BODs, governanc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The authors surveyed 44 primary consumer co-operatives in iCOOP Korea, the largest Korean consumer co-operative. The sample included 328 directors (323 female directors and 5 male directors).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show that the sex role identity of BODs significantly affects their governance and performances. It is gender not biological sex tha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governance and performances. Especially, androgyny makes directors’ activities more energetic and increase directors’ participation. Thus, performances may be improved when the sex role identity of BODs becomes more androgynous.

      • KCI등재

        리폼티셔츠를 통해 본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추구 디자인,감성 요소

        서현진 ( Hyun Jin Seo ),이규혜 ( Kyu Hye Lee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4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4 No.2

        시대가 변하면서 남성과 여성의 성역할에 대한 관념이 많이 변화되어가고 있다. 다른 사람들의 시선에 구애 받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됨에 따라, 개인이 가지는 가치 관이나 성역할 정체감은 과거에 비해 의복 선택에 있어 더욱더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추구 디자인 요소와 감성 요소를 알아보기 위해, 118명의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성역할 정체감을 측정하고, 동일한 흰 티셔츠와 부자재를 제공하여 본인이 착용할 티셔츠를 자유롭게 리폼하도록 하였다. 피실험자가 착용한 리폼티셔츠는 18명의 전문가 집단에 의해 디자인 요소와 감성 요소의 측면에서 평가되었다. 결과는 SPSS 21.0을 이용하여, 기초분석을 위한 빈도분석, 신뢰성분석과 요인분석, t-test, 일원분산분석(ANOVA)의 분석방법을 사용해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국내 유니섹스 캐주얼이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디자인 요소보다 감성 요소에서 차별화가 중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강한 남성성을 강조하는 남성복은 세부적인 디자인보다 스타일, 비례 등 전체적인 디자인과 조화로운 스타일링을 위한 제품구성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여성성이 강조되는 패션제품의 경우에는 품질, 가격등과 같은 경제적 측면을 고려해서 상품을 기획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다양한 패션 브랜드가 타겟 소비자들의 제품에 대한 니즈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의 특성을 고려한 패션브랜드의 제품 전략수립 방향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world is changing, as are our perceptions of sex roles for males and females. A social atmosphere increasingly more lenient toward individual choices has encouraged people to allow their personal ways of thinking and sex role identity to exert a greater impact on their choice of clothes compared to the past. Given this context, the present study examines how the choice of design and emotional elements in clothes was influenced and formed by people`s sex role identity. Therefore, in this study, 118 participants was measured to find out the design and emotional elements in clothing pursued by people according to sex role identity. The same white T-shirt and materials were provided to participants, and they were asked to reform a T-shirt for themselves to wear. We performed an analysis using a series of analytic methods, including frequency,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es, as well as a t-test and univariate ANOVA using SPSS 21.0. The data suggests that emotional factors are more important for differentiation than design factors for domestic unisex casual brands to have competitiveness. For men`s wear products emphasis on masculinity, composure of the overall design (style, proportion and so on) and harmonious products for styling are more important than design details. On the other hand, specific elements such as harmony of subsidiary materials, proportion of pattern and balance are important for completeness of a mannish look. Products which emphasize femininity should consider economic aspects such as quality, price of product and so on rather than design and emotional elements. This result could be used as a database for the product strategy of fashion brands and the related companies, as well as to understand target consumer needs regarding fashion produ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