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orean Self-Report Version of the Yale-Brown Obsessive-Compulsive Scale: Factor Structure, Reliability, and Validity

        설순호,권준수,신민섭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13 PSYCHIATRY INVESTIGATION Vol.10 No.1

        Objective Although several self-report versions of the Yale-Brown Obsessive-Compulsive Scale (Y-BOC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widely, few psychometric studies have established the construct validity of this measure. Therefore, we developed Korean self-report version of the Y-BOCS and evaluated its factor structure, reliability, and validity. Methods A non-clinical student sample (n=206) and a clinical OCD sample (n=199) completed the Korean self-report version and other measures of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OCD), depression, and anxiety. Results Consistent with the originally proposed structure,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supported a factor structure comprised of Obsessions and Compulsions factors in the Korean self-report version. Two subscale scores and the total score of the Korean self-report version showed good internal consistency and convergent validity, but relatively poor discriminant validity. Applying a cutoff score of 16, 84% of OCD patients and 93% of the non-clinical sample were classified correctly. Conclusion Korean self-report version of the Y-BOCS is a psychometrically sound and valid measure for assessing OCD symptoms as compared with the clinician-administered version. The originally proposed division of OCD severity into obsessions and compulsions appears accurate in the Korean self-report version. The cutoff score for the Korean self-report version needs adjustment based on further researches.

      • KCI등재

        제품 사용 중 사용자의 감성 측정을 위한 자기-보고 질문지형 척도 개발

        정상훈 ( Sang Hoon Jeong ) 한국감성과학회 2007 감성과학 Vol.10 No.3

        사용자의 감성을 측정하기 위한 심리적 측정방법 중에서 사용자가 느끼는 감성을 형용사와 같은 어휘를 통해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방법, 즉 감성어휘를 추출하여 사용자의 감성을 측정하는 방법이 가장 보편화되어 있는 방법이다. 본 연구의 선행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는 도중에 유발되는 인간의 감성 변화를 나타낼 수 있는 감성어휘들과 대표감성들을 추출하여 제품을 사용하는 도중에 표출되는 사용자의 감성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주관적 평가스케일을 도출하였다. 사용자의 감성을 측정하기 위한 심리적 측정방법에는 감성어휘를 이용한 체크리스트 외에도 자기-보고 질문지형 스케일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한 주관적 평가스케일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자기-보고 질문지형 스케일을 제안하였다. 또한 개발한 자기-보고 질문지형 척도의 Cronbach`s α 계수 분석을 통해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자기-보고 질문지형 척도는 제품을 사용하면서 자연스럽게 표출되는 사용자의 감성을 효과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척도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most common method in the psychological measuring method for measuring user`s emotions is to indirectly measure the user`s emotion by using adjectives, called emotional words. The previous research, in order to observe user`s emotional changes while they interact with a product, has extracted some emotional words and representative emotions, and made a set of subjective evaluation scale. In addition to adjective checklists, self-report questionnaire-type scales have been extensively used to assess user`s emotions. This research suggested a self-report questionnaire-type scale using the representative emotions and a set of subjective evaluation scale made in the previous research. Also the reliability of the suggested self-report questionnaire-type scale was confirmed through the analysis of Cronbach`s coefficient alpha. Therefore, the self-report questionnaire-type scale extracted through this research can be used in various ways to measure a user`s user`s emotions naturally expressed while using a product.

      • KCI등재

        청소년 자기보고형 문제행동평가척도의 개발:신뢰도와 타당도의 검증

        이해경,신현숙,이경성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lf-report form of the adolescent problem behavior rating scale and to test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Items were selected from literature review, free-response surveys with adolescents, parents and teachers, consultation with experts in adolescent development and problems, and a pilot study. Study 1 was conducted to administer a preliminary scale to 3,186 male and female adolescents attending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s in Korea. Exploratory factor analyses yielded 11 factors of adolescent problem behaviors(i.e., internet addiction, eating problems, delinquency, aggression, learning/attention problems, school maladjustment, career problems, family relations, peer relations, relations with teachers, impulsivity/hyperactivity). The 11 factors accounted for 89% of the total variance of adolescent problem behaviors.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s of the 11 subscales ranged from .71 to .91. The 2-week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r=.75. Inter-correlations between the subscales were all significant. In study 2, the validity of the scale was examined. Mean differences in each subscale between the normative group and the validation group(consisting of 948 adolescents with problems) were all significant. The levels of the problem behaviors of the validation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normative one in all subscales. In addition, correlations between this scale and the K-YSR were significant in all of the 11 subscales. Thus, both discriminant and concurrent validities of this scale were found to be good. The results imply that it be necessary to develop an adolescent behavior problem rating scale consisting of items representative of recent adolescent problem behavior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the self-report form of the adolescent problem behavior rating scale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최근 한국 청소년들이 많이 경험하고 있는 문제행동을 평가하는 자기보고형 척도를 개발하고,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청소년 문제행동 평가척도를 개발하기 위해서 문헌조사, 자유반응조사, 전문가자문, 예비조사의 4단계 기초연구를 거쳤다. 연구1에서는 전국 일반 중․고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남녀 청소년 3,186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를 요인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터넷중독, 가족관계문제, 섭식문제, 진로문제, 공격행동, 학업/주의문제, 학교부적응, 또래관계문제, 교사와의 관계문제, 비행, 충동/과다행동이 주요 요인으로 산출되었다. 이들 11개 요인은 청소년 문제행동 총 변량의 89%를 설명하였다. 각 요인별 내적일치도 계수(Cronbach α)는 .71~.91에 해당하여 양호하였다. 또한 하위척도간 상호상관이 모두 유의하였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r=.75로 양호하였다. 연구2에서는 일반 청소년 집단(규준 집단)과 948명의 문제 청소년 집단(타당도 집단)간 하위척도별 평균차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모든 하위척도들에서 타당도 집단의 문제행동수준이 규준 집단보다 더 유의하게 높아서 본 척도의 변별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또한 본 평가척도와 K-YSR간 상관이 모든 하위척도에서 유의하여 본 척도의 공인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청소년 문제행동의 평가에 포함되어야 할 문제행동 영역의 포괄성 및 자기보고형 청소년 문제행동 평가의 필요성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 외부 평가상황에 놓인 기독교 목회자들의 심리적 문제에 대한 자기보고 경향성에 대한 탐색

        김근향(Keun-Hyang Kim),육근영(Keunyoung Yook),이상혁(Sang Hyuk Lee),최태규(Tae Kyou Choi),서신영(Shin Young Suh)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8 사회정신의학 Vol.13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외부 평가상황에서 자신의 심리적 문제에 대한 기독교 목회자들의 자기보고 경향성을 MMPI 타당도 척도를 통해 탐색하는 것이다. 방 법 목사 초기 심사과정에 있는 기독교 목회자 중 정신과적인 문제를 선별하기 위해 정신과를 방문한 남성 23명의 MMPI 타당도 척도와 입사상황에서 이루어진 일반 남성 23명의 MMPI 타당도 척도의 차이를 t-검증하였고 이들 46명의 자료를 타당도 척도의 형태에 따라 군집분석하였다. 결 과 두 집단 간에 타당도 척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전체 군집분석 결과, L 척도와 K 척도 상에서의 유의미하게 다른 총 4개의 군집이 도출되었다. 두 집단의 군집 분포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목회자들이 가장 많이 분류된 군집 4는 자신을 긍정적 으로 보고하는 자기 방어적 경향을 시사하는 것으로 전체 목회자들의 평균 프로파일과 유사하였다. 군집 2는 지나치게 단순하고 자기 방어적인 경향 또는 도덕적, 이상적 가치를 지향하는 경향을 시사하지만 그 차이를 가려내기는 곤란하였다. 군집 3은 형태면 에서 나머지 군집과 크게 다른 군집으로 성숙한 자기 보고경향을 시사하는 프로파일이었다. 결 론 목회자들 역시 외부 평가상황에서 자신의 심리적 문제를 보고할 때 일반인들과 유사하게 자신을 사회적으로 바람직하게 즉, 자기 방어적으로 보고하는 경향이 시사된다. 하지만 일부 목회자들은 지나치게 단순하고 경직된 방어경향 또는 성숙한 자기보고 경향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따라서 목회자들은 외부 평가상황에서 자신의 심리적 문제에 대해 다양한 자기 보고경향성을 가진다는 점이 시사된다.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ministers’ self-report tendency about their psychological symptoms using MMPI validity scales in external evaluation situation. Methods:Independent sample t-test was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MMPI validity scales between ministers’ group(N=23) and control group(N=23). MMPI validity scales’ profiles(N=46) were analyzed with cluster analysis. Results:MMPI validity scale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 MMPI validity scales’ profiles were classified into 4 significant clusters(on L and K scale). Cross distribution of clusters and two group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Cluster 4 profile was similar to mean profile of ministers and contained highest portion of ministers. Especially, cluster 2 suggested that one has a naively and rigidly defensive tendency or moral and ideal value. But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defensiveness and idealistic orientation. Cluster 3, unusual type relative to other clusters, contained lowest portion of total subjects. This cluster suggested that one has a mature tendency to self-perception. Conclusion:Ministers have a defensive tendency to report their psychological symptoms as much as most people do. However, there is naively defensive type or ideal orientation type and there is matured self-report types, balanced self-disclosure and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ministers have various self-report tendency to psychological symptoms in external evaluation situation.

      • KCI등재

        일반논문 : 정신병질에 따른 국내 살인범들의 살인행위 특성분석

        이수정 ( Soo Jung Lee ),공정식 ( Jung Sick Gong ) 한국경찰학회 2007 한국경찰학회보 Vol.9 No.1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로 번역된 자기보고식 정신병질 검사지의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특히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여서가 아니라 현재 교정시설에 수감되어 있는 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자기보고식 정신병질 검사지의 활용도가 있을 것인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질적 불안 검사지와 정신병질 검사지로부터 각기 상하집단을 추출하여 4개의 준거집단을 구성하였다. 저위험군, 혼합위험군, 기질불안 위험군, 정신병질 위험군을 각기 선정한 후, 각 준거집단의 살인범죄와 관련된 범행 특성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예상대로 정신병질 위험군의 경우 가장 범죄전력이 많았고 사전에 계획하여 살인을 저지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질불안 위험군의 경우 우발적으로 살인을 저지르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확보된 자기보고식 검사지를 이용한 정신병질에 대한 평가방법은 국내의 형사사법 현장에서도 나름의 활용가치가 있을 것이라 추정된다. This dissertation confirmed Self-Report Psychopathy Scale interpreted in Korean. Especially not for the people at large, but for the inmates who are confined in correctional facility, practicality of the self-report psychopathy scale was quested. For the purpose of that, from temperamental anxiety scale and psychopathy scale, upper and lower side group were sampled and this sampled groups constituted 4 reference group. We chose lower risk group, mixed risk group, temperamental anxiety group, and psychopathy risk group, and then analysed homicidal behavior of each group. As expected, it is proved that psychopathy risk group has most criminal records, and committed homicide intentionally. On the other hand, temperamental anxiety group committed homicide by accident. It is estimated that this analysis method using self-report psychopathy scale has practical value for domestic criminal jurisdiction field.

      • KCI등재후보

        성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환자의 집행기능과 시간관

        박정아,정유숙,김지혜,윤희준,이동익,오수환,김병욱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19 신경정신의학 Vol.58 No.2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executive functions and time perspectives in patients with adult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The executive function including self-management to time, self-organization/problem solving, self-restraint or inhibition, self-motivation, and self-regulation of emotion was analyzed. In addition, the time perspective, including past-negative, past-positive, present-hedonistic, present-fatalistic, future-negative, and future-positive, wer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executive functions and time perspectives were analyzed in an adult ADHD patient group. Methods Thirty-six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17 in the ADHD group and 19 in the Control group. The participants conduct psychological tests including Barkley Deficits in Executive Functioning Scale (BDEFS), ADHD Self-Report Scale, and the Swedish Zimbardo Time Perspective Inventory to confirm their executive functions, attention, and time perspectives. Th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at Samsung Medical Center from April 2017 to November 2018.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a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The adult ADHD patients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he BDEFS and ADHD Self-Report Scale than the control group. In time perspective scores, the adult ADHD patients group was higher in the past-negative, present-hedonistic, present-fatalistic time perspectives than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adult ADHD patients group was lower in future-positive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adult ADHD patients group, the future-positive time perspectiv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executive function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egative time perspective is related to the executive function deficits in an adult ADHD group, particularly in the self-management of time, self-organization/problem solving, and self-motivation.

      • KCI등재

        자기보고식 간이인지기능척도 개발

        정숙회(Jeong, Sook-Hwae) 한국노년학회 2015 한국노년학 Vol.35 No.2

        본 연구는 노인들의 자기보고식 인지기능 척도를 개발하고 정상노인군과 치매노인군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서울과 경기도 소재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55세 이상 113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간이 인지기능 척도를 개발하여 타당화하였고 정상 노인군(38명), 치매노인군(36명)을 대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자기보고식 간이 인지기능 척도 요인분석 결과, 인지적 판단력(COG), 정서통제력(EMO), 기억력(MEM)의 3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척도의 Cronbach's-⍺ .922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3요인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RMSEA .074, TLI .803, CFI .818등으로 나타나 요인구조가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노인의 주관적 기억저하 호소에서 정상 노인군과 치매노인군 간의 자기보고식 간이 인지기능 척도의 하위 요인별 상관을 살펴보면, ‘인지적 판단력과 정서통제력‘ .407, ’인지적 판단력과 기억력‘ .653, ’정서통제력과 기억력‘이 .456으로 상관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별로 관련성의 정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임상 장면에서 사용하고 있는 검사가 이미 활용되고 있으나 의사소통이 적절치 않은 편마비 환자에게 검사실시가 가능한 간이 인지기능 검사를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compare the scale of Self-report Cognitive Function for normal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patient. Method is, First, the Self-report Cognitive Function scale was developed. Then, we analyzed the validity and factors in a group of 38 normal elderly people and a group of 36 with dementia patient. Factor analysis revealed three factors-Cognitive Jugement(COG), Emotional Control(EMO), Memory(MEM)-and suggested high validity(Crombahc's-⍺= .922). The goodness of fit index in three-factor model was appear that RMSEA .074, .TLI .803, CFI .818, and the data is suitable for factor structure. Although tests are already being utilized in the clinical scene, there is a need for hemiplegia patients. So the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is development of Self-report brief Cognitive Function scale.

      • KCI등재

        대학 핵심역량 진단에서 자기보고식 응답에 대한 공통상황문항을 이용한 척도조정 방법

        민경석(Kyung-Seok Min) 한국교육평가학회 2021 교육평가연구 Vol.34 No.3

        자기보고식 문항에서 응답경향성과 집단간 비교가능성의 문제는(평균과 상관계수의 왜곡) 문항편파성(item bias), 차별적 기능문항(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등의 주제로 교육/심리 측정이론에서 지속적으로 논의되어왔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자기보고식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에서 응답양식을 통제하기 위한 공통상황문항 척도조정의 타당성과 통계적 가정을 검증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국내 A대학 핵심역량 진단자료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집단별(성별) 응답양식과 공통상황문항의 동등성을 검증하고, 척도조정의 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조정척도의 측정 양호도와 변별도를 비교하며, 두 가지 공통상황문항군에 의한 조정척도의 비교를 통하여 응답양식의 영향력과 조정척도의 일관성을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서, A대학 핵심역량의 응답반응에서 공통상황문항에 대한 위계성이 유지되어 동등성 가정이 만족되었으며, 조정척도의 신뢰도(내적일관성지수)와 변산성이 원척도 보다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원척도와 비교하여 응답양식을 통제한 조정척도에서 집단평균의 순위, 통계적 유의성이 바뀌는 결과가 나타난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어느 공통상황문항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다소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자기보고식 조사에 대한 공통상황문항의 활용과 후속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Psychometric theory has been dealing with comparability issues on self-reported scores in terms of item bias and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statistical assumptions and properties of scale adjustment with anchoring vignette items in the self-reported college core-competency assessment. For these goals, I illustrate vignette equivalence and response styles across gender groups, evaluate internal consistency and discrimination of new adjusted scales, and scrutinize response consistency with two sets of vignette items, which were imbedded in the core competency assessment of the A university. As research results, the non-parametric method with anchoring vignettes, adopted in self-reported A university core competency assessment, satisfies two statistical assumptions of vignette equivalence and response consistency. Also the adjusted scale shows higher reliability and variation as previous research has confirmed. These promising features of scale adjustment, however, somewhat differ as which set of anchoring vignettes is adopted to build new scales. So cautions and research issues on anchoring vignettes are suggested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

        VBN(가치, 신념, 규범)환경행동이론에 기반한 유아 VBN 검사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구혜진,박선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3 유아교육학논집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self-report VBN scale for young children aged 3 to 5 based on VBN (Value, Belief, and Norm) environmental behavior theory to identify the 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of young children. For this purpose, 38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veloped by analyzing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VBN environmental behavior theory.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with 16 questions with validation of expert content, and 13 questions for this survey were selected by checking EFA, item analysis, and reliability. This survey was conducted on 176 children aged 3 to 5. The model fit and convergence-discriminatory validity were confirmed through CFA. For the validation of scale, the item quality and official validity were verified and the reliability was confirmed. Through this validation verification process, 13 questions VBN scale consisting of 3 factors: Values(AV, BV), Beliefs(NEP, AE), Norms(SN, PN) were developed. This study is a scale based on the VBN environmental behavior theory, which can confirm the values, beliefs, and norms of children’s environment.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enable the strategic use of values, beliefs, and norms in young children environmental education to promote environmental behavior. 본 연구는 유아의 환경행동의도를 규명하기 위해 VBN(가치, 신념, 규범)환경행동이론에 기반하여 만 3∼5세 유아 자기보고식 VBN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VBN환경행동이론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38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전문가 내용타당도가 검증된 16문항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과 문항분석및 신뢰도를 확인하여 본조사용 13문항을 선정하였다. 만 3∼5세 유아 176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검사도구의 타당화를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모델 적합도와 수렴판별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신뢰도 및 공인타당도 검증을 하였다. 이러한 타당화 검증 과정을 거쳐서 가치(AV, BV), 신념(NEP, AE), 규범(SN, PN)의 3요인으로 구성된 유아 VBN 검사도구 13문항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VBN환경행동이론에 기반한 검사도구로써 유아의 환경에대한 가치, 신념, 규범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 환경교육에서 유아의 환경행동 촉진을 위한 가치, 신념, 규범의 전략적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확장판 레빈슨 사이코패시 자기보고 검사(E–LSRP)타당화 연구

        이수빈,서종한 대한범죄학회 2022 한국범죄학 Vol.16 No.3

        The Expanded–Levenson Self-Report Psychopathy Scale(E-LSRP) is a psychopathy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Christian & Selbom in 201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E-LSRP for Koreans. To this en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data collected from 504 ordinary Koreans to explore the factor structure. After that, 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e factor structure deriv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s appropriate,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collected from 540 ordinary Koreans. Finally, 9 items were deleted, and for a total of 27 items, the four-factor structure of ‘egocentrism’, ‘materialism’, ‘callousness’, and ‘impulsivity’ was found to be suitable.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validity, it was confirmed that each item was a subscale that was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sychopathy measurement tools LSRP and SD4, confirming the convergence valid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E-LSRP was validated for the general public in Korea through EFA and CFA procedures and presented a different factor structure from the previous one, and in addition to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presented. 확장판 레빈슨 사이코패시 자기보고 검사(Expanded–Levenson Self-Report Psychopathy Scale; E-LSRP)는 Christian & Sellbom이 2016년에 개발한 사이코패시 측정도구이다. 본 연구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E-LSRP를 타당화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국내 일반인504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데이터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요인구조를 탐색하였다. 이후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된 요인구조가 적합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국내 일반인 540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9개의 문항을 삭제한 총27개의 문항에 대하여 ‘자기중심성’, ‘물질만능주의’, ‘냉담성’, ‘충동성’의 4요인 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각 문항들이 서로 변별되는 하위척도임을 확인하였고, 사이코패시 측정도구 LSRP 및 SD4와의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 수렴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EFA 및 CFA 절차를 통해 국내 일반인을 대상으로 E-LSRP를 타당화하고 기존과는 차이가 있는 요인구조를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를 가지며, 이러한 결과에 더해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등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